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디 왕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디 왕조는 1451년부터 1526년까지 델리 술탄국을 지배한 아프간계 왕조이다. 바흘룰 로디가 사이이드 왕조를 계승하여 로디 왕조를 건국했으며, 시칸다르 로디는 중앙 집권 정책과 경제 개혁을 통해 왕조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마지막 술탄 이브라힘 로디는 바부르와의 파니파트 전투에서 패배하여 사망하면서 로디 왕조는 멸망하고 무굴 제국이 인도에 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세기 인도 - 레디 왕국
    14세기 초 안드라 지방에서 텔루구족 레디 가문이 세운 레디 왕국은 카카티야 왕조 멸망 후 프롤라야 베마 레디가 델리 술탄 왕조에 맞서 독립을 쟁취하여 건설되었으며, 요새 건축 기술과 힌두교 문화 후원, 그리고 텔루구 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 델리 술탄국 - 사이이드 왕조
    사이이드 왕조는 1414년부터 1451년까지 델리 지역을 통치한 투르크-인도 계통의 왕조로, 히즈르 칸이 건국하여 티무르 제국의 봉신을 자처하며 명맥을 유지하다가 무바라크 샤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쇠퇴하여 알람 샤 시대에 로디 왕조에게 멸망했다.
  • 델리 술탄국 - 투글루크 왕조
    투글루크 왕조는 1320년부터 1414년까지 델리 술탄국을 통치했으며, 튀르크 계통으로 추정되고, 기야스 웃 딘 투글루크가 할지 왕조를 몰아내고 건국했으나, 티무르의 침략으로 멸망했다.
  • 무슬림 왕조 - 셀주크 제국
    11세기 중반에 건국된 셀주크 제국은 투르크계 제국으로, 투으룰의 술탄 책봉 후 이슬람 세계의 주요 세력이 되었으나, 말리크샤 1세 사후 쇠퇴하여 1194년 붕괴되었고, 페르시아-투르크 문화 융합에 기여했다.
  • 무슬림 왕조 - 오스만 제국
    오스만 제국은 오스만 1세가 건국하여 쉴레이만 1세 때 전성기를 맞이한 튀르크계 이슬람 제국으로, 제1차 세계 대전 패배 후 튀르키예 공화국으로 대체되기까지 밀레트 제도를 통해 다원적인 사회 구조를 유지했다.
로디 왕조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국명 (일반명칭)로디 왕조
고유 명칭(페르시아어)
영어 명칭Lodi dynasty
존속 기간1451년 ~ 1526년
성립일1451년 4월 19일
멸망일1526년 4월 21일
멸망 계기제1차 파니파트 전투
이전 국가사이이드 왕조
이후 국가무굴 제국
수도델리
종교수니파 이슬람교
공용어힌드비어(고대 힌디어), 페르시아어 (궁정, 세입 기록)
지도
로디 왕조 지도
로디 왕조의 영토를 보여주는 지도
정치
정치 체제군주제
통치자 칭호술탄
역대 술탄
초대 술탄바흘울 로디 (1451년 ~ 1489년)
2대 술탄시칸다르 로디 (1489년 ~ 1517년)
마지막 술탄이브라힘 로디 (1517년 ~ 1526년)

2. 역사

사이이드 왕조의 통치가 끝난 후, 아프가니스탄인(또는 투르크-아프간계) 출신의 로디 왕조가 델리 술탄국의 새로운 지배 세력이 되었다. 왕조의 창시자인 바흘룰 로디(재위 1451년 ~ 1489년)는 본래 펀자브 지방의 유력한 지도자였으며, 1451년 델리의 마지막 사이이드 왕조 통치자로부터 평화적으로 술탄 자리를 넘겨받아 왕조를 열었다.[5][18] 그는 아프간 부족 세력을 기반으로 세력을 확장했으며, 특히 동쪽의 강력한 경쟁자였던 자운푸르 술탄국을 정복하여 왕조의 기틀을 다졌다.[20]

바흘룰의 뒤를 이은 아들 시칸다르 로디(재위 1489년 ~ 1517년)는 로디 왕조의 전성기를 이끌었다.[21][22] 그는 1504년 아그라를 건설하고 이후 수도를 옮겼으며[7][23], 행정 및 경제 개혁을 통해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고자 노력했다. 또한 학문과 예술을 후원하여 문화적으로도 번영을 이루었으나[8][23], 한편으로는 힌두교 사원을 파괴하고 비무슬림에 대한 강경한 종교 정책을 펼치기도 했다. 그의 통치 아래 비하르 지역이 완전히 술탄국에 편입되었다.[9]

시칸다르의 아들 이브라힘 로디(재위 1517년 ~ 1526년)는 델리 술탄국의 마지막 로디 왕조 술탄이었다.[10] 그는 아버지의 중앙집권 정책을 이어가려 했으나, 귀족들의 반발과 내부 분열에 직면했다. 또한, 무역로 단절과 국고 고갈[13], 메와르 왕국과의 전쟁 패배[23] 등으로 왕조는 점차 쇠퇴하였다. 결국 펀자브 총독 다울라트 칸 로디 등 내부 세력의 배신과 티무르 제국카불 통치자 바부르의 침공으로 위기를 맞았다. 1526년 파니파트 전투에서 이브라힘 로디는 바부르가 이끄는 군대에게 결정적으로 패배하고 전사했으며[10][25], 이 전투를 끝으로 로디 왕조는 멸망하고 인도에는 무굴 제국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11]

2. 1. 건국과 바흘룰 로디의 통치 (1451년 ~ 1489년)

사이이드 왕조의 통치 이후, 아프가니스탄인(또는 투르크-아프간계) 로디 왕조가 델리 술탄국을 장악했다. 로디 왕조의 창시자 바흘룰 로디(재위 1451년 ~ 1489년)는 본래 인도 펀자브 지방 시르힌드의 주지사였던 말릭 술탄 샤 로디의 조카이자 사위였다. 그는 사이이드 왕조의 통치자 무함마드 샤 시대에 말릭 술탄 샤 로디를 계승하여 시르힌드의 주지사가 되었으며, 무함마드 샤로부터 타룬-빈-술탄의 지위를 받았다. 바흘룰 로디는 펀자브 지역에서 가장 강력한 살다르(지도자) 중 한 명이었으며, 그의 강한 개성을 바탕으로 아프간 및 투르크계 지도자들의 느슨한 연합체를 이끌었다. 그는 여러 주의 반항적인 수장들을 진압하고 정부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

델리의 마지막 사이이드 왕조 통치자였던 알라우딘 알람 샤가 자발적으로 퇴위 의사를 밝히자, 바흘룰 로디는 1451년 4월 19일 델리 술탄국술탄으로 즉위하여 로디 왕조를 건국했다.[5][18] 그는 자신의 세력 기반을 다지기 위해 용맹하지만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던 아프가니스탄 출신 용병들을 적극적으로 불러 모았다. 아프가니스탄 역사가 압바스 살와니는 당시 상황을 "아프가니스탄인들이 메뚜기 떼처럼 술탄 바흘룰 휘하에 와서 봉사했다"고 묘사했다.[19]

바흘룰 로디 통치 기간의 가장 중요한 군사적 업적은 동쪽 우타르 프라데시 지방을 지배하던 자운푸르 술탄국(샤르키 왕조)과의 전쟁에서 승리한 것이다. 그는 오랜 기간 자운푸르 술탄국과 전쟁을 벌였고, 마침내 1479년 자운푸르를 점령하여 왕국을 멸망시키고 델리 술탄국에 합병했다.[20] 이후 1486년에는 자신의 장남인 바르박을 자운푸르의 통치자로 임명했다. 패배한 샤르키 왕조는 비하르 지역으로 밀려났고, 잠시 자운푸르를 되찾으려 했으나 실패하고 다시 비하르로 쫓겨났다.[6]

바흘룰 로디는 이처럼 아프간 부족들의 지지를 바탕으로 세력을 확장하고 왕조를 세웠지만, 각 부족 지도자들의 독립적인 성향은 로디 왕조의 중앙집권화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

2. 2. 시칸다르 로디의 개혁과 전성기 (1489년 ~ 1517년)

시칸다르 로디의 묘


바라 굼바드(Bara Gumbad). 1490년경 시칸다르 로디가 건설한 것으로 추정된다.






바흘룰 로디의 둘째 아들인 시칸다르 로디(재위 1489년 ~ 1517년)는 니잠 칸(Nizam Khan)이라는 이름으로 태어나, 1489년 7월 17일 아버지가 사망한 후 술탄위에 올라 '시칸다르 샤'라는 칭호를 사용했다.[21][22] 그는 델리 술탄국의 마지막 명군으로 평가받는다.[21][22]

시칸다르는 왕권 강화를 위해 강력한 중앙집권 정책을 추진했다. 그는 독립적인 성향이 강했던 아프간 사르다르(귀족)들을 통제하고자 했다. 귀족들에게 국가 재정에 대한 감사를 받도록 강제하고, 술탄의 명령서를 받을 때는 도시 밖으로 나가 맞이하게 하는 등 복종을 요구했으며, 횡령과 같은 부정행위는 엄벌에 처했다.[22] 이러한 정책은 파슈툰 귀족들의 개인주의적 경향을 억제하고 행정에 규율을 세우는 데 기여했다.[9] 비록 완전한 복종을 이끌어내지는 못했지만, 그의 통치 아래 로디 왕조의 내부는 안정되었고, 도적이나 산적이 줄어들어 도로가 안전해졌으며 생필품 물가도 저렴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22]

그는 농업과 상업 발전을 장려했으며[7], 경제 개혁에도 힘썼다. '가즈디 시칸다리'(Gaz-i-Sikandari)라는 새로운 토지 측량 단위를 도입하고, 곡물 입시세(octroi)를 폐지했다.[22] 또한 지세 대장을 작성하게 했다.[22] 이러한 경제 정책, 특히 도량형과 토지 대장 제도는 후대의 무굴 제국과 수르 왕조의 셰르 샤 시대 정책에도 영향을 미쳤다.[22]

시칸다르는 학문과 예술의 후원자이기도 했다. 그는 '굴루크'(Gulrukh)라는 필명으로 시를 쓰는 시인이었으며[8], 학자, 철학자, 문학가들을 궁정으로 초청하고 이들에게 면세지를 제공했다.[23] 그의 명령으로 의학 등 여러 분야의 산스크리트어 저술과 음악 작품이 페르시아어로 번역되었다.[8][23] 이러한 문화 진흥책은 힌두교도들이 페르시아어를 배우고 행정 관직에 진출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23]

시칸다르는 1504년 아그라를 건설하기 시작했으며[7], 1506년경 수도를 델리에서 아그라로 옮겼다.[7][23] 이는 동부 라자스탄, 말와, 구자라트로 이어지는 교통로를 장악하려는 전략적 목적이 있었으며[23], 아그라는 로디 왕조의 새로운 중심지이자 주요 도시로 발전했다.[23]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델리의 로디 정원에는 바라 굼바드(Bara Gumbad, 1490년경 추정)[16], 시시 굼바드(Shish Gumbad, 1489-1517년 사이 건설)[16]와 같은 묘(tomb) 건축물이 세워졌으며, 1516년에는 라존 키 바올리(Rajon ki Baoli)라는 계단식 우물도 건설되었다.[17]

군사적으로 시칸다르는 비하르 지역을 준푸르 술탄국(샤르키 왕조)으로부터 완전히 정복하고 합병하는 데 성공했다.[9] 그는 인도 북서부의 말와, 라자스탄, 구자라트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하고자 했으나, 당시 라자스탄의 메와르 왕국이나 구자라트 술탄국의 마흐무드 베가르하와 같은 강력한 세력들의 존재로 인해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하고 국내 통치 강화에 집중했다.[22]

시칸다르는 수니파 이슬람 신자로서 종교적으로는 강경한 정책을 펼쳤다. 그의 어머니는 힌두교도였으나, 그는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강력한 수니파 정통성을 내세웠다.[15] 그는 여러 힌두교 사원을 파괴했으며, 율마(이슬람 학자)들의 압력에 따라 힌두교 역시 이슬람과 같이 진실된 종교라고 주장한 브라만을 처형하도록 허용했다.[15] 또한 무슬림 여성들이 성인들의 묘소(mazar)를 참배하는 것과, 전설적인 무슬림 순교자 가지 사이야드 살라르 마수드의 창을 들고 행진하는 연례 행사를 금지했다.[15] 그는 이슬람 인구가 많은 여러 도시에 샤리아(이슬람 율법) 법정을 설치하여, 카지(이슬람 법관)들이 무슬림과 비무슬림 모두에게 이슬람 법을 적용하도록 했다.[15] 당시 로디 왕조의 무슬림 신민들은 종교적 의무로 자카트 세금을 납부했고, 비무슬림 신민들은 국가의 보호를 받는 대가로 지즈야 세금을 납부해야 했다. 일부 지역에서는 힌두교도에게 추가적인 순례세가 부과되기도 했으나, 여전히 여러 힌두교도 관리들이 술탄국의 세금 행정에 참여하고 있었다.[15]

2. 3. 이브라힘 로디의 통치와 몰락 (1517년 ~ 1526년)

1520~1521년경, 델리의 술탄 이브라힘 로디의 이름으로 주조된 말와 술탄국의 마흐무드 샤 2세(1510~1531년)의 주화.


시칸다르 로디의 장남인 이브라힘 로디(재위 1517년 ~ 1526년)는 델리 술탄국의 마지막 로디 왕조 술탄이었다.[10] 그는 뛰어난 전사의 자질을 갖추었지만, 결정과 행동에서 경솔하고 정치적이지 못했다. 그의 절대 왕권 추구는 시기상조였으며, 행정 강화나 군사력 증강 없이 억압에만 의존한 정책은 실패로 이어졌다.

이브라힘이 즉위했을 무렵 로디 왕조의 정치 구조는 무역로 폐쇄와 국고 고갈로 인해 이미 와해되고 있었다. 특히 15세기 후반 데칸 고원의 해안 무역로가 붕괴되면서 내륙에 위치한 로디 왕조의 보급선이 차단되는 결과를 낳았다. 로디 왕조는 불안정한 무역로를 제대로 활용하거나 보호하지 못했고, 이는 무역 감소와 국고 고갈로 이어져 내부 정치적 취약성을 키웠다.[13]

이브라힘은 통치 기간 내내 수많은 반란에 직면했다. 즉위 직후에는 동생인 잘랄루딘 로디가 자운푸르 지역에서 반란을 일으켰으나, 이브라힘은 군대를 모아 그 해 말까지 이를 진압했다. 이 과정에서 자신에게 반대했던 파슈툰 귀족들을 체포하고 자신의 측근들을 새로운 관리로 임명했다. 이는 다른 파슈툰 귀족들의 반발을 사 비하르의 총독 다리야 칸 등이 이브라힘에게 등을 돌리는 계기가 되었다.[13] 또한 명확한 후계 구도가 없다는 점도 불안 요소였다. 이브라힘의 삼촌인 알람 칸은 무굴 제국의 침략자 바부르를 지지하며 조카를 배신했다.[10]

외부 세력과의 갈등도 심화되었다. 메와르 왕국의 라즈푸트 지도자 라나 상가(재위 1509년~1526년)는 세력을 확장하여 델리의 로디 왕조 군대를 격파하고 라자스탄 지역 라지푸트 세력의 지도자로 인정받았다.[13] 이브라힘은 라나 상가를 제압하기 위해 원정군을 보냈으나 오히려 참패하고 말았다.[23]

이러한 내부 분열과 외부 위협 속에서 펀자브 총독 다울라트 칸 로디는 이브라힘에게 개인적인 모욕을 당한 것에 대한 복수로 티무르 제국카불 통치자 바부르에게 로디 왕조를 침공해달라고 요청했다. 라나 상가 역시 이브라힘 로디를 공격하기 위해 바부르에게 협력을 제안하는 사절을 보냈다.[13] 처음에는 이브라힘에게 복종하며 바부르의 사절을 돌려보냈던 다울라트 칸 로디는 1520년 이후 계속된 바부르의 공격 속에서 결국 항복했고, 로디 왕조와 바부르의 직접적인 대결은 피할 수 없게 되었다.[25]

바부르와의 파니파트 전투와 델리의 로디 왕조의 마지막 술탄인 이브라힘 로디의 죽음


알람 칸과 다울라트 칸의 협력을 얻은 바부르는 군대를 모아 펀자브 평원으로 진격했다. 바부르는 잔주아 라즈푸트족 등 현지 세력의 지원을 확보하고, 1521년에는 가카르족을 물리치며 동맹을 공고히 했다. 그는 칸다하르와 카불에서의 반란을 진압하고, 점령지 주민들을 안정시키는 데에도 신중을 기했다.

1526년 4월 21일, 바부르와 이브라힘 로디의 군대는 델리 근교 파니파트에서 충돌했다(파니파트 전투 (1526년)). 바부르의 군대는 약 2만 4천 명으로 수적으로는 열세였지만, 화승총과 포병 등 당시로서는 신무기로 무장하고 있었다. 반면 이브라힘 로디는 약 10만 명의 병력과 1,000마리의 전투 코끼리를 동원했지만, 구식 보병 중심이었고 화약 무기에 대한 경험이 부족했으며 내부 분열까지 겪고 있었다.[10] 전투는 바부르 군대의 압도적인 승리로 끝났다. 이브라힘 로디는 2만 명의 병사와 함께 전사했고,[10] 로디 왕조는 이 전투를 끝으로 멸망했다.[11][25]

파니파트 전투의 승리로 바부르는 델리아그라를 장악했으며, 이는 인도 아대륙에서 무굴 제국 시대를 여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2. 4. 로디 왕조 멸망 이후

1526년 제1차 파니파트 전투에서 이브라힘 로디가 바부르와의 싸움에서 전사하면서 로디 왕조는 막을 내렸다.[25] 이브라힘의 죽음 이후, 바부르는 그의 삼촌인 알람 칸을 왕으로 세우는 대신 스스로 황제의 자리에 올라 델리와 아그라를 포함한 로디 왕조의 영토를 차지했다.[14][25] 이로써 인도 아대륙에는 무굴 제국이 세워졌고, 로디 왕조의 남은 영토는 새로운 제국에 흡수되었다.[14]

하지만 로디 왕조의 저항이 완전히 끝난 것은 아니었다. 이브라힘 로디의 형제인 마흐무드 로디는 스스로 술탄이라 칭하며 무굴 제국에 맞섰다. 그는 1527년 칸와 전투에서 라나 상가에게 약 4,000명의 아프가니스탄 군인을 지원하며 바부르에게 대항했다. 이 전투에서 패배한 마흐무드 로디는 동쪽으로 피신했고, 1529년 가그라 전투에서 다시 한번 바부르에게 도전했으나 결국 실패로 돌아갔다.

로디 왕조의 멸망은 델리 술탄국 시대의 종말과 무굴 제국 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인도 역사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3. 정치와 행정

로디 왕조는 아프가니스탄계 또는 투르크-아프간계 왕조로, 술탄 중심의 중앙집권을 지향했으나 독립적인 성향이 강한 아프간 귀족들로 인해 완전한 중앙집권 체제를 구축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초대 술탄 바흘룰 칸 로디 (재위 1451년 ~ 1489년)는 강력한 지도력을 바탕으로 아프간과 투르크 수장들의 느슨한 연합체를 이끌었다. 그는 여러 주의 반항적인 수장들을 진압하고 정부 기강을 다잡았으며,[5] 특히 준푸르 술탄국을 정복하고 합병하여 왕조의 기틀을 마련했다.[6]

바흘룰의 아들 시칸다르 로디 (재위 1489년 ~ 1517년)는 로디 왕조의 가장 뛰어난 군주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21][22] 그는 술탄을 동등한 부족 연합의 대표 정도로 여기던 아프간 귀족(파슈툰족)들을 복종시키고 술탄의 권위를 강화하고자 노력했다. 귀족들에게 국가 재정에 대한 감사를 받도록 강제하고, 술탄의 명령서를 도시 밖에서 맞이하게 하는 등의 조치를 취했다.[22] 이러한 시도는 귀족들의 독립성을 완전히 억누르지는 못했지만, 왕국 내 안정을 가져와 도적이나 산적이 없는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고 생필품 물가를 안정시키는 데 기여했다.[22]

시칸다르는 행정 및 경제 개혁에도 힘썼다. 농업 생산성 향상과 공정한 과세를 위해 '가즈디 시칸다리'라는 새로운 토지 측량 기준을 도입하고, 곡물에 부과되던 통행세를 폐지했으며, 지세 대장을 작성하게 했다.[22] 이러한 개혁은 후대 무굴 제국과 수르 왕조의 셰르 샤 시대까지 영향을 미쳤다.[22] 또한 학문과 예술을 장려하여 아라비아와 이란 등지에서 학자들을 초빙하고, 산스크리트어 문헌과 음악 작품을 페르시아어로 번역하도록 지원했다. 이는 힌두교도들이 페르시아어를 습득하여 행정 관료로 진출하는 길을 열어주기도 했다.[23] 1504년에는 아그라를 새로운 수도로 건설하여 델리에서 천도했으며,[7] 아그라는 로디 왕조의 중요한 정치·경제 중심지로 발전했다.[23]

그러나 시칸다르는 종교 정책에 있어서는 편협한 면모를 보이기도 했다. 일부 힌두교 사원을 파괴하고 특정 이슬람 종교 행사를 금지했으며, 이슬람과 자신의 신앙이 동등하다고 주장한 브라만을 처형하기도 했다.

시칸다르의 뒤를 이은 이브라힘 로디 (재위 1517년 ~ 1526년)는 아버지의 정책을 이어받아 중앙집권 강화를 시도하며 귀족들을 억압하려 했으나,[24] 그의 통치 방식은 성급하고 정치적 수완이 부족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행정 개혁이나 군사력 증강 없이 강압적인 정책에만 의존하여 귀족들의 거센 반발을 초래했다. 또한 메와르 왕국의 라나 상가와의 전투에서 패배하는 등[23] 대외적으로도 위신이 실추되었다. 결국 펀자브 총독 다울라트 칸 로디를 비롯한 귀족들의 반란과 티무르 제국의 후예인 바부르의 침공을 동시에 맞게 되었다.[25] 이브라힘은 1526년 파니파트 전투에서 바부르 군대에 패배하고 전사했으며, 이로써 로디 왕조는 멸망하고 인도에는 무굴 제국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10][11][25]

4. 경제

시칸다르 로디(재위 1489년~1517년)는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상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경제 정책에 힘썼다. 그는 "가즈디 시칸다리"라는 새로운 도량형 제도를 제정했으며, 이 척도법은 이후 무갈 제국 시대까지 사용되었다.[22] 또한, 곡물에 부과되던 입시세(entry tax)를 폐지하여 생필품 물가를 안정시키는 데 기여했고,[22] 지세 대장을 작성하게 하여 셰르 샤 시대 지세 대장의 기초를 마련했다.[22] 이러한 노력 덕분에 시칸다르 로디 시대에는 국내가 안정되고 도로가 안전해졌으며 물가가 저렴하게 유지될 수 있었다.[22]

그러나 이브라힘 로디가 즉위할 무렵에는 로디 왕조의 경제적 기반이 약화되어 있었다. 특히 데칸 고원의 해안 무역로는 15세기 후반부터 보급로가 붕괴되기 시작했다.[13] 이 무역로의 쇠퇴는 해안 지역에서 왕조의 중심지인 내륙으로 물자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결과를 낳았다. 로디 왕조는 분쟁 발생 시 무역로를 보호할 능력이 부족하여 해당 경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했고, 이는 무역 감소와 국고 고갈로 이어져 왕조의 정치적 불안정을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13]

5. 사회와 문화

로디 왕조의 술탄들은 자신들을 압바스 칼리파의 대리인으로 내세우며 이슬람 세계 전체의 통일된 권위를 인정하는 모습을 보였다.[15] 이들은 이슬람 율마(ulama), 수피즘(Sufism)의 지도자인 셰이크(ar), 무함마드의 후손이라 주장하는 이들, 그리고 그의 부족인 쿠라이시 구성원들에게 현금 지원과 함께 마을 전체를 포함하는 면세지를 부여하며 이슬람 세력과의 유대를 강화했다.[15]

종교에 따른 세금 제도가 운영되어, 이슬람 신도들은 종교적 의무로서 자카트(zakat)를 납부했고, 비이슬람 신도들은 국가의 보호를 받는 대가로 지즈야(jizya)를 납부해야 했다. 일부 지역에서는 힌두교도들에게 추가적인 순례세가 부과되기도 했다.[15] 하지만 여러 힌두교 관리들이 술탄국의 세금 관련 행정에 참여하는 등[15] 다양한 배경의 인물들이 등용되기도 하였다.

시칸다르 로디(재위 1489년-1517년)는 로디 왕조의 중요한 통치자로 평가받는다.[21][22] 그는 학문과 예술의 후원자로서, 의학 관련 산스크리트어 문헌을 페르시아어로 번역하도록 지시했으며,[8] 아라비아와 이란 등지에서 학자, 철학자, 문학가들을 초빙하여 면세지를 제공하는 등 문화 진흥에 힘썼다.[23] 이를 통해 힌두교도들도 페르시아어를 배우고 행정직에 진출할 기회를 얻었다.[23] 시칸다르 로디 자신도 '구루'라는 필명으로 시를 쓰는 시인이었으며, 상업과 무역을 장려했다.[7]

경제 및 행정 분야에서도 시칸다르 로디는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그는 농업과 경제 발전을 위해 노력했으며, "가즈디 시칸다리"라는 새로운 토지 측정 단위를 도입하고 곡물에 부과되던 입시세를 폐지했다. 또한 지세 대장을 작성하게 했는데,[22] 이 척도법과 지세 대장은 후대의 무굴 제국과 수르 왕조의 셰르 샤 시대까지 영향을 미쳤다.[22] 그는 또한 독립적인 성향이 강했던 아프간 귀족(사르다르)들을 통제하고 국가 재정에 대한 감사를 받도록 하여 행정의 기강을 세우려 노력했다.[9][22] 이러한 노력으로 로디 왕조 시기에는 도로가 안전해지고 생필품 물가가 안정되는 등 사회 안정을 이루었다는 평가도 있다.[22]

그러나 시칸다르 로디의 통치에는 종교적 억압이라는 어두운 면도 존재했다. 어머니가 힌두교도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강력한 수니파 이슬람 정통성을 내세웠다.[15] 이 과정에서 힌두교 사원을 파괴하는 행위를 보였으며,[15] 힌두교의 진리가 이슬람과 동등하다고 주장한 브라만율마의 압력에 따라 처형하도록 허용하기도 했다.[15] 또한 여성들이 이슬람 성인의 묘소를 참배하는 것을 금지하고, 전설적인 이슬람 순교자 가지 사이야드 살라르 마수드를 기리는 창의 연례 행렬도 금지시켰다.[15] 그는 이슬람 인구가 많은 여러 도시에 샤리아 법정을 설치하여 카지가 무슬림과 비무슬림 모두에게 이슬람 법을 적용하도록 했다.[15] 이러한 정책들은 당시 사회의 종교적 긴장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로디 왕조 시대, 특히 시칸다르 로디 치세에는 건축 분야에서도 주목할 만한 발전이 있었다. 1504년, 그는 아그라를 건설하고 모스크를 세웠으며, 수도를 델리에서 아그라로 옮겼다.[7] 이는 동부 라자스탄, 말와, 구자라트를 잇는 전략적 요충지를 확보하려는 목적도 있었다.[23] 아그라는 이후 로디 왕조의 제2의 수도로 번성했다.[23] 델리의 로디 정원에는 이 시기에 지어진 여러 건축물이 남아있다. 대표적으로 1490년경 시칸다르 로디가 건설한 것으로 추정되는 바라 굼바드(Bara Gumbad)는 델리에서 가장 오래된 돔 건축물 중 하나로 여겨진다. 또한 시시 굼바드(Shish Gumbad, 1489-1517년 사이 건설 추정)[16], 1516년에 지어진 계단식 우물인 라존 키 바올리(Rajon ki Baoli)[17], 시칸다르 로디의 묘, 그리고 로디 왕조의 마지막 술탄인 이브라힘 로디의 묘 등이 로디 시대 건축의 예시로 남아있다.

6. 종교

시칸다르 로디는 종교적으로 강경한 정책을 펼쳤다. 그는 분쟁이나 평화 시기에 상관없이 힌두교 사원을 파괴하려는 충동을 보였다. 또한 유명한 이슬람교 순교자인 마수드 살라르를 기리는 창의 연례 행렬과 무슬림 여성들이 성인들의 묘소를 숭배하는 행위를 금지했다. 시칸다르 로디는 자신의 신앙이 이슬람교와 동등하다고 주장한 브라만의 처형을 허용하기도 했다. 이러한 정책들은 이슬람교 중심의 통치를 강화하려는 의도를 보여준다.

7. 건축

로디 왕조 시대에는 독특한 건축 양식이 발전하였으며, 특히 시칸다르 로디 통치기에 주목할 만한 건축 활동이 이루어졌다.

시칸다르 로디는 1504년 아그라를 건설하고 모스크를 세웠으며, 1506년부터는 동부 라자스탄, 말와, 구자라트를 잇는 교통로를 장악할 목적으로 아그라를 새로운 수도로 건설하기 시작했다.[7][23] 그는 수도를 델리에서 아그라로 옮겼다.[7]

델리의 로디 정원에는 이 시기의 중요한 건축물들이 남아있다.



  • '''바라 굼바드'''(Bara Gumbadhin): 1490년경 시칸다르 로디가 건설한 것으로 추정되며, 델리에서 가장 오래된 완전한 형태의 돔 구조물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 '''시시 굼바드'''(Shish Gumbadhin): 1489년에서 1517년 사이에 지어진 로디 왕조 시대의 (tomb)이다.[16]

  • '''라존 키 바올리'''(Rajon ki Baolihin): 1516년 시칸다르 로디가 건설한 계단식 우물이다.[17]

  • '''시칸다르 로디의 묘''': 로디 정원 내에 위치한 시칸다르 로디의 묘 또한 이 시기 건축의 중요한 예시이다.
  • --
  • 로디 정원에는 이 외에도 여러 로디 시대의 묘소들이 남아 있다.


로디 왕조의 마지막 술탄인 이브라힘 로디의 묘 또한 로디 시대 건축물 중 하나이다.

참조

[1] 서적 A Textbook of Medieval Indian History Primus Books
[2] 서적 بابرنامه (Baburnama) [Original Chagatai Turkic] https://art.thewalte[...] The Baburnama Project
[3] 서적 A Historical atlas of South Asia https://dsal.uchica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1-03-25
[4] 서적 A Textbook of Medieval Indian History Primus Books
[5] 서적 History of Medieval India S. Chand
[6] 서적 The Sultanate of Delhi (1206–1526) https://books.google[...] 2023-02-10
[7] 서적 History of Medieval India S. Chand
[8] 서적 A new history of Indo-Pakistan
[9] 서적 The Sultanate of Delhi (711–1526 A.D) Shiva Lal Agarwala and Company
[10] 서적 India The Definitive History Westview Press
[11] 서적 India The Definitive History Westview Press
[12] 서적 A Historical atlas of South Asia https://dsal.uchica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2-04-21
[13] 학술지 The Economic History of the Lodi Period: 1451–1526 1965-08
[14] 서적 India The Definitive History Westview Press
[15] 서적 The Sikhs of the Punjab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뉴스 Unknown Tomb http://competentauth[...] competentauthoritydelhi.co.in 2015-10-15
[17] 서적 Indian Architecture: Islamic Period, 1192–1857 https://books.google[...] Prakash Books, India 2022-05-14
[18] 서적 무갈 황제 역대지
[19] 서적 중세 인도의 역사
[20] 서적 무갈 황제 역대지
[21] 서적 무갈 황제 역대지
[22] 서적 중세 인도의 역사
[23] 서적 중세 인도의 역사
[24] 서적 무갈 황제 역대지
[25] 서적 무갈 황제 역대지
[26] 웹사이트 Arabic and Persian Epigraphical Studies -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http://asi.nic.in/as[...] 2010-1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