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오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오인은 케냐와 탄자니아에 거주하는 닐로트족 계열의 민족 집단이다. 빅토리아 호 주변 지역을 중심으로 거주하며, 농업, 어업, 목축을 혼합한 경제 활동을 한다. 루오족의 기원은 남수단 지역으로 추정되며, 1000년경부터 우간다와 케냐로 이주했다. 케냐 독립 운동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정치적으로는 키쿠유족과 경쟁 관계에 있다. 루오족은 전통적인 통치 체제와 독특한 문화, 음악, 결혼 관습 등을 가지고 있으며, 톰 음보야, 버락 오바마 등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탄자니아의 민족 - 헤헤족
    탄자니아 남서부 고지대에 거주하는 헤헤족은 19세기 응구루헤와 무니굼베의 지도 아래 세력을 확장하고 독일 제국에 저항했으나 므콰와 왕의 전사로 패배했음에도 불구하고 탄자니아의 국민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 탄자니아의 민족 - 인도계 탄자니아인
    인도계 탄자니아인은 탄자니아에 거주하는 인도 혈통의 사람들로, 중세 시대부터 교역을 통해 정착했으며, 독립 이후 해외로 이주하기도 했고, 록 가수 프레디 머큐리 등이 있다.
  • 우간다의 민족 - 아촐리족
    아촐리족은 우간다 북부와 남수단 국경 일대에 거주하며 아촐리어를 사용하는 나일족 계통의 민족으로, 추장국 중심 사회를 이루었으나 신의 저항군 반란으로 피해를 입었고 현재 화해를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우간다의 민족 - 간다인
    간다인은 우간다에 거주하며 부간다 왕국을 세운 반투족으로, 킨투를 최초의 인간으로 여기고 동쪽에서 이주해 왔다는 전승을 가지며, 18세기 동아프리카 강국으로 성장했으나, 19세기 후반 영국 보호령이 되었고, 1962년 우간다 독립 후 폐지되었다가 1993년 부활하여 자치권을 인정받는 부계 혈통 중심의 씨족 사회이다.
루오인
정보
케냐의 보마스 오브 케냐 박물관에 있는 전통적인 루오 마을
민족명루오
총 인구10,028,000명
주요 거주 지역서부 케냐와 북부 탄자니아
거주 국가케냐
탄자니아
케냐 인구 (2019년)4,663,910명
종교기독교
아프리카 전통 종교
이슬람교
사용 언어돌루오어
스와힐리어
영어
관련 민족기타 루오족, 특히 아돌라족 및 알루르족
명칭
남성 단수잘루오 (JaLuo)
여성 단수냐루오 (NyaLuo)
복수조루오 (JoLuo)
언어돌루오 (Dholuo)
지역/호수피니 루오 (Piny Luo)/남 롤웨 (Nam Lolwe)
언어 (영어)루오 (Luo)

2. 거주 지역

현재 케냐탄자니아 루오인의 고향은 서부 케냐의 옛 니안자주와 북서 탄자니아 마라주빅토리아호 동쪽 분지에 있다. 이 지역은 열대 위도에 속하며 적도에 걸쳐 있다. 이 지역은 평균 강우량도 받았다. 평균 고도는 해발 1128m에서 1829m 사이이다.[89]

현재 케냐와 탄자니아 루오족의 고향은 동부 빅토리아 호 유역에 위치해 있으며, 과거 케냐 서부 니안자 주의 ''남 롤웨''와 탄자니아 북서부의 마라 지역에 걸쳐 있다.[13]

3. 기원

루오족의 일부를 보여주는 지도


케냐탄자니아의 루오족은 닐로트족의 다수를 차지한다.[14] 영국 식민지 시대에는 닐로트 카비론도로 알려졌다. 닐로트족의 정확한 기원은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대부분의 민족언어학자와 역사가들은 그들의 기원을 바르엘가잘과 동부 에콰토리아 사이의 남수단 지역으로 본다. 그들은 소 목축, 어업, 종자 재배를 혼합한 경제를 실천했다.[15][16][17][18] 이 지역에서 비슷한 문화를 묘사하는 가장 초기의 고고학적 발견 중 일부는 수단 하르툼 북쪽 48킬로미터(30마일) 떨어진 카데로에서 발견되었으며, 기원전 30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카데로에는 소 목축 문화의 유적과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표현형을 특징으로 하는 골격 유해가 있는 묘지가 있다. 또한 다른 가축화, 예술성, 장거리 무역, 종자 재배 및 어류 소비에 대한 증거도 포함되어 있다. 유전 및 언어 연구를 통해 누비아인은 북부 수단과 남부 이집트에서 닐로트족과 밀접하게 관련된 집단으로 시작된 혼혈 집단임이 밝혀졌다.[19][20] 이 집단은 나중에 중동인 및 기타 동아프리카 인구로부터 상당한 유전자 흐름을 받았다. 누비아인은 고대 나일 계곡의 초기 거주민의 후손으로 간주되며, 나중에 케르마와 메로에를 포함하는 쿠쉬 왕국과 마쿠리아, 노바티아, 알로디아의 중세 기독교 왕국을 형성했다.[21] 이러한 연구는 닐로트족과 밀접하게 관련된 인구가 고대부터 남부 이집트까지 나일 계곡에 오랫동안 거주했음을 시사한다.

다양한 이유로, 닐로트 루오족의 느리고 여러 세대에 걸친 이주가 적어도 서기 1000년부터 20세기 초까지 남수단에서 우간다와 서부 케냐로 발생했다. 일부 저자는 이러한 확장의 초기 단계가 마쿠리아와 알로디아의 기독교 누비아 왕국의 붕괴, 아랍인의 중앙 수단 침투, 닐로트족의 철기 시대 기술 채택과 일치한다고 언급한다.[22][23] 루오족의 최북단 집단인 실루크족은 16세기에 백나일강을 따라 북쪽으로 진출하여 오늘날의 하르툼까지 영토를 정복했다.[24] 그들은 실루크 왕국을 세웠다.[25] 15세기에 루오족은 부뇨로-키타라 왕국으로 이동하여 우간다에 바비이토 왕조를 세웠다. 이 집단은 반투족 문화에 동화되었다.

케냐탄자니아의 루오족은 남부 루오로 분류된다. 그리고 그들은 유일하게 나일강을 따라 이주하여 살았던 '강호 닐로테스'이다. 그들은 남수단의 바르엘가잘 지역에서 우간다를 거쳐 케냐와 탄자니아로 들어갔다. 케냐로 이주한 루오어 사용자는 주로 네 개의 루오어 사용 집단 출신이었다. 아촐리족, 아돌라족, 알루르족(우간다와 일부 남수단 및 동부 콩고 출신), 특히 아촐리족과 파돌라족.[4] Dholuolua는 Lep Alurach (알루르어)와 어휘적 유사성이 90%, Lep Acholach (아촐리어)과 83%, Dhopadholalua(파돌라어)와 93%, 아누아크어와 74%, Jurcholluo (루워) 및 Dhi-Pariluz(파리)와 69%의 유사성을 갖는 것으로 추정된다.[4]

케냐와 탄자니아의 루오족은 '''졸루오''' 또는 '''조나기'''/'''오나기(사춘기 동안 통과의례로 아래 여섯 개의 치아를 제거한 사람)''', 단수형 '''자루오''', '''자오나기''' 또는 '''조라모기'''/'''니콰라모기'''라고도 불리며, "라모기의 상속자"를 의미한다. 케냐와 탄자니아의 루오족 씨족은 '''오로로'''라고 불렸고, 누에르족 사이에서는 '''리엘'''이라고 불렸다. 딩카족에서는 루오족을 '''주르-촐'''이라고 부른다.[26] 현재의 케냐 루오족은 전통적으로 27개의 부족으로 구성되며, 각 부족은 다시 다양한 씨족과 하위 씨족으로 구성된다.[27] ("Jo-"는 "~의 사람들"을 나타낸다).

3. 1. 초기 역사



케냐탄자니아의 루오족은 닐로트족의 다수를 차지한다. 영국 식민지 시대에는 닐로트 카비론도로 알려졌다.[14] 닐로트족의 정확한 기원은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대부분의 민족언어학자와 역사가들은 그들의 기원을 바르엘가잘과 동부 에콰토리아 사이의 남수단 지역으로 본다. 그들은 소 목축, 어업, 종자 재배를 혼합한 경제를 실천했다.[15][16][17][18] 이 지역에서 비슷한 문화를 묘사하는 가장 초기의 고고학적 발견 중 일부는 수단 하르툼 북쪽 48킬로미터(30마일) 떨어진 카데로에서 발견되었으며, 기원전 30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카데로에는 소 목축 문화의 유적과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표현형을 특징으로 하는 골격 유해가 있는 묘지가 있다. 또한 다른 가축화, 예술성, 장거리 무역, 종자 재배 및 어류 소비에 대한 증거도 포함되어 있다. 유전 및 언어 연구를 통해 누비아인은 북부 수단과 남부 이집트에서 닐로트족과 밀접하게 관련된 집단으로 시작된 혼혈 집단임이 밝혀졌다.[19][20] 이 집단은 나중에 중동인 및 기타 동아프리카 인구로부터 상당한 유전자 흐름을 받았다. 누비아인은 고대 나일 계곡의 초기 거주민의 후손으로 간주되며, 나중에 케르마와 메로에를 포함하는 쿠쉬 왕국과 마쿠리아, 노바티아, 알로디아의 중세 기독교 왕국을 형성했다.[21] 이러한 연구는 닐로트족과 밀접하게 관련된 인구가 고대부터 남부 이집트까지 나일 계곡에 오랫동안 거주했음을 시사한다.

다양한 이유로, 닐로트 루오족의 느리고 여러 세대에 걸친 이주가 적어도 서기 1000년부터 20세기 초까지 남수단에서 우간다와 서부 케냐로 발생했다. 일부 저자는 이러한 확장의 초기 단계가 마쿠리아와 알로디아의 기독교 누비아 왕국의 붕괴, 아랍인의 중앙 수단 침투, 닐로트족의 철기 시대 기술 채택과 일치한다고 언급한다.[22][23] 루오족의 최북단 집단인 실루크족은 16세기에 백나일강을 따라 북쪽으로 진출하여 오늘날의 하르툼까지 영토를 정복했다.[24] 그들은 실루크 왕국을 세웠다.[25] 15세기에 루오족은 부뇨로-키타라 왕국으로 이동하여 우간다에 바비이토 왕조를 세웠다. 이 집단은 반투족 문화에 동화되었다.

케냐탄자니아의 루오족은 남부 루오로 분류된다. 그리고 그들은 유일하게 나일강을 따라 이주하여 살았던 '강호 닐로테스'이다. 그들은 남수단의 바르엘가잘 지역에서 우간다를 거쳐 케냐와 탄자니아로 들어갔다. 케냐로 이주한 루오어 사용자는 주로 네 개의 루오어 사용 집단 출신이었다. 아촐리족, 아돌라족, 알루르족(우간다와 일부 남수단 및 동부 콩고 출신), 특히 아촐리족과 파돌라족.[4] Dholuo는 Lep Alur (알루르어)와 어휘적 유사성이 90%, Lep Achol (아촐리어)과 83%, Dhopadhola(파돌라어)와 93%, 아누아크어와 74%, Jurchol (루워) 및 Dhi-Pari(파리)와 69%의 유사성을 갖는 것으로 추정된다.[4]

케냐와 탄자니아의 루오족은 '''졸루오''' 또는 '''조나기'''/'''오나기(사춘기 동안 통과의례로 아래 여섯 개의 치아를 제거한 사람)''', 단수형 '''자루오''', '''자오나기''' 또는 '''조라모기'''/'''니콰라모기'''라고도 불리며, "라모기의 상속자"를 의미한다. 케냐와 탄자니아의 루오족 씨족은 '''오로로'''라고 불렸고, 누에르족 사이에서는 '''리엘'''이라고 불렸다. 딩카족에서는 루오족을 '''주르-촐'''이라고 부른다.[26] 현재의 케냐 루오족은 전통적으로 27개의 부족으로 구성되며, 각 부족은 다시 다양한 씨족과 하위 씨족으로 구성된다.[27] ("Jo-"는 "~의 사람들"을 나타낸다).

3. 2. 케냐로의 이주

구술 역사와 계보 증거에 따르면, 루오족은 케냐와 탄자니아로 확산되었는데, 케냐의 옛 냔자 주로의 주요 이주는 4차례 있었다. 1490~1517년에 시작된 조크족(''Joka Jok'')은 북부 냔자 주로 이주한 최초이자 가장 큰 규모의 이주민들이었다. 이들은 라모기 언덕(Ramogi Hill)에 정착한 후 북부 냔자 주 주변으로 확장되었다. 오위니족(''Jok'Owiny'')과 오몰로족(''Jok'Omolo'')이 곧 뒤따랐다(1598~1625). 수바족, 사크와족, 아셈보족, 우요마족, 카노족으로 구성된 잡다한 무리가 그 뒤를 이었다. 수바족은 원래 반투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었지만 루오 문화에 동화되었다. 이들은 18세기 중반 24대 부간다의 카바카가 살해된 후 일어난 내전 이후 우간다의 부간다 왕국에서 도망쳐 남냔자에 정착했다. 특히 루싱가 섬과 므팡가노 섬에 정착했다. 17세기 초부터 루오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북부 냔자에서 빅토리아 호의 위남 만을 건너 남냔자로 이동했다.

케냐 남냔자의 미고리 군에 있는 팀리치 오힝가


루오족이 이미 거주하고 있는 이 지역으로 확장되면서 무역, 분쟁, 정복, 혼인 및 문화 동화가 일어났다. 이전 거주자들은 루오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 의해 현재의 경계로 밀려났다. 루오족의 관습과 습관 또한 그들이 상호 작용한 공동체의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변화했다. 다양한 지역에서의 갈등과 약탈은 남냔자의 팀리치 오힝가와 같은 돌담 유적으로 특징지어지는 방어적인 사바나 건축물의 발달로 이어졌다. 동아프리카 영국 역사 고고학 연구소 소장인 네빌 치틱은 이 유적이 루오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도착하기 전에 건설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처음 주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고고학적으로 뒷받침이 미약한데, 대부분의 석조 구조물이 루오족의 확산 시기에 속하기 때문이다.[32] 그럼에도 불구하고 루오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팀리치 오힝가를 유지하고 북부 및 남부 냔자 모두에서 석조 요새(''오힝니'')와 방어용 토목 공사(''군다 부르'')를 건설하는 전통을 이어갔다. 이 방어 구조물은 주변 생활 공간을 둘러싸고 있었으며, 일부는 수백 채의 집을 둘러쌌다.[33] 이 유적에 대한 고고학적 및 민족학적 분석 결과, 이 구조물의 공간적 배치가 전통적인 루오족 가옥의 배치와 가장 유사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도자기 분석 또한 이 유적의 초기 거주자와 루오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사이의 연속성을 확인해준다.[32] 유럽인들이 도착하면서 식민 행정부가 이 지역에 평화를 정착시키면서 이 유적은 서서히 비워졌다. 울타리 안에 살던 가족들은 석재 대신 대극을 사용하여 개별 가옥으로 이주했다. 20세기 중반까지 모두 버려졌다.[32][33]

4. 식민지 시대

루오족은 백인 정착민에 의해 토지를 빼앗기지 않아 케냐의 "화이트 하이랜드"에 거주하는 유목 민족들이 겪었던 운명을 피했다.[6] 많은 루오족은 케냐 독립 투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마우마우 봉기(1952–60)에는 비교적 소극적으로 참여했다.[6] 식민 정부의 선전 캠페인은 마우마우가 저지른 야만 행위를 강조하여 다른 케냐 공동체와 국제 사회가 이 운동에 공감하는 것을 막았다.[6] 봉기 동안 아프리카인에 비해 훨씬 적은 수의 유럽인이 사망했지만, 각 유럽인의 사망은 불길한 세부 사항으로 공개되어 배신과 잔인성의 요소를 강조했다.[6]

아치엥 오네코. 카펭구리아 6인 중 한 명


톰 음보야


마우마우를 지지하거나 식민 정부가 지지한다고 간주한 루오족 지지자들은 투옥되었는데, 카펭구리아 6인 중 한 명이자 KAU 지도자인 라모기 아치엥 오네코가 투옥되었다.[40] 버락 오바마의 할아버지인 후세인 오냐고 오바마는 아프리카 민족주의 운동에 연루되어 식민 당국에 의해 투옥되고 고문을 받았다.[40] 루오족 변호사이자 법학 학위를 취득한 최초의 동아프리카인인 아르윙스 코데크는 마우마우 범죄 혐의를 받는 아프리카인들을 무상으로 성공적으로 변호하면서 마우마우 변호사로 알려지게 되었다.

마우마우 봉기가 진압되고 키쿠유 정치인들이 억류된 후, 루오족의 반식민주의 활동가들이 정치 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톰 음보야는 케냐 독립 투쟁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이 되었으며, 그의 지성, 규율, 웅변술, 조직 능력은 그를 돋보이게 했다.[41] 톰 음보야는 케냐 노동 연맹(KFL)을 창설하여 케냐에서 가장 활발한 정치 단체가 되었고, 국제 자유 노동 조합 연맹(ICFTU)을 통해 미국의 노동 지도자들과 국제적인 연계를 맺었다.[41] 그는 이러한 연계와 국제적인 명성을 활용하여 식민 정부의 움직임에 대항했다.[41] 톰 음보야는 콰메 은크루마의 국민 회의당에서 영감을 받아 나이로비 인민 회의당(NPCP)을 창당했고, 이후 이 당은 케냐 독립 운동과 KAU와 합병하여 케냐 아프리카 민족 연합(KANU)을 결성했다. 톰 음보야는 또한 아프리카 숙련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케네디 에어리프트 장학 프로그램을 시작했다.[42] 이 프로그램의 혜택을 받은 케냐인과 동아프리카인 중에는 버락 오바마의 아버지인 버락 오바마 시니어가 있었다.[42]

1957년 아프리카 입법 위원회(MLC) 위원을 선출하는 최초의 선거가 치러졌고, 톰 음보야와 오깅가 오딩가가 선출되었다. 1958년 6월, 오깅가 오딩가는 조모 케냐타의 석방을 요구하며 입법 위원회 토론에서 이 요구를 했고, 이는 아프리카 민족주의 운동의 외침이 되었다. 랭커스터 하우스 회담 (케냐)은 케냐의 독립과 헌법 틀을 논의하기 위해 런던에서 열렸고, 톰 음보야와 오깅가 오딩가는 미국의 변호사이자 시민권 운동가인 서굿 마셜의 도움을 받아 최초의 헌법을 작성했다.[42]

4. 1. 독립 투쟁

루오족은 백인 정착민에 의해 토지를 빼앗기지 않아 케냐의 "화이트 하이랜드"에 거주하는 유목 민족들이 겪었던 운명을 피했다.[6] 많은 루오족은 케냐 독립 투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마우마우 봉기(1952–60)에는 비교적 소극적으로 참여했다.[6] 식민 정부의 선전 캠페인은 마우마우가 저지른 야만 행위를 강조하여 다른 케냐 공동체와 국제 사회가 이 운동에 공감하는 것을 막았다.[6] 봉기 동안 아프리카인에 비해 훨씬 적은 수의 유럽인이 사망했지만, 각 유럽인의 사망은 불길한 세부 사항으로 공개되어 배신과 잔인성의 요소를 강조했다.[6]

마우마우를 지지하거나 식민 정부가 지지한다고 간주한 루오족 지지자들은 투옥되었는데, 카펭구리아 6인 중 한 명이자 KAU 지도자인 라모기 아치엥 오네코가 투옥되었다.[40] 버락 오바마의 할아버지인 후세인 오냐고 오바마는 아프리카 민족주의 운동에 연루되어 식민 당국에 의해 투옥되고 고문을 받았다.[40] 루오족 변호사이자 법학 학위를 취득한 최초의 동아프리카인인 아르윙스 코데크는 마우마우 범죄 혐의를 받는 아프리카인들을 무상으로 성공적으로 변호하면서 마우마우 변호사로 알려지게 되었다.

마우마우 봉기가 진압되고 키쿠유 정치인들이 억류된 후, 루오족의 반식민주의 활동가들이 정치 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톰 음보야는 케냐 독립 투쟁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이 되었으며, 그의 지성, 규율, 웅변술, 조직 능력은 그를 돋보이게 했다.[41] 톰 음보야는 케냐 노동 연맹(KFL)을 창설하여 케냐에서 가장 활발한 정치 단체가 되었고, 국제 자유 노동 조합 연맹(ICFTU)을 통해 미국의 노동 지도자들과 국제적인 연계를 맺었다.[41] 그는 이러한 연계와 국제적인 명성을 활용하여 식민 정부의 움직임에 대항했다.[41] 톰 음보야는 콰메 은크루마의 국민 회의당에서 영감을 받아 나이로비 인민 회의당(NPCP)을 창당했고, 이후 이 당은 케냐 독립 운동과 KAU와 합병하여 케냐 아프리카 민족 연합(KANU)을 결성했다. 톰 음보야는 또한 아프리카 숙련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케네디 에어리프트 장학 프로그램을 시작했다.[42] 이 프로그램의 혜택을 받은 케냐인과 동아프리카인 중에는 버락 오바마의 아버지인 버락 오바마 시니어가 있었다.[42]

1957년 아프리카 입법 위원회(MLC) 위원을 선출하는 최초의 선거가 치러졌고, 톰 음보야와 오깅가 오딩가가 선출되었다. 1958년 6월, 오깅가 오딩가는 조모 케냐타의 석방을 요구하며 입법 위원회 토론에서 이 요구를 했고, 이는 아프리카 민족주의 운동의 외침이 되었다. 랭커스터 하우스 회담 (케냐)은 케냐의 독립과 헌법 틀을 논의하기 위해 런던에서 열렸고, 톰 음보야와 오깅가 오딩가는 미국의 변호사이자 시민권 운동가인 서굿 마셜의 도움을 받아 최초의 헌법을 작성했다.[42]

5. 독립 이후

1963년 12월 12일 케냐가 독립한 후, 오잉가 오딩가는 조모 케냐타를 정부 수반으로 하여 부통령직을 맡았다. 루오족과 키쿠유족은 독립 후 첫 몇 년 동안 정치 권력의 대부분을 차지했다.[6] 그러나 케냐타와의 의견 차이로 오딩가는 1966년에 당에서 탈당하고 부통령직에서 물러났다. 냉전의 영향으로 케냐 지역 정치는 이데올로기적 분열에 휩싸였다.[43] 오딩가와 빌다드 카기아는 케냐타 정부의 부패한 토지 재분배 정책을 비판했다.[44] 오딩가는 자신의 정당인 케냐 인민 연합(KPU)을 창당했으나,[44] 케냐 정부는 이 정당을 탄압했다.[45]

1969년 톰 음보야 암살 이후 정치적 긴장은 키수무 학살로 이어졌고, KPU는 금지되었으며 케냐는 사실상 일당제 국가가 되었다.[47][48][49][43] 오잉가 오딩가를 포함한 모든 KPU 회원들이 체포되었다.[47] 냐안자 주의 정치적 소외는 다니엘 아랍 모이 행정부 하에서도 계속되었다.[47][48][49][43]

1990년대 초 국내외 압력으로 모이 정부는 다당제 정치를 허용했다.[54] 민주주의 복원 포럼(FORD)이 결성되었으나 내부 갈등으로 분열되었다.[55] 오딩가의 아들 라일라 오딩가는 케냐 국민 개발당(NDP)을 창당, 2002년 KANU와 합병했다.[56] 라일라 오딩가는 2005년 케냐 헌법 국민투표에서 무아이 키바키에 반대하는 투표를 주도했다.[57]

2007년 케냐 총선 이후 2007~2008년 케냐 위기에서 1,000명 이상이 사망하고 60만 명이 이재민이 발생했다. 라일라 오딩가는 오렌지 민주 운동을 이끌고 무아이 키바키의 국민 연합당에 맞섰다.[58] 코피 아난이 중재한 권력 분점 협정으로 연립 정부가 구성되었다.[59] 키쿠유족과 루오족 간의 민족적 경쟁은 케냐의 정치적 궤적을 계속 형성하고 있다.[60][61][62]

5. 1. 2007년 케냐 위기

1963년 12월 12일 케냐가 독립한 후, 오잉가 오딩가는 조모 케냐타를 정부 수반으로 하여 부통령직을 맡았다. 루오족과 키쿠유족은 독립 후 첫 몇 년 동안 정치 권력의 대부분을 차지했다.[6] 그러나 케냐타와의 의견 차이로 오딩가는 1966년에 당에서 탈당하고 부통령직에서 물러났다. 냉전의 영향으로 케냐 지역 정치는 이데올로기적 분열에 휩싸였다.[43] 오딩가와 빌다드 카기아는 케냐타 정부의 부패한 토지 재분배 정책을 비판했다.[44] 오딩가는 자신의 정당인 케냐 인민 연합(KPU)을 창당했으나,[44] 케냐 정부는 이 정당을 탄압했다.[45]

1969년 톰 음보야 암살 이후 정치적 긴장은 키수무 학살로 이어졌고, KPU는 금지되었으며 케냐는 사실상 일당제 국가가 되었다.[47][48][49][43] 오잉가 오딩가를 포함한 모든 KPU 회원들이 체포되었다.[47] 냐안자 주의 정치적 소외는 다니엘 아랍 모이 행정부 하에서도 계속되었다.[47][48][49][43]

1990년대 초 국내외 압력으로 모이 정부는 다당제 정치를 허용했다.[54] 민주주의 복원 포럼(FORD)이 결성되었으나 내부 갈등으로 분열되었다.[55] 오딩가의 아들 라일라 오딩가는 케냐 국민 개발당(NDP)을 창당, 2002년 KANU와 합병했다.[56] 라일라 오딩가는 2005년 케냐 헌법 국민투표에서 무아이 키바키에 반대하는 투표를 주도했다.[57]

2007년 케냐 총선 이후 2007~2008년 케냐 위기에서 1,000명 이상이 사망하고 60만 명이 이재민이 발생했다. 라일라 오딩가는 오렌지 민주 운동을 이끌고 무아이 키바키의 국민 연합당에 맞섰다.[58] 코피 아난이 중재한 권력 분점 협정으로 연립 정부가 구성되었다.[59] 키쿠유족과 루오족 간의 민족적 경쟁은 케냐의 정치적 궤적을 계속 형성하고 있다.[60][61][62]

6. 유전학

2009년 티쉬코프 외 연구진은 아프리카 인구 집단 간의 유전적 변이와 관계를 특성화하기 위한 대규모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5] 이들은 121개의 아프리카 인구 집단, 4개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집단, 그리고 60개의 비아프리카 인구 집단을 조사했다. 연구 결과는 이주 사건을 반영하는 높은 수준의 혼합 조상을 나타냈다. 동아프리카에서는 조사된 모든 인구 집단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나일로트, 쿠시, 반투 조상의 요소를 가지고 있었다.[5]

유전적 클러스터는 언어 분류와 대체로 일치했지만, 케냐의 루오족과 같은 예외도 있었다. 나일어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루오족은 주변의 반투어를 사용하는 인구 집단과 클러스터를 이룬다. 이는 남쪽으로의 남부 루오족의 이주 동안 높은 수준의 혼혈이 발생했음을 시사한다.[5] 데이비드 라이히 연구실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언급했다. 루오족의 돌연변이 빈도는 주변 반투어 사용자의 돌연변이 빈도와 훨씬 유사하다. 동아프리카의 루오어 사용자가 이미 반투어 사용자가 거주하고 있는 지역으로 이주했을 때 항상 사회적으로 불리한 입장에 있었던 것은 아닐 수 있으며, 이는 당시 지배적이었던 루오어, 문화, 관습을 많은 수의 반투어 사용자들이 받아들였다는 구전 역사와 일치한다.[5]

검사받은 루오족 남성의 66%가 반투어 사용 민족에게서 흔하게 나타나는 Y 하플로그룹 E-M2 (E1b1a)를 가지고 있었다.[64]

7. 문화와 관습

7. 1. 전통적인 통치 체제

전통적으로 루오족은 분권화된 정부 시스템을 가진 가부장적인 사회였다.[65] 가족은 아버지, 또는 아버지 부재 시 첫 번째 부인 ''미카이''나 아들이 이끌었다. 많은 가족들은 혈연 관계를 통해 씨족인 ''아니울라''를 형성하기 위해 모였으며, 이는 대부분 다른 가족의 수장들을 같은 혈통의 사람들인 ''조캉가토''로 모이게 했다. 많은 씨족들이 모여 ''그웽''이라고 불리는 마을을 형성했으며, 마을 원로인 ''도도'' 또는 ''자둥 그웽''이 상업, 부, 전쟁 또는 웅변을 통해 얻은 지위의 전통적인 남성인 원로들의 도움을 받아 통치했다. 많은 마을들이 모여 하위 부족 - '''''피니'''''를 형성했는데, 이는 부족 국가로 느슨하게 번역된다. 피니는 장남인 워르''우오스(Ruoth의 왕자/아들)''에 의한 공적 기반의 '''세습적 족장'''에 의해 통치되었다.[66]

Ruoth는 그의 영적 및 군사 고문이기도 한 점술가 - ''자빌로''에 의해 대관식을 치렀다. 루오 정부 구조는 영토 내 모든 마을의 원로회, ''갈라모로 마르 조동고'' 또는 ''조동 그웽''을 둔 ''Ruoth'' 아래에서 주 차원에서 더 강력했다. 루오족은 하위 부족 수준에서 방어 및 안보를 조직했으며, 이는 원로회의 일부인 지휘관 ''오숨바 머와이''가 이끌었다. 위원회는 또한 ''Ruoth''가 주재하는 마을 시장 회의, 종교 및 문화 의식에서 공식적인 문제에 대해 위원회를 대신하여 발언하는 대변인을 두었다.[66]

하위 부족 간의 관계는 루오족의 단일 통치자가 없었기 때문에 임시적이었다. 하위 부족들은 재난, 전쟁, 가뭄, 기근, 홍수와 같은 자연 재해 동안 서로를 돕기 위해 모였다. 기근으로 고통받는 사람들과 생산물을 나누는 행위인 ''수모''는 일반적인 전통이었으며, 키수무는 기근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이 루오족의 관대함을 결코 놓치지 않는 유명한 시장 중 하나였다.

루오 통치자 ''케르''의 개념은 1947년 자라모기 오깅가 오딩가가 동아프리카의 모든 루오족을 통합하기 위해 만들어진 루오 연합을 결성하면서 만들어졌다. 자라모기 오깅가 오딩가는 최초의 루오 ''케르''였다. 부족 지도자와 국가 지도자를 구별하기 위한 조건의 일부는 루오 ''케르''가 국가 정치에 참여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었고, 1957년 자라모기 오깅가 오딩가가 국가 정치에 참여했을 때 그는 ''케르'' 자리를 그만두어야 했다.[67]

최근 몇 년 동안, 그리고 현재까지도 루오 ''케르'' 자리를 두고 분쟁이 계속되고 있다.

7. 2. 성인식

전통적으로, 아이들에게 붙여진 이름은 종종 어머니의 임신 또는 출산 당시의 상황(예: 시간 또는 계절)을 반영했다.[71] 또한, 루오족은 루오족 영토에 영향을 미친 턱 근육 경직으로 인해 아래쪽 치아 6개를 발치했다.

7. 3. 종교 관습

루오족은 우간다의 랑기족, 아촐리족, 알루르족 등 많은 민족 공동체와 마찬가지로, 의례적인 할례성인식으로 시행하지 않는다.[73] 현지 교회로는 레지오 마리아, 로호, 노미야, 프웨니 등이 있다.[73] 키수무 (케냐)에는 상당수의 루오족 무슬림 공동체가 있다.[74]

7. 4. 결혼 관습

과거에는 중매쟁이가 부부를 소개했지만, 지금은 흔하지 않다. 케냐의 다른 많은 공동체와 마찬가지로, 루오족의 결혼 관습도 변화하고 있으며, 일부 사람들은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고 있다.

루오족은 이 지역의 다른 집단과의 통혼을 통해 문화를 성공적으로 확장했으며, 오늘날 많은 루오족은 루오 공동체 밖에서 결혼을 계속하고 있다. 이는 부계와 모계 모두에서 씨족 수준의 제한이 있는 외혼 공동체이기 때문에 주로 용인된다.[71] 전통적인 결혼식은 두 부분으로 진행되며, 두 부분 모두 신랑이 지참금을 지불하는 것을 포함한다. 첫 번째 의식인 Ayie는 신부의 어머니에게 돈을 지불하는 것을 포함하며, 두 번째 단계는 신부의 아버지에게 소를 주는 것을 포함한다. 종종 이 두 단계는 동시에 진행되며, 많은 현대 루오족이 기독교인이기 때문에 교회 예식이 뒤따르는 경우가 많다.

7. 5. 음악

전통적으로 음악은 루오 공동체에서 가장 널리 행해지던 예술이었다.[75] 음악은 의례, 종교, 정치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었다.[75] 장례식에서는 ''테로 부루''를 통해 고인을 기리고 유족을 위로했다.[75] 정화 의식, 맥주 파티(''두두'', 오항글라 댄스), 전쟁에서 돌아온 전사 환영, 레슬링 경기(''올렌고'') 등에도 음악이 사용되었다.[75] 노동요는 공동 작업과 개인 작업 모두에서 불렸다.[75]

케냐 엘도레트의 루오족 무용수


루오족의 음악은 멜로디가 서정적이고 보컬 장식이 많으며, 리듬은 당김음과 아크루식 시작이 특징이다.[75] 노래는 독창적인 응답 스타일이나 독창적인 공연으로 제시되었다.[75] 독창적인 공연의 예로는 찬트가 있으며, 이는 불규칙한 리듬과 구절로 이루어진 레시타티브였다.[75] '''''파크루옥'''''은 음악 공연 중간에 도입되는 또 다른 찬트이며, '''''시갈라갈라'''''는 여성들이 주로 하는 율동이었다.[75]

루오족 민속 음악의 춤 스타일은 우아하고 기품이 있었다.[75] 춤은 허리를 움직이면서 한쪽 다리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냐티티의 선율에 맞춰 어깨를 격렬하게 흔드는 것으로 이루어졌다.[75] 루오족은 전통 의상과 장식을 통해 아름다움을 드러냈다.[75] 의상에는 사이잘 스커트('''''오왈로'''''), 구슬('''''옴불루 / 티고'''''), 붉거나 흰 점토 등이 포함되었다.[75] 남성 의상에는 가죽 '''''쿠오디'''''' 또는 '''''치에노''''', 머리 장식인 '''''리기사''''', 방패와 창, 갈대 모자, 곤봉 등이 있었다.[75]

냐티티


루오족은 타악기(드럼, 박수, 금속 링, '''''옹겐고 또는 가라''''', 쉐이커), 현악기(예: 리라의 일종인 '''''냐티티'''''; 바이올린의 일종인 '''''오루투''''), 관악기(혼인 '''''퉁''''', 플루트인 '''''아실리''''', 특정 유형의 트럼펫인 '''''아 부-!''''') 등 다양한 악기를 사용했다.[75]

현대에 루오족은 ''벵가'' 스타일의 음악과 관련이 있다.[76] 벵가는 1950년대에 조지 라모기, 오치엥 카바셀레 등이 전통 춤 리듬을 서양 악기에 적용하면서 시작되었다.[76] 기타는 냐티티를 대체하는 현악기로 사용되었다.[76] 벵가는 모든 민족의 음악가들이 연주할 정도로 인기를 얻었다.[76]

루오족 가수이자 냐티티 연주자인 아유브 오가다는 영화 ''콘스탄트 가드너''에 그의 곡이 포함되면서 널리 알려졌다. 다른 루오족 음악가로는 아코테, 수잔나 오위요, 다니엘 오위노 미시아니, 콜레라 마제, 아치엥 아부라, 조지 라모기, 무사 주마, 토니 냐둔도 및 오니 파파 제이가 있다.

7. 6. 친족, 가족 및 상속

오촐라 아야요는 "남부 루오족의 전통 이념과 윤리"에서 루오족의 상속 제도에 대해 설명한다.[77] 상속은 장자 상속의 원칙에 따라 이루어지며, 장남이 가장 많은 몫을 받고 연장자 순으로 나머지를 받는다. 농지를 분할할 때 장남은 중앙 부분을, 차남은 농가 오른쪽, 삼남은 왼쪽 토지를 받는다. 아버지 사후 장남은 지도자 책임을 맡으며, 같은 할아버지의 후손들인 조카콰로(Jokakwaro) 집단은 장남의 지도 아래 제물을 공유한다. 형제 사망 시 다음 연장자가 지도자 자리를 물려받는다. 지도자는 수확, 경작, 그리고 죽인 동물의 특정 부위(주로 가장 좋은 부위)를 먹는 데 우선권을 가진다. 장남은 어선을 먼저 소유할 수 있으며, 아버지나 할아버지의 조상과 소통하며 배의 종교적 제물을 집행하거나 이끈다.[77]

아버지 생전 토지 분배는 토지 상속 시스템과 일치한다. 일부일처 가족의 경우, 장남은 정문 너머 또는 완충 지대까지 농가 토지의 중앙 부분을 차지하고, 차남은 나머지 토지를 다른 형제들과 나눈다. 장남들이 결혼하여 자신들의 땅에서 살게 된 후, 막내아들이 아버지의 노년을 돌보기 위해 아버지의 마을에 남아 몬도(Mondo)라고 불리는 마지막 재산과 어머니의 남은 정원을 상속받는다.[78] 일부다처제 마을의 경우, 토지는 동일한 방식으로 분할되지만, 아들들은 어머니의 집과 인접한 구역을 주장한다. 각 아내와 자녀들은 마치 한 여성의 아들들로 구성된 것처럼 간주된다. 즉, 장자, 미카이(Mikayi)의 자녀는 일부일처 가족에서 장남에게 주어졌을 부분의 전체 면적의 일부를 받는다. 두 번째 아내인 냐치라(Nyachira)의 아들들과 세 번째 아내인 레루(Reru)의 아들들은 일부일처 마을에서 미카이의 차남과 삼남에게 돌아갈 부분에 대한 권리를 주장한다.[78]

폴 헤빈크와 넬슨 망고는 "토지와 내재된 권리: 서부 케냐 루오족의 토지 분쟁 분석"에서, 파커 맥도날드 쉽톤은 "조상에게 저당 잡히기: 아프리카의 애착 이데올로기"에서 루오족의 친족, 가족 및 상속에 대해 상세히 기술한다.[79]

1950년대 고든 윌슨의 연구에 따르면, 루오족 사람들은 집 배치 방식을 반영하여 밭을 배치하는 것을 선호했다. 일부일처 농가에 아들이 둘 이상 있는 경우, 장남은 입구 앞 또는 오른쪽 땅을, 차남은 왼쪽 땅을 차지한다. 셋째 아들은 오른쪽과 중앙 땅을 받지만 아버지 농가에서 더 멀리 떨어지고, 넷째 아들은 둘째 아들보다 아버지 농가에서 더 멀리 떨어진 왼쪽에 간다. 더 많은 아들은 오른쪽과 왼쪽을 번갈아 가며 땅을 받는다. 장남은 어린 아들보다 더 많은 몫을 받을 수 있지만, 막내는 아버지 개인 정원(몬도)을 물려받는다.[79]

8. 저명한 루오족 인물

톰 음보야는 케냐의 정치가이자 건국의 아버지 중 한 명이다. 버락 오바마미국의 제44대 대통령으로, 그의 친부는 루오인이다. 자라모기 오깅가 오딩가는 케냐의 초대 부통령을 역임했다. 데이비드 오텅가는 배우, 변호사, 전 WWE 프로레슬러이다. 루피타 뇽오는 여배우이자 아프리카 흑인 최초의 아카데미상 수상자이다.

그 외 저명한 루오인으로는 댄 '치지' 아세다 (음악가), 에반스 키데로 (나이로비 카운티 초대 주지사), 오촐라 오가예 마크’아넹고 (반식민주의 활동가, 노동 운동가, 정치인), 수잔 음보야 (기업 임원 및 자선가), 미구나 미구나 (변호사, 전 총리 연합 담당 고문), 타비아 뇽오 (문화 평론가), 조니 오두야 (프로 아이스하키 수비수), 마가렛 오골라 (소아과 의사이자 작가, 1995년 영연방 작가상 수상자), 베스웰 오고트 (역사학자), 데니스 올리에치 (프로 축구 선수), 이본 아디암보 오우오르 (작가, 2003년 아프리카 문학 케인상 수상자) 등이 있다. 조지 아분구, 조지 마고하, 워싱턴 요토 오치엥, 피터 아몰로 오디암보, 토마스 R. 오디암보, 헨리 오데라 오루카, 리차드 삼손 오딩고, 데이비드 와사오, 월터 자오코, 이시스 니옹고, 버락 오바마 시니어, 로즈메리 오딩가, 워싱턴 아그리 오쿠무, 마틴 오두어-오티에노, 세다 오가다, 파간 아뭄, 오야이 뎅 아작도 루오족 출신이다.

9. 추가 읽기


  • 허비치, 잉그리드. "루오족". C. 엠버, M. 엠버 및 I. 스코가드 (eds.), ''세계 문화 백과사전 보충판'', 189–194쪽. 뉴욕: 맥밀란 레퍼런스, 2002
  • 세노가자케, 조지, ''케냐의 민속 음악'',
  • 므와키카길레, 고드프리, ''케냐와 나이지리아의 민족 정치'', 노바 사이언스 퍼블리셔스, Inc. , 헌팅턴, 뉴욕, 2001; 고드프리 므와키카길레, ''케냐: 국가의 정체성'', 뉴 아프리카 프레스, 프리토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2008.

참조

[1] 웹사이트 Luo in Kenya https://joshuaprojec[...]
[2] 서적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Fifteenth Edition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3] 웹사이트 2019 Kenya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Volume IV: Distribution of Population by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https://www.knbs.or.[...] 2020-03-24
[4] 문서 Nilotic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5] 논문 The Genetic Structure and History of Africans and African Americans 2009-05-22
[6] 서적 The Politics of The Independence of Kenya Palgrave MacMillan
[7] 뉴스 Thomas Odhiambo Visionary entomologist harnessing science for Africa's poor https://www.theguard[...] 2003-06-23
[8] 웹사이트 Home - Professor Washington Yotto Ochieng, FREng https://www.imperial[...] 2022-12-07
[9] 웹사이트 Nobel Prizes 2022 https://www.nobelpri[...] 2023-08-01
[10] 서적 Dreams from My Father Three Rivers Press
[11] 뉴스 "'Pride of Africa: Kenya celebrates Nyong'o's Oscar" 2014-03-03
[12] 웹사이트 Remembering benga: Kenya's infectious musical gift to Africa http://www.theguardi[...] 2022-12-07
[13] 서적 History of the Southern Luo: Volume I, Migration and Settlement, 1500–1900 East African Publishing House
[14] 문서 Kavirondo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논문 The Archaeological Site of Kadero, Sudan 1976-12
[16] 논문 Cattle Before Crops: The Beginnings of Food Production in Africa 2002
[17] 문서 The faunal remains of the Early Neolithic site Kadero, Central Sudan https://books.ub.uni[...]
[18] 논문 New Light on Early Food-Production in the Central Sudan 1978-04
[19] 논문 Northeast African genomic variation shaped by the continuity of indigenous groups and Eurasian migrations 2017-08-24
[20] 논문 The Wadi Howar Diaspora and its role in the spread of East Sudanic languages from the fourth to the first millennia BCE 2016
[21] 논문 Toponymic Strata in Ancient Nubia until the Common Era 2017
[22] 논문 Prehistory in the upper Nile Basin 1987-07
[23] 논문 The Nilotic Contribution to Bantu Africa 1982
[24] 서적 First Raise a Flag Hurst & Company
[25] 논문 Shilluk Trade and Politics from the Mid-Seventeenth Century to 1861 1971
[26] 서적 Siaya : the Historical Anthropology of an African Landscape J. Currey 1989
[27] 서적 History of the Southern Luo: Volume I, Migration and Settlement, (Series: Peoples of East Africa) East African Publishing House
[28] 논문 Holocene hunter-fisher-gatherer communities: new perspectives on Kansyore Using communities of Western Kenya 2010-04
[29] 웹사이트 Kenya - Trust For African Rock Art https://africanrocka[...] 2023-08-01
[30] 논문 Bantu Expansions: Re-Envisioning a Central Problem of Early African History 2001
[31] 논문 New Dates for Kansyore and Urewe Wares from Northern Nyanza, Kenya 2006-01
[32] 간행물 Secrets in stone https://journals.co.[...] 2006-01-01
[33] 웹사이트 Luo Exhibition Settlements Pitt Rivers Museum http://web.prm.ox.ac[...] 2024-07-10
[34] 문서 Pitt Rivers Museum Luo Visual History. The Luo Encounter with Europeans http://web.prm.ox.ac[...]
[35] 서적 Seventh-day Adventist Encyclopedia, Volume A-L Review and Herald Publishing Association
[36] 웹사이트 Pitt Rivers Museum Luo Visual History. Westernisation of the Luo http://web.prm.ox.ac[...]
[37] 웹사이트 Residents protest the demolition of Odera Akang'o's cell https://www.kenyanew[...] 2023-08-01
[38] 논문 Patronage, Millennialism and the Serpent God Mumbo in South-West Kenya, 1912–34 2002
[39] 논문 Archdeacon W. E. Owen: Missionary as Propagandist 1982
[40] 뉴스 Beatings and abuse made Barack Obama's grandfather loathe the British https://www.thetimes[...] 2023-08-01
[41] 웹사이트 History of COTU(K) – Central Organization of Trade Unions (COTU-K) https://cotu-kenya.o[...] 2023-08-01
[42] 서적 Airlift to America. How Barack Obama Sr., John F. Kennedy, Tom Mboya, and 800 East African Students Changed Their World and Ours by Tom Shachtman
[43] 서적 Freedom and suffering. Chapter in: Kenya: Between Hope and Despair, 1963 – 2011 by Daniel Branch. Yale University Press. Nov 2011
[44] 간행물 Kenya: The Post-Kenyatta Conundrum. CIA Intelligence Memorandum. Approved for release 2008/11/18 https://www.cia.gov/[...]
[45] 논문 Detention Without Trial in Kenya https://digitalcommo[...] 2016-02-11
[46] 뉴스 5 opposition leaders seized https://www.newspape[...] 2023-08-01
[47] 서적 Not yet Uhuru : the autobiography of Oginga Odinga. Heinemann 1977
[48] 웹사이트 Dark Saturday in 1969 when Jomo's visit to Kisumu turned bloody https://nation.afric[...] 2023-08-01
[49] 간행물 Amnesty International Annual Report 1973–1974 https://www.amnesty.[...]
[50] 웹사이트 Kenya - Colonialism, Mau Mau, Independence https://www.britanni[...] 2023-08-01
[51] 뉴스 How attempted takeover of Moi Government [sic] by rebels flopped Standard Digital 2012-05-20
[52] 뉴스 Robert Ouko 'killed in Kenya State House' https://www.bbc.com/[...] 2024-03-01
[53] 웹사이트 Energy Old – Renewable Energy for Development http://www.worldbank[...] 2007-07-13
[54] 웹사이트 Kenya's Quest for a New Constitution: the Key Constitutional Moments https://www.polity.o[...]
[55] 논문 Authoritarian leaders and multiparty elections in Africa: How foreign donors help to keep Kenya's Daniel arap Moi in power 2001-10
[56] 뉴스 Merger shakes up Kenyan politics http://news.bbc.co.u[...] BBC news
[57] 뉴스 Kenya's entire cabinet dismissed http://news.bbc.co.u[...]
[58] 뉴스 UN chief calls on Kenya rivals to stop violence http://news.theage.c[...] The Age 2008-02-02
[59] 뉴스 Key points: Kenya power-sharing deal BBC News 2008-02-28
[60] 웹사이트 The ethnic rivalry that holds Kenya hostage https://www.theafric[...] The Africa Report
[61] 웹사이트 Kenyatta-Odinga Rivalry Spans Two Generations of Kenyan Politics https://www.voanews.[...] VOA news
[62] 뉴스 History repeats itself through Kenyatta, Odinga feud https://nation.afric[...] Nation News
[63] 논문 An African Savant: Henry Odera Oruka
[64] 논문 Contrasting patterns of Y chromosome and mtDNA variation in Africa: evidence for sex-biased demographic processes 2005-07
[65] 서적 The organisation of Luo conceptions of intelligence : a study of implicit theories in a Kenyan village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Behavioral Development 2001
[66] 논문 Conquest, Clientage, and Land Law among the Luo of Kenya 1973
[67] 학위논문 Cultivating an African community: The Luo Union in 20th century East Africa
[68] 웹사이트 Struggle for power splits Luo council of elders into 3 factions https://www.tuko.co.[...] 2020-01-23
[69] 뉴스 Voluntary male cut project to be rolled out in urban areas https://nation.afric[...] Nation News
[70] 웹사이트 Unity in sight as one Luo council faction quits https://www.the-star[...]
[71] 서적 Native Peoples of the World: An Encyclopedia of Groups, Cultures and Contemporary Issues M.E. Sharpe, Inc 2013
[72] 저널 Food Plants of the Luo of Siaya District, Kenya 1991
[73] 저널 Believing in the Black Messiah: The Legio Maria Church in an African Christian Landscape http://nrs.harvard.e[...] 2009-08-01
[74] 웹사이트 The History of Islam in East Africa https://oxfordre.com[...] 2021-12-02
[75] 저널 Luo music and its rhythm 1973
[76] 서적 The Luo Nation-History, Origin and Culture of Luo People of Kenya https://www.academia[...]
[77] 저널 Traditional Ideology and Ethics among the Southern Luo http://urn.kb.se/res[...] 1978
[78]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nai.diva-port[...] 2013-10-13
[79] 서적 Dilemmas of Development: Conflicts of Interest and Their Resolutions in Modernizing Africa https://openaccess.l[...] African Studies Centre 2013-10-09
[80] 웹사이트 A history of Nyatiti and the masters who play her name https://pan-african-[...] 2024-11-28
[81] 문서 『黒い光と影 未来大陸アフリカ』 毎日新聞社 1978-05
[82] 웹인용 Luo in Kenya https://joshuaprojec[...]
[83] 서적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Fifteenth Edition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84] 웹인용 2019 Kenya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Volume IV: Distribution of Population by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https://www.knbs.or.[...] 2020-03-24
[85] 서적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Fifteenth Edition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86] 문서 Nilotic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2017
[87] 저널 The Genetic Structure and History of Africans and African Americans 2009-05-22
[88] 뉴스 Remembering benga: Kenya's infectious musical gift to Africa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89] 서적 History of the Southern Luo: Volume I, Migration and Settlement, 1500–1900 East African Publishing House 196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