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글러스 DC-6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더글러스 DC-6는 1940년대에 더글러스 항공에서 개발된 프로펠러 여객기이다. 미국 육군 항공대의 요구로 시작되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민간용으로 수정되어 1946년에 처음 비행했다. DC-6는 DC-4보다 객실이 가압되었고 레이더를 장착하여 안전성을 높였으며, "프랫 & 휘트니 R-2800 더블 와스프" 엔진을 사용하여 항속 거리를 늘렸다. DC-6는 DC-6A, DC-6B, DC-6C 등 다양한 파생형으로 제작되었으며, 군용으로 C-118 리프트마스터와 R6D도 생산되었다. 1950년대 후반 제트 여객기의 등장 이후에도 오랫동안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일부가 운행 중이거나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6년 첫 비행한 항공기 - 노스롭 YB-35
노스롭 YB-35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육군 항공대의 "10×10 폭격기" 프로젝트에 따라 노스롭사에서 개발한 실험적인 전익 폭격기였으나, 엔진 및 기술적인 문제로 양산되지 못하고 일부는 제트 엔진으로 개조되어 YB-49로 재탄생했지만 프로그램은 취소되었다. - 1946년 첫 비행한 항공기 - 컨베어 B-36 피스메이커
컨베어 B-36 피스메이커는 6개의 레디얼 엔진과 4개의 터보제트 엔진을 장착하고 최대 39,000kg의 폭탄을 탑재할 수 있는 미국의 전략 폭격기이다. - 더글러스 항공기 - 더글러스 DC-3
더글러스 DC-3는 뛰어난 성능과 경제성으로 상업 항공 발전에 혁신적인 영향을 미친 미국의 쌍발 엔진 여객기이자 군용 수송기로,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군용 버전으로 대량 생산되어 연합군 승리에 기여했으며, 전후에도 저렴한 가격과 높은 신뢰성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 더글러스 항공기 - 더글러스 C-54 스카이마스터
더글러스 C-54 스카이마스터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육군 항공대에서 사용된 수송기로 더글러스 DC-4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전쟁 후 민간 항공기로 개조되어 여객 및 화물 수송에 널리 쓰였고 베를린 봉쇄 당시 미국의 공수 작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대한민국 공군도 C-54D를 도입하여 수송기 및 대통령 전용기로 운용했다. - 미국의 민간 항공기 - 보잉 767
보잉 767은 1970년대 후반 항공 시장의 운영 비용 절감 요구에 맞춰 개발된 중형 광폭 동체 여객기로, 연료 효율적인 설계, 2인승 조종석, 첨단 항공 전자 장비, 다양한 모델 및 군용 파생형을 특징으로 하며 2027년 말까지 생산될 예정이다. - 미국의 민간 항공기 - 보잉 707
보잉 707은 보잉이 제작한 4발 제트 여객기로, 장거리 항공 여행 시대를 열며 민간 항공의 주력 기종으로 활약했으나, 후속 기종과 규제로 민간 생산은 종료되고 현재는 일부 군용기로만 운용된다.
더글러스 DC-6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여객기/수송기 |
제작사 | 더글러스 (보잉과 합병) |
최초 비행 | 1946년 2월 15일 |
도입 | 1947년 3월, 아메리칸 항공 및 유나이티드 항공 |
퇴역 | 해당 없음 |
현황 | 제한적으로 운용 중 |
주요 운용사 | 팬 아메리칸 월드 항공 |
기타 운용사 | 노스웨스트 오리엔트 항공 캐피털 항공 에버츠 에어 카고 |
생산 기간 | 1946년–1958년 |
생산 대수 | 704대 |
개발 기반 | 더글러스 DC-4 |
파생형 | 해당 없음 |
개발 결과 | 더글러스 DC-7 |
제원 (DC-6B) | |
길이 | 32.18 m (105 ft 7 in) |
날개폭 | 35.81 m (117 ft 6 in) |
높이 | 8.66 m (28 ft 5 in) |
날개 면적 | 133 m² (1,430 ft²) |
자체 중량 | 24,494 kg (54,000 lb) |
최대 이륙 중량 | 48,534 kg (107,000 lb) |
엔진 | 4 × 프랫 & 휘트니 R-2800 더블 와스프 18기통 공랭식 성형 엔진 |
엔진 출력 | 각 1,864 kW (2,500 hp) |
성능 | |
최대 속도 | 510 km/h (320 mph, 280 kn) |
순항 속도 | 432 km/h (270 mph, 234 kn) |
항속 거리 | 7,000 km (4,350 mi, 3,780 해리) |
실용 상승 한도 | 7,600 m (24,900 ft) |
상승률 | 5.6 m/s (1,100 ft/min) |
날개 하중 | 365 kg/m² (75 lb/ft²) |
마력 대 중량 | 380 W/kg (0.23 hp/lb) |
2. 개발 및 디자인
미국 육군 항공대(United States Army Air Forces)는 1944년 DC-6 프로젝트를 '''XC-112'''로 위탁했다. 육군 항공대는 더 강력한 엔진을 장착한 더글러스 C-54 스카이마스터(Douglas C-54 Skymaster) 수송기의 길어진 객실 가압(Cabin pressurization) 버전을 원했다. 프로토타입 XC-112A가 1946년 2월 15일에 비행했을 때는 전쟁이 끝났고, USAAF는 요구 사항을 철회했으며, 항공기는 '''YC-112A'''로 개조되어 1955년에 판매되었다.[1]
더글러스 항공(Douglas Aircraft)은 이 설계를 DC-4보다 80인치 더 긴 민간 수송기로 수정했다. 민간 DC-6는 1946년 6월 29일에 처음 비행했으며, 시험을 위해 더글러스가 보유했다. 최초의 항공사 인도는 1946년 11월 24일 아메리칸 항공(American Airlines)과 유나이티드 항공(United Airlines)에 이루어졌다.[1] 일련의 비행 중 화재(유나이티드 항공 608편 추락 사고)로 인해 1947년 DC-6 항공기들이 운행 중단되었다. 그 원인은 객실 냉각 터빈 흡입구 옆에 있는 연료 통풍구로 밝혀졌으며, 모든 DC-6가 수정되었고, 4개월간의 운행 중단 후 항공기는 다시 운행되었다.
1930년대 이후, DC-3나 DC-4B 등 수많은 왕복 여객기를 개발·제조하여 1940년대 당시 미국을 비롯한 세계 여객기 시장에서 최대 점유율을 자랑하던 더글러스사가 1944년에 미국군이 사용하던 C-54 (DC-4B의 군용 모델)의 발전형인 '''XC-112'''로서 개발을 시작하여 제2차 세계 대전 후인 1946년에 초도 비행했다.
기체를 대폭 연장한 것 외에 라이벌인 록히드 컨스텔레이션기에 대항하여 객실을 가압하여 쾌적성을 높였으며, 레이더를 장비하는 등 안전성도 향상되었다.
또한, 연비 효율이 좋은 신형 엔진인 "더블 와스프"를 사용함으로써 북대서양의 무착륙 횡단 비행이 가능한 항속 거리를 갖추고 있다.
2. 1. 디자인 특징


DC-6는 1940년대 당시 미국을 비롯한 세계 여객기 시장에서 최대 점유율을 자랑하던 더글러스사가 1944년에 미국군이 사용하던 C-54 (DC-4B의 군용 모델)의 발전형인 '''XC-112'''로서 개발을 시작하여 제2차 세계 대전 후인 1946년에 초도 비행했다. DC-4보다 동체가 길어졌으며, 록히드 컨스텔레이션기에 대항하여 객실을 가압하여 쾌적성을 높였다. 또한, 레이더를 장비하여 안전성을 향상시켰다. 엔진은 연비 효율이 좋은 더블 와스프를 사용하여 북대서양 무착륙 횡단 비행이 가능한 항속 거리를 갖추었다.
3. 운용 역사
1949년 4월, 유나이티드 항공, 아메리칸 항공, 델타 항공, 내셔널 항공, 브래니프 항공은 미국에서 DC-6를 운항했다. 유나이티드 항공은 이 항공기를 하와이로, 브래니프 항공은 리우데자네이루로, 파나그라 항공(Panagra)은 마이애미-부에노스아이레스로 운항했으며, KLM, SAS, 사베나 항공은 대서양을 횡단하는 DC-6를 운항했다.[2] BCPA DC-6는 시드니에서 밴쿠버까지 운항했으며, 필리핀 항공사는 마닐라에서 런던까지, 마닐라에서 샌프란시스코까지 운항했다.
팬 암은 1952년에 대서양 횡단 관광 클래스 항공편을 시작하기 위해 DC-6B를 사용했다.[2] 여러 유럽 항공사가 대서양 횡단 서비스를 따랐다. DC-6B 및 C형은 동부 미국에서 유럽까지 종종 논스톱 비행을 할 수 있었지만, 서쪽으로 편서풍을 향해 비행할 때는 래브라도의 구스 베이(Goose Bay)나 뉴펀들랜드의 간더(Gander)에서 연료를 보급해야 했다.[2]
1950년대 후반에 DC-8이나 보잉 707 등의 장거리용 제트 여객기가 취항한 후에도 많은 항공사에서 사용되었으며, 중장거리 노선의 제트화가 완료된 1960년대 중반까지 팬 아메리칸 항공이나 일본항공, 유나이티드 항공 등 대형 항공사에서 국내선이나 화물기로 사용되었으며, 1970년대 중반까지, 일부 대형 항공사의 자회사나 전세 전용 회사에서 여객기로 사용되었다.
1946년-1947년 신형 DC-6의 기본 가격은 약 21만 파운드-23만 파운드였으며, 1951년까지 31만 파운드로 상승했다. 1960년에는 중고 가격이 항공기당 약 17만 5천 파운드였다.[7] 1957년-1958년 DC-6A의 가격은 46만 파운드-48만 파운드였다. 1960년까지 중고 가격은 약 29만 6천 파운드였다.[7] 1958년 DC-6B의 해당 가격은 약 50만 파운드였다. 1960년 중고 가격은 약 22만 7천 파운드였다.[7]
1960년대에는 두 대의 DC-6가 퍼듀 대학교를 기반으로 한 공중 텔레비전 강좌에 관한 중서부 프로그램이라는 프로그램에서 교육용 텔레비전 송신기 플랫폼으로 사용되었다.[6]
1977년부터 1990년까지, 다섯 대의 노란색으로 칠해진 더글러스 DC-6B가 공중 소방에 사용되었다. 프랑스에서 시빌 안전국이 사용했으며, 등록 번호는 F-ZBAC, F-ZBAD, F-ZBAE, F-ZBAP, F-ZBBU였다.[8]
현재 대부분의 DC-6는 운행 중단, 보관 또는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 몇 대의 DC-6는 알래스카 북부에서 부시 항공 작전에 투입되고 있으며, 일부는 유럽에, 소수는 남아메리카의 소규모 항공사에서 운행 중이다.
3. 1. 대한민국에서의 운용
일본항공은 1952년 DC-6B 도입을 결정하고, 1953년 10월 2일부터 국내선(도쿄-삿포로)에 투입했다.[30] 1954년 2월 2일 일본항공의 첫 국제선(도쿄-호놀룰루-샌프란시스코)에 DC-6B가 취항했다.[30] 1964년 도쿄 올림픽 성화 봉송에 일본항공의 DC-6B("City of Tokyo"호)가 사용되었다.[30] 1954년 쇼와 천황 부부가 홋카이도 국민체육대회 참석 후 귀경길에 DC-6B("City of Tokyo"호)를 이용, 일본 최초의 천황/황후 어전용기가 되었다.[30] 1966년부터 일본항공 DC-6 일부가 화물기로 개조되어 야간 우편물 전용 항공편(삿포로-도쿄-오사카-후쿠오카)에 투입되었다.[31][32] 일본항공은 1969년 DC-6를 퇴역시켰다.[30]4. 파생형
기본형인 DC-6가 먼저 생산되었고, 이후 동체를 연장하고 엔진을 강력하게 개량한 민간용 화물형 DC-6A, 여객형 DC-6B, 화객 겸용형 DC-6C가 개발되었다.[9] DC-6A는 화물 도어가 장착되었으며, 일부는 객실 창문을 유지하고 좌석을 장착할 수 있었지만, 다른 것들은 창문이 제외되어 순수하게 화물 운송에 사용되었다. 슬릭 항공사는 1951년 4월에 화물 변형을 처음으로 운행한 항공사였다.[10] DC-6B는 DC-6A의 모든 여객 변형으로, 화물 문이 없다. DC-6B-ST는 DC-6B에 대한 스윙 테일 화물기 개조로 사베나 항공에서 수행되었다. 두 대가 개조되었으며, 현재는 버팔로 항공에 보관되어 한 대만 남아 있다.[11]
또한, 미국 공군용 '''C-118 리프트마스터'''(Liftmaster)와 미국 해군용 '''R6D'''가 제작되었다.[9] C-118A는 미 공군용 DC-6A의 명칭으로, 101대가 제작되었다. C-118B는 R6D-1 재지정이다. R6D-1는 DC-6A에 대한 미국 해군 명칭, 65대 제작되었다.
C-118의 미국 대통령 전용기 버전인 VC-118이 해리 S. 트루먼 미국 대통령의 전용기로 사용되었고,[12][13] VC-118A는 존 F. 케네디 대통령과 린든 B. 존슨 대통령의 전용기로 사용되었다. VC-118A는 보잉 707의 대통령 전용기 버전인 VC-137C가 도입된 후에도 제트기의 이착륙이 어려운 지방 공항을 이용할 때의 전용기로 1967년 8월까지 사용되었다. 참고로 트루먼 대통령 전용기인 VC-118은 1947년 7월 4일 (미국 독립 기념일)에 인도되었기 때문에 "인디펜던스"(영어로 "독립"의 의미)라는 애칭으로 불렸다.
- '''XC-112A''': C-54(DC-4)의 개선된 버전으로 DC-6의 프로토타입이 되었다. 가압식, P&W R-2800-83AM3 엔진을 장착했으며, YC-112A로 지정되었다.
- '''DC-6''': 초기 생산 변형으로 동체 길이가 짧다(30.66m).
- '''DC-6-1156''': 53~68석의 국내선 변형, 1,800kW R-2800-CA15 엔진 장착.
- '''DC-6-1159''': 48~64석의 대양 횡단 변형으로 추가 승무원, 연료 용량 17,869L로 증가, 이륙 중량 44,100kg으로 증가, 1,800kW R-2800-CB16 엔진 장착.
- '''DC-6A''': 여객/화물 변형으로 기본 DC-6에서 동체를 약간 연장했다. 후면 화물 도어는 1,800kg 리프트 엘리베이터와 지프가 기본으로 제공되었으나, 지프는 홍보용이었고 곧 폐지되었다.
- '''DC-6B''': DC-6A의 모든 여객 변형으로, 화물 문 없음.
- '''DC-6B-1198A''': 60~89석의 국내선 변형, 1,800kW R-2800-CB16 엔진 장착.
- '''DC-6B-1225A''': 42~89석의 대양 횡단 변형으로 연료 용량 20,863L로 증가, 이륙 중량 49,000kg으로 증가, 1,900kW R-2800-CB17 엔진 장착.
- '''VC-118''': 1947년부터 53년까지 해리 S. 트루먼이 사용한 에어 포스 원 대통령 수송기로, 특별한 25석 내부와 12개의 침대가 설치되었다.
- '''VC-118A''': 스태프 수송기로 개조된 C-118A.
- '''VC-118B''': R6D-1Z 재지정.
- '''R6D-1Z''': 스태프 수송기로 개조된 4대의 R6D-1.
5. 운용사
현재 대부분의 DC-6는 운행 중단, 보관 또는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 몇 대의 DC-6는 알래스카 북부에서 부시 항공 작전에 투입되고 있으며, 일부는 유럽에, 소수는 남아메리카의 소규모 항공사에서 운행 중이다.[14][15][16]
- DC-6A 한 대(G-APSA)는 영국에 있으며 개인 전세로 이용할 수 있었다. 이 기체는 브리티시 이글 항공의 도색으로 칠해져 여러 에어쇼에 등장했다. 이 항공기는 2018년에 해체되었으며, 기체 부품은 2021년 봄에 사우스 웨일스 항공 박물관으로 옮겨져 복원 및 재조립되어 전시될 예정이다.
- 또 다른 DC-6B(G-SIXC, 전 에어 아틀란티크)는 몇 년 전 레스토랑으로 개조되었지만 2017년에 폐업하였고, 2021년 8월에 매물로 광고되었다.[15][16]
- DC-6B 한 대는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에서 플라잉 불스가 사용하고 있다.[17]
- DC-6B V5-NCG "Bateleur"는 나미비아 상업 항공에서 사용되었다.[18] 2017년 1월까지 빈트후크에 보관되어 방치되었다.
- 2016년 7월 현재, 알래스카의 에버츠 항공 화물은 11대의 DC-6와 2대의 C-46을 운용하고 있으며, 몇 대는 보관 중이다.[19] 자매 회사인 에버츠 항공 연료는 DC-6 3대와 C-46 2대를 운용한다.[20]
1980년대에 몇 대의 DC-6B가 캐나다 애보츠포드의 Conair Aerial Firefighting에 의해 화재 지연제 탱커로 사용되었다. 더글러스는 2000년대 후반에 마지막 항공기를 알래스카주 페어뱅크스의 Everts Air Cargo에 판매했다.

'''현재 운용 중인 항공사'''
- 에버츠 에어 카고/Everts Air Cargo영어
'''과거에 운용했던 항공사'''
- 일본항공
- 중국민항
- 캐세이퍼시픽 항공
- 타이 국제항공
- 영국해외항공
- 스칸디나비아 항공
- 알리탈리아 항공
- KLM 네덜란드 항공
- 스위스 항공
- 유나이티드 항공
- 노스웨스트 항공
- 팬 아메리칸 항공
- 하와이안 항공
- 캐나다 태평양 항공
- 멕시카나 항공
- 레알 항공
- 콴타스 항공
- 사우스 African 항공
- 디트리히 마테시츠
- 미국 공군
- 미국 해군
- 중화민국 정부
더글러스 DC-6 운용사 목록에서 더 많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6. 사고 및 사건
더글러스 DC-6 기종과 관련된 사고 및 사건의 상세 목록은 더글러스 DC-6 관련 사고 및 사건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7. 현존 기체
2014년 기준으로 147대의 DC-6가 생존해 있으며, 그중 47대가 운용 가능하다. 몇 대는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21][22][23][24][25][26][27]
- 미국 공군 국립 박물관에는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의 전용기였던 VC-118 "인디펜던스"(S/N 46-0505)가 전시되어 있다. 이 항공기는 트루먼 대통령이 1953년 퇴임할 때까지 사용되었으며, 이후 1965년까지 VIP 항공기로 사용되다가 박물관으로 이관되었다.[21]

- 피마 항공우주 박물관에는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에어 포스 원으로 사용되었던 VC-118A(S/N 53-3240)가 전시되어 있다. 이 항공기는 1962년 VC-137C SAM 26000으로 대체될 때까지 사용되었으며, 대통령 전용 항공기 부대에서 운용된 마지막 프로펠러 구동 항공기였다.[22]
- 해군 항공 기지 펜서콜라의 국립 해군 항공 박물관에는 1951년에 제작된 C/N 43207 (VC-118B)가 전시되어있다.
- 조인트 베이스 맥과이어-딕스-레이크허스트에는 엘비스 프레슬리가 독일 주둔 미 육군 복무 후 귀국할 때 탑승했던 C-118A(S/N 53-3255)가 전시되어 있다. 2010년부터는 미국 공군 박물관에서 전시되고 있다.[23]
- 지미 둘리틀 항공우주 박물관에는 C-118A (S/N 51-17651)가 전시되어 있다. 이 항공기는 미 공군에서 운용되다가 미 해군으로 이관되어 Bureau Number 131602를 부여받았다.[24]
-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에서는 플라잉 불스 에어로바틱 팀이 C/N 45563을 운용하고 있다. 이 항공기는 요시프 브로즈 티토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의 개인 전용기였다.[25]
- 영국 코벤트리 공항에는 C/N 45550이 전시되어 있다. 이 항공기는 동남아시아에서 CIA와 라오스 왕립 공군에서 사용되었으며, 2006년 영화 ''카지노 로얄''에 등장했다. 현재는 "DC-6 다이너"라는 정적 레스토랑으로 개조되었다.[26]
- 콜롬비아 칼리의 알폰소 보니야 아라곤 국제공항에는 콜롬비아 항공사였던 에어로수르 소속의 DC-6 두 대가 버려져 있다.[27]
- Everts Air Cargo는 2016년 10월 2일에 DC-6A N6174C "Good Grief"를 퇴역시켰다.
- 중화민국 공군 박물관에는 중화민국 공군 DC-6B 18351 "충메이"가 주차되어 있다.
8. 제원
참조
[1]
서적
2007
[2]
웹사이트
"No Goose - No Gander.\" Propliners' Crowning Achievement"
https://www.panam.or[...]
2019-08-06
[3]
서적
2004
[4]
서적
2004
[5]
웹사이트
Boeing History: DC-6/C-118A Liftmaster Transport
http://boeing.com/hi[...]
2011-10-03
[6]
웹사이트
The Way We Were . . . Education on the Fly
http://www.ait.net/t[...]
2010-10-17
[7]
웹사이트
Douglas: DC-6
http://www.flightglo[...]
1960-11-18
[8]
웹사이트
netpompiers - Douglas DC-6B
http://www.netpompie[...]
[9]
간행물
Jeep and Elevator Fly With Liftmaster
https://books.google[...]
Hearst Magazines
1950-02
[10]
간행물
Flying Freight: The Development Of America's All-Cargo Airlines
Airways Publishing, LLC
[11]
문서
Douglas DC-6
Century Of Flight
2003
[12]
웹사이트
DOUGLAS VC-118A LIFTMASTER
http://www.pimaair.o[...]
2015-01-30
[13]
웹사이트
Douglas VC-118 'The Independence'
https://www.national[...]
2024-11-09
[14]
웹사이트
Cloudmaster
http://www.thedc6.co[...]
[15]
웹사이트
DC6s on Their Way To South Wales
https://ukaviation.n[...]
2020-11-07
[16]
웹사이트
DC6 For Sale
https://derbosoft.pr[...]
[17]
Youtube
Flying Bulls DC-6 - Restoration of a Diva
https://www.youtube.[...]
2013-01-06
[18]
웹사이트
DC-6/C-118 in Africa: Individual aircraft history
http://dc-6.co.za/
[19]
웹사이트
Everts Air Cargo fleet list
http://aerotransport[...]
[20]
웹사이트
Everts Air Fuel fleet list
http://aerotransport[...]
[21]
웹사이트
Factsheets: Douglas VC-118 'Independence'
http://www.nationalm[...]
National Museum of the United States Air Force
2006-06-19
[22]
웹사이트
Aircraft by Name: Liftmaster
http://www.pimaair.o[...]
[23]
웹사이트
Airmen Restore Aircraft Used by Elvis Presley
http://www.elvis.com[...]
2011-06-22
[24]
웹사이트
Outdoor Exhibits - C-118A "Liftmaster"
https://travisherita[...]
[25]
웹사이트
DOUGLAS DC-6B, Reg. OE-LDM (ex N996DM)
https://www.flyingbu[...]
[26]
웹사이트
DC-6 Diner
http://www.airbaseco[...]
[27]
웹사이트
VOLANDO SOBRE EL ESPACIO AEREO DE CLO
http://spottingcali.[...]
2011-03-18
[28]
웹사이트
Douglas DC-6
http://www.airliners[...]
2006-03-20
[29]
웹사이트
Douglas DC-6A
http://www.prop-line[...]
[30]
서적
昭和天皇御召列車全記録
新潮社
[31]
문서
郵便創業120年の歴史
ぎょうせい
[32]
문서
郵政百年史資料 第二十五巻 郵政史写真集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