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진 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용거래는 투자자가 증권사로부터 자금이나 주식을 빌려 거래하는 방식으로, 레버리지 효과를 통해 수익을 확대할 수 있지만 손실 또한 커질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신용 매수와 신용 매도(공매도)로 구분되며, 증거금 납입, 마진 콜, 신용거래 유형, 관련 전략, 역사, 국가별 제도 등이 존재한다. 마진 콜은 증거금이 유지 증거금 이하로 떨어질 때 추가 증거금 납입을 요구하는 것으로, 응하지 못하면 강제 매도가 이루어질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금융시장 - 2023년 미국 은행 위기
    2023년 미국 은행 위기는 금리 인상, 채권 가격 하락, 암호화폐 시장 붕괴를 주요 원인으로, 실리콘밸리 은행 등 여러 은행의 파산으로 이어졌으며 미국 금융 시스템의 취약성을 드러내고, 금융 규제에 대한 논의를 촉발했다.
  • 금융시장 - 투기
    투기는 단기 시세 차익을 노리는 자산 매매 행위로, 투자 및 도박과의 경계가 모호하며 시장 불안정을 야기할 수 있지만 유동성 확보에 기여하기도 한다.
마진 콜
금융 담보 유형
개요
정의증거금은 거래의 상대방이 계약 의무를 이행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신용 위험을 커버하는 데 사용되는 금융 담보의 한 유형이다.
중요성증거금은 거래 상대방의 신용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증거금은 거래의 레버리지를 높일 수 있다.
작동 방식거래자는 거래를 개시하기 위해 증거금 계좌에 일정 금액의 자금을 예치해야 한다. 증거금 금액은 거래되는 자산, 거래 규모, 중개인의 요구 사항에 따라 다르다.
증거금 유형개시 증거금: 거래를 개시하는 데 필요한 금액이다.
유지 증거금: 포지션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금액이다.
변동 증거금: 유지 증거금을 초과하는 금액이다.
증거금 거래의 위험증거금 거래는 손실을 증폭시킬 수 있다.
거래자는 증거금 콜을 받을 수 있다.
거래자는 예치한 모든 자금을 잃을 수 있다.
증거금 거래
정의증거금 거래는 브로커로부터 돈을 빌려 자산을 거래하는 것이다.
작동 방식거래자는 거래를 개시하기 위해 증거금 계좌에 일정 금액의 자금을 예치해야 한다. 증거금 금액은 거래되는 자산, 거래 규모, 중개인의 요구 사항에 따라 다르다.
증거금 거래의 위험증거금 거래는 손실을 증폭시킬 수 있다.
거래자는 증거금 콜을 받을 수 있다.
거래자는 예치한 모든 자금을 잃을 수 있다.
증거금 거래의 이점증거금 거래는 이익을 증폭시킬 수 있다.
증거금 거래는 거래자가 더 많은 자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증거금 거래는 거래자가 포지션을 다양화할 수 있도록 한다.
신용 거래 (信用取引)
정의 (일본어)신용 거래(しんようとりひき)는 주식 거래에서 돈이나 주식을 빌려 행하는 거래 방법이다.
종류신용 매수 (信用買い): 돈을 빌려 주식을 사는 것.
신용 매도 (信用売り): 주식을 빌려 파는 것.
특징적은 자금으로 큰 금액의 거래가 가능하다.
주가 하락 시 손실이 확대될 수 있다.
증거금 유지율을 유지해야 한다.
관련 용어증거금 (保証金): 거래를 위해 예탁하는 돈.
증거금 유지율 (委託保証金率): 증거금 계좌에 유지해야 하는 최소 비율.
추가 증거금 (追い証): 증거금 유지율이 부족할 경우 추가로 예탁해야 하는 돈.
마진 콜 (Margin Call)
정의마진 콜은 증거금 계좌의 가치가 최소 유지 요건 이하로 떨어질 때 브로커가 투자자에게 보내는 요구이다.
발생 원인증거금 계좌의 자산 가치 하락
브로커의 증거금 요건 변경
대응 방법현금 추가 입금
일부 자산 매각
위험성기한 내 미대응 시 브로커가 임의로 포지션을 청산할 수 있음
예상치 못한 손실 발생 가능성

2. 신용거래의 메커니즘

신용거래는 투자자가 일정 비율의 증거금을 내고 증권사로부터 자금(신용 매수)이나 주식(신용 매도)을 빌려 거래하는 방식이다.

현물 거래와 달리, 자금 이상의 거래가 가능하여 레버리지 효과를 낼 수 있다.[4] 예를 들어 위탁 보증금률이 30%인 경우, 30만 엔의 위탁 보증금으로 약 100만 엔(약 3.3배)까지 거래할 수 있다. 100만 엔의 신용 매수에서 주가가 10% 상승하면, 위탁 보증금에 대한 이익률은 약 33%가 된다. 하지만 현물 거래에는 없는 리스크로 거래 자금 이상의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다.[2]

신용 거래에서는 신용 공여에 따른 비용(금리, 신용거래 대주료, 품대료)이 발생한다.[2]

신용 매도를 통해 주가 하락 시에도 이익을 낼 수 있다.[6] 다만, 주가에는 상한이 없으므로 신용 매도 시 최대 손실은 무제한이며, 공매도 규제도 받는다.[2]

신용 거래와 선물 거래는 위험 회피나 투기 목적으로 적합하며, 반대 매매를 통한 차액 결제가 가능하다는 공통점이 있다.[4] 그러나 신용 거래는 현물 거래와 같은 시장에서, 선물 거래는 다른 시장에서 이루어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일본의 금융상품거래법 제156조의 24에서는 신용 거래를 "금융상품거래업자가 고객에게 신용을 공여하여 행하는 유가증권의 매매 기타 거래"로 정의한다.[4] 고객은 증권사에 위탁보증금이라는 담보를 제공해야 하며, 이는 현금, 주식, 국채 등으로 납부할 수 있다. 유가증권 가격 변동으로 담보가 부족해지면 '추가보증금'(추증)을 납입해야 한다.[8]

현물 주식을 담보로 다시 신용 매수를 하는 '신용 2층 구조' 방식도 있는데, 이는 주가 하락 시 현물 주식과 신용 거래분 가치가 동시에 하락하는 위험이 있다.[9]

2. 1. 마진 계좌 (Margin Account)

마진 계좌는 주식 거래에 사용되는 증권사 대출 계좌이다. 투자자는 이 계좌를 통해 증권사로부터 돈을 빌려 주식을 매수하거나, 주식을 빌려 매도(공매도)할 수 있다. 마진 대출 가능 금액은 투자자가 소유하고 제공하는 증권을 담보로 증권사가 결정한다.[4] 증권사는 대출에 대한 이자 및 기타 수수료를 부과한다.

마진 계좌의 현금 잔액이 음수이면 증권사에 빚을 진 것이며, 이자가 발생한다. 잔액이 양수이면 투자자는 재투자하거나 인출할 수 있으며, 계좌에 남겨두어 이자를 얻을 수도 있다.
일본의 신용거래 제도일본에서는 금융상품거래법에 따라 신용거래가 이루어진다. 투자자는 증권사에 신용거래 계좌를 개설하여 신용 매수 또는 신용 매도(공매도)를 할 수 있다. 신용거래 계좌 개설 시 증권사는 고객의 신용거래 개시 기준 충족 여부를 심사하며, 고객은 신용거래 계좌 설정 약정서 등을 제출해야 한다.[5]

과거 일본의 사설 거래 시스템(PTS)에서는 신용 거래가 불가능했지만, 2019년 8월부터 금융청의 감독 지침 개정으로 PTS에서도 신용 거래가 가능해졌다.[18][19][20] PTS를 운영하는 증권사는 이해 상충 방지 조치와 자율 규제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21] 이러한 규제 완화로 PTS의 시장 점유율이 증가하는 추세이다.[22]
미국의 증거금 거래(Margin Transaction) 제도미국에서는 증거금 거래(margin transaction) 제도를 통해 신용 거래와 유사한 거래를 할 수 있다. 투자자는 증거금 계좌(margin account, 마진 계좌)를 개설해야 하며, 연방준비제도 이사회(FRB)의 T규칙에 따라 규제가 적용된다.[26] 신용 공여 금액의 상한은 매수 대금의 50%이며, 유지율은 증거금 매수의 경우 25%, 공매도의 경우 30%이다.[26] 증거금이 유지율 미만이 되면 투자자는 추가 증거금을 납입하거나 보유 자산을 처분해야 한다.[27]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T규칙 대신 포트폴리오 마진을 적용할 수 있다.[27] 포트폴리오 마진에서는 관련 증권의 포지션을 묶어 순손실을 계산하고, 그 결과에 따라 유지율을 결정한다.[27] 미국의 증거금 거래는 일반적으로 결제 기한이 없으며, 반대 매매 또는 현물 인수, 현물 인도 방식으로 결제된다.

2. 2. 신용 매수 (Margin Buying)

신용 매수는 투자자가 증권사로부터 자금을 빌려 주식을 매수하는 방법이다. 주가가 상승하면 빌린 자금으로 더 많은 주식을 구매해 이익을 확대하는 레버리지 효과를 낼 수 있다.[1] 그러나 주가가 하락하면 손실 또한 커진다.[2]

예를 들어, 자기 돈 20달러와 증권사에서 빌린 80달러로 100달러짜리 주식 1주를 산다. 주가가 오르면 좋겠지만, 반대로 85달러로 떨어지면 투자자의 순자산 가치(주가에서 빌린 돈을 뺀 금액)는 5달러가 된다. 이때 증권사는 최소 마진(예: 10달러)을 요구하는데, 이를 맞추려면 주식을 팔거나 돈을 더 넣어야 한다.[1]

1920년대 미국에서는 신용 매수가 매우 활발했다. 투자자들은 자기 자금을 거의 들이지 않고 최대 90%까지 레버리지를 이용했다.[2] 그러나 1929년 주식 시장 붕괴와 함께 많은 사람들이 마진 콜을 받았고, 이는 대공황의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2]

일본의 경우 금융 상품 거래법 제156조의 24에 따라 신용 거래가 정의되어 있으며, 투자자는 증권사에 위탁 보증금이라는 담보를 맡기고 자금을 빌려 주식을 거래한다.[4] 신용 매수는 '카라 매수'라고도 불리지만, 일반적으로 '신용 매수'라고 한다.[6]

신용 매수는 레버리지 효과로 투자 수익을 높일 수 있다. 위탁 보증금률이 30%라면, 30만 엔으로 약 100만 엔어치의 주식을 거래할 수 있다. 주가가 10% 상승하면 이익률은 약 33%가 된다.[2]

하지만 신용 매수는 주가 하락 시 손실이 커질 수 있으며, 신용 공여에 따른 비용(금리, 대주료 등)도 발생한다.[2] 또한, 공매도와 같은 일부 규제를 받는다.[2]

현물 주식을 담보로 다시 신용 매수를 하는 '신용 2층 구조' 방식도 있는데, 이는 주가 하락 시 현물 주식과 신용 거래분 가치가 동시에 하락하는 위험이 있다.[9][10]

도쿄 증권 거래소에서는 대부분의 상장 회사가 제도 신용 종목으로 지정되어 신용 거래가 가능하다.[12]

2. 3. 신용 매도 (Short Selling)

신용 매도는 투자자가 소유하지 않은 주식을 증권사로부터 빌려 매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투자자는 주가가 하락할 경우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주가가 상승할 경우 손실은 무한대로 커질 수 있다.[4]

예를 들어, 투자자가 1주를 100달러에 신용 매도하고, 자신의 돈 20달러를 담보로 예치하면 계좌에 120달러의 현금이 확보된다. 이때 순 가치(현금액에서 주가를 뺀 값)는 20달러가 된다. 만약 중개인이 10달러의 최소 증거금 요건을 요구하고, 주가가 115달러로 상승하면 순 가치는 5달러로 줄어든다. 이 경우 투자자는 최소 증거금을 유지하기 위해 해당 주식을 다시 매수하거나 추가 현금을 예치해야 한다.

신용 매도는 주가 하락 시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전략이지만, 주가에는 상한선이 없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최대 손실은 무제한이다.

2. 4. 증거금 (Margin Requirements)

신용거래를 위해서는 일정 비율의 증거금을 납입해야 한다. 증거금은 초기 증거금과 유지 증거금으로 나뉜다.[4]

  • '''초기 증거금'''은 포지션을 개설할 때 필요한 담보 금액이다.
  • '''유지 증거금'''은 포지션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담보 금액으로, 일반적으로 초기 증거금보다 낮다. 이는 가격이 증거금에 불리하게 움직이더라도 즉시 마진 콜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담보의 총 가치가 유지 증거금 아래로 떨어지면, 투자자는 추가 담보를 제공하여 총 잔액을 초기 증거금 수준 이상으로 되돌려야 한다. 그러나 특히 위험하다고 판단되는 상품의 경우, 규제 기관, 거래소 또는 중개인이 유지 증거금을 평소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4]

일본의 경우, 금융상품거래법에 따라 신용거래 시 고객은 '위탁보증금'이라는 담보를 제공해야 한다.[4] 위탁보증금은 현금, 주식, 국채 등의 유가증권으로 납부할 수 있다.[7] 유가증권 가격 변동으로 인해 담보가 부족해지면 '추가보증금'(추증)을 납입해야 한다.[8]

미국에서는 증거금 거래(margin transaction)를 위해 증거금 계좌(margin account)를 개설해야 한다.[26] 연방준비제도(FRB)의 T규칙에 따라 신용 공여 금액의 상한은 매수 대금의 50%이다.[26] 유지율은 증거금 매수의 경우 25%, 공매도의 경우 30%이다.[27] 증거금이 유지율 미만이 되면, 투자자는 추가 증거금을 납입하거나 보유 자산을 처분해야 한다.[27]

2. 5. 마진 콜 (Margin Call)

브로커는 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언제든지 담보 증권(마진)의 가치를 다시 평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마진 계좌의 담보 증권 시장 가치가 재평가된 마진보다 낮아지면, 브로커 또는 거래소는 즉시 "마진 콜"을 발동하여 투자자가 마진 계좌를 정상화하도록 요구한다. 투자자는 마진 계좌에 자금을 입금하거나, 추가 담보를 제공하거나, 일부 증권을 처분해야 한다. 투자자가 계좌를 정상화하지 못하면 브로커는 계좌를 정상화하기 위해 투자자의 담보 증권을 매각할 수 있다.[4]

마진 콜이 예상치 못하게 발생하면, 도미노 효과처럼 연쇄 매도를 유발하여 다른 마진 콜을 초래하고, 결국 자산군 또는 자산군 그룹을 붕괴시킬 수 있다. 1980년 3월 27일 실버 목요일의 은 시장 붕괴가 그러한 예시 중 하나이다. 이러한 상황은 레버리지된 자산 또는 계약의 시장 가치가 불리하게 변동함에 따라 가장 자주 발생한다. 또한 변동성 증가 또는 법률 제정으로 인해 마진 요건이 인상될 때 발생할 수도 있다. 극단적인 경우, 특정 증권은 마진 거래 자격을 상실할 수 있으며, 증권사는 거래자에게 포지션을 완전히 자금 조달하거나 청산하도록 요구할 것이다.

일본의 금융 상품 거래법 제156조의 24에서는 신용 거래를 "금융 상품 거래업자가 고객에게 신용을 공여하여 행하는 유가 증권의 매매 기타 거래"로 정의한다.[4] 신용 공여에 따라 금융 상품 거래업자는 고객으로부터 위탁 보증금이라는 담보를 징수한다. 신용 거래에 관련된 유가 증권의 시가가 하락한 경우, 위탁 보증금의 잔액은 그 하락분만큼 감소하며, 그 결과 위탁 보증금률이 위탁 보증금의 유지율을 밑돌 경우 추가 보증금, 줄여서 추증(追証)을 납입할 의무가 있다.

선물 거래는 위험 관리 또는 투기 목적으로 적합하다는 점에서 신용거래와 공통되며, 거래 형태(신용 거래가 현물 거래와 같은 시장에서 집행되고, 선물 거래가 현물 거래와는 다른 시장에서 행해진다)에서 다르다.

금융상품거래소에서 거래가 성립된 경우, 금융상품거래업자에 의한 신용 공여에 따라 고객은 이에 상응하는 담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 담보는 본 담보와 위탁보증금 두 가지이다. 본 담보는 거래 성립으로 얻어지는 매수 주식(매수 주문의 경우) 또는 매각 대금(매도 주문의 경우)을 가리키며, 이는 고객이 수령하지 않고 금융상품거래업자에 담보로 보관된다. 유가증권의 가격 변동에 의해 거래에 손실이 발생하여 본 담보만으로는 담보가 부족할 수 있으므로, 고객은 거래 성립에 따라 일정 금액을 위탁보증금으로 금융상품거래업자에게 제공해야 한다. 이 금액과 보증금에 충당되는 품목(현금, 유가증권)은 법률로 규정되어 있다.

위탁보증금의 가치는 신용거래에 관련된 유가증권의 가격 변동, 반대 매매에 의해 확정된 손익, 각종 수수료에 따라 변동하며, 그 현재 가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위탁보증금의 현재고 = 예탁되어 있던 위탁보증금의 가치 - 유가증권의 가격 변동에 의한 손실액 - 반대 매매에 의해 확정된 손익 - 각종 수수료
  • 예탁되어 있던 위탁보증금이 대용 유가증권(즉, 현금 이외)인 경우, 시가의 변동에 따라 가치가 변동한다.


위의 계산에 따라, 위탁보증금의 현재고가 위탁보증금의 유지율 미만이 된 경우, 고객은 보증금이 유지율 이상이 되도록 추가보증금, 줄여서 추증(おいしょう, margin call영어)을 제공할 의무가 있다.[8] 유지율은 위탁보증금이 미결제 계정의 약정 가격(약정 가격 × 주식 수)의 비율을 가리키며, 일본에서는 증권거래소의 수탁 계약 준칙에 따라 20%로 규정되지만, 금융상품거래업자가 그 이상의 유지율을 정할 수도 있다.[7] 추증을 제공하지 않은 경우, 금융상품거래업자는 추증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 거래를 고객의 계산으로 결제할 수 있다.

"추증(追証)"이라는 약어와 관련해서는, 파생 상품 거래의 추가 증거금도 동일한 약어가 된다.[8]

미국 증권 거래소에서는 신용 거래에 해당하는 제도로 증거금 거래(margin transaction)가 있다. 증거금 거래를 하려면 증거금 계좌(margin account, 마진 계좌라고도 함)를 개설해야 한다.[26]

일본의 신용 거래와 달리 신용 공여 금액은 매수 대금과 증거금의 차액이 된다. 일반적인 증거금 계좌에는 연방준비제도 이사회(FRB)의 Regulation T영어에 따른 규제가 적용되며, 신용 공여 금액의 상한이 매수 대금의 50%가 된다.[26] 유지율은 증거금 매수의 경우 25%, 공매도의 경우 30%가 된다. 증거금이 유지율 미만이 된 경우, 투자자는 추가 증거금을 납입하거나, 보유 자산을 해소해야 한다.[27]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T규칙 대신 Portfolio margin영어을 적용할 수 있다.[27] 포트폴리오 마진에서는 관련 증권(예를 들어 특정 종목의 주식과 해당 종목을 기초 자산으로 하는 옵션)의 포지션을 묶은 다음, 특정 시나리오에서의 포지션 전체의 순손실을 계산하고, 그 결과에 따라 유지율을 결정한다.[27]

미국의 증거금 거래에서는 일반적으로 결제 기한이 없으며, 결제는 반대 매매 또는 현물 인수, 현물 인도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3. 신용거래의 유형 (일본의 경우)

일본에서는 신용거래가 제도 신용거래와 일반 신용거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1998년 12월 금융상품거래법 개정을 통해 기존 제도가 "제도 신용 거래"로 이행되었고, "일반 신용 거래"가 신설되었다. 제도 신용 거래는 금융상품거래소의 규칙에 따라 이루어지며, 상환 기한의 상한, 거래 가능한 종목 등이 제한되어 있는 반면, 일반 신용 거래는 이러한 조건들이 고객과 금융상품거래업자의 합의에 의해 정해진다.[11]

3. 1. 제도 신용거래

제도 신용 거래는 금융상품거래소의 규칙에 따라 이루어지는 신용 거래이다. 상환 기한의 상한, 거래 가능한 종목 등에 제한이 있다. 1998년 12월 일본의 금융상품거래법 개정을 통해 기존 제도가 "제도 신용 거래"로 이행되었고, "일반 신용 거래"가 신설되었다. 일반 신용 거래는 이러한 조건들이 고객과 금융상품거래업자의 합의에 의해 정해진다.

일본거래소그룹에서는 신주인수권 증권 등의 신용거래를 금지하고 있으며, 거래 가능한 종목은 일본·외국 주식에 관계없이 일본 국내 증권거래소 상장 주권에 한정된다. 단, 주식 외에도 J-REIT, 일부 상장 투자 신탁(ETF)이 거래 가능하다. 일반 신용 거래는 금융 상품 거래 업체의 규정을 제외하고, 원칙적으로 모든 상장 종목이 대상이 되지만, 제도 신용 거래에서는 증권 거래소가 선정한 제도 신용 종목에 한정되며, 그 중 대차 종목으로 선정된 종목만 증권 금융 회사로부터 대주(즉, 신용 거래에 의한 매도 이용)가 가능하다. 제도 신용 종목으로 대차 종목으로 선정되지 않은 것은, 증권 금융 회사로부터의 융자(즉, 신용 거래의 매수 이용)만 이용할 수 있다.

도쿄 증권 거래소 시장 제1부(2022년까지) 및 프라임 시장(2022년 이후)은 1998년부터 2023년 시점까지 일관되게 99% 이상의 상장 회사가 제도 신용 종목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2013년 이후에는 시장 제2부, 마더스, JASDAQ(2022년까지)와 스탠다드, 성장 시장(2022년 이후)에서도 99% 이상의 상장 회사가 지정되어 있다. 대차 종목에 대해서는 시장 제1부에서는 80%대, 프라임 시장(2022년부터 2023년 시점까지)에서는 90%대로 추이하며, 스탠다드, 성장 시장(2022년부터 2023년 시점까지)에서는 50% 미만이 되고 있다.

3. 2. 일반 신용거래

일반 신용 거래는 금융상품거래업자와 고객 간의 합의에 따라 거래 조건이 결정되는 신용 거래 방식이다. 이는 금융상품거래소의 규칙에 따라 상환 기한, 거래 가능 종목 등에 제한이 있는 제도 신용 거래와는 달리, 보다 유연한 조건으로 거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1]

일본의 경우, 일본거래소그룹은 신주인수권 증권 등의 신용거래를 금지하고 있으며, 거래 가능한 종목은 일본 국내 증권거래소 상장 주권(주식, J-REIT, 일부 상장 투자 신탁(ETF) 등)으로 한정하고 있다.[11] 일반 신용 거래는 금융 상품 거래 업체의 규정만 따르면 원칙적으로 모든 상장 종목을 대상으로 거래할 수 있다.[11]

4. 신용거래의 위험성 및 투자자 보호

신용 거래는 자금을 빌려 유가 증권을 매매하는 방식으로, 레버리지 효과를 통해 투자 수익률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탁 보증금률이 30%일 때, 30만 엔의 보증금으로 약 3.3배인 100만 엔까지 거래가 가능하다. 100만 엔의 신용 매수 후 주가가 10% 상승하면, 위탁 보증금 대비 이익률은 약 33%가 된다.[4] 金融商品取引法|금융상품거래법일본어 제156조의 24에서는 신용 거래를 "금융상품거래업자가 고객에게 신용을 제공하여 행하는 유가 증권의 매매 기타 거래"로 정의한다.[4]

하지만 신용 거래는 투자 손실 또한 확대될 수 있다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신용 매도(공매도)의 경우, 주가에는 상한선이 없으므로 이론적으로 손실이 무한대로 커질 수 있다.[5] 또한 신용 매도는 공매도 규제를 받으며, 일본증권금융에 의한 대주 신청 제한 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신용 거래에는 위탁 수수료, 관리비, 대금에 대한 금리(신용 매수의 경우 지불, 신용 매도의 경우 수령), 신용 거래 대주료(신용 매도의 경우), 품삯(신용 매도의 경우), 배당락 조정액(신용 매수의 경우 수령, 신용 매도의 경우 지불) 등의 비용이 발생한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신용거래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투자자 보호를 위한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해 왔다.

5. 한국의 신용거래 현황 및 규제

한국에서는 개인 투자자들의 신용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금융당국은 신용거래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투자자 보호를 위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다. 예를 들어, 신용거래 담보 비율 유지 의무, 공매도 규제 등이 있다.

6. 신용거래 관련 전략

신용거래는 투자자가 증권사로부터 자금이나 주식을 빌려 투자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투자자는 자기 자본 이상의 투자, 즉 레버리지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레버리지 효과레버리지 효과는 투자자가 자기 자본보다 더 큰 규모의 투자를 할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어, 위탁 보증금률이 30%라면 30만 엔의 보증금으로 약 100만 엔(약 3.3배)의 거래를 할 수 있다. 주가가 10% 상승하면, 위탁 보증금 대비 이익률은 약 33%가 된다.[4]
공매도현물 거래와 달리, 신용 매도(공매도)를 통해 주가 하락 시에도 이익을 얻을 수 있다.[4] 그러나 주가 상한선이 없으므로 신용 매도 시 최대 손실은 무제한일 수 있다.[4]
신용거래와 선물거래신용거래와 선물 거래는 위험 회피나 투기 목적으로 적합하다는 공통점이 있다.[4] 그러나 신용거래는 현물 거래와 같은 시장에서, 선물 거래는 다른 시장에서 이루어진다는 차이점이 있다.[4]
신용거래 잔고도쿄 증권 거래소는 일부 종목의 신용 거래 잔고(미결제 주식 수와 금액)를 매일 공표한다.[4] 이를 통해 시세 방향성을 예측하는 전략도 있다.[4]
신용 2층 구조현물 주식을 담보로 신용 거래를 하는 것을 '신용 2층 구조'라고 한다.[9][10] 주가 하락 시 현물 주식과 신용 거래분 가치가 동시에 하락하는 위험이 있다.[9]
신용거래 비용신용거래에는 위탁 수수료, 관리비, 금리, 신용거래 대주료, 품삯, 배당락 조정액 등 다양한 비용이 발생한다.[4]

비용 종류설명
금리신용 매수 시 고객은 융자받은 금액에 대한 금리를 지불한다.[5]
신용거래 대주료신용 매도 시 고객은 주식을 빌리는 대가로 신용거래 대주료를 지불한다.[5]
품삯신용 매도 시 주식 조달 비용이 발생하는 경우 품삯을 지불한다.[4]
배당락 조정액권리 변동 시 발생하는 유가 증권 가격 하락을 보전하기 위한 비용이다.[4]


결제신용거래 결제는 반대 매매(차금 결제) 또는 인수도 결제(현금 인출, 현물 인도) 방식으로 이루어진다.[4]

7. 신용거래의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일본의 주식 거래는 '청산 거래'라 불리는 선물 거래를 중심으로 발전했다.[35] 전후 연합군 최고 사령부(GHQ)는 증권 거래 위원회에 '증권 거래 3원칙' 준수를 명령했는데, 그 중 하나가 '선물 거래 금지'였다.[35] 이에 따라 설립된 증권 거래소는 현물 거래만 재개했다.[35]

증권 업계에서는 가상 수요 공급을 도입하기 위해 청산 거래 부활에 대한 의견이 많았지만, GHQ와 도쿄 증권 거래소 수뇌는 부정적이었다.[35] 대신 1951년 6월 1일 미국의 증거금 거래(마진 거래)를 기반으로 '''신용 거래 제도'''를 창설했다.[35][36]

1951년에 창설된 신용 거래 제도는 미국과 달리, 증권 금융 회사를 통한 신용 공여가 이루어졌고, 1955년 증권 거래법 개정으로 증권 금융 회사가 면허제가 되었다.[37] 1953년에는 대장성 령으로 보증금률 규제가 도입되었다.[37] 1955년에는 청산 거래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최고조에 달했지만, 대장성은 반대했고,[37] 신무 경기에 따른 주가 회복으로 청산 거래 부활 운동은 흐지부지되었다.[38]

1990년대 초 버블 붕괴 시기에는 도쿄 증권 거래소 등이 주가 하락에 따라 위탁 보증금률 및 위탁 보증금 대용 유가 증권 할인율 변경을 이용한 규제 강화와 완화를 반복했다.[39] 1991년에는 개인 투자자 감소에 따른 신용 거래 이용 저하를 개선하기 위해 변제 기한을 복수화(3개월, 6개월)하고,[40][41][42] 제2부 상장 종목도 신용 거래 대상 종목으로 추가했다.[42]

8. 기타 국가의 신용거래 제도

미국에서는 증거금 거래(margin transaction) 제도를 통해 신용 거래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증거금 거래를 위해서는 증거금 계좌(margin account)를 개설해야 한다.[26] 일반적인 증거금 계좌에는 연방준비제도(FRB)의 T규칙에 따른 규제가 적용되어 신용 공여 금액의 상한이 매수 대금의 50%로 제한된다.[26] 유지율은 증거금 매수의 경우 25%, 공매도의 경우 30%이다.[27] 증거금이 유지율 미만으로 떨어지면 투자자는 추가 증거금을 납입하거나 보유 자산을 처분해야 한다.[27]

일본의 신용 거래와 달리, 미국의 신용 공여 금액은 매수 대금과 증거금의 차액이다.[26]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T규칙 대신 포트폴리오 마진을 적용할 수 있다.[27] 포트폴리오 마진은 관련 증권(예: 특정 종목 주식과 해당 종목을 기초 자산으로 하는 옵션)의 포지션을 묶어 특정 시나리오에서 포지션 전체의 순손실을 계산하여 유지율을 결정한다.[27] 미국의 증거금 거래는 보통 결제 기한이 없으며, 반대 매매 또는 현물 인수, 현물 인도 방식으로 결제한다.[27]

홍콩에서는 증권선물위원회의 규정에 따라 증권 담보 대출을 자본으로 나눈 비율(레버리지)이 5 이하로 규제된다.[28]

중국에서는 2010년 3월부터 신용 거래 업무가 시작되었다.[29] 계좌 개설 2년 이상, 자산 50만 위안 이상, 레버리지 4배 이하 등의 조건이 있다.[30] 2014년부터 2015년에는 "장외 배자"라는 융자 회사를 통한 신용 거래가 확산되었는데, 이는 공식 신용 거래 서비스의 틀 밖에 있으며, 높은 금리와 강제 손절매 등의 특징을 가진다.[30]

대한민국에서는 1971년 한국거래소에서 신용 거래가 도입된 이후, 제1부 상장 종목, 제2부 상장 종목, 코스닥 종목 순으로 신용 거래가 허가되었다.[31]

대만 증권 거래소에서는 신용 거래가 가능하며, 2024년 2월 24일 기준으로 신용 매수의 융자 비율 상한은 60%, 신용 매도의 보증금률 하한(보증금 유지율)은 90%이다.[32] 융자 및 대주 금액 자체는 규제되지 않으며, 금융 기관과 고객의 합의에 따라 상한이 결정된다.[32] 결제 기한은 6개월이지만, 금융 기관의 심사를 거쳐 최대 1년 6개월까지 연장할 수 있다.[32]

태국에서는 1975년 태국 증권 거래소 설립과 함께 신용 거래가 도입되었다.[33] 초기에는 처음 보증금률만 규제되었으나, 1993년부터 보증금 유지율 규제가 도입되었다.[33] 1987년부터 1995년까지 보증금률이 25번이나 변경될 정도로 빈번하게 조정되었다.[33]

방글라데시에서는 오랫동안 증권 거래소 참가자와 주식 브로커의 고객에 대한 신용 공여가 금지되었으나, 비공식적으로 이루어졌다.[34] 1999년 방글라데시 증권 거래 위원회가 서면 신용 거래 계좌 개설 후 신용 공여를 허가하고 보증금 유지율을 33.33%로 정했다.[34] 이후 보증금 유지율은 빈번하게 조정되었으며, 2011년 기준 33.33%이다.[34]

참조

[1] 웹사이트 Blue Ocean Strategy & Finance: Margin Lending https://www.innowiki[...] Innowiki 2019-08-26
[2] 웹사이트 Monetary-Policy Disasters of the Twentieth Century http://www.thefreema[...] The Freeman Online 2007-01
[3] 논문 Was the Crash of 1929 Expected American Economic Association 1994-03
[4] 웹사이트 金融商品取引法 https://laws.e-gov.g[...]
[5] 웹사이트 信用取引の「現引き」と「現渡し」の特徴を理解して、賢く活用する方法 https://www.smbcnikk[...]
[6] 웹사이트 カラ買い https://www.daiwa.jp[...]
[7] 웹사이트 信用取引の「委託保証金率」「委託保証金維持率」とは? https://www.smbcnikk[...]
[8] 웹사이트 追証 https://www.jpx.co.j[...]
[9] 웹사이트 超ハイリスク!「信用二階建て」がキケンな理由 https://media.rakute[...] 楽天証券 2019-02-07
[10] 웹사이트 二階建取引、両建取引とは何ですか? https://daiwa.dga.jp[...]
[11] 웹사이트 信用取引のしくみ https://www.jpx.co.j[...]
[12] 웹사이트 制度信用・貸借銘柄数の推移 https://www.jpx.co.j[...]
[13] 웹사이트 信用取引の「委託保証金率」「委託保証金維持率」とは? https://www.smbcnikk[...]
[14] 웹사이트 金融・証券用語解説: 日歩 https://www.daiwa.jp[...]
[15] 문서 利息計算の民法第140条本文の初日不算入問題については、最高裁昭和33年6月6日判決民集12巻9号1373頁で初日算入が認められている。
[16] 웹사이트 建玉を決済した場合の税金はどうなりますか? {{!}} マネックス証券 https://faq.monex.co[...]
[17] 웹사이트 信用取引の税金の取扱について教えてください。 {{!}} よくあるご質問 {{!}} GMOクリック証券 - 業界最安値水準の手数料体系!GMOクリック証券ではじめる株取引 https://faq.click-se[...]
[18] 웹사이트 株の信用取引、夜間も 17年にも証取外で解禁 https://www.nikkei.c[...] 2016-08-26
[19] 웹사이트 第2回「東京国際金融センターの推進に関する懇談会」議事次第 http://www.jsda.or.j[...] 日本証券業協会
[20] 간행물 PTSにおける信用取引の解禁 金融審市場WG報告 http://www.dir.co.jp[...] 大和総研 2017-01-26
[21] 웹사이트 "「金融商品取引業者等向けの総合的な監督指針」の一部改正(案)の公表について" https://www.fsa.go.j[...]
[22] 웹사이트 PTSウェビナー『市場インフラの一翼を担うPTS —基本的な役割と今後のビジネス展開について—』 https://www.odx.co.j[...] 大阪デジタルエクスチェンジ
[23] 웹사이트 About {{!}} Cboe https://www.cboe.com[...]
[24] 웹사이트 安定的かつ公正性の高い市場取引の場を提供するために https://www.sbigroup[...] SBIホールディングス
[25] 웹사이트 金融審議会「市場制度ワーキング・グループ」(第21回)事務局説明資料(成長資金の円滑な供給、市場インフラの機能向上等) https://www.fsa.go.j[...] 金融庁企画市場局市場課
[26] 웹사이트 Brokerage Accounts https://www.finra.or[...]
[27] 웹사이트 Margin Regulation https://www.finra.or[...]
[28] 웹사이트 Guidelines for Securities Margin Financing Activities https://www.sfc.hk/-[...]
[29] 서적 図説 アジアの証券市場 https://www.jsri.or.[...] 2016-03
[30] 논문 中国株式市場乱高下の元凶 https://www.nri.com/[...] 2016-01
[31] 서적 図説 アジアの証券市場 https://www.jsri.or.[...] 2016-03
[32] 웹사이트 有關證券交易法第61條規定之令 https://law.fsc.gov.[...] 2024-02-23
[33] 논문 Margin requirements and stock market volatility in Thailand 1997-02
[34] 논문 Margin Requirements and Stock Market Volatility in Bangladesh 2012-09
[35] 서적 図説 日本の証券市場 2024-03
[36] 서적 図説 日本の証券市場 2024-03
[37] 서적 昭和財政史-昭和27~48年度 1991-04
[38] 서적 昭和財政史-昭和27~48年度 1991-04
[39] 서적 平成財政史-平成元~12年度 2019-03-28
[40] 서적 平成財政史-平成元~12年度 2019-03-28
[41] 간행물 我が国における株価先物取引の導入とその改革について(中) https://narapu.repo.[...] 奈良県立商科大学 1994-10-10
[42] 웹사이트 沿革 https://www.jpx.co.j[...] 2024-08-09
[43] 서적 平成財政史-平成元~12年度 2019-03-28
[44] 웹사이트 金融システム改革以降の取引所市場を巡る動き https://www.fsa.go.j[...] 2002-10-09
[45] 뉴스 空売り規制の遵守状況に関する総点検結果等を踏まえた対応について https://www.fsa.go.j[...] 金融庁 2002-02-26
[46] 웹사이트 信用取引貸株料はなぜ負担する必要があるのですか? https://faq.sc.mufg.[...] 2017-02-23
[47] 웹사이트 証券金融 用語集 さ行 https://www.taisyaku[...]
[48] 뉴스 信用取引の証拠金規制、13年1月から緩和 https://www.nikkei.c[...] 2012-1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