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케도니아어 음운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케도니아어 음운론은 마케도니아어의 소리 체계를 연구하는 분야로, 모음과 자음의 음소, 음운 과정, 강세 규칙 등을 다룬다. 마케도니아어는 5개의 모음 음소를 가지며, 자음은 다양한 조음 위치와 방법에 따라 분류된다. 단어 강세는 주로 단어의 세 번째 음절 또는 두 번째 음절에 위치하며, 예외적인 경우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어별 음운론 - 아일랜드어 음운론
    아일랜드어 음운론은 아일랜드어의 발음 체계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자음과 모음 체계, 넓고 좁은 자음 구별, 자음군 배열 방식 등을 연구하며, 다른 켈트어족 언어와 유사성을 보인다.
  • 언어별 음운론 - 폴란드어 음운론
    폴란드어 음운론은 폴란드어의 발음 체계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구강 및 비모음, 복잡한 자음 체계, 환경에 따른 자음 변이음, 그리고 뒤에서 두 번째 음절에 오는 강세(일부 예외 존재) 등을 다룬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마케도니아어 음운론
음운
음소 수자음 22개 ~ 23개, 모음 5개 (단모음)
문자
종류키릴 문자
문자 체계마케도니아 문자
자음
양순음/p/, /b/, /m/
치음/t/, /d/, /ts/, /dz/, /s/, /z/
권설음/ʃ/, /ʒ/, /tʃ/, /dʒ/
경구개음/c/, /ɟ/, /j/, /ɲ/
연구개음/k/, /ɡ/, /x/
구개수음/ɦ/
설측음/l/, /ʎ/
R음/r/
비고/ʃ, ʒ, tʃ, dʒ, c, ɟ, ɲ, ʎ, x, ɦ/는 구개음화된 자음이다.
일부 화자는 /x/를 /h/로 발음한다.
모음
종류/i/, /ɛ/, /a/, /ɔ/, /u/
비고마케도니아어에는 이중모음이 없다.
강세
규칙강세는 보통 끝에서 세 번째 음절에 온다.
두 음절 단어의 경우 강세는 첫 번째 음절에 온다.
한 음절 단어에는 강세가 없다.
외래어에는 예외가 있을 수 있다.
발음
자음 동화유성음은 무성음 앞에서 무성음화되고, 무성음은 유성음 앞에서 유성음화된다.

2. 음소

마케도니아어의 음소는 크게 모음자음으로 나뉜다.

모음
전설중설후설
()




  • 연구개화된 치경 설측음 (항상 로 표기)과 연구개화되지 않은 치경 설측음 은 бела|벨라|하얀mk와 беља|벨랴|문제mk와 같은 최소 대립쌍에서 대조를 이룬다. , , 앞에서는 만 나타나며, 이때는 대신 로 표기한다.

  • 치경 전동음 ()은 두 자음 사이에서 음절을 이루는 자음이 된다. 예: прст|프르스트|손가락mk. 치경 비음 ()과 연구개화 설측음 ()도 특정 외래어에서 음절 자음이 된다. 예: њутн|뉴튼|뉴턴mk, Попокатепетл|포포카테페틀|포포카테페틀산mk.

2. 1. 모음

마케도니아어는 5개의 모음 음소를 가지고 있으며, 전설, 중설, 후설 모음으로 구분된다.



표준 마케도니아어에서 슈와는 제한적으로 사용되며, 모음 길이는 음소 구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2. 1. 1. 슈와

슈와는 많은 방언에서 음소로 나타나며 ( 또는 에 가깝게 다양하게 나타남) 표준어에서의 사용은 제한적이다. 이는 아포스트로피로 표기한다: ’рж|르주mk, за’ржи|자르지mk, В’чков|브치코프mk, К’чев|크체프mk, К’шање|크샤네mk, С’лп|슬프mk. 방언적 효과를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к’смет|크스메트mk, с’нце|슨체mk와 같다. 철자를 소리 내어 말할 때는, 각 자음 뒤에 슈와가 따라온다. 두문자어의 각 글자도 같은 방식으로 슈와와 함께 발음된다: МПЦ|므프츠mk (). 단어화된 두문자어 СССР|에스에스에스에르mk () 및 МТ|엠테mk (담배 브랜드)는 몇 안 되는 예외 중 하나이다.

2. 1. 2. 모음 길이

모음 길이는 음소가 아니다. 강세가 있는 2음절 단어에서,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강세가 있는 열린 음절의 모음은 길게 발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Велес|벨레스|벨레스mk이다. 시퀀스는 종종 음성적으로 로 실현된다. 예를 들어, саат|사아트|'시간'mk이다.

2. 2. 자음

마케도니아어의 자음은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 연구개화된 치경 설측음 (항상 로 표기)과 연구개화되지 않은 치경 설측음 은 бела|벨라|하얀mk와 беља|벨랴|문제mk와 같은 최소 대립쌍에서 대조를 이룬다. , , 앞에서는 만 나타나며, 이때는 대신 로 표기한다.

  • 치경 전동음 ()은 두 자음 사이에서 음절을 이루는 자음이 된다. 예: прст|프르스트|손가락mk. 치경 비음 ()과 연구개화 설측음 ()도 특정 외래어에서 음절 자음이 된다. 예: њутн|뉴튼|뉴턴mk, Попокатепетл|포포카테페틀|포포카테페틀산mk.


마케도니아어에서 자음 사이의 음소 ''kj''의 사용 지도 (1962)


마케도니아어에서 자음 사이의 음소 ''gj''의 사용 지도 (1962)

2. 2. 1. 경구개 파열음

와 는 공식적으로 등-경구개 파열음이며, 일부 화자는 그렇게 발음한다. 방언에 따라 다양한 발음이 있는데, 일부 북마케도니아 방언에서는 세르보크로아트어와 마찬가지로 치경-경구개 파찰음 와 로 발음하며, 프릴레프-비톨라 방언의 프릴레프 하위 방언에서는 각각 와 로 합쳐졌다.

2. 2. 2. 치경 파찰음

마케도니아어의 치경 파찰음에는 무성 치경 파찰음 와 유성 치경 파찰음 , 무성 후치경 파찰음 , 유성 후치경 파찰음 가 있다.

2. 2. 3. 연구개 마찰음

연구개 마찰음 는 마케도니아어에서 고유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이 음소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표준 마케도니아어에 도입되거나 유지되었다.

  • 새로운 외래어: хотел|호텔|호텔mk
  • 지명: Охрид|오흐리드|오흐리드mk
  • 교회 슬라브어: дух|두흐|정신mk
  • 새로운 문학어: доход|도호트|수입mk
  • 동음이의어 구분을 위해: храна|흐라나|음식mk vs. рана|라나|부상, 상처mk

3. 음운 과정

마케도니아어에는 어말 무성음화와 같은 음운 현상이 나타난다.

3. 1. 어말 무성음화

형태소 경계와 단어 끝에서 유성음과 무성음의 대립은 중화되어 무성음으로 발음된다.

4. 강세

마케도니아어의 단어 강세는 주로 끝에서 세 번째 음절에 온다. 다만, 단어가 최근에 언어에 들어왔거나 외래어에서 유래된 경우에는 이 규칙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4. 1. 강세 규칙


  • 이음절어는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강세가 온다. 예를 들어 дете|데테|아이mk, мајка|마이카|어머니mk, татко|타트코|아버지mk가 있다.
  • 삼음절어 및 다음절어는 끝에서 세 번째 음절에 강세가 온다. 예를 들어 планина|플라니나|산mk, планината|플라니나타|그 산mk, планинарите|플라니나리테|등산가들mk이 있다.


예외는 다음과 같다.

  • 동사 부사에는 -jќи|-jќиmk 접미사가 붙는다. 예: викајќи|비카이키|외치면서mk, одејќи|오데이키|걸으면서mk.
  • 외래 차용어의 경우: 예를 들어 клише|클리셰|클리셰mk, генеза|게네자|기원mk, литература|리테라투라|문학mk, Александар|알렉산다르|알렉산더mk.

4. 2. 예외


  • 동사 부사에는 -jќи|-jќиmk 접미사가 붙는다. 예를 들어 викајќи|vikajќi|외치면서mk, одејќи|odejќi|걸으면서mk와 같다.
  • 외래 차용어의 경우, 예를 들어 клише|kliše|클리셰mk, генеза|geneza|기원mk, литература|literatura|문학mk, Александар|Aleksandar|알렉산더mk와 같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