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쿠핀군은 미국 일리노이주에 위치한 군으로, 1829년에 설립되었다. 일리노이 연맹 원주민이 거주하던 지역으로, 마이애미-일리노이 용어에서 유래된 이름을 가지고 있다. 19세기 중반 철도 건설로 경제가 발전했으며, 농업과 석탄 채굴이 주요 산업이었다. 20세기에는 노동 분쟁이 빈번했고, 석탄 채굴은 쇠퇴했다. 현재는 스프링필드 및 세인트루이스 대도시 통계 지역에 포함되어 있으며, 가족 농업과 소규모 사업이 특징이다. 정치적으로는 전통적으로 민주당을 지지했으나, 최근 보수적인 경향이 강화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일리노이주의 군 - 뒤파제군 뒤파제군은 일리노이주에 위치하며 일리노이 기술 연구 회랑의 중심지로 대기업 본사와 연구 시설이 많고 문화 생활을 누릴 수 있으며 소득 수준이 높은 군이다.
일리노이주의 군 - 브라운군 (일리노이주) 브라운군은 일리노이주에 위치한 군으로, 일리노이강을 경계로 하며, 1839년에 설립되었고, 1880년에 인구가 정점을 찍은 후 감소하여, 현재는 6,294명의 인구가 거주하며, 4개의 빌리지와 1개의 도시로 구성되어 있고, 공화당 강세 지역이다.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마쿠핀군 지역은 유럽인들이 처음 도착했을 때 일리노이 원주민들이 거주하던 곳이었다. '마쿠핀'(Macoupinmia)이라는 이름은 미국 연꽃(''Nelumbo lutea'')을 가리키는 마이애미-일리노이 언어에서 유래했다. 17세기 프랑스인 탐험가들이 주요 강을 따라 남쪽으로 이동하며 처음으로 유럽인과의 접촉이 이루어졌고, 이후 미시시피강 유역에서 내륙으로 이동하며 정착이 시작되었다.
마쿠핀군은 1829년 1월 17일, 그린군과 매디슨군의 일부를 분리하여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3][20] 군의 이름은 칼린빌 인근을 지나 일리노이강으로 흐르는 마쿠핀 크릭[4][24]에서 따왔다. 초기 경제는 자급 농업에 기반을 두었다.
19세기 중반, 철도 건설은 마쿠핀군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세인트루이스, 시카고, 그리고 새로운 주도인 스프링필드를 잇는 교통 요지에 위치하게 되면서 시장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농업이 여전히 경제의 중심이었지만, 석탄 광업이 새로운 주요 산업으로 부상하며 군의 경제 구조와 인구 구성을 변화시켰다. 특히 유럽 각지에서 온 이민자 광부들이 유입되었다.
20세기 동안 마쿠핀군은 농업과 석탄 채굴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경제가 운영되었으며, 이들 산업의 부침에 따라 군의 운명도 함께했다. 이 시기 마쿠핀군은 광산 소유주와 노동자 간의 격렬한 노동 분쟁이 자주 발생했던 곳으로, 노동 조합 활동의 중요한 중심지 역할을 했다. 1890년대의 폭력적인 분쟁과 1930년대 미국 광부 연합(UMW) 내부 갈등 등은 미국 노동 운동사에서 주목받는 사건이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농업은 대규모 기업 중심으로 재편되었고, 석탄 채굴 산업은 점차 쇠퇴하여 거의 사라졌다.
현대에 들어서는 도로 교통의 발달로 인근 대도시인 스프링필드나 세인트루이스 등으로 통근하는 주민들이 늘어나면서 일부 지역은 베드타운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변화는 2005년 미국 인구조사국이 마쿠핀군을 세인트루이스 대도시 통계 지역에 포함시키는 결정으로 이어졌다.
2. 1. 설립
마쿠핀군이 될 지역에는 백인 탐험가들이 처음 도착했을 때 일리노이 원주민들이 거주했다. '마쿠핀'(Macoupinmia)이라는 이름은 미국 연꽃(''Nelumbo lutea'')을 지칭하는 마이애미-일리노이 언어에서 유래했다. 최초의 유럽인 접촉은 17세기에 주요 강을 따라 남쪽으로 이동한 프랑스인 탐험가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초기 유럽 정착은 주로 남서부에서 이루어졌으며, 사람들은 미시시피강의 기존 운송 경로를 따라 내륙으로 이동했다.
1829년 창설 당시의 마쿠핀군
마쿠핀군은 1829년 1월 17일에 그린군과 매디슨군의 일부를 분리하여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3][20] 군의 이름은 칼린빌 근처를 지나 일리노이강으로 남서쪽으로 흐르는 마쿠핀 크릭[4][24]에서 따왔다. 설립 초기 군의 경제는 자급 농업에 기반을 두었으며, 외부와의 교류는 주로 남서쪽 방향으로 이루어졌다.
19세기 중반, 일리노이주는 급속한 발전과 변화를 겪었다. 특히 철도 건설은 큰 변화를 가져왔는데, 마쿠핀군은 세인트루이스와 당시 성장하던 대도시 시카고를 잇는 철도 및 도로 운송망의 길목에 위치하게 되었다. 또한, 새로 일리노이주의 주도가 된 스프링필드와 세인트루이스 사이에도 자리 잡았다. 군 경제는 여전히 농업에 크게 의존했지만, 철도 덕분에 시장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기존 마을은 작고 드문드문 분포되어 있었으며, 교통을 제공하는 철도 노선을 따라 새로운 공동체들이 생겨났다. 문화적으로는 북부 지역보다는 역사적으로 세인트루이스와의 관계가 더 깊었다.
농업이 경제의 주축을 이루었지만, 곧 석탄 광업이 중요한 산업으로 부상하며 군의 모습을 바꾸기 시작했다. 군 전역에 석탄이 매장되어 있었기 때문에, 운송이 편리한 철도 주변이나 기존 마을 근처에 광산이 개발되는 것이 경제적으로 유리했다. 20세기에 접어들면서 많은 마을에 광산이 생겨났고, 이들 광산에는 유럽 각지에서 온 이민자 광부들이 상당수 거주하게 되었다.
2. 2. 19세기 발전
19세기 중반, 일리노이주는 급속히 발전하고 변화했다. 가장 큰 변화는 철도 건설이었으며, 마쿠핀군은 세인트루이스와 당시 성장하던 대도시 시카고 사이의 철도 및 도로 운송 연결망에 위치하게 되었다. 또한 군은 세인트루이스와 새로 일리노이주의 주도가 된 스프링필드 사이에 자리 잡았다.
군의 경제는 여전히 전적으로 농업에 기반을 두었지만, 철도 건설 덕분에 시장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기존 마을은 작고 드물게 분포되어 있었으나, 교통을 제공하는 철도 노선을 따라 새로운 공동체들이 생겨났다. 문화적으로 군은 북부 지역보다는 역사적으로 관계가 깊었던 세인트루이스와 더 가까운 모습을 보였다.
농업이 경제의 주된 역할을 유지하는 가운데 석탄 채굴이 새로운 산업으로 부상하며 군의 모습을 바꾸기 시작했다. 군 전역에 석탄이 매장되어 있었기 때문에, 운송이 편리한 철도 주변이나 기존 마을 근처에 광산이 개발되는 것이 경제적으로 유리했다.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많은 마을에 광산이 들어섰고, 이들 광산에는 유럽 전역에서 온 이민자 광부들이 상당수 거주하게 되었다.
2. 3. 20세기 변화
20세기에 들어서도 마쿠핀군의 경제는 농업과 석탄 광업이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며, 군의 경제 상황은 이 두 산업의 부침에 따라 크게 좌우되었다. 초기 농업은 가족 농장 형태로 주로 이루어졌으나, 점차 대규모 기업형 농업이 확산되면서 소규모 가족 농장은 빠르게 감소하는 변화를 겪었다.
석탄 광업은 20세기 초까지 활발하게 이루어져 많은 마을에 광산이 들어섰고, 이는 유럽 각지에서 온 이주 노동자들의 유입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석탄 산업은 점차 쇠퇴하여 거의 사라지게 되었고, 과거 번성했던 산업의 흔적인 관련 건물과 구조물들도 대부분 노후화되어 방치되었다.
마쿠핀군은 역사적으로 광산 소유주와 노동자 간의 노동 분쟁이 잦았던 지역으로, 노동 조합 활동의 중요한 거점이었다. 특히 1890년대의 격렬한 분쟁은 전국적인 주목을 받기도 했으며, 이는 20세기 노동 운동의 배경이 되었다. 미국 광부 연합(UMW)이 영향력을 키우는 과정에서 마쿠핀군은 중심적인 역할을 했고, 1930년대에는 UMW와 미국 진보 광부 사이의 내부 갈등이 벌어지기도 했다.
마을의 형태는 미국 중서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타운 광장 또는 메인 스트리트를 중심으로 한 구조를 유지했다. 칼린빌은 타운 광장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군 정부의 건물이 중심 블록을 점유하고 있었다. 교회들은 주로 타운 광장 주변이나 중심가 근처에 위치했다.
20세기 후반, 현대적인 도로망이 발달하면서 군의 모습은 다시 한번 변화했다. 북부 지역 주민들은 스프링필드로, 남부 지역 주민들은 세인트루이스나 메트로-이스트 지역으로 통근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일부 마을은 사실상 베드타운으로 변모했다. 이러한 변화는 지역 내 소규모 상점들의 쇠퇴를 가속화하는 결과를 낳았다. 결국 2005년, 미국 인구조사국은 증가하는 통근 인구와 고용 패턴 변화를 반영하여 마쿠핀군을 세인트루이스 대도시 통계 지역에 포함시켰다.
2. 4. 21세기
20세기를 거치며 농업은 군의 주요 경제 활동으로 남았지만, 대규모 기업 농업이 확장되면서 소규모 가족 농장은 빠르게 감소했다. 한때 번성했던 석탄 채굴 산업은 쇠퇴하여 거의 사라졌고, 관련 시설들은 노후화되었다.[20][24]
현대적인 도로망이 발달하면서 군의 생활 패턴에도 변화가 생겼다. 특히 군 북부의 마을들은 주민들이 인근 대도시인 스프링필드로 출퇴근하고 소비 활동을 하면서 사실상의 베드타운이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지역 내 소규모 상권의 위축을 가속화하는 결과를 낳았다. 군 남부 지역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나, 세인트루이스나 메트로-이스트 지역으로 통근하는 주민들이 늘어났다. 이러한 통근 패턴 변화와 고용 구조 변화를 반영하여 2005년 미국 인구 조사국은 마쿠핀군을 세인트루이스 대도시 통계 지역에 포함시켰다.
3. 지리
미국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군의 전체 면적은 약 2247.19km2이며, 이 중 육지가 약 2234.92km2, 수역이 약 12.28km2로 수역률은 0.55%이다.[21]
3. 1. 기후
최근 몇 년간, 군청 소재지인 칼린빌의 평균 기온은 1월 최저 약 -8.3°C에서 7월 최고 약 30.6°C까지 다양하다. 기록적인 최저 기온은 1905년 2월에 기록된 약 -30.6°C이며, 기록적인 최고 기온은 1954년 7월에 기록된 약 45.0°C이다. 월 평균 강수량은 2월의 약 4.95cm에서 5월의 약 10.79cm까지 변화한다.[22]
3. 2. 인접 카운티
상가몬 군 – 북동쪽
몽고메리 군 – 동쪽
매디슨 군 – 남쪽
그린 군 – 서쪽
저지 군 – 서쪽
모건 군 – 북서쪽
3. 3. 주요 고속도로
주간고속도로 55호선
일리노이주도 제4호선
일리노이주도 제16호선
일리노이주도 제138호선
일리노이주도 제108호선
일리노이주도 제111호선
일리노이주도 제159호선
일리노이주도 제267호선
4. 인구
2020년 미국 인구 조사 결과, 마쿠핀군의 인구는 44,967명으로 집계되었다.[7]미국 인구조사국은 2023년 마쿠핀군의 인구를 44,018명으로 추정했다.[6]
4. 1. 인구 변화
'''마쿠핀군의 연도별 인구 변화'''[7][8][9][10][11][27][28][29][30][31][23][24][25]
인구 조사 연도
인구
%±
1830
1,990
—
1840
7,826
+293.3%
1850
12,355
+57.9%
1860
24,602
+99.1%
1870
32,726
+33.0%
1880
37,692
+15.2%
1890
40,352
+7.1%
1900
42,256
+4.7%
1910
50,685
+19.9%
1920
57,274
+13.0%
1930
48,703
−15.0%
1940
46,304
−4.9%
1950
44,210
−4.5%
1960
43,524
−1.6%
1970
44,557
+2.4%
1980
49,384
+10.8%
1990
47,679
−3.5%
2000
49,019
+2.8%
2010
47,765
−2.6%
2020
44,967
−5.9%
추정치 (2023)
44,018[6]
−2.1%
'''2010년 미국 인구 조사'''[12]
2010년 미국 인구 조사 기준 마쿠핀군의 인구는 47,765명, 가구 수는 19,381가구, 가족 수는 13,224가족이다. 인구 밀도는 제곱마일당 55.4명(km2당 21.4명)이다. 주택 수는 21,584채이며, 주택 밀도는 제곱마일당 25.0채(km2당 9.7채)이다.[13]
전체 19,381가구 중 30.2%는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거주하며, 53.5%는 부부가 함께 거주하고, 9.8%는 남편 없이 여성 가장이 거주하며, 31.8%는 비가족 가구이다. 전체 가구의 27.0%는 1인 가구이다. 평균 가구 규모는 2.42명, 평균 가족 규모는 2.90명이다. 중간 연령은 41.7세이다.
가구 중간 소득은 47178USD이고, 가족 중간 소득은 59700USD이다. 남성 중간 소득은 48878USD, 여성 중간 소득은 30748USD이다. 1인당 소득은 23222USD이다. 가족의 약 9.7%와 전체 인구의 12.0%가 빈곤선 이하이며, 이 중 18세 미만은 17.4%, 65세 이상은 5.5%가 해당된다.[15]
'''2000년 미국 인구 조사'''
2000년 미국 인구 조사 당시 마쿠핀군의 인구는 49,019명, 19,253세대, 13,631가족이었다. 인구 밀도는 km2당 22명(제곱마일당 57명)이었고, 주택은 21,097채로 주택 밀도는 km2당 9채(제곱마일당 24채)였다.
인종 구성은 백인 97.99%, 아프리카계 미국인 0.82%, 아메리카 원주민 0.22%, 아시아인 0.18%, 태평양 제도 출신 0.03%, 기타 인종 0.15%, 혼혈 0.61%였으며, 히스패닉 또는 라틴계는 0.62%였다. 주요 조상 배경으로는 독일계 32.9%, 미국인 12.8%, 영국계 12.0%, 아일랜드계 10.5%, 이탈리아계 8.6% 순이었다.
연령별로는 18세 미만이 24.6%, 18-24세가 8.3%, 25-44세가 26.7%, 45-64세가 22.9%, 65세 이상이 17.5%를 차지했으며, 연령 중앙값은 39세였다. 여성 100명당 남성 수는 94.9명이었고, 18세 이상 여성 100명당 남성 수는 90.9명이었다.
세대 구성으로는 18세 미만 자녀가 있는 세대가 31.4%, 결혼하여 동거하는 부부가 58.1%, 남편 없는 여성 가구주가 8.9%였으며, 비가족 세대는 29.2%였다. 전체 세대의 25.6%는 1인 가구였고, 그중 13.7%는 65세 이상 노인 단독 가구였다. 평균 세대 규모는 2.48명, 평균 가족 규모는 2.97명이었다.
4. 2. 가구 및 소득
2010년 미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마쿠핀군에는 19,381 가구와 13,224 가족이 거주하고 있었다.[12]
19,381가구 중 30.2%는 18세 미만의 자녀와 함께 살고 있었고, 53.5%는 부부가 함께 살고 있었으며, 9.8%는 남편 없이 여성이 가구주인 경우였다. 전체 가구의 31.8%는 비가족 가구였으며, 27.0%는 개인이 혼자 사는 가구였다. 가구당 평균 인원은 2.42명이었고, 평균 가족 규모는 2.90명이었다. 마쿠핀군의 중간 연령은 41.7세였다.[12]
마쿠핀군 가구의 중간 소득은 47178USD였고, 가족의 중간 소득은 59700USD였다. 남성의 중간 소득은 48878USD였으며, 여성의 중간 소득은 30748USD였다. 마쿠핀군의 1인당 소득은 23222USD였다. 가족의 약 9.7%와 인구의 12.0%가 빈곤선 이하의 생활을 하고 있었으며, 이 중 18세 미만 인구의 17.4%와 65세 이상 인구의 5.5%가 빈곤선 아래에 해당했다.[15]
일리노이주세인트루이스 광역 지역을 둘러싼 독일계 가톨릭 벨트의 일부인 마쿠핀군은 전통적으로 민주당을 지지하는 경향이 강했다. 2000년 대선까지 마쿠핀군에서 공화당 후보가 승리한 경우는 단 6번에 불과했다. 1972년 대선에서 리처드 닉슨이 조지 맥거번을 상대로 3,000표 이상의 압도적인 차이로 승리하기 전까지 공화당 후보는 이 군에서 과반수 득표를 기록하지 못했다.
하지만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지역 주민들의 보수적인 성향이 강해지며 이러한 투표 패턴에 큰 변화가 나타났다. 2012년 대선에서는 일리노이주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버락 오바마가 마쿠핀군에서 승리하지 못했는데, 이는 민주당 후보가 마쿠핀군에서 패배하고도 대통령에 당선된 첫 사례였다. 2016년 대선에서는 힐러리 클린턴 후보가 전통적인 민주당 강세 지역이었던 이곳에서 30% 미만의 득표율에 그쳤다. 이는 1972년 대선에서 조지 맥거번 후보가 리처드 닉슨에게 크게 패배했을 때보다도 11%p 낮은 득표율이었다.
[1]
웹사이트
Macoupin County, Illinois
https://data.census.[...]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23-06-10
[2]
웹사이트
Find a County
http://www.naco.org/[...]
National Association of Counties
2011-06-07
[3]
서적
Illinois Place Names
https://archive.org/[...]
Illinois State Historical Society
[4]
서적
Illinois, Historical and Statistical
https://archive.org/[...]
Fergus Printing Company
[5]
웹사이트
Monthly Averages for Carlinville, Illinois
http://www.weather.c[...]
The Weather Channel
2011-01-27
[6]
웹사이트
Annual Estimates of the Resident Population for Counties: April 1, 2020 to July 1, 2023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24-04-02
[7]
웹사이트
U.S. Decennial Census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4-07-07
[8]
웹사이트
Historical Census Browser
http://mapserver.lib[...]
University of Virginia Library
2014-07-07
[9]
웹사이트
Population of Counties by Decennial Census: 1900 to 1990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4-07-07
[10]
웹사이트
Census 2000 PHC-T-4. Ranking Tables for Counties: 1990 and 2000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4-07-07
[11]
웹사이트
State & County QuickFacts
http://quickfacts.ce[...]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4-07-07
[12]
웹사이트
DP-1 Profile of General Population and Housing Characteristics: 2010 Demographic Profile Data
http://factfinder.ce[...]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5-07-12
[13]
웹사이트
Population, Housing Units, Area, and Density: 2010 - County
http://factfinder.ce[...]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5-07-12
[14]
웹사이트
DP02 SELECTED SOCIAL CHARACTERISTICS IN THE UNITED STATES – 2006-2010 American Community Survey 5-Year Estimates
http://factfinder.ce[...]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5-07-12
[15]
웹사이트
DP03 SELECTED ECONOMIC CHARACTERISTICS – 2006-2010 American Community Survey 5-Year Estimates
http://factfinder.ce[...]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5-07-12
[16]
웹사이트
Dave Leip's Atlas of U.S. Presidential Elections
http://uselectionatl[...]
2018-05-01
[17]
간행물
Illinois State Board of Education, ISBE Education Data Systems, Public School District Lookup
https://www.isbe.net[...]
2023-05-26
[18]
웹사이트
Quickfacts.census.gov - Macoupin County
https://webcitation.[...]
2011年7月14日
[19]
웹사이트
Quickfacts.census.gov - Carlinville, Illinois
http://quickfacts.ce[...]
2011-12-06
[20]
서적
Illinois Place Names
Illinois State Historical Society
[21]
웹사이트
Census 2010 U.S. Gazetteer Files: Counties
http://www.census.go[...]
United States Census
2011-11-05
[22]
웹사이트
Monthly Averages for Carlinville, Illinois
http://www.weather.c[...]
The Weather Channel
2011-01-27
[23]
서적
Historical Census Browser, University of Virginia, Geospacial and Statistical Data Center
http://fisher.lib.vi[...] [24]
서적
Illinois, Historical and Statistical
https://archive.org/[...]
Fergus Printing Company
[25]
간행물
Illinois Counties 1900-1990
http://www.census.go[...]
U.S. Census Bureau
[26]
웹인용
Population and Housing Unit Estimates
https://www.census.g[...]
2019-11-06
[27]
웹인용
U.S. Decennial Census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4-07-07
[28]
웹인용
Historical Census Browser
http://mapserver.lib[...]
University of Virginia Library
2014-07-07
[29]
웹인용
Population of Counties by Decennial Census: 1900 to 1990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4-07-07
[30]
웹인용
Census 2000 PHC-T-4. Ranking Tables for Counties: 1990 and 2000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4-07-07
[31]
웹인용
State & County QuickFacts
http://quickfacts.ce[...]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4-07-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