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흥교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흥교통은 1975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시내버스 회사이다. 1968년 동진상운으로 시작하여, 서울 시내버스 노선 개편과 합병, 분리를 거쳐 현재 463번, 4211번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과거 263번, 2220번, 2411번 등 여러 노선을 운영했으며, 전기 버스인 현대 일렉시티를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서초구의 교통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서울 서초구의 교통 - 과천대로
    과천대로는 경기도 안양시에서 서울특별시 서초구를 잇는 도로로, 국도 제47호선 및 지방도 제309호선과 일부 구간을 공유하며 수도권 남부의 주요 간선도로 역할을 수행한다.
  •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기업 - 도선여객
    도선여객은 1973년 삼영교통으로 설립되어 서울여객을 인수하며 확장, 2004년 체계개편 후 간선 및 지선버스를 운영하며 개포동을 기점으로 현대자동차 버스를 운행하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운송업체이다.
  •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기업 - 한국도심공항
    한국도심공항은 1985년 설립되어 시내 체크인 서비스와 공항버스 운수업을 운영했으며, 2023년 시내 체크인 서비스를 폐업하고 현재는 공항버스 사업과 수출입 물류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대흥교통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주식회사 대흥교통
원어Daeheung Transfer Service
종류주식회사
창립1968년 3월 16일
장소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대로 254-11 (염곡동)
국가대한민국
인물박민식, 박병동(대표이사)
산업운수업
제품시내버스
재무 정보 (2022년 기준)
자본금1,525,000,000원
매출액12,554,440,850원
영업이익284,152,430원
순이익252,311,036원
자산총액6,298,222,268원
주주 구성
주주박민식: 44.43%
기타 정보 (2023년 12월 기준)
종업원 수139명

2. 역사

대흥교통의 모태는 1968년 극동운수(폐업)로부터 좌석버스 36번(천호동 ~ 서울역)을 인수받아 설립된 동진상운이다. 1970년 4월 서울 시내버스 노선 개편으로 좌석버스 36번이 68번으로 변경되었고, 1971년 서울승합에서 분리 독립한 성동운수 77번(사근동 ~ 용산경찰서)을 흡수 합병했다. 1973년 5월 어린이대공원 개장에 맞춰 68번에서 568번으로 변경되었다. 1974년 동진상운은 다시 서울승합에 합병되어 서울승합 마장동영업소로 재편되었다가, 1975년 77번(마장동 ~ 용산경찰서)과 569번(오금동 ~ 청계5가, 현 3411번과는 별개 노선)이 대흥교통으로 분리 창업하였다.

이후 대흥교통은 여러 차례 노선 변동과 인수합병을 겪었다. 1981년 한성여객으로부터 18번 노선을 인수했다가 2년 후 서울승합에 매각했고, 1982년 좌석버스 569번(잠실동 ~ 서울특별시청)을 신설했다. 1984년 고덕 주공단지 준공으로 도시형버스와 좌석버스 569번 노선을 상일동 ~ 청계5가로 변경했으며, 1985년 서울승합에 도시형버스 569번을, 신장운수에 좌석버스 569번을 각각 매각했다. 1985년 11월 77-1번(현 263번과 유사하나 여의도 구간이 다름)을 신설했다가 1986년 중림동과 아현동으로 변경했고, 1989년 77번을 77-1번에 통합하고 이듬해 노선번호를 77번으로 변경했다.

1991년 77번 차량 일부를 좌석버스로 형간 전환했으나 1997년에 폐지되었다. 1997년 7월 77-1번(현 2411번, 마장동 ~ 신사전화국)을 신설했다가 관세청을 경유한 후 2411번 노선이 되면서 삼성역까지 운행했으나 학동사거리로 단축되었다. 1999년 선진교통2000년 신촌운수(현 중부운수 문래동영업소)가 경영난으로 운행을 중단할 당시, 계열사였던 북부운수[1]와 공동으로 해당 업체 노선들을 임시 운행하기도 했다. 2000년 12월에는 사근동 ~ 시설관리공단 간의 마을버스를 지역 순환버스 476번으로 형간 전환하여 운행했으나 2001년경 폐선되었고, 한양여자대학에서 관세청 구간을 운행하던 77-1번 버스 노선을 사근동 ~ 관세청의 77-1번과 한양여자대학에서 응봉역 구간을 운행하는 77-2번(현 2220번)으로 노선을 분리했다.

2004년 버스 개편으로 77번은 간선버스 263번으로 변경되면서 서울역고가차도 경유와 동시에 만리동고개 ~ 공덕동 ~ 한겨레신문사 경유로 변경되었다. 2005년 2411번이 삼성역 ~ 학동사거리 구간이 단축되었다. 2014년 3월 11일 마장동 차고지 임차 재계약 실패로 서울특별시 서초구 염곡동공영차고지로 이전하면서 263번이 463번으로 변경(연장)되었고, 2220번과 2411번은 통합되어 4211번으로 운행 중이다. 2015년 2월 27일 배차간격 문제로 463번의 마장동 구간이 폐지되었다.

2. 1. 설립 초기 (1968년 ~ 1980년대)

1968년 극동운수(폐업)로부터 좌석버스 36번 (천호동 ~ 서울역)을 양수받아 '''동진상운'''을 설립하였다.

1970년 4월 서울 시내버스 노선 개편으로 좌석버스 36번이 68번으로 변경되었다. 1971년 서울승합에서 분리 독립한 성동운수 77번 (사근동 - 용산경찰서)을 흡수 합병하였다. 1973년 5월 어린이대공원 개장에 맞춰 68번에서 568번으로 변경되었다. 1974년 동진상운이 다시 서울승합에 합병되어 서울승합 마장동영업소로 재편되었다. 1975년 77번 (마장동 - 용산경찰서)과 569번 (오금동 - 청계5가, 현 3411번과는 별개 노선)이 대흥교통으로 분리 창업하였다. 1981년 한성여객으로부터 18번 노선을 인수하여 2년 후 서울승합에 매각하였다. 1982년 좌석버스 569번 (잠실동 - 서울특별시청)을 신설하였으며, 1984년 고덕 주공단지 준공으로 도시형버스와 좌석버스 569번 노선을 상일동 ~ 청계5가로 변경하였다. 1985년 서울승합에 도시형버스 569번을, 신장운수에 좌석버스 569번을 각각 매각하였다. 1985년 11월 77-1번 (현 263번과 거의 같으나 여의도 구간이 조금 다름)을 신설하였다가 1986년 중림동과 아현동으로 변경하였으며, 1989년 77번을 77-1번에 통합하고 이듬해 노선번호를 77번으로 변경하였다.

2. 2. 1990년대 ~ 2004년 버스 개편 이전

1991년 77번 차량 일부를 좌석버스로 형간 전환하였으나 1997년에 폐지되었다.[1] 1997년 7월 77-1번 (현 2411번, 마장동 - 신사전화국)을 신설하였다가 관세청을 경유한 후에 2411번 노선이 되면서 삼성역까지 갔으나 학동사거리로 단축되었다.[1] 1999년 선진교통2000년 신촌운수 (현 중부운수 문래동영업소)가 경영난으로 운행을 중단할 당시, 계열사였던 북부운수[1]와 공동으로 해당 업체 노선들을 임시 운행하기도 하였다.[1] 2000년 12월 사근동 ~ 시설관리공단 간의 마을버스를 지역 순환버스 476번으로 형간 전환하여 운행하였으나 2001년경 폐선되었고,[1] 한양여자대학에서 관세청 구간을 운행하던 77-1번 버스 노선을 사근동 ~ 관세청의 77-1번과 한양여자대학에서 응봉역 구간을 운행하는 77-2번 (현 2220번)으로 노선을 분리하였다.[1]

2. 3. 2004년 버스 개편 이후

2004년 버스 개편과 함께 기존 중림동 - 아현동 - 마포역을 경유하던 77번은 간선버스 263번으로 변경되면서 서울역고가차도 경유와 동시에 만리동고개 - 공덕동 - 한겨레신문사 경유로 변경되었다.[1] 2005년 2411번이 삼성역 - 학동사거리 구간이 단축되었다.

2014년 3월 11일 서울특별시 성동구 마장로44길 6(마장동 781-2)에 있던 마장동 차고지 임차 재계약에 실패해 서울특별시 서초구 염곡동공영차고지로 이전했다. 이에 따라 263번이 463번으로 변경(연장)되었으며, 2220번과 2411번은 통합되어 4211번으로 운행 중이다.

2015년 2월 27일 배차간격 문제로 463번의 마장동 구간을 폐지하였다.

3. 운행 노선

2023년 5월 13일 기준이다.[2]

노선 번호운행 구간배차 간격 (분)인가 대수비고
463번염곡공영차고지 ↔ 국회의사당7~1130한강을 두 번 건너는 유일한 노선이다.
4211번염곡공영차고지 ↔ 행당중학교10~1416


3. 1. 간선버스

263번한국어: 마장역 - 한양대 - 왕십리역 - 상왕십리역 - 신당역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 충무로역 - 명동역 - 회현역 - 남대문시장 -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하행), 북창동 (상행) - 만리동고개 - 한겨레신문사 - 공덕역 - 마포역 - 마포대교 - 여의도순복음교회 - 국회의사당역《구.77번 변경. 2014년 3월 11일 기점을 마장동에서 염곡동으로 연장과 동시에 463번으로 변경》[1]

3. 2. 지선버스

4. 이전 보유 노선

4. 1. 간선버스 (폐선)

263한국어번: 마장역 - 한양대 - 왕십리역 - 상왕십리역 - 신당역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 충무로역 - 명동역 - 회현역 - 남대문시장 - 서울역 버스환승센터 (하행), 북창동 (상행) - 만리동고개 - 한겨레신문사 - 공덕역 - 마포역 - 마포대교 - 여의도순복음교회 - 국회의사당역 (구 77한국어번 변경. 2014년 3월 11일 기점을 마장동에서 염곡동으로 연장과 동시에 463한국어번으로 변경)

4. 2. 지선버스 (폐선)

4. 3. 맞춤버스 (폐선)

서울숲 후문에서 응봉동 주민센터, 응봉동 현대아파트, 삼성래미안아파트, 금남시장, 금옥초등학교, 미타사 입구, 옥수동 삼성아파트, 극동그린아파트를 경유하는 8221번 맞춤버스가 있었으나, 2009년 7월 11일 폐선되었다.

5. 보유 차량

대흥교통은 친환경 버스 도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5. 1. 현대자동차

참조

[1] 문서 2000년 당시 대흥교통과 북부운수의 대표는 동일인물인 박희서였으며, 대흥교통과 북부운수는 차 뒷유리에 회사명만 다르게 표기한 동일한 스티커를 붙이고 운행하였다.
[2] 뉴스 2023년 2월 시내버스 인가현황 http://news.seoul.go[...] 서울특별시청 교통기획관 버스정책과 2023-04-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