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비콘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비콘강은 이탈리아 북동부에 위치한 작은 강으로, 고대 로마 시대에는 갈리아 키살피나와 이탈리아 본토의 경계를 이루었다. 기원전 49년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원로원의 명령을 어기고 군대를 이끌고 이 강을 건너면서 "주사위는 던져졌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으며, 이는 중대한 결단을 비유하는 "루비콘 강을 건너다"라는 표현의 기원이 되었다. 현재 루비콘강의 정확한 위치를 특정하는 문제는 논쟁의 대상이며, 피우미치노 강을 비롯한 여러 강들이 루비콘 강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밀리아로마냐주의 강 - 마라노강
마라노강은 이탈리아와 산마리노를 흐르며 아펜니노산맥에서 발원하여 아드리아해로 흘러 들어가는 강으로, 산마리노의 중요한 수자원이며 이탈리아와의 국경 일부를 형성한다. - 에밀리아로마냐주의 강 - 산마리노강
- 이탈리아의 강 - 아디제강
아디제강은 오스트리아와 스위스 국경에서 발원하여 이탈리아 북부를 지나 아드리아해로 흘러드는 강으로, 독일어로는 에취 강, 라딘어로는 아디치로 불린다. - 이탈리아의 강 - 티치노강
티치노강은 스위스에서 발원하여 마조레 호수를 거쳐 이탈리아로 흘러가 파비아 인근에서 포강과 합류하는 약 248km 길이의 강으로, 수력 발전 및 관개 용수로 활용되며 다양한 생태적 가치를 지니고 역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 - 고대 로마 -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이후부터 로마에 의한 합병까지의 시기로, 그리스인들의 시야 확장과 새로운 헬레니즘 도시로의 이주, 도시 국가들의 연합 노력, 마케도니아와 후계 왕국들의 패권 다툼, 그리고 로마의 개입과 지배로 특징지어진다. - 고대 로마 - 누마 폼필리우스
누마 폼필리우스는 로마의 두 번째 왕으로, 종교 개혁과 사회 정책을 통해 로마의 종교 제도와 역법을 개혁하고 야누스 신전을 건립했으며, 로마력 개혁을 이끌었다.
루비콘강 | |
---|---|
개요 | |
이름 | 루비콘강 |
로마자 표기 | Rubikon |
이탈리아어 | Rubicone |
이탈리아어 발음 (IPA) | rubiˈkoːne |
로마냐어 | Rubicôn |
로마냐어 발음 (IPA) | rubiˈkoːŋ |
지리 | |
발원지 위치 | 소글리아노 알 루비코네 |
하구 위치 | 아드리아해 |
하구 좌표 | 북위 44.1681도, 동경 12.4431도 |
위치 | 이탈리아 |
길이 | 80km |
발원지 고도 | 250m |
유역 면적 | 해당 정보 없음 |
추가 정보 | |
참고 | 단일 출처 문서 |
2. 어원
Rubicola(루비코)라는 라틴어 단어는 "붉은"을 뜻하는 형용사 rubeusla(루베우스)에서 유래되었다. 이 강은 강바닥의 철 성분 퇴적물로 인해 물이 붉은색을 띠어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다.
로마 공화정 시대에 루비콘강은 로마 속주인 알프스 이북 갈리아와 로마 및 그 동맹국la가 직접 통치하는 남쪽 지역의 경계를 표시했다. 북서쪽의 경계는 아르노강이었는데, 아르노강은 아펜니노산맥에서 서쪽으로 흘러 티레니아해로 들어가는 훨씬 더 넓고 중요한 수로였다(아르노강과 루비콘강은 서로 멀지 않은 곳에서 발원한다).
3. 지리
루비콘강(구칭 피우미치노강)은 아펜니노산맥에서 발원하여 에밀리아-로마냐주 남동부 포를리-체세나도를 흐르는 길이 약 30km의 작은 강이다. 하류 지역인 사비냐노 술 루비코네 부근에서는 강폭이 좁은 곳은 1m, 넓은 곳은 5m 정도이다.[8]
소리아노 알 루비코네에서 발원하여 사비냐노 술 루비코네를 지나 가테오의 분리 집락인 가테오 아 마레와 사비냐노 술 루비코네의 분리 집락인 사비냐노 아 마레 사이에서 아드리아해로 흘러 들어간다. 하구 양쪽의 가테오 아 마레와 사비냐노 아 마레는 리조트 지역으로 개발되었다.
한때 난개발로 인해 주 내에서 가장 오염된 강 중 하나로 여겨지기도 했다.
4. 역사
로마 공화정 말기 고대 로마에서 루비콘강과 아르노강을 잇는 선은 이탈리아 본토의 북쪽 경계, 속주 갈리아 키살피나와의 경계선이었다. 군단을 이끌고 이 강을 건너 남하하는 것은 법으로 금지되었으며, 금령을 어기면 공화국에 대한 반역으로 간주되었다.
기원전 49년 1월 10일, 로마 내전에서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원로원의 명령을 어기고 군대를 이끌고 이 강을 건넌 사건으로 루비콘강은 유명해졌다. 이때 카이사르는 "'''주사위는 던져졌다'''"('''alea iacta est'''la, 알레아 야크타 에스트)라고 부대에 격려를 보냈다고 한다. "루비콘 강을 건너다"(cross the Rubicon영어)라는 말은, 그 후의 운명을 결정하고 되돌릴 수 없는 중대한 결단·행동을 하는 비유로 사용되고 있다.
수에토니우스에 따르면, 카이사르는 루비콘 강을 건너면서 알레아 약타 에스트la(''주사위는 던져졌다'')라는 말을 외쳤는데, 이는 그의 행동이 되돌릴 수 없음을 의미했다.[2]
옥타비아누스는 갈리아 키살피나 속주를 이탈리아에 병합했고, 루비콘 강은 더 이상 이탈리아의 최북단 경계가 아니게 되었다. 이 결정으로 루비콘 강의 중요성은 사라졌고, 강의 이름은 점차 지역 지명에서 사라졌다.
서로마 제국 멸망 이후, 중세 시대 초기에 라벤나와 리미니 사이의 해안 평원은 여러 번 침수되었다. 루비콘 강은 이 지역의 다른 작은 강들과 마찬가지로 이 시기에 자주 유로가 변경되었다.[1] 중세 후기 농업 부흥 이후 농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14세기와 15세기에 홍수를 막고 하천을 정비하기 위한 수리 시설이 건설되었다. 이 작업의 결과로, 이 강들은 오늘날과 같이 직선으로 흐르기 시작했다.[1]
15세기 르네상스 시대에 고대 로마 이탈리아 지형에 대한 관심이 부활하면서, 현대의 어느 강이 고대 루비콘 강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르네상스 인문주의자들 사이에서 벌어졌다.[3] 시간이 흐르면서 라벤나와 리미니 사이 아드리아 해안의 여러 강들이 고대 루비콘 강으로 여겨졌다.
아우렐리아 가도(현대 SS 9)는 언덕과 평야 사이를 지나며 원래의 로마 코스를 따랐고, 아펜니노 산맥 동쪽의 유일한 주요 로마 도로로서 포 계곡으로 이어지는 길이었기 때문에, 루비콘 강의 원래 코스를 추론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되었다. 고대 문헌과 로마의 이정표 같은 고고학적 증거를 통해 강과 가장 가까운 로마 도시 사이의 거리를 연구하여 추론을 시도했다.
타불라 포이팅게리아나에는 로마 도로 네트워크가 표시되어 있는데, 이탈리아 북동부의 강이 "''fl. Rubicum''"으로 표시되어 있고, 해안선을 따라 리미니에서 북쪽으로 12 로마 마일 (18k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한다. 이는 리미니와 루비콘 강 서쪽에 그려진 "Ad Confluentes"라는 장소 사이의 거리이다. 피시아텔로 강과 현재 루비콘 강의 강바닥 모양은 로마 시대 토양층보다 훨씬 아래에 있어, 강이 코스를 변경했을 가능성은 해안선과 매우 가까운 곳에서만 발생했을 것이고, 따라서 변화는 작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1933년, 사비냐노 디 로마냐(현재 사비냐노 술 루비코네)를 가로지르는 Fiumicino 강이 공식적으로 이전 루비콘 강으로 확인되었다. 1991년에는 세 명의 이탈리아 학자(피뇨티, 라발리, 도나티)가 타불라 포이팅게리아나와 다른 고대 자료(키케로 포함)를 비교하여 로마에서 루비콘 강까지의 거리가 200로마 마일임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7] 이들은 산 조반니 인 콤피토(현재 사비냐노의 서쪽 구역)를 옛 ''Ad Confluentes''와 동일시하고, ''Ad Confluentes''와 로마 사이의 거리가 201로마 마일이며, 오늘날의 산 조반니 인 콤피토와 Fiumicino 강 사이의 거리가 1로마 마일(1.48km)이라는 점을 들어 Fiumicino 강이 루비콘 강이라고 주장했다.
이탈리아 왕국 시대의 1933년 8월, 베니토 무솔리니는 피우미치노 강을 "루비코네 강"으로 개칭하고, 사비냐노 디 로마냐의 지명도 사비냐노 술 루비코네("루비콘 강변의 사비냐노"라는 뜻)로 개칭했다.[8] 그러나 무솔리니의 결정은 강압적이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진짜 루비콘 강"을 둘러싼 논쟁을 더욱 심화시키는 원인이 되었다.[8]
4. 1. 고대 로마 시대
로마 공화정 시대에 루비콘강은 로마 속주인 알프스 이북 갈리아와 로마 및 그 동맹국la가 직접 통치하는 남쪽 지역의 경계를 표시했다. 북서쪽의 경계는 아르노강으로 표시되었는데, 아르노강은 훨씬 더 넓고 중요한 수로이며 아펜니노산맥에서 서쪽으로 흘러 티레니아해로 들어간다(아르노강과 루비콘강은 서로 멀지 않은 곳에서 발원한다).
로마 공화정 말기의 고대 로마에서는 루비콘강과 아르노강을 잇는 선이 이탈리아 본토의 북쪽 경계, 속주 갈리아 키살피나와의 경계선 역할을 했다. 군단을 이끌고 이 강을 건너 남하하는 것은 법으로 금지되었으며, 금령을 어기면 공화국에 대한 반역으로 간주되었다.
일반적으로 루비콘강의 이름은 기원전 49년 1월 10일, 로마 내전에서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원로원의 명령을 어기고, 군대를 이끌고 이 강을 건넌 고사로 알려져 있다. 이 때 "'''주사위는 던져졌다'''"('''alea iacta est'''la, 알레아 야크타 에스트)라고 부대에 격려를 보낸 일화는 매우 유명하다. "루비콘 강을 건너다"(cross the Rubicon영어)라는 말은, 그 후의 운명을 결정하고 되돌릴 수 없는 중대한 결단·행동을 하는 비유로 사용되고 있다.
4. 2. 카이사르의 도하
기원전 49년 1월 10일 경,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군단인 제13군단 게미나를 이끌고 갈리아 키살피나에서 이탈리아로, 로마로 향하기 위해 루비콘 강을 건넜다. 이는 자신의 임페리움la(군사 지휘권)을 제한하는 법을 어긴 행위로, 무력 충돌은 불가피해졌다. 수에토니우스는 카이사르가 강에 접근하면서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모습으로 묘사하며, 강의 도하를 초자연적인 환영의 탓으로 돌렸다고 한다. 카이사르는 강을 건넌 다음 날 밤에 살루스티우스, 히르티우스, 가이우스 오피우스,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발부스, 세르비우스 술피키우스 루푸스와 함께 식사를 했다고 전해진다.
수에토니우스에 따르면, 카이사르는 루비콘 강을 건너면서 알레아 약타 에스트la(''주사위는 던져졌다'')라는 말을 외쳤는데, 이는 그의 행동이 되돌릴 수 없음을 의미했다.[2] "루비콘 강을 건너다"라는 구절은 위험을 감수한다는 의미와 함께, "돌이킬 수 없는 시점"을 넘어서는 것과 유사하게, 중대한 행동에 돌이킬 수 없이 헌신하는 것을 의미하는 데 사용된다. 카이사르와 그의 군단의 이탈리아 주둔은 폼페이우스, 집정관, 그리고 원로원의 상당 부분을 로마에서 도망치게 만들었다. 그 이후 내전에서 카이사르의 승리는 그가 자신의 행동에 대해 결코 처벌받지 않을 것임을 보장했다.
로마 공화정 말기 고대 로마에서 루비콘강은 이탈리아 본토의 북쪽 경계, 속주 갈리아 키살피나와의 경계선 역할을 했다. 군단을 이끌고 이 강을 건너 남하하는 것은 법으로 금지되었으며, 금령을 어기면 공화국에 대한 반역으로 간주되었다.
일반적으로 루비콘강의 이름은 기원전 49년 1월 10일, 로마 내전에서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원로원의 명령을 어기고 군대를 이끌고 이 강을 건넌 고사로 알려져 있다. 이때 '''주사위는 던져졌다'''('''alea iacta est'''la, 알레아 야크타 에스트)라고 부대에 격려를 보낸 일화는 매우 유명하다. "루비콘 강을 건너다"(cross the Rubicon영어)라는 말은, 그 후의 운명을 결정하고 되돌릴 수 없는 중대한 결단·행동을 하는 비유로 사용되고 있다.
4. 3. 로마 시대 이후
옥타비아누스는 갈리아 키살피나 속주를 이탈리아에 병합했고, 루비콘 강은 더 이상 이탈리아의 최북단 경계가 아니게 되었다. 이 결정으로 루비콘 강의 중요성은 사라졌고, 강의 이름은 점차 지역 지명에서 사라졌다.
서로마 제국 멸망 이후, 중세 시대 초기에 라벤나와 리미니 사이의 해안 평원은 여러 번 침수되었다. 루비콘 강은 이 지역의 다른 작은 강들과 마찬가지로 이 시기에 자주 유로가 변경되었다.[1] 이러한 이유로, 그리고 중세 후기 농업 부흥 이후 농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14세기와 15세기에 다른 홍수를 막고 하천을 정비하기 위한 수리 시설이 건설되었다. 이 작업의 결과로, 이 강들은 오늘날과 같이 직선으로 흐르기 시작했다.[1]
4. 4. 루비콘 강의 위치 비정 논쟁
15세기 르네상스 시대에 고대 로마 이탈리아 지형에 대한 관심이 부활하면서, 현대의 어느 강이 고대 루비콘 강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르네상스 인문주의자들 사이에서 벌어졌다.[3] 피시아텔로 강이 루비콘 강이라는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위조된 비문이 강 위에 놓이기도 했다. 콰트로첸토 인문주의자 플라비오 비온도는 이 위조 비문에 속았으나,[4] 실제 비문은 체세나의 Museo Archeologico에 보존되어 있다.[5] 시간이 흐르면서 라벤나와 리미니 사이 아드리아 해안의 여러 강들이 고대 루비콘 강으로 여겨졌다.
아우렐리아 가도(현대 SS 9)는 언덕과 평야 사이를 지나며 원래의 로마 코스를 따랐고, 아펜니노 산맥 동쪽의 유일한 주요 로마 도로로서 포 계곡으로 이어지는 길이었기 때문에, 루비콘 강의 원래 코스를 추론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되었다. 고대 문헌과 로마의 이정표 같은 고고학적 증거를 통해 강과 가장 가까운 로마 도시 사이의 거리를 연구하여 추론을 시도했다.
타불라 포이팅게리아나에는 로마 도로 네트워크가 표시되어 있는데, 이탈리아 북동부의 강이 "''fl. Rubicum''"으로 표시되어 있고, 해안선을 따라 리미니에서 북쪽으로 12 로마 마일 (18k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한다. 이는 리미니와 루비콘 강 서쪽에 그려진 "Ad Confluentes"라는 장소 사이의 거리이다. 피시아텔로 강과 현재 루비콘 강의 강바닥 모양은 로마 시대 토양층보다 훨씬 아래에 있어, 강이 코스를 변경했을 가능성은 해안선과 매우 가까운 곳에서만 발생했을 것이고, 따라서 변화는 작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루비콘 강(북-남 코스, 아우렐리아 가도와 직각)과 아우렐리아 가도 자체(교차 전후의 직선 구간, Chiesa di San Giovanni in Compito를 지나면서 꺾이는 부분)의 특징은 로마 시대의 전형적인 지리적 방향 제한과 일치하며, 이는 현재 루비콘 강을 Fiumicino 강과 동일시하는 단서가 되었다.[6]
1933년, 사비냐노 디 로마냐(현재 사비냐노 술 루비코네)를 가로지르는 Fiumicino 강이 공식적으로 이전 루비콘 강으로 확인되었다. 1991년에는 세 명의 이탈리아 학자(피뇨티, 라발리, 도나티)가 타불라 포이팅게리아나와 다른 고대 자료(키케로 포함)를 비교하여 로마에서 루비콘 강까지의 거리가 200로마 마일임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7] 이들은 산 조반니 인 콤피토(현재 사비냐노의 서쪽 구역)를 옛 ''Ad Confluentes''와 동일시하고, ''Ad Confluentes''와 로마 사이의 거리가 201로마 마일이며, 오늘날의 산 조반니 인 콤피토와 Fiumicino 강 사이의 거리가 1로마 마일(1.48km)이라는 점을 들어 Fiumicino 강이 루비콘 강이라고 주장했다.
이탈리아 왕국 시대의 1933년 8월, 베니토 무솔리니는 피우미치노 강을 "루비코네 강"으로 개칭하고, 사비냐노 디 로마냐의 지명도 사비냐노 술 루비코네("루비콘 강변의 사비냐노"라는 뜻)로 개칭했다.[8] 그러나 무솔리니의 결정은 강압적이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진짜 루비콘 강"을 둘러싼 논쟁을 더욱 심화시키는 원인이 되었다.[8]
5. 현재
오늘날 카이사르가 역사적으로 강을 건넜다는 물질적인 증거는 남아있지 않다. 사비냐노 술 루비코네는 공업 도시가 되었고, 루비콘강은 에밀리아-로마냐 지역에서 가장 오염된 강 중 하나가 되었다. 루카누스가 "작은 루비콘강의 물결로"(''parvi Rubiconis ad undas'')라고 말했듯이, 로마 시대에도 작은 강이었던 루비콘강은 상류 유역에서 지하수 개발로 유량이 감소했으며, 이후 낮은 산과 숲이 우거진 언덕 사이의 상류 유역을 제외하고는 자연적인 경로를 잃었다.[8]
한때 난개발 등으로 인해 루비콘강은 주 내에서 가장 오염된 강 중 하나로 여겨졌다.
가테오 아 마레에서 우안을 따라 작은 길이 있으며, 제방을 따라 남서쪽 상류로 약 25km 정도 거슬러 올라가면 사비냐노라는 마을에 도착한다. 철도 가드를 지나면 넓은 길과 마주치지만, 오른쪽에 있는 다리를 건너지 않고 그대로 좁은 우안 길을 따라간다. 200m 정도 가면 막다른 길인데, 그곳에 '''카이사르 입상'''이 있다.
오른쪽에는 석조 다리가 있으며, 복원되었지만 강으로 내려가 다리를 자세히 보면 아치 밑부분에 고대 석조가 보존되어 있다. 하류는 습지대이지만, 상류로 거슬러 올라갈수록 강둑은 튼튼해진다. 사비냐노 부근은 협곡 모양이며 양쪽 강둑은 바위이다. 카이사르의 군대가 다리를 놓는 것도 쉬웠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카이사르의 상은 지역 연구자와 로터리 클럽이 세운 것이다.
6. 루비콘 강 비정 관련 논란
15세기 르네상스 인문주의자들 사이에서 루비콘 강을 식별하는 문제가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3] 콰트로첸토 인문주의자 플라비오 비온도는 피시아텔로 강이 루비콘 강이라는 주장에 속았다.[4] 실제 "Sanctio" 비문은 체세나의 Museo Archeologico에 보존되어 있다.[5]
17세기 무렵부터 각지에서 "우리 지역을 흐르는 강이야말로 당시의 '루비콘 강'이다"라는 주장이 활발해졌다.[8] "루비콘 강"의 후보에는 사비냐노 술 루비코네를 흐르는 피우미치노 강 외에도, 체세나를 흐르는 피샤텔로 강, 포를리-체세나 현과 리미니 현의 현 경계 부근을 흐르는 우조 강 등이 있다.[8]
이탈리아 왕국 시대인 1933년 8월, 베니토 무솔리니는 피우미치노 강을 "루비코네 강"으로 개칭하고,[8] 사비냐노 디 로마냐의 지명도 사비냐노 술 루비코네("루비콘 강변의 사비냐노"라는 뜻)로 바꾸었다.[8] 그러나 이 결정은 강압적이었기 때문에[8],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진짜 루비콘 강" 논쟁이 다시 불거지는 원인이 되었다.[8]
현재 루비코네 강(피우미치노 강) 이외의 후보들은 다음과 같다.
- '''피샤텔로 강'''(Pisciatelloit)은 소리아노 알 루비코네 부근에서 발원하여 체세나 부근을 흐르며, 하구 근처에서 피우미치노 강과 합류한다. 이 강을 "루비콘 강"으로 간주하는 근거는 다음과 같다.
- 조반니 보카치오가 "과거 루비콘이라 불렸던 피샤테토"라고 기록했다.[8]
- 체세나에는 루비콘 강가에 있었음을 나타내는 이름을 가진 교회가 있다.[8]
- 강의 별칭 "우르곤"은 "루비콘"이 변형된 것으로 추측된다.[8]
- '''우조 강'''(Uso (fiume)it)은 벨라리아-이게아 마리나에서 아드리아 해로 흘러드는 강이다. 이 강에는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건설된 거대한 다리 유적이 있는데, 이것이 기념비적인 것이 아니냐는 주장이 있다.[8]
각 지역에서는 자신들의 강이 루비콘 강이라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제시하며, 지도에 "루비콘 강"으로 표기하거나,[8] 강변 거리에 "루비콘 거리"라는 이름을 붙이거나, 기념물을 건립하는 등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8]
참조
[1]
웹사이트
Dizionario d'ortografia e di pronunzia
https://web.archive.[...]
2017-06-17
[2]
서적
Lives of the Caesars
[3]
간행물
Dissertazione seconda dell'abate Pasquale Amati savignanese sopra alcune lettere del signor dottor Bianchi di Rimini e sopra il Rubicone degli antichi
Faenza
1763
[4]
서적
Italia illustrata
[5]
문서
1969
[6]
문서
Le centuriazioni di Ariminum: prospettive di ricerca.
[7]
뉴스
Rubico quondam finis Italiae
Città del Rubicone
1991-10
[8]
웹사이트
どれが本物? 続く論争 「さいは投げられた」 歴史のロマン駆り立てる
https://web.archive.[...]
2014-07-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