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연구는 지식과 진리를 탐구하는 체계적인 과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고 기존 지식을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어원은 중세 프랑스어 'recherche'에서 유래되었으며, 영어 단어 'research'의 어원이 되었다. 연구는 문제 해결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 방식, 정보 수집 및 분석 단계를 포함하며, 학술적 연구, 응용 연구, 개발 연구 등 다양한 형태로 분류된다. 연구는 과학적 방법, 인문학적 방법, 예술적 방법 등 다양한 방법론을 활용하며, 연구윤리와 연구 부정행위는 중요한 윤리적 문제로 다루어진다. 연구는 또한 정부, 기업, 재단 등 다양한 기관에서 자금을 지원받으며, 연구비와 연구원 수치는 국가별로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구 방법 - 민족지
    민족지는 특정 문화, 사회, 집단에 대한 연구 방법이자 결과물을 의미하며,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활용되어 사람들의 사회적 의미와 일상 활동을 포착하고 문화의 보편성과 변이를 연구, 해석하는 학문이다.
  • 연구 방법 - 무작위 대조 시험
  • 연구 - 양적 연구
    양적 연구는 사회 현상이나 자연 현상을 수치화하여 과학적 방법과 통계 분석 등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고 인과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 방법론이다.
  • 연구 - 교육 지수
    교육 지수는 유엔개발계획의 인간 개발 보고서에서 국가의 교육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며, 기대수학년수지수와 평균수학년수지수를 평균하여 계산된다.
  • 과학적 방법 - 양적 연구
    양적 연구는 사회 현상이나 자연 현상을 수치화하여 과학적 방법과 통계 분석 등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고 인과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 방법론이다.
  • 과학적 방법 - 사례 연구
    사례 연구는 소수 사례에 대한 심층 연구로 현상에 대한 풍부한 이해를 제공하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 다양한 연구 설계와 사례 선택 전략을 활용하여 이론 생성 및 검증 등에 유용하지만 일반화의 어려움과 선택 편향의 위험이 존재하며 교육 분야에서 교수법으로 활용된다.
연구
정의지식을 증가시키기 위해 수행되는 체계적인 연구
특징
목적지식 증진
방법체계적인 조사 및 분석
분야자연 과학
사회 과학
인문학
기타 다양한 분야
종류
기초 연구새로운 지식 탐구
응용 연구실용적인 문제 해결
관련 분야
학문 분야학문
통계통계학
연구 방법연구 방법론
연구 윤리연구 윤리
기타
연구자연구자
연구 기관연구 기관

2. 어원

'연구'를 뜻하는 영어 단어 ''research''는 '무엇인가 찾는 것을 시도하다'라는 뜻을 가진 중세 프랑스어 ''recherche''에서 유래하였다.[81] ''recherche''는 "re-"와 '찾다'를 의미하는 "cerchier" 혹은 "sercher"의 합성어이다. 이 단어의 첫 사용 기록은 1577년의 자료에서 찾아볼 수 있다.[81]

3. 정의

'''연구'''(research영어)는 '무엇인가 찾는 것을 시도하다'라는 뜻을 가진 중세 프랑스어 ''recherche''에서 유래[81]하였으며, "re-"와 '찾다'를 의미하는 "cerchier" 혹은 "sercher"의 합성어이다. 1577년의 자료에서 처음 사용된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81]

워싱턴 D.C. 소재 미국의회도서관 토마스 제퍼슨 빌딩에 위치한 올린 레비 워너의 조각 《지식의 횃불을 들고있는 연구》(1896).




연구는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되어 왔으며, 모든 연구자들이 받아들이는 단 하나의 포괄적인 정의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연구(research)"라는 단어는 중세 프랑스어 "recherche"에서 유래했으며,[5] 이 용어 자체는 고대 프랑스어 "recerchier"에서 파생되었다.[5]

가장 간단히 말해 연구는 지식과 진리를 찾는 것이다. 형식적으로는, 신중하게 선택된 전략으로 문제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과정이며, 연구 가설 설계, 방법 및 기법 선택, 자료 수집 도구 선택 또는 개발, 자료 처리, 해석, 그리고 문제 해결책 제시라는 청사진(설계) 준비 접근 방식을 선택하고 실행하는 것부터 시작한다.[6]

학술적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사실이나 해석발견이다. 연구자는 자신의 연구 결과가 선행 연구에 의해 아직 해명되지 않은 것(신규성)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 또한 다른 연구자들에게 자신의 연구 성과가 새로운 발견임을 인정받으려면, 학회나 피어 리뷰를 거친 논문 등을 통해 연구 성과를 공표해야 한다. 아무리 훌륭한 연구 성과를 얻더라도, 다른 연구자에 의해 이미 밝혀졌다면, '''정확도의 우열, 방법/조건, 해석 등에 차이가 없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그 연구는 "'''무가치'''"에 가깝다고 여겨질 가능성이 있다.

반대로, 이러한 부분에 차이가 있다면, 일반인의 눈에는 같아 보일지라도 연구 성과는 모두 새로운 성과로 평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현미경, 주사형 터널링 현미경, 원자간력 현미경을 이용한 원자 분해능 측정은 모두 높게 평가받는다. 또한, 멘델의 법칙이나 갈루아 이론처럼 묻혀 있던 연구가 "재발견"되어 해당 분야에 크게 기여하는 경우도 있다. 거의 동시에 같은 연구 성과를 얻거나, 다른 분야에서 독립적으로 연구되던 것이 나중에 같은 연구 성과임이 밝혀진 경우 등, "독립적으로" 연구되었다고 간주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반대로, 우치야마 류유의 게이지 이론처럼 연구회에서만 발표하고 논문으로 발표하지 않았거나, 발표가 늦어진 경우 등은 선행 연구로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3. 1. 인물, 사전, 규정 등에 의한 정의


  • 네이버 지식사전[82]: 사물을 깊이 생각하거나 자세히 조사하여 어떤 이치나 사실을 밝혀내는 것.
  • Martin Shuttleworth[83]: 가장 넓은 의미로, 지식의 진보를 위한 정보, 자료, 사실들의 수집.
  • Creswell[84]: 주제나 문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일련의 작업.
  • Cohen et al.[85]: 진리(지식) 탐구를 의미하며, 현상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
  • Popper[85]: 과학자가 수행하는 활동의 일종.
  • Radnor, H. A.[85]: 지식(진리) 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체계적 탐색활동.
  • Merriam-Webster Online Dictionary[81]: 학구적인 탐구 또는 검사로서, 특히 사실의 해석과 발견, 이미 발표된 이론이나 법칙의 적용 등에 초점을 맞춘 실험과 조사.
  • 네이버 사전[86]: 어떤 일이나 사물에 대하여 깊이 있게 조사하여 진리를 따져 보는 일.
  • 미국 연방규정(Code of Federal Regulation)[87]: 일반화할 수 있는 지식을 도출하거나 기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체계적인 조사 (연구개발, 시험 및 평가를 포함).
  • Oxford Online Dictionary[88]: 새로운 결과의 도달과 진실의 확립을 위한 자료들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

3. 2. 현대적이고 일반적인 정의

현대 사회에서 '연구'는 주로 과학적 연구 또는 과학적 방법을 의미한다. 과학적 연구는 자연 및 사회 현상에 대해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탐구를 수행하여 법칙을 발견하고 지식을 확장하는 활동이다.[89] 과학적 연구는 관찰, 가설 설정, 자료 수집, 자료 분석, 결론 도출 및 피드백의 단계를 거치며, 객관성, 재현 가능성, 변수 통제 등을 특징으로 한다.

사고 실험은 주관적 해석이 개입될 수 있으므로 현대적 정의에서 연구로 간주되지 않는다. 사고 실험은 실제 우주의 현상을 기반으로 하지 않고 과학적 방법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이다.

존 W. 크레스웰은 연구를 "주제나 문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단계들의 과정"이라고 정의하며,[7] 이는 질문 제기, 자료 수집, 답 제시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

4. 연구의 형태

연구는 목적, 방법, 대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연구는 엄밀하게 구분하기는 어렵지만, 대략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기초연구특별한 응용이나 용도를 고려하지 않고 새로운 법칙이나 정리 등을 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이다. 순수 연구라고도 불리며, 응용 연구의 핵심이 된다.
응용 연구기초 연구의 성과를 응용하여 특정 목표를 정하고 실용화 가능성을 확인하는 연구이다. 이미 실용화된 방법에 대해 새로운 응용 방법을 탐색하는 연구도 포함한다.
개발 연구기초 연구 및 응용 연구의 성과를 이용하여 과학 기술(장치, 제품, 시스템, 공정 등)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연구이다. 기존 과학 기술의 개량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도 포함한다.



이러한 연구들은 과학적 연구, 인문학적 연구, 예술적 연구 등 다양한 분야로 세분화된다.

4. 1. 과학적 연구

과학 연구는 과학적 방법에 기반을 둔 체계적인 연구 활동으로, 아직 알려지지 않은 지식을 탐구하고, 자연 현상에 대한 과학적 정보와 이론을 제공하여 세계를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71] 이러한 연구는 실용적인 응용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과학 연구는 공공 기관, 자선 단체, 민간 기업 등 다양한 주체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으며, 학문 분야나 응용 목적에 따라 세분화된다.[71]

그레고어 멘델유전학 실험은 과학적 연구의 대표적인 예시로, 가설 설정, 실험, 관찰, 가설 확인 등 현대 과학 연구의 핵심 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연구는 특정 구조적 과정을 따르는 것으로 이해된다. 순서는 주제와 연구자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기초 연구와 응용 연구 모두에서 대부분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 관찰과 주제 형성: 관심 있는 주제 영역을 정하고 해당 주제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조사한다. 연구 주제는 기존 문헌에서 연구자가 좁히려는 간극을 파악해야 하므로 무작위로 선택해서는 안 되며, 해당 주제에 대한 깊은 관심이 권장된다. 연구는 주제에 대한 기존 지식과의 중요성을 연결하여 정당화되어야 한다.

# 가설: 두 개 이상의 변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검증 가능한 예측이다.

# 개념적 정의: 다른 개념과 관련하여 개념을 설명한다.

# 조작적 정의: 변수를 정의하는 방법과 연구에서 어떻게 측정/평가될 것인지에 대한 세부 사항이다.

# 데이터 수집: 모집단을 식별하고 표본을 선택하여 특정 연구 도구를 사용해 정보를 수집한다. 데이터 수집 도구는 유효하고 신뢰할 수 있어야 한다.

# 데이터 분석: 개별 데이터 조각을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한다.

# 데이터 해석: 표, 그림, 사진 등을 통해 데이터를 표현하고 단어로 설명한다.

# 가설 검정, 수정

# 결론, 필요한 경우 반복

흔히 가설이 증명될 것이라고 오해하지만, 이는 귀무 가설과 혼동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설은 실험 결과를 관찰하여 검증 가능한 예측을 하는 데 사용된다. 결과가 가설과 일치하지 않으면 가설이 기각되고(반증 가능성 참조), 결과가 가설과 일치하면 실험이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대안적인 가설도 관찰 결과와 일치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여 신중한 표현을 사용한다. 즉, 가설은 결코 증명될 수 없지만, 과학적 검증을 거치면서 지지되고 결국 널리 사실로 여겨질 수 있다.

유용한 가설은 예측을 허용하고, 당시 관찰의 정확도 내에서 예측이 확인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관찰의 정확도가 향상되면 가설이 더 이상 정확한 예측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새로운 가설이 등장하여 기존 가설에 도전하고, 새로운 가설이 기존 가설보다 더 정확한 예측을 할 수 있을 때까지 새로운 가설이 기존 가설을 대체한다. 연구자들은 독립 변수 또는 종속 변수 사이에 관계나 차이가 없다고 명시하는 귀무 가설을 사용할 수도 있다.

4. 2. 인문학적 연구

해석학, 기호학 등 상대적인 인식에 관한 다양한 방법들을 포괄한다. 인문학자들은 주로 문제에 대한 최종적인 답안을 찾으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그 문제에 관한 배경과 세부 사항들을 조사한다. 내용은 항상 사회에서 중요한 점들을 다루며, 그 내용은 사회적, 역사적, 정치적, 문화적, 혹은 인종적일 수 있다. 인문학 연구의 예시로는 역사적 방법론에 구체화된 역사 연구를 들 수 있다. 역사가들은 일차 사료 및 기타 증거를 사용하여 주제를 체계적으로 조사한 다음 과거에 대한 설명의 형태로 역사를 기록한다.[13]

4. 3. 예술적 연구

예술적 연구는 '실무 위주의 연구' 또는 시행착오에 기반을 둔 연구라고도 불리며, 창의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과 경험을 창출한다. 이는 과학적 연구가 순수한 지식과 진실에 관한 탐구인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스톡홀름에 위치한 DOCH는 예술적 연구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예술적 연구는 예술적 규율에 관련한 우리의 지식을 늘리고 시험하는 데에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예술적 연구는 예술적 수행에 의거하며 방법적과 비판적으로 진행된다."

5. 연구의 목적

연구는 다양한 목적을 가질 수 있지만, 크게 세 가지 주요 목적을 가진다.


  • 지식 증진: 연구는 세상의 현상이나 법칙에 대한 증거를 제공하고, 이를 해석하며, 인간 지식의 발전을 위한 방법과 체계를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로 자연과학 분야에서 이러한 목적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다.
  • 실용적 문제 해결: 연구는 사람들이 사는 세상의 자연과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보와 이론을 제공하여 실용적인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사회과학, 공학 등의 분야에서 이러한 목적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된다.
  • 인간 이해 증진: 자연과학, 사회과학뿐만 아니라 인문학,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며, 대부분 해당 분야에서 인간의 이해를 넓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존 W. 크레스웰(John W. Creswell)은 연구를 "주제나 문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단계들의 과정"이라고 정의하며, 이는 질문 제기, 자료 수집, 답 제시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고 설명한다.[7]

가장 간단하게 말하면, 연구는 지식과 진리를 찾는 것이다. 형식적으로는 신중하게 선택된 전략으로 문제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과정이며, 연구 가설 설계, 방법 및 기법 선택, 자료 수집 도구 선택 또는 개발, 자료 처리, 해석, 그리고 문제 해결책 제시라는 청사진(설계) 준비, 접근 방식을 선택하고 실행하는 것부터 시작한다.[6]

과학적 연구는 특정한 자연 현상 간의 추정된 관계에 대한 이론과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체계적이고 통제된 경험적이면서 비판적인 연구 방식으로 진행된다. 과학적 연구의 일반적인 목표는 실험 과정을 통해 이론과 가설에 대한 해답을 얻는 것이다.[106] 과학적 연구는 체계적이고 통제되어 연구 결과에 대한 확신을 높일 수 있으며, 주관적인 신념이 아닌 객관적 실체에 비추어 가설을 검증하는 경험적 연구 방식을 취한다.[107]

5. 1. 학술적 연구

학술적 연구는 새로운 사실이나 해석을 발견하고, 기존 지식을 심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자신의 연구 결과가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것(신규성)임을 증명해야 한다.[8][9] 즉, 선행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내용임을 보여주어야 한다.

연구 성과가 새로운 발견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학회 발표나 동료 평가를 거친 논문 게재 등을 통해 연구 결과를 외부에 공개하고 공유해야 한다.[11] 아무리 훌륭한 연구 결과라도 이미 다른 연구자에 의해 밝혀진 내용이라면, 방법, 조건, 해석 등에 차이가 없는 경우에는 가치가 없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하지만, 방법이나 조건, 해석 등에서 차별점이 있다면, 같은 주제를 다루더라도 새로운 연구 성과로 인정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질을 원자 분해능으로 측정하는 연구는 전자 현미경, 주사형 터널링 현미경, 원자간력 현미경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되지만, 각각의 연구는 모두 높은 평가를 받는다.

또한, 기존에 주목받지 못했던 연구가 재발견되어 해당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는 경우도 있다. 멘델의 법칙이나 갈루아 이론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10]

비슷한 시기에 동일한 연구 성과를 얻거나, 서로 다른 분야에서 독립적으로 연구되었던 내용이 나중에 같은 것으로 밝혀지는 경우에도, 각각 "독립적인" 연구로 인정받을 수 있다.

반면, 선행 연구라고 해도 연구회에서만 발표되고 논문으로 발표되지 않았거나, 발표가 늦어진 경우에는 선행 연구로 인정받지 못할 수 있다. 우치야마 류유의 게이지 이론이 그 예시이다.

5. 2. 연구사 정리

학술적 연구는 새로운 사실이나 해석을 발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연구자는 자신의 연구 성과가 기존의 선행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새로운 것(신규성)임을 증명해야 한다.[1] 이를 위해 연구자는 학회나 피어 리뷰를 거친 논문 등을 통해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다른 연구자들에게 인정받아야 한다.[1] 만약 연구 성과가 이미 다른 연구자에 의해 밝혀진 내용이라면, 정확도, 방법, 조건, 해석 등에 차이가 없는 한 그 연구는 가치가 없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1]

하지만 일반인의 눈에는 같아 보일지라도 연구 방법이나 조건, 해석 등에 차이가 있다면 새로운 연구 성과로 평가받을 수 있다.[1] 예를 들어, 전자 현미경, 주사형 터널링 현미경, 원자간력 현미경은 모두 원자 분해능으로 물질을 측정하지만, 각기 다른 방법과 원리를 사용하므로 모두 높은 평가를 받는다.[1] 또한, 멘델의 법칙이나 갈루아 이론처럼 과거에 묻혀 있던 연구가 재발견되어 해당 분야의 연구에 크게 기여하는 경우도 있다.[1]

다른 연구자들의 선행 연구와 자신의 연구 내용이 중복되지 않도록 하고, 과거의 연구 흐름과 현재의 학설 및 이론이 어떻게 구축되었는지 파악하기 위해 선행 연구(논문)를 읽고 시간 순서대로 정리하는 작업을 “연구사 정리”라고 한다.[1] 이는 과거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연구 주제를 발견하고 자신의 연구를 현재의 연구 체계 속에 위치시키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5. 3. 기타

뉴욕 공립 도서관의 연구실에서 이차 조사가 진행 중인 예




졸업 논문

6. 연구의 절차

연구는 일반적으로 '모래시계 모델' 구조를 따르며, 문제 정의, 문헌 조사, 가설 설정, 자료 수집, 분석, 결론 도출 등의 단계를 거친다.[90][91] 연구 절차의 주요 단계는 다음과 같다.


  • 관찰 및 주제 설정: 연구 분야와 주제를 정한다. 너무 넓거나 좁은 범위는 피하는 것이 좋다.
  • 문헌 조사: 기존 연구의 오류나 추가 연구가 필요한 부분을 찾는다.[92]
  • 가설 설정: 실험 등으로 검증 가능한 가설을 세우고 시험 환경을 설계한다.
  • 자료 수집: 가설 검증을 위해 자료를 수집한다. 기존 자료를 분류하거나 실험을 통해 새로운 자료를 얻는다.
  • 자료 분석 및 해석: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한다.
  • 결론 및 피드백: 결론을 제시하고, 필요한 경우 새로운 가설이나 자료 수집을 통해 피드백을 반복한다.


이 단계들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으며, 특히 '관찰 및 주제 설정'과 '문헌 조사'는 순서가 명확하지 않다.[93] '자료 수집'과 '자료 분석 및 해석' 과정에서 연구의 분류가 나뉜다.

과학적 방법의 연구 절차는 가설 연역 방법을 따르며, 사적 연구 방법은 사료 비판, 사료 해석, 종합 등의 단계를 포함한다.[29]

6. 1. 과학적 방법의 연구 절차

과학적 방법은 '지식 순환'이라고 불리는 기본 요소들의 반복[95], 귀납, 끼워 넣기, 또는 순서도의 일부를 이루는 부분 순서의 반복 등으로 이루어진다. 20세기 이후 일반적으로 정착된 과학적 방법인 가설 연역 방법은 다음 네 가지 기본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96]

# 문제 정의: 해당 분야 혹은 주제에 관한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 방안을 연구의 목표로 삼는다.

# 정보 및 자료 수집 (관찰): 조사나 관찰을 통해 정보(대개 이차적 자료이다.)를 수집하여 연구의 기반으로 삼는다.

# 관찰한 사실을 설명할 수 있는 가설 설립: 이전의 연구나 추론을 통해 해당 주제나 분야에 관한 새로운 이론이나 가설을 이용한 문제의 명제를 정의하고 확립하여 연구의 목표를 찾는다.

# 실험을 통한 자료 수집: 주제와 문제에 관련된 실험을 통해 일차적 자료를 얻는다.

# 자료 분석: 자료를 분석하여 문제나 명제와 이론, 가설의 연결 고리를 만든다.

# 분석된 자료를 기준으로 가설 평가 및 새로운 가설 설립

# 결과 발표: 결과를 논문 등 여러 형태로 발표하여 알린다.

# 재실험 (종종 다른 과학자들이 발표된 가설을 검증한다.)

# 반복된 실험으로 검증된 가설은 이론으로 인정된다.

위 순서에서 3번부터 6번까지는 만족할 만한 결과가 나올 때까지 반복된다. 이렇게 이루어지는 방법을 특히 가설-시험 방법이라고 한다.[101]

6. 2. 사적 연구 방법의 연구 절차

사적 연구 방법은 역사학자들이 역사적 증거를 바탕으로 역사나 관련 현상을 서술하고 해석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사료 비판, 사료 해석, 종합 등의 단계가 포함된다.[29]

단계내용
정확한 일시 확인역사적 사건이나 자료의 정확한 시기를 확인한다.
목격자의 증언사건을 직접 경험한 사람들의 증언을 수집하고 분석한다.
자료의 분석수집된 자료의 내용, 맥락, 의미를 분석한다.
진실성 확인자료의 진위 여부와 신뢰성을 검증한다.



이러한 절차는 역사적 사실을 규명하고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며, 역사 연구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7. 연구의 분류

연구는 자료, 방법, 대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 일반화: 한 연구에서 얻은 타당한 결과를 더 넓게 적용하는 과정이다.[54] 좁은 범위의 연구는 일반화가 부족할 수 있으며, 이는 결과가 다른 집단이나 지역에 적용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비교 정치학에서 이는 여러 국가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연구 설계가 아닌 단일 국가 연구를 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일반화의 문제에도 불구하고, 단일 국가 연구는 2000년대 후반 이후 증가했다.[55]

7. 1. 탐색적, 건설적, 실증적 연구

탐색적 조사(exploratory research)는 연구 주제나 문제 발견, 변수 규명, 가설 도출을 위해 실시하는 예비적 조사이다. 주로 2차 연구(secondary research) 형태로 진행되며, 현재까지 연구된 자료를 바탕으로 가설을 발전시키거나 정확한 연구 목표 설정을 위한 명제를 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37]

건설적 조사(constructive research)는 탐색적 조사를 통해 확립된 주제에 대한 가설과 이론이 실제로 성립하는지 검증하는 과정이다.

실증적 조사(empirical research)는 직접 또는 간접적인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연구 방법이다.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로 나뉘며, 과학적 연구에 주로 사용된다. A.D. 드 흐로트가 제시한 실증적 연구 사이클은 다음과 같다.[37]

# 관찰: 가설 설정

# 귀납: 가설 구체화

# 연역: 가설의 결과 예측

# 실험

# 평가: 실험 결과에 대한 피드백

7. 2. 일차적 연구와 이차적 연구

일차적 연구는 연구자가 직접 일차적 자료를 수집하여 수행하는 연구이다. 보통 이차적 자료를 얻은 후에 시행한다. 연구 목적과 환경에 맞게 자료 수집 모델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연구 과정에 자본이 많이 필요하고,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를 얻기 위해서는 오랜 기간 준비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8][9]

이차적 연구는 일차적 연구를 통해 얻어진 자료가 요약, 분류, 비교, 종합된 이차적 자료를 통해 진행되는 연구이다. 높은 수준으로 분석된 자료를 쉽게 얻을 수 있고 정보의 양이 많아 원하는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문적이거나 자세하거나 특정한 주제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일차적 자료가 부족하여 이차적 연구가 어려울 수 있다. 이차적 연구는 의학 연구, 시장 연구, 고고학 등에서 활용된다.[8][9]

7. 3.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연구에는 크게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두 가지 디자인이 있다. 연구자들은 연구 방향과 특성에 맞게 이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연구 목표에 맞는 결과를 얻는다.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는 배타적이기보다는 상호보완적인 관계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102]

; 양적 연구

양적 연구(quantitative research)는 대상의 양적 측면에 주목하여 계량화된 자료를 통해 증거를 제시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연관성을 밝히는 연구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특정 질문에 답하기 위해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 가능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양적 연구는 인간의 내면적인 특성까지 계량화하여 사실을 지나치게 단순화시키고, 인간의 자율적이고 역동적인 상호관계를 수량적 관계로 바꾸어 사회현상에 내재된 인간의 의도나 가치로부터 분리하여 이해하려 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103] 양적 연구는 실증주의를 바탕으로 한 자연과학적 탐구 방법에서 발달했으며, 모든 실상은 양화(quantification)할 수 있다는 사상을 바탕으로 연역적 사고, 객관주의, 일반화, 몰가치성을 그 사상적 배경으로 한다.[104]

; 질적 연구

질적 연구(qualitative research)는 대상의 질적 측면에 주목하는 연구이다. 특히 사회과학 분야에서 오랜 역사를 가진 연구 방법으로, 양적 연구를 보완하는 기법으로 활용된다. 질적 연구의 기본적인 특징은 연구 주제에 대해 양적인 응답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모든 연구 대상의 의미, 경험, 견해를 강조하며, 실험실이 아닌 자연적인 환경에서 사회 현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개념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질적 연구는 "얼마나 많은 X가 있는가?"보다는 "X란 무엇이고, 여러 환경에서 X가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더 관심이 있다.[102] 즉, 인간의 행동 자체와 그 행동을 하는 이유를 이해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특정 질문에 답하기 위해 언어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변수 등을 수적으로 측정하는 방식을 배제하고 전체 집단의 경향성을 이해하기 위해 이루어진다. 인터뷰, 설문, 관찰, 시험, 계산, 전기문과 사례연구, 역할연기, 모의실험, 개인적 구성[105] 등 질적 자료를 얻기 위해 사회학, 사회 심리학, 문화 인류학 등에서 자주 사용된다. 좁은 의미의 조사뿐만 아니라 실험, 심층적 민속학적 연구, 활동연구, 사례조사 연구, 시험과 평가[105]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는 조사 방법을 가리키는 개념이기도 하다. 사회에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생각할 수도 있으며, 그런 의미에서 다양한 관찰 행위도 포함된다. 질적 연구에서 처리되는 자료는 무형 자료라고 한다.

8. 연구의 방법

연구는 새로운 지식을 만들거나 어떤 주제나 문제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된다. 연구 과정은 크게 세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 탐색적 연구: 문제나 질문을 명확히 정의하는 데 도움을 준다.
  • 구성적 연구: 이론을 검증하고 문제나 질문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 실증적 연구: 경험적 증거를 사용하여 해결책의 실현 가능성을 검증한다.


실증적 연구 설계는 크게 질적 연구양적 연구로 나뉜다. 연구자는 연구 주제의 성격과 답하고자 하는 연구 질문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한다.

  • '''질적 연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그 의미와 특징, 사물의 비유와 상징을 해석하는 데에 다른 방법을 사용하는 주관적인 비정량적 연구이다.
  • '''양적 연구''': 좁은 질문을 하고 통계적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할 수치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양적 속성과 현상 및 그 관계에 대한 체계적인 경험적 조사를 포함한다.


연구자는 질적 연구나 양적 연구에서 1차 데이터 또는 2차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42] 1차 데이터는 연구를 위해 특별히 수집된 데이터이고, 2차 데이터는 이미 존재하는 데이터를 연구에 다시 사용하는 것이다.[44] 윤리적인 연구 관행을 위해, 가능한 2차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최근에는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혼합 방법 연구가 점점 더 일반화되고 있다.[45] 이 방법은 한 가지 방법만으로는 얻을 수 없는 이점을 제공한다.[46]

빅데이터는 연구 방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많은 연구자들이 데이터 수집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있다.

; 비실증적 연구

비실증적(이론적) 연구는 관찰과 실험 대신 이론 개발을 통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접근 방식이다. 기존 지식을 활용하지만, 새로운 아이디어나 혁신을 찾을 수 없는 것은 아니다. 비실증적 연구는 실증적 연구와 함께 사용될 때 연구 접근 방식을 강화할 수 있다. 과학적 방법에서처럼, 실증적 연구는 설명이 필요한 관찰을 생성하고, 이론적 연구는 이를 설명하며, 경험적으로 검증 가능한 가설을 생성한다.

비실증적 연구의 예로는 기존 지식을 활용한 신약 프로토타입 제작, 비즈니스 프로세스 개발 등이 있다. 우주론적 연구수학 연구도 이론적인 성격을 띤다.

8. 1. 비교와 대조

어떤 대상의 속성이나 특성을 밝히기 위해 다른 대상과 견주어 진술하는 것을 비교 혹은 대조라고 한다. 두 개 이상의 대상이 가지고 있는 공통점이나 유사성을 지적하여, 진술하고자 하는 대상의 본질을 밝히고자 하는 것을 비교라고 하고, 다른 대상과의 차이점으로 그 본질을 밝히고자 하는 것을 대조라고 한다.[109] 비교와 대조는 어떠한 대상을 분류하고 분석하는 데에 기초가 된다.

8. 2. 분류와 분석

분류(分類)는 개념이나 주체를 인지하고, 차별화하고, 이해하여 각각의 개념과 주체들을 기준에 따라 나누는 과정이다. 분류는 주체가 범주 안에 있음을 암시하며, 보통 특정한 목적을 가진다. 개념적으로 범주는 지식의 주체와 그 안에 포함된 개체 사이의 관계를 서술한다. 분류는 보통 여러 대상들을 기준에 따라 나누어 표기해 이차적인 자료를 만들고, 추후 진행되거나 연속적으로 진행되는 연구를 위한 정보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분석(分析)은 복잡하고 많은 내용을 지닌 사물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그 내용을 단순한 요소로 나누어 생각하는 것을 뜻한다. 분석은 그 목적에 따라 일정한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과학적인 사고에서는 분석적인 방법이 중요하나, 분석으로 명확해진 각 요소의 관계를 통일적으로 정리하는 것(총합)도 중요하다. 분석은 일반적으로 특정 자연 현상에서 추론을 통해 가설 혹은 이론을 설립할 때 기본 정보에서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8. 3. 추론

추론이란 어떠한 판단을 근거로 삼아 다른 판단을 이끌어 내는 것을 뜻하며, 주제에 관한 문제나 가설을 제기하고 그 가설과 실제 현상을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주어진 정보나 전제에서 출발하여 긍정할 만한 논의 형태를 통해 결론을 이끌어내는 것이다. 추론은 일반적으로 타당한 논쟁 형태를 분석하여 전제가 함축하는 결론을 이끌어내는 연역적 추론과, 많은 사실로부터 일반적 진술을 주장하는 귀납적 추론으로 나뉜다. 또한 알려진 정의역 안에서 빈도로부터 명시된 가능성을 결론짓는 확률과, 실제 집합의 몇 %가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평균적으로 결론짓는 통계적 사고에 의하여 이끌린다.

귀납적 추론은 연역적 추론과 반대로, 개별적이고 특수한 다수의 사실로부터 일반적인 사항을 도출해 내는 것이다. 구체적인 사실을 토대로 개연성이 큰 사항을 도출하기 때문에 확률적 추론이라고도 한다. 확률적 추론의 신빙성과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체를 대표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수의 자료를 확보하고, 그 자료들이 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전형적인 것이어야 한다. 귀납적 추론은 흔히 완전 귀납, 통계적 귀납, 인과적 귀납으로 구분한다.[113] J. S. 밀은 인과 관계를 파악하는 귀납적 연구방법을 다음과 같이 5가지로 정리했다.

방법설명
일치법(一致法)동일한 현상이 나타난 둘 이상의 사례에서 단 하나의 요소만 공통으로 나타난다면, 이 요소가 그 현상의 원인 또는 결과라고 판단하는 방법
차이법(差異法)어떤 현상이 나타난 사례와 그렇지 않은 사례를 비교해서 다른 모든 조건이나 요소가 공통으로 나타나고 하나의 요소만 다르게 나타날 때, 그 요소를 현상의 결과 또는 원인, 혹은 원인의 중요한 일부로 판단하는 방법
일치차이병용법(一致差異倂用法)어떤 현상이 나타난 둘 이상의 사례에 한 가지 공통된 요소가 존재하고, 그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둘 이상의 사례에서는 그러한 요소가 없을 때, 그것들의 차이점인 요소가 그 현상의 결과 또는 원인, 혹은 원인의 중요한 일부라고 판단하는 방법
잉여법(剩餘法)어떤 현상에서 이미 귀납법으로 앞선 사건의 결과로 알게 된 부분을 차례로 제거해 갈 때, 그 현상에 남은 부분을 나머지 부분의 원인이나 결과로 판단하는 방법
공변법(共變法)어떤 현상이 변화하면 다른 현상도 변화할 때, 곧 어떤 사실의 변화에 따라 현상의 변화가 일어날 때, 전자의 변화가 후자의 변화의 원인 또는 결과이거나 혹은 그 현상을 공통 원인의 결과라고 판단하는 방법[114]



이러한 귀납적 추론에 따르면, 현존하는 이론은 단 하나의 반례를 통해 반증될 수 있으며, 이는 반증주의의 기반이 된다.

8. 3. 1. 연역적 추론

연역적 추론이란 일반적인 사실을 바탕으로 특수한 사실을 이끌어 내는 추론 방식이다. A가 B에 속하고 B가 C에 속하면 A는 C에 속한다는 기본적인 집합론적 아이디어를 명제로 확장한 것이다.[110] 이미 알고 있는 판단은 전제, 새로운 판단은 결론이다. 명제들 간의 관계와 논리적 타당성을 따지므로 전제들로부터 절대적인 필연성을 가진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또한 전제와 결론의 구체적인 내용은 문제로 삼지 않으며 엄격한 논리적 규칙에 의존한다. 연역은 결론의 내용이 이미 전제 속에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진리보존적 성격을 지닌다. 그렇기에 연역은 전제에 없었던 새로운 사실적 지식의 확장을 가져다 주지는 못하며, 이미 전제 속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명확하고 새롭게 도출해낼 뿐이다. 연역적 추리의 방법은 하나의 전제에서 결론이 도출되는 직접추리와 2개 이상의 전제에서 결론이 나타나는 간접추리로 나뉜다. 대전제>소전제>결론의 형식으로 나타나는 삼단논법이 간접추리의 전형적 형식이다. 실제 학문 연구는 순수히 연역적 형태만으로는 이루어질 수 없으며 관찰이나 실험 등의 증명 과정과 통일되어 적용된다. 오늘날에는 전제로 삼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그 가설에서 몇 개의 명제를 연역해 실험과 관찰 등을 수행하는 가설연역법이 널리 쓰이고 있다.[111] 또 다른 연역 방법으로는 공리적 방법, 수학적 가설법 등이 개발되었다.[112]

8. 3. 2. 유추

유추는 하나의 개별적인 사항에서 다른 개별적인 사항을 이끌어 내는 방식으로, 두 사항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추론하는 것이다. 유추는 개연성을 보여줄 뿐 확고한 사실을 드러내 주지는 않는다.[115] 그러므로 유추로 뚜렷한 결론을 내리기보다는 좀 더 구체적인 연구의 동기와 실마리를 제공하는 데에 더 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유추에 의한 추론을 할 때 중요한 사항은 추정하려는 대상과 비교하려는 대상의 구성 요소를 잘 파악하여 결정적인 유사성을 포착하는 일이다.[115]

8. 3. 3. 오류

오류란, 연구 과정 중 추론에서 흔히 발생하는 문제이며, 논리적인 방법으로 어떤 주제에 접근할 때 그 방법 중 하나 이상의 단계에 결함이 있음을 말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를 논리적 오류라 칭한다. 오류가 존재하는 추론 혹은 오류가 밝혀진 추론은 올바른 연구 방법에 포함될 수 없으며, 논리적 오류 혹은 '틀림'(fallacy)을 수정하여 올바른 절차로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연구 과정에서 매우 중요하다.[52]

9. 독자연구

'''독자연구'''는 연구 주제에 대한 요약, 리뷰, 초기 출판의 종합을 기반으로 하지 않는 연구이다. 이 연구의 자료는 일차문헌에 속한다. 독자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지식을 새로운 형태로 표현(요약이나 분류 등)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것이다.[116][117]

독자 연구는 관련된 분야에 따라 여러 형태를 취한다. 실험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실험실 또는 현장에서 연구 대상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찰하고, 실험 또는 일련의 실험의 방법론, 결과 및 결론을 문서화하거나 이전 결과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시한다. 분석적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새로운 (예를 들어) 수학적 결과가 생성되거나 기존 문제에 접근하는 새로운 방법이 제시된다. 이러한 종류의 실험이나 분석을 일반적으로 수행하지 않는 일부 과목에서는, 연구자의 작업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이해가 변경되거나 재해석되는 특별한 방식에 독창성이 있다고 본다.[10]

연구의 독창성 정도는 학술지에 논문이 게재되는 주요 기준 중 하나이며, 일반적으로 피어 리뷰를 통해 확립된다.[11] 대학원생은 일반적으로 논문의 일환으로 독자 연구를 수행한다.[12]

10. 연구윤리와 연구부정행위

연구윤리란 윤리학에서 다루는 근본적인 윤리 원칙들을 과학적 연구와 관련된 다양한 쟁점들에 적용하는 것이다. 연구윤리에서는 실험의 설계와 이행, 연구 부정행위, 연구 규제 등을 다룬다. 연구윤리는 생명과 가장 밀접한 관련을 가진 의학생물학 연구 분야에서 가장 많이 발달되어 있다. 한편 사회 과학 분야의 연구는 의학 및 생물학 연구 분야와는 다른 종류의, 사회학적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윤리적 쟁점들을 가지고 있다.

연구윤리는 인간이 보유한 지식이 세분화되면서 발생하는 지식의 편중화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연구에 대한 책임에 대한 문제로 크게 부각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잦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규율을 통하여 연구가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길을 제공하고 있기도 하다.

연구부정행위란 연구 진실성과 상반되는 개념으로, 연구의 계획, 실행, 발표에서 부정행위가 있는 것을 말한다. 좀 더 포괄적인 의미는 연구자가 연구자로서 지켜야 할 과학적, 사회적 책임을 지키지 못한 경우를 일컫는다. 미국에서 연구부정행위에 대한 대중의 우려가 표명된 것은 1980년대 초반, 엄청난 연구부정행위 사례가 보고된 이후이다. 다른 이들이 이미 출판한 수십 개의 논문을 자신의 이름으로 출판하거나 여러 가지 방법으로 연구의 결과를 위조하거나 조작한 사실이 드러난 것이다. 더욱이 연구기관들은 간혹 이러한 문제들을 조사하기보다는 무시하거나 고의적으로 은폐하려는 것처럼 보였다. 결국 의회가 개입해서 연방기관들과 연구기관들에게 연구 부정행위 정책을 입안하도록 요구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본격적으로 연구부정행위가 대두된 것은 2005년에 2004년에 진행되었던 줄기세포 관련 연구의 부정행위가 드러나 고발당했던 황우석 사건 때문이었다.

11. 연구 통계 및 연구비

과학 연구 자금은 주로 기업의 연구개발 부서, 민간 재단, 그리고 정부 연구 위원회에서 지원한다.[63] 이러한 기관들은 주로 대학을 통해, 그리고 어떤 경우에는 군수업체를 통해 연구비를 지원한다. 많은 선임 연구원들은 연구 자금 지원을 신청하는 데 상당한 시간을 할애한다. 연구비 지원은 연구 수행뿐만 아니라 연구 업적 평가에도 중요한 기준이 된다.[63]

다음 표는 각국의 인구 100만 명당 전체 연구원 수(정규직 환산)를 보여준다.

국가인구 100만 명당 연구원 수(정규직 환산, 2018년)[64]
Algeria|알제리영어819
Argentina|아르헨티나es1192
Österreich|오스트리아de5733
België|벨기에nl5023
България|불가리아bg2343
Canada|캐나다영어4326
Chile|칠레es493
China|중국중국어1307
Costa Rica|코스타리카es380
Hrvatska|크로아티아hr1921
Κύπρος|키프로스el1256
Česko|체코cs3863
Danmark|덴마크da8066
مصر‎|이집트ar687
Eesti|에스토니아et3755
Suomi|핀란드fi6861
France|프랑스프랑스어4715
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조지아ka1464
Deutschland|독일de5212
Ελλάδα|그리스el3483
Magyarország|헝가리hu3238
Ísland|아이슬란드is6131
भारत|인도hi253
Indonesia|인도네시아id216
ایران|이란fa1475
Ireland|아일랜드영어5243
ישראל|이스라엘he2307
Italia|이탈리아it2307
日本|일본일본어5331
الأردن|요르단ar596
Қазақстан|카자흐스탄kk667
الكويت|쿠웨이트ar514
Latvija|라트비아lv1792
Lietuva|리투아니아lt3191
Lëtzebuerg|룩셈부르크lb4942
Malaysia|말레이시아ms2397
Malta|몰타몰타어1947
Mauritius|모리셔스영어474
México|멕시코es315
Moldova|몰도바ro696
Црна Гора|몬테네그로sr734
المغرب|모로코ar1074
Nederland|네덜란드nl5605
New Zealand|뉴질랜드영어5530
Северна Македонија|북마케도니아mk799
Norge|노르웨이no6467
پاکستان|파키스탄ur336
Polska|폴란드pl3106
Portugal|포르투갈pt4538
România|루마니아ro882
Россия|러시아ru2784
Србија|세르비아sr2087
Singapore|싱가포르영어6803
Slovensko|슬로바키아sk2996
Slovenija|슬로베니아sl4855
South Africa|남아프리카 공화국영어518
대한민국한국어7980
España|스페인es3001
Sverige|스웨덴sv7536
Schweiz|스위스de5450
ประเทศไทย|태국th1350
تونس|튀니지ar1772
Türkiye|터키tr1379
Україна|우크라이나uk988
الإ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아랍에미리트ar2379
United Kingdom|영국영어4603
United States|미국영어4412
Uruguay|우루과이es696
Việt Nam|베트남vi708



다음 표는 각국의 GDP 대비 연구 유형별 연구비 지출 비율을 보여준다.

국가연구 유형별 GDP 대비 연구비 지출 비율 (%), 2018년[65]
기초응용개발
Algeria|알제리영어0.010.270.02
Argentina|아르헨티나es0.140.270.12
Österreich|오스트리아de0.541.001.46
België|벨기에nl0.301.241.16
България|불가리아bg0.080.470.20
Chile|칠레es0.100.140.08
China|중국중국어0.120.241.82
Costa Rica|코스타리카es0.100.070.02
Hrvatska|크로아티아hr0.330.280.25
Κύπρος|키프로스el0.080.300.18
Česko|체코cs0.500.770.66
Danmark|덴마크da0.560.951.54
Eesti|에스토니아et0.350.280.66
France|프랑스프랑스어0.500.920.78
Ελλάδα|그리스el0.350.370.41
Magyarország|헝가리hu0.260.300.78
Ísland|아이슬란드is0.430.950.66
भारत|인도hi0.100.150.13
Ireland|아일랜드영어0.220.420.55
Italia|이탈리아it0.310.580.49
ישראל|이스라엘he0.520.513.93
日本|일본일본어0.410.622.10
Қазақстан|카자흐스탄kk0.020.070.03
الكويت|쿠웨이트ar0.000.060.00
Latvija|라트비아lv0.160.220.13
Lietuva|리투아니아lt0.240.380.28
Lëtzebuerg|룩셈부르크lb0.480.490.33
Malaysia|말레이시아ms0.420.810.21
Malta|몰타몰타어0.300.190.09
Mauritius|모리셔스영어0.030.120.02
México|멕시코es0.100.090.12
Црна Гора|몬테네그로sr0.100.210.04
Nederland|네덜란드nl0.520.870.60
New Zealand|뉴질랜드영어0.340.550.48
Северна Македонија|북마케도니아mk0.090.230.05
Norge|노르웨이no0.380.790.93
Polska|폴란드pl0.300.180.55
Portugal|포르투갈pt0.290.510.53
România|루마니아ro0.100.310.09
Россия|러시아ru0.150.210.65
Србија|세르비아sr0.290.340.29
Singapore|싱가포르영어0.460.610.87
Slovensko|슬로바키아sk0.330.200.30
Slovenija|슬로베니아sl0.330.820.71
South Africa|남아프리카 공화국영어0.220.440.17
대한민국한국어0.681.063.07
España|스페인es0.260.500.45
Schweiz|스위스de1.411.090.88
ประเทศไทย|태국th0.100.270.64
Україна|우크라이나uk0.110.100.27
United Kingdom|영국영어0.300.740.64
United States|미국영어0.470.561.80
Việt Nam|베트남vi0.070.300.04


참조

[1] 서적 Frascati Manual https://eduq.info/xm[...] 2020-04-04
[2] 웹사이트 Researcher https://dictionary.c[...] 2024-10-13
[3] 학술지 Professional Association and Pathways to Leadership in Our Profession https://www.surveypr[...] 2019-05-14
[4] 웹사이트 The Origins of Science https://web.archive.[...] 2003-03-03
[5] 웹사이트 Research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18-05-20
[6] 학술지 RESEARCH APPROACH: AN OVERVIEW https://www.research[...] 2015
[7] 서적 Educational Research: Planning, conducting, and evalua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Pearson
[8] 웹사이트 What is Original Research? Original research is considered a primary source http://www.unf.edu/l[...] Thomas G. Carpenter Library, University of North Florida 2014-08-09
[9] 서적 Schaum's Quick Guide to Writing Great Research Papers https://books.google[...] McGraw Hill Professional 2007
[10] 웹사이트 Early career researcher originality: Engaging Richard Florida's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creative workers http://www.aare.edu.[...] Centre for Educational Research, University of Western Sydney 2009-10-06
[11] 학술지 Journal Prestige, Publication Bias, and Other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Citation of Published Studies in Peer-Reviewed Journals
[12] 서적 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2006–2007 edition https://books.google[...] Mcgraw-hill 2006
[13] 학술지 Resolving ethical challenges when researching with minority and vulnerable populations: LGBTIQ victims of violence, harassment and bullying 2016-08-18
[14] 학술지 Who's Afraid of Artistic Research? On measuring artistic research output http://www.artandres[...] 2009
[15] 학술지 On the Differences between Scientific and Artistic Approaches to Qualitative Research
[16] 웹사이트 Artistic research at DOCH http://www.doch.se/w[...]
[17] 간행물 Draft Proposal Bern University of the Arts
[18] 웹사이트 What is artistic research? http://www.jar-onlin[...] 2010
[19] 서적 What is at stake – Qu'est ce que l'enjeu? Paradoxes – Problematics – Perspectives in Artistic Research Today, in: Arts, Research, Innovation and Society Springer
[20] 웹사이트 Whose Terms? A Glossary for Social Practice: Research http://www.newmuseum[...] 2014
[21] 서적 Research for Writers A&C Black Publishers Limited
[22] 웹사이트 Swiss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Council (2011), Research Funding in the Arts http://www.swtr.ch/i[...] 2011
[23] 서적 The Conflict of the Faculties. Perspectives on Artistic Research and Academia Leiden University Press
[24] 서적 The Exposition of Artistic Research: Publishing Art in Academia Leiden University Press
[25] 서적 SHARE Handbook for Artistic Research Education Valand Academy
[26] 간행물 Leap into Another Kind: International Developments in Artistic Research Swedish Research Council
[27] 서적 Methods Meets Art Guilford
[28] 웹사이트 Florence principles, 2016 http://www.elia-arts[...]
[29] 서적 A Guide to Historical Method https://archive.org/[...] Fordham University Press
[30] 서적 Research Methods Knowledge Base
[31] 서적 Educational research: Planning, conducting, and evalua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Prentice Hall
[32] 서적 A Playbook for Research Methods: Integrating Conceptual Frameworks and Project Management https://books.google[...] New Forums Press
[33] 서적 Scientific method in prac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 서적 The handbook of scholarly writing and publishing John Wiley & Sons
[35] 웹사이트 QUESTIONS ABOUT FREEDOM, DEMOCIDE, AND WAR http://www.hawaii.ed[...]
[36] 서적 Meno University Press 1962
[37] 뉴스 Maurice R. Hilleman dies; created vaccines https://www.washingt[...] 2017-09-10
[38] 서적 Research Methodology: An Overview https://www.research[...] KD Publications 2020-12
[39] 학술지 Applying a project management approach to survey research projects that use qualitative methods https://www.surveypr[...] 2023-12-03
[40] 학술지 Adapting and Improving Methods to Manage Cognitive Pretesting of Multilingual Survey Instruments https://www.surveypr[...] 2013-12-01
[41] 서적 Educational Research: Planning, Conducting, and Evalua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Pearson Education, Inc. 2008
[42] 서적 Research Methods for Public Health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20
[43] 웹사이트 Data Collection Methods http://people.uwec.e[...] 2011-10-26
[44] 서적 Research and Evaluation for Busy Practitioners: A Time-Saving Guide The Policy Press 2012
[45] 서적 Research and Evaluation for Busy Practitioners: A Time-Saving Guide The Policy Press 2012
[46] 서적 Research design :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https://books.google[...] Sage 2018-12-11
[47] 서적 Emerging Trends in the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John Wiley & Sons, Inc. 2015
[48] 학술지 Meta-research: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Research Methods and Practices 2015-10-02
[49] 학술지 Zachary M. Schrag. Ethical Imperialism: Institutional Review Boards and the Social Sciences, 1965–2009.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0. Pp. xii, 245. $45.00 2012-04-01
[50] 서적 Decolonizing Methodologies: Research and Indigenous Peoples https://www.zedbooks[...] Zed Books 2018-10-24
[51] 학술지 Commentary on Cultural Diversity Across the Pacific: The Dominance of Western Theories, Models, Research and Practice in Psychology 2012
[52] 학술지 From Critical Research Practice to Critical Research Reporting 1996-01-01
[53] 학술지 'Nondiscursive' Requirements in Academic Publishing, Material Resources of Periphery Scholars, and the Politics of Knowledge Production 1996-10
[54] 학술지 Generalizability: The trees, the forest, and the low-hanging fruit 2012
[55] 학술지 The Return of the Single-Country Study 2019
[56] 웹사이트 Peer Review of Scholarly Journal http://www.peerviewe[...] 2017-07-29
[57] 학술지 Does Information Really Want to be Free? Indigenous Knowledge Systems and the Question of Openness http://ijoc.org/inde[...] 2017-06-07
[58] 웹사이트 Sun sets on Western dominance as East Asian Confucian model takes lead https://www.timeshig[...] 2016-08-29
[59] 웹사이트 Ведущий научный сотрудник: должностные обязанности http://www.aup.ru/do[...] 2014-01-22
[60] 웹사이트 Replication Research in Marketing Revisited: A Note on a Disturbing Trend http://marketing.wha[...] 2012-01-10
[61] 학술지 On the Interpretation of Factor Analysis http://marketing.wha[...] 2012-01-11
[62] 학술지 Monetary Incentives in Mail Surveys http://marketing.wha[...] 2012-01-11
[63] 웹사이트 Home | RePORT https://report.nih.g[...] 2021-05-22
[64] 웹사이트 Research input and output worldwide, various years since 2014, Statistical Annex, by country, Table C2: Total researchers and researchers per million inhabitants, 2015 and 2018 https://www.unesco.o[...]
[65] 웹사이트 Research input and output worldwide, various years since 2014, Statistical Annex, by country, Table B1: Research expenditure as a share of GDP and in purchasing power parity dollars (PPP$), 2015–2018, year 2018 https://www.unesco.o[...]
[66] 웹사이트 What is Original Research? Original research is considered a primary source http://www.unf.edu/l[...] Thomas G. Carpenter Library, University of North Florida 2014-08-09
[67] 서적 Schaum's Quick Guide to Writing Great Research Papers https://books.google[...] McGraw Hill Professional 2007
[68] 웹사이트 Early career researcher originality: Engaging Richard Florida's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creative workers http://www.aare.edu.[...] Centre for Educational Research, University of Western Sydney 2012-01-12
[69] 학술지 Journal Prestige, Publication Bias, and Other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Citation of Published Studies in Peer-Reviewed Journals 2002
[70] 서적 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2006–2007 edition https://books.google[...] Mcgraw-hill 2006
[71] 논문 Business School Prestige: Research versus Teaching http://marketing.wha[...] 2020-12-21
[72] 논문 Resolving ethical challenges when researching with minority and vulnerable populations: LGBTIQ victims of violence, harassment and bullying 2016-08-18
[73] 뉴스 Maurice R. Hilleman dies; created vaccines https://www.washingt[...] 2005-04-13
[74] 서적 Research Methods for Public Health https://www.worldcat[...]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20
[75] 서적 Research and Evaluation for Busy Practitioners: A Time-Saving Guide The Policy Press
[76] 서적 Research and Evaluation for Busy Practitioners: A Time-Saving Guide The Policy Press
[77] 서적 Research design :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https://books.google[...] SAGE Publishing 2014
[78] 서적 Emerging Trends in the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John Wiley & Sons, Inc. 2015
[79] 웹사이트 気付いてないのはPIだけ? https://www.natureas[...] Nature ダイジェスト, Nature Portfolio 2023-07-05
[80] 웹사이트 研究主宰者(PI) https://bio.nikkeibp[...] 2023-07-05
[81] 웹사이트 Merriam-Webster Online Dictionary - Research http://www.merriam-w[...]
[82]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사전 - 연구 https://terms.naver.[...]
[83] 웹인용 Experiment Resources - Definition of Research http://www.experimen[...] 2012-04-23
[84] 서적 Educational Research: Planning, conducting, and evalua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3rd ed.) Pearson
[85] 서적 질적 연구방법론 교육과학사
[86] 웹사이트 네이버 사전 - 연구 http://krdic.naver.c[...]
[87] 서적 생명과학 연구윤리 지코사이언스
[88] 웹인용 Oxford Online Dictionary - Research http://oxforddiction[...] 2012-05-05
[89] 서적
[90] 서적 Research Methods Knowledge Dase Cengage Learning
[91] 서적 Educational research: Planning, conducting, and evalua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Prentice Hall
[92] 서적 The handbook of scholarly writing and publishing Jossey-Bass
[93] 서적 Scientific method in prac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4] 서적 Two New Sciences
[95] 서적
[96] 서적
[97] 서적
[98] 서적
[99] 웹사이트 Two New Sciences (1638, pp.61-62) http://galileo.phys.[...]
[100] 논문 Peer review and the changing research record
[101] 서적 Scientific method in prac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2] 간행물 가정의학회지
[103] 서적 Basic 고교생을 위한 사회 용어사전 신원문화사
[104] 서적
[105] 서적
[106] 웹인용 Experiment-Resources.com http://www.experimen[...] 2012-04-23
[107] 서적 사회 행동과학 연구방법의 기초 성원사
[108] 웹인용 과학 논문의 연구방법 작성법 https://www.enago.co[...] 2017-11-24
[109] 서적 연구 방법과 논문 작성법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10] 서적
[111] 웹사이트 네이버 사전 - 연역법 http://100.naver.com[...]
[112] 서적
[113] 서적
[114] 웹사이트 네이버 사전 - 귀납법 http://100.naver.com[...]
[115] 서적
[116] 웹사이트 What is Original Research? Original research is considered a primary source. http://www.unf.edu/l[...]
[117] 서적 Schaum's Quick Guide to Writing Great Research Papers http://books.google.[...]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