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문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법은 언어의 규칙 체계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어원은 고대 그리스어 'grammatikē technē'에서 유래했다. 문법 연구는 고대 인도에서 시작되어 체계적인 문법이 확립되었으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발전 과정을 거쳤다. 문법은 규범 문법, 기술 문법, 이론 문법으로 분류되며, 이론 문법은 생성 문법, 인지 문법 등 다양한 틀을 포함한다. 문법 범주, 품사, 문장 성분, 형태론과 같은 세부적인 요소들을 다루며, 문법 교육은 표준어 사용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어에 관한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 문법 - 접속사
    접속사는 문장, 절, 구, 단어와 같은 언어 요소들을 연결하여 논리적 관계를 나타내는 품사로, 등위 접속사, 종속 접속사, 상관 접속사 등으로 나뉘며, 언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문법 - 품사
    품사는 형태, 기능, 의미에 따라 단어를 분류하는 언어학적 범주로, 언어별 특징과 문법화 과정에 따라 분류 체계와 구성원이 달라지며, 품사 간 경계가 모호한 경우도 있어 여러 언어에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 언어학 - 에스놀로그
    에스놀로그는 세계 언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이며, 7,000개 이상의 언어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언어의 명칭, 화자 수, 지리적 분포, 언어 계통 등을 포함한다.
  • 언어학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대규모 언어 모델이 원하는 작업을 정확히 수행하도록 지시사항, 맥락, 입력 데이터 등을 조합하여 최적화된 프롬프트를 설계하는 방법론으로, 컨텍스트 내 학습을 통해 모델의 창발적 능력을 활용하며 텍스트, 이미지, 코드 생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모델 성능 향상에 기여한다.
문법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정의언어의 구조적 규칙 체계
연구 분야언어학의 주요 분야
구성 요소
음운론소리의 체계
형태론단어의 구조
통사론문장의 구조
의미론의미의 체계
화용론언어 사용의 맥락
분류
기술 문법실제 언어 사용을 관찰하고 기술하는 문법
규범 문법언어 사용에 대한 규칙을 정하고 따르도록 하는 문법
이론 문법언어의 보편적 원리를 탐구하는 문법
연구 방법
코퍼스 분석실제 언어 데이터를 분석
실험심리 언어학적 실험
직관적 판단언어 사용자의 판단 활용
역사
기원고대 그리스와 인도의 문법 연구에서 시작
발전유럽의 르네상스 시기에 라틴어 문법 연구 발전, 이후 다양한 언어의 문법 연구로 확장
현대생성 문법 및 인지 언어학의 발전
영향
교육언어 교육에서 중요한 역할
인공지능자연어 처리 분야에 활용
번역기계 번역 시스템의 기반
기타
관련 분야언어철학
기호학
인지과학
참고 서적

2. 문법의 어원

'문법'이라는 단어는 고대 그리스어 γραμματικὴ τέχνη|grammatikḕ téchnē|그람마티케 테크네grc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문자의 기술"을 의미하며, γράμμα|grámma|그람마grc "문자"에서 나왔고, 이는 다시 γράφειν|gráphein|그라페인grc "그리다, 쓰다"에서 유래했다.[3] 같은 그리스어 어근은 그래픽, 그래프, 그리고 사진이라는 단어에도 나타난다.

3. 문법의 역사

문법 연구는 기원전 6세기 고대 인도에서 야스카(Yāska), 파니니(Pāṇini)[4]와 그의 주석가들인 핑갈라(Pingala), 카탸야나(Katyayana), 파탄잘리(Patanjali) 등에 의해 시작되었다. 가장 오래된 타밀어 문법인 《톨카피얌(Tolkāppiyam)》은 대부분 5세기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바빌로니아인들 또한 초기 언어 묘사에 대한 시도를 했다.[5]

기원전 3세기부터 헬레니즘 시대에 뤼아누스(Rhyanus)와 사모트라케의 아리스타르쿠스(Aristarchus of Samothrace) 등의 저술가들에 의해 문법이 학문으로 등장했다. 가장 오래된 문법 교본은 고대 그리스 학자 디오뉘시오스 트락스(Dionysius Thrax)(기원전 170~90년경)[6]가 쓴 《문법의 기술(Τέχνη Γραμματική)》이다. 사모트라케의 아리스타르쿠스의 제자였던 디오뉘시오스 트락스는 로도스 섬에 학교를 설립했고, 그의 문법 책은 12세기까지 그리스 소년들의 주요 문법 교과서로 남았다. 로마인들은 이를 기반으로 문법 저술을 했으며, 그 기본 형식은 오늘날에도 많은 언어의 문법 안내서의 기초가 되고 있다.[6] 기원전 1세기부터 오르빌리우스 푸필루스(Orbilius Pupillus), 레미우스 팔라이몬(Remmius Palaemon),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프로부스(Marcus Valerius Probus), 베리우스 플라쿠스(Verrius Flaccus), 아에밀리우스 아스페르(Aemilius Asper) 등의 저술가들의 노력으로 그리스 모델을 따르는 라틴 문법이 발전했다.

7세기에 《Auraicept na n-Éces》와 함께 아일랜드어(Old Irish) 문법이 시작되었다. 아랍 문법은 7세기에 아부 알-아스와드 알-두알리(Abu al-Aswad al-Du'ali)와 함께 등장했다. 히브리어 문법에 대한 최초의 논문은 중세 후기에 히브리어 성서(Hebrew Bible)의 해석인 미드라시(Midrash)의 맥락에서 나타났다. 카라이파 유대교(Karaite Judaism) 전통은 아바스 왕조(Abbasid) 바그다드(Baghdad)에서 시작되었다. 《디크두크(Diqduq)》(10세기)는 히브리어 성서에 대한 초기 문법적 주석 중 하나이다.[7] 12세기 이븐 바룬(Ibn Barun)은 이슬람 문법 전통에서 히브리어와 아랍어를 비교했다.[8]

7개의 교양 과목(liberal arts) 중 하나인 삼학(trivium)에 속하는 문법은 프리스키아누스(Priscian)와 같은 고대 후기 저술가들의 영향을 받아 중세 내내 핵심 학문으로 가르쳐졌다. 방언에 대한 논의는 중세 후기에 《최초의 문법 논문(First Grammatical Treatise)》과 같은 개별 작품들로 점차 시작되었지만, 르네상스바로크 시대에 이르러서야 영향력을 얻게 되었다. 1486년 안토니오 데 네브리하(Antonio de Nebrija)는 《Las introduciones Latinas contrapuesto el romance al Latin》을 출판했고, 1492년에는 최초의 스페인어 문법인 《Gramática de la lengua castellana》를 출판했다. 16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 동안, 단테(Dante)의 《속어에 관하여(de vulgari eloquentia)》로 시작된 이탈리아어의 지위와 이상적인 형태에 대한 논의인 "언어 문제(Questione della lingua)"가 있었다(피에트로 벰보(Pietro Bembo), 《Prose della volgar lingua》, 베니스 1525). 최초의 슬로베니아어 문법은 1583년 아담 보호리치(Adam Bohorič)가 저술했고, 최초의 독일어 문법인 《Grammatica Germanicae Linguae》는 1578년에 출판되었다.

16세기부터 복음 전파와 성경 번역을 목적으로 일부 언어의 문법이 편찬되기 시작했는데, 프레이 도밍고 데 산토 토마스(Fray Domingo de Santo Tomás)가 저술한 케추아어(Quechua languages) 문법인 《Grammatica o Arte de la Lengua General de Los Indios de Los Reynos del Perú》(1560)가 그 예이다.

18세기 후반부터 문법은 새롭게 등장하는 현대 언어학의 하위 분야로 이해되기 시작했다. 야코프 그림(Jacob Grimm)의 《독일어 문법(Deutsche Grammatik)》은 1810년대에 처음 출판되었다. 현대 비교 언어학의 출발점인 프란츠 보프(Franz Bopp)의 《비교 문법(Comparative Grammar)》은 1833년에 출판되었다.

3. 1. 한국어 문법 연구의 역사

훈민정음 창제 이후, 1527년 최세진의 훈몽자회와 같은 한자 학습서에서 한글 자모와 음운 체계에 대한 설명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1750년 신경준의 훈민정음운해는 훈민정음의 자음과 모음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설명한 최초의 본격적인 한글 연구서로 평가받는다. 1824년 유희언문지는 한글의 기원, 제자 원리, 음운 체계 등을 상세하게 다루었으며, 국어학 연구의 선구적인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개화기 이후, 주시경과 그의 제자들에 의해 한국어 문법 체계가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했다. 주시경은 1910년 국어문법에서 품사, 문장 성분 등 현대 문법의 기초를 제시했다.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어학회를 중심으로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1936년 표준어 제정이 이루어졌다. 이는 민족 문화 수호 운동의 일환으로, 한국어 문법 연구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광복 이후, 남북 분단으로 인해 남북한의 언어와 문법 연구는 서로 다른 길을 걷게 되었다. 남한에서는 이희승, 최현배 등의 학자들이 한국어 문법 연구를 주도했으며, 북한에서는 김수경, 류렬 등의 학자들이 주체적인 언어 정책에 기반한 문법 연구를 진행했다.

4. 문법의 종류

문법은 사람들이 통일성 있게 규칙에 따라 읽고, 쓰고, 말하고, 들음으로써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법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규범 문법: 특정 언어의 규범을 제시하고, 비표준적인 구문을 지양하는 문법이다. 언어 교육 및 언어 정책의 기준으로 활용되지만, 실제 언어 사용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 기술 문법: 실제 언어 사용을 객관적으로 관찰하고 기록하여, 가치 판단 없이 언어 체계를 설명하는 문법이다. 현대 언어학에서는 기술 문법을 통해 언어의 다양성과 변화를 이해하려는 노력을 기울인다.
  • 이론 문법: 언어의 구문 규칙과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과학적 이론을 제시하는 문법 체계이다. 생성 문법, 인지 문법 등 다양한 이론적 틀이 존재한다.


형식 문법은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 등 특정 목표를 위해 정확하게 정의된 문법인 반면, '생성 문법'은 자연어의 바른 표현을 "생성"할 수 있는 형식으로, 언어학 이론의 한 분야이다.

4. 1. 이론 문법의 틀

노엄 촘스키가 제시한 생성 문법은 인간의 언어 능력을 바탕으로 문장을 생성하는 규칙 체계를 연구한다. 생성 문법에는 변형 생성 문법, 최소주의 프로그램 등이 있다.[9][10] 인지 문법은 언어를 인간의 인지 능력과 연결하여 설명하는 이론으로, 구성 문법, 단어 문법 등이 있다. 기능 문법은 언어의 기능을 중심으로 문법을 분석하는 이론으로, 체계 기능 문법, 역할 및 참조 문법 등이 있다. 의존 문법은 문장 성분 간의 의존 관계를 중심으로 문법을 설명하는 이론이며, 링크 문법 등이 있다.

5. 문법 범주

반드시 문법적으로 표현되는 요소를 문법 범주라고 한다. 많은 언어에서 볼 수 있는 문법 범주는 다음과 같다.



한국어, 일본어, 자바어, 태국어, 크메르어 등 특정 언어에서는 존댓말의 일부가 체계화되어 문법 범주를 이룬다. 그러한 문법화된 존댓말에는 경어가 포함된다.

6. 품사

품사는 기능, 형태, 의미에 따라 단어를 분류한 것이다. 한국어의 품사는 일반적으로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조사, 감탄사의 9품사로 분류된다. 학교 문법에서는 동사와 형용사를 묶어 용언이라 하고, 관형사와 부사를 묶어 수식언, 조사를 관계언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7. 문장 성분

문장 성분은 문장 안에서 일정한 문법적 기능을 하는 요소이다. 한국어의 문장 성분은 주어, 술어, 목적어, 보어 등으로 분류된다.

8. 형태론

형태론은 단어의 내부 구조와 형성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형태소는 의미를 가지는 가장 작은 문법 단위이며, 어휘적 의미를 나타내는 어근과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는 접사로 나뉜다. 접사는 어근에 붙는 위치에 따라 접두사, 접중사, 접미사로 분류되며, 기능에 따라 품사나 뜻을 바꾸는 파생 접사와 문법적 의미를 바꾸는 굴절 접사로 나뉜다.

8. 1. 어형 변화

어형 변화는 문법 범주에 따라 단어의 형태가 바뀌는 현상이다.

; 활용

: 동사, 형용사, 서술격 조사가 인칭, , 시제, 상, 법 등에 따라 어미가 변하는 현상. 한국어의 용언은 다양한 어미와 결합하여 다양한 문법적 기능을 수행한다.

; 곡용

: 명사, 대명사, 수사, , 등에 따라 형태가 변하는 현상. 현대 한국어에서는 곡용이 거의 사라지고, 조사에 의해 문법적 관계가 표시된다.

9. 문법 교육

규범 문법은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에서 가르친다.[13][14][15] "문법학교(grammar school)"라는 용어는 역사적으로 사제와 수도사를 양성하기 위해 라틴어 문법을 가르치는 학교를 가리켰다. 원래는 학생들에게 그리스어라틴어 시인(호메로스, 베르길리우스, 에우리피데스 등)을 읽고, 음보를 맞추고, 해석하고, 낭송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학교를 의미했다.

조셉 프리스틀리의 영어 문법 기초(1761) 제목 페이지


표준어는 다른 방언보다 글쓰기, 교육, 그리고 광범위하게 공공 영역에서 더 많이 사용되는 방언이다. 초등 교육에서 가르치는 표준화된 "모국어"는 때때로 국적이나 민족을 정의하는 표준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정치적 논쟁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최근 초등 및 중등 교육에서 문법 교육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시작되었다. 주된 초점은 구식 규범 규칙의 사용을 방지하고 이전의 기술적 연구를 기반으로 규범을 설정하며, 비표준 방언과 비교하여 규정된 표준 형태의 상대적인 "정확성"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일련의 메타 연구에 따르면, 문법적 품사와 구문의 명시적 교육은 초등학교, 중학교 또는 고등학교 학생들의 글쓰기 능력 향상에 거의 또는 전혀 효과가 없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전략 지도, 공동 글쓰기, 요약 글쓰기, 과정 지도, 문장 결합 및 조사 프로젝트를 포함한 다른 글쓰기 지도 방법이 훨씬 더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13][14][15]

키투와 아카데미의 체로키어 수업


프랑스어의 탁월함은 현대 프랑스 문학 역사 전반에 걸쳐 거의 이의 없이 지배해 왔다. 표준 이탈리아어는 초기 문학에 대한 영향력 때문에 수도가 아닌 피렌체의 언어를 기반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표준 스페인어마드리드의 언어가 아니라 카스티야레온과 같은 북부 지역의 교육받은 화자들의 언어를 기반으로 한다( "Gramática de la lengua castellana" 참조). 아르헨티나우루과이에서는 스페인어 표준이 부에노스아이레스몬테비데오의 지역 방언(리오플라텐스 스페인어)을 기반으로 한다. 포르투갈어는 현재 브라질 포르투갈어유럽 포르투갈어라는 두 가지 공식 표준을 가지고 있다.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세르비아어 변종 역시 나뉘어져 있다. 세르비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스릅스카 공화국은 야트 반사에 차이가 있는 자신들만의 독특한 규범적 하위 변종을 사용한다. 몬테네그로어 표준의 존재와 성문화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일부는 몬테네그로어를 별도의 표준 방언으로 간주하고, 일부는 세르비아어의 또 다른 형태로 간주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노르웨이어보크몰뉘노르스크라는 두 가지 표준이 있으며, 그 중 어느 것을 선택할 것인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각 노르웨이 지방 자치 단체는 하나를 공식 언어로 선언하거나 "언어 중립적"으로 남을 수 있다. 뉘노르스크는 지방 자치 단체의 27%의 지지를 받고 있다. 지역 학교 구역 내에서 국민 투표로 선택된 초등학교에서 주로 사용되는 언어는 일반적으로 지방 자치 단체의 공식 언어를 따른다. 표준 독일어는 16세기와 17세기에 표준화된 고위 독일어의 관청 사용에서 생겨났다. 1800년경까지는 거의 전적으로 문어였지만, 현재는 너무 널리 사용되어 이전의 독일 방언 대부분이 거의 멸종되었다.

표준 중국어중화인민공화국(PRC), 중화민국(ROC) 및 싱가포르 공화국에서 중국어의 표준 구어로서 공식 지위를 가지고 있다. 표준 중국어의 발음은 베이징 근처 허베이성 루안핑 청더의 현지 악센트를 기반으로 하며, 문법과 구문은 현대 구어체 중국어를 기반으로 한다.

현대 표준 아랍어는 코란의 언어인 고전 아랍어를 직접 기반으로 한다. 힌두스타니어는 힌디어우르두어라는 두 가지 표준이 있다.

미국에서는 좋은 문법 증진 협회(Society for the Promotion of Good Grammar)가 2008년 3월 4일을 국가 문법의 날로 지정했다.[16]

참조

[1] 서적 Contemporary Linguistics: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Longman
[2] 서적 An Introduction to Sociolinguistics https://books.google[...] Longman
[3] 웹사이트 Grammar http://www.etymonlin[...] 2010-04-08
[4] 웹사이트 Ashtadhyayi, Work by Panini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17-10-23
[5] 서적 Linguistics: An Introduction Bloomsbury Academic
[6] 서적 Libraries in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20-11-11
[7] 서적 The Early Karaite Tradition of Hebrew Grammatical Thought
[8] 서적 Ibn Barūn's Arabic Works on Hebrew Grammar and Lexicography
[9] 서적 Einführung in die grammatische Beschreibung des Deutschen https://www.oapen.or[...] Language Science Press 2020-01-17
[10] 서적 Structure and Function: A Guide to Three Major Structural-Functional Theories, part 1 https://edisciplinas[...] John Benjamins 2020-01-19
[11] 학술지 Spoken Grammar: Where are We and Where are We Going? 2017
[12] 서적 Understanding Phonology https://books.google[...] Hodder Arnold 2020-11-11
[13] 간행물 Writing next: Effective strategies to improve writing of adolesc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 A report to Carnegie Corporation of New York Alliance for Excellent Education
[14] 학술지 A meta-analysis of writing instruction for adolescent students https://doi.org/10.1[...]
[15] 학술지 A meta-analysis of writing instruction for students in the elementary grades https://doi.org/10.1[...]
[16] 웹사이트 National Grammar Day https://www.quickand[...] 2021-1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