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검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검열은 이승만 정부 시기 국가보안법 제정으로 시작되어, 박정희, 전두환 정부를 거치며 언론, 영화,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졌다. 특히 국가보안법은 반정부적 성향이나 북한 관련 내용을 통제하는 데 활용되었으며, 인터넷, 방송, 도서관, 군대 등에서도 검열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검열은 표현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비판을 받아왔으며, 특히 국가보안법은 국제앰네스티 등 국제 단체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최근에는 K팝, 역사 관련 내용 등에서 검열 시도가 있었으며, 중국의 해외 검열 영향도 일부 나타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검열 - 국가보안법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국가보안법은 국가의 안전과 국민의 자유를 보호하기 위해 반국가 활동을 규제하는 법률로, 인권 보호를 위한 개정이 이루어졌으나 표현과 사상의 자유 침해 논란 및 악용 사례로 인해 존폐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검열 - 긴급조치
    긴급조치는 1974년부터 1979년까지 박정희 정권이 유신헌법에 근거하여 발동한 일련의 조치로, 헌법상 기본권 제한과 반정부 활동 탄압에 사용되었으며, 위헌 판결을 받았다.
  • 대한민국의 대외 관계 - 판문점 선언
    판문점 선언은 2018년 남북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서명한 합의문으로, 한반도 비핵화, 종전 선언 및 평화협정 추진, 남북 관계 개선, 군사적 긴장 완화 등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사항에 합의한 문서이다.
  • 대한민국의 대외 관계 - 6자 회담
    6자 회담은 북한 핵무기 개발 문제 해결을 위해 대한민국, 북한,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6개국이 참여하는 다자 회담으로, 2003년부터 베이징에서 개최되었으나 2009년 북한의 탈퇴 선언 이후 재개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검열
지도 정보
개요
국가대한민국
형태검열
법적 근거대한민국 헌법 제21조
국가보안법
형법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역사
주요 사건제헌헌법 제정 (1948년): 언론·출판에 대한 검열 금지 명시
국가보안법 제정 (1948년): 사상 통제 및 표현의 자유 제한
박정희 정권 (1961년 ~ 1979년): 반공법, 언론기본법 등을 통해 언론 통제 강화
전두환 정권 (1980년 ~ 1988년): 언론 통폐합, 보도지침 등을 통해 언론 통제 극심화
김대중 정부 (1998년 ~ 2003년): 인터넷 검열 시작
노무현 정부 (2003년 ~ 2008년): 인터넷 실명제 도입
이명박 정부 (2008년 ~ 2013년): 인터넷 검열 강화, 미네르바 사건 발생
박근혜 정부 (2013년 ~ 2017년): 사이버 검열 논란, 표현의 자유 침해 우려 증가
문재인 정부 (2017년 ~ 2022년): 가짜 뉴스 규제 시도, 표현의 자유 논쟁 지속
시대별 검열 양상권위주의 정권 시기: 정치적 반대 의견, 사회 비판 등에 대한 검열 강화
민주화 이후: 음란물, 명예훼손, 국가보안법 위반 등에 대한 검열 지속
인터넷 시대: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검열 증가, 표현의 자유 침해 논란 심화
검열의 대상
주요 검열 대상정치적 표현: 정부 비판, 정치 풍자 등
성적 표현: 음란물, 성매매 관련 정보 등
사회적 표현: 사회 비판, 소수자 인권 관련 내용 등
사상적 표현: 국가보안법 위반, 북한 관련 내용 등
검열 기관방송통신심의위원회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가정보원
검찰청
검열 방법삭제 및 차단: 불법 정보 삭제, 웹사이트 접속 차단
수정 및 편집: 콘텐츠 내용 수정, 이미지 모자이크 처리
법적 제재: 형사 처벌, 과태료 부과
행정 지도: 자율 규제 유도, 시정 요구
법적 문제
법률 조항대한민국 헌법 제21조: 언론·출판의 자유 보장, 검열 금지
국가보안법: 국가 안보를 이유로 표현의 자유 제한
형법: 명예훼손, 모욕죄 등을 통해 표현의 자유 제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불법 정보 유통 금지, 인터넷 검열 근거
주요 논란표현의 자유 침해 여부
검열의 기준 및 범위의 모호성
국가 안보와 개인의 자유 간의 균형 문제
인터넷 검열의 투명성 및 공정성 문제
관련 판례국가보안법 관련 판례
명예훼손죄 관련 판례
인터넷 검열 관련 판례
검열에 대한 비판과 옹호
비판적 시각표현의 자유 침해: 헌법에 보장된 기본권 침해
창작 활동 위축: 예술, 학문, 언론 등 다양한 분야의 창작 활동 저해
사회 발전 저해: 다양한 의견 교환 및 비판적 사고 방해
권력 남용 가능성: 정권 유지 및 비판 세력 탄압 수단으로 악용될 우려
옹호적 시각사회 질서 유지: 음란물, 폭력물 등 유해 정보로부터 사회 보호
국가 안보 유지: 국가 기밀 보호, 북한 선전 활동 차단
명예훼손 방지: 개인의 명예와 사생활 보호
청소년 보호: 유해 매체로부터 청소년 보호
논쟁의 핵심표현의 자유와 사회적 책임 간의 균형
국가 안보와 개인의 자유 간의 조화
검열의 필요성과 부작용 간의 비교 형량
검열의 현황과 전망
최신 동향가짜 뉴스 규제 강화 시도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의 책임 강화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검열 기술 도입 논의
미래 전망기술 발전과 검열의 진화
표현의 자유와 사회적 가치 간의 갈등 심화
국제 사회의 비판과 압력 증가
시민 사회의 감시 및 대응 강화
해결 과제투명하고 공정한 검열 시스템 구축
표현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는 방향으로 법제도 개선
시민 사회의 참여를 통한 감시 및 견제 강화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검열 정책 수립
참고 자료
관련 단체언론 관련 시민단체
법률 관련 시민단체
국제 언론 감시 단체
관련 서적대한민국 검열 관련 서적
관련 논문대한민국 검열 관련 논문
외부 링크
관련 사이트국경없는 기자회 - 대한민국
프리덤하우스 - 대한민국
Article 19 - 대한민국

2. 역사

대한민국의 검열은 시대별로 다른 양상을 띠며 변화해왔다.

이승만 정부는 1948년 국가보안법을 제정하여 정부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되는 정보의 유포를 막기 위해 광범위한 언론 통제 권한을 정부에 부여했다.[1] 이는 우익 반공 정부와 좌익 인민위원회 간의 갈등으로 인한 사회 불안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었다.[7]

박정희는 1961년 군사 쿠데타로 권력을 잡은 후, 헌법과 민주적으로 선출된 국회를 무효화하고 정적들을 투옥하고 고문했다.[1] 1975년에는 "퇴폐적인" 외국의 영향을 이유로 다양한 음악을 금지했다.[9] 또한, 영화에 대한 대규모 검열을 실시하여 반항, 저항과 같은 주제를 제거하고 정치적 또는 사회 경제적 상황을 정확하게 묘사하는 것을 검열 대상으로 삼았다.[10]

전두환 정부는 군사 쿠데타로 권력을 잡은 후 계엄령을 선포하고 언론을 통폐합했다.[1] 이후 야당 결성의 자유를 보장하는 새로운 헌법이 제정되었지만, 정권은 국가보안법을 통해 북한으로부터의 위협으로 여겨지는 대상을 계속해서 탄압했다.[1]

노태우 정부 초기에는 학생 시위가 계속되었으며, 시위는 특히 정부가 국가보안법을 사용하는 것을 겨냥했다.[1]

민주화 이후에도 국가보안법은 여전히 존속하며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1]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 이후에는 국가보안법을 근거로 학생 및 노동자 시위가 탄압되었다.[1]

2019년, 여성가족부는 K팝 스타에 대한 엄격한 지침을 제안했지만 팬들의 반대로 철회되었다.[12] 2021년 문재인 대통령의 정당은 광주 학살 등 역사적 주제의 서술을 통제하는 법안을 발의했지만, 언론 자유 옹호론자들은 이를 비판했다.[5]

박근혜 정부 시절에는 정부에 비판적인 문화예술인 9,473명의 블랙리스트가 작성되어 정부 관련 활동 참여가 제한되었다.

2. 1. 이승만 정부 (1948–1960)

대한민국 정부는 1948년 국가보안법을 제정하여 언론 검열을 시작했다. 이 법은 정부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되는 정보의 유포를 막기 위해 광범위한 언론 통제 권한을 정부에 부여했다.[1] 대한민국 정부는 우익 반공 정부와 좌익 인민위원회 간의 갈등으로 인한 사회 불안에 대응하여 이 법을 만들었다.[7]

국가보안법은 원래 북한 세력에 대항하기 위해 제정되었지만, 이후 정부에 비판적인 모든 "반국가적" 집단을 탄압하는 데 사용되었다.[1] 이 법에 따르면 "반국가적" 집단의 활동을 "찬양, 고무, 선전 또는 협력"하는 사람은 최대 7년의 징역에 처해질 수 있었고, 이러한 집단과 직접 협력하는 경우에는 최소 1년의 징역형을 받았다.[1]

2. 2. 박정희 정부 (1961–1979)

박정희는 1961년 군사 쿠데타로 권력을 잡은 후, 헌법과 민주적으로 선출된 국회를 무효화했다. 박정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위협을 구실로 정적들을 투옥하고 고문했다.[1] 그의 정권은 예술가와 정치인을 가리지 않고 탄압했으며, 훗날 대통령직을 역임할 지도자들과 김지하와 같은 작가들도 투옥했다.[1] 1975년, 박정희 정권은 "퇴폐적인" 외국의 영향을 이유로 다양한 음악을 금지했는데, 여기에는 많은 미국의 저항가요, 포크 발라드, 록 음악이 포함되었다.[9]

또한, 박정희 정권은 영화에 대한 대규모 검열을 실시했다. 시나리오는 검열 위원회의 승인을 받아야 했고, 영화의 최종 버전이 이전에 승인된 시나리오를 정확히 반영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여러 차례 상영이 요구되었다.[10] 반항, 저항과 같은 주제를 제거하는 것이 검열의 주요 목표였다. 검열관들은 정치적 또는 사회 경제적 상황을 정확하게 묘사하는 것 역시 검열 대상으로 삼았다.[10]

2. 3. 전두환 정부 (1980–1988)

전두환은 군사 쿠데타로 권력을 잡은 후, 전국적인 학생들의 봉기에 대응하여 계엄령을 선포했다.[1] 또한 언론인 937명을 해고하고 국가의 언론 매체를 국유화하는 등 언론을 통폐합했다.[1] 이러한 전두환의 정책과 행동은 국내외에서 비난을 받았고, 그 결과 야당 결성의 자유를 보장하는 새로운 헌법이 제정되었다.[1] 새 헌법으로 정치적 분위기가 다소 자유화되었지만, 정권은 국가보안법을 통해 북한으로부터의 위협으로 여겨지는 대상을 계속해서 탄압했다.[1]

2. 4. 노태우 정부 (1988–1993)

노태우 정부 초기, 노태우가 새로운 정권을 공고히 하고 대통령 임기를 헌법상의 제한을 넘어 연장하려는 시도로 보이는 상황 속에서 학생 시위가 계속되었다.[11] 시위는 특히 대한민국 언론에서 북한의 영향력을 줄인다는 명분으로 정부가 국가보안법을 사용하는 것을 겨냥했다.[1]

2. 5. 제6공화국 시대 (1993–현재)

민주화 이후에도 국가보안법은 여전히 존속하며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1]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 이후, 국가보안법을 근거로 학생 및 노동자 시위가 탄압되었다.[1]

2019년, 대한민국 여성가족부는 K팝 스타에 대한 엄격한 지침을 제안하여, 사실상 그들이 "건강하지 않다"고 간주하는 대부분의 콘텐츠를 검열하려 했지만, 팬들의 강력한 반대에 직면하여 철회되었다.[12] 2021년 문재인 대통령의 정당은 광주 학살, 일본의 한국 식민 통치, 위안부, 세월호 침몰 사고와 같은 역사적 주제의 서술을 통제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언론 자유 옹호론자들은 이 법을 대통령이 검열과 역사를 정치적 무기로 사용하려는 수단으로 보고 있다.[5]

박근혜 정부 시절, 정부에 비판적인 발언을 한 문화예술인 9,473명의 블랙리스트가 작성되어 정부 관련 활동 참여가 제한되었다.

3. 분야별 검열

대한민국의 검열은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박정희 정권은 1961년 쿠데타 이후 언론, 예술, 영화 등 여러 분야에서 검열을 강화했다. 특히, 북한의 위협을 명분으로 반정부적인 인사를 탄압하고, '퇴폐적'이라는 이유로 음악과 영화를 검열했다.[1][9][10]

1990년대 민주화 이후에도 검열은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다.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 이후 국가보안법을 근거로 시위가 탄압되기도 했다.[1]

최근에는 여성가족부의 K팝 스타 관련 지침 제안,[12] 문재인 정부의 역사적 주제 서술 통제 법안 발의,[5] 박근혜 정부 시절 블랙리스트 작성 등 새로운 형태의 검열 시도가 나타나기도 했다.

이러한 검열의 역사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분단, 정치적 갈등, 개신교 정치인, 교육 문화 등 대한민국 사회의 특수한 배경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3. 1. 언론 및 출판

대한민국 정부는 1948년 국가보안법을 제정하여 국내 언론 검열에 관여해 왔다. 이 법은 정부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되는 정보의 유포를 막기 위해 광범위한 언론 통제 권한을 부여했다.[1] 원래 이 법은 북한 세력에 대항하기 위해 제정되었지만, 이후 정부 견해에 반대하는 "반국가적" 집단을 포괄하도록 확대되었다.[1] 이 법에 따라 "반국가적" 집단의 활동을 "찬양, 고무, 선전 또는 협력"하는 사람은 최대 7년의 징역에 처해질 수 있다.[1]

국가보안법은 1990년대 대한민국의 민주화 이후에도 여전히 시행되고 있다. 국제앰네스티는 2011년에 이 법에 따라 90명이 기소되었고, 이는 2008년과 2011년 사이에 95.6% 급증한 것이라고 보고했다. 국제앰네스티는 국가보안법을 "평화적으로 표현, 의견 및 결사의 자유를 행사하는 개인 및 시민 사회 단체를 괴롭히고 임의로 기소"하기 위한 도구라고 묘사했다.[8]

전두환은 군사 쿠데타로 권력을 잡은 후, 전국적인 학생들의 봉기에 대응하여 계엄령을 선포했다.[1] 그는 또한 언론인 937명을 해고하고 국가의 언론 매체를 국유화했다.[1]

대한민국에는 다양한 견해를 표명하는 독립 언론이 있지만, 국가보안법에 따라 정부는 "반국가 단체"를 "찬양"하거나 "고무"할 수 있는 사상의 표현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이 법은 국민이 북한에서 발행된 서적을 읽는 것을 금지한다.[41]

2011년 보고서에서, 유엔 특별보고관은 대한민국에서 표현의 자유에 대한 제한이 증가하고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며, 명예훼손을 범죄로 규정하고 서적을 금지하며 선거 또는 후보자 정보 유포를 통제할 수 있는 법률을 언급했다.[41]

3. 2. 인터넷

대한민국은 방송통신심의위원회를 통해 2000년대부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와 협력하여 불법 정보를 담고 있는 웹사이트차단하고 있다. 이는 외국에 서버를 둔 불법 사이트가 한국 법률의 적용을 받지 않아 처벌하기 어렵다는 점을 명분으로 삼았다.[52]

2002년부터 시행된 인터넷 실명제는 2012년 8월 23일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으로 폐지되었지만,[53] 여전히 익명 표현에 대한 규제가 존재한다.[2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련 웹사이트 차단, 친북 표현물 게시자 처벌 등 온라인 검열이 이루어지고 있다. 2004년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김일성방송대학|김일성방송대학한국어 웹사이트를 개설했고, 대한민국은 IP 차단을 통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우호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최소 31개의 사이트를 차단했다.[27] 트위터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칭찬한 남성이 체포되기도 했다.[28] 2007년에는 특정 대통령 후보를 비판하거나 지지했다는 이유로 블로거들이 검열, 체포되고 게시물이 삭제되기도 했다.[29] 2008년에는 친북 자료를 온라인에 유포한 혐의로 5명이 체포되었고, 2011년에는 83명이 체포되었다.[32]

2021년부터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에서 실시간 음란물 검열이 시작되었으나,[38] 과도한 검열이라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3. 3. 방송

방송통신위원회는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라디오, 인터넷 등 방송 정책 및 규제를 다루며, 여러 분야에 걸친 심의 과정에서 검열 논란이 있다.[61]

대한민국 국방부는 군부대 내에서 나는 꼼수다와 같은 정치적인 팟캐스트 방송 청취를 제한하는 조치를 결정하였다.[62][55]

이명박 정부는 언론사 요직에 전직 대통령 보좌관 및 자문역을 임명하여 방송 매체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언론인들은 편집 독립성 유지를 주장하며 반대했다. 이명박 정부 하에서 약 160명의 언론인이 정부 정책에 비판적인 기사를 작성하여 징계를 받았다.[42] 2012년 초 문화방송, 한국방송공사, YTN 노동자들의 시위는 지속적인 검열과 같은 편향적인 친 이명박 정부 미디어 행위에 대한 우려를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제기했다.[43][44]

대한민국의 일본 매체 검열은 1990년대 이후 크게 완화되었지만, 2017년 현재 지상파 방송에서는 일본 텔레비전 또는 음악 방송이 방송통신위원회에 의해 제한되고 있으며, 전국적인 미디어 회사들은 일본 음악과 영화를 방송하기 전에 사전 허가가 필요하다.[45]

3. 4. 영화

영상물등급위원회는 영화 등급 심사를 담당하며, 성적인 장면, 폭력, 약물 사용 등에 대한 검열을 수행한다. 음모와 생식기는 디지털 방식으로 흐리게 처리해야 한다.[47][48]

대한민국의 영화 검열은 크게 독재 시대와 새로운 군사 정권의 강력한 감시 시대로 나눌 수 있다.[46]

박정희 정권은 대규모 영화 검열을 실시했다. 시나리오는 검열 위원회의 승인을 받아야 했고, 영화의 최종 버전이 이전에 승인된 시나리오를 정확히 반영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여러 차례 상영이 요구되었다.[10] 검열의 주요 목표는 반항, 저항과 같은 주제를 제거하는 것이었다. 검열관들은 또한 정치적 또는 사회 경제적 상황을 정확하게 묘사하는 것 역시 검열 대상에 포함시켰다.[10]

3. 5. 음악

정부 청소년위원회는 청소년에게 유해하다고 판단되는 노래를 규제한다. "청소년의 성적 욕구를 자극하거나 성적으로 노골적인" 노래, "청소년에게 폭력이나 범죄를 조장하는" 노래, "강간, 마약 등 폭력을 미화하는" 노래는 "청소년에게 유해한 매체"로 분류된다.[40]

2010년 11월, 한 여성은 가사가 없는 기악 음악 MP3 파일을 소지했다는 이유로 징역 2년에 집행유예 4년, 자격정지 2년을 선고받았다. 제목이 북한을 찬양한다는 것이 이유였다.[59][60][39]

3. 6. 교육

2011년 2월 15일 한동대학교 측은 한 교수가 이명박 정부와 학교 총장을 비판했다는 이유로 징계를 내렸다.[57][21][50]

대한민국의 한 국어국문학과 대학교수가 대학생들에게 북한의 이적 표현물에 대한 감상문을 쓰게 한 사건이 논란이 되었다.[58] 2012년, 이 교수는 학생들에게 김일성 주석의 회고록에 대한 감상문을 쓰게 한 것이 문제가 되었다.[51]

3. 7. 도서관

대한민국의 공공 도서관은 온라인 및 실제 소장 자료를 통해 다양한 주제를 검열한다. 검열 대상 주제로는 성(성에 대한 교육 정보를 포함), 동성애, 북한 관련 정보, 폭력, 반정부 자료, 정치적 담론 등이 있다.[17]

또한 대한민국의 공공 도서관은 도서관의 공공 회의 공간 사용자를 차별함으로써 정보를 검열하는데, 위에 열거된 금지된 주제를 논의하기 위해 회의 공간을 사용하려는 개인 또는 단체는 거부된다.[17]

3. 8. 군대

대한민국 국방부는 군인들의 특정 서적 소지를 금지했다. 대한민국 헌법재판소는 2010년 10월 군 법무관 그룹의 명령 항의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 국방부의 명령을 지지하여 군인들의 장하준의 ''나쁜 사마리아인들''과 한스-페터 마르틴의 ''글로벌 함정''과 같은 특정 서적을 금지하도록 했다.[18]

또한, 대한민국 국군은 "비판적인 앱"이 설치된 군인들을 단속했으며, 인기 있는 한국 팟캐스트나는 꼼수다를 반정부 콘텐츠로 지정한 혐의를 받았다.[19][20] 대한민국 국방부는 국군 부대 내에서 나는 꼼수다 등의 정치적인 팟캐스트 방송 청취를 제한하기로 결정했다.[55][62]

4. 국가보안법과 표현의 자유

대한민국 정부는 1948년 국가보안법을 제정하여 국내 언론 검열에 관여해 왔다. 이 법은 정부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되는 정보가 대중에게 유포되는 것을 막기 위해 광범위한 언론 통제 권한을 부여했다.[1] 새롭게 수립된 대한민국 정부는 우익 반공 정부와 국민 및 좌익 인민위원회의 갈등으로 인한 광범위한 사회 불안에 대응하여 이 법을 만들었다.[7]

원래 이 법은 북한 세력에 대항하기 위해 제정되었지만, 이후 정부의 견해에 반대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모든 "반국가적" 집단을 포괄하도록 확대되었다.[1] 이 법에 따라 "반국가적"으로 간주되는 집단의 활동을 "찬양, 고무, 선전 또는 협력"하는 사람은 최대 7년의 징역에 처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집단 중 하나와 직접적으로 협력하는 경우 최소 1년의 징역형을 받게 된다.[1]

이 법은 1990년대 대한민국이 민주화를 겪은 이후에도 여전히 시행되고 있다. 국제앰네스티는 2011년에 이 법에 따라 90명이 기소되었으며, 이 중 일부는 투옥되었고, 이는 2008년과 2011년 사이에 95.6% 급증한 것이라고 보고했다. 국제앰네스티는 국가보안법을 "평화적으로 표현, 의견 및 결사의 자유를 행사하는 개인 및 시민 사회 단체를 괴롭히고 임의로 기소"하고 "기존의 정치적 견해를 위협한다고 인식되는 사람들을 제거하고 북한과의 관계에 대한 논의에 참여하는 것을 막기" 위한 도구라고 묘사했다.[8]

5. 타국의 영향

중국의 해외 검열의 영향을 받은 대한민국 언론의 사례가 있다. 일례로 2016년, 중국 대사관은 중국에서 금지된 파룬궁 운동과 관련된 미국 션윈 예술단의 공연을 중단시키기 위해 로비를 벌여 성공했다.[49]

참조

[1] 논문 South Korea's National Security Law: A Tool of Oppression in an Insecure World https://uknowledge.u[...] 2006
[2] 웹사이트 South Korea : Polarization and self-censorship {{!}} Reporters without borders https://rsf.org/en/s[...] 2018-03-02
[3] 웹사이트 South Korea https://freedomhouse[...] 2018-03-02
[4] 웹사이트 Is South Korea Sliding Toward Digital Dictatorship? https://www.forbes.c[...] 2019-05-27
[5] 뉴스 'Historical Distortions' Test South Korea's Commitment to Free Speech https://www.nytimes.[...] 2021-09-20
[6] 웹사이트 South Korea: Criminal defamation provisions threaten freedom of expression https://www.article1[...] 2022-03-28
[7] 서적 Korea's place in the sun : a modern history 2005-09-17
[8] 웹사이트 Amnesty International, THE NATIONAL SECURITY LAW CURTAILING FREEDOM OF EXPRESSION AND ASSOCIATION IN THE NAME OF SECURITY IN THE REPUBLIC OF KOREA. https://www.amnesty.[...] 2021-01-19
[9] 웹사이트 South Korea Banning 'Decadent' Foreign Music, Including Many Protest Songs https://www.nytimes.[...] 2022-03-29
[10] 뉴스 Film Censorship Policy During Park Chung Hee's Military Regime (1960–1979) and Hostess Films {{!}} IAFOR https://iafor.org/jo[...] 2018-03-03
[11] 뉴스 Economic-Political Unrest Erupts In Violent Protests in South Korea https://www.nytimes.[...] 2018-04-03
[12] 웹사이트 South Korea government backtracks after saying K-Pop stars look 'too similar' https://edition.cnn.[...] 2019-05-27
[13] 법률 Criminal Act http://www.law.go.kr[...] 1995-12-29
[14] 뉴스 https://news.sbs.co.[...] 2020-05-10
[15] 뉴스 http://www.yonhapnew[...] 2012-09-02
[16] 웹사이트 Banned sites are blocked better with SNI tech fix https://koreajoongan[...] 2020-05-10
[17] 학위논문 The Republic of Korea's public libraries: A critical examination of censorship practices 2013
[18] 뉴스 Constitutional Court upholds ban on 'seditious books' in military http://english.yonha[...] 2012-02-08
[19] 뉴스 Army unit orders 'pro-N. Korea' apps be deleted, inspects individual phones http://english.yonha[...] 2012-02-08
[20] 뉴스 Army units cracking down on anti-Lee phone apps https://www.koreatim[...] 2012-02-08
[21] 뉴스 http://www.nocutnews[...] 2011-03-12
[22] 웹사이트 Teachers jailed for possession of propaganda https://koreajoongan[...] 2020-01-30
[23] 웹사이트 Summarized global Internet filtering data spreadsheet http://opennet.net/r[...] OpenNet Initiative 2011-11-08
[24] 웹사이트 "Countries under surveillance: South Korea" http://en.rsf.org/su[...] Reporters Without Borders 2011-03-12
[25] 웹사이트 In South Korea, the Only Thing Worse Than Online Censorship is Secret Online Censorship https://www.eff.org/[...] Electronic Frontier Foundation 2011-09-09
[26] 뉴스 EFF "방통심의위는 박경신 탄압 중단하라" http://www.mediatoda[...] 2011-09-09
[27] 뉴스 Sinking underlines South Korean view of state as monster http://www.ft.com/cm[...] Financial Times 2010-04-02
[28] 뉴스 S. Korean man indicted for pro-Pyongyang postings on Internet, Twitter http://english.yonha[...] 2011-03-11
[29] 웹사이트 Tough content rules mute Internet election activity in current contest: Bloggers risk arrest for controversial comments http://joongangdaily[...] Korea JoongAng Daily 2007-12-17
[30] 뉴스 Do new Internet regulations curb free speech? http://joongangdaily[...] Korea JoongAng Daily 2008-08-13
[31] 웹사이트 Asia Times https://web.archive.[...]
[32] 웹사이트 Pro-North Korea activists stick it out in South Korea https://www.pri.org/[...]
[33] 웹사이트 SKorea teens flock online, snitch pro-North posts https://finance.yaho[...]
[34] 뉴스 South Korea Indicts Park Jung-geun over Twitter Posts https://www.nytimes.[...] 2012-02-02
[35] 웹사이트 South Korean receives prison term for North Korea praise https://www.upi.com/[...]
[36] 웹사이트 KCSC Warning http://warning.or.kr 2011-04-30
[37] 뉴스 Searching For An Adult Topic? You'll Have To Prove Your Age To Google Korea http://searchenginel[...] Search Engine Land 2007-05-17
[38] 웹사이트 KakaoTalk Censored Open Chat Test Results https://netxhack.com[...] NetxHack.com 2021-12-12
[39] 뉴스 S.Korea court rules pro-North music breaches law https://www.google.c[...] Agence France-Presse 2010-11-10
[40] 웹사이트 Do You Really Know What Happened to Psy?: Controversial South Korean Music Censorship https://digitalcommo[...] 2022-03-29
[41] 간행물 Republic of Korea https://2009-2017.st[...] Bureau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Labor, U.S. Department of State
[42] 웹사이트 South Korea http://www.freedomho[...] Freedom House 2018-06-20
[43] 뉴스 South Korea: Journalists Stage Mass Walkout from National Broadcaster http://globalvoiceso[...] Global Voices Online 2012-03-21
[44] 뉴스 South Korea: Three Major TV Stations Protest for Fair Journalism http://globalvoiceso[...] Global Voices Online 2012-03-21
[45] 웹사이트 Why there's no Japanese music in the terrestrial broadcasts? http://news.kmib.co.[...] 2021-05-29
[46] 웹사이트 Introduction http://koreanfilm.or[...] 2010-11-30
[47] 웹사이트 Statistics http://www.kmrb.or.k[...] Korea Media Rating Board, 2010 2014-11-12
[48] 웹사이트 Censorship Issues in Korean Cinema, 1995-2002 http://www.koreanfil[...] Darcy Paquet 2002-12-03
[49] 웹사이트 The Long Arm of Chinese Censorship Reaches South Korea https://freedomhouse[...] 2024-06-12
[50] 뉴스 "비판교수 재갈물리기?"…한동대, 정부 비난 교수 징계 논란 http://www.nocutnews[...] 2011-03-12
[51] 뉴스 북한서적 감상문, '학문의 자유' VS '이적행위'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2-09-02
[52] 웹사이트 Interview Wikipedia founder critical of real-name Internet system S. Korea’s system is not in accordance with a free democracy, Wales says http://english.hani.[...] Hankyoreh 2008-11-04
[53] 웹사이트 韓国、ネット実名制に違憲判断 https://www.nikkei.c[...] 2020-06-03
[54] 웹사이트 “통신심의 폐지” 촉구 릴레이 1인 시위 두달째 http://www.peoplepow[...] 참여연대 2012-01-09
[55] 뉴스 국방위 '軍 나꼼수 앱 일부 제한조치' 논란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2-04-29
[56] 웹사이트 “文化界ブラックリスト”9473人名簿確保…朴槿恵政府、韓仏交流行事で大々的工作 http://japan.hani.co[...] 2020-06-03
[57] 뉴스 "비판교수 재갈물리기?"…한동대, 정부 비난 교수 징계 논란 http://www.nocutnews[...] 2011-03-12
[58] 뉴스 북한서적 감상문, '학문의 자유' VS '이적행위' http://www.newsis.co[...] 2012-09-02
[59] 뉴스 S.Korea court rules pro-North music breaches law https://www.google.c[...] Agence France-Presse 2010-11-10
[60] 웹사이트 대법 "北찬양 제목만 있는 연주곡도 이적물"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0-08
[61] 웹사이트 “통신심의 폐지” 촉구 릴레이 1인 시위 두달째 http://www.peoplepow[...] 참여연대 2012-01-09
[62] 뉴스 국방위 '軍 나꼼수 앱 일부 제한조치' 논란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2-04-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