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우리츠 판 오라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우리츠 판 오라녜는 1567년 딜렌부르크에서 태어나 빌럼 1세의 아들로, 라이덴 대학교에서 수학하며 군사적 지식을 쌓았다. 1585년 홀란트와 젤란트의 총독직을 계승한 그는 군사 개혁을 통해 네덜란드 독립 전쟁을 성공적으로 이끌었고, 뛰어난 군사적 역량으로 유럽 전역에 명성을 떨쳤다. 올덴바르네벨트와의 갈등, 30년 전쟁 발발의 영향, 그리고 1625년 사망 등 복잡한 생애를 거쳤으며, 군사 훈련 혁신과 사관학교 설립을 통해 군사 발전에 기여했다. 그는 여러 사생아를 두었으며, 모리셔스, 허드슨 강 등 그의 이름을 딴 지명이 존재한다.
마우리츠는 빌럼 1세와 작센의 안나의 아들이었으며, 딜렌부르크 성에서 태어났다. 그는 외할아버지이자 저명한 장군이었던 작센의 마우리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 생애
마우리츠는 결혼하지 않았지만, 마르가레타 판 메헬렌과의 사이에 사생아들을 두었다 (렉 영주 빌럼과 데 렉과 베버베르트 영주 루이 포함). 안나 판 데 켈더와의 사이에도 자녀가 있었다. 그는 딜렌부르크에서 삼촌 나소의 요한("늙은 얀")의 손에 자랐다.
사촌 빌럼 로데비이크와 함께 하이델베르크와 레이덴에서 공부했으며, 사이먼 스테빈을 만났다. 네덜란드와 젤란트의 주들이 그의 학업 비용을 지불했는데, 아버지 빌럼 1세가 네덜란드 독립 전쟁 초기 모든 재산을 소진하여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이다.
1584년 아버지가 델프트에서 암살당했을 당시 16세였던 그는 곧 아버지의 직책인 총독에 임명되었다. 잉글랜드와 프랑스의 군주들은 주권을 인정해 줄 것을 요청받았지만 거절했다. 이로 인해 마우리츠가 총독직의 유일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후보자가 되었다. 그는 1585년 네덜란드와 젤란트의 총독이 되었고,[1] 1590년 겔더른, 오퍼라이셀, 위트레흐트의 총독이 되었다. 1620년에는 흐로닝언과 드렌테의 총독이 되었다.
개신교도였던 마우리츠는 로마 가톨릭교도인 이복형 오라녜 공 필립 빌럼 (1618년 사망)에 이어 오라녜 공이 되었다. 그러나 필립 빌럼은 1596년까지 스페인에 감금되어 있었기 때문에 네덜란드 독립 운동을 이끌 수 없었다.
빌럼 1세의 첫 번째 부인이자 부유하고 권력 있는 귀족 안나 판 에흐몬트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필립 빌럼의 이복 자매 나소의 마리아는 아버지의 재산을 두고 마우리츠와 경쟁하였다.
1587년, 마우리츠는 육군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는데, 이는 레스터 백작 로버트 더들리를 제치고 임명된 것이었다.
1621년 휴전이 끝나자 암브로지오 스피놀라와 다시 전쟁을 벌였다. 1624년 스페인 군에 포위된 브레다를 구원하려 했지만, 이듬해인 1625년, 결판이 나기 전에 헤이그에서 5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생애 독신이었기 때문에, 가독과 지위는 이복동생인 프레데릭 헨드릭에게 계승되었다. 서자로는 빌렘(Willem), 로데와이크가 있었고, 로데와이크의 아들인 손자 헨드릭은 네덜란드 침공 전쟁, 대동맹 전쟁,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서 종군하여 아우웰케르크 경이라는 이름을 사용했으며, 이 가계는 나사우-아우웰케르크 가문으로 이어졌다.
2. 1. 청년기와 총독직 계승
마우리츠는 1567년 딜렌부르크 성에서 빌럼 1세와 작센의 안나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이름은 외할아버지이자 저명한 장군이었던 작센의 마우리츠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22] 어린 시절 마우리츠는 예민한 성격을 보였으며, 아버지 빌럼 1세가 스페인에 맞서 투쟁하는 동안 여러 곳을 옮겨 다니며 성장했다. 1584년 빌럼 1세가 암살당하는 등 불안정한 환경은 그에게 신중함과 의심을 심어주었다.[1]
마우리츠는 하이델베르크와 레이덴에서 수학, 탄도학, 공병술 등을 공부했으며, 사이먼 스테빈을 만나기도 했다. 네덜란드 독립 전쟁 초기 아버지의 재산 소진으로 학업 비용은 네덜란드와 젤란트의 주들이 지원했다.[1]
1584년 아버지가 델프트에서 암살당한 후, 1585년 마우리츠는 16세의 나이로 홀란트와 젤란트의 총독직을 계승했다.[1] 초기에는 영국에서 파견된 레스터 백작 로버트 더들리가 네덜란드를 이끌었으나, 지도력 부족으로 1587년 영국으로 돌아가자 마우리츠가 네덜란드를 이끄는 입장에 섰다. 이후 1590년에는 위트레흐트, 헬더란트, 오버레이셀의 총독직도 겸임했다.
1584~86년은 위기의 시기였으나, 마우리츠는 요한 반 올덴바르네벨트와 그의 사촌이자 프리슬란트의 총독 빌렘 루이스의 도움을 받아 스페인에 대항하는 입장을 공고히 하고 독립을 준비했다.
2. 2. 군사적 업적
마우리츠는 총사령관으로서 군사 문제에 전념하며 군대 개혁을 단행했다. 군대 규모를 줄이고 조직을 개선했으며, 병사들에게 급료를 신속하게 지급하고 정규 훈련을 실시하여 반란을 근절했다.[2] 포위전을 중시하는 전략을 채택하고, 시몬 스테빈의 조언을 받아 1590년대부터 브레다를 시작으로 여러 요새를 차례로 함락시켰다.[2] 이를 통해 현재의 네덜란드 크기와 비슷한 정도로 영토를 확장했다.
턴하우트(1597)와 니우포르트(1600)에서 승리하여 군사적 명성을 얻었으나,[2] 남부 지역에서의 성과는 부진했다. 그는 플랑드르 침공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니우포르트에서 처음에는 승리했지만 곧 후퇴해야 했다. 결국 1609년 스페인과 12년간의 휴전을 체결했다.[2]
마우리츠의 군사 훈련은 근세 전쟁과 군사 혁명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2] 이전에는 훈련이 규율 유지나 체력 유지를 위한 것이었지만, 마우리츠는 이를 전술의 기본 전제 조건으로 삼았다.[2] 그는 집중 사격을 도입하여 병사들이 대규모 집단 사격을 통해 무기의 부정확성을 보완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1600년 니우포르트 전투에서 처음 사용되었다.[4]
마우리츠는 반란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며, 빌럼 로데비이크와 함께 네덜란드 연합군을 재편성했다. 그는 군사 역사, 전략 및 군사 전술, 수학과 천문학을 연구하여 당대 최고의 전략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다. 80년 전쟁 동안 여러 스페인의 전초 기지를 함락시켰으며, 특히 "10년의 영광의 시대" 동안 귀중한 요새와 도시들을 점령했다.
그의 주요 군사 작전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작전 |
---|---|
1590 | 브레다 |
1591 | 쥐트펜, 데벤터, 델프자일, 크노센부르크, 훌스트, 나이메헌 |
1592 | 스테인비크, 코에보르던 |
1593 | 게르트루이덴베르크 |
1594 | 흐로닝언 |
1597 | 라인베르크, 뫼르스, 흐로엔로, 브레데보르트, 엔스헤데, 오트마르숨, 올덴잘, 링언, 턴하우트 |
1600 | 니우포르트 |
그의 군사적 업적은 네덜란드 공화국의 국경을 확장하고 반란을 공고히 하는 데 기여했으며, 그는 당대 최고의 장군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프레드릭 헨리를 포함한 많은 장군들과 잉글랜드 내전의 지휘관들이 그의 지휘 아래서 군사 경력을 쌓았다.[2]
마우리츠는 알-하자리와 같은 모로코 사절들을 받아 네덜란드, 오스만 제국, 모로코와 모리스코스 간의 동맹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는 등 스페인에 맞서 동맹을 찾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5][6]
역사가들은 마우리츠를 포위전 지휘관, 군사 조직가 및 혁신가로서 높이 평가한다. 그는 알렉산드로 파르네세, 파르마 공작과 암브로지오 스피놀라와 같은 강력한 적수들과 맞섰으며, 1605년 뮐하임 전투에서 스피놀라에게 패배하기도 했다.[8] 그의 전술가로서의 능력에 대한 평가는 엇갈리지만, 그는 새로운 군사 전문가 학교를 설립하여 미래 전문 군대의 길을 열었다.[11] 그의 제자들 중에는 스웨덴의 구스타브 2세 아돌프를 섬긴 사람들도 있었으며, 스웨덴군의 강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11]
마우리츠는 사촌인 요한 7세와 함께 군사 훈련을 혁신적으로 개선했다. 총기 조작을 세분화하고, 구령에 맞춰 움직이도록 훈련시켰으며, 행군 규칙을 정하여 군단이 신속하게 진형을 바꿀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훈련은 병사들의 사기 유지와 연대 의식 형성에도 기여했다.[24] 그의 훈련 매뉴얼은 출판되어 여러 나라 군대 강화에 영향을 미쳤다.[24]
또한, 마우리츠는 보병, 기병, 포병을 결합한 삼군 연합 전술의 기반을 구축했다. 그는 사관학교를 설립하여 장교를 육성했으며, 시몬 스테빈, 자크 알로메 등 뛰어난 수학자, 기술자들을 초빙하여 신무기 개발을 장려했다.[24]
2. 3. 올덴바르네벨트와의 불화
요한 판 올덴바르네벨트의 후원으로 경력을 시작했지만, 마우리츠와 올덴바르네벨트 사이에는 점차 긴장감이 고조되었다. 마우리츠는 군사 문제에 대한 올덴바르네벨트의 간섭, 특히 플랑드르 침략 실패와 휴전 협상을 계기로 갈등이 심화되었다. 마우리츠는 올덴바르네벨트가 스페인과의 평화를 열망한 나머지 네덜란드의 독립을 희생시켰다고 의심했고, 올덴바르네벨트는 마우리츠가 통치권을 장악하려 한다고 의심했다.[23]종교 문제에서도 칼뱅주의 해석을 둘러싸고 올덴바르네벨트와 대립했다. 올덴바르네벨트는 예정설을 유연하게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항의파(아르미니우스파)에 속했지만, 마우리츠는 칼뱅주의 강경파(엄격하게 해석하려는 네덜란드 개혁파)를 옹호했다. 1617년, 마우리츠는 공개적으로 칼뱅주의자(Counter Remonstrants)를 옹호하고 나섰다.[23]
1618년, 도르트 회의에서 엄격파가 주류가 되었고, 마우리츠는 올덴바르네벨트를 체포하여 이듬해 사형에 처함으로써 권력을 장악했다. 그러나 이 사건은 마우리츠의 품성과 이력에 오점으로 남았다.[23]
2. 4. 30년 전쟁과 말년
조나단 이스라엘은 마우리츠가 30년 전쟁 발발에 대한 책임이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조카인 프레드릭 5세가 보헤미아 왕관을 받아들이도록 설득하고, 보헤미아인들이 프라하의 창밖 투척 사건을 통해 합스부르크 지배에 맞서 싸우도록 부추겼다. 그는 보헤미아인들에게 5만 길더를 제공하고, 흰산 전투에서 싸울 네덜란드 군대를 파병하기도 했다.[12] 이러한 결정은 보헤미아인들을 억압으로 몰아넣고, 프레드릭은 선조의 땅을 잃게 만들었으며, 네덜란드 공화국의 전략적 위치도 악화시켰다.1621년, 12년간의 휴전 기간 후 스페인과의 전쟁이 재개되었다. 암브로지오 스피놀라가 이끄는 스페인군은 1624년 브레다 공성전을 포함하여 1625년에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
마우리츠는 1625년 4월 23일 1624년 브레다 공성전이 진행 중인 상태에서 간장병으로 사망했다. 나사우의 유스티누스는 11개월간의 공성전 끝에 1625년 6월 브레다를 항복했다.
3. 군사 혁신
마우리츠는 사촌인 요한 7세와 함께 군사 훈련을 혁신하여 "군사 혁명"을 이끌었다.[24] 그는 총기 사용법을 세분화하고, 행군 규칙을 정하여 군대의 효율성을 높였다. 예를 들어 총을 다룰 때에는 동작을 수십 가지로 나누어 구령에 맞춰 일제히 움직이도록 훈련시켰다. 이러한 훈련은 전투 중이 아닌 때에도 병사들의 사기를 유지하고, 용병 위주의 군대에 연대 의식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마우리츠의 군사 훈련법은 책으로 출판되어(『무기의 조작, 화승총・머스켓총・창에 관하여, 오라니에 공 마우리츠 각하의 명령에 의해 저술』, 한국어 미번역) 여러 나라에서 이를 참고하여 군대를 강화했다.
또한 마우리츠는 보병, 기병에 포병을 더한 삼군 연합 전술의 기반을 구축했다. 이는 당시 파이크병의 방진(테르시오)에 의한 백병전이 주류였던 유럽 육전의 양상을 변화시켰다. 마우리츠 생전에는 스피놀라가 이끄는 스페인군과 호각을 이루었으나, 그의 사후 네덜란드는 80년 전쟁에서 승리하여 완전한 독립을 이루었다.
그는 장교 육성을 위한 사관학교를 설립하여, 스웨덴의 구스타프 2세 아돌프를 섬긴 인물 등 많은 졸업생을 배출했다. 이들은 스웨덴군 강화에 크게 기여했으며, 마우리츠의 군사적 영향은 네덜란드를 넘어 유럽 전체로 확산되었다.[24]
마우리츠는 군대에 시몬 스테빈, 자크 알로메 등 뛰어난 수학자 및 기술자들을 초빙하여 신무기 개발을 장려하기도 했다.
4. 일본과의 관계
1609년(게이초 14년), 일본(에도 막부)에 진출한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마우리츠를 네덜란드 "'''국왕'''"으로 칭하는 서한을 슨푸에서 전 정이대장군(오고쇼)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제출하여, 수인장에 의한 무역을 인정받았다.[1] 이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네덜란드 총독을 "국왕"으로 칭하는 허구를 유지하게 된다.[1]
5. 평가
마우리츠는 훌륭한 군인이었지만 위대한 정치가는 아니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의 군사적 업적은 1590년부터 1609년까지 스페인을 물리치고 네덜란드 공화국의 영토를 확장하여 변경 지역의 안전을 확보하는 데 기여했다.[1] 그러나 네덜란드 전체를 재통일하지는 못했다. 또한 올덴바르네벨트에 대한 끈질긴 복수는 네덜란드 공화국을 오라녜파와 반오라녜파로 오랫동안 분열시켰다.[1]
마우리츠는 복잡하고 모순된 성격의 소유자였다. 어린 시절의 성장 환경은 그에게 공포와 의심, 원한을 쉽게 느끼게 만들었다. 그러나 전장에서는 대단한 용기와 관용을 발휘하기도 했다. 타고난 신중함은 신속하고 결단력 있는 행동을 방해하지 않았으며, 냉철한 논리 속에서도 농담을 즐겼다. 그는 결혼하지 않았는데, 여러 명의 사생아를 두었다.[1]
그의 시대와 역사가들은 마우리츠를 당대 최고의 장군으로 평가한다. 그의 명성은 전투에서 승리하고 활용하는 능력보다는 포위전 지휘관, 군사 조직가 및 혁신가로서의 전문성에 더 크게 기반을 두고 있다. 그는 파르마와의 전투를 신중하게 피했으며, 1606년 스피놀라에게 유리한 상황에서 전투를 제안할 기회를 따르지 않았다. 그러나 1605년 10월 묄하임 전투에서 스페인 장군에게 패배하기도 했다.[8] 역사가 데이비드 트림은 그의 전술가로서의 능력에 대한 평가를 내리기 어렵다고 말한다.[9] 조나단 이스라엘은 1600년 니우포르트 전투가 네덜란드의 승리로 끝났지만, 이 결과는 매우 위험했고, 마우리츠는 두 번째 그러한 전투를 피하도록 조심했다고 지적한다.[10]
마우리츠는 완전히 새로운 군사 전문가 학교를 설립했다. 이러한 학교는 로마 전술을 재적용하고 물류, 훈련 및 경제 분야에서 혁신함으로써 미래 전문 군대의 길을 열었다. 그의 제자들, 예를 들어 투렌느 원수나 스웨덴의 구스타브 2세 아돌프와 같은 이들은 17세기 후반에 마우리츠의 개혁을 효과적으로 적용했다.[11]
6. 유산
마우리츠는 여러 주의 총독이자 육군 원수였으며, 이는 세습되지 않고 임명되는 직함이었다.[1] 그는 오늘날 프랑스 프로방스에 있는 오라녜 공국의 세습 군주이기도 했다. 또한 그는 많은 다른 영지를 소유하여 부를 축적하였다.
그는 결혼하지 않았지만, 여러 명의 사생아를 두었다.[18] 마우리츠의 사생아 중 렉 영주 빌럼과 데 렉과 베버베르트 영주 루이는 귀족 가문을 이루었다. 특히 루이의 아들인 헨드릭은 네덜란드 침공 전쟁, 대동맹 전쟁,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 종군하여 아우웰케르크 경이라는 이름을 사용했으며, 이 가계는 나사우-아우웰케르크 가문으로 이어졌다.
인도양에 위치한 섬나라 모리셔스는 마우리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598년 와이브란트 워위크가 왕자를 기리는 의미에서 이 섬을 명명했고, 1638년 5월 네덜란드 이민자들이 처음으로 정착했다.[13] 1611년, 네덜란드인들은 현재 허드슨 강으로 알려진 강을 마우리츠 강 또는 모리셔스 강으로 불렀으며, 나소 강으로 불리기도 했다.[14]
6. 1. 작위 및 문장
마우리츠는 여러 주의 총독이자 육군 원수였으며, 이는 세습되지 않고 임명되는 직함이었다.[1] 그는 오늘날 프랑스 프로방스에 있는 오라녜 공국의 세습 군주이기도 했다. 또한 그는 많은 다른 영지를 소유하여 부를 축적하였다.- 베어레 및 플리싱언 후작
- 나사우-딜렌부르크 백작, 뷔렌 백작, 레르담 백작, 카첸엘렌보겐 백작, 비안덴 백작
- 앤트워프 및 베장송 자작
- 아거리스 남작, 브레다 남작, 크라넨돈크 남작, 쿠이크 영지 남작, 다이스부르크 남작, 아인트호번 남작, 그라프 시 남작, 라이크 남작, 아이슬스테인 남작, 디스트 남작, 그림베르헌 남작, 에르스탈 남작, 워르네통 남작, Beilstein (Westerwald)|바일슈타인 (베스터발트)de 남작, 벤트하임-링겐 남작, 메어스 남작, 아를레이 남작, 노제로이 남작; 다스부르크 영주, 헤르트루이덴베르흐 영주, 호허 엔 라허 즈발루웨 영주, 클룬데르트 영주, 몽포르 영주, 날드바이크 영주, 니에르바르트 영주, 폴라넨 영주, 스텐베르헌 영주, 생트마르텐스다이크 영주, 빌렘스타트 영주, 뷔트겐바흐 영주, 생크트 비트 영주, 베장송 영주
그는 생애 동안 아버지 시대에 사용했던 문장을 계속 사용했으며, 아버지와 이복형제들이 사용했던 더 간단한 문장으로는 바꾸지 않았다.
6. 2. 자손
마우리츠는 결혼하지 않았지만, 여러 명의 사생아를 두었다.[18]마르가레타 판 메헬렌과의 사이에서 낳은 자녀는 다음과 같다.
이름 | 출생-사망 |
---|---|
렉 영주 빌럼 | 1601년 - 1627년[18] |
데 렉과 베버베르트 영주 루이 (로데베이크) | 1604년 - 1665년[18] |
마우리츠 | 1604년 - 1617년 6월 5일[18][19] |
코르넬리아 야콥스도흐터와의 사이에서는 안나(Anna, ? - 1673년 6월 11일)를 낳았으며[19][20], 안나는 프랑수아 드 페리에와 결혼했다.
우르술라 더 릭과의 사이에서는 엘리자베트(Elisabeth, 1611년 - 1679년)와 카를(Carel, 약 1612년 - 1637년 3월 28일)을 낳았다. 카를은 브라질 전투 중 사망했다.
안나 판 더 켈더와의 사이에서는 카를 마우리츠를 낳았다.[21]
델리아나 더 바커와의 사이에서는 엘레오노라(Eleonora, ? - 1673년)를 낳았다.
마우리츠의 사생아 중 빌럼과 로데베이크는 귀족 가문을 이루었다. 특히 로데베이크의 아들인 헨드릭은 네덜란드 침공 전쟁, 대동맹 전쟁,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 종군하여 아우웰케르크 경이라는 이름을 사용했으며, 이 가계는 나사우-아우웰케르크 가문으로 이어졌다.
6. 3. 기타
인도양에 위치한 섬나라 모리셔스는 마우리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598년 와이브란트 워위크가 왕자를 기리는 의미에서 이 섬을 명명했고, 1638년 5월 네덜란드 이민자들이 처음으로 정착했다.[13] 1611년, 네덜란드인들은 현재 허드슨 강으로 알려진 강을 마우리츠 강 또는 모리셔스 강으로 불렀으며, 나소 강으로 불리기도 했다.[14]참조
[1]
웹사이트
Maurits benoemd als stadhouder, 1585
https://www.european[...]
2020-08-21
[2]
서적
The Military Revolution 1560–1660
[3]
서적
The Military Revolution Debate
[4]
논문
The Limits to Revolutions in Military Affairs: Maurice of Nassau, the Battle of Nieuwpoort (1600), and the Legacy
2007
[5]
서적
The mirror of Spain, 1500–1700: the formation of a myth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3-11-19
[6]
서적
'Romania Arabica' by Gerard Wiegers
https://books.google[...]
Gunter Narr Verlag
2013-11-19
[7]
서적
In the Lands of the Christians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3-11-19
[8]
논문
Preparing the Ground: The Cession of the Netherland's Sovereignty in 1598 and the Failure of its Peace-Making Objective, 1607–1609
Koninklijke Brill NV
2014
[9]
서적
Reader's Guide to Military History
Routledge
2013
[10]
서적
The Dutch Republic
Clarendon Press
1995
[11]
서적
Who's Who in Military History: From 1453 to the Present Day
Routledge
2014
[12]
서적
The Dutch Republic
Clarendon Press
1995
[13]
웹사이트
The Dutch on Mauritius 1638–1658, 1664–1710
https://www.colonial[...]
2021-01-01
[14]
서적
The Hudson River Guidebook
Fordham University Press
1996
[15]
서적
The Dutch in the Seventeenth Century
Thames and Hudson
1972
[16]
웹사이트
Wapenbord van Prins Maurits met het devies van de Engelse orde van de Kouseband
https://www.rijksmus[...]
2011-04-26
[17]
서적
Armorial général, contenant la description des armoiries des familles nobles et patriciennes de l'Europe: précédé d'un dictionnaire des termes du blason
G.B. van Goor
1861
[18]
서적
Gender, Power and Identity in the Early Modern House of Orange-Nassau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19]
서적
Dynastic Colonialism: Gender, Materiality and the Early Modern House of Orange-Nassau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20]
서적
Gender, Power and Identity in the Early Modern House of Orange-Nassau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21]
서적
Gender, Power and Identity in the Early Modern House of Orange-Nassau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22]
문서
ブロール, ウェッジウッド
[23]
문서
ブロール, 森田編, ウェッジウッド
[24]
문서
菊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