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이스 페데리코 를루아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이스 페데리코 를루아르는 아르헨티나의 생화학자이다. 그는 당 뉴클레오타이드의 발견과 당 생합성에서의 역할에 대한 연구로 1970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에서 의학을 전공하고,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연구했으며, 미국에서 망명 생활을 하기도 했다. 1947년에는 캄포마르 재단 생화학 연구소를 설립하고, 당 뉴클레오타이드, 갈락토스 대사 경로 연구 등 생화학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헨티나의 생화학자 - 알베르토 그라나도
아르헨티나 출신 생화학자이자 작가인 알베르토 그라나도는 체 게바라와 함께 오토바이로 남아메리카를 여행한 경험으로 유명하며, 이 경험은 그의 인생과 쿠바 혁명 참여, 쿠바 의학 발전에 기여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고, 영화 《모터사이클 다이어리》의 고문으로도 활동했다. - 아르헨티나의 생화학자 - 세사르 밀스테인
세사르 밀스테인은 아르헨티나 출신의 생화학자로서 단일클론 항체 생산 기술인 하이브리도마 기술을 개발하여 1984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 아르헨티나의 노벨상 수상자 - 아돌포 페레스 에스키벨
아르헨티나의 조각가이자 건축가, 인권 운동가인 아돌포 페레스 에스키벨은 평화와 정의를 위한 봉사 공동 설립 및 아르헨티나 더티 워 희생자 지원, 군사 독재 정권의 인권 탄압에 맞선 공로로 1980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며, 수상 이후에도 사회 운동을 이어왔으나 논란이 되는 발언도 했다. - 아르헨티나의 노벨상 수상자 - 베르나르도 우사이
베르나르도 우사이는 뇌하수체의 생리적 기능과 탄수화물 대사에 대한 연구로 1947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아르헨티나의 생리학자이자 의사이다. -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 동문 - 체 게바라
아르헨티나 출신의 혁명가 체 게바라는 남아메리카 여행 중 사회 불의를 목격하고 마르크스주의에 심취하여 쿠바 혁명에 참여, 쿠바 해방 후 혁명 정부에서 활동하다 국제적인 혁명 투쟁을 위해 콩고와 볼리비아에서 게릴라 활동을 벌이다 볼리비아에서 처형되었으며 그의 삶과 사상은 혁명가로서의 헌신과 반제국주의 정신을 상징한다. -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 동문 - 알베르토 페르난데스
알베르토 페르난데스는 아르헨티나의 정치인으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대통령을 역임하며 경제 위기와 코로나19 팬데믹에 대처하고 낙태 합법화 등의 정책을 추진했으나, 경제 정책과 코로나19 대응에 대한 비판과 논란, 그리고 퇴임 후 가정 폭력 혐의로 기소되는 등 정치적 몰락을 겪었다.
루이스 페데리코 를루아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인물 정보 | |
이름 | 루이스 페데리코 를루아르 |
원어 이름 | 루이스 페데리코 를루아르 |
출생 | 1906년 9월 6일 |
출생지 | 프랑스 파리 |
사망 | 1987년 12월 2일 |
사망지 |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
국적 | 아르헨티나, 프랑스 |
민족 | 바스크인 |
학력 및 경력 | |
분야 | 생화학 |
모교 |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 |
직장 |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 컬럼비아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캄포마르 재단 연구소 (Fundación Instituto Campomar) (1947–1981) |
업적 | |
주요 업적 | 갈락토스혈증 젖당불내증 탄수화물 대사 |
수상 | |
수상 내역 | 가드너 국제상(1966) 루이자 그로스 호로위츠상(1967) 노벨 화학상 (1970) 레지옹 도뇌르 훈장 (1982) |
노벨상 수상 정보 | 당 뉴클레오티드의 발견과 당 생합성에서의 역할 연구 |
기타 | ForMemRS (1972) |
2. 생애
루이스 페데리코 를루아르는 1906년 프랑스 파리에서 아르헨티나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 1908년 아르헨티나로 돌아와 8명의 형제자매와 함께 성장했다. 어린 시절부터 자연 현상에 관심을 가졌으며, 에스쿠엘라 헤네랄 산 마르틴(초등학교), 라코르데르 대학(중등학교) 등에서 교육을 받았다. 파리의 École Polytechnique|에콜 폴리테크니크프랑스어에서 건축학을 공부하다 중퇴했다. 1920년대에는 케첩과 마요네즈를 섞은 살사 골프 소스를 발명하기도 했다.[7]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 의과대학을 1932년 졸업하고, 호세 데 산 마르틴 종합병원과 라모스 메히아 병원에서 인턴 과정을 밟았다. 1933년 베르나르도 우사이를 만나 부신과 탄수화물 대사에 관한 연구를 시작했고, 1971년 우사이 사망 전까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4][9]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프레데릭 고울랜드 호킨스 경의 지도로 효소 연구를 진행했고, 이후 탄수화물 대사 연구를 전문으로 했다.
1943년 아멜리아 수베르부엘러(Amelia Zuberbühler)와 결혼하여 딸 아멜리아를 낳았다.[11] 베르나르도 우사이가 나치즘 반대 청원에 서명했다가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에서 쫓겨나는 등[10] 정치적 혼란기에 미국으로 망명,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와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연구했다.[11] 1945년 아르헨티나 귀국 후 하이메 캄포마르 후원으로 캄포마르 재단 생화학 연구소를 설립, 초대 소장을 역임했다.[39]
캄포마르 재단 생화학 연구소에서 를루아르와 연구팀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당 뉴클레오타이드, 당 대사, 신성 고혈압 연구에서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다.[12] 1948년 탄수화물 대사에 기본적인 당 뉴클레오티드를 확인했고,[15] 당단백질 연구를 통해 갈락토스 대사의 주요 메커니즘(를루아르 경로[19])을 밝혀내고, 갈락토스혈증 원인을 규명했다.[16][17][18]
2. 1. 유년 시절과 교육
루이스 페데리코 를루아르는 1906년 프랑스 파리 개선문 근처 빅토르 위고 거리 81번지에 있는 오래된 집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아르헨티나인이었으며, 아버지 페데리코의 질병 치료를 위해 파리로 갔으나 페데리코는 8월 말에 사망했고 일주일 후 를루아르가 태어났다.[4] 1908년 아르헨티나로 돌아온 를루아르는 8명의 형제자매와 함께 스페인 북부 바스크 지방 출신 조부모가 구입한 광대한 가족 소유지 "엘 투유"에서 자랐다. 엘 투유는 산 클레멘테 델 투유에서 마르 데 아호에 이르는 해안선을 따라 400 km2에 달하는 모래 토지로, 훗날 인기 있는 관광 명소가 되었다.[5]어린 시절 를루아르는 자연 현상에 특별한 관심을 보였으며, 자연 과학과 생물학의 연관성을 강조한 책들을 읽고 공부했다. 를루아르는 에스쿠엘라 헤네랄 산 마르틴(초등학교), 라코르데르 대학(중등학교)에서 교육받았고, 영국 보몬트 칼리지에서 몇 달 동안 공부했다. 성적은 평범했으며, 파리의 École Polytechnique|에콜 폴리테크니크프랑스어에서 시작한 건축학 공부를 중퇴했다.[6]
1920년대에 를루아르는 케첩과 마요네즈를 섞은 살사 골프 소스를 발명했다. 마르델플라타의 오션 클럽에서 친구들과 점심 식사를 하던 중 새우 요리에 곁들일 소스를 생각해 낸 것이다. 훗날 를루아르는 연구 자금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을 때 "만약 내가 그 소스를 특허 냈다면, 지금쯤 연구를 위한 돈이 훨씬 많았을 텐데."라고 농담하곤 했다.[7]
2. 2. 부에노스아이레스와 케임브리지
를루아르는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 의과대학에 들어가 박사 학위를 받기 위해 노력했다. 해부학 시험을 네 번이나 치르는 등 어려움도 있었지만,[8] 1932년에 졸업장을 받았다. 호세 데 산 마르틴 종합병원에서 레지던트 과정을, 라모스 메히아 병원에서 인턴 과정을 밟았으나, 동료들과의 갈등 및 환자 치료 방법의 문제로 인해 실험실 연구에 전념하기로 했다.[4]1933년, 를루아르는 베르나르도 우사이를 만나 그의 권유로 부신과 탄수화물 대사에 관한 연구를 시작했다. 우사이는 1947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으며, 1971년 사망할 때까지 를루아르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협력했다. 를루아르는 노벨상 수상 후 강연에서 "내 연구 경력 전체는 베르나르도 A. 우사이 교수, 단 한 사람의 영향을 받았다"고 말했다.[4][9]
를루아르는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 의학부에서 최우수 박사 학위 논문으로 인정받았다. 물리학, 수학, 화학, 생물학 지식이 부족하다고 느낀 그는 파트타임 학생으로 대학 수업을 계속 들었다. 1936년,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프레데릭 고울랜드 호킨스 경의 지도를 받으며 고급 연구를 시작했다. 호킨스 경은 1929년 비타민의 역할을 밝힌 공로로 노벨상을 받은 인물이다. 케임브리지 생화학 연구소에서 를루아르는 효소, 특히 시안화물과 피로인산염이 숙신산 탈수소 효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했다. 이때부터 를루아르는 탄수화물 대사 연구를 전문적으로 하게 되었다.
2. 3. 미국 망명과 귀국
1943년 아멜리아 수베르부엘러(Amelia Zuberbühler)와 결혼하여 슬하에 아멜리아라는 딸을 두었다.[11] 그러나 당시 아르헨티나는 베르나르도 우사이가 나치즘 정권에 반대하는 공개 청원에 서명하고 독일과 페드로 파블로 라미레스가 이끄는 군사 정부에 반대하여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에서 쫓겨나는 등 정치적 혼란기였다.[10]이러한 상황에서 를루아르는 미국으로 망명하여,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 약리학과 부교수로 임명되어 칼 코리, 거티 코리와 협력했다.[11] 그 후 컬럼비아 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연구 조교로 데이비드 E. 그린과 함께 일했다.[11] 를루아르는 훗날 그린이 아르헨티나에서 자신의 연구를 시작하도록 영감을 주었다고 회고했다.[4]
1945년 아르헨티나로 귀국한 를루아르는 사업가 하이메 캄포마르의 후원을 받아 캄포마르 재단 생화학 연구소를 설립하고 초대 소장을 역임했다.[39]
2. 4. 캄포마르 재단 생화학 연구소
1947년, 를루아르는 사업가 하이메 캄포마르가 설립한 캄포마르 재단 생화학 연구소의 초대 소장을 맡았다. 초기 연구소는 열악한 환경이었지만, 를루아르와 그의 연구팀은 당 뉴클레오타이드, 당 대사, 신성 고혈압 연구에서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다.[12] 를루아르는 연구 환경이 열악했음에도 창의적인 실험 방법을 고안하여 연구를 지속했는데, 세포 내용물을 분리하는 데 필요한 고가의 냉장 원심분리기를 구할 수 없어 소금과 얼음으로 채운 타이어를 돌리는 방식으로 임시 방편을 마련하기도 했다.[12]
1948년 초, 를루아르와 그의 팀은 탄수화물 대사에 기본적인 당 뉴클레오티드를 확인했다.[15] 그 직후, 를루아르와 그의 연구팀은 당단백질 연구를 통해 갈락토스 대사의 주요 메커니즘(를루아르 경로[19])을 밝혀냈고,[16][17][18] 유전 질환으로 유당 불내증을 유발하는 심각한 질병인 갈락토스혈증의 원인을 규명했다.

3. 주요 연구 업적
루이스 페데리코 를루아르는 베르나르도 우사이의 지도로 부신과 탄수화물 대사 연구를 시작하여, 1947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우사이와 평생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4][9] 1945년 아르헨티나로 돌아온 후, 하이메 캄포마르가 설립한 캄포마르 재단 생화학 연구소의 초대 소장을 맡아 재정적 어려움 속에서도 효모 내 당 합성, 간에서의 산화 과정 등을 밝혀냈다.[12] 특히, J. M. 무뇨스와 함께 세포를 숙주 유기체로부터 분리할 수 없다는 기존의 통념을 깨고, 활성 무세포 시스템을 최초로 만들어냈다.[13]
를루아르는 연구팀과 함께 신장 기능 부전과 안지오텐신이 고혈압을 유발하는 메커니즘을 연구했다.[14] 또한, 유선 연구를 통해 탄수화물 저장 및 에너지 저장 형태 변환에 대한 발견을 했다.
1970년에는 "당 뉴클레오티드의 발견과 당 생합성에 있어서의 그 역할에 관한 연구"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44] 그는 노벨상 수상 소감에서 윈스턴 처칠의 말을 인용하며 겸손한 태도를 보였고,[44] 자신의 연구가 큰 프로젝트의 한 걸음일 뿐이라고 말했다.[45]
3. 1. 당 뉴클레오타이드와 당 대사
1948년 초, 를루아르와 그의 팀은 탄수화물 대사에 필수적인 당 뉴클레오타이드를 확인하여[15] 캄포마르 연구소를 전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생화학 연구 기관으로 만들었다. 그 직후, 를루아르는 아르헨티나 과학 학회상을 받았다. 이 기간 동안 그의 팀은 당단백질 연구에 전념했다. 를루아르와 그의 동료들은 갈락토스 대사의 주요 메커니즘[16][17][18] (현재 를루아르 경로[19]라고 불림)을 밝혀냈고, 유전 질환으로 유당 불내증을 유발하는 심각한 질병인 갈락토스혈증의 원인이 갈락토스-1-인산 유릴릴전달효소 부족임을 규명했다.3. 2. 신성 고혈압 연구
를루아르 연구팀은 신장 기능 부전과 안지오텐신이 고혈압을 유발하는 메커니즘을 밝혀냈다.[41]3. 3. 기타 연구
1948년 초, 를루아르와 그의 팀은 당 뉴클레오티드가 탄수화물 대사의 기초가 된다는 것을 발견하여 생화학 분야에서 캄포마르 연구소의 이름을 전 세계에 알렸고, 그는 아르헨티나 과학 학회상을 수상했다. 이후, 루이스 일행은 당단백질 연구에 매진했으며, 그 성과로 갈락토스가 대사되는 메커니즘(이는 르루아르 경로(Leloir pathway)라고 명명되었다[42])의 주요 흐름을 밝혀내고, 갈락토스혈증이 유전자 질환을 원인으로 하는 유당 불내증이 가져오는 질환이라고 결론지었다.를루아르는 효모 내 당 합성의 화학적 기원과 간에서의 산화 과정을 밝혀냈다. 그는 J. M. 무뇨스와 함께 과학 연구 사상 처음으로 활성 무세포 시스템을 만들었다. 처음에는 세포를 연구하려면 세포를 숙주 유기체로부터 분리할 수 없다고 여겨졌는데, 산화는 온전한 세포 내에서만 일어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13] 무뇨스와 르루아르는 세포 내용을 분리하는 데 필요한 고가의 냉장 원심분리기를 구할 수 없어서 소금과 얼음으로 채운 타이어를 돌리는 방식으로 임시 방편을 마련했다.[12]
4. 노벨 화학상 수상 (1970년)
1970년 12월 2일, 를루아르는 "당 뉴클레오티드의 발견과 당 생합성에 있어서의 그 역할에 관한 연구"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이는 노벨상 전 분야를 통틀어 아르헨티나인으로는 세 번째 쾌거였다.[44] 를루아르는 젖당의 새로운 대사 경로(를루아르 경로)를 발견한 공로도 인정받았다.[44] 스톡홀름에서 열린 시상식 연설에서 그는 윈스턴 처칠이 1940년 영국 하원에서 한 "never have I received so much for so little (약간의 성과로 이렇게 많은 것을 받기는 처음입니다)"라는 어구를 인용했다.[44]
루이스는 자신의 업적이 갖는 의의에 대해 질문을 받았을 때, "이것은 매우 큰 프로젝트의 한 걸음일 뿐입니다. 저... 아니, 우리 팀은 세포 대사 내의 당 뉴클레오티드의 기능을 발견했습니다. 이것을 설명하는 것은 쉽지 않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해해 주기를 바랍니다. 우리가 안 것은 아주 작은 것이고, 해야 할 일은 많이 있습니다"라고 말했다.[45]
노벨상 상금 80000USD는 연구비로 충당되었고, 검소함과 절약이 당연했던 오랜 상태에서 벗어나게 된 루이스와 캄포마르 재단 연구소 사람들은 시험관과 플라스크에 샴페인을 따라 건배했다고 전해진다.[37]
5. 말년과 유산
를루아르는 말년에도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 자연과학부에서 교편을 잡았으며, 케임브리지와 미국 효소 연구소에서 연구를 위해 잠시 휴직하기도 했다.[23] 1983년에는 제3세계 과학 아카데미의 창립 멤버 중 한 명이 되었다.[4]
를루아르는 1983년 ''생화학 연보(Annual Review of Biochemistry)''에 "오래전 머나먼 곳에서(Long Ago and Far Away)"라는 제목의 짧은 자서전을 발표했다. 이 제목은 윌리엄 헨리 허드슨의 소설에서 따온 것으로, 를루아르의 어린 시절 시골의 야생 동물과 풍경을 묘사했다.[4]
thumb
1987년 12월 2일, 를루아르는 실험실에서 집으로 돌아온 직후 심장 마비로 사망했으며, 레콜레타 묘지에 안장되었다.[26] 를루아르의 친구이자 동료였던 마리오 붕게는 를루아르의 유산이 "국제적인 수준의 과학 연구가 정치적 갈등 속에서도 개발도상국에서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했다"는 것이라고 평가했다.[26] 를루아르는 연구에 심각한 재정적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직접 만든 장치와 도구를 사용하여 연구를 계속하기도 했다.[20]
를루아르는 겸손함, 집중력, 일관성으로 유명했으며, 많은 사람들에게 "과학계의 진정한 수도승"으로 묘사되었다.[8] 그는 수십 년 동안 같은 짚 의자에 앉아 연구했고, 동료들에게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실험실에서 점심을 먹도록 권장했다.[8] 를루아르는 검소하고 연구에 헌신했음에도 불구하고 사교적인 사람이었고, 혼자 일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12]
캄포마르 연구소는 이후 를루아르 재단(Fundación Instituto Leloir)으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며, 약 1950.96m2 규모의 건물로 성장했다. 이 연구소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다발성 경화증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한다.[27]
6. 수상 경력
를루아르는 가드너 국제상(1966년), 루이자 그로스 호르위츠상(1967년), 레지옹 도뇌르 훈장(1982년) 등 다양한 상을 받았다. 1970년에는 "당 뉴클레오티드의 발견과 당 생합성에 있어서의 그 역할에 관한 연구"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44] 이는 아르헨티나인으로는 세 번째 노벨상 수상이었다. 를루아르는 윈스턴 처칠의 말을 인용하며 "약간의 성과로 이렇게 많은 것을 받기는 처음입니다"라고 소감을 밝혔다.[44] 그는 자신의 업적이 "매우 큰 프로젝트의 한 걸음일 뿐"이라며 겸손한 태도를 보였다.[45]
연도 | 수상 내역 |
---|---|
1943 | 제3회 국립 과학상 |
1948 | 아르헨티나 과학 협회상 |
1958 | T. 듀켓 존스 기념상 |
1960 |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국제 회원[28] |
1961 |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29] |
1963 | 미국 철학회 국제 회원[30] |
1965 | 분게 보른 재단상 |
1966 | 가드너 국제상 |
1967 | 컬럼비아 대학교 루이자 그로스 호르위츠상 |
1968 | 베니토 후아레스 상 |
1968 | 코르도바 국립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
1968 | 아르헨티나 화학 협회 후안 호세 졸리 카일 상 |
1969 | 영국 생화학회 명예 회원 |
1970 | 노벨 화학상 |
1971 | 레지옹 도뇌르 “오르덴 데 안드레스 베요” |
1972 | 1972년 왕립 학회 외국인 회원(ForMemRS)[1] |
1976 | 베르나르도 오히긴스 훈장 그랜드 크로스(칠레) |
1982 | 레지옹 도뇌르 훈장 |
1983 | 다이아몬드 코넥스 상: 과학 및 기술 |
7. 저서 및 논문
연도 | 제목 | 비고 |
---|---|---|
1934년 | 부신과 탄수화물 대사 | |
1940년 | 고혈압 약리학 | |
1943년 | 신성 고혈압 | |
1963년 | 생물학의 전망 | |
1964년 | 신장 고혈압 | |
1965년 | 입자성 글리코겐의 체외 합성 | In vitro Synthesis of Particulate Glycogen|입자성 글리코겐의 체외 합성영어 |
1967년 | 합성 간 글리코겐과 천연 간 글리코겐의 특성 | Properties of synthetic and native liver glycogen|합성 간 글리코겐과 천연 간 글리코겐의 특성영어 |
1983년 | 아득하고 오래 전 | Far away and long ago|아득하고 오래 전영어 |
1984년 | 농업세균(agrobacterium tumefaciens|아그로박테리움 투메파시엔스la)에서 포도당과 갈락토스를 함유한 지질 결합 당 | Lipid-bond Saccharides containing glucose and galactose in agrobacterium tumefaciens|농업세균에서 포도당과 갈락토스를 함유한 지질 결합 당영어 |
1985년 | 환상 1-2 글루칸 생합성에서의 중간체 | An intermediate in cyclic beta 1-2 glucan biosynthesis|환상 1-2 글루칸 생합성에서의 중간체영어 |
공동 저서 | ||
1980년 | Rhizobium meliloti에서 지질 결합 당 | Lipid-bound sugars in Rhizobium melilotii|Rhizobium meliloti에서 지질 결합 당영어 |
1980년 | 동물 조직의 돌리콜 디인산 올리고사카라이드와 유사한 화합물의 식물 존재 | Presence in a plant of a compound similar to the dolichyl diphosphate oligosaccharide of animal tissue|동물 조직의 돌리콜 디인산 올리고사카라이드와 유사한 화합물의 식물 존재영어 |
1981년 | 식물에서 지질 중간체로부터 단백질로의 올리고사카라이드 전달 | Transfer of Oligosaccharide to Protein from a Lipid Intermediate in Plants|식물에서 지질 중간체로부터 단백질로의 올리고사카라이드 전달영어 |
1982년 | 단백질의 N-글리코실화 | N-glycosilation of the proteins|단백질의 N-글리코실화영어 |
1982년 | Rhizobium meliloti의 반복 단위와 지질에 결합된 올리고사카라이드 사이의 구조적 일치 | Structural correspondence between an oligosaccharide bound to a lipid with the repeating unit of the Rhizobium meliloti|Rhizobium meliloti의 반복 단위와 지질에 결합된 올리고사카라이드 사이의 구조적 일치영어 |
참조
[1]
논문
Luis Federico Leloir. 6 September 1906-3 December 1987
[2]
문서
With maternal name included (in usual Spanish-language practice) his name would be Luis Federico Leloir Aguirre, but the "Aguirre" is nearly always omitted.
[3]
웹사이트
Biography of Luis Leloir
http://nobelprize.or[...]
Nobelprize.org
2010-06-07
[4]
논문
Far Away and Long Ago
Annual Reviews
[5]
웹사이트
Historia de San Clemente del Tuyú: Historia de la ciudad y la zona
https://www.welcomea[...]
2020-10-28
[6]
웹사이트
Cientificos Argentinos Distinguidos Con El Premio Nobel En Ciencia
http://www.oni.escue[...]
[7]
웹사이트
Luis Federico Leloir
http://diabetes.org.[...]
Sociedad Argentina de Diabetes
2007-03-19
[8]
웹사이트
A cien años del nacimiento de Luis Federico Leloir
http://www.clarin.co[...]
[9]
웹사이트
Two decades of research on the biosynthesis of saccharides
http://nobelprize.or[...]
[10]
웹사이트
Bernardo Houssay Biographical
https://www.nobelpri[...]
[11]
논문
Transaminases
1945
[12]
웹사이트
'[Bernardo A. Houssay] Biografía de Luis Federico Leloir'
http://www.houssay.o[...]
2008-04-12
[13]
논문
Luis F. Leloir and the Biosynthesis of Saccharides
http://www.jbc.org/c[...]
American Society for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2005-05-13
[14]
문서
"The Substance Causing Renal Hypertension"
1940
[15]
논문
Uridine Diphosphate Glucose: The Coenzyme of the Galactose–Glucose Phosphate Isomerization
[16]
논문
Galactokinase
1948
[17]
논문
The enzymatic transformation of galactose into glucose derivatives
1949
[18]
논문
The enzymatic transformation of uridine diphosphate glucose into a galactose derivative
[19]
문서
"Galactosemia" in The Metabolic and Molecular Bases of Inherited Disease
2001
[20]
서적
World of Scientific Discovery
Thomson Corporation
2005-2006
[21]
논문
In vitro Synthesis of Particulate Glycogen
1965-01
[22]
논문
Properties of synthetic and native liver glycogen
1967-09
[23]
논문
An intermediate in cyclic β1–2 glucan biosynthesis
[24]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1970
https://www.nobelpri[...]
2020-10-28
[25]
웹사이트
Luis Federico Leloir
http://www.elchenque[...]
Chubut Argentina
2007-03-19
[26]
웹사이트
Luis F. Leloir
http://www.clubdelpr[...]
[27]
웹사이트
Leloir Institute
http://www.leloir.or[...]
[28]
웹사이트
Luis F. Leloir
http://www.nasonline[...]
2022-11-09
[29]
웹사이트
Luis Federico Leloir
https://www.amacad.o[...]
2022-11-09
[30]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2-11-09
[31]
웹사이트
『Long Ago and Far Away』
http://www.leloir.or[...]
Federico Leloir
2007-05-18
[32]
웹사이트
アルゼンチンの温泉めぐり
http://www.argentine[...]
ニュージャパントラベル
2008-04-12
[33]
웹사이트
『San Clemente del Tuyú: Historia de la ciudad y leyendas de la zona』
http://www.welcomear[...]
welcomeargentina.com
2008-04-12
[34]
웹사이트
Mar de Ajó Fosil
http://www.todomarde[...]
todomardeajo.com
2008-04-12
[35]
웹사이트
『Cientificos Argentinos Distinguidos Con El Premio Nobel En Ciencia』
http://www.oni.escue[...]
2008-04-12
[36]
웹사이트
『Luis Federico Leloir』
http://diabetes.org.[...]
Sociedad Argentina de Diabetes
2007-03-19
[37]
웹사이트
『A cien años del nacimiento de Luis Federico Leloir』
http://www.clarin.co[...]
Valeria Roman
2008-04-12
[38]
웹사이트
『Two decades of research on the biosynthesis of saccharides』
https://www.nobelpri[...]
Luis Leloir
2008-04-12
[39]
웹사이트
『Luis Federico Leloir (1906-1987): un esbozo biográfico』
http://www.houssay.o[...]
Ariel Barrios Medina
2008-04-12
[40]
웹사이트
『Luis F. Leloir and Biosynthesis of Saccharides』
http://www.jbc.org/c[...]
Nicole Kresge, Robert D. Simoni, and Robert L. Hill
2008-04-12
[41]
간행물
The Substance Causing Renal Hypertension
[42]
서적
Galactosemia
McGraw-Hill
[43]
서적
World of Scientific Discovery
Thomas Gale, Thomson Corporation
[44]
웹사이트
Luis Leloir- Banquet Speech
https://www.nobelpri[...]
Nobelprize.org
2008-04-12
[45]
웹사이트
Luis Federico Leloir
http://www.elchenque[...]
Chubut Argentina
2008-04-12
[46]
웹사이트
『Luis F. Leloir』
http://www.clubdelpr[...]
Mario Bunge
2008-04-12
[47]
웹사이트
홈페이지
http://www.leloir.or[...]
Instituto Leloir
2007-05-18
[48]
문서
Luis F. Leloir
https://academictree[...]
Chemistry Tree
[49]
논문
Luis Federico Leloir. 6 September 1906-3 December 1987
[50]
웹인용
Biography of Luis Leloir
http://nobelprize.or[...]
Nobelprize.org
2010-06-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