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 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립 교회는 독립 정교회라고도 불리며, 정교회 내에서 완전히 독립된 교회를 의미한다. 독립 교회는 자치 교회와는 달리, 전적으로 자율적으로 운영되며, 전지공의회나 총대주교 등의 승인을 거쳐 지위를 부여받는다. 독립 교회 지위는 종종 국가의 자기 결정 및 정치적 독립 문제와 연관되어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하며, 특히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과 러시아 정교회 간의 주요 분쟁 지점이다. 가톨릭의 독립 교회는 교황의 수위권을 인정하지 않는 독립적인 교회를 의미하며 정교회의 독립 교회와는 다른 개념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리엔트 정교회 - 칼케돈 공의회
칼케돈 공의회는 에우티케스의 단성론 논쟁 해결을 위해 451년에 소집된 제4차 전례 공의회로,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을 동시에 지닌 단일 인격이라는 칼케돈 신조를 채택하여 두 본성의 불가분리성을 천명했으나, 일부 동방 교회의 거부와 콘스탄티노폴리스 주교의 지위 상승으로 기독교 분열과 로마 교황청과의 갈등을 야기했다. - 오리엔트 정교회 - 제온 (예배식)
제온은 정교회 예배에서 포도주에 뜨거운 물을 섞는 의식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형 당시 흘러나온 물과 신성을 상징하며, 슬라브와 그리스 관습에 따라 형태와 사용 방식에 차이가 있다. - 교회론 - 공교회
공교회는 '보편적인 교회'를 뜻하는 기독교의 중요 개념으로, 하나의 교회, 거룩한 교회, 보편적인 교회, 사도적인 교회의 네 가지 특징을 가지며, 동방 정교회, 천주교회, 개신교의 공교회주의로 나뉜다. - 교회론 - 초교파 교회
초교파 교회는 특정 교단에 소속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교회로서, 20세기 초 미국에서 시작되어 현대적인 예배 방식으로 젊은 세대에게 인기를 얻으며 성장하여 아시아 지역으로 확산되는 추세이다. - 동방 정교회 - 교회 슬라브어
교회 슬라브어는 키릴과 메토디우스 형제가 구교회 슬라브어를 바탕으로 성경과 전례서를 번역하면서 시작되어 동슬라브 지역으로 전파, 다양한 판본으로 발전하여 정교회 지역의 예배 및 문학 언어로 사용되었으나 현대에는 현대 슬라브어 등으로 대체되고 일부 지역에서만 예배 언어로 사용되며 현대 슬라브어, 특히 러시아어에 큰 영향을 주었다. - 동방 정교회 - 수도복
수도복은 수도자나 성직자들이 입는 특별한 의복으로, 불교의 가사, 기독교의 수도복 등 종교 및 종파에 따라 형태와 의미가 다양하며 각 종교의 전통과 가치관을 반영한다.
독립 교회 | |
---|---|
개요 | |
명칭 | 자치 교회 (獨立教會) |
다른 이름 | 독립 정교회 (獨立正敎會) 오토케팔리아 교회 |
어원 | 그리스어 αὐτοκεφαλία (autokephalia) |
의미 | 스스로 머리가 된다 |
설명 | 스스로 다스리는 수석 주교가 있다는 뜻이다. |
교회법적 지위 | |
정의 | 특정 지역에 대한 완전한 교회법적 독립을 가진 기독교 교회 |
특징 | 자체적으로 수석 주교를 선출하고 자체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권한을 가진다. |
결정 | 전 세계 정교회 수석 주교들의 동의로 결정된다. |
역사적 발전 | |
기원 | 초기에는 총대주교 관할 지역에서 독립된 관구의 증가 주로 국가적, 정치적 이유로 발생 |
초기 사례 | 키프로스 교회, 조지아 교회 |
현대적 추세 | 민족주의 부상과 함께 증가 새로운 국가의 독립과 함께 자치 교회 요구 증가 |
인정 절차 | |
승인 주체 |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역사적 권위) |
과정 | 자치 교회 요청 세계 총대주교의 검토 및 승인 다른 자치 교회들의 동의 필요 |
중요성 | |
교회적 측면 | 지역 교회의 자율성 강화 지역 문화와 전통 반영 |
정치적 측면 | 국가적 정체성 확립 종교적 독립 상징 |
논쟁 및 도전 과제 | |
교회법적 문제 | 자치 교회 인정 절차의 불확실성 세계 총대주교의 권한에 대한 이견 |
정치적 문제 | 국가 간, 교회 간 갈등 유발 가능성 분열 및 분리주의 운동으로 이어질 가능성 |
해결 노력 | 범정교회 차원의 논의 및 합의 필요 교회법적 규정 명확화 상호 존중과 이해를 바탕으로 한 문제 해결 |
자치 교회 목록 (일부) | |
교회 |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청 예루살렘 총대주교청 러시아 정교회 세르비아 정교회 루마니아 정교회 불가리아 정교회 조지아 정교회 키프로스 정교회 그리스 정교회 폴란드 정교회 알바니아 정교회 체코-슬로바키아 정교회 미국 정교회 우크라이나 정교회 |
2. 명칭
'''독립 정교회'''(獨立正敎會) 또는 '''독립 교회'''는 일본 정교회의 공식 홈페이지나 출판물 등에서 사용되는 정식 번역어이다. 이 명칭은 다른 기독교 교파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13]
초기 기독교 시대에 지방 교회의 자율 교회 지위는 세계 공의회의 규범에 의해 공포되었다. 오대 주교구 체제가 발전하면서 로마, 콘스탄티노폴리스,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예루살렘이 주요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
3. 역사
키프로스 교회의 독립 지위는 에페소스 공의회(431)에서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의 주장에 반하여 고대 관습에 의해 인정되었다.[1] 키프로스 교회가 항상 독립적이었는지, 아니면 한때 안티오키아 교회의 일부였는지는 불분명하다. 안티오키아 총대주교가 키프로스 교회가 자신의 관할 하에 있다고 주장하자, 키프로스 성직자들은 에페소스 공의회 앞에서 이를 비난했고, 공의회는 키프로스 교회의 자율성을 인정했다. 에페소스 공의회 이후, 안티오키아 교회는 다시는 키프로스가 자신의 관할 하에 있다고 주장하지 않았다. 키프로스 교회는 그 이후 키프로스 대주교가 통치하며, 그는 더 높은 교회 권위에 종속되지 않는다. 조지아 정교회는 466년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청으로부터 독립 교회 지위를 부여받았다.
어떤 교회가 독립 교회인지, 그리고 누가 독립 교회 지위를 허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는 여전히 논쟁 중에 있다. 아메리카 정교회는 1970년에 러시아 정교회로부터 독립 교회 지위를 부여받았지만, 대다수 총대주교청들은 이를 승인하지 않았다. 반면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은 어머니 교회이자 동등한 가운데 첫 번째 자격으로서 독립 교회 판단 여부는 전적으로 세계 공의회에 달려 있다고 주장한다.
독립 교회보다 한 단계 낮은 위치는 자치 교회이다. 자치 교회의 수석 주교는 자체적인 주교회의에서 선출된 관구 대주교나 수도 대주교이며 선출 후 어머니 교회의 총대주교에 의해 임명되지만, 수석 주교 임명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자치적으로 행동할 수 있다.
3. 1. 현대의 역사적 선례
1833년 그리스 정부는 독립 그리스 내의 정교회를 자율 교회로 일방적으로 선포했으며, 1850년 6월에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이 이를 인정했다.[1]
국민 자결 투쟁 이후, 불가리아 엑자르크가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에서 분리되었고, 불가리아 교회는 1945년에 자율 총대주교청으로 인정받았다.[2]
베를린 회의(1878년)를 통해 세르비아의 정치적 독립이 확립된 후, 베오그라드 대교구의 완전한 교회 독립이 1879년에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에 의해 인정되었다.[3]
1917년 조지아 주교들은 조지아 정교회의 독립을 일방적으로 선포했다. 이는 1943년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1990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이 인정했다.[4][5]
1922년 알바니아 정교회는 알바니아 교회의 자율성을 선포했으며, 1937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가 이를 인정했다.
우크라이나의 독립 선언과 1991년 소련의 해체 직후인 1992년, 키예프 총대주교청의 독립이 선포되었으나,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은 이를 분열주의자로 비난했다. 2018년, 우크라이나의 자율성 문제는 격렬한 쟁점이 되었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이, 그리고 모스크바 총대주교청과 콘스탄티노플 세계 총대주교청 사이의 지정학적 대결의 일부가 되었다.[6][7][8]
4. 독립 교회와 자치 교회
정교회에는 독립 교회 외에 자치 교회라는 교회 조직의 지위가 있다. 자치 교회는 수석 주교를 자체적인 주교회의에서 선출된 관구 대주교나 수도 대주교로 옹립하며, 선출 후 어머니 교회의 총대주교에 의해 임명되지만, 수석 주교 임명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자치적으로 행동할 수 있다.[13] 독립 교회는 모든 면에서 완전히 독립적인 교회인 반면, 자치 교회는 수석 주교 선출 시 어머니 교회의 승인을 받는다는 점에서 독립 교회보다 한 단계 낮은 위치에 있다.
5. 독립 교회 목록
-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세계 총대주교)
- 알렉산드리아 그리스 정교회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 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 예루살렘 그리스 정교회 (예루살렘 총대주교)
- 러시아 정교회 (모스크바 총대주교)
- 세르비아 정교회 (세르비아 총대주교)
- 루마니아 정교회 (루마니아 총대주교)
- 불가리아 정교회 (불가리아 총대주교)
- 조지아 정교회 (조지아 총대주교)
- 키프로스 정교회
- 그리스 정교회
- 폴란드 정교회
- 알바니아 정교회
- 체코슬로바키아 정교회
- 우크라이나 정교회
- ''아메리카 정교회'' (보편적으로 인정받지 못함)
6. 논쟁점
동방 정교회에서 독립 교회 지위 부여 권한은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과 러시아 정교회(모스크바 총대주교청) 간의 주요 논쟁거리이다.[2][3] 러시아 정교회는 어느 교회든 자체적으로 능력이 충분하다면 독립 교회가 될 수 있는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에, 콘스탄티노폴리스는 어머니 교회이자 동등한 가운데 첫 번째 자격으로서 독립 교회 판단 여부는 전적으로 세계 공의회에 달려 있다고 주장한다.
현대사에서 독립 교회 문제는 국가의 자기 결정 및 정치적 독립 문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왔다. 독립 교회 지위의 자율 선포는 일반적으로 오랜 기간의 불인정과 분열로 이어졌으며, 이는 모교회와의 분열이었다.
일례로 아메리카 정교회는 1970년에 러시아 정교회로부터 독립 교회 지위를 부여받았지만, 대다수 총대주교청들에서는 이를 승인하지 않았다.[3] 1917년 3월 25일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가 퇴위하자 조지아의 주교들은 단독으로 조지아 정교회의 독립 교회 지위를 회복했다. 조지아 정교회의 독립 교회 지위는 1990년 이래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을 비롯하여 다른 정교회 지체들의 인정을 받았다.
7. 가톨릭의 독립 교회
가톨릭권에서 독립 가톨릭교회를 가리켜 독립 교회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정교회의 독립 교회와는 지위나 의미가 다른 용어이다.
8. 참고 문헌
- 폴 에이비스 (2016). 《The Vocation of Anglicanism》. 런던: T&T Clark. ISBN 978-0-567-66463-1.
- 에반겔로스 K. 크리소스 (1969). “Zur Entstehung der Institution der autokephalen Erzbistümer”. 《Byzantinische Zeitschrift》 62 (2): 263–286. doi:10.1515/bz-1969-0204.
- 존 H. 에릭슨 (1991). 《The Challenge of Our Past: Studies in Orthodox Canon Law and Church History》. 크레스트우드, 뉴욕: St. Vladimir's Seminary Press. ISBN 978-0-88141-086-0.
- 존 H. 에릭슨 (1999). 《Orthodox Christians in America: A Short History》. 뉴욕: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2010년 출판. ISBN 978-0-19-995132-1.
- 타마라 그젤리제 (2010). “The Orthodox Church of Georgia: Challenges Under Democracy and Freedom (1990–2009)”. 《International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Christian Church》 10 (2–3): 160–175. doi:10.1080/1474225X.2010.487719.
- 타마라 그젤리제 (2012). “The Georgian Tradition”. 아우구스티네 카시데이 (ed.). 《The Orthodox Christian World》. 애빙던, 잉글랜드: 루틀리지. 58–65쪽. ISBN 978-0-415-45516-9.
- 제프리 그로스, 에이먼 맥매너스, 앤 릭스 (1998). 《Introduction to Ecumenism》. 마호와, 뉴저지: Paulist Press. ISBN 978-0-8091-3794-7.
- 루이스 A. 하셀마이어 (1948). 《Lambeth and Unity》. 뉴욕: Morehouse-Gorham Co.
- 키스 히친스 (1994). 《Rumania 1866–1947》. 옥스퍼드: Clarendon Press.
- 시릴 호보룬 (2017). 《Scaffolds of the Church: Towards Poststructural Ecclesiology》. 유진, 오레곤: Wipf and Stock Publishers. ISBN 978-1-5326-0753-0.
- 기오르고스 카라기아네스 (1997). 《Ekklēsia kai kratos, 1833–1997: Historikē episkopēsē tōn scheseōn tousel》. 아테네: To Pontiki. ISBN 978-960-8402-49-2.
- 프레드락 코마티나 (2013). “Date of the Composition of the Notitiae Episcopatuum Ecclesiae Constantinopolitanae nos. 4, 5 and 6”. 《Зборник радова Византолошког института》 50 (1): 195–214.
- 존 로렌스 (1963). “Anglicans and Orthodoxy”. A. H. 암스트롱 & E. J. B. 프라이 (eds.). 《Re-Discovering Eastern Christendom: Essays in Commemoration of Dom Bede Winslow》. 런던: Darton Longman & Todd. 119ff쪽.
- 존 메이엔도르프 (1989). 《Imperial unity and Christian divisions: The Church 450–680 A.D.》. 크레스트우드, 뉴욕: St. Vladimir's Seminary Press. ISBN 9780881410563.
- (2001). “Pentarchy”.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2010년 2월 14일 확인.
- 찰스 베게너 샌더슨 (2005). 《Autocephaly as a Function of Institutional Stability and Organizational Change in the Eastern Orthodox Church》. PhD diss. 메릴랜드 대학교, 컬리지 파크: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 필립 샤프 & 헨리 웨이스 (사제) (eds.) (1900). 《A Select Library of the Nicene and Post-Nicene Fathers of the Christian Church》. Series 2. 14: The Seven Ecumenical Councils. 피보디, 매사추세츠: Hendrickson Publishers. 1995년 출판. ISBN 978-1-56563-130-4.
참조
[1]
간행물
The Claim of Antioch to Ecclesiastical Jurisdiction over Cyprus
https://www.jstor.or[...]
1958
[2]
웹사이트
1970 Letter from Ecumenical Patriarch Athenagoras on Autocephaly
https://orthodoxhist[...]
[3]
웹사이트
The Tomos of Autocephaly: Forty-Six Years Later
https://oca.org/news[...]
Orthodox Church in America
2018-06-16
[4]
뉴스
Автокефалия на волне революции: Грузинское православие в орбите Российской церкви
http://www.ng.ru/ng_[...]
Nezavisimaya Gazeta
2017-03-15
[5]
웹사이트
Αἱ λοιπαί Αὐτοκέφαλοι Ἐκκλησίαι: Ἐκκλησία τῆς Γεωργίας
https://www.patriarc[...]
Ecumenical Patriarchate of Constantinople
2019-01-15
[6]
웹사이트
Ecumenical Patriarch Takes Moscow Down a Peg over Church Relations with Ukraine
https://en.lb.ua/new[...]
Gorshenin Institute
2019-01-15
[7]
간행물
Ecumenical Patriarch Bartholomew: 'As the Mother Church, It Is Reasonable to Desire the Restoration of Unity for the Divided Ecclesiastical Body in Ukraine'
https://www.patriarc[...]
Ecumenical Patriarchate of Constantinople
2019-01-15
[8]
웹사이트
Russian Cyberspies Spent Years Targeting Orthodox Clergy
https://www.bloomber[...]
2019-01-15
[9]
문서
The ROC severed full communion with the Ecumenical Patriarchate in 2018, and later severed full communion with the primates of the Church of Greece, the Patriarchate of Alexandria, and the Church of Cyprus in 2020.
[10]
문서
Autocephaly or autonomy is not universally recognized.
[11]
문서
Semi-autonomous part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whose autonomy is not universally recognized.
[12]
문서
UOC-MP was moved to formally cut ties with the ROC as of May 27th 2022.
[13]
웹사이트
OCA - Q&A - Greek Orthodox and Russian Orthodox
http://oca.org/ques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