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오나르도 피보나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오나르도 피보나치는 이탈리아의 수학자로, 힌두-아라비아 숫자 체계를 유럽에 소개하고 피보나치 수열을 제시하여 중세 수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그는 상업의 발달을 돕는 《산반서》를 저술했으며, 황금비와 관련된 피보나치 수열은 자연, 예술,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피보나치의 업적을 기려 그의 이름을 딴 다양한 수학적 개념과 문화적 요소들이 존재하며, 19세기에 피사에 그의 동상이 세워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50년 사망 - 프리드리히 2세 (신성 로마 황제)
프리드리히 2세는 호엔슈타우펜 왕조 출신의 신성 로마 황제이자 시칠리아 왕국의 왕으로, 교황의 후견 아래 성장하여 제국과 왕국을 다스리며 학문과 예술을 장려했으나 교황과의 갈등, 반란, 전쟁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 - 1250년 사망 - 에리크 4세
에리크 4세는 에스트리센 가 출신으로 1241년부터 1250년까지 덴마크 국왕으로 재위하며 "푼돈 농민왕"이라는 별칭을 얻었으나, 형제들과의 갈등, 농민 반란, 교회와의 분쟁, 특히 슐레스비히 공작 아벨과의 갈등 속에 에스토니아 원정에서 돌아오던 중 암살당했다. - 13세기 수학자 - 라몬 류이
라몬 류이는 마요르카 왕국 출신의 철학자, 신학자, 선교사, 작가로서, 종교 간 대화를 추구하며 '아르스'라는 논리 체계를 개발하고 저술 및 선교 활동을 펼쳤으며, 그의 사상은 후대에 영향을 미쳐 현대에 재평가되고 복자로 시성되었다. - 13세기 수학자 - 구이도 보나티
구이도 보나티는 중세 이탈리아의 점성가로, 점성술 중간점 사용의 선구자이며 몬테펠트로 백작의 군사 작전 성공으로 명성을 얻었고, 《천체론》과 《천문학 책》을 저술했으며, 말년에 프란치스코회 수도사 복장을 한 일화로 논쟁을 일으켰다. - 피보나치 수 - 피보나치 힙
피보나치 힙은 최소 힙 속성을 가진 트리들의 집합으로, 각 노드의 차수를 특정 로그 값 이하로 유지하여 효율적인 삽입, 병합, 최소값 검색 연산을 지원하며, 다익스트라 알고리즘과 같은 그래프 알고리즘의 성능 향상에 활용된다. - 피보나치 수 - 에두아르 뤼카
프랑스 수학자 에두아르 뤼카는 수론, 특히 뤼카 수열을 이용한 소수 판별법 개발과 "대포알 문제" 제시, 하노이 탑 퍼즐 발명 등 레크리에이션 수학 분야에 기여했다.
레오나르도 피보나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레오나르도 피보나치 레오나르도 보나치 레오나르도 피사노 레오나르도 비골로 피사노 |
이름 | 피보나치 |
출생일 | 1170년경 |
출생지 | 피사, 피사 공화국 |
사망일 | 1240년경 ~ 1250년경 |
사망지 | 피사, 피사 공화국 |
직업 | 수학자 |
아버지 | 구글리엘모 "보나치" |
업적 | |
주요 업적 | 산반서 (Liber Abaci) 유럽에 인도-아라비아 숫자 체계 보급 합동수 피보나치 수 피보나치-실베스터 방법 피보나치 방법 |
로마자 표기 | |
영어 발음 | |
추가 정보 | |
참고 | '보나치'는 '선량한'이라는 뜻이며, 전체 이름은 '선량한 가문의 아들'이라는 의미. 피보나치는 "피사의 여행자 레오나르도"라고도 불림. |
2. 생애
레오나르도는 이탈리아 피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굴리엘모는 보나치(Bonacci, "성품이 좋은" 또는 "간단한"이라는 의미)라는 별명으로 불렸다.[46] 레오나르도의 어머니 알렉산드라는 레오나르도가 9살 때 사망했다. 레오나르도는 죽은 후에 피보나치[4]라는 별명을 얻었다. 굴리엘모는 피사의 고문이었기 때문에 오늘날 알제리에 있는 베자이아[47]에 있는 교역소에 배정되었고, 어린 레오나르도는 그곳에서 힌두-아라비아 숫자에 대해서 배웠다.
레오나르도는 프리드리히 2세의 초대를 받았다. 1240년 피사 공화국은 레오나르도 비글로라는 이름으로 그에게 봉급과 영예를 주었다.[20][21][22] 피보나치는 1240년[23]에서 1250년[24] 사이에 피사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레오나르도 피보나치는 1170년경 이탈리아 피사에서 상인이자 세관원이었던 굴리엘모 보나치의 아들로 태어났다.[11] '피보나치'라는 이름은 '보나치의 아들'이라는 뜻의 'filius Bonacci'에서 유래했다. 그의 아버지 굴리엘모는 보나치(Bonacci, "성품이 좋은" 또는 "간단한"이라는 의미)라는 별명으로 불렸다.[41] 레오나르도의 어머니 알레산드라는 그가 9살 때 사망했다.아버지 굴리엘모는 피사의 공무원으로, 오늘날 알제리에 있는 베자이아의 무역 기지에 파견되었다.[16] 어린 피보나치는 아버지를 따라가 그곳에서 힌두-아랍 숫자 체계를 배우게 되었다.[17][6]
피보나치는 지중해 연안을 여행하며 다양한 상인들을 만나 그들의 산술 체계를 배우고,[18] 로마 숫자와 달리 위치 표기법을 사용하여 쉬운 계산을 가능하게 하는 힌두-아라비아 숫자의 장점을 깨달았다.
2. 2. 학문 활동과 업적
피보나치는 1200년경 피사로 돌아와 1202년에 《산반서》(Liber Abaci)를 출간하여 힌두-아라비아 숫자 체계를 유럽에 소개하고, 그 실용성을 널리 알렸다.[19][6] 그는 힌두-아라비아 숫자가 위치 표기법을 사용하여 로마 숫자보다 쉬운 계산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18] 《산반서》는 복식부기, 단위 환산, 이자 계산 등 다양한 분야에 힌두-아라비아 숫자를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여 유럽 지식층에 큰 영향을 미쳤다.[6]피보나치는 프리드리히 2세의 초대를 받아 그의 궁정에서 수학적 재능을 선보였다.[11] 프리드리히 2세의 학자였던 팔레르모의 요한은 피보나치에게 아랍 수학 서적에 기반한 몇 가지 문제를 제시하기도 했다. 1240년 피사 공화국은 피보나치(레오나르도 비골로(Leonardo Bigollo)로 불림)[20]가 도시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하여 그에게 연금을 지급했다.[21][22]
《산반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장 | 내용 |
---|---|
1 | 인도-아라비아 숫자의 읽기와 쓰기 |
2 | 정수의 곱셈 |
3 | 정수의 덧셈 |
4 | 정수의 뺄셈 |
5 | 정수의 나눗셈 |
6 | 정수와 분수의 곱셈 |
7 | 분수와 다른 계산 |
8 | 삼수법, 상품의 시세 |
9 | 환전 |
10 | 합자산 |
11 | 혼합법 |
12 | 문제 해결 |
13 | 가정법 |
14 | 제곱근과 세제곱근 |
15 | 기하학(측량 포함)과 대수학 |
《산반서》에는 "토끼의 출산율에 관한 수학적 해법" 등 여러 문제에 대한 해답도 제시되어 있다. 이 문제의 해답으로 제시된 수열은 후에 피보나치 수열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 수열은 인도 수학자들 사이에서는 6세기부터 알려져 있었지만, 서양에 처음으로 소개한 것은 피보나치의 《산반서》였다.
2. 3. 사망
피보나치는 1240년[23]에서 1250년[24] 사이에 피사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19세기에는 피사에 피보나치의 동상이 세워졌다.[45] 이 동상은 오늘날 피사의 두오모 광장 서쪽 회랑(세계유산)에서 볼 수 있다.[45]3. 주요 저서
피보나치는 중세 시대 수학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한 여러 권의 책을 저술했다.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 《산반서》(Liber Abaci, 1202): 힌두-아라비아 숫자 체계를 유럽에 소개하고, 상업 회계, 이자 계산 등 실용적인 활용을 제시한 책이다. 피보나치 수열을 처음으로 서술했다.
- 《제곱수의 책》(Liber Quadratorum, 1225): 디오판토스 방정식에 관한 책으로, 프리드리히 2세에게 헌정되었다. 콩그루움과 브라마굽타-피보나치 항등식을 다루었다.
- 《기하학 실습》(Practica Geometriae, 1220): 측량, 면적과 부피 측정 등 실용적인 기하학 문제를 다룬 책이다.
- 《꽃》(Flos, 1225): 팔레르모의 요한이 제기한 문제에 대한 해답을 담은 책이다.
그 외에도 상업 산술에 관한 책인 《디 미노르 기사》와 유클리드 원론 제10권에 대한 주석이 있었으나, 현재는 전해지지 않는다.
3. 1. 《산반서》(Liber Abaci, 1202)
Liber Abacila(1202년)에서 피보나치는 "인도인들의 방법"(modus Indorum)이라고 불리는, 오늘날 힌두-아라비아 숫자 체계를 유럽에 소개했다.[25][26] 이 책은 0을 포함한 10개의 숫자와 위치 표기법을 사용했으며, 로마 숫자, 고대 이집트 곱셈 방법을 대체하고 주판을 사용하였다. 상업적인 회계, 무게와 측정 단위 변환, 이자 계산, 환전 및 기타 응용 분야에 적용하여 이 방법의 실용적인 사용과 가치를 보여주었다. 이 책은 유럽 전역의 교육받은 사람들에게 호평을 받았고 유럽 사상에 깊은 영향을 미쳤으며, 사업 계산을 더 쉽고 빠르게 만드는 발전이었으며, 이는 유럽의 은행업과 회계의 성장에 기여했다.[27][28]1202년 원본 필사본은 현존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1228년 필사본에는 숫자 체계를 소개하고 로마 숫자와 같은 다른 체계와 비교하며 숫자를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사업에서의 용도, 예를 들어 다른 통화의 변환 및 이익과 이자 계산(성장하는 은행 산업에 중요)을 설명한다. 이 책은 무리수와 소수에 대해서도 논의한다.[29][27][28]
이 책에서는 "토끼의 출산율에 관한 수학적 해법" 등 여러 문제에 대한 해답도 제시되었다. 이 해답에서 사용된 수열이 후에 피보나치 수열로 알려지게 된 수열이다. 이 수열은 인도 수학자들 사이에서는 6세기부터 알려져 있었지만, 서양에 처음으로 소개한 것은 피보나치가 쓴 Liber Abacila이다.
Liber Abacila는 다음 15장으로 구성된다.
장 | 내용 |
---|---|
1 | 인도-아라비아 숫자의 읽기와 쓰기 |
2 | 정수의 곱셈 |
3 | 정수의 덧셈 |
4 | 정수의 뺄셈 |
5 | 정수의 나눗셈 |
6 | 정수와 분수의 곱셈 |
7 | 분수와 다른 계산 |
8 | 삼수법, 상품의 시세 |
9 | 환전 |
10 | 합자산 |
11 | 혼합법 |
12 | 문제 해결 |
13 | 가정법 |
14 | 제곱근과 세제곱근 |
15 | 기하학(측량 포함)과 대수학 |
3. 2. 《제곱수의 책》(Liber Quadratorum, 1225)
《제곱수의 책(Liber Quadratorum)》은 디오판토스 방정식을 다룬 책으로, 완전제곱수와 관련된 문제들을 다룬다. 특히, 합동수(congruum) 문제와 브라마굽타-피보나치 항등식을 제시했다.3. 3. 《기하학 실습》(Practica Geometriae, 1220)
프락티카 게오메트리아la (1220)는 측량, 면적과 부피의 측정 및 분할, 그리고 실용적인 기하학의 다른 주제들을 다룬 기술들의 백과사전이다 (바나바스 휴즈의 2008년 영어 번역, 스프링거 출판).[25]3. 4. 《꽃》(Flos, 1225)
《꽃》(Flos, 1225)은 팔레르모의 요한이 제기한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시한 책이다.[25]3. 5. 기타 저서
- 리베르 아바키la (1202): 계산에 관한 책으로, 2002년 로렌스 시글러가 영어로 번역하였다.[25]
- ''프락티카 게오메트리아'' (1220): 측량, 면적과 부피의 측정 및 분할 등 실용적인 기하학 기술들을 모아 놓은 책이다. 2008년 바나바스 휴즈가 영어로 번역하여 스프링거에서 출판되었다.
- ''플로스'' (1225): 요하네스 팔레르모가 낸 문제에 대한 답을 담고 있다.
- 리베르 콰드라토룸 ("제곱수의 책"): 디오판토스 방정식에 관한 책으로, 프리드리히 2세에게 헌정되었다. 특히 콩그루움과 브라마굽타-피보나치 항등식을 참조하라.
- ''디 미노르 기사'' (상업 산술에 관한 책으로, 현재는 전해지지 않는다.)
- 유클리드 원론 제10권에 대한 주석 (현재는 전해지지 않는다.)
4. 피보나치 수열
Liber Abacila는 이상적인 가정을 바탕으로 토끼 개체 수 증가와 관련된 문제를 제기하고 그 해답을 제시했다. 각 세대별 토끼 수는 나중에 피보나치 수로 알려진 수열을 이룬다. 피보나치의 Liber Abacila에는 인도 이외 지역에서는 이 수열에 대한 가장 오래된 설명이 담겨 있지만, 이 수열은 이미 6세기 초 인도 수학자들에 의해 설명된 바 있다.[30][31][32][33]
피보나치는 이 수열에서 연속된 숫자 비율의 극한값인 황금비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4. 1. 피보나치 수열의 정의와 성질
피보나치 수열은 앞선 두 항의 합으로 이루어진 수열이다. 세 번째 항은 첫 번째 항과 두 번째 항의 합이고, 네 번째 항은 두 번째 항과 세 번째 항의 합으로 구성된다. 피보나치 수열은 다음과 같다.: 0, 1, 1, 2, 3, 5, 8, 13, 21, 34, 55, 89, 144, 233, …[34][35]
피보나치는 1, 2, 3, ...으로 수열을 시작했지만, 오늘날에는 0과 첫 번째 1을 포함한다.[34][35]
인접한 두 항의 비는 황금비(약 1 : 1.618 또는 약 0.618 : 1)에 수렴한다.
4. 2. 피보나치 수열의 발견과 역사
Liber Abacila는 이상적인 가정을 바탕으로 토끼 개체 수 증가와 관련된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했다. 세대별 해결책은 나중에 피보나치 수로 알려진 수열이었다. 피보나치의 Liber Abacila에는 인도 이외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수열에 대한 설명이 담겨 있지만, 이 수열은 6세기 초 인도 수학자들에 의해 이미 설명되었다.[30][31][32][33]피보나치 수열에서 각 숫자는 이전 두 숫자의 합이다. 피보나치는 오늘날 포함된 "0"과 첫 번째 "1"을 생략하고 1, 2, 3, ...으로 수열을 시작했다. 그는 13번째 항인 233까지 계산했지만, 다른 사본에는 다음 항인 377까지 나와 있다.[34][35] 피보나치는 이 수열에서 연속된 숫자의 비율의 극한값으로서 황금비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
세 번째 항 이후부터 자신이 바로 앞의 두 항의 합과 같아지는 수열을 피보나치 수열이라고 하며, 구체적인 수열은 다음과 같다.
: 0, 1, 1, 2, 3, 5, 8, 13, 21, 34, 55, 89, 144, 233, …
또한, 인접한 두 항의 비는 황금비(약 1 : 1.618 또는 약 0.618 : 1)에 수렴한다.
4. 3. 피보나치 수열의 응용
피보나치 수열은 앞선 두 숫자의 합으로 이루어지는 수열이다. 예를 들어 0, 1, 1, 2, 3, 5, 8, 13, 21, 34, 55, 89, 144, 233... 과 같이 이어진다. 이 수열은 레오나르도 피보나치가 쓴 Liber Abacila라는 책에서 토끼 번식 문제의 해답으로 제시되면서 알려지게 되었다.[30][31][32][33] 피보나치는 0과 1을 제외하고 1, 2, 3부터 시작하는 수열을 소개했지만, 오늘날에는 0과 1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피보나치 수열은 황금비와도 관련이 깊다. 수열에서 연속된 두 항의 비율은 황금비(약 1:1.618 또는 0.618:1)에 점점 가까워진다.
피보나치 수열은 문화예술 분야에서도 다양하게 응용된다.
- 1982년부터 1987년까지 로스앤젤레스를 중심으로 활동한 아트 록 그룹 "더 피보나치스(The Fibonaccis)"가 있다.
- 댄 브라운의 소설 『다빈치 코드』에서는 피보나치 수열이 암호로 등장한다.
- 테아 베크만의 소설 『청바지 속의 십자군』에서는 젊은 시절의 피보나치가 주요 인물로 등장한다. (단, 2006년 영화에서는 생략됨)
- 매슈 라일리의 소설 『얼음 기지』에서는 피보나치 수열이 암호로 사용된다.
- 1982년 클레티 천문대에서 발견된 소행성에는 피보나치를 기념하여 6765 피보나치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5. 영향 및 유산
피보나치는 중세 시대 수학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업적은 오늘날까지도 높이 평가받고 있다.
19세기에 피사에는 피보나치의 동상이 세워졌다. 이 동상은 현재 피사의 경이 광장에 있는 역사적인 묘지인 캄포산토 모누멘탈레의 서쪽 회랑에 위치해 있다.[1][36]
피보나치 수와의 연관성 때문에 브라마굽타-피보나치 항등식, 피보나치 탐색 기법, 피사노 주기 등 피보나치의 이름을 딴 여러 수학적 개념들이 존재한다. 수학 분야를 넘어, 소행성 6765 피보나치와 아트 록 밴드 더 피보나치스 등도 피보나치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피보나치 수열은 처음 두 항이 0과 1이고, 세 번째 항 이후부터는 바로 앞의 두 항을 더한 값으로 이루어진 수열이다. (예: 0, 1, 1, 2, 3, 5, 8, 13, 21, 34, 55, 89, 144, 233, …) 또한, 인접한 두 항의 비율은 황금비(약 1 : 1.618 또는 0.618 : 1)에 가까워진다.
피보나치의 업적과 피보나치 수열은 대한민국의 수학 교육 과정에도 포함되어 있으며, 학생들은 피보나치 수열의 개념과 활용 사례를 학습한다. 대한민국에서도 피보나치 수열과 황금비는 자연, 예술,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디자인, 예술 작품 창작 등에 영감을 주고 있다.
5. 1. 현대 사회에 미친 영향
19세기에 피사에 피보나치의 동상이 세워졌다. 오늘날 그 동상은 피사의 경이 광장에 있는 역사적인 묘지인 캄포산토 모누멘탈레의 서쪽 회랑에 위치해 있다.[1][36]피보나치 수와의 연관성 때문에 피보나치의 이름을 딴 많은 수학적 개념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브라마굽타-피보나치 항등식, 피보나치 탐색 기법, 피사노 주기 등이 있다. 수학 분야를 넘어, 소행성 6765 피보나치와 아트 록 밴드 더 피보나치스 등도 피보나치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피보나치 수열은 세 번째 항 이후부터 자신이 바로 앞의 두 항의 합과 같아지는 수열이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0, 1, 1, 2, 3, 5, 8, 13, 21, 34, 55, 89, 144, 233, …
또한, 인접한 두 항의 비는 황금비(약 1 : 1.618 또는 약 0.618 : 1)에 수렴한다.
피보나치의 이름을 딴 것들은 다음과 같다.
- 1982년부터 1987년까지 로스앤젤레스를 중심으로 활동한 아트 록 그룹 "더 피보나치스"가 있다.
- 댄 브라운의 베스트셀러 『다 빈치 코드』에서 배의 잠금장치를 여는 암호가 피보나치 수열이었다.
- 1973년 테아 베크만의 소설 『청바지 속의 십자군』에서는 젊은 시절의 피보나치가 주요 등장인물 중 한 명이었으나, 2006년 영화화 과정에서 생략되었다.
- 1998년 매슈 라일리의 소설 『얼음 기지』에서는 스텔스기 탑승 암호로 피보나치 수열이 사용되었다.
- 피보나치를 기념하여 1982년 라디슬라프 브로체크가 클레티 천문대에서 발견한 소행성에 6765 피보나치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5. 2. 대한민국에 미친 영향
피보나치의 업적과 피보나치 수열은 대한민국의 수학 교육 과정에도 포함되어 있으며, 학생들은 피보나치 수열의 개념과 활용 사례를 학습한다. 대한민국에서도 피보나치 수열과 황금비는 자연, 예술,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디자인, 예술 작품 창작 등에 영감을 주고 있다.참조
[1]
웹사이트
Fibonacci's Statue in Pisa
http://www.epsilones[...]
Epsilones.com
2010-08-02
[2]
서적
The Hindu–Arabic Numerals
https://books.google[...]
Ginn and Company
2016-03-02
[3]
사전
Fibonacci, Leonardo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Fibonacci series
https://www.collinsd[...]
[5]
사전
Fibonacci number
Merriam-Webster
2019-06-23
[6]
웹사이트
Leonardo Pisano Fibonacci
http://www-history.m[...]
www-history.mcs.st-and.ac.uk
2018-12-22
[7]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Mathematics
Brooks Cole
[8]
서적
Finding Fibonacci: The Quest to Rediscover the Forgotten Mathematical Genius Who Changed the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9]
서적
Great Calculations: A Surprising Look Behind 50 Scientific Inquiries
https://books.google[...]
Prometheus Books
2015-07-07
[10]
서적
The Man of Numbers: Fibonacci's Arithmetic Revolution
A&C Black
[11]
서적
The Golden Ratio: The Story of Phi, the World's Most Astonishing Number
https://books.google[...]
Broadway Books
2018-12-19
[12]
서적
Fibonacci, his numbers and his rabbits
https://nrc-publicat[...]
Choven Pub
2010
[13]
웹사이트
Fibonacci Numbers
http://www.halexandr[...]
2015-04-29
[14]
웹사이트
Leonardo Pisano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15]
간행물
Acharya Hemachandra and the (so called) Fibonacci Numbers
[16]
간행물
New editorial perspectives in Fibonacci's Liber abaci
http://www.rmoa.unin[...]
[17]
서적
Medieval Science, Technology, and Medicine: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12-07
[18]
간행물
New editorial perspectives in Fibonacci's Liber abaci
http://www.rmoa.unin[...]
[19]
서적
Leonardo Pisano's book of calculation
Springer-Verlag
[20]
웹사이트
Sources in Recreational Mathematics: An Annotated Bibliography
https://web.archive.[...]
2004-03-18
[21]
뉴스
A man to count on
https://www.theguard[...]
2002-11-07
[22]
간행물
Memoria unica sincrona di Leonardo Fibonacci, novamente scoperta
[23]
서적
Fibonacci and Lucas Numbers with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5-12-12
[24]
서적
Encyclopédia of Mathematics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5-12-12
[25]
서적
Fibonacci's Liber Abaci
Springer-Verlag
[26]
문서
Grimm 1973
[27]
웹사이트
Fibonacci: The Man Behind The Math
https://www.npr.org/[...]
2015-08-29
[28]
웹사이트
The Man of Numbers: Fibonacci's Arithmetic Revolution [Excerpt]
http://www.scientifi[...]
2015-08-29
[29]
웹사이트
The Man Behind Modern Math
http://www.barrons.c[...]
2015-08-28
[30]
논문
The so-called fibonacci numbers in ancient and medieval India
[31]
서적
Toward a Global Science
https://archive.org/[...]
Indiana University Press
[32]
서적
The Art of Computer Programming: Generating All Trees – History of Combinatorial Generation; Volume 4
https://books.google[...]
Addison-Wesley
2020-11-11
[33]
간행물
Math for poets and drummers
http://www.sju.edu/~[...]
[34]
OEIS
Fibonacci Numbers
[35]
서적
Scritti: Il Liber Abbaci
https://books.google[...]
Tip. delle Scienze Fisiche e Matematiche
1857-01-01
[36]
웹사이트
The Man of Numbers: In Search of Leonardo Fibonacci
https://www.maa.org/[...]
2018-12-21
[37]
서적
The Hindu-Arabic Numerals
[38]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Mathematics
Brooks Cole
[39]
웹사이트
Fibonacci | Biography, Sequence,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06-09-18
[40]
간행물
Acharya Hemachandra and the (so called) Fibonacci Numbers
[41]
웹사이트
フィボナッチとは? 意味や使い方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42]
웹사이트
Prologus of the Liber Ab(b)aci
https://wikisource.o[...]
[43]
문서
Sources in Recreational Mathematics: An Annotated Bibliography
http://www.g4g4.com/[...]
2004-03-18
[44]
웹사이트
Eight hundred years young
https://faculty.evan[...]
[45]
웹사이트
Fibonacci's Statue in Pisa
http://www.epsilones[...]
2013-11-02
[46]
문서
Filius Bonacci
[47]
문서
바바레스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