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미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미콘은 '미리 배합된 콘크리트'를 의미하며, 시멘트, 골재, 물, 혼화제 등을 공장에서 배합하여 건설 현장으로 운송하는 콘크리트 제품을 말한다. 1903년 독일에서 최초로 개발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1965년 쌍용양회공업이 최초로 레미콘 공장을 설립했다. 레미콘은 굵은 골재 최대 치수, 압축 강도, 슬럼프 등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규격으로 생산되며,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에서 널리 사용된다. 레미콘은 품질 관리, 생산 속도, 시멘트 소비량 감소, 인력 의존도 감소 등의 장점을 가지지만, 운송 시간의 제약과 장거리 운송 시 혼화제 사용의 필요성 등의 단점도 있다. 레미콘은 비비기 및 운반 방법에 따라 센트럴 믹스트 콘크리트, 슈링크 믹스트 콘크리트, 트랜싯 믹스트 콘크리트로 분류되며, 용적식 이동식 믹서와 중앙 집중식 배치 플랜트 방식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콘크리트 - 철근 콘크리트
철근 콘크리트는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와 철근의 인장 강도를 결합하여 구조적 효율성을 높인 건축 재료이며, 콘크리트의 알칼리성이 철근 부식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확보한다. - 콘크리트 - 철근
철근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재로 사용되는 강철 막대로, 콘크리트의 인장 강도를 보완하여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 건설기계 - 불도저
불도저는 무한궤도식 트랙터에 블레이드를 부착하여 흙을 굴착하고 지면을 고르는 건설 기계이며, 토목 공사, 광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 건설기계 - 트랙터
트랙터는 농업에서 농기구를 작동하거나 견인하는 차량으로, 증기기관에서 가솔린, 디젤 엔진으로 발전해왔으며, 최근에는 친환경 기술과 자동화 시스템이 도입되어 농업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건설, 정원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레미콘 | |
---|---|
개요 | |
종류 | 건축 자재 |
설명 | 공장에서 생산된 혼합 콘크리트 |
특징 | |
정의 | 레디믹스트 콘크리트(Ready-mix concrete)는 중앙 배치 플랜트 또는 공장에서 제조된 콘크리트로, 특정 혼합 설계에 따라 제조된다. 레미콘이라고도 불린다. |
장점 | 현장 혼합 콘크리트에 비해 일관성 유지 가능 대규모 프로젝트에 효율적 품질 관리 용이 |
제조 과정 | 시멘트, 골재, 물, 혼화재 등을 혼합 트럭에 실어 건설 현장으로 운반 |
산업 동향 | |
시장 규모 | 지속적인 성장 추세 |
주요 업체 | 다양한 기업들이 레미콘 시장에 참여 |
추가 정보 | |
참고 | 레미콘은 건설 산업에서 널리 사용되는 중요한 자재임. 다양한 종류의 레미콘이 존재하며, 용도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 가능. |
2. 어원
ready-mixed concrete|레디믹스트 콘크리트영어는 '미리 배합된 콘크리트'라는 뜻으로, 영어 약자로 RMC라고 부른다. 일본어로는 レディーミクストコンクリート|레디미쿠수토콘크리토일본어인데, 줄여서 レミコン|레미콘일본어으로 부른다. 대한민국에서는 '레미콘'이라는 표현이 일본어투 생활용어로 지적되어, 순화한 용어인 '''반죽 콘크리트(차)''' 또는 '''(양)회반죽(차)'''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1]
레미콘은 여러 나라에서 각기 다른 시기에 발전해왔다.
3. 역사
국가 내용 독일 1903년 J.H. 마겐스가 세계 최초로 레미콘 플랜트를 만들고 특허를 받았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기업적으로 성장했다. 미국 1913년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시에 최초의 레미콘 공장이 세워졌다. 1926년 트럭믹서가 발명되면서 빠르게 발전했다. 일본 1949년 이와끼시멘트(주)가 도쿄콘크리트공업(주)을 설립하여 도쿄에 최초의 공장을 세웠다. 대한민국 1965년 7월 쌍용양회공업(주)(당시 대한양회)이 서빙고에 최초의 공장을 세웠다.
3. 1. 세계
1903년 독일 스타른베르크에서 건설업자 J.H. 마겐스(J. H. Magens)가 세계 최초로 레미콘 플랜트를 만들어 레미콘 제조의 특허를 받았으며,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1954년부터 기업적인 성장을 보였다.[28] 미국에서는 1913년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시에 레미콘 공장이 세워졌다.[28] 샌트럴믹스(central mix) 방식으로, 플랜트에서 반죽하여 덤프트럭으로 운반하였기 때문에 품질이 불량하여 1926년에 트럭믹서가 발명되어 급속히 발전했다.[28] 1950년에는 미국 1,320개 도시에 1,700개의 공장이 건설되었으며, 연간 생산량은 38000000m3에 이르렀다.[28] 일본에서는 1949년 이와끼시멘트(주)가 도쿄콘크리트공업(주)을 설립하여, 도쿄에 처음으로 공장을 세워 1일 약 150m3를 생산했다.[28]
레디믹스 콘크리트의 최초 배송 시점과 최초 공장 건설 시점에 대해서는 몇 가지 이견이 있다. 일부 자료에서는 볼티모어에서 1913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한다.[8] 1929년까지 미국에서 100개 이상의 공장이 운영되었다.[8] 이 산업은 1960년대까지 크게 확장되지 않았으며, 그 이후 꾸준히 성장해왔다.
3. 2. 대한민국
1965년 7월 쌍용양회공업(주)(당시 대한양회)이 대한민국 최초로 서빙고 공장을 세웠다.[29] 2010년 12월 말 기준으로 106개 업체, 182개의 공장이 있으며, 배치 플랜트는 337기, 생산능력은 72130m3/hr, 연간 144260000m3이다. 회반죽차는 8,117대, 시멘트 사이로 용량은 232,040톤이다.[29]
4. 종류
레미콘은 굵은 골재 최대치수, 호칭강도, 슬럼프 등 여러 가지 조합을 통해 다양한 종류로 생산된다. 한국에서는 굵은 골재 최대치수 25mm, 호칭강도 21Mpa, 슬럼프 120mm 규격의 레미콘이 많이 사용되며, 전체의 80%를 차지한다. 그 외에도 100여 개의 생산 규격이 있다.[30]
혼화제를 사용하면 레미콘의 성능을 변화시킬 수 있다. 혼화제는 물 요구량을 줄이거나, 혼합물에 공기를 유입시키고, 표면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자가 충전 콘크리트처럼 콘크리트를 자기 수평화되도록 만들 수도 있다.[14]
콘크리트는 배치 및 혼합 이후 양생하기 전까지 수명이 제한되어 있다. 미국의 경우 슬럼프 및 배합 설계 사양을 유지하려면 레미콘을 배치 공정 후 30~45분 안에 타설해야 한다.[15] 그러나 영국에서는 환경, 재료 요인, 운송 중 혼합 등의 이유로 최대 2시간까지 가능하다.[16] 현대의 혼화제 및 감수제는 이 기간을 어느 정도 조절할 수 있다.[17]
4. 1. 구성 재료 및 규격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레미콘)의 규격은 한국 산업 규격 KS F 4009에 규정되어 있다. 레미콘을 구성하는 재료는 다음과 같다.- 시멘트: 포틀랜드시멘트, 고로슬래그시멘트, 프라이애시시멘트, 포틀랜드포졸란시멘트
- 골재: 콘크리트용 골재, 콘크리트용 부순골재, 구조용 경량골재, 콘크리트용 동슬래그골재, 콘크리트용 고로슬래그 골재,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콘크리트용 연슬래그 골재
- 혼화재료: 콘크리트용화학혼화제, 콘크리트용방청제, 콘크리트용팽창제, 콘크리트용고로슬래그미분말, 콘크리트용실리카퓸, 플라이애시
배치 플랜트(Batch Plant)는 토목 기사 또는 건축가가 제시하는 배합 설계 공식에 따라 정확한 양의 자갈, 모래, 물, 시멘트를 무게로 혼합하여 특수 콘크리트 혼합물을 만든다.
영국에서 레미콘은 비공식적으로 성분 무게 또는 부피(1-2-4 또는 1-3-6)를 사용하거나, 유럽 표준 EN 206+ A1의 공식 사양 표준을 사용하여 지정된다. 이는 영국에서 BS 8500에 의해 보완된다. 이를 통해 콘크리트 제조업체는 배치 플랜트에서 사용 가능한 재료를 사용하여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혼합을 설계할 수 있다.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는 큐브 테스트[12], 굴곡 테스트[13]등의 실험실 테스트를 통해 확인하며, 혼합물의 가소성은 현장에서 수행되는 슬럼프 테스트로 확인한다.
콘크리트 혼합물의 성능은 혼화제를 사용하여 변경할 수 있다. 혼화제는 물 요구량을 줄이거나, 혼합물에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표면 내구성을 개선하거나, 자가 충전 콘크리트처럼 콘크리트를 자기 수평화되도록 슈퍼가소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4]
4. 2. 비비기 및 운반 방법에 따른 분류
레미콘은 비비기 및 운반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Central mixed concrete : 플랜트에서 모든 재료를 완전히 배합하여 트럭으로 운반한다.
- Shrink mixed concrete : 플랜트에서 재료의 일부만 배합하고, 나머지는 운반하는 트럭 안에서 마저 배합한다.
- Transit mixed concrete : 재료만 트럭에 싣고 운반하면서 배합한다.
이러한 방식은 배치 플랜트에서 토목 기사나 건축가가 제시한 배합 설계 공식에 따라 정확한 양의 자갈, 모래, 물, 시멘트를 혼합하여 특수한 콘크리트 혼합물을 만들 수 있게 한다.[9]
4. 3. 일본 JIS 기준 종류
일본 JIS에서는 레미콘의 종류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종류 | 설명 |
---|---|
일반 콘크리트 | 일반적인 콘크리트 |
경량 콘크리트 | 경량 골재를 사용하여 만든 콘크리트 |
포장 콘크리트 | 도로 포장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
5. 제조
배치 플랜트는 토목 기사나 건축가가 권장하는 콘크리트 등급에 대한 배합 설계 공식에 따라 정확한 양의 골재(모래, 자갈), 물, 시멘트를 무게로 혼합하여 건설 현장에서 특수 콘크리트 혼합물을 개발하고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9] 레미콘은 배치 플랜트에서 제조되며, 이 플랜트는 재료를 계량하고 혼합하는 과정을 자동화하여 콘크리트의 품질을 보장한다.
혼화제는 레미콘의 성능을 변경할 수 있다. 혼화제는 물 요구량을 줄이고, 혼합물에 공기를 유입하고, 표면 내구성을 개선하거나, 자가 충전 콘크리트와 같이 콘크리트를 자기 수평화되도록 슈퍼가소화하는 데 사용된다.[14] 혼화제를 사용하려면 정밀한 투여 및 배합 설계가 필요하므로 레미콘 제조 과정에서 사용된다.
콘크리트는 배치/혼합과 양생 사이에 제한된 수명을 갖는다. 즉, 레미콘은 미국에서 슬럼프 및 배합 설계 사양을 유지하기 위해 배치 공정 후 30~45분 이내에 타설해야 한다.[15] 그러나 영국에서는 환경 및 재료 요인과 운송 중 혼합으로 인해 최대 2시간이 경과할 수 있다.[16] 현대 혼화제 및 감수제는 그 기간을 어느 정도 수정할 수 있다.[17]
반죽은 시멘트, 골재(모래, 자갈), 물, 혼화제 등을 배합하여 섞는 공정이다. 레미콘은 이 공정을 공장에서 거친 후 타설 현장으로 운송된다.
골재는 덤프 트럭 등으로 공장에 입고된다. 재료 채취소 근처에 공장이 있는 경우도 많다. 골재는 체(호퍼)에 의해 종류별로 분류되어 용기(사일로, 저장 빈 등)에 저장된다.
재료를 배합하여 콘크리트를 만드는 설비는 배치 플랜트라고 불린다. 재료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콘크리트가 된다.
- 재료는 벨트 컨베이어로 위에서 투입된다.
- 재료는 종류별로 저장되어 계량 후 믹서에 투입된다.
- 믹서에서 반죽된다.
- 생 콘크리트로 꺼내져 차량에 적재된다.
6. 운송
현대에 쓰이는 믹서트럭(mixer truck)은 1926년 미국에서 처음 개발되었으며 일본에서는 1952년부터 기계식을 만들었고, 1955년에 유압식이 개발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처음에 3.5m3 용량의 트럭 에지테이터를 수입했고, 1978년부터 7.5m3 용량의 대형 트럭 에지테이터를 만들기 시작했으며, 근래에는 도로사정 등으로 인하여 적재량의 한도를 6m3로 규제하고 있다.[31]
레미콘은 제조 후 60분 이내(최대 90분내)에 타설해야 한다. 1시간이 지나면 유동성이 급격히 떨어지기 때문이다. 미국 등 국토가 넓은 나라에는 트레일러와 트럭 새시에 시멘트, 골재 등 재료 탱크와 배합장치 등을 탑재한 모빌 믹서(volumetric mobile mixer)가 쓰인다.
레미콘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현장에서 운송 및 타설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이고 간단한 방법은 트랜짓 믹서 트럭 뒷면에 장착된 슈트를 이용하는 것이며, 트럭이 후진할 수 있는 위치 근처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데 적합하다. 덤퍼 트럭, 크레인 호퍼, 트럭 장착 컨베이어 및 ''극단적인 경우'' 손수레를 사용하여 직접 접근할 수 없는 곳에서 트럭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도 있다. 일부 콘크리트 혼합물은 콘크리트 펌프로 펌핑하기에 적합하다.
레미콘 운송에는 애지테이터 트럭(믹서트럭)으로 섞으면서 수송한다. 믹서로도 응결을 완전히 막을 수 있는 것은 아니며, 90분 이내에 현장에 도착해야 한다.
7. 품질
레미콘은 토목 기사나 건축가가 권장하는 배합 설계 공식에 따라 정확한 양의 재료를 혼합하여 만들어진다. 특히 고층 건물 및 교량과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에 자주 사용되며, 도로와 같이 유사한 용도의 다른 제품에 비해 수명이 길다.[9]
레미콘은 부피(일반적으로 입방 미터) 단위로 구매 및 판매되며, 통제된 조건에서 배치 및 혼합된다. 영국에서는 성분 무게 또는 부피(1-2-4 또는 1-3-6 등)나 유럽 표준 EN 206+ A1 및 BS 8500에 따라 지정된다. 이를 통해 고객은 콘크리트가 견딜 수 있는 조건을 지정하고, 콘크리트 제조업체는 해당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혼합을 설계할 수 있다. 이는 큐브 테스트[12], 굴곡 테스트[13], 슬럼프 테스트 등으로 확인된다.
혼화제를 사용하면 콘크리트 혼합물의 성능을 변경할 수 있다. 혼화제는 물 요구량 감소, 공기 유입, 표면 내구성 개선, 자가 충전 콘크리트와 같이 콘크리트를 자기 수평화하는 등의 기능을 한다.[14]
콘크리트는 배치/혼합과 양생 사이에 제한된 수명을 갖는다. 미국에서는 배치 공정 후 30~45분 이내에 타설해야 하지만,[15] 영국에서는 최대 2시간까지 가능하다.[16] 현대 혼화제 및 감수제는 이 기간을 어느 정도 수정할 수 있다.[17]
레미콘은 트랜짓 믹서 트럭 뒷면의 슈트, 덤퍼 트럭, 크레인 호퍼, 트럭 장착 컨베이어, 손수레, 콘크리트 펌프 등 다양한 방법으로 현장에서 운송 및 타설할 수 있다.
레미콘의 품질은 하역 시점에 검사된다. JIS A 5308에서는 강도, 슬럼프 및 슬럼프 플로우, 공기량, 온도, 염화물 함유량이 규정되어 있다.
8. 장점 및 단점
레미콘은 현장 배합의 번거로움과 품질 변동 가능성을 줄여주는 편리한 건축 자재이지만, 몇 가지 고려해야 할 장점과 단점이 있다.
레미콘의 가장 큰 장점은 품질, 효율성, 편의성이다. 배치 플랜트에서 정확한 배합 설계에 따라 제조되어 품질이 우수하고 일관되며, 대규모 및 중소규모 프로젝트 모두에서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만큼 주문하여 사용할 수 있고, 품질 관리 및 테스트를 전문 업체에 위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혼화제를 사용하여 다양한 성능 개선도 가능하다. 레미콘 플랜트는 현장 혼합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콘크리트를 생산하며, 시멘트 사용량을 줄여 환경 오염 감소에도 기여하고, 인력 의존도를 낮춘다.
하지만 레미콘은 운송 시간 및 현장 타설 전 대기 시간이 중요하며, 너무 멀리 떨어진 현장에는 사용하기 어렵다. 대형 구조물 공사 중 공급 중단 시 콜드 조인트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레미콘 트럭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 접근로 확보가 필요하며, 양생 과정 중 수축으로 인한 균열 발생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
8. 1. 장점
레미콘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품질: 배치 플랜트에서 정확한 배합 설계에 따라 제조되므로 품질이 우수하다. 현장 혼합 방식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료, 계량, 혼합 방법의 문제를 해결하여 일관된 품질을 유지한다.[19]
- 효율성: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특히 유리하다. 현장에서 직접 혼합하는 데 필요한 장비, 인력, 재료 구매 및 보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10] 중소 규모 프로젝트에서도 혼합 장비, 인력, 재료 구매 및 보관 비용, 환경 문제 등을 고려하면 레미콘이 유리할 수 있다.[10]
- 편의성: 필요한 양만큼 주문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면 된다.[11] 대규모 프로젝트의 경우, 콘크리트 생산을 외주함으로써 품질 관리, 테스트, 자재 물류, 공급망 문제 등을 전문 업체에 위임할 수 있다.[11]
- 다양성: 혼화제를 사용하여 물 요구량 감소, 공기 유입, 표면 내구성 개선, 자기 수평화 등 다양한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14]
- 생산성: 기계화된 작업을 통해 생산 속도가 빠르다. 현장 혼합 콘크리트 플랜트(시간당 4~5㎥)에 비해 레미콘 플랜트는 시간당 30~60㎥의 콘크리트를 생산할 수 있다.[19]
- 친환경성: 시멘트 사용량을 10~12% 줄일 수 있으며, 혼화재 및 기타 시멘트 재료를 사용하여 시멘트 양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이는 환경 오염 감소에 기여한다.[19]
- 노동력 절감: 인력 의존도를 낮춰 인적 오류 가능성을 줄인다.[19]
8. 2. 단점
레미콘은 배치 플랜트에서 생산되어 현장으로 운반되므로, 운송 시간과 현장 타설 전 대기 시간이 매우 중요하다.[19] 너무 멀리 떨어진 현장에는 레미콘을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혼화재, 지연제, 플라이 애시, 고로 슬래그 미분말 등을 사용하여 수화 과정을 늦추기도 한다.[20][21]대형 구조물의 경우 지속적인 콘크리트 공급이 필요한데, 공급이 중단되면 콜드 조인트가 발생할 수 있다.[22]
또한, 8륜 9m3 트럭의 경우 최대 32톤에 달하는 레미콘 트럭과 적재물의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접근 도로 및 현장 접근로를 확보해야 한다.[23] 무게 제한이 있는 현장에서는 소형 믹서 트럭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도심 지역에서는 접근이 제한될 수 있다.
콘크리트는 양생 과정에서 수축하여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철근 보강 등의 추가 조치가 필요할 수 있다.
9. Metered Concrete (용적식 콘크리트)
용적식 이동식 믹서는 중앙 집중식 배치 플랜트 시스템의 대안이다. 이는 현장 콘크리트, 현장 혼합 콘크리트 또는 이동식 혼합 콘크리트라고도 불린다. 대형 고정식 배치 플랜트의 이동식 소형 버전이며, 연속 배치 공정 또는 계량식 콘크리트 시스템을 활용하여 레미콘을 제공한다.
용적식 이동식 믹서는 모래, 자갈, 시멘트, 물, 섬유 및 일부 첨가 혼합물과 색상을 담는 트럭이다. 이 트럭들은 작업 현장에서 레미콘을 혼합하거나 배치한다. 필요한 만큼의 콘크리트를 혼합할 수 있으며, 수송 중 혼합된 콘크리트를 사용할 수 없게 될 수 있는 이동 시간 수화를 제거한다.
이 트럭들은 다른 모든 레미콘 제조업체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ASTM (미국 표준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트럭의 크기를 측정하고 테스트하기 때문에 중앙 집중식 배치 플랜트 시스템만큼 정확하다.[24] 이것은 중앙 집중식 배치 플랜트와 전통적인 현장 혼합 사이의 하이브리드 접근 방식이다.[25] 각 시스템 유형은 위치, 작업 규모 및 엔지니어가 설정한 배합 설계에 따라 장점과 단점이 있다.
10. 중앙 집중식 배치 플랜트와 용적식 이동식 믹서 비교
중앙 집중식 배치 플랜트 시스템의 대안으로 용적식 이동식 믹서가 있다. 이는 현장 콘크리트, 현장 혼합 콘크리트 또는 이동식 혼합 콘크리트라고도 불린다. 이들은 대형 고정식 배치 플랜트의 이동식 소형 버전이다. 연속 배치 공정 또는 계량식 콘크리트 시스템을 활용하여 레미콘을 제공한다. 용적식 이동식 믹서는 모래, 자갈, 시멘트, 물, 섬유 및 일부 첨가 혼합물과 색상을 담는 트럭으로, 작업 현장에서 필요한 만큼의 콘크리트를 혼합한다. 현장 혼합은 수송 혼합 콘크리트가 사용할 수 없게 될 수 있는 이동 시간 수화를 제거한다. 이 트럭들은 중앙 집중식 배치 플랜트 시스템만큼 정확하며, ASTM (미국 표준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트럭의 크기를 측정하고 테스트한다.[24] 이는 중앙 집중식 배치 플랜트와 전통적인 현장 혼합 사이의 하이브리드 접근 방식이다.[25]
- 중앙 집중식 콘크리트 배치 플랜트는 넓은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반면 현장 혼합 트럭은 표준 트럭으로는 접근할 수 없는 매우 외진 지역을 포함하여 훨씬 더 넓은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 배치 플랜트는 산업용 구역에 위치하는 반면, 배송 트럭은 주거 지역이나 도심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장 혼합 트럭도 동일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 용적식 트럭은 배치 과정에서 물 요구량이 낮은 경우가 많다. 이는 ASTM C109 테스트 방법을 사용하여 동일한 배합 설계에 대해 중앙 집중식 배치 플랜트에 비해 압축 강도가 더 강한 콘크리트를 생산할 수 있게 한다.
- 중앙 집중식 배치 시스템은 차량 규모에 따라 제한된다. 플랜트 규모와 유형에 따라 약 6.88m3에서 약 9.17m3 트럭 한 대를 배치하고 적재하는 데 10분 이상이 걸릴 수 있다. 중앙 야드는 여러 유형의 시멘트, 골재 및 혼화제를 더 많이 비축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더 광범위한 배합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지만, 개별 배치 과정 중에는 배합 설계를 변경할 수 없다.
- 용적식 혼합기는 원자재가 현장에 있는 한 콘크리트를 생산하면서 배합 설계의 모든 측면을 원활하게 변경할 수 있다. 신선한 재료를 지속적으로 적재하면서 무한정으로 품질 콘크리트를 지속적으로 혼합할 수 있다. 배합 설계 및 장착된 배치 플랜트 크기에 따라 40초 만에 1야드의 콘크리트를 생산할 수 있다.
- 중앙 집중식 배치는 장기간 동일한 재료 공급을 사용하고, 중앙 집중식 연구실을 통해 다양한 사양에 맞게 배합을 설계하고 검증할 수 있어 주요 프로젝트에 대해 매우 예측 가능하고 일관된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 중앙 집중식 배치는 현장 혼합기보다 이동을 줄이면서 빠르게 확장할 수 있으며, 단일 플랜트에서 시간당 최대 240세제곱미터[26]를 달성할 수 있다. 시멘트, 물 및 골재의 공급 물류가 단일 지점으로 고정되어 쉽게 확장하고 짧은 공급 중단에 더 잘 견딜 수 있으므로 현장 전체에서 일관된 대규모 타설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 소량 주문(10야드 미만 주문)의 경우, 수송 혼합기는 일반적으로 각 배송 후 배치 플랜트로 돌아간다. 용적식 트럭은 트럭이 비워질 때까지 작업을 직접 이동할 수 있어 교통량과 연료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How to Mix Ready Mix Concrete? {{!}} Shelly Company
https://www.shellyco[...]
2014-01-17
[2]
웹사이트
IBISWorld - Industry Market Research, Reports, and Statistics
https://www.ibisworl[...]
2021-12-03
[3]
웹사이트
Ready-Mix Concrete Market - Trends, Industry Analysis, Share
https://www.alliedma[...]
2021-12-03
[4]
웹사이트
What is ready mix concrete?
https://niagaraconcr[...]
2024-09-03
[5]
서적
Materials principles and practice
https://www.worldcat[...]
Materials Dept., Open University
1990
[6]
웹사이트
Ready-Mix Concrete Market Size {{!}} Industry Analysis Report, 2027
https://www.grandvie[...]
2021-12-03
[7]
웹사이트
Ready-Mix Concrete Market - Trends, Industry Analysis, Share
https://www.alliedma[...]
2021-12-03
[8]
웹사이트
The Dawn of the Ready Mix Concrete Industry
https://www.agg-net.[...]
2004-07
[9]
웹사이트
Queen Elizabeth II Bridge
https://www.hanson.c[...]
2019-04-08
[10]
웹사이트
Cement - Controlling hazardous substances - Managing occupational health risks in construction
http://www.hse.gov.u[...]
2019-04-08
[11]
웹사이트
Hugos Concrete: Concrete Services Provider Northern Colorado
https://hugosconcret[...]
2022-09-21
[12]
웹사이트
What is The Concrete Cube Test?
https://www.easymixc[...]
2019-04-08
[13]
서적
Structural materials
https://www.worldcat[...]
Materials Dept., Open University
1990
[14]
웹사이트
Concrete Admixtures {{!}} Cement Admixtures {{!}} Fosroc {{!}} Fosroc
https://www.fosroc.c[...]
2019-04-08
[15]
문서
ASTM C 94 and AASHTO M 157
[16]
웹사이트
Time limit between placing fresh concrete layers
http://www.concrete.[...]
2019-04-08
[17]
간행물
The fresh properties of nano silica incorporating polymer-modified cement pastes
[18]
웹사이트
Ready Mix Concrete Manufacturer
http://www.akonaindi[...]
akonaindia.com
[19]
서적
Structural materials
https://www.worldcat[...]
Materials Dept., Open University
1990
[20]
웹사이트
Chemical Admixtures
http://www.cement.or[...]
[21]
문서
Zabihi, N., & Ozkul, M. H. (2018). The fresh properties of nano-silica incorporating polymer-modified cement past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68, 570-579.
[22]
웹사이트
Cold Joints
http://www.concrete.[...]
2019-04-08
[23]
웹사이트
Density Of Concrete - How Much Does Concrete Weigh?
https://www.everythi[...]
2019-04-08
[24]
문서
ASTM (American standard test method)
https://www.astm.org[...]
[25]
웹사이트
Parmer Metered Concrete offers precision and quality
http://hardhat.com/p[...]
2014-11-24
[26]
웹사이트
Major 3000 Concrete Batching from Steelfields
http://steelfields.c[...]
2019-04-08
[27]
문서
登録番号第602090号
[28]
웹인용
레미콘의 발상 및 역사
http://www.krmcia.or[...]
한국레미콘공업협회
2012-06-01
[29]
웹인용
전국레미콘업체 총괄현황성
http://www.krmcia.or[...]
한국레미콘공업협회
2012-06-01
[30]
웹인용
레미콘산업의 특성
http://www.krmcia.or[...]
한국레미콘공업협회
2012-06-01
[31]
웹인용
생산공급시설
http://www.krmcia.or[...]
한국레미콘공업협회
2012-06-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