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드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드라는 힌두교의 카스트 제도인 바르나의 네 번째 계급으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사회적 지위와 역할을 가졌다. 베다 시대의 문헌에서는 수드라의 기원을 설명하며, 초기 사회에서는 엄격한 카스트 구분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주장도 있다. 고대 경전인 아르타샤스트라에서는 수드라를 노예로 묘사하지 않았고, 마누법전에서는 수드라에 대한 차별적인 규정이 나타난다. 수드라는 농민, 장인 등의 직업에 종사했으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다. 현대 사회에서 수드라는 차별의 대상이 되기도 하며, 인도 사회의 고질적인 문제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힌두교의 바르나 - 바이샤
    바이샤는 인도의 바르나 제도에서 세 번째 계급으로, 농업, 목축, 상업에 종사하는 평민에서 유래하여 주로 상인 계급을 가리키며, 드비자에 속해 베다 학습과 제식 참여 자격을 가지고, 인도 문화 확산에 기여했으며, 자이나교와 불교의 영향으로 채식주의를 실천하고 경제적으로 부유한 경우가 많다.
  • 힌두교의 바르나 - 바르나 (힌두교)
    바르나는 힌두교의 사회 계급 제도로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의 네 계급으로 구성되며, 각 계급의 역할과 의무를 규정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의 틀을 제공했으나, 시간이 지나며 차별과 불평등을 야기하여 현대에는 사회적 차별과 불평등 문제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힌두교에 관한 - 브라만
    브라만은 고대 인도 카스트 제도에서 최상위 계급으로, 종교적 권위와 사회적 지위를 갖는 사제 계급이었으나, 현대에는 사회적 지위와 역할이 변화하고 있으며 인도 인구의 약 5%를 차지하고 동남아시아 등에도 영향을 미쳤다.
  • 힌두교에 관한 - 바르나 (힌두교)
    바르나는 힌두교의 사회 계급 제도로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의 네 계급으로 구성되며, 각 계급의 역할과 의무를 규정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의 틀을 제공했으나, 시간이 지나며 차별과 불평등을 야기하여 현대에는 사회적 차별과 불평등 문제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수드라
구글 지도
기본 정보
유형바르나 (계급)
사회적 역할하위 계층
관련 종교힌두교
역사적 맥락
기원고대 인도 사회
베다 시대사회적 계층으로 등장
역할 변화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동
주요 책임다른 세 계층을 섬기는 역할
사회적 지위
계층 위치가장 낮은 계층
의무노동, 서비스 제공
제한교육, 종교적 의식 참여 제한
경제적 활동농업, 수공예, 노동
권리 제약사회적 권리, 정치적 권리 제약
현대 사회의 영향
차별현대 사회에서도 차별 존재
사회 운동차별 철폐 노력
법적 변화일부 차별 철폐 법안 제정
사회 인식사회 인식 개선 노력
관련 개념
바르나힌두교 사회 계층 시스템
자티하위 카스트 그룹
불가촉천민하위 계층에서 가장 낮은 계층
카스트 제도사회적 계층 시스템
다르마사회적 의무
슈드라의 로마자 표기법 및 기타 표기
로마자 표기법Śūdra
산스크리트어शूद्र

2. 역사

인도에서 수드라는 역사적으로 베다의례 제식에서 배제되는 등 여러 차별을 받아왔다.[40] 다른 종교에서 힌두교로 개종하면 개종자는 자동적으로 이 카스트에 속하게 된다.

브라만교 경전인 『리그베다』의 "원인의 노래"에서는 브라만은 창조주 브라마의 에서, 크샤트리아는 에서, 바이샤다리에서, 수드라는 에서 태어났다고 설명하지만, 이 부분은 후대에 추가된 것으로 보인다.[41]

수드라는 직업의 자유가 박탈되어 사람들이 꺼리는 직업에만 종사할 수 있었다.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상위 3계급을 섬기는 것이 주된 일이며, 인도 사회에서 고역을 도맡아 하는 계급으로 여겨졌다. 상위 3계급은 "드비자"(재생족)로 불린 반면, 수드라는 단순히 어머니에게서 태어난 "에카자"(일생족)로 여겨져 베다를 배우는 것이 허락되지 않았다. 힌두교 경전 『마누법전』에는 "베다를 낭송하는 소리를 수드라가 감히 들었다면, 녹아내린 을 귀에 붓는 벌을 내려야 한다"라고 적혀 있다. 이 카스트에서 태어난 아이는 자동적으로 수드라가 되어 차별을 받았다. 시대가 변하면서 바이샤와 수드라 두 바르나와 직업의 관계에 변화가 생겨 바이샤는 상인을, 수드라는 농업과 수공업 등 생산에 종사하는 광범위한 대중을 가리키게 되었다.[41]

실제 인도 사회에서 수드라는 "바르나 비야바스타"라는 바르나의 틀 안에 있어, 힌두 사회에서는 인간으로 취급받았다.[41] 이 틀에조차 들어갈 수 없고, 보는 것만으로도, 만지는 것만으로도 더럽다고 여겨져 인간 이하의 취급을 받는 사람들은 불가촉천민(달리트, 아스프리샤)이라 불리는 아웃카스트였다.

시간이 지나면서 수드라에 대한 차별은 완화되었지만, 불가촉천민에 대한 차별은 오히려 심해져 현대까지 인도 사회의 고질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41]

2. 1. 베다 시대

śūdrasa라는 용어는 리그베다에 단 한 번 등장한다.[3] 이 언급은 푸루샤 숙타에 나오는 창조 이야기에서 나타나는데, 원시 인간(Purusha)의 몸에서 네 가지 바르나가 형성되는 과정을 묘사한다. 브라만은 입, 크샤트리아는 팔, 바이샤는 허벅지, 슈드라는 발에서 나왔다고 설명한다.[3] 역사학자 람 샤란 샤르마(Ram Sharan Sharma)는 이 구절이 슈드라가 다른 바르나와 같은 혈통을 가졌음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었을 수 있다고 설명한다.[3]

리그베다는 기원전 1500년경에서 1200년경 사이에 편찬되었을 가능성이 높지만,[5] 푸루샤 숙타의 구절은 현재 일반적으로 나중에 베다 경전에 삽입된 것으로 간주된다.[5]

스테파니 W. 제이미슨(Stephanie W. Jamison)과 조엘 브레레톤(Joel Brereton)에 따르면, 리그베다에는 정교하고 세분화된 카스트 제도에 대한 증거가 없으며, 바르나 제도는 초기 단계에 있었다고 한다.[5] 역사학자 람 샤란 샤르마는 리그베다 사회는 주로 친족, 부족 및 혈통을 기반으로 조직되었다고 말한다.[3]

샤르마에 따르면, 리그베다 또는 아타르바베다 어디에도 슈드라와 상위 바르나 사이의 음식과 결혼에 대한 제한에 대한 증거는 없다.[3]

2. 2. 아르타샤스트라

고대 힌두교 경전인 《아르타샤스트라》는 샤르마(Sharma)의 주장에 따르면 아리아인(Aryas)은 자유민이었으며 어떠한 상황에서도 노예가 될 수 없었다고 명시하고 있다.[1] 이 경전은 아리아인과 수드라를 대조적으로 제시하지만, 수드라를 후대에 해석된 것처럼 세습적인 노예나 경제적으로 폐쇄적인 사회 계층으로 묘사하지는 않는다.[2][3][4] 랑가라잔(Rangarajan)에 따르면, 《아르타샤스트라》의 노동과 고용에 관한 법률은 여러 번역가와 주석가들 사이에서 다양한 해석을 낳았으며,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견해는 당시 그리스에서 행해졌던 형태의 노예 제도는 카우틸리아 시대 인도에는 존재하지 않았다는 것이다".[5]

카우틸리아는 수드라를 포함한 모든 계층이 전사로 참여할 권리를 주장했다. 로저 보슈(Roger Borsche)는 이는 통치자의 자기 이익 때문인데, "국민이 공정하게 대우받았기 때문에 국민으로 구성된 군대가 그에게 충성심을 갖는 것이 바로 통치자의 자기 이익"이기 때문이라고 말한다.[6]

2. 3. 마누법전

『마누법전』은 주로 브라만과 크샤트리아의 행동 규범을 다루며, 수드라에 대한 언급은 제한적이다.[8] 본문에는 수드라와 바이샤에 대한 언급도 있지만, 이 부분은 가장 짧은 단락이다. 『마누법전』의 여러 구절은 바이샤를 위한 여덟 가지 규칙과 수드라를 위한 두 가지 규칙을 명시한다.[9]

『마누법전』은 수드라는 아무것도 소유하지 않기 때문에 브라만이 수드라의 재산을 몰수할 수 있다고 말한다. 수드라는 부유해지면 브라만을 괴롭힐 수 있으므로 부를 축적해서는 안 된다.

마누는 사제와 그들의 의식을 무시하여 수드라의 신분으로 전락한 크샤트리아 부족들을 다음과 같이 열거한다. 푼드라카(Pundrakas), 코다(Codas), 드라비다(Dravidas), 캄보자(Kambojas), 야바나(Yavana), 샤카(Saka), 파라다(Paradas), 파흘라바(Pahlavas), 키나(Chinas), 키라타(Kirata), 다라다(Daradas), 그리고 카사(Khasas).[10][11]

2. 4. 야즈냐발크야 스므리티와 그르햐수트라

로리 L. 패튼 교수에 따르면, 초기 인도 경전에서 수드라의 권리와 지위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40] Laurie Patton|로리 패튼영어베다를 듣거나 배우는 것을 금지하는 Apastamba Grhysutra|아파스탐바 그르햐수트라영어[40]와 달리, Yajnavalkya Smriti|야즈냐발크야 스미티sa는 수드라 학생들을 언급하며, 마하바라타는 수드라를 포함한 네 가지 바르나(varnas|바르나sa) 모두가 베다를 들을 수 있다고 말한다고 하였다.[40][41] 다른 힌두 경전들은 더 나아가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세 바르나가 수드라 스승으로부터 지식을 얻을 수 있으며, yajna|야즈냐sa 제사는 수드라가 집행할 수 있다고 명시한다.[41] 수드라의 이러한 권리와 사회적 이동성은 사회적 스트레스가 낮고 경제적 번영이 커진 시대, 즉 여성의 사회적 조건이 개선된 시대에 나타났을 가능성이 있다.[40][41]

2. 5. 중세 우파니샤드

바즈라수치 우파니샤드는 중세 시대 텍스트로 바르나를 논하며 수드라라는 용어를 포함하고 있다.[12][13] 윌프리드 로리에 대학교 철학과 교수 아슈와니 피투슈에 따르면, 바즈라수치 우파니샤드는 어떤 사회적 배경을 가진 사람이라도 최고의 영적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하고 주장하기 때문에 중요한 텍스트라고 한다.[14]

2. 6. 비힌두교 경전

패튼(Patton)에 따르면 불교 경전은 "베다, 문법, 미맘사(Mimamsa), 삼크야(Samkhya), 바이셰시카(Vaisheshika), 그리고 락샤나(lagna)를 아는 수드라들"을 언급한다.

초기 불교와 힌두교를 전문으로 하는 인도학 교수인 요하네스 브롱크호르스트(Johannes Bronkhost)에 따르면, 고대 불교 경전은 주로 바르나(Varna)에 대한 논의가 없으며, 고대 담론에서 바르나는 거의 언급되지 않는다. 불교 경전은 인도 사회를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의 네 가지 바르나로 나뉜다고 묘사하지 않는다. 브롱크호르스트는 사회 대다수가 내부 구분 없이 "가정주(Householders)" (팔리어: ''gahapati'')로 구성되어 있다고 말한다. 그러한 맥락에서 브라만이 언급되는 경우에도, 그들은 가정주 또는 ''Brāhmaṇa-gahapati''로 언급된다. ''vaṇṇa''라는 용어는 불교 경전에 몇몇 예외적인 경우로 등장하지만, 브롱크호르스트는 사회의 추상적인 분할 맥락에서만 등장하며, "실제 관행과는 전혀 평행하지 않은 이론적 개념으로 남아 있는 것 같다"고 말한다.

3. 교육

다르마샤스트라는 수드라의 문자 해독 능력을 허용하지 않았지만, 코끼리 조련과 같은 예술 및 기술 교육은 허용했다.[15][16][17][18] 이 문헌은 수드라에게 농업을 방해한다는 이유로 베다 교육을 거부했다.[15][16][17][18] 다른 바르나들은 다양한 수준의 문해력을 보였지만, 수드라는 일반적으로 문맹이었다. 사회 개혁가 조티라오 풀레는 수드라의 쇠퇴를 문맹 탓으로 돌리고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15][16][17][18] 그는 "교육이 부족하여 지능이 저하되었고, 지능이 부족하여 도덕성이 타락했으며, 도덕성이 부족하여 발전이 멈추었고, 발전이 부족하여 부가 사라졌으며, 부가 부족하여 수드라가 멸망했고, 이 모든 고통은 문맹에서 비롯되었다."라고 말했다.[18]

4. 직업

전통적으로 수드라는 농민장인이었다. 고대 경전은 수드라를 농민으로 지칭하며, 곡식을 제공하는 자로 묘사한다. 수드라의 생계 수단은 "낫과 곡식 이삭"으로 묘사된다.[19][20][21][22][23][24][25][26] 7세기 중국 여행자 현장의 기록에 따르면, 농민은 수드라로 여겨졌으며, "불가촉천민"이 농업에 종사하면 수드라 바르나에 흡수되었다.

수드라는 베다를 배울 필요가 없었고, ''드비자'' 즉 "두 번 태어난 자"가 아니었다. 그들의 직업은 다른 세 바르나에게 봉사하는 것이었다.[27]

『아르타샤스트라』는 수드라를 장인으로 언급하는 반면, 『비슈누 스므리티』(3세기)는 모든 예술을 그들의 직업 영역으로 명시한다. 반대로, 『파라샤라 스므리티』 등은 예술과 수공업이 네 가지 바르나 모두의 직업 영역이라고 명시한다.[31]

『마하바라타』와 『라마야나』에서는 수드라가 왕이나 장관과 같은 역할을 했다고 기록되어 있다.[32]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수드라는 사원 승려 역할을 주로 수행했다.[33]

5. 역사적 증거

학자들은 중세 인도의 문서와 비문에서 '바르나'와 '자티'의 존재와 본질에 대한 역사적 증거를 찾으려고 노력해 왔습니다. 중세 인도에서 '바르나'와 '자티' 계급 제도의 존재를 뒷받침하는 증거는 찾기 어려웠으며, 오히려 모순되는 증거들이 나타났습니다.[34][35]

예를 들어, 광범위한 중세 시대의 안드라프라데시 기록에는 '바르나'가 거의 언급되지 않습니다. 이는 역사학자이자 아시아 연구 교수인 신시아 탈봇이 이 지역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 '바르나'가 사회적으로 중요했는지 의문을 제기하게 만든 요인입니다. '자티'의 언급은 13세기까지 더욱 드뭅니다. 14세기 무사 계급의 희귀한 사원 기증 기록 두 건에는 자신들이 수드라라고 주장하는 내용이 있습니다. 한 기록은 수드라가 가장 용감하다고 말하고, 다른 기록은 수드라가 가장 순수하다고 말합니다.[34]

역사학 교수인 리처드 이튼은 다음과 같이 기술합니다. "사회적 기원에 관계없이 누구든지 무사가 될 수 있었으며, '자티'는 사람들의 정체성의 특징으로 나타나지 않습니다. 직업은 유동적이었습니다." 이튼에 따르면, 증거는 수드라가 귀족의 일부였으며, 많은 "아버지와 아들이 다른 직업을 가졌다는 것은 사회적 지위가 상속된 것이 아니라 획득된 것이었음을 시사합니다." 이는 11세기부터 14세기까지의 데칸 지역의 힌두교 카카티야 인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36]

요하네스 브롱크호르스트에 따르면, 아소카의 비문 중 어느 것에도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라는 용어가 언급되지 않으며, 브라만과 샤라만나만 언급되어 있습니다.[37]

중세 시대의 여러 유명한 바크티 운동 시인, 성자와 종교 지도자들은 수드라 가정에서 태어났습니다. 예를 들어 투카람과 남데브가 있습니다.[34] 남데브의 작품은 마하라슈트라의 힌두교 공동체뿐만 아니라 시크교 공동체에서도 인기를 얻었습니다. 그의 작품 60편은 펀자브 지역의 시크교 구루들이 시크교 경전인 ''구루 그란트 사히브''를 편찬할 때 포함되었습니다.[35][36]

6. 현대 사회와 수드라

현대에 들어 수드라에 대한 차별은 과거보다 완화되었지만, 불가촉천민(달리트)에 대한 차별은 여전히 심각하여 인도 사회의 고질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41]

7. 수드라에 속하는 자티

다음은 수드라에 속하는 자티들이다.[1]


  • 다사 (दास|Dāsasa)
  • 카틱(khatik)
  • 파라얀(parayans)
  • 말라 (मल्लाह|mallahsan)


도둑에서 정치가로 변신한 푸란 데비는 수드라 계급 출신의 여성으로, 작은 배를 조종하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말라 자티에서 태어났다.[1]

참조

[1] 웹사이트 Sudra https://www.encyclop[...]
[2] 서적 Buddhist Precept & Practi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3] 서적 Material culture and social formations in ancient India https://books.google[...] Macmillan
[4] 서적 Original Sanskrit Texts on the Origin and History of the People of India: Their Religion and Institutions, Volume 1 https://books.google[...] Trubner and Co 1868-01-01
[5] 서적 A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6] 서적 The Early Upanishads: Annotated Text and Transla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The Early Upanishads: Annotated Text and Transla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8] 서적
[9] 서적
[10] 서적 Aryan and Non-Aryan in Ind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2018-06-24
[11] 서적 Pre-Historic Nations https://books.google[...] Sagwan Press 2018-06-25
[12] 서적 The banyan tree: essays on early literature in new Indo-Aryan languages, Volume 2 Manohar Publishers
[13] 간행물 Review Articles: Perspectives on Dalit Problems and Solutions http://gateway.isec.[...] 2018-05-01 #dead link date
[14] 서적 Justice and Religion: Hinduism Springer Netherlands
[15] 서적
[16] 서적 Religious Liberty and the Law: Theistic and Non-Theistic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7-07-20
[17] 서적 Encyclopaedia of Indian Education: A-K https://books.google[...] NCERT
[18] 서적 The Wiley-Blackwell Companion to Religion and Social Justic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2-03-12
[19] 서적 Aghor Medicine: Pollution, Death, and Healing in Northern Ind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8-03-04
[20] 서적 Peasantry in India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21] 서적 The Congress Party in Rajasthan: Political Integration and Institution-building in an Indian Stat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2] 서적
[23] 서적 Society and Religion: From Rugveda to Puranas https://books.google[...] Popular Prakashan 1996-10-01
[24] 서적 Changing role of the caste system: a critique https://books.google[...] Rawat Publications 2005-01-01
[25] 서적 The State and Society in Medieval Ind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6] 서적 Early India: A Concise History https://books.google[...] Manohar Publishers & Distributors 2004-01-01
[27] 서적 Rank and Rivalry: The Politics of Inequality in Rural West Bengal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서적 Aux abords de la clairière: études indiennes et comparées en l'honneur de Charles Malamoud https://books.google[...] Brepols, Belgium
[29] 서적 Companion encyclopedia of anthropology Routledge
[30] 서적 Kingship and Community in Early Indi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31] 서적 Exploring India'S Sacred Art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32] 서적 Historiography and Writing Postcolonial In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33] 서적 Bali: Temple Festival American Ethnological Society,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34] 서적 A Social History of the Deccan, 1300–1761: Eight Indian Liv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서적 The Bhagats of the Guru Granth Sahib: Sikh Self-definition and the Bhagat Bani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6] 서적 Sikh Art and Litera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37] 서적 Women of all nations, a record of their characteristics, habits, manners, customs and influence https://archive.org/[...]
[38] 서적 Who were the Shudras http://164.100.47.13[...] Thackers 2014-08-17
[39] 서적 Ritual, Caste, and Religion in Colonial South India Primus Books
[40] 논문
[41] 웹사이트 인도의 프로필 제4회: 카스트제와 불가촉천 http://www.sagami-wu[...]
[42] 웹인용 Sudra https://www.encyclop[...]
[43] 서적 Buddhist Precept & Practice Routledge
[44] 서적 Historiography and Writing Postcolonial In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