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날도 비그노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이날도 비그노네는 아르헨티나의 군인으로, 1982년부터 1983년까지 아르헨티나 대통령을 역임했다. 그는 군사 쿠데타에 참여하여 육군 중장으로 진급했으며, 군사 정권 말기에 집권하여 '더러운 전쟁'에 관여했다.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언론 통제와 경제 정책 실패로 비판받았으며, 민주주의로의 이행을 겪었다. 퇴임 후, 인권 침해 혐의로 여러 차례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 2018년 9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헨티나의 범죄인 - 후안 도밍고 페론
후안 도밍고 페론은 아르헨티나의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1946년과 1973년 두 차례 대통령을 역임하며 사회 정의와 자립 경제를 추구했으나, 언론 탄압과 쿠데타로 실각하기도 했으며, 그의 사후에도 페론주의는 아르헨티나 정치에 영향을 미친다. - 아르헨티나의 범죄인 - 카를로스 메넴
아르헨티나의 정치인 카를로스 메넴은 라 리오하 주지사를 거쳐 대통령을 역임하며 신자유주의 정책으로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사회적 불평등 심화, 부정부패 논란, 테러 사건 미흡 대처 등으로 비판받았고, 그의 재임 기간은 논쟁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 아르헨티나의 장군 - 호세 데 산마르틴
호세 데 산마르틴은 남아메리카 독립을 이끈 아르헨티나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스페인 군 복무 후 독립 운동에 참여하여 칠레와 페루의 독립을 쟁취했으며, 과야킬 회담 이후 은퇴하여 프랑스에서 사망했지만 남미에서 그의 공헌을 기리고 있다. - 아르헨티나의 장군 - 후안 도밍고 페론
후안 도밍고 페론은 아르헨티나의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1946년과 1973년 두 차례 대통령을 역임하며 사회 정의와 자립 경제를 추구했으나, 언론 탄압과 쿠데타로 실각하기도 했으며, 그의 사후에도 페론주의는 아르헨티나 정치에 영향을 미친다. - 아르헨티나의 대통령 - 후안 도밍고 페론
후안 도밍고 페론은 아르헨티나의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1946년과 1973년 두 차례 대통령을 역임하며 사회 정의와 자립 경제를 추구했으나, 언론 탄압과 쿠데타로 실각하기도 했으며, 그의 사후에도 페론주의는 아르헨티나 정치에 영향을 미친다. - 아르헨티나의 대통령 - 카를로스 메넴
아르헨티나의 정치인 카를로스 메넴은 라 리오하 주지사를 거쳐 대통령을 역임하며 신자유주의 정책으로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사회적 불평등 심화, 부정부패 논란, 테러 사건 미흡 대처 등으로 비판받았고, 그의 재임 기간은 논쟁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 레이날도 비그노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출생 이름 | 레이날도 베니토 안토니오 비그노네 |
| 출생일 | 1928년 1월 21일 |
| 출생지 | 모론, 아르헨티나 |
| 사망일 | 2018년 3월 7일 |
| 사망지 | 부에노스아이레스, 아르헨티나 |
| 배우자 | 닐다 라켈 벨렌 (1953년 1월 8일 결혼, 2013년 3월 13일 사별) |
| 자녀 | 크리스티나 라켈 마벨 베아트리스 카를로스 다니엘 |
| 별칭 | (없음) |
| 정치 경력 | |
| 직책 | 아르헨티나 대통령 |
| 대수 | 48대 |
| 임기 시작 | 1982년 7월 1일 |
| 임기 종료 | 1983년 12월 10일 |
| 임명자 | 군사 정부 |
| 부통령 | (없음) |
| 전임자 | 알프레도 오스카르 생장 (임시) |
| 후임자 | 라울 알폰신 |
| 군사 경력 | |
| 군종 | 육군 |
| 복무 기간 | 1947년 – 1981년 |
| 계급 | [[File:General de División, Charretera de (pre 1991).png|35px]] 사단장 (1991년 이전 견장) |
| 부대 | (알 수 없음) |
| 지휘 | (알 수 없음) |
| 훈장 | (알 수 없음) |
| 기타 정보 | |
![]() | |
2. 생애 초기와 가족
레이날도 비그노네는 1928년 대 부에노스 아이레스 지역의 모론에서 유럽계 이민자 혈통의 부모에게서 태어났다. 19세에 아르헨티나 육군에 입대하여 군인의 길을 걷기 시작했으며, 아르헨티나 전쟁 고등 학교와 프랑코 시대의 스페인에서 군사 교육을 받았다. 이후 닐다 라켈 벨렌 에체베리와 결혼하여 세 자녀를 두었다.[1]
2. 1. 출생 및 가계
비그노네는 1928년 현재 대 부에노스 아이레스 지역에 속하는 모론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지브롤터와 프랑스계 혈통의 아델라이 다 마리아(결혼 전 성은 라마욘)였고, 아버지는 이탈리아 및 독일계 혈통의 레이날도 레네 비그노네였다.그는 닐다 라켈 벨렌 에체베리와 결혼했으며, 그녀는 2013년에 사망했다. 부부 사이에는 세 자녀를 두었다.[1]
2. 2. 군 경력
19세에 아르헨티나 육군 보병으로 입대했다. 전쟁 고등 학교에서 공부했으며, 프랑코 시대의 스페인에서 군사 교육을 받았다. 1964년에는 제6보병 연대장으로 임명되었다.이후 아르헨티나 육군 중장으로 진급했으며, 호르헤 라파엘 비델라 등이 주도한 군사 쿠데타에 참여했다. 1981년 로베르토 에두아르도 비올라가 군사 정권의 대통령으로 취임하면서 퇴역했다. 그러나 레오폴도 갈티에리가 포클랜드 전쟁 패배의 책임을 지고 물러나자, 후임으로 대통령에 취임했다.
그는 군사 정권 시기, 특히 정권 말기에 자행된 더러운 전쟁으로 불리는 탄압에 깊이 관여한 인물 중 한 명이다. 이러한 과거 행적으로 인해 민정 이양 후 법정에 서게 되었다. 2012년 4월, 56명을 유괴하고 고문한 혐의로 금고 25년의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 같은 해 7월에는 정치범의 자녀를 납치하고 은닉한 죄목으로 금고 15년 형이 추가되었다.[24]
2. 3. 결혼과 자녀
그는 2013년에 사망한 닐다 라켈 벨렌 에체베리와 결혼했다. 부부는 세 자녀를 두었다.[1]3. 대통령 재임 (1982년-1983년)
레이날도 비그노네는 1982년 7월부터 아르헨티나의 민주주의가 회복된 1983년 12월까지 군사 정부에 의해 임명된 마지막 아르헨티나 대통령이었다. 그의 임기는 말비나스 전쟁 패배 이후 극심한 정치적, 경제적 혼란 속에서 시작되었다.
비그노네 정권은 약화된 군부의 위상, 장기간 지속된 더러운 전쟁의 후유증, 심각한 경제 위기, 그리고 거세지는 민주화 요구에 직면했다. 그는 제한적인 언론의 자유를 허용하는 등 일부 유화 조치를 취하기도 했으나, 이는 오히려 정권에 대한 비판 여론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낳았다.[5] 경제적으로는 높은 인플레이션과 외채 문제 해결을 위해 여러 정책을 시도했지만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으며, 노동계의 불만과 파업은 계속되었다.[6][7]
결국 비그노네는 거센 국민적 저항과 정치적 압력 속에서 민주 선거 실시를 결정했다. 1983년 10월 치러진 총선에서 급진시민연합(UCR)의 라울 알폰신이 승리했고, 같은 해 12월 알폰신에게 정권을 이양함으로써 아르헨티나의 오랜 군사 독재 시대는 막을 내렸다.[5] 비그노네는 군사 정권의 마지막 대통령으로서 민주주의로의 이행 과정을 관리했지만, 동시에 더러운 전쟁 기간 동안 자행된 인권 탄압의 책임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다.[24][25]
3. 1. 정치 정책
아르헨티나 육군에서 중장으로 승진한 후, 호르헤 라파엘 비델라 등이 주도한 군사 쿠데타에 참여했다. 1981년 로베르토 에두아르도 비올라가 군사 정권의 대통령으로 취임하자 퇴역했으나, 비올라를 몰아내고 대통령이 된 레오폴도 갈티에리가 말비나스 전쟁 패배의 책임을 지고 해임되자 그 후임으로 대통령에 취임했다.대통령 재임 중, 비그노네는 언론에 불편함을 드러냈으며 그의 언론 발표는 선거 실시 여부에 대한 의문을 남겼다. 그는 특정 언론의 자유 제한을 완화하기도 했는데, 이는 오히려 정권에 대한 비판 여론을 드러내는 결과를 낳았고 가판대에는 정권을 풍자하는 출판물이 넘쳐났다. 일례로 1983년 1월 발행된 ''유머''(Hum®) 잡지는 아르헨티나 육군 참모총장 크리스티노 니콜라이데스 장군을 만화로 풍자했다는 이유로 압수되기도 했다.[5]
당시 아르헨티나 군의 구심력은 크게 약화되었고, 오랜 군사 정권에 대한 국민적 저항도 거셌다. 이에 비그노네는 처음에는 1984년 3월에 선거를 실시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국민들의 반발이 계속되고 정권 유지 동력을 상실하자, 결국 선거를 1983년 10월로 앞당겨 실시했다. 같은 해 12월, 선거에서 승리한 라울 알폰신에게 정권을 이양하며 민정 이관이 이루어졌고, 비그노네는 아르헨티나 현대사에서 군사 정권 시대의 마지막 국가 원수가 되었다.
그는 군사 정권 말기의 대통령으로서, 장기간 자행된 인권 탄압, 이른바 더러운 전쟁에도 깊이 관여했다. 이로 인해 2012년 4월, 56명을 유괴하고 고문한 혐의로 금고 25년 형을 선고받았으며, 같은 해 7월에는 정치범의 어린이를 약취하고 은닉한 죄목으로 금고 15년 형이 추가되었다.[24] 비그노네는 2018년 3월 7일 군 병원에서 9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5]
3. 2. 경제 정책
비그노네는 도밍고 카발로를 아르헨티나 중앙은행 총재로 임명했다. 카발로는 이전 정부로부터 수십억 달러 규모의 민간 부채를 페소 가치 하락으로부터 보호하는 외채 할부 보증 프로그램을 이어받았는데, 이는 아르헨티나 재무부에 막대한 손실을 초래했다. 카발로는 지불 물가 연동제와 같은 통제 조치를 시행했으나, 이러한 조치와 함께 이전 군사정권의 경제 정책 중 하나였던 원형 1050 규정을 철회하면서 금융 부문의 반발을 샀다. 결국 카발로와 다그니노 파스토레 경제부 장관은 그해 8월에 경질되었다.비그노네 정부의 새로운 중앙은행 총재로 임명된 훌리오 곤살레스 델 솔라르는 카발로가 시행했던 통제 조치 대부분을 폐지하고,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민간 부문의 외채를 중앙은행으로 이전시키는 조치를 단행했다. 하지만 금융계의 반발을 샀던 '원형 1050' 규정을 복원하지는 않았다.[6][7]
한편, 지난 6년간 간헐적으로 이어진 임금 동결 정책으로 인해 실질 임금은 페론 집권 시기보다 거의 40%나 하락한 상태였고, 이는 노동계의 불만을 증폭시켰다. 비그노네가 파업권을 포함한 제한적인 언론 및 집회의 자유를 일부 허용하기로 결정하자 파업 활동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특히 새롭게 활동을 재개한 CGT의 지도자 사울 우발디니는 노동 운동을 적극적으로 이끌었다. 비그노네 정부의 새로운 경제부 장관 호르헤 웨베는 은행 경영진 출신으로, 노동계의 압력에 밀려 1982년 말 두 차례에 걸쳐 대규모 의무 임금 인상을 마지못해 승인했다. 그러나 경제 상황 악화와 정치적 불안정 속에서 즉각적인 민주 선거를 요구하는 목소리는 더욱 커져 대통령 집무실인 카사 로사다 앞에서 시위가 빈번하게 발생했다. 1982년 12월 16일에 열린 시위에서는 시위 참가자 한 명이 목숨을 잃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7]
3. 3. 민주주의로의 이행
레오폴도 갈티에리가 말비나스 전쟁 패전으로 실각하자 후임으로 대통령에 취임했지만, 당시 군의 영향력은 크게 약화된 상태였다. 오랜 군사 정권에 대한 국민적 반감도 극심해져, 비그노네는 처음에는 1984년 3월에 선거를 실시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국민들의 저항이 계속되고 정권 유지 동력을 상실하자, 결국 선거 일정을 1983년 10월로 앞당겼다.[5]비그노네 집권기 아르헨티나 경제는 심각한 어려움을 겪었다. 1982년 7월 임금 동결이 해제되고 순환 1050호가 철회된 후 잠시 회복세를 보였으나, 40억달러가 넘는 대외 부채 이자 부담, 자본 도피, GDP의 약 10%에 달하는 재정 적자 등으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급등했다. 1982년 200%였던 인플레이션은 1983년에는 400%에 육박했다. 호르헤 웨베 경제부 장관은 1983년 6월, 가치가 폭락한 페소 레이를 대체하기 위해 10,000대 1 비율로 새로운 통화인 아르헨티나 페소를 도입했다. 이 조치로 국제 채권단으로부터 일부 양보를 얻어냈지만 인플레이션을 잡는 데는 실패했고, 경제는 1983년 하반기에 다시 침체 국면에 들어섰다.[8] 그럼에도 비그노네 집권 전 18개월 동안 경제가 약 12% 위축되었던 것에 비해, 그의 18개월 임기 동안에는 약 4%의 회복세를 보이기도 했다.[9]
선거 국면에서 비그노네는 특정 후보를 지지하는 듯한 인상을 주지 않으려 노력했다. 이는 과거 독재자 페드로 아람부루 장군이 저질렀던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함이었다. 그는 문서 파쇄나 새로운 임금 지침 발표 등 체면을 살리는 조치들을 감독했다.[9] 한편, 포클랜드 전쟁에 반대했던 중도 성향의 급진 시민 연합(UCR) 소속 라우울 알폰신이 7월에 당 대선 후보로 선출되었다. 당시 UCR 내 다른 세력이나 타 정당들은 전쟁 반대에 미온적이었다. UCR의 주요 경쟁 상대인 정의당(페론주의)은 이사벨 페론 집권기의 부정적 기억과 후보 선출을 둘러싼 내부 갈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5]
짧고 치열한 선거 운동 끝에 치러진 1983년 아르헨티나 총선에서 UCR의 알폰신은 정의당 후보 이탈로 루데르를 12% 차이로 누르고 승리했다. 루데르는 1975년 강압적인 조치에 서명했던 전력 때문에, 향후 조사를 피하기 위해 비그노네와 일종의 '신사 협정'을 맺었다는 의혹에서 자유롭지 못했다.[5] 1983년 12월, 라울 알폰신에게 정권이 이양되면서 민주 정부가 출범했고, 비그노네는 아르헨티나 군사 정권 시대의 마지막 국가 원수가 되었다.
4. 퇴임 이후와 죽음
라울 알폰신 대통령은 1985년 군사재판을 추진했으나, 비그노네는 이 재판에서 책임을 면했다. 민사 재판의 가능성은 열려 있었지만, 군부의 압력으로 인해 1987년 초 알폰신 대통령이 직접 서명한 법령으로 이마저도 가로막혔다.
퇴임 후 비그노네는 자신의 짧은 재임 기간에 대한 회고록 El último de facto|엘 울티모 데 팍토es (마지막 사실상의)를 2003년에 출판했으나, 이 책은 더러운 전쟁 시기 자행된 만행을 외면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같은 해, 프랑스 언론인이자 영화 제작자인 마리-모니크 로빈이 감독한 다큐멘터리 영화 Escadrons de la mort: l'ecole francaise|에스카드롱 드 라 모르: 레콜 프랑세즈프랑스어(죽음의 비행대대: 프랑스 학교)에서 비그노네와 다른 두 명의 전직 장성이 더러운 전쟁 동안 자신들의 행동을 옹호하는 발언을 하여 아르헨티나 사회에 큰 분노를 일으켰다. 이에 당시 네스토르 키르치네르 대통령은 군에 "독재 정권의 범죄를 정당화한 혐의"로 이들을 기소하라고 명령했다.
이후 비그노네는 더러운 전쟁 기간 동안 자행된 납치, 고문, 살인, 영아 약취 등 반인륜적 범죄 혐의로 여러 차례 기소되어 재판을 받았다. 콘도르 작전에 가담한 혐의 등으로도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 종신형을 포함한 여러 형을 선고받고 복역하였다. 그는 2018년 3월 7일, 군 병원에서 9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5]
4. 1. 재판과 유죄 판결

라울 알폰신 대통령 재임 중이던 1985년 군사재판이 진행되었으나, 이 재판은 비그노네에게 책임을 묻지 않았다. 다만 민사 재판의 가능성은 열어두었지만, 이마저도 군부의 압력으로 인해 1987년 초 알폰신 대통령이 서명한 법령에 의해 가로막혔다.
1999년 1월, 법원은 실종된 여성들에게서 태어난 아기들을 빼앗아 정부와 연계된 가족에게 보낸 사건과 관련된 재판을 다시 시작했다. 비그노네는 자신의 짧은 재임 기간을 다룬 회고록 ''El último de facto''(마지막 사실상의)를 2003년에 출판했으나, 이 책은 더러운 전쟁 시기 자행된 만행을 외면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같은 해, 프랑스 언론인이자 영화 제작자인 마리-모니크 로빈이 감독한 다큐멘터리 영화 ''Escadrons de la mort: l'ecole francaise''(죽음의 비행대대: 프랑스 학교) (2003)에서 비그노네와 다른 두 명의 장군이 더러운 전쟁 동안의 자신들의 행동을 옹호하는 발언을 해 아르헨티나 국민들의 큰 분노를 샀다. 이에 네스토르 키르치네르 당시 대통령은 군에 "독재 정권의 범죄를 정당화한 혐의"로 이 세 명을 기소하라고 명령했다.
2006년 10월, 비그노네는 고령을 이유로 가택 연금 조치를 받았으나, 2007년 3월 다시 체포되어 부에노스 아이레스 외곽의 군사 기지에 수감되었다. 이는 포사다스 병원 재판에서의 만행과 약 500명의 실종된 임산부에게서 태어난 영아를 유괴하여 불법적으로 거래한 혐의 등 과거 인권 침해 사건에 대한 조사의 일환이었다. 이러한 범죄들은 반인륜적 범죄로 간주되어 공소시효가 적용되지 않았다.
이후 비그노네는 여러 차례의 재판을 통해 다음과 같은 유죄 판결을 받았다.
| 선고 일자 | 혐의 내용 | 형량 | 관련 장소/사건 |
|---|---|---|---|
| 캄포 데 마요 군사 기지에서 자행된 납치, 고문, 살인 (56명) | 25년형 | 캄포 데 마요 | |||
| 반인륜적 범죄 | 종신형 | - | |||
| 1976년 군사 쿠데타 당시 병원 내 비밀 고문 시설 설치 (반인륜적 범죄) | 15년형 | 포사다스 병원 | |||
| 군사 정권에 의해 구금된 부모로부터 아기를 훔쳐 정권 지지자들에게 넘긴 계획 가담 (미성년자 절도, 억류 및 은폐, 신원 변경 공범) | 15년형 | 영아 약취 사건 | |||
| 콘도르 작전 가담 (우루과이인 45명, 칠레인 22명, 파라과이인 13명, 볼리비아인 11명 등 총 105명 살해 포함) | 20년형 | 콘도르 작전 |
비그노네는 2018년 3월 7일 오전,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군 병원에서 엉덩이 골절 치료 중 울혈성 심부전으로 9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5]。
4. 2. 사망
비그노네는 2018년 3월 7일 오전 부에노스 아이레스에서 울혈성 심부전으로 9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5] 그는 사망 직전 엉덩이 골절로 군 병원에 입원해 있었다.참조
[1]
뉴스
Reynaldo Bignone, Argentina's Last Military Dictator, Dies at 90
https://www.nytimes.[...]
2018-03-09
[2]
뉴스
Reynaldo Bignone, last leader of Argentina's murderous junta, dies at 90
https://www.washingt[...]
2018-03-07
[3]
웹사이트
Reynaldo Bignone, el dictador que ordenó destruir toda la documentación sobre los desaparecidos
https://www.clarin.c[...]
2018-03-07
[4]
웹사이트
Reynaldo Bignone, el dictador que ordenó destruir toda la documentación sobre los desaparecidos
https://www.clarin.c[...]
2018-03-07
[5]
웹사이트
Reynaldo Bignone – Año 1983
https://www.todo-arg[...]
[6]
웹사이트
CEMA
http://www.cema.edu.[...]
[7]
웹사이트
Reynaldo Bignone – Año 1982
https://www.todo-arg[...]
[8]
웹사이트
INDEC
http://www.indec.mec[...]
2008-11-18
[9]
웹사이트
Economy Ministry
http://www.mecon.gov[...]
2013-10-19
[10]
웹사이트
Raul Alfonsín – Presidente 1983 -1989
https://www.todo-arg[...]
[11]
웹사이트
"Harper's Magazine"
http://www.harpers.o[...]
[12]
웹사이트
Bignone declaró y quedó preso en Campo de Mayo
https://www.clarin.c[...]
1999-01-21
[13]
문서
J. Patrice McSherry, Review: ''Death Squadrons: The French School.'' Directed by Marie-Monique Robin.
https://muse.jhu.edu[...]
[14]
웹사이트
Página/12 :: El país :: "Estaban de acuerdo"
https://www.pagina12[...]
[15]
웹사이트
Condenan a 25 años de cárcel a Reynaldo Bignone, el último dictador argentino | Argentina | elmundo.es
https://www.elmundo.[...]
[16]
뉴스
25 Years for Leader of Argentine Dictatorship
https://www.nytimes.[...]
2010-04-20
[17]
웹사이트
Argentine's Last Dictator Reynaldo Bignone Sentenced to Life in Prison for Crimes Against Humanity
http://www.hispanica[...]
hispanicallyspeakingnews.com
2011-04-16
[18]
뉴스
Argentina Former Military Dictator Gets Life
https://www.bbc.com/[...]
2011-04-14
[19]
뉴스
Argentine dictator convicted of 1976 torture in hospital
https://www.usatoday[...]
USA Today
2011-12-29
[20]
뉴스
Former dictators found guilty in Argentine baby-stealing trial
http://www.cnn.com/2[...]
CNN
2012-07-05
[21]
뉴스
Argentina's last military dictator jailed for role in international death squad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6-05-27
[22]
뉴스
Operation Condor: Former Argentine Junta Leader Jailed
https://www.bbc.com/[...]
2016-05-28
[23]
웹사이트
Murió Reynaldo Bignone, el último presidente de la dictadura
https://www.infobae.[...]
Infobae
2018-03-07
[24]
뉴스
軍事独裁下で赤ん坊を奪った罪で元大統領に禁錮50年、アルゼンチン
http://www.cnn.co.jp[...]
CNN
2012-07-06
[25]
뉴스
Argentina's 'baby theft general' Reynaldo Bignone dies
http://www.bbc.co.uk[...]
2018-03-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