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만주국 황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주국 황궁은 일본이 만주에 세운 괴뢰 국가인 만주국의 황제 푸이의 거처로 사용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푸이는 국가 원수로서 상징적인 역할만 수행했으며, 새로운 궁궐 건설에 관여했다. 원래는 베이징의 자금성을 본뜬 궁궐을 건설하려 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공사가 중단되어 완공되지 못했다. 결국 푸이는 소금 궁궐로 불린 임시 건물에서 거주했으며, 1945년 만주국이 멸망하면서 궁궐은 약탈당했다. 현재는 만주국 황궁 박물관으로 운영되며, 다양한 건물과 시설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창춘시의 건축물 - 창춘 대학
    창춘 대학은 1987년 4개 학교의 합병으로 설립된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소속 종합대학이며, 1946년 국립장춘대학 농과대학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 2개의 캠퍼스와 17개 단과대학, 38개 전공을 운영하고 11개 국가와 국제 교류를 진행한다.
  • 창춘시의 건축물 - 쓰핑 육군전차학교
    쓰핑 육군전차학교는 1940년 일본 제국 육군이 중국 만주 쓰핑에 설립하여 기갑사단 장병의 교육 훈련을 담당하다 1945년 종전 직전 폐쇄된 전차 교육 기관이다.
만주국 황궁
개요
위만황궁 박물원 전경
위만황궁 박물원 전경
위치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창춘시
유형박물관
개관1984년
면적137,000 제곱미터
소장품 수7만여 점
국가등급AAAAA급 중화인민공화국 여유경구
공식 웹사이트위만황궁 박물원 공식 웹사이트
역사
이전 명칭만주국 황궁
건립 시기1932년
설명1932년부터 1945년까지 만주국 황제 푸이가 거주하며 정무를 보던 장소이다.
구성
주요 건축물동원 (同德殿)
근민루 (勤民樓)
칙루 (緝熙樓)
가희루 (嘉禧樓)
기타 시설화원
가묘
비행장
마구간
자동차고
방공호
수영장
망루
전시
주요 전시물만주국 황실 관련 유물 및 자료
전시 내용푸이의 생활, 만주국의 정치, 문화 관련 전시
기타 정보
중요성만주국의 역사적 증거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지이다.
입장료(변동 가능성 있음)
개방 시간(변동 가능성 있음)

2. 역사

1931년, 일본은 현대의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 지역인 중국 북동부(역사적으로 만주로 알려짐)를 장악하고 괴뢰 국가인 만주국을 세웠다. 일본은 청나라 마지막 황제 푸이만주국 황제로 옹립했다.[3]

푸이의 국가 원수 역할은 상징적이었고, 새 궁궐 건설이 그나마 그가 통제할 수 있는 국정 업무였다. 정부 내 두 그룹이 서로 다른 계획을 내놓았으나,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건설 자원이 전용되면서 1943년 궁궐 공사가 중단되어 새 궁궐은 완공되지 못했다.[4]

제대로 된 궁궐이 없던 푸이는 철도 근처 도시 외곽의 이전 염세청 건물("소금 궁궐"이라는 별명이 붙음)에 거주했다.[3] 이 건물은 국가 원수의 궁궐로는 너무 작고 부적합했다. 푸이는 1932년부터 1945년까지 그곳에 거주했다.[4]

1945년 8월 8일, 소련은 일본 제국에 선전포고를 하고 만주를 침공했다. 12일 만에 붉은 군대는 거의 모든 만주국을 점령했다. 일본 제국은 무조건 항복했고, 제2차 세계 대전이 종식되면서 만주국도 소멸되었다.[6] 푸이는 궁궐에서 도망쳐 일본으로 가려다 소련군에 체포되었고, 궁궐과 주변 도시는 약탈당했다.

1962년 보존된 건물은 만주국 황궁 박물관(偽滿皇宮博物院|伪满皇宮博物院중국어)으로 개관되었다. 1982년 지린 성 박물관 전시품이 추가되었고,[7] 1984년2004년 두 차례 개보수되었다. 이 궁궐은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1987년 전기 영화 마지막 황제에서 푸이의 만주국 황제 통치를 묘사하는 배경으로 사용되었다.

2. 1. 만주국 성립 이전

궁궐 정문


1931년, 일본은 현대의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 지역인 중국 북동부를 장악했는데, 이 지역은 역사적으로 만주로 알려져 있었다. 일본은 만주에 공식적으로 독립된 국가인 만주국을 세웠는데, 이는 사실 일본의 괴뢰 국가였다. 만주국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일본은 청나라 마지막 황제이자 폐위된 푸이만주국 황제로 옹립했다.[3]

2. 2. 푸이의 즉위와 궁궐 선정

1931년, 일본은 현대 랴오닝 성, 지린 성, 헤이룽장 성 지역인 중국 북동부를 장악했는데, 이 지역은 역사적으로 만주로 알려져 있었다. 일본은 만주에 공식적으로 독립된 국가인 만주국을 세웠는데, 이는 사실 일본의 괴뢰 국가였다. 만주국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일본은 청나라 마지막 황제이자 폐위된 푸이만주국 황제로 옹립했다.[3]

푸이의 국가 원수 역할은 대체로 상징적인 것이었다. 그가 통제할 수 있었던 유일한 국정 업무는 새로운 궁궐 건설이었다. 정부 내 두 그룹이 서로 다른 계획을 내놓았다. 남만주 철도 주식회사(만철)는 새로운 신징 (창춘)에 통합되는 현대적인 궁궐 설계를 원했다. 건설국은 베이징의 자금성을 본뜬 남향 궁궐을 선호했다.[4] 푸이는 후자를 선호했다.

집정부(후의 황궁) 조영지는 수도 건설 계획 책정 시, 신경의 지형 및 집정 아이신 교로 푸이의 "절대 남면[13]"의 요청에 따라 대방신, 행화촌, 남령의 3곳으로 한정되었으며, 최종적으로 기존 시가지에 가까운 행화촌이 선정되었다.

새 궁궐 부지는 도시 서쪽 구역으로 선택되었고, 임시 궁궐 건설을 위해 다른 중심 구역이 선정되었다. 서쪽 부지는 곧 폐기되었고, 중앙 부지가 주요 궁궐로 남았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건설 자원이 전용되었다. 1943년 궁궐 공사가 중단되었고, 그 결과 새 궁궐은 완공되지 못했다.[4]

2. 3. 임시 황궁 (1932-1945)

1931년 일본은 만주 지역을 장악하고 괴뢰 국가인 만주국을 세웠다. 일본은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였던 푸이를 만주국의 황제로 옹립했다.[3] 그러나 푸이는 상징적인 존재였고, 제대로 된 궁궐이 없어 철도 근처 도시 외곽의 이전 염세청 건물에 거주해야 했다. 이 건물은 '소금 궁궐'이라는 별명이 붙었으며,[3] 국가 원수의 궁궐로는 너무 작고 부적합했다.[4] 푸이는 1932년부터 1945년까지 이곳에서 거주했다.[4]

1932년(대동 원년) 3월 9일, 푸이의 집정 취임식은 임시 집정부로 지정된 구 길장도윤 공서에서 거행되었다. 같은 해 4월 3일, 집정부는 구 상부지 북동쪽의 옛 운국 터[14]로 이전했다. 부지 면적은 43000m2였다. 옛 운국의 건물은 1913년(민국 2년)에 지어진 것으로, '근민루'와 '집희루'(しょうきろう)로 명명되었다.

2. 4. 만주국 멸망과 그 이후

1945년 8월 8일, 소련은 일본 제국에 선전포고를 했고, 소련 붉은 군대는 북쪽에서 만주를 침공했다.[6] 12일 만에 붉은 군대는 거의 모든 만주국을 점령했다. 일본 제국은 무조건 항복했고, 제2차 세계 대전이 종식되었으며, 동시에 만주국은 소멸되었다.[6] 푸이는 궁궐에서 도망쳐 비행기로 일본에 가려 했지만, 소련군에 체포되었다. 궁궐과 주변 도시는 약탈당했다.

1962년, 보존된 건물은 만주국 황궁 박물관(偽滿皇宮博物院|伪满皇宮博物院중국어)으로 개관되었다. 1982년에는 지린 성 박물관의 전시품이 추가되었고,[7] 1984년에 개보수되었다. 전체 단지는 2004년에 추가로 개보수되었다. 이 궁궐은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의 1987년 푸이에 관한 전기 영화인 마지막 황제의 배경으로, 푸이의 만주국 황제로서의 통치를 묘사했다.

3. 구조

황궁은 베이징의 자금성을 축소한 형태로, 크게 내정(內廷)과 외정(外廷)으로 나뉜다. 외정은 행정 업무를 위한 공간이었고, 내정은 황실 가족의 거주 공간이었다. 황궁의 전체 면적은 43000m2이다. 건물들은 중국식, 일본식, 유럽식 등 다양한 건축 양식으로 지어졌다.

외정에는 푸이의 집무실인 근민루, 궁내부 청사인 회원루, 가락당 등이 있었다. 내정에는 푸이와 그의 가족들이 생활하던 집희루와 동덕전 등이 있었다.

3. 1. 내정

황궁은 내정(內廷)과 외정(外廷)으로 나뉘었는데, 내정은 푸이와 그의 가족들이 사용했던 사적인 공간이었다. 주요 건물로는 서쪽 뜰의 집희루와 동쪽 뜰의 동덕전이 있었다.

내정에는 괴석과 연못이 있는 정원, 수영장, 방공호, 테니스 코트, 작은 골프 코스, 경마장이 있었다. 뜰 주변에는 만주국 황궁 근위대를 위한 2층 블록하우스 9개가 있었고, 단지 전체는 높은 콘크리트 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3. 1. 1. 지희루 (缉熙楼)

지희루(缉熙楼|집희루중국어)는 푸이와 직계 가족을 위한 러시아 양식의 개인 거주 구역이었다. 이곳에는 푸이의 침실, 서재, 가족실, 불교 예배당, 그리고 황후 완룽후궁 탄위링의 별도 거처가 있었다. 원래는 20세기 초에 건설된 지린-헤이룽장 전용 운송국의 사무실 건물이었다.

지희루

3. 1. 2. 동덕전 (同德殿)

동덕전(同德殿|둥더뎬중국어)은 궁궐 건물 중 가장 크고 인상적이며, 가장 호화로운 내부 장식을 갖추고 있다. 원래는 지린 염세 징수 사무소였으며, "염궁(鹽宮)"이라고도 불렸다. 1936년부터 1938년까지 일본인 기술자들이 개조했다.[8] 그러나 푸이는 이 건물에 도청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고 믿고 사용을 거부했다.[8]

1937년(강덕 4년) 착공, 1938년(강덕 5년) 말에 준공되었으나, 관동군의 도청을 우려하여 푸이는 실제로 사용하지 않았다. 이후 동덕전에는 측실인 이옥금(복귀인)의 거처가 마련되었다.

메인 홀은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의 영화 ''마지막 황제''에서 무도회 장면의 배경이 되었지만, 실제로는 그 목적으로 사용된 적은 없다.[8]

만주국의 옥좌


오늘날 이 건물에는 만주국의 옥좌, 다양한 가구, 일부 왕관 보석의 복제품, 깃발, 일부 드레스와 제복, 만주국 독립 선언서 사본 및 기타 공식 품목이 보관되어 있다. 옥좌 뒤편에는 5개의 꼭지점을 가진 별이 있는 국장이 있으며, 만주국의 5개 민족을 나타내는 다양한 색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만주족 (빨간색), 한족 (노란색), 몽골족 (파란색), 일본인 (흰색) 그리고 한국인 (검은색).

3. 1. 3. 기타 내정 시설

뜰 주변에는 만주국 황궁 근위대를 위한 9개의 2층 블록하우스가 있었고, 단지 전체는 높은 콘크리트 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단지 내에는 괴석과 연못이 있는 정원, 수영장, 방공호, 테니스 코트, 작은 골프 코스 및 경마장을 포함한 시설들이 있었다.

1937년 착공, 1938년 말에 준공된 동덕전 남쪽에는 만주족의 고향인 장백산의 풍경을 본뜬 축산(築山)이 조성되었고, 축산 임천 회유식 정원이 조성되었으며, 풀장과 방공호, 건국신묘 등이 주변에 설치되었다. 더불어 동덕전 뒤편에는 "장서루"라고 불리는 3층짜리 서고가 세워졌다.

3. 2. 외정

만주국 황궁은 베이징의 자금성을 축소한 형태로 설계되었으며, 내정(內廷)과 외정(外廷)으로 나뉘어 있었다. 외정은 행정 목적으로 사용되었고, 주요 건물로는 푸이의 집무실인 근민루, 궁내부 청사인 회원루, 가락당(嘉乐堂)이 있었다. 건물의 건축 양식은 중국식, 일본식, 유럽식 등 매우 다양했다.[9]

3. 2. 1. 근민루 (勤民楼)

친민루


'''친민루'''(勤民楼|친민러우중국어)는 푸이의 집무실 건물이었다. 건물 동남쪽 모퉁이에는 푸이가 외국 대사와 영사들을 접견하고, 관료들에게 임명장을 수여하고 훈장을 수여했던 넓은 방이 있었다. 친민루에는 만주국의 옥좌가 있었는데, 현재는 박물관 전시를 위해 동덕전으로 옮겨졌다.[9]

친민루에 전시된 역사적 유물로는 푸이의 어린 시절부터 성인 시절까지의 문서와 사진, 그리고 푸이와 부인 중 한 명의 밀랍 인형이 있다. 추가 전시에서는 만주국의 전쟁 범죄, 예를 들어 731 부대와 관련된 사건 등 제2차 세계 대전의 만행을 강조한다.[10]

1932년 (대동 원년) 3월 9일 푸이의 집정 취임식은 임시 집정부에 지정된 구 길장도윤 공서에서 거행되었다. 같은 해 4월 3일, 집정부는 구 상부지 북동부의 고대에 있는 구 운국 터[14]로 이전했다. 부지 면적은 43000m2였다. 구 운국의 건물은 1913년 (민국 2년)에 지어진 것으로, "근민루"와 "집희루"(しょうきろう)로 명명되었다.

1934년 (강덕 원년) 3월 1일 제정 이행에 따라 집정부는 궁내부로 개칭되었다. 궁내부는 푸이가 정치 활동을 하는 "외정"과 일상생활을 보내는 "내정"으로 나뉘어 현재는 "위만 황궁 박물원"으로 일반에 공개되어 있다. 외정(황궁)의 주요 건물로는 근민루, 회원루, 가락루가 있으며, 근민루에서는 푸이가 공무를 수행하고 각종 전례가 행해졌다.

3. 2. 2. 회원루 (懷遠樓)

회원루(懷遠樓)는 1934년 가을에 만주국 황궁의 궁내부 청사로 건립되었으며, 황실 비서실과 다양한 내전 부서를 수용했다. 또한 푸이가 조상들의 초상화와 위패를 모시던 봉선사도 포함되어 있었다.[1] 궁내부는 푸이가 정치 활동을 하는 "외정"과 일상생활을 보내는 "내정"으로 나뉘었다.[2] 회원루에는 궁내부의 사무 부문과 청나라 역대 황제의 제사를 담당하던 "봉선전"이 설치되었다.[2]

3. 2. 3. 사합원 (四合院)

사합원은 내궁의 또 다른 건물이었다. 20세기 초에 지어진 이 건물은 원래 지린-헤이룽장 전용 교통국 국장 웨이충롄의 저택이었다. 궁궐이 건설된 후에는 집행부 사무실로 사용되었으며, 일본 부장관 및 관련 관리들의 사무실이 있었다.

3. 2. 4. 지수헌 (植秀轩)

지수헌(植秀轩|즈슈쉬안중국어)은 1930년대 초에 지어진 별채 건물이었다. 푸이가 비공식적인 식당으로 사용했다.[1] 뒤쪽 아파트에 있는 두 개의 금고에는 푸이의 현금과 보석 일부가 보관되어 있었다.[1] 정광원과 결혼한 푸이의 둘째 여동생이 잠시 이곳에서 살았다.[1] 통덕궁이 완공되자, 이 건물은 궁궐 직원 자녀를 위한 학교로 바뀌었다.[1]

3. 2. 5. 창춘헌 (暢春軒)

창춘헌(暢春軒)은 지쉐궁과 거울상처럼 설계되어 궁궐 배치의 대칭성을 유지하는 또 다른 별채였다. 처음에는 푸이의 넷째와 다섯째 여동생이 이곳에 살았다. 1937년 7월, 푸이의 아버지인 순친왕 재풍이 황제가 된 푸이를 축하하기 위해 잠시 방문했을 때 이곳을 거처로 사용했다. 그 후에는 황실 후궁 탄위링이 사용했다.

4. 신궁전 계획

일본은 만주국 황궁의 새로운 궁전, 즉 신궁전 건설을 계획했다. 이 계획은 1938년(강덕 5년) 9월에 착공되어 8개년 연속 사업으로 진행될 예정이었다. 총 예산은 14억이었다.[15]

신궁전 조영지는 동서 약 450m, 남북 약 1200m, 총 면적 51만 2000m²의 말굽 모양이었다. 남쪽은 흥인대로, 동쪽은 동만수대가, 서쪽은 서만수대가로 둘러싸여 있었다. 정문 앞에서 순천대가가 남쪽으로 뻗어 있어 관청가를 형성했다.[15]

궁정 용지는 세 구역으로 나뉘었다.


  • 남부: 정문 외 광장인 "순천 광장"
  • 중부: 정전을 중심으로 하는 "내정"
  • 북부: 서양식 회유식 정원인 "궁원"


정전은 동서 220m, 높이 31m의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 2층 건물로 계획되었다. 지붕은 청나라 궁전처럼 황금색 유리 기와를 덮고, 외벽은 화강암, 내장은 대리석으로 마감하는 웅장한 동양식 건축물이었다. 정전 양쪽에는 궁내부와 상서부를 배치하고, 중정을 사이에 두고 본전을 건설할 예정이었으나, 본전은 착공되지 못했다.[15]

1943년(강덕 10년) 1월, 전쟁이 격화되면서 건축 자재가 부족해져 신궁전 건설은 중단되었다. 정전은 구조물만 완성된 상태였다.[15]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이 원래 설계도를 바탕으로 정전을 4층 건물로 완성하여 장춘지질학원 교학동으로 사용했으며, "지질궁"으로 불렀다. 현재는 길림대학교 지질궁 박물관으로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15]

한편, 황궁 조영지 근처에는 국무총리대신 관저 등이 건설되었다.

5. 제실 보류지



집정부(후의 황궁) 조영지는 수도 건설 계획 책정 시, 신경의 지형 및 집정 아이신 교로 푸이의 "절대 남면[13]" 요청에 따라 대방신, 행화촌, 남령 3곳으로 한정되었으며, 최종적으로 기존 시가지에 가까운 행화촌이 선정되었다.

행화촌에 황궁이 정해진 후에도 대방신 지구와 남령 지구는 제실 보류지(황궁 관계 용지)로 남았다. 남령 지구는 문교 지구로서 국립 종합 운동장, 동식물원, 대학 등의 용지로 정비되었다. 만철(남만주철도 주식회사) 연결선 서쪽의 대방신 지구는 장래 신경이 확대되었을 때를 대비한 본 궁전 조영지로, 200ha에 달하는 "제궁 보류지"가 계획되었으나, 여러 차례 건설 계획이 재검토된 끝에 1942년(강덕 9년) 국도 건설 계획 개정으로 본 궁전 건설 계획은 폐지되고 주택지로 변경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Changchun Travel Guide http://www.travelchi[...] Travelchinaguide.com 2014-07-12
[2] 웹사이트 AAAAA Scenic Areas https://web.archive.[...] 2008-11-16
[3] 서적 Year Zero: A History of 1945 https://books.google[...] Penguin 2013
[4] 서적 Constructing East Asia: Technology, Ideology, and Empire in Japan's Wartime Era, 1931-1945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3
[5] 간행물 LIFE https://books.google[...] 1945-07-16
[6] 서적 To the Diamond Mountains: A Hundred-Year Journey through China and Korea https://archive.org/[...]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0
[7] 웹사이트 七宝烧红地小花瓶 https://www.wmhg.com[...] Palace Museum of the Manchurian Regime 2020-05-18
[8] 웹사이트 Wei Huanggong http://www.frommers.[...] Frommer's Guidebook 2014-07-12
[9] 웹사이트 Puppet Emperor Palace http://www.chinaetra[...] China Travel 2007-01-17
[10] 웹사이트 Last Puppet Emperor's Palace & Exhibition Hall http://chinatravelz.[...] China Travelz 2007-01-17
[11] 문서
[12] 웹사이트 长春市伪满皇宫博物院 https://www.mct.gov.[...] 中華人民共和国文化観光部 2023-02-02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