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처드 호프스태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처드 호프스태터는 20세기 미국의 역사학자로, 유대계 아버지와 독일계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브루클린 대학교, 뉴욕 시립 대학교, 메릴랜드 대학교 교수를 거쳐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퓰리처상을 두 차례 수상했다. 호프스태터는 미국 사회의 반지성주의, 극단주의, 정치적 갈등을 분석했으며, 사회심리학적 개념을 활용하여 정치사를 설명하는 데 기여했다. 그는 '합의 사관'의 대표 주자로 알려져 있지만, 단순한 경제적 이해관계로 역사를 설명하는 진보주의 사관을 비판하고, 미국사의 복잡성을 재발견하는 데 기여했다. 주요 저서로는 《미국 사상 속의 사회 다윈주의, 1860-1915》, 《개혁의 시대》, 《미국의 반지성주의》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좌익 정치 - 제인 폰다
제인 폰다는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두 번 수상한 미국의 배우이자 작가, 사회 운동가로, 영화와 TV 시리즈 주연뿐 아니라 운동 비디오 제작으로도 성공했으며,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과 기후변화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등 정치, 자선, 저술 활동을 활발히 펼치고 있다. - 미국의 좌익 정치 - 소스타인 베블런
소스타인 베블런은 다윈주의와 제도주의 경제학을 바탕으로 진화 경제학을 발전시키고, 과시적 소비와 사업과 산업의 구분을 통해 자본주의 사회를 분석한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사회학자이다. - 사학사학자 - 아베 프레보
아베 프레보는 격정적인 삶을 바탕으로 인간 심리를 탐구하는 작품을 남긴 프랑스의 소설가이자 사제, 번역가이다. - 사학사학자 - 헤이든 화이트
헤이든 화이트는 역사적 서술에서 서사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역사가 이야기 구조를 통해 구성된다는 점을 지적한 미국의 역사학자이자 문학 이론가로, 그의 대표작 《메타히스토리》는 역사 연구에 문학비평 이론을 도입하는 데 기여했다. - 메릴랜드 대학교 교수 - 토머스 셸링
토머스 셸링은 게임 이론을 통해 갈등과 협력에 대한 이해를 높여 2005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외교 정책 전문가이다. - 메릴랜드 대학교 교수 - 허먼 데일리
허먼 데일리는 정상 상태 경제 이론의 선구자이자 지속 가능한 경제 후생 지수(ISEW) 개발에 기여한 경제학자로서, 지속 가능한 발전과 사회적 형평성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며 다양한 상을 수상했다.
리처드 호프스태터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리처드 호프스태터 |
출생일 | 1916년 8월 6일 |
출생지 | 미국 뉴욕주버펄로 |
사망일 | 1970년 10월 24일 |
사망지 | 미국 뉴욕주뉴욕 |
배우자 | 펠리스 스와도스(1936년–1945년, 사망) 베아트리스 케비트(1947년 결혼) |
수상 | 퓰리처상(1956년, 1964년) |
박사 지도 교수 | 머얼 커티 |
영향 | 테오도어 아도르노 찰스 A. 비어드 머얼 커티 찰스 다윈 지그문트 프로이트 F. 스콧 피츠제럴드 시모어 마틴 립셋 카를 만하임 카를 마르크스 H.L. 멩켄 C. 라이트 밀스 프리드리히 니체 라인홀트 니부어 버넌 L. 패링턴 줄리어스 W. 프랫 라이어널 트릴링 에드먼드 윌슨 |
분야 | 역사 |
세부 분야 | 미국사 |
직장 | 컬럼비아 대학교 |
박사 제자 | 폴라 S. 패스 에릭 포너 오티스 L. 그레이엄 린다 K. 커버 로렌스 W. 레빈 찰스 E. 로젠버그 도로시 로스 |
주목할 만한 제자 | 테렌스 E. 캐럴 스탠리 엘킨스 허버트 거트먼 리처드 헤프너 아이라 카츠넬슨 에릭 맥키트릭 로버트 V. 레미니 마이크 월리스 |
주요 관심사 | 미국의 정치 문화 역사 |
주요 저서 | 개혁의 시대(1955년) 미국 생활의 반지성주의(1963년) "미국 정치의 편집증적 스타일"(1964년) |
영향받은 사람 | 로버트 달렉 에릭 포너 크리스토퍼 히친스 수잔 제이코비 크리스토퍼 라쉬 데이비드 W. 노블 데이비드 M. 포터 아서 슐레진저 주니어 마이크 월리스 C. 반 우드워드 하워드 진 |
교육 | 버펄로 대학교 컬럼비아 대학교 |
인용문 |
2. 생애와 경력
뉴욕주 버펄로에서 유대계 아버지와 독일계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10] 1933년 뉴욕주립대학교 버펄로캠퍼스(버펄로 대학교)에 입학하여 철학과 역사를 전공했다. 학업 시절, 버펄로는 대공황의 혹독한 영향 아래 있었고, 그러한 환경은 젊은 호프슈타터의 지적 관심에 기여했다. 대학교에서는 청년공산주의연맹에 가입했고, 1936년에는 좌익 여대생 펠리스 스웨이드스(Ferris Swados)를 만나 결혼했다.[10]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38년 "열정이 아닌, 의무감"으로 미국 공산당에 입당했다. 1939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USSR)과 나치 독일(Greater German Reich)의 협정(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으로 인해, 호프슈타터는 미국 공산당뿐만 아니라 소련과 마르크스주의 전반에 대한 공산주의 환멸을 경험했다.[12] 그러나 동시에 자본주의에 대한 혐오는 평생 동안 지속되었다.
브루클린 대학교, 뉴욕 시립 대학교, 메릴랜드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모교인 컬럼비아 대학교에서는 미국사를 담당했다. 1956년 『개혁의 시대(The Age of Reform)』로, 1963년 『미국의 반지성주의(Anti-intellectualism in American Life)』로 퓰리처상을 수상했다.[51] 말년에는 18세기 중반부터 현대까지 이르는 미국사 3권을 18년에 걸쳐 쓰는 것을 계획했으나, 호프슈타터가 백혈병으로 급사함으로써 미완의 대작으로 남았다.[51]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리처드 호프스태터는 1916년 뉴욕주 버펄로에서 유대인 아버지 에밀 A. 호프스태터와 독일계 미국인 루터교 신자 어머니 캐서린(힐) 사이에서 태어났다.[10] 어머니는 리처드가 열 살 때 세상을 떠났다.[10] 그는 버펄로의 포스딕-매스턴 파크 고등학교를 다녔으며, 1933년부터 버펄로 대학교에서 줄리어스 W. 프랫의 지도 아래 철학과 역사를 공부했다. 양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1936년 펠리체 스와도스와 결혼했다.[10]호프스태터는 성공회 신자로 자랐지만, 나중에는 자신의 유대인 뿌리와 더욱 동일시했다.[11] 1936년, 컬럼비아 대학교의 역사학 박사 과정에 입학했다. 그의 지도교수였던 머리 커티는 1차 사료 연구가 아닌 2차 자료를 기반으로 지적, 사회적, 정치적 역사를 종합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었다.[12] 1938년, 미국 공산당에 가입했지만, 곧 스탈린주의식 당규율과 모의 재판에 환멸을 느꼈다.[12] 히틀러-스탈린 조약 이후인 1939년 8월 당에서 탈퇴했다.[12]
1942년 박사 학위를 받았고, 1944년, 그의 박사 논문인 ''미국 사상의 사회 다윈주의, 1860-1915''를 출판했다.[13] 1942년부터 1946년까지 메릴랜드 대학교에서 역사를 가르쳤으며, C. 라이트 밀스와 가까운 친구가 되었다.[14]
2. 2. 학문적 경력
리처드 호프스태터는 브루클린 대학교, 뉴욕 시립 대학교, 메릴랜드 대학교 교수를 거쳐 컬럼비아 대학교 역사학과 교수가 되었다.[51] 1956년 《개혁의 시대》, 1963년 《미국의 반지성주의》로 퓰리처상을 2회 수상했다.[51]1960년대 급진적인 정치, 특히 1968년 컬럼비아 대학교 학생 점거 및 일시 폐쇄 사건에 분노한 호프슈타터는 학생 운동가들의 방식을 비판했다. 그의 친구인 데이비드 허버트 도널드는 "내부에서 자유주의 전통을 비판하는 자유주의자로서 그는 동료와 학생들 사이에서 감지되는 점점 더 급진적이고 혁명적인 정서에 경악했다. 그는 그들의 단순하고 도덕적인 접근 방식을 결코 공유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46] 그는 학생들의 전술을 비판하며, 그들이 달성 가능한 변화를 위한 합리적인 계획이 아니라 비이성적인 낭만적인 생각에 기초하고 있으며, 자유 사상의 제도적 보루인 대학의 독특한 지위를 훼손하고 있으며, 오른쪽으로부터 정치적 반발을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믿었다.[48]
그의 정치적 방법에 강하게 동의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급진적인 학생들을 초청하여 그와 목표와 전략에 대해 논의하도록 했다. 그는 심지어 마이크 월러스를 고용하여 『미국의 폭력: 기록 역사』(1970)를 공동 집필하게 했는데, 호프슈타터의 제자인 에릭 포너는 이 책이 "심각한 의견 차이 없이 평화롭게 진화하는 국가에 대한 합의된 비전과 완전히 모순된다"고 말했다.[50]
호프슈타터는 미국 사회의 3권짜리 역사를 쓰려고 계획했으나, 1970년 백혈병으로 사망하면서[51] 첫 번째 권인 『1750년의 미국: 사회적 초상』(1971)만 완성했다. 그는 가르치는 것보다 자신의 연구에 더 많은 관심을 보였으며, 학부 수업에서는 다음 책의 초고를 소리내어 읽었다.[52] 100편이 넘는 박사학위 논문을 지도했지만 대학원생들에게는 피상적인 관심만을 보였다.[53]
3. 사학의 특징
호프슈타터의 방법은 미국 역사학에서 합의 접근법(Consensus-approach)의 초기 사례로 소개되곤 한다. 대조적으로 당시 미국에서 진보적이고 급진적인 역사 해석으로 자리 잡아가던, 정치 현상을 경제적 이해관계로 동기 부여하는 방식이 있다. 찰스 비어드의 『미국 헌법의 경제적 해석(An Economic Interpretation of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1913)』에 대표되는, 마르크스의 유물사관에서 독일 철학적 배경을 제거한 단순한 역사 이해에 호프슈타터는 반대했다. 예를 들어 그는 남북 전쟁의 원인으로 산업 기반의 차이보다는 노예 해방론자들의 종교관을 강조하고, 북서부에 "흑인 공포"가 만연했던 역설적인 상황도 잊지 않고 기술한다. 호프슈타터는 한 사람에게 모순된 동기가 공존하듯이, 미국사를 움직였다고 할 수 있는 "여론"은 상반되는 여러 동기들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다수파의 "여론"에서 배척된 주장은 잊혀지지 않는다면 "여론"에 반역하여 매카시즘과 같은 폭력·언론탄압과 같은 병리 현상으로 나타난다. 후년의 호프슈타터는 여론사학(Consensus-History)의 한계를 느끼고, 미국사를 새로운 방법으로 재검토하려 했다고 생각된다. 그 일부가 1970년 논문 "American Violence"와 미완의 미국사에서 발표되었다.
연구 주제는 제한적이고 산만하며, 장대하고 일관된 전망을 가지지 않은 호프슈타터의 가장 큰 공헌은 "미국사의 복잡성을 재발견한 것"이다. 그는 고문서·고전이 아닌, 당시 일반 독서계에 유통된 출판물을 다루고, 역사적 행위자에게 감정 이입하려 한다. 그 장점과 매력은 전기 분야에서 발휘되었다. 현대 미국에 대한 분석은 정치가뿐만 아니라 지식인·우익의 심리에까지 미치며, 지금도 중요성을 잃지 않는다.
3. 1. 합의 사관과 비판적 시각
리처드 호프스태터는 '합의 사관'의 대표 주자로 알려져 있지만, 이는 그의 학문 세계를 단편적으로 이해한 것이다.[15][16] 그는 미국 역사를 경제적 이해관계로만 환원하는 찰스 비어드 등의 진보주의 사관을 비판했다.[24] 특히 찰스 비어드의 『미국 헌법의 경제적 해석』에 대표되는, 마르크스의 유물사관에서 독일 철학적 배경을 제거한 단순한 역사 이해에 반대했다.호프스태터는 미국 정치 전통의 합의를 "아이러니컬"한 것으로 보았다.[18] 그는 주요 정당의 주요 경쟁자들이 재산과 기업의 지평선에 의해 제한된 시야를 가지고 있었으며, 재산권, 경제적 개인주의 철학, 경쟁의 가치를 공유했다고 지적했다.[19] 그는 이러한 이념적 합의를 개탄했으며,[20] "합의 역사가"라는 용어를 싫어했고, 역사의 필수적인 갈등을 무시하고 합의를 과도하게 사용한 다니엘 J. 부어스틴을 비판했다.[21][22]
동시에, 그는 미국 사회의 갈등과 긴장, 특히 비합리적인 대중 심리와 극단주의의 위험성을 간파했다. 예를 들어 남북 전쟁의 원인을 산업 기반의 차이보다는 노예 해방론자들의 종교관에서 찾고, 북서부에 "흑인 공포"가 만연했던 역설적인 상황을 지적했다.[24] 호프스태터는 한 사람에게 모순된 동기가 공존하듯이, 미국사를 움직였다고 할 수 있는 "여론"은 상반되는 여러 동기들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다수파의 "여론"에서 배척된 주장은 잊혀지지 않는다면 "여론"에 반역하여 매카시즘과 같은 폭력·언론탄압과 같은 병리 현상으로 나타난다고 보았다.
호프스태터의 연구 주제는 제한적이고 산만하며, 장대하고 일관된 전망을 가지지 않았지만, 그의 가장 큰 공헌은 "미국사의 복잡성을 재발견한 것"이다. 그는 고문서·고전이 아닌, 당시 일반 독서계에 유통된 출판물을 다루고, 역사적 행위자에게 감정 이입하려 했다.
3. 2. 사회심리학적 접근
호프슈태터는 사회심리학적 개념을 활용하여 정치사를 설명한 선구적인 학자였다.[30] 그는 C. 라이트 밀스의 영향을 받아[30] 정치 담론과 행동을 추동하는 요인으로서 사회적 지위 불안, 반지성주의, 비이성적 공포, 편집증과 같은 무의식적인 동기를 탐구했다.[31] 그는 "심리학을 정치에 적용하는 것은 위험하지만, 적어도 정치는 명백한 문제와 거의 관련이 없는 감정과 충동을 투영하는 장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우리에게 깨닫게 해주었다."라고 주장했다.[36]호프슈태터는 한 사람에게 모순된 동기가 공존하듯이, 미국사를 움직였다고 할 수 있는 "여론"은 상반되는 여러 동기들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생각했다. 그는 다수파의 "여론"에서 배척된 주장은 잊혀지지 않는다면 "여론"에 반역하여 매카시즘과 같은 폭력·언론탄압과 같은 병리 현상으로 나타난다고 보았다.
C. 반 우드워드는 호프슈타터가 "미국 생활의 이상하고, 뒤틀리고, '괴짜'이고 미친 사람들—좌파, 우파, 중도—을 단단히 이해하고 있지는 않더라도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것 같다"고 썼다.[37]
4. 주요 저서
《미국 사상 속의 사회 다윈주의, 1860-1915》(Social Darwinism in American Thought, 1860-1915, 1944)에서 호프스태터는 19세기 후반 미국 자본주의와 사회 다윈주의를 비판적으로 분석했다.[57] 《미국 정치 전통과 그것을 만든 사람들》(The American Political Tradition and the Men Who Made It, 1948)에서는 18세기부터 20세기까지의 주요 정치 지도자 12명에 대한 해석적 연구를 제시했다. 《개혁의 시대: 브라이언에서 FDR까지》(The Age of Reform: from Bryan to F.D.R., 1955)에서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중반까지의 미국 개혁 운동을 분석했다.
《미국 생활의 반지성주의》(Anti-Intellectualism in American Life, 1963)에서 호프스태터는 미국 사회의 반지성주의 전통과 그 위험성을 경고했다.[59] 《미국 정치의 편집증적 스타일, 그리고 다른 에세이들》(The Paranoid Style in American Politics: and Other Essays, 1965)에서는 미국 정치의 극단주의와 음모론적 사고방식을 분석했다.
《진보적 역사가들: 터너, 비어드, 패링턴》(The Progressive Historians: Turner, Beard, Parrington, 1968)에서 호프스태터는 찰스 비어드 등 진보주의 사관의 지적 기반과 역사적 타당성을 비판했다. 《정당 체제의 개념: 미국에서 합법적 반대의 부상, 1780-1840》(The Idea of a Party System: the Rise of Legitimate Opposition in the United States, 1780-1840, 1969)에서는 미국 초기 정당 체제의 형성을 다루었다. 《1750년의 미국: 사회 초상》(America at 1750: A Social Portrait, 1971)은 18세기 중반 미국 사회를 묘사한 저서로, 호프슈타터 사후 출간되었다.
호프스태터는 이외에도 "남북전쟁 직전의 관세 문제," "윌리엄 그레이엄 서머, 사회 다윈주의자," "패링턴과 제퍼슨 전통," "잭슨 민주주의의 대변인 윌리엄 레겟,"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또한, 월터 P. 메츠거와 공저로 《미국에서 학문의 자유의 발전》(The Development of Academic Freedom in the United States, 1955)을 출간했다.
5. 정치적 견해
리처드 호프스태터는 대학 시절 미국 공산당 청년동맹에 가입하고, 1938년 4월에는 미국 공산당에 입당하는 등 좌파적 성향을 보였다.[38] 그러나 그는 공산당의 교조주의에 환멸을 느껴 1939년 탈당했다.[38] 모스크바 쇼 재판에 환멸을 느꼈지만, "자본주의를 싫어하고 그것을 없애고 싶다"는 이유로 공산당에 가입했다고 밝혔다.[38] 그는 반자본주의자로 "자본주의와 그에 따르는 모든 것을 혐오한다"고 썼지만, 소련을 "본질적으로 비민주적"이라고 비판하며 스탈린주의에도 실망했다.[38][39]
1940년대에 호프스태터는 지식인들이 자본주의보다 사회주의에서 더 나은 환경을 찾을 수 없다고 생각하며 정치 활동을 포기했다.[38][39] 전기 작가 수잔 베이커는 호프스태터가 1930년대 좌파 사상에 깊은 영향을 받았으며, 이는 그의 정체성 위기와 미국 과거에 대한 관점을 형성했다고 평가했다.[40]
1940년대에 호프스태터는 찰스 비어드를 "흥미로운 영향을 준 사람"이라고 언급했다.[42] 그는 특히 경쟁하는 경제 집단 간의 투쟁을 강조하고 추상적인 정치적 수사를 경시한 비어드의 미국 역사에 대한 사회 갈등 모델에 주목했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 호프스태터는 자유주의 진영에서 큰 명성을 얻었다.[43] 로렌스 크레민은 호프스태터가 역사를 통해 미국 자유주의를 재구성하고자 했다고 평가했다.[43] 알프레드 카진은 그를 모든 미국 유토피아와 그 예언자들을 조롱하는 비평가이자 풍자가로 평가했다.[44]
2008년 보수 논객 조지 윌은 호프스태터를 "자유주의적 깔보기를 대표하는 지식인"이라고 비판하며, 그가 보수주의자들을 "편집증적 스타일" 등으로 일축했다고 주장했다.[45]
6. 한국 사회에 대한 시사점
참조
[1]
웹사이트
Lawrence W. Levine (1933-2006) | Perspectives on History | AHA
https://www.historia[...]
[2]
웹사이트
Richard D. Heffner '46, '47 GSAS, Host of Public Television's Open Mind | Columbia College Today
https://www.college.[...]
[3]
논문
Measuring Liberalism, Confronting Evil: A Retrospective
2021-05-11
[4]
뉴스
Robert Remini Dies, Leaves Legacy as Andrew Jackson Scholar
https://www.csmonito[...]
Christian Science Publishing Society
2019-11-19
[5]
서적
2007
[6]
서적
Radical Ambition: C. Wright Mills, the Left, and American Social Thought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9-04-14
[7]
서적
Reader's Encyclopedia
[8]
웹사이트
Richard Hofstadter
https://www.amacad.o[...]
2022-12-21
[9]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2-12-21
[10]
서적
Book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11]
웹사이트
Buffalo Jewish Hall of Fame
http://jbuff.com/hal[...]
[12]
서평
Richard Hofstadter: An Intellectual Biography
2007-09
[13]
논문
Social Darwinism and the Businessmen
[14]
서적
Social Darwinism: Science and Myth in Anglo–American Social Thought
[15]
서적
2006
[16]
뉴스
On Richard Hofstadter
https://www.nybooks.[...]
2018-12-29
[17]
서적
Henry Steele Commager : Midcentury Liberalism and the History of the Present
[18]
서적
The Writing of American His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990-01-01
[19]
서적
The American Political Tradition: And the Men Who Made it
https://books.google[...]
Knopf
[20]
서적
Engagement with the Past: The Lives and Works of the World War II Generation of Historian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15-01-13
[21]
서적
Neo-slave Narratives: Studies in the Social Logic of a Literary For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9-11-04
[22]
서적
The Writing of American His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990-01-01
[23]
웹아카이브
https://web.archive.[...]
2020-08-06
[24]
서적
2000
[25]
서적
2000
[26]
논문
Richard Hofstadter: An Intellectual Biography (review)
[27]
서적
Popularizing the Past: Historians, Publishers, and Readers in Postwar Americ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8]
서적
2000
[29]
서적
Selvages & Biases: The Fabric of History in American Culture
Cornell University Press
1987
[30]
서적
2006
[31]
서적
Encyclopedia of American Foreign Policy
[32]
서적
The Age of Reform
[33]
서적
2006
[34]
서적
2003
[35]
서적
Richard Hofstadter: The Ironies of an American Historian
[36]
서적
The Paranoid Style in American Politics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Digital
[37]
서적
World Authors 1950–1970 : A Companion Volume to Twentieth Century Authors
H.W. Wilson Company
[38]
서적
Who Owns History?: Rethinking the Past in a Changing World
https://books.google[...]
Macmillan
[39]
기타
Geary (2007)
[40]
PhD dissertation
Out of the Engagement: Richard Hofstadter, the Genesis of a Historian
Case Western Reserve U
[41]
기타
Geary (2007)
[42]
기타
Foner, 1992
[43]
서적
Richard Hofstadter (1916–1970): a biographical memoir
https://books.google[...]
National Academy of Education
[44]
서적
New York Jew
https://books.google[...]
Knopf Doubleday
[45]
뉴스
Candidate on a High Horse
http://www.realclear[...]
2008-04-15
[46]
기타
Brown (2006)
[47]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Political Ideologies
[48]
기타
Geary (2007)
[49]
간행물
The Conservatism of Richard Hofstadter
http://www.historyit[...]
[50]
기타
Introduction
[51]
뉴스
Richard Hofstadter, Pulitzer Historian, 54, Dies. Author of 13 Books Received Prizes for '55 and '64
https://query.nytime[...]
2014-12-15
[52]
기타
Brown (2006)
[53]
기타
Brown (2006)
[54]
기타
Kazin (1999)
[55]
뉴스
Hofstadter Room Set For Columbia
https://www.nytimes.[...]
1971-01-19
[56]
웹사이트
Beatrice White filled long life with spirit
https://www.newstime[...]
2012-11-06
[57]
학술지
Social Darwnism in American Thought, 1860-1915 (Book Review)
https://www.proquest[...]
[58]
서적
미국사산책 16권
http://worldcat.org/[...]
인물과사상사
2010
[59]
서적
미국의 반지성주의
http://www.yes24.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