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석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석정은 조선 시대의 문신이자 수학자이며, 영의정을 역임했다. 그는 최명길의 손자이며, 1701년 영의정에 오른 후 남인에 대한 제한적인 서용 정책을 펼쳤다. 1710년 이후에는 수학 서적인 《구수략》을 저술했으며, 이 책에는 마방진, 직교 라틴 방진 등 독창적인 수학적 내용이 담겨 있다. 2013년에는 국립과천과학관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헌정되었으며, 2021년부터는 수학 발전에 기여한 사람들을 기리는 최석정상이 제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수학자 - 윤두서
조선 후기 문인화가이자 학자인 윤두서는 윤선도의 증손으로, 당쟁으로 출사하지 않고 그림과 학문에 전념하며 심사정, 정선과 함께 조선 3재로 불렸고, 자화상, 심득경 초상 등의 작품과 지도를 통해 조선 후기 화단과 실학 발전에 기여했다. - 조선의 수학자 - 이가환
조선 후기 문신이자 학자인 이가환은 성호 이익의 문하생으로 정조의 총애를 받았으나 신유박해 때 천주교와 연루되어 옥사했으며, 천문학과 수학에도 밝아 《기전고》를 저술했다. - 조선의 양명학자 - 심육
조선 후기 소론 산림 학자이자 문신인 심육은 정제두의 문인으로 강화학파의 중심 인물이며, 세자시강원 찬선, 성균관 좨주, 형조참판, 대사헌 등을 역임하고 벼슬에 연연하지 않고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썼다. - 조선의 양명학자 - 심대윤
심대윤은 조선 후기 몰락한 양반 가문 출신으로 유교 덕목 재구성과 기독교 비판을 담은 《복리전서》를 저술한 학자이자 저술가이다. - 1646년 출생 -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는 독일의 철학자, 수학자, 과학자, 외교관, 법학자, 도서관학자이자 언어학자로, 합리주의 철학을 대표하며 모나드론과 예정조화설을 주장했고, 미적분학을 독자적으로 발견하고 이진법을 체계화하는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 기여했다. - 1646년 출생 - 앙투안 갈랑
프랑스의 동양학자이자 고고학자인 앙투안 갈랑은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 히브리어와 아랍어를 배우고 중동 지역을 탐험하며 여러 언어를 익혔으며, 왕립 도서관에서 동양어 사본 목록 작성에 참여하고 『동방 도서관』 집필을 완성했을 뿐만 아니라 『천일야화』를 최초로 프랑스어 및 유럽어로 번역하여 유럽 전역에 큰 영향을 미쳤다.
최석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최석정 |
한자 이름 | 崔錫鼎 |
자 | 여시(汝時), 여화(汝和) |
호 | 존와(存窩), 명곡(明谷) |
시호 | 문정(文貞) |
국적 | 조선 |
성별 | 남성 |
출생일 | 1646년 7월 2일 |
사망일 | 1715년 12월 6일 |
아버지 (생부) | 최후량 |
아버지 (양부) | 최후상 |
어머니 (생모) | 광주 안씨 안중임 |
배우자 | 이씨 부인 경억 |
자녀 | 최창대 (아들) |
관직 생활 | |
영의정 | 1차: 1701년 7월 24일 ~ 1701년 10월 31일 2차: 1703년 3월 27일 ~ 1703년 7월 29일 3차: 1705년 5월 5일 ~ 1710년 4월 24일 |
좌의정 | 1699년 4월 12일 ~ 1699년 7월 16일 |
우의정 | 1697년 4월 3일 ~ 1698년 7월 13일 |
기타 정보 | |
서훈 | 분무원종공신 책록 |
저서 | 구수략(九數略) |
2. 생애
최석정은 영의정을 지낸 최명길의 손자이다. 여러 요직을 거쳐 1701년 영의정이 되었다. 1694년 이후 남인에 대한 제한적인 서용 정책을 펼쳤다.
1701년 10월 희빈 장씨가 사사된 직후, 세자 균(훗날의 경종)이 최석정 등에게 도움을 청하자, 이들은 세자를 도와줄 것을 약속했다. 반면 노론 신하들은 세자 균을 외면했다.
1680년(숙종 6년) 보사원종공신 1등(保社原從功臣一等)에 책록되었다. 1728년(영조 5) 이인좌의 난 진압 직후 분무원종공신 1등(奮武原從功臣一等)에 책록되었다.
2. 1. 가계와 초기 생애
영의정을 지냈던 완성부원군(完城府院君) 최명길의 손자이다. 최명길은 조선 병자호란 당시 주화론을 주장한 주화파의 대표로서 후금과 화친 정책을 펼치려 했으나 실패한 인물이다.2. 2. 관직 생활
영의정을 지냈던 완성부원군(完城府院君) 최명길의 손자이다. 최명길은 조선시대 병자호란 당시 주화론을 주장한 주화파의 대표로서 후금과 화친 정책을 펼치려 했으나 실패한 인물이다. 최석정은 여러 요직을 거쳤고, 부제학, 대사성, 도승지를 하고 홍문관제학, 이조참판, 대사헌을 거쳐 이조판서, 대제학을 하다가 우의정과 좌의정을 거쳐서 1701년 영의정이 되었다. 그는 1694년 이후 남인에 대한 제한적인 서용 정책을 펼쳤다.[1]1701년 10월 희빈 장씨가 사사된 직후, 불안감과 신분의 위협을 느낀 세자 균(훗날의 경종)이 눈물을 흘리며 도와줄 것을 청하자, 최석정, 남구만 등은 어찌 신들이 군부의 은혜를 잊겠느냐며 세자의 손을 잡아주었다. 반면 노론 신하들은 세자 균을 싸늘하게 외면했다 한다.[2]
1710년 영의정을 그만둔 이후 1710년~1715년에 《구수략》을 지었을 것으로 추측되는데, 여기에는 기존에 전해진 수학 지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내용과 전혀 새로운 독창적 내용이 함께 수록되어있다. 특히 《구수략》의 마지막 권에는 마방진, 직교 라틴 방진, 그리고 지수귀문도 등 사각형이나 육각형 모양의 수의 구성도가 많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들은 모두 최석정의 탁월한 수학적 직관력과 수학 이론의 독창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최석정은 2013년에 국립과천과학관의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헌정되었다.[3]
1680년(숙종 6년) 보사원종공신 1등(保社原從功臣一等)에 책록되었다. 1728년(영조 5) 이인좌의 난 진압 직후 분무원종공신 1등(奮武原從功臣一等)에 책록되었다.[4]
2. 3. 말년과 수학 연구
1710년 영의정을 그만둔 이후 1715년까지 《구수략》을 지었을 것으로 추측되는데, 여기에는 기존에 전해진 수학 지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내용과 전혀 새로운 독창적 내용이 함께 수록되어 있다. 특히 《구수략》의 마지막 권에는 마방진, 직교 라틴 방진, 지수귀문도 등 사각형이나 육각형 모양의 수의 구성도가 많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들은 모두 최석정의 탁월한 수학적 직관력과 수학 이론의 독창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10]최석정의 9차 직교 라틴 방진은 오일러의 직교 라틴 방진보다 적어도 67년을 앞선 내용으로, 현존하는 기록상 세계 최초라고 인정받았다.
최근에는 대만 학술원의 Ko-Wei Lih 교수가 최석정에 대해 ''A Remarkable Euler Square before Euler''라는 논문을 써서 미국수학협회(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가 발행하는 ''Mathematics Magazine'' 2010년 6월호의 첫 번째 논문으로 발표되었다.
3. 산학원본 서문
算學原本중국어은 양휘산법과 산학계몽의 계산법을 설명한 책으로 조선시대 박율이 편찬하였으며 그의 아들 박두세가 1700년에 간행하였다.[1]
최고위 관료였던 최석정이 算學原本중국어의 서문을 써준 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인데, 최석정이 젊은 시절부터 수학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스스로 밝히고 있다.[1]
4. 연구 업적
한양대학교 김용운이 1974년 최석정의 마법진에 대한 논문을 썼다.[10] 1983년 일본 학자 히라야마 아키라(平山諦)는 《수학사연구》(일본수학사학회 편) 99호에 ''Magic Squares on Ku su Ryak by Chai Suk-Jong''(최석정의 구수략의 방진)이라는 논문을 썼다.
최석정은 Roger Cooke의 ''The History of Mathematics: A Brief Course''(1997)에 소개되었으나, 2005년 판에서는 빠졌다. 하지만 최석정의 9차 직교 라틴 방진은 2007년 Chapman & Hall/CRC에서 출판된 ''Handbook of Combinatorial Designs''(2판)에 소개되었는데, 이는 오일러의 직교 라틴 방진보다 적어도 67년 앞선 것으로 현존하는 기록상 세계 최초로 인정받았다. 이 경과는 2008년 과학동아 8월호에 소개되었다.
최근 대만 학술원의 Ko-Wei Lih 교수는 최석정에 대해 ''A Remarkable Euler Square before Euler''라는 논문을 써서 미국수학협회(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가 발행하는 ''Mathematics Magazine'' 2010년 6월호의 첫 번째 논문으로 발표되었다. 이후 대만 푸런대학(輔仁大學)에서 王靖貽(왕징이)라는 학생이 《최석정방진》이라는 석사학위논문을 제출하였다.
2013년 Oxford University Press가 발간한 Combinatorics : Ancient & Modern (저자 Ronald Graham, John J. Watkins, Robin Wilson)에서도 최석정이 언급되었다.
5. 최석정상
최석정상은 2021년에 수학을 발전시키거나 보급하는 사람들을 기리기 위해 제정되었다.[6] 수상자 이름의 표기는 해당 위키백과 페이지가 존재할 경우 그 표기를 따르며, 나머지는 Al Lab와 Narainfotech의 [http://roman.cs.pusan.ac.kr/input_eng.aspx 한국어 로마자 변환기]를 사용하여 개정 로마자 표기법에 따른다.
연도 | 수상자 | 소속 |
---|---|---|
2021[7] | 김재경 임선희 송홍엽 | 한국과학기술원(KAIST)/기초과학연구원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
2022[8] | 강명주 엄상일 황형주 | 서울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KAIST)/기초과학연구원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
2023 | 김종암 예종철 김상현 | 서울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KAIST) 고등과학원 |
6.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
고조부 | 최수준(崔秀俊) |
증조부 | 최기남(崔起南) |
조부 | 최명길(崔鳴吉) |
부친 | 최후량(崔後亮) |
모친 | 광주 안씨 - 안중임(安仲任, 1621 ~ 1673)[11] |
형 | 최석진(崔錫晉) |
동생 | 최석항(崔錫恒) |
양부 | 최후상(崔後尙) |
양모 | 허인(許嶙)의 딸 |
부인 | 경주 이씨 - 이경억(李慶億, 1620 ~ 1673)[12]의 딸 |
아들 | 최창대(崔昌大, 1669 ~ 1720) |
7. 저서
- 《구수략》
- 《참동계발》[13]
8. 미디어
1995년 SBS 드라마 장희빈에서는 문회원이 최석정 역을 연기하였다. 2002년 KBS 2TV 드라마 장희빈에서는 민욱이 최석정 역을 연기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구수략(九數略)
http://kyudb.snu.ac.[...]
Seoul National University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2017-04-11
[2]
서적
Handbook of Combinatorial Designs, Second Edition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7-03-28
[3]
간행물
Confucian scholar's discovery predates the work of Euler
http://www.icm2014.o[...]
International Congress of Mathematicians
2014-08-15
[4]
서적
Orthogonal Latin Squares of Choi Seok-Jeong
http://hpm2012.onpcs[...]
History and Pedagogy of Mathematics
2017-03-28
[5]
서적
Proceedings of the Genetic and Evolutionary Computation Conference
https://books.google[...]
Morgan Kaufmann Publishers
2017-03-28
[6]
웹인용
CI Jae Kyoung Kim won '올해의 최석정상.' Congratulation!
https://www.ibs.re.k[...]
Institute for Basic Science
2022-09-29
[7]
웹인용
김재경 교수, 올해의 최석정상 수상
https://mathsci.kais[...]
KAIST
2022-12-15
[8]
웹인용
올해의 최석정상 수상자 서울대 강명주·카이스트 엄상일·포스텍 황형주 교수
https://www.seoul.co[...]
Seoul Shinmun
2022-12-15
[9]
문서
최창대, 《곤륜집》 권19, 선고 의정부 영의정 부군 행장, "先府君姓崔氏。初諱錫萬。"; 이덕수, 《서당사재》 권6, 영의정 명곡 최 공 신도비명, "公初諱錫萬。後以嫌改諱錫鼎。"
[10]
논문
김용운, 《崔錫鼎의 魔法陣》, 한국사연구휘보, 1974
[11]
문서
중종의 8남 [[덕흥대원군]]의 외고손녀 ----[[덕흥대원군]] → 이명순 → 안응형 → 안헌징 → 안중임
[12]
문서
현종 때 좌의정, 우의정 등을 역임.
[13]
서적
《조선시대의 내단사상》, 김낙필, 대원출판, 2005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