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비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비자는 "두 번 태어난다"는 뜻으로, 육체적 탄생과 영적 탄생을 의미하는 힌두교 용어이다. 영적 탄생은 우파나야나 입문식을 통해 사회적 역할을 부여받는 것을 의미하며,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등 상위 세 계급인 드비자에게 교육 및 베다 지식 습득의 기회가 주어졌다. 드비자 제도는 마누 법전 등 중세 인도 텍스트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졌으나, 19세기 이후 여성과 수드라의 교육 기회 확대로 인해 차별적 요소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힌두교 의식 - 호마 (의식)
호마는 3000년 이상 된 종교 의례로, 브라만교의 불을 이용한 제물 봉헌 의식에서 시작하여 불교 밀교, 자이나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전승되었으며, 특히 일본 밀교 종파에서 중심 수행법으로 자리 잡았고, 힌두교와 자이나교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행해지며, 최근에는 정신 수련법으로도 활용된다. - 힌두교 의식 - 사티 (관습)
남편 사망 후 아내가 산 채로 화장되는 힌두교 관습인 사티는 '정숙한 여성'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했으며, 논쟁적인 역사와 사회적 의미를 지니고 현대 인도에서는 불법으로 규정된다. - 힌두교의 성직과 칭호 - 구루
구루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하여 삶의 지혜와 영적 깨달음을 이끄는 존재를 뜻하며, 힌두교에서 신성한 존재로 여겨지지만 불교, 자이나교, 시크교 등 다른 종교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서구에서는 영적 지도자로서 관심이 높아졌으나 비판적 시각도 존재한다. - 힌두교의 성직과 칭호 - 푸자리
역사 기록이 존재하지 않는 지명이 푸자리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드비자 | |
---|---|
어원 | |
의미 | '두 번 태어난 자' |
로마자 표기 | Dvija (드비자) |
종교적 의미 | |
종교 | 힌두교 |
대상 | 우파나야나 의식을 거친 힌두교 남성 |
특징 | |
설명 | 힌두교에서 우파나야나 의식을 통해 영적인 두 번째 탄생을 경험한 남성을 지칭함. |
2. 용어의 기원과 의미
"드비자(Dvija)"는 "두 번 태어난"이라는 뜻으로, 첫 번째는 육체적 탄생, 두 번째는 영적인 탄생을 의미한다.[7] 두 번째 탄생은 우파나야나 입문 의식을 통해 사회적 역할을 수행할 때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브라만은 브라흐마노파데샤(설교, 조언)를 공부하고 브라만의 본질을 배우며, 크샤트리아는 무기를 다루는 법을 배우고, 바이샤는 무역 견습을 시작한다.[7]
"드비자"는 "두 번 태어난다"는 뜻이다. 첫 번째 탄생은 육체적인 탄생인 반면, 두 번째 탄생은 '영적' 탄생이다.[30] 두 번째 '탄생'은 우파나야나 입문식을 통해 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맡게 될 때 일어난다. 예를 들어, 브라만은 학교에 입학하여 궁극적 실체인 브라흐만의 본질에 대해 공부하고 브라마파데샤(설교, 상담)를 추구하게 된다. 전통적으로 크샤트리야는 무기 사용을 배우기 시작하고, 바이샤는 무역 견습을 시작한다.[30]
드비자 개념의 전제는 사람이 가정에서는 부모를 통해 육체적으로 태어나고, 학교에서는 학생이 마음을 형성하고 자아를 실현하도록 돕는 스승(구루쿨)을 통해 영적으로 태어난다는 것이었다.[26][27]
드비자라는 단어와 그에 상응하는 드비자티는 베다, 우파니샤드, 베당가 문헌인 비야카라나, 시크샤, 니룩타, 찬다, 슈라우타수트라, 그리야수트라 등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28] 드비잔만과 같은 단어는 리그베다 1.60장에 등장하지만, 문맥상 인간이 아니라 하늘에서 태어났다가 지상으로 옮겨져 다시 태어나는 '불'을 의미한다.[28]
이 용어는 기원전 2세기 이전의 모든 신학 및 의식 관련 텍스트와 가장 초기의 다르마수트라 텍스트에서 누락되어 있다. 가우타마 다르마수트라에서 처음 등장하지만, 나중에 이해되는 문맥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29]
드비자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한 것은 기원전 2세기에서 3세기 사이에 작성된 마누 법전(166회 언급)에서이다. 기원전 4세기 또는 5세기에 쓰인 야즈나발키야 스므리티에는 이 단어가 40회 언급되는 등 그 빈도수가 적다. 방대한 힌두교 서사시인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에는 드비자라는 단어가 각각 214회와 1535회 언급되어 있다.[28] 패트릭 올리벨(Patrick Olivelle)은 이를 통해 드비자가 베다나 고대 힌두교의 전통이 아니라 서기 1천년기에 등장한 혁신이라고 주장한다.[28] 이 단어는 중세 인도의 텍스트일 가능성이 있음을 식별하는 중요한 학술적 표시이다.[29]
3. 드비자 제도의 성립과 발전
드비자 개념은 사람이 집에서 부모를 통해 육체적으로 태어나고, 학교(구루쿨)의 스승을 통해 정신적으로 다시 태어난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한다.[4][5]
3. 1. 후기 베다 시대의 바르나 제도
기원전 1000년경 - 기원전 600년경 후기 베다 시대의 창조 찬가 "푸루샤 수크타(원인의 노래)"(en)는 4개의 바르나(사회적 신분)가 태어난 유래를 묻고 그 답으로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22]。
:신들이 원인을 잘랐을 때
::몇 개의 부분으로 잘랐는가.
:그 입은 무엇이며, 양팔은 무엇이 되었는가.
::그 양 허벅지는, 그 양 발은 무엇이라고 불리는가.
:그 입은 브라만(사제)이 되었다.
::그 양팔은 라자니야(무인)가 되었다.
:그 양 허벅지에서는 바이샤(농민, 상인)가,
::그 양 발에서는 수드라(노예)가 태어났다.
"바르나"의 본래 뜻은 "색"이며, 상위 계층부터 각각 흰색, 빨강, 노랑, 검정의 4색이었다.
마누 법전에 따르면 브라만은 베다를 배우고 이를 가르치며, 신에게 제사를 드려야 한다. 크샤트리아(라자니야)는 사람들을 보호해야 하며, 역시 베다를 배워야 한다. 바이샤는 소를 기르고, 땅을 경작하고, 상업을 하며, 금전을 다루며, 베다를 배우는 것이 권장된다. 이처럼 위 3개의 바르나는 베다의 제식에 참여할 자격을 부여받았으며, 8세부터 12세에 걸친 남자들이 그 계급의 일원이 되었음을 나타내는 성스러운 끈을 거는 의식에 참여한다. 이로써 그들은 어린 시절을 마치고 힌두교의 사주기에서의 "학생기"(브라흐마차르야)에 들어간다고 한다. 끈을 거는 이 입문식은 우파나야나라고 불리며, 힌두교도들에게는 두 번째 탄생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이 의식을 받을 수 있는 세 개의 바르나는 재생족(드비자)이라고 불리지만, 받는 것을 허락받지 못하는 수드라 계급은 한 번만 태어난다는 의미로 일생족(에카자)이라고 칭한다[23]。
3. 2. 마누 법전과 드비자
드비자라는 단어와 그에 상응하는 드비자티는 베다, 우파니샤드, 비야카라나, 시크샤, 니룩타, 찬다, 슈라우타수트라, 그리야수트라 등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28] 드비잔만과 같은 단어는 리그베다 1.60장에 등장하지만, 문맥상 인간이 아니라 하늘에서 태어났다가 지상으로 옮겨져 다시 태어나는 '불'을 의미한다.[28]
이 용어는 기원전 2세기 이전의 모든 신학 및 의식 관련 텍스트와 가장 초기의 다르마수트라 텍스트에서 누락되어 있다. 가우타마 다르마수트라에서 처음 등장하지만, 나중에 이해되는 문맥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29]
드비자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한 것은 기원전 2세기에서 3세기 사이에 작성된 마누 법전(166회 언급)에서이다. 기원전 4세기 또는 5세기에 쓰인 야즈나발키야 스므리티에는 이 단어가 40회 언급되는 등 그 빈도수가 적다. 방대한 힌두교 서사시인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에는 드비자라는 단어가 각각 214회와 1535회 언급되어 있다.[28] 패트릭 올리벨(Patrick Olivelle)은 이를 통해 드비자가 베다나 고대 힌두교의 전통이 아니라 서기 1천년기에 등장한 혁신이라고 주장한다.[28] 이 단어는 중세 인도의 텍스트일 가능성이 있음을 식별하는 중요한 학술적 표시이다.[29]
마누 법전에 따르면 브라만, 크샤트리아(라자니야), 바이샤는 베다의 제식에 참여할 자격이 주어지며, 8세에서 12세 사이의 남자아이들은 우파나야나라는 입문식을 통해 성스러운 끈을 걸고 힌두교의 사주기에서 "학생기"(브라흐마차르야)에 들어간다. 이 입문식은 두 번째 탄생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이 의식을 받을 수 있는 세 개의 바르나는 재생족(드비자)이라고 불린다. 반면, 수드라 계급은 이 의식을 받을 수 없어 일생족(에카자)이라고 불린다.[23]
4. 드비자와 관련된 논쟁
중세 인도 문헌에서 드비자는 브라만, 크샤트리야, 바이샤의 세 바르나에 속하는 사람을 가리킨다.[30] 그러나 아스발라야나수트라에서는 드비자가 아닌 어린이도 이들 바르나와 관련된 의무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드비자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고 명시한다.[30]
드비자 입문식 (우파나야나)은 남성에게 신성한 실을 부여하며, 이 실은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엉덩이로 걸쳐 착용한다. 중세 문헌에서는 브라만, 크샤트리야, 바이샤가 교육을 시작하기 전에 이 의식을 받도록 권장했다. 반면 수드라는 드비자 의식과 정규 교육을 받을 자격이 없는 것으로 간주되었다.[31]
하지만 일부 산스크리트어 텍스트는 다른 견해를 제시한다. 마하바라타에서는 절제되고 순수한 행동을 하는 수드라는 드비자와 같으며, 수드라가 베다 지식을 소유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31]
4. 1. 드비자 제도에 대한 비판
드비자 제도에 대한 비판은 다양한 관점에서 제기되어 왔다.- 이론과 현실의 괴리: 로밀라 타파르 등 일부 학자들은 드비자 제한이 실제로는 이론적인 것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가족이나 길드를 통해 실용적인 기술을 배웠고,[34] 고대 및 중세 인도에는 수드라를 포함한 모든 계층이 기술을 배우는 장인 학교가 존재하여 정교한 예술품과 대형 사원을 건설했기 때문이다.[35][36][37]
- 교육의 보편성: 스텔라 크램리쉬, 리즈 맥킨 등은 구루 전통과 교육 기회가 고대 및 중세 사회의 모든 계층에게 열려 있었다고 주장한다.[38][39][40] 특히, 기원전 1세기 중반 힌두교 바크티 운동은 여성과 모든 바르나 구성원을 구루로 포함하며 교육 범위를 넓혔다.[42][43][44]
- 힌두교 문헌의 상반된 견해: 힌두교 문헌들은 구루와 교육 접근에 대해 상반된 견해를 제시한다.[32][33] 베다와 우파니샤드는 성별이나 바르나에 따른 제한을 언급하지 않고 개인의 노력과 성실함을 강조하지만,[32] 일부 다르마수트라나 다르마샤스트라는 모든 바르나가 모든 지식 분야에 해당한다고 말하는 반면, 마누 법전은 베다 공부가 세 드비자 바르나 남성에게만 가능하다고 명시한다.[32]
- 여성의 교육 참여: 19세기 이후 여성들이 산스크리트어와 베다 과목을 배우고, 베다 구절을 암송하며, 브라만교 의식 전문가로 활동하는 등 드비자 개념에 대한 의문이 커졌다.
4. 2. 현대 사회에서의 드비자
19세기 이후 드비자 개념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여성들은 특히 인도의 고등 교육 기관에서 산스크리트어와 베다 과목을 수강하고, 베다 구절을 외우며, 심지어 브라만교 의식 전문가로 봉사하기도 했다.힌두교 문헌은 구루와 교육에 대한 접근이 남성과 특정 바르나(사회 계급 또는 카스트)로 제한되었는지에 대한 상반된 견해를 제시한다.[32][33] 베다와 우파니샤드에서는 성별이나 바르나에 따른 제한을 결코 언급하지 않는다.[32] 우파니샤드는 사람의 출생이 영적 지식에 대한 적격성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사람의 노력과 성실함을 결정한다고 주장한다.[33] 파라스카라 그랴수트라, 고타마 스므리티, 야즈나발카 스므리티와 같은 일부 다르마수트라나 다르마샤스트라는 네 가지 바르나 모두 모든 지식 분야에 해당한다고 말하지만, 마누 법전의 구절은 베다 공부는 세 가지 바르나의 남성에게만 가능하고 수드라와 여성은 할 수 없다고 명시하고 있다.[32]
로밀라 타파르는 브라만 학문의 중심지는 모든 드비자 카스트에 개방되어 있었으며, "주로 브라만 학생들을 끌어들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한다.[34] 대부분의 학생이 가족이나 길드에서 도제식 교육을 통해 경제적으로 유용한 기술을 익혔기 때문에 드비자 제한은 이론적인 것일 수 있다.[34] 다른 학자들도 드비자 개념을 이론으로 취급하는데, 실제로 고대 및 중세 인도에는 수드라를 포함한 모든 사회 계층이 기술을 배우는 장인 학교가 있었고, 이 장인들과 노동자들이 정교한 예술품과 제품, 대형 사원을 건설했기 때문이다.[35][36][37]
실제로 스텔라 크램리쉬와 기타 학자들은 구루의 전통과 교육의 가용성이 고대 및 중세 사회의 모든 부문으로 확대되었다고 주장한다.[38][39][40] 리즈 맥킨은 구루 개념이 다양한 계급과 카스트 배경에 걸쳐 널리 퍼져 있으며, 구루가 영입하는 제자들은 성별과 다양한 계급과 카스트에서 온다고 설명한다.[41] 기원전 1세기 중반에 시작된 힌두교의 바크티 운동 당시 구루에는 여성과 모든 바르나의 구성원이 포함되어 있었다.[42][43][44]
참조
[1]
웹사이트
Dvija
http://www.britannic[...]
2014
[2]
서적
Social and Cultural History of Ancient India
https://books.google[...]
Concept
[3]
서적
Aux abords de la clairière: études indiennes et comparées en l'honneur de Charles Malamoud
https://books.google[...]
Brepols, Belgium
[4]
서적
Ancient Indian Education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5]
간행물
The Guru in Hindu Tradition
https://www.jstor.or[...]
[6]
서적
Aux abords de la clairière: études indiennes et comparées en l'honneur de Charles Malamoud
https://books.google[...]
Brepols, Belgium
[7]
서적
Authority and Meaning in Indian Religions: Hinduism and the Case of Vālmīki
https://archive.org/[...]
Ashgate Publishing, Ltd.
2013-02-22
[8]
서적
A Brief History of Dharmaśāstra
https://books.google[...]
Abhinav
[9]
서적
Vedic Hermeneutics
Motilal Banarsidass
[10]
서적
Classical Hindu Thought: An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1]
서적
Ancient Indian Social History: Some Interpretations
https://books.google[...]
Orient Blackswan
2013-02-22
[12]
간행물
Traditions of the Indian Craftsman
[13]
간행물
Artistic practice and education in India: A historical overview
[14]
간행물
Silpis in Ancient India: Beyond their Ascribed Locus in Ancient Society
https://www.jstor.or[...]
[15]
서적
Exploring India's Sacred Art
Motilal Banarsidass
[16]
서적
Education in Ancient India: Handbook of Oriental Studies
Brill Academic
[17]
서적
Ancient Indian Education: Brahmanical and Buddhist
Motilal Banarsidass
[18]
서적
Divine Enterprise: Gurus and the Hindu Nationalist Movemen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
서적
A Storm of Songs: India and the Idea of the Bhakti Move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20]
서적
Sainthood: Its Manifestations in World Religion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1]
서적
The Language of the Gods in the World of Me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2]
문서
シュルバーグ(1973)p.39-40
[23]
문서
シャンカラ著、前田専学訳『ウパデーシャ・サーハスリー』(1988)p.273訳注
[24]
웹사이트
Dvija
http://www.britannic[...]
2014
[25]
서적
Social and Cultural History of Ancient India
https://books.google[...]
Concept
[26]
서적
Ancient Indian Education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27]
간행물
The Guru in Hindu Tradition
https://www.jstor.or[...]
[28]
서적
Aux abords de la clairière: études indiennes et comparées en l'honneur de Charles Malamoud
https://books.google[...]
Brepols, Belgium
[29]
서적
Aux abords de la clairière: études indiennes et comparées en l'honneur de Charles Malamoud
https://books.google[...]
Brepols, Belgium
[30]
서적
Authority and Meaning in Indian Religions: Hinduism and the Case of Vālmīki
https://archive.org/[...]
Ashgate Publishing, Ltd.
2013-02-22
[31]
서적
A Brief History of Dharmaśāstra
https://books.google[...]
Abhinav
[32]
서적
Vedic Hermeneutics
Motilal Banarsidass
[33]
서적
Classical Hindu Thought: An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34]
서적
Ancient Indian Social History: Some Interpretations
https://books.google[...]
Orient Blackswan
2013-02-22
[35]
간행물
Traditions of the Indian Craftsman
[36]
논문
Artistic practice and education in India: A historical overview
1987
[37]
논문
Silpis in Ancient India: Beyond their Ascribed Locus in Ancient Society
https://www.jstor.or[...]
2011
[38]
서적
Exploring India's Sacred Art
Motilal Banarsidass
1994
[39]
서적
Education in Ancient India: Handbook of Oriental Studies
Brill Academic
2007
[40]
서적
Ancient Indian Education: Brahmanical and Buddhist
Motilal Banarsidass
2011
[41]
서적
Divine Enterprise: Gurus and the Hindu Nationalist Movemen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6
[42]
서적
A Storm of Songs: India and the Idea of the Bhakti Move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2015
[43]
서적
Sainthood: Its Manifestations in World Religion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0
[44]
서적
The Language of the Gods in the World of Me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