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다크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다크어는 '보티' 또는 '보디'라고도 불리며, 라다크 지역을 포함한 히말라야 산맥 일대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라다크어를 '보티'로 지칭하는 이들은 티베트어족 언어의 통일성을 강조하며, 인도 헌법 제8차 부록에 포함되기를 요구해 왔다. 하지만, 인도 중앙 언어 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레 지역에서는 '보티'라는 명칭이 널리 사용되지 않는다. 라다크어는 라다크, 장스카르, 누브라 등 다양한 방언을 가지고 있으며,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일상 회화에서는 '줄레'와 같은 다양한 인사말과 표현이 사용되며, 1부터 20까지의 수사를 포함한 고유한 어휘 체계를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티베트의 언어 - 셰르파어
셰르파어는 티베트버마어족 티베트어파에 속하며 성조 언어이고, SOV 어순을 따르며 5개의 방언이 존재한다. - 티베트의 언어 - 중앙 티베트어
중앙 티베트어는 티베트어군의 방언으로, 라싸 방언을 포함한 여러 방언이 존재하며, 암도 티베트어와 70%, 캄 티베트어와 80%의 어휘 유사성을 보이고, 자음 및 모음 체계는 다양한 표기법으로 표기된다. -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파
중국어파는 중국어 및 그 방언들을 묶어 부르는 말로, 중국티베트어족의 주요 어군이며, 현대 언어학에서는 의사소통이 어려울 정도로 차이가 큰 여러 방언들을 별개의 어군으로 분류한다. - 중국티베트어족 - 발티어
발티어는 파키스탄 길기트발티스탄과 인도 카르길 및 라다크 지역에서 사용되는 시노티베트어족 언어로, 네 가지 상호 이해 가능한 방언으로 나뉘며 페르시아-아랍 문자를 주로 사용하고 풍부한 음운 체계를 가지나, 우르두어와 영어의 영향 및 정치적·종교적 요인으로 인해 언어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인도의 언어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인도의 언어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라다크어 | |
---|---|
언어 정보 | |
![]() | |
이름 | 라다크어 |
로마자 표기 | Ladakeueo |
고유 이름 | ལ་དྭགས་སྐད , لداخی زبان |
원어 이름 | La-dwags skad |
사용 국가 | 인도, 네팔, 중국, 파키스탄 |
사용 지역 | 라다크 |
사용자 | 라다크인 |
사용자 수 | 110,826 (2011년 인구 조사) |
언어 계통 | 중국티베트어족 |
언어 계통2 | 티베트-카나우리어족(?) |
언어 계통3 | 보드어 |
언어 계통4 | 티베트어파 |
언어 계통5 | 라다크-발트어 |
문자 | 티베트 문자 (인도 및 중국에서 공식), 페르시아-아랍 문자 (파키스탄의 무슬림) |
언어 코드(ISO 639-3) | lbj |
언어 활력 | 취약 |
Glottolog | kenh1234 |
Glottolog 참조 | Kenhatic |
방언 | |
방언 | 장카르어 |
기타 정보 | |
위치 지도 | 라다크어는 [[유네스코 소멸 위기 언어 지도책에 취약한 언어로 분류됨]] |
추가 정보 | 대부분의 사용자는 Changtang 지역에 거주함. |
2. 명칭
라다크어(ལ་དྭགས་སྐད་|La-dwags skadbo)는 '''보티''' 또는 '''보디'''라고도 불린다.[2][3] 보티 명칭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언어에 대한 뭉치론적 관점을 가지고 있다. 즉, 그들은 "보티"라는 용어를 고전 티베트어를 지칭하는 데 사용하며 히말라야 전역의 티베트어족 언어의 유일하고 적절한 형태로 간주한다.[4] 라다크 사회의 이 부분은 보티를 인도 헌법 제8차 부록에 포함시켜 줄 것을 요구해 왔다. 그들은 보티가 라다크인, 발티인, 티베트인, 그리고 발티스탄에서 아루나찰 프라데시에 이르기까지 히말라야 산맥 전역에서 사용된다고 말한다.[5][6]
Nicolas Tournadre영어는 발티어와 푸르기를 상호 의사소통성을 기준으로 라다크어와 서로 다른 언어라고 주장하며, 장카르어는 라다크어의 방언으로 본다.[8] 니콜라스 투르나드르는 라다크어, 발티, 푸르기를 상호 이해도를 기준으로 별개의 언어로 간주하며, 이들을 묶어 '''라다크-발티''' 또는 '''서부 고대 티베트어'''라고 한다.[8]
라다크어에는 여러 방언이 존재한다.[1] 레(Leh)를 중심으로 한 레스카트, 샴 지역의 샴스카트, 인더스 계곡 상부의 스토츠카트, 누브라 지역의 누브라스카트, 창탕 지역의 창탕어, 잰스카르 지역의 장스카리어 등이 있다. 스토츠카트는 다른 방언과 달리 성조 언어이다.
인도 내 다른 티베트어 사용 집단은 이러한 분류에 동의하지 않고, 대신 법적 인정을 위해 자국 언어에 대한 고유 명칭을 채택했다: 부티아어, 렙차어 및 림부어. 또한 인도 중앙 언어 연구소의 2008-2009년 설문 조사에 따르면, 레(Leh) 지역의 가정 중 모국어를 "보티"라고 부르는 가구는 미미한 수준이었다.[4]
보티 또는 보디라는 명칭은 해당 지역의 주요 종교인 티베트 불교와 함축적 의미를 지닌다. 하지만 Bhoti와 Bodhi는 불교도(Buddhist)처럼 들리기 때문에,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라다크인 무슬림들은 소외감을 느낄 수 있어서 대부분의 라다크어 사용자들은 자신의 언어를 라다크어라 부른다고 한다.[19] 많은 라다크인들은 라다크어 사용자가 무슬림, 기독교인, 힌두교인, 시크교도이기 때문에 이러한 분류에 반대한다.[7]
3. 분류
장스카리어는 장스카르에서 사용되는 라다크어의 방언이며, 라훌 (히마찰프라데시)과 파다르 (팔다르)의 상류 지역에 거주하는 불교 신자들도 사용한다. 장스카리어에는 스토드, 중, 샴, 룽나 등 4개의 하위 방언이 있다. 불교 신자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고, 무슬림과 기독교 라다크인은 아랍 문자를 사용하여 장스카리어를 표기한다.[9]
4. 방언
방언 이름 사용 지역 레스카트 (Lehskat) 레 샴스카트 (Shamskat) 라다크 샴 지역, 레 북서쪽 스토츠카트 (Stotskat) 인더스 계곡 상부 누브라스카트 (Nubraskat) 라다크 누브라 지역, 레 북쪽 창탕어 (Changthang) 창파(Changpa)족, 창탕 지역 장스카리어 (Zangskari) 라다크 잰스카르 지역
4. 1. 레스카트 (Lehskat)
레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1]
4. 2. 샴스카트 (Shamskat)
라다크의 샴 지역의 레 북서쪽에서 사용된다.[1]
4. 3. 스토츠카트 (Stotskat)
라다크의 상부 인더스 계곡에서 사용되며, 다른 방언과는 달리 성조 언어이다.[1]
4. 4. 누브라스카트 (Nubraskat)
라다크의 누브라 지역의 레 북쪽에서 사용된다.[1]
4. 5. 창탕어 (Changthang)
창탕어는 창파(Changpa)족이 창탕 지역에서 사용하는 라다크어의 방언이다.[1]
4. 6. 장스카리어 (Zangskari)
장스카리어는 라다크어의 방언 중 하나로, 라다크의 잰스카르 지역에서 사용된다.[1]
5. 음운
라다크어의 음운 체계는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다양한 변이음을 가진다.
5. 1. 자음
파찰음! 무성음 || p|ㅍund || t̪|ㅌund || t͡s|und || ʈ|und || t͡ʃ|und || k|ㅋund ||
|-
! 유기음 || pʰ|ㅍund || t̪ʰ|ㅌund || t͡sʰ|und || ʈʰ|und || t͡ʃʰ|und || kʰ|ㅋund ||
|-
! 유성음 || b|ㅂund || d̪|ㄷund || d͡z|und || ɖ|und || d͡ʒ|und || ɡ|ㄱund ||
|-
! rowspan="2" |마찰음
! 무성음 || || || s|ㅅund || ʂ|und || ʃ|und || || h|ㅎund
|-
! 유성음 || || || z|und || || ʒ|und || ||
|-
! colspan="2" |전동음 || || || r|ㄹund || || || ||
|-
! rowspan="2" |설측음
! plain || || || l|ㄹund || || || ||
|-
! 거친 목소리 || || || lʱ|und || || || ||
|-
! colspan="2" |반모음 || w|und || || || || j|und || ||
|}
- /b d ɡ/는 자유 변이 내에서 발생하는 변이음으로 [β ð ɣ] 마찰음을 가질 수 있다.
- /k/는 후퇴 연구개 파열음 [k̠]의 변이음을 갖는다.
- /l r/은 무성 자음 앞에 처음으로 나타날 때 변이음 [l̥ r̥]을 가질 수 있다.[10]
5. 2. 모음
라다크어는 일반적인 5개의 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지만, /a/가 /ə/로 대체되어 대부분의 언어가 /a/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특이하다.[10]6. 문자
라다크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발음은 고전 티베트어에 가깝다. 다른 티베트어군 언어와 달리 묵음으로 처리되는 글자들을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11] 라다크어 표기에는 구어체(''phalskat'')와 고전 티베트어를 변형한 형태(''choskat'') 중 어떤 것을 사용할지에 대한 논란이 있다.[13] 로마자 표기 시에는 수정된 와일리 표기법을 사용한다.
6. 1. 표기 문제
라다크어는 일반적으로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라다크어의 발음은 다른 대부분의 티베트어군 언어보다 쓰여진 고전 티베트어에 훨씬 가깝다. 라다크인들은 다른 많은 티베트어군 언어, 특히 중부 티베트어에서는 묵음으로 처리되는 접두사, 접미사, 그리고 머리글자를 많이 발음한다.[11] 이러한 경향은 레(Leh) 서쪽, 그리고 통제선의 파키스탄 측 발티스탄에서 더 두드러진다. 예를 들어, 티베트인은 'sta'(도끼)를 [tá]로 발음하지만, 레파(Lehpa)는 [sta]로, 푸르기어는 [stare]로 발음한다. 티베트인이 འབྲས་ 'bras'(쌀)을 [ɳʈɛ́ʔ]로 발음하는 반면, 레파는 [ɖas]로, 푸르기는 [bras]로 발음한다. 발음은 비교적 보수적이지만, 라다크어는 고전 쓰기 언어와 상당한 문법적 차이를 축적했다.[12]구어체 라다크어(''phalskat'')를 티베트 문자로 쓸 것인가, 아니면 약간 라다크화된 고전 티베트어 버전(''choskat'')을 쓸 것인가 하는 문제는 라다크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13] 무슬림 라다크인은 라다크어를 사용하지만 대부분 티베트 문자를 읽지 못한다. 대부분의 불교 라다크인은 티베트 문자를 소리 낼 수 있지만 고전 티베트어는 이해하지 못하며, 많은 라다크 불교 학자들은 라다크어를 고전 티베트어 형태로만 써야 한다고 주장하며 방언에 기반한 표기법을 "올바른" 언어에서 벗어난 것으로 간주한다.[12] 소수의 책과 잡지가 구어체 라다크어로 출판되었으며, 그 예로는 SECMOL에서 발행한 'Ladags Melong'이 있다.[12]
라다크어에서는 존경의 표시로 문장의 끝에 'le' 접미사를 붙이는 것이 관례이다.[14] 이러한 언어적 관습은 듣는 사람에게 정중함과 존경을 표현하여 존중과 예의라는 문화적 가치를 강조하는 방식이다.
쓰여진 라다크어는 대부분 수정된 와일리 표기법을 사용하여 로마자화되며, 예를 들어 'th'는 유기음 치경음 't'를 나타낸다.
7. 일상 회화
줄레|Julebo('줄레이'라고 발음)는 안녕하세요, 안녕히 가세요, 감사합니다 등 여러 상황에서 쓰이는 인사말이다.
- Khamzang|캄장bo?: 안녕하십니까? (잘 지내십니까?)
- Khamzang|캄장bo: 잘 지냅니다.
- Hamago|하마고bo: 모릅니다.
- Hago|하고bo: 알겠습니다.
- Hago-a|하고아bo: 아시겠습니까?
- O|오bo: 네 (격식 없는 표현)
- Kasa|카사bo: 네 (격식 있는 표현)
- Man|만bo: 아니오
- tsapik|차픽bo: 아주 조금
- Nyerangi mingla chi in?|냐랑이 밍라 치 인?bo: 이름이 무엇입니까?
- Dik|딕bo: 괜찮습니다, 충분합니다 등
- -le|-레bo: 정중하게 말할 때 사용하는 어미, 이름 등에도 사용
- Zhuks-le|죽스레bo: 앉으세요.
- Don-le|돈레bo: 먹다, 마시다
- Skyot|스꾃bo: 안녕히 가세요 (돌아가세요)
8. 수사
라다크어의 수사는 다음과 같다.
숫자 | 라다크어 |
---|---|
1 | 하나 |
2 | 니 |
3 | 숨 |
4 | 제 |
5 | 응라 |
6 | 툭 |
7 | 둔 |
8 | 걋 |
9 | 규 |
10 | 추 |
11 | 추그-직 |
12 | 추그-니 |
13 | 추그-숨 |
14 | 추그-제 |
15 | 추그-응라 |
16 | 추-룩 |
17 | 춥-둔 |
18 | 촙-걋 |
19 | 추르-구 |
20 | 니-슈 |
참조
[1]
웹사이트
ABSTRACT OF SPEAKERS' STRENGTH OF LANGUAGES AND MOTHER TONGUES - 2011
https://web.archive.[...]
2023-02-25
[2]
웹사이트
Omniglot Ladakhi Language Introduction
https://himalayanini[...]
2021-01-23
[3]
논문
Ladakhi: An off Shoot of Classical Tibetan Language
Spring–Summer 2018
[4]
웹사이트
Bhoti or Ladakhi: What should we call our language?
https://stawa.org/bh[...]
[5]
웹사이트
National Seminar on 'Bhoti Language' held at Leh
http://www.reachlada[...]
2013-09-13
[6]
뉴스
Ladakh council adopts new emblem replacing J-K logo
https://web.archive.[...]
2011-02-27
[7]
웹사이트
Is Bhoti A Language, Religious Affiliation, Sanskrit Diminutive Or Political Tool?
https://www.outlooki[...]
2023-05-12
[8]
웹사이트
L'aire linguistique tibétaine et ses divers dialectes
http://tournadre.nic[...]
[9]
간행물
Tibetan (Bhoti)—An Endangered Script in Trans-Himalaya
https://www.jstor.or[...]
2005
[10]
서적
Ladakhi Grammar
Delhi: Motilal Banarsidass.
[11]
문서
Bielmeier, Roland. 1985. 'A Survey of the Development of Western and South-western Tibetan dialects', in Barbara Nimri Aziz and Matthew Kapstein (eds.), ''Soundings in Tibetan Civilisation''.
[12]
서적
Lesser-Known Languages of South Asia
2006
[13]
서적
Tibetan Modernities: Notes from the Field on Cultural and Social Change
Brill
[14]
웹사이트
Ladakhi Language
https://www.lehladak[...]
[15]
문서
Ladakhi at Ethnologue (19th ed., 2016)
[16]
웹인용
Statement 1: Abstract of speakers' strength of languages and mother tongues – 2011
http://www.censusind[...]
Office of the Registrar General & Census Commissioner, India
2020-06-15
[17]
웹사이트
Omniglot Ladakhi Language Introduction
https://himalayanini[...]
2021-01-23
[18]
논문
Ladakhi: An off Shoot of Classical Tibetan Language
Spring–Summer 2018
[19]
웹인용
Ladakhi Language & Phrasebook
https://www.leh-lada[...]
Leh-Ladakh Taxi Booking
2021-1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