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데생당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생당팡은 콤팩트 연결 2차원 가향 다양체, 유한 집합, 유한 그래프로 구성된 수학적 대상이다. 두 데생당팡 사이의 동형 사상은 위상 동형 사상으로 정의되며, 깨끗한 데생당팡은 모든 흰색 꼭짓점의 차수가 2인 경우를 말한다. 벨리 정리에 따라, 대수 곡선과 벨리 사상, 벨리 쌍이 존재하며, 데생당팡은 벨리 사상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데생당팡은 리만 표면의 반공간에 대한 접착 패턴으로 변환될 수 있으며, 절대 갈루아 군의 작용을 받는다. 19세기 펠릭스 클라인은 데생당팡과 유사한 그래프를 사용했으며, 20세기 알렉산더 그로텐디크는 데생당팡을 재발견하고 명명했다. 데생당팡은 지도, 초지도, 정규 맵, 삼각군, 샤바트 다항식 등과 관련되며, 절대 갈루아 군 작용과 불변량을 통해 연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상 그래프 이론 - 오일러 지표
    오일러 지표는 사슬 복합체의 호몰로지 군의 계수로 정의되는 정수 위상 불변량으로, 다면체에서는 꼭짓점 수에서 모서리 수를 빼고 면의 수를 더한 값으로 계산되며, 닫힌 가향 곡면의 위상 동형을 판별하는 데 사용된다.
  • 위상 그래프 이론 - 곡면 종수
    곡면 종수는 곡면의 '구멍' 수를 나타내는 위상수학적 개념으로, 유향 곡면은 자를 수 있는 최대 횟수, 비가향 곡면은 구에 연결된 교차모의 수로 정의되며, 매듭, 손잡이 다양체, 그래프, 스킴 등 다양한 수학적 대상에 대해서도 정의된다.
  • 복소해석학 - 선적분
    선적분은 스칼라장이나 벡터장의 곡선에 대한 적분으로, 함수의 종류와 곡선의 표현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며, 물리학과 공학 등에서 활용된다.
  • 복소해석학 - 테일러 급수
    테일러 급수는 매끄러운 함수를 무한 멱급수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함수의 미분 계수를 사용하여 함수를 근사하며, a=0일 때의 테일러 급수를 매클로린 급수라고 한다.
  • 그래프 이론 - 다이어그램
    다이어그램은 2차원 기하학적 기호를 사용하여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술로, 과학, 공학, IT, 비즈니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정보를 간략하게 나타내고 시각적 사고를 돕는다.
  • 그래프 이론 - 쾨니히스베르크의 다리 문제
    쾨니히스베르크의 다리 문제는 프레겔 강에 놓인 7개의 다리를 한 번씩만 건너 출발점으로 되돌아올 수 있는지 묻는 문제로, 오일러에 의해 그래프 이론적으로 분석되어 해결되었으며 그래프 이론의 탄생에 기여했다.
데생당팡
정의
프랑스어 명칭데생 당팡
정의리만 곡면 연구에 사용되는 그래프 매립
상세 정보
어원'아이들의 그림' (dessin d'enfant)
창시자알렉산더 그로텐디크
관련 수학 분야갈루아 이론, 대수기하학, 쌍곡 기하학, 위상수학, 군론, 테크뮐러 이론
특징그래프
곡면
리만 곡면
설명알렉산더 그로텐디크가 명명함
'아이들의 그림'이라는 뜻의 프랑스어
리만 곡면을 연구하는 데 사용되는 그래프 매립
그래프를 사용하여 리만 곡면의 구조를 시각적으로 표현
절대 갈루아 군의 작용을 연구하는 데 유용
대수기하학, 쌍곡 기하학, 위상수학, 군론, 테크뮐러 이론 등 다양한 수학 분야와 관련됨
중요성절대 갈루아 군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
역사
기원1980년대 알렉산더 그로텐디크에 의해 소개됨
추가 정보
참고 문헌




2. 정의

'''데생당팡'''(dessin d’enfant프랑스어)은 콤팩트 연결 2차원 가향 다양체 \Sigma 위에 그려진 이분 그래프 \Gamma로, 다음과 같은 요소로 구성된다.[4]


  • \Sigma는 콤팩트 연결 2차원 가향 다양체이다.
  • V\subseteq \Sigma\Sigma유한 부분 집합으로, 그래프 \Gamma의 꼭짓점 집합이다.
  • E\setminus V\subseteq \Sigma는 유한 개의 열린 선분들의 분리 합집합이다. 즉, EV를 꼭짓점 집합으로 하는 유한 그래프 \Gamma를 정의한다.
  • 그래프 \Gamma는 이분 그래프이어야 한다. 즉, 각 변의 양끝 색이 다르게 되는 흰색·검은색 2색으로 그래프 색칠이 가능하다.


흔히 데생당팡의 꼭짓점들은 이분 그래프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검게 또는 희게 칠해진다.

두 데생당팡 (V,E,\Sigma), (V',E',\Sigma') 사이의 '''동형 사상'''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위상 동형 사상 \iota\colon\Sigma\to\Sigma'이다.

:\iota(V)=V'

:\iota(E)=E'

'''깨끗한 데생당팡'''은 모든 흰색 꼭짓점의 차수(연결된 변의 수)가 2인 데생당팡이다. 깨끗한 데생당팡은 흰색 꼭짓점들을 삭제하면 (색칠이 없는) 유한 그래프를 얻는다. 반대로, 임의의 유한 그래프에서 각 변의 중심에 차수 2의 흰 꼭짓점을 추가하면 깨끗한 데생당팡을 만들 수 있다.

2. 1. 벨리 쌍

벨리 쌍(Белый雙, Belyi pair영어)은 벨리 사상(Белый-, Belyi map영어)을 만족하는 사상 (X,f)를 말한다.[4] 벨리 정리에 따르면, 대수적 수체 위에 정의된 대수 곡선은 항상 벨리 사상을 갖는다.

f가 유리함수일 때, 다음의 예시를 통해 벨리 쌍을 설명할 수 있다.

:f(x) = -\frac{(x-1)^3(x-9)}{64x} = 1 - \frac{(x^2-6x-3)^2}{64x}.

f는 다음과 같은 임계점과 임계값을 갖는다.

임계점 x임계값 f(x)차수
01
103
901
3 + 2 ≈ 6.46412
3 − 2 ≈ −0.46412
3



0의 원상 (1과 9)에 검은 점을 배치하고, 1의 원상 (3\pm2\sqrt{3}에서)에 흰 점을 배치하고, 선분 [0, 1]의 원상에 호를 배치하여 f에서 데생당팡을 형성할 수 있다.

무한대 점을 포함하여 데생당팡을 리만 표면의 반공간에 대한 접착 패턴으로 변환


반대로, 데생에서 콤팩트 리만 표면과 리만 구면으로의 맵을 형성할 수 있는데, 각 영역 내에 \infty로 레이블이 지정된 점을 배치하고 이 점을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검은색 및 흰색 점에 연결하여 각 영역을 삼각화한 후, 각 삼각형에 대해 반평면을 대체한다. 0, 1 및 \infty를 반시계 방향으로 갖는 삼각형의 경우 상반평면을, 시계 방향으로 갖는 삼각형의 경우 하반평면을 사용하고, 각 인접한 삼각형 쌍에 대해 꼭짓점 레이블로 표시된 경계의 일부를 따라 해당 반평면을 함께 접착하여 리만 표면은 각 반평면 내에서 항등 맵을 사용하여 리만 구에 매핑될 수 있게 구성한다.

X가 임의의 리만 표면이고 f가 벨리 함수일 때, 즉 0, 1 및 \infty만 임계값으로 갖는 리만 구로의 정칙 함수 f일 때, 동일한 구성이 더 일반적으로 적용되어 이러한 유형의 쌍 (X,f)는 ''벨리 쌍''으로 불린다. 이 벨리 쌍 (X,f)에서 0의 원상 f^{-1}(0)에 검은 점, 1의 원상 f^{-1}(1)에 흰 점, 선분 [0,1]의 원상 f^{-1}([0,1])을 따라 가장자리가 있는 그려진 데생당팡을 형성할 수 있다.

2. 2. 리만 곡면에 대응되는 데생당팡

벨리 쌍 (X, \beta)가 주어지면, 다음과 같이 검은색과 흰색으로 그래프 색칠된 그래프 \Gamma를 구성할 수 있다.

  • 각 검은색 꼭짓점은 \beta 아래 0 \in \mathbb{CP}^1의 원상에 대응한다.
  • 각 흰색 꼭짓점은 \beta 아래 1 \in \mathbb{CP}^1의 원상에 대응한다.
  • 각 변은 \beta 아래 선분 [0, 1] \subsetneq \mathbb{CP}^1의 원상에 대응한다.


이는 리만 곡면 X 속의 이분 그래프를 이룬다.

데생당팡과 벨리 사상의 성질은 다음과 같이 대응된다.[4]

데생당팡벨리 사상
분지 피복의 겹 (다항식의 경우, 그 수는 다항식의 차수와 같다)
그래프의 여집합의 연결 성분무한대의 원상
그래프가 나무인지 여부무한대가 유일한 원상을 가는지 여부
검은 꼭짓점0의 원상
흰 꼭짓점1의 원상
꼭짓점의 차수 (연결된 변의 수)분지점의 분지 지표



예를 들어, 다음의 유리 함수를 생각해 보자.[15]

:f(x) = -\frac{(x-1)^3(x-9)}{64x} = 1 - \frac{(x^2-6x-3)^2}{64x}



이 함수의 임계점과 임계값은 다음과 같다.

임계점 x임계값 f(x)차수
01
103
901
3 + 2 ≈ 6.46412
3 - 2 ≈ -0.46412
3



0의 원상(1과 9)에 검은 점을 배치하고, 1의 원상(3 ± 2에서)에 흰 점을 배치하고, 선분 [0, 1]의 원상에 호를 배치하여 f에서 데생당팡을 형성할 수 있다.

3. 성질

유리수체의 절대 갈루아 군 \operatorname{Gal}(\mathbb Q)=\operatorname{Gal}(\bar\mathbb Q/\mathbb Q)은 모든 데생당팡의 집합 위에 추이적으로 작용한다. 이는 나무 데생당팡들의 집합에 국한하여도 마찬가지다.

구체적으로, 벨리 사상 f\colon X\to\mathbb P^1_{\bar\mathbb Q}가 주어졌을 때, 절대 갈루아 군의 원소 g\in\operatorname{Gal}(\mathbb Q)는 사상

:\phi_g\colon\mathbb P^1_{\bar\mathbb Q}\to\mathbb P^1_{\bar\mathbb Q}

을 정의한다. (이는 무한대 및 모든 유리수를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또다른 벨리 사상 \phi_g\circ f\colon X\to\mathbb P^1_{\bar\mathbb Q}를 정의할 수 있다.

특히, f\phi_g\circ f에 대응하는 데생당팡은 같은 수의 변을 가지므로, 주어진 데생당팡의 안정자군 G\le\operatorname{Gal}(\bar\mathbb Q)에 대하여, \operatorname{Gal}(\bar\mathbb Q)/G유한군이다. 갈루아 이론에 의하여, G\mathbb Q의 유한 확대, 즉 수체에 대응한다. 이 수체를 데생당팡의 '''모듈러스 수체'''(field of moduli영어)라고 한다.

4. 역사

19세기윌리엄 로언 해밀턴이 이코시안 미적분에서 데생당팡의 초기 형태를 제시했고,[1] 펠릭스 클라인[26]이 데생당팡과 유사한 그래프를 사용하여 특정 리만 곡면을 계산했다. 20세기알렉산더 그로텐디크겐나디 블라디미로비치 벨리가 증명한 벨리 정리에 영향을 받아 1984년에 데생당팡을 도입하였다.[29]

"데생당팡"은 프랑스어로 "어린이의 그림"이라는 뜻이다.dessin d’enfant|데생당팡프랑스어 이는 데생당팡의 정의에 등장하는 그래프가 한붓그리기가 가능하기 때문에, 마치 크레용을 스케치북에서 떼지 않고 마구 그린 그림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그로텐디크는 데생당팡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정 데생이 아닌 데생은 모든 점을 검게 다시 칠하고 변의 중앙에 흰 점을 추가함으로써 같은 곡면 위의 정 데생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정 데생이 지도에 대응한다면, 일반적인 데생에 대응하는 것은 '''초지도'''(hypermap)이다.

4. 1. 19세기

1856년에 윌리엄 로언 해밀턴은 이코시안 미적분에서 데생당팡의 초기 형태를 제시했다.[1] 현대적 용어로, 이것은 정이십면체 그래프에 대한 해밀턴 경로이다. 1879년에 펠릭스 클라인[26]은 특정 리만 곡면을 계산하기 위해 데생당팡과 유사한 그래프를 사용했으며, Linienzug|리니엔추크de(“선형 획”)라고 불렀다. 클라인은 오늘날 표기의 검은 꼭짓점(0의 원상)과 흰 꼭짓점(1의 원상)을 각각 ⚬와 +로 표기했다. 클라인이 찾던 리만 곡면은 리만 구의 11겹 분지 피복 \mathbb{CP}^1\twoheadrightarrow\mathbb{CP}^1이었으며, 모노드로미 군 \operatorname{PSL}(2;\mathbb F_{11})을 가졌다.

4. 2. 20세기

1970년대에 알렉산더 그로텐디크는 벨리 정리를 추측하였으나, 피에르 들리뉴는 이를 거짓이라고 생각하였다.[27] 그러나 1979년에 겐나디 블라디미로비치 벨리가 벨리 정리를 증명하였다.[28] 이에 영향을 받아, 알렉산더 그로텐디크는 1984년에 데생당팡을 도입하였다.[29]

1984년 알렉산더 그로텐디크는 그의 저서 ''프로그램의 개요''에서 현대적 형태의 데생당팡을 1세기 이상 지난 후 재발견하여 명명했다.[3]

그로텐디크 이전에 존스와 싱어맨은 위상학적 표면의 지도, 리만 표면의 지도, 그리고 특정 생성자를 가진 군 사이의 대응 관계를 연구했지만, 갈루아 작용은 고려하지 않았다. 브라이언트와 싱어맨의 후속 연구는 경계가 있는 표면으로 범위를 확장한다.

5. 지도와 초지도

모든 흰색 꼭짓점의 차수(연결된 변의 수)가 2인 데생당팡은 '''깨끗한 데생당팡'''(clean dessin d’enfant영어)이라고 불린다.[5] 깨끗한 데생당팡의 경우, 흰색 꼭짓점들을 삭제하면 (색칠이 없는) 유한 그래프를 이룬다. 반대로, 임의의 유한 그래프에 대하여, 모든 꼭짓점을 검게 칠하고, 각 변의 중심에 새 (차수 2의) 흰 꼭짓점을 추가하면, 이는 깨끗한 데생당팡을 이룬다.[5]

(2,3,5) 삼각형 군을 이용해 생성된 구의 삼각 분할, 정십이면체를 사용하여 깨끗한 데생을 구성


클라인 사차 곡선의 보편적 덮개로 생성된 쌍곡 평면의 (2,3,7) 삼각형 군의 삼각 분할


데생의 정점은 그래프 이론적 차수를 가지며, 이는 연결된 모서리의 수이고, 이는 벨리 함수의 임계점으로서의 차수와 같다. 각 흰색 점이 두 개의 모서리를 갖는 속성을 가진 데생은 ''깨끗한'' 데생으로 알려져 있으며, 해당 벨리 함수는 ''순수한'' 함수라고 한다.[15] 이런 경우, 데생을 더 간단한 임베디드 그래프로 설명할 수 있으며, 검은색 점만 정점으로 가지고 흰색 점의 두 개의 검은색 이웃에 끝점이 있는 각 흰색 점에 대한 모서리를 갖는다. 예를 들어, 그림에 표시된 데생은 이 방식으로 두 개의 검은색 점과 그 사이에 모서리가 있고 한 점에 자기 루프가 있는 형태로 더 간단하게 그릴 수 있다. 깨끗한 데생의 검은색 점만 그리고 흰색 점은 표시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맵의 각 모서리의 중간점에 흰색 점을 추가하여 전체 데생을 복구할 수 있다.[15]

따라서 각 면이 디스크인 (즉, 위상 맵) 그래프의 표면 내 임베딩은 그래프 정점을 데생의 검은색 점으로 취급하고 각 임베디드 그래프 모서리의 중간점에 흰색 점을 배치하여 데생을 생성한다. 맵이 벨리 함수 f에 해당하면, 그 쌍대 맵 (선분 [1,\infty]의 역상으로 형성된 데생)은 곱셈 역수 1/f에 해당한다.

깨끗하지 않은 데생은 표면에서 모든 점을 검은색으로 다시 칠하고 각 모서리에 새로운 흰색 점을 추가하여 깨끗한 데생으로 변환할 수 있다. 벨리 쌍의 해당 변환은 벨리 함수 \beta를 순수한 벨리 함수 \gamma=4\beta(1-\beta)로 대체하는 것이다.[15] \gamma의 임계점은 이 공식에서 직접 계산할 수 있다: \gamma^{-1}(0)=\beta^{-1}(0)\cup\beta^{-1}(1), \gamma^{-1}(\infty)=\beta^{-1}(\infty), 및 \gamma^{-1}(1)=\beta^{-1}(\tfrac12). 따라서 \gamma^{-1}(1)은 선분 [0,1]의 중간점의 \beta 아래의 역상이며, \gamma에서 형성된 데생의 모서리는 \beta에서 형성된 데생의 모서리를 세분화한다.[15]

깨끗한 데생을 맵으로 해석하면 임의의 데생은 '''초지도'''(hypermap)이다. 즉, 검은색 점이 정점을 나타내고 흰색 점이 하이퍼모서리를 나타내는 하이퍼그래프의 그림이다.[16]

6. 정칙 지도와 3각군

정규 맵을 사용하여 데생당팡을 만들고, 이를 통해 삼각군(triangle group)으로 불리는 대칭군을 생성하는 삼각화된 리만 곡면을 만들 수 있다. 이때 삼각형의 모서리는 표면의 대칭선을 따라 놓이며, 이 선에 대한 반사가 삼각군을 생성하고, 이 삼각형은 기본 영역을 형성한다.[16] 예를 들어, 정십이면체에서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된 삼각형 집합을 보여주는 그림이 있다.

정칙 지도가 종수가 1보다 큰 표면에 놓일 때, 표면의 전체 덮개는 쌍곡 평면이 되고, 들어 올려진 삼각화를 통해 형성된 쌍곡 평면의 삼각군은 쌍곡 평면의 이산적인 등거리 집합을 나타내는 (공수렴) 푸흐시안 군이 된다. 이 경우 시작 표면은 이 그룹의 유한 지수 부분군 ''Γ''에 의한 쌍곡 평면의 몫이다.

반대로, (2,3,n) 타일링(각도가 , , 인 삼각형으로 구, 유클리드 평면 또는 쌍곡 평면을 타일링하는 것)의 몫인 리만 곡면이 주어지면, 관련 데생은 그룹의 차수 2 및 차수 3 생성자에 의해 주어진 케일리 그래프이거나, 동등하게, 꼭짓점당 셋이 만나는 n각형으로 동일한 표면을 타일링한 것이다. 이 타일링의 꼭짓점은 데생의 검은 점을, 모서리의 중심은 흰 점을, 면의 중심은 무한대 위의 점을 제공한다.

7. 나무와 샤바트 다항식

데생당팡이 나무(tree)인 경우, 해당 벨리 쌍은 샤바트의 이름을 딴 샤바트 다항식(Shabat polynomial)으로 나타낼 수 있다.[6] 다항식의 차수는 해당 트리의 에지 수와 같다.

예를 들어, 단항식 p(x)=x^d는 유한 임계점과 임계 값(둘 다 )을 하나만 갖는다. 1은 p의 임계 값이 아니지만, 임계 값이 모두 집합 \{0,1,\infty\}에 있으므로 p를 리만 구에서 자체로의 벨리 함수로 해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해당하는 데생당팡은 d개의 흰색 잎에 연결된 하나의 중앙 검은색 정점을 갖는 별이다 (완전 이분 그래프 K_{1,d}).

160px


더 일반적으로, 두 개의 임계 값 y_1y_2를 갖는 다항식 p(x)를 샤바트 다항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다항식은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임계 값이 0과 1인 벨리 함수로 정규화될 수 있다.

q(x)=\frac{p(x)-y_1}{y_2-y_1},

그러나 p를 정규화되지 않은 형태로 남겨두는 것이 더 편리할 수 있다.[7]

샤바트 다항식의 중요한 예시 집합은 임계 값이 −1과 1인 제1종 체비쇼프 다항식 T_n(x)으로 주어지며, 이 다항식을 일반화된 체비쇼프 다항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7][8] 해당하는 데생은 검은색과 흰색 정점이 번갈아 나타나는 경로 그래프의 형태를 취하며 경로에 n개의 에지가 있다.

240px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트리는 서로 다른 샤바트 다항식에 해당하며, 동일한 트리의 서로 다른 임베딩 또는 색상 지정에도 해당한다. 정규화와 인수의 선형 변환까지, 샤바트 다항식은 임베딩된 트리의 색상 지정으로 고유하게 결정되지만, 주어진 임베딩된 트리를 데생당팡으로 갖는 샤바트 다항식을 찾는 것은 항상 간단하지는 않다.

8. 절대 갈루아 군과 불변량

유리수체의 절대 갈루아 군 \operatorname{Gal}(\mathbb Q)=\operatorname{Gal}(\bar\mathbb Q/\mathbb Q)는 모든 데생당팡의 집합 위에 추이적으로 작용한다. 임의의 벨리 사상 f\colon X\to\mathbb P^1_{\bar\mathbb Q}이 주어졌을 때, 절대 갈루아 군의 원소 g\in\operatorname{Gal}(\mathbb Q)는 사상

:\phi_g\colon\mathbb P^1_{\bar\mathbb Q}\to\mathbb P^1_{\bar\mathbb Q}

을 정의한다. 이에 따라, 또다른 벨리 사상 \phi_g\circ f\colon X\to\mathbb P^1_{\bar\mathbb Q}를 정의할 수 있다.

f\phi_g\circ f에 대응하는 데생당팡은 같은 수의 변을 가지므로, 주어진 데생당팡의 안정자군 G\le\operatorname{Gal}(\bar\mathbb Q)에 대하여, \operatorname{Gal}(\bar\mathbb Q)/G유한군이다. 갈루아 이론에 의하여, G\mathbb Q의 유한 확대인 수체에 대응한다. 이 수체를 데생당팡의 '''모듈러스 수체'''(field of moduli영어)라고 한다.

두 개의 공액인 어린이 데생


다항식

: p(x)=x^3(x^2-2x+a)^2 \,



:a=\frac{34\pm 6\sqrt{21}} 7

를 대입하면 샤바트 다항식이 된다[9]。''a'' 의 부호 선택에 따라 두 개의 베이유 함수 ''f''1 과 ''f''2 가 얻어진다. 이 두 함수는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지만, 그림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대응하는 나무가 동형이 아니고, 동등하지 않다.

이들 다항식은 대수체 '''Q'''(\sqrt{21}) 상에 정의되어 있으므로, 유리수체의 절대 갈루아 군 ''Γ'' 의 작용으로 옮겨진다. \sqrt{21}-\sqrt{21} 로 변환하는 ''Γ'' 의 원소는, ''f''1 과 ''f''2 를 교환하므로, 그림의 두 개의 나무에 교환으로 작용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고정 부분군은, 그 데생을 변화시키지 않는 ''Γ'' 의 요소로 이루어진 부분군을 말한다. ''Γ'' 의 부분군과 대수체는 갈루아 대응하므로, 이 고정 부분군에 대응하는 체, '''데생의 모듈라이 체''' (field of moduli of the dessin)가 있다. 데생의 '''궤도''' (orbit)란, 데생의 집합으로 각 요소는 갈루아 작용에 의해 서로 변환되는 것을 말한다.

9. 한국 수학에서의 데생당팡 연구

Dessin d'enfant|데생당팡프랑스어은 한국의 수학자들에 의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특히, 대수기하학, 정수론, 표현론 등의 분야에서 Dessin d'enfant|데생당팡프랑스어과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국의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에 발표되고 있으며, 국제 학회에서 발표되기도 한다.

참조

[1] Harvtxt
[2] Harvtxt
[3] Harvtxt
[4] Harvtxt
[5] Harvtxt
[6] 기타
[7] Harvtxt
[8] 기타
[9] Harvtxt
[10] Harvtxt
[11] Harvtxt
[12] Harvnb
[13] Harvtxt
[14] Harvtxt
[15] Harvtxt
[16] Harvtxt
[17] Harvtxt
[18] 기타
[19] Harvtxt
[20] Harvtxt
[21] Harvtxt
[22] 저널 What is … a dessin d’enfant? http://www.ams.org/n[...] 2003-08
[23] 서적 Introduction to compact Riemann surfaces and dessins d’enfa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2
[24] 서적 Graphs on surfaces and their applications Springer-Verlag 2004
[25] 저널 Dessins d’enfants http://www.numdam.or[...] 2002-06
[26] 저널 Ueber die Transformation elfter Ordnung der elliptischen Functionen (mit einer lithogr. Tafel) http://resolver.sub.[...]
[27] 서적 The Grothendieck theory of dessins d’Enfa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09
[28] 저널 О расширениях Галуа максимального кругового поля http://mi.mathnet.ru[...] 1979
[29] 인용 Esquisse d’un programme http://wwwmath.uni-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