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지 산리쿠 지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이지 산리쿠 지진은 1896년에 발생한 해구형지진으로, 낮은 각도의 역단층형 지진과 거대한 규모의 쓰나미를 동반했다. 진앙은 일본 해구 근처에 위치하며, 모멘트 규모는 M8.2-8.5로 추정된다. 지진으로 인해 홋카이도에서 미야기현에 걸쳐 쓰나미가 도달했으며, 특히 이와테현의 료리만에서는 38.2m의 최대소상고를 기록했다. 지진으로 인한 인명 피해는 사망 21,915명, 실종 44명, 부상 4,398명이었으며, 가옥 유실, 선박 유실 등 물적 피해도 컸다. 메이지 산리쿠 지진은 '쓰나미'라는 용어가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1933년 산리쿠 지진 이후 해안 방재 대책의 중요성을 일깨웠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6년 지진 - 리쿠 지진
리쿠 지진은 1914년 8월 31일 일본 아키타현과 이와테현 경계 부근에서 발생한 규모 M7.2의 지진으로, 요코테 분지 동연 단층대의 활동으로 센야 단층 등 지표면 단층이 드러났으며, 209명이 사망하고 5,792채의 주택이 붕괴되는 피해를 입혔다. - 1896년 일본 - 제2차 마쓰카타 내각
마쓰카타 마사요시가 내각총리대신과 대장대신을 겸임하며 출범한 제2차 마쓰카타 내각은 진보당과의 연립, 금본위제 확립 등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당과의 갈등과 연립 실패, 중의원 해산 후 총사퇴로 막을 내리며 번벌 정치에 영향을 주었다. - 1896년 일본 - 제2차 이토 내각
이토 히로부미가 이끈 제2차 이토 내각은 불평등 조약 개정, 청일 전쟁 승리 등 성과에도 불구하고 삼국 간섭, 을미사변, 아관파천 등의 외교적 실패와 조선에서의 영향력 약화, 그리고 조선에 대한 경제적 침탈 정책 추진으로 비판을 받았다.
메이지 산리쿠 지진 | |
---|---|
지도 정보 | |
![]() | |
지진 정보 | |
명칭 | 1896년 산리쿠 지진 |
현지 명칭 | ja (메이지 산리쿠 지진) |
발생 날짜 | 1896년 6월 15일 |
발생 시간 | 19시 32분 30초 JST (UTC+09:00) |
위치 | 39.5 |
깊이 | 얕음 |
유형 | Megathrust (메가스러스트) |
관련 지역 | 일본 제국, 미국 |
피해 | 쓰나미 |
규모 | |
모멘트 규모 | 8.5 Mw |
표면파 규모 | 7.2 Ms |
진도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 4 |
쓰나미 정보 | |
최대 높이 | Kesen, Iwate, Tōhoku (이와테현 게센 지역 도호쿠 지방) Ryori (료리만) |
피해 정보 | |
사망 및 실종자 | 22,066명 |
사망자 | 21,915명 |
실종자 | 44명 |
부상자 | 4,398명 |
기타 정보 | |
지진 유형 | 해구형 지진 |
강도 | 상북군, 아키타현 센보쿠군 고와쿠비 촌, 센야 촌 등 |
2. 지진
낮은 각도의 역단층형인 충상단층 지진 형태의 해구형지진이다.[69][70][71] 산리쿠 해역 지진의 고유지진이지만 진원역이 확실하게 잡혀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지진 발생 간격은 수십 년 사이에서 수백 년 사이로 추정된다.[72]
진앙은 서쪽으로 일본 해구 바로 옆에 위치하며, 이는 서쪽으로 기울어진 섭입대의 지표면이다. 이 해구는 태평양 판과 유라시아 판 사이의 수렴 경계의 일부를 형성한다.[5]
2. 1. 각지의 진도
1896년 당시 지진 관측은 일본 중앙기상대(현 일본 기상청) 기상관측소 외에 군, 관공서 위탁관측소에서 관측하고 있었다.[14] 당시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은 '열진'(진도 6 정도), '강진'(진도 4-5), '약진'(진도 2-3), '미진'(진도 2 미만)으로 나눠져 있었다.[14][27] 메이지 산리쿠 지진은 대부분 지역에서 약진-미진을 관측하였으나 일부 지역에선 강진을 관측하였다.중앙기상대 기준 진도[27] | 관측소 |
---|---|
강진 | 가미키타군, 센보쿠군(고와쿠비촌, 센야촌), 와타리군 |
약진 | 도카치 지청 (오쓰촌) 하코다테(관측소), 아오모리정(관측소), 산노헤군, 기타쓰가루군, 시모키타군, 이사와군, 가즈노군, 히에누키군, 아키타시(관측소), 센보쿠군, 야마모토군(노시로미나토정), 소마군, 이와키군, 기타무라야마군, 히가시타가와군, 유리군, 우쓰노미야시(관측소), 도쿄시(중앙기상소) |
미-약진 | 미야코정(관측소) |
미진 | 네무로(관측소), 니노헤군, 미나미이와테군, 니시이와이군, 미나미구노헤군, 니시헤이군, 게센군, 미나미아키타군, 히라카군 누마다테촌, 기타아키타군 다카노스촌, 후쿠시마정(관측소), 갓타군, 야마가타시(관측소), 니시오키타마군, 히가시무라야마군, 아쿠미군, 히가시이바라키군, 아와군, 고후시(관측소), 사카이정 |
2. 2. 메커니즘
메이지 산리쿠 지진은 진도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거대한 규모의 쓰나미가 일어났는데, 이는 지진이 모멘트 규모 Mw8.2-8.5에 달하는 거대한 힘으로 천천히 움직이는 느린 지진이었기 때문이다.[74] 1989년 연구에서는 메이지 산리쿠 지진 당시 북아메리카판과 태평양판의 폭 50km, 길이 210km 크기의 판 영역이 12-13m 정도 이동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75] 태평양판 경계면에서는 부드러운 퇴적물이 잔뜩 쌓여 있는데, 지진으로 이 퇴적물들이 천천히 움직인 것으로 추정된다. 퇴적물의 독특한 움직임이 지진파가 직접적으로 준 것보다 훨씬 크게 바다에게 영향을 주어 큰 에너지를 전달한 것이다.[74] 이 외에도 지진동의 주기 자체가 굉장히 길고 지진동의 크기에 비해 인간이 그다기 감지하기 어려운 수 초 주기의 장주기 지진동이 강했다. 이 때문에 인간이 실질적으로 체감하는 진도가 2-3 사이로 작아 별로 느끼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메이지 산리쿠 지진으로 진원역 주변의 바닷물은 64km3 영역이 해수면보다 더 올라가 거대한 지진 해일을 만들었다.[76][77]
2011년 일어난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의 지진파 분석 결과, 메이지 산리쿠 지진과 유사하게 해구 축 얉은 곳에서 저주파 지진이 발생하여 쓰나미를 일으킨 것으로 추정된다.[78][79]
일본에서는 메이지 산리쿠 지진 및 1946년 알류샨 열도 지진과 같이 지진이 일어날 때 지각 변동이 보통에 비해 급격하지 않고 천천히 장기간 이루어지는 지진을 느린 지진이라고 부르며, 느린 지진으로 지진동이 작음에도 불구하고 거대한 지진 해일을 만들어내는 지진을 해일지진이라고 부른다.[76][80]
2. 3. 지진 규모
가와스미 교수는 진도 분포를 통해 MK5.4로 두고 규모를 M7.6이라 계산했다.[81] 주기 약 20초의 지진파를 통한 표면파 규모는 Ms7.2[82]에서 7.4[83] 또는 MS7.9[80]로 추정하고 있다.진원 단층 모델을 통한 모멘트 규모 계산에서는 지진 모멘트 M0을 5.9×1021N・m[84], 즉 Mw8.4 또는 M0 = 6.3×1021N・m[80]로 계산하여 Mw8.5로 추정하고 있다. 쓰나미 규모 Mt는 일본 내 최대소상고를 통해 8.2로 추정하였으며, 미국 등 해외에 영향을 준 쓰나미의 규모는 8.6 정도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한다.[83][85] 지진의 규모와 그에 따른 쓰나미 사이의 이례적인 불일치는 지진으로 유발된 사면 붕괴, 파열 속도가 이례적으로 낮음 등의 요인으로 발생했을 수 있다.[5] 과학자들은 가동 쐐기 아래의 침강 퇴적물의 영향이 느린 파열 속도의 원인이라고 믿고 있다.[5]
3. 쓰나미
쓰나미의 제1파는 지진 발생 약 30분 후인 오후 8시 7분에 기록되었다.[86] 도달 범위는 홋카이도에서 미야기현에 걸쳐 있었다.
해안 침수 높이[18]는 홋카이도청 호로이즈미군 (현 홋카이도 호로이즈미군 에리모정)의 에리모곶에서 해발 4m, 아오모리현 산노헤군 하치노헤정 근처 (현재의 하치노헤시 우치마루 부근)에서 3m, 미야기현 오시카군 온나가와촌 (현 온나가와정 온나가와하마 온나가와)에서 3.1m였다. 이와테현의 산리쿠 해안에서는 시모헤이군 타로촌 (현 미야코시 타로 지구)에서 14.6m, 같은 군 후나코시촌 (현 시모헤이군 야마다정 후나코시)[28]에서 10.5m, 같은 군 시게모촌 (현 미야코시 시게모)[29]에서 18.9m, 카미헤이군 가마이시정 (현 가마이시시 가마이시)[30]에서 8.2m, 게센군 요시하마촌 (구 게센군 산리쿠정 요시하마, 현 오후나토시 산리쿠정 요시하마)에서 22.4m, 같은 군 아야사토촌 (구 게센군 산리쿠정 아야사토, 현 오후나토시 산리쿠정 아야사토)에서 21.9m로, 거의 10m를 넘는 도달 높이를 기록했다[31].
특히 아야사토만[16][32]의 안쪽에서는 굴곡진 계곡 모양의 부분을 거슬러 올라가 일본 본토에서 관측된 쓰나미 중 당시 가장 높은 해안 침수 높이인 해발 38.2m를 기록했다[33].
메이지 산리쿠 지진으로 발생한 쓰나미의 첫 파도는 지진 발생 약 30분 후인 오전 8시 7분에 도달했다.[86] 남쪽으로는 미야기현부터 북쪽으로는 홋카이도까지 쓰나미의 영향을 받았다. 특히 료리만에서는 만 안쪽 뒤얽힌 골짜기 모양의 특이한 지형 때문에 쓰나미의 최대소상고가 38.2m를 기록하여, 당시 기록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87][88]
일본 외에도 미국의 하와이에서 2.4m에서 최대 9.14m,[89] 캘리포니아주에서 최대 2.9m의 쓰나미가 도달하여[90] 부두가 파괴되고 해안가의 집들이 쓸려가는 피해를 입었다.
각 지역별 쓰나미 높이는 다음과 같다.
국가 | 지역 | 쓰나미 높이 | 최대소상고 |
---|---|---|---|
일본 | 홋카이도 에리모곶 | 4m | |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 우치마루 부근 | 3m | ||
이와테현 미야코시 다로지구 | 14.6m | ||
이와테현 미야코시 오모에 | 18.9m | ||
이와테현 야마다정 후나코시 | 10.5m | ||
이와테현 가마이시시 가마이시 | 8.2m | ||
이와테현 오후나토시 산리쿠초 료리만 | 38.2m | ||
미국 | 하와이주 | 9.14m | |
캘리포니아주 | 2.90m |
3. 1. 쓰나미 높이
메이지 산리쿠 지진으로 발생한 쓰나미의 첫 파도는 지진 발생 약 30분 후인 오전 8시 7분에 도달했다.[86] 남쪽으로는 미야기현부터 북쪽으로는 홋카이도까지 쓰나미의 영향을 받았다. 특히 료리만에서는 만 안쪽 뒤얽힌 골짜기 모양의 특이한 지형 때문에 쓰나미의 최대소상고가 38.2m를 기록하여, 당시 기록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87][88]일본 외에도 미국의 하와이에서 2.4m에서 최대 9.14m,[89] 캘리포니아주에서 최대 2.9m의 쓰나미가 도달하여[90] 부두가 파괴되고 해안가의 집들이 쓸려가는 피해를 입었다.
각 지역별 쓰나미 높이는 다음과 같다.
국가 | 지역 | 쓰나미 높이 | 최대소상고 |
---|---|---|---|
일본 | 홋카이도 에리모곶 | 4m | |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 우치마루 부근 | 3m | ||
이와테현 미야코시 다로지구 | 14.6m | ||
이와테현 미야코시 오모에 | 18.9m | ||
이와테현 야마다정 후나코시 | 10.5m | ||
이와테현 가마이시시 가마이시 | 8.2m | ||
이와테현 오후나토시 산리쿠초 | 료리만 | 38.2m | |
미국 | 하와이주 | 9.14m | |
캘리포니아주 | 2.90m |
4. 피해
일본 내 인명 피해는 사망자 21,915명, 실종자 44명, 부상자 4,398명이었다.[89][91][92] 홋카이도에서 6명, 아오모리현에서 343명, 이와테현에서 18,158명, 미야기현에서 3,452명이 사망하여 대부분의 피해는 이와테현에 집중되었다. 실종자 수가 매우 적은 이유는 지진 발생 초기 미야기현 일부 및 아오모리현에서 부검을 통해 사망자와 실종자를 구분하였으나, "생존자가 적은 상황에서 복잡한 검시를 하기 힘들다"는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부검을 꼭 하지 않는다"라는 인식이 확산되며 "실종자" 개념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또한 사망자는 "익사" 또는 "사망"으로 간단하게 구분하였다.[93]
물적 피해로는 가옥 유실 9,878채, 주택 붕괴 1,844채, 선박 유실 6,930척이 발생했다.[39][41][42] 그 외에도 가축, 제방, 교량, 산림, 농작물, 도로 등이 유실되거나 손괴되는 피해가 발생했다.
5. 유발 지진
본진인 메이지 산리쿠 지진의 영향으로 진원역 및 여진이 일어나는 지역과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규모가 큰 유발지진이 몇 차례 일어났다.[94]
6. 영향 및 교훈
이마무라 아키쓰네는 메이지 산리쿠 지진을 연구하고 1899년 해저 지각의 운동으로 본 지진이 발생했다는 가설을 제시했다.[95] 이 재해로 인해 '쓰나미'라는 용어가 국제적으로 통용되기 시작했다.
예방적 해안 대책은 1933년 산리쿠 지진 이후에야 시행되었으며, 쓰나미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다.[8] 2011년 3월 11일 지진은 동일 지역에서 다시 한번 쓰나미의 위험성을 상기시키고, 후쿠시마 원자력 사고를 야기했다.
한국은 일본과 지리적으로 가깝고 동해를 공유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해일지진 및 쓰나미 발생 가능성에 대한 지속적인 주의와 대비가 필요하며, 특히 동해안 지역의 방재 대책 강화가 중요하다.
참조
[1]
논문
Distribution of seismic coupling on the subducting plate boundary in northeastern Japan inferred from GPS observations
[2]
웹사이트
March 11th tsunami a record 40.5 metres high NHK
http://www3.nhk.or.j[...]
.nhk.or.jp
2011-08-13
[3]
논문
Physical size of tsunamigenic earthquakes of the northwestern Pacific
[4]
논문
Mechanism of tsunami earthquakes
http://www.gps.calte[...]
[5]
논문
Fault parameters of the 1896 Sanriku Tsunami Earthquake estimated from Tsunami Numerical Modeling
http://www.agu.org/p[...]
2009-10-19
[6]
논문
Sediment effect on tsunami generation of the 1896 Sanriku tsunami earthquake
http://www.eri.u-tok[...]
2009-10-19
[7]
뉴스
Heights of survival
http://search.japant[...]
Japan Times
2011-06-12
[8]
웹사이트
The Great Meiji Sanriku Tsunami June 15, 1896, at the Sanriku coast of the Tohoku region
http://shippai.jst.g[...]
2009-10-18
[9]
서적
Geological hazards: a sourcebook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10]
웹사이트
Today in Earthquake History: June 15
https://earthquake.u[...]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09-10-18
[11]
논문
On the Tsunamis along the Island of Hawaii
http://repository.dl[...]
[12]
웹사이트
tsunami (n.)
https://www.etymonli[...]
2023-03-04
[13]
PDF
[資料]明治三陸津波の写真記録の全体像
http://www.histeq.jp[...]
2020
[14]
문서
中央気象台 地震報告原簿明治廿九年六月十五日
[15]
문서
大森(1901)
[16]
문서
綾里崎の項も参照。
[17]
문서
津波の大きさを考慮して数値が改められた(『理科年表 平成18年』)。
[18]
문서
津波の遡上高とは、陸を駆け上って到達した高さ。
[19]
논문
地名「三陸地方」の起源に関する地理学的ならびに社会学的問題 : 地名「三陸」をめぐる社会科教育論(第1報)
https://doi.org/10.1[...]
岩手大学教育学部
[20]
서적
津波、噴火、、、日本列島地震の2000年史
朝日新聞出版
2013
[21]
문서
首藤ほか(2007)
[22]
PDF
明治三陸津波
http://www.bousai.go[...]
中央防災会議
[23]
문서
谷岡 『月刊地球』 Vol.25
[24]
문서
力武(1994)
[25]
논문
歴史地震史料と現代地震学
https://doi.org/10.5[...]
東京地学協会
[26]
PDF
明治廿九年六月十五日海嘯槪況報告
https://www.jma.go.j[...]
岩手縣宮古測候所
[27]
문서
中央気象台 地震報告原簿明治廿九年六月十五日
[28]
문서
船越湾の項も参照。
[29]
문서
重茂半島の項も参照。
[30]
문서
釜石湾の項も参照。
[31]
뉴스
宮古の津波遡上38.9メートル 明治三陸超える
http://www.iwate-np.[...]
岩手日報社
2011-04-16
[32]
웹사이트
綾里漁港
http://www.pref.iwat[...]
[33]
웹사이트
現地調査結果
http://www.coastal.j[...]
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津波合同調査グループ
2012-01-14
[34]
문서
吉村(2004)、25-27頁。
[35]
문서
三好(1984)
[36]
문서
田野畑村#津波石
[37]
서적
『哀史三陸大津波』
河出書房新社
2011
[38]
서적
『哀史三陸大津波』
河出書房新社
2011
[39]
문서
宇津ほか(2001)
[40]
웹사이트
Sanriku, Japan 1896 June 15 UTC Magnitude 8.5 - Historic Earthquakes
http://earthquake.us[...]
2011-05-27
[41]
문서
宇佐美(2003)
[42]
문서
『理科年表』
[43]
PDF
津波における「引き波の恐怖」―昭和三陸津波の死者数と行方不明者数の比率の意味するもの―
http://www.histeq.jp[...]
歴史地震研究会
2002
[44]
문서
土井(2005)
[45]
문서
佐藤・安部ほか(1989)
[46]
문서
金森(1991)
[47]
문서
Abe,K(1973)
[48]
문서
Ide,S(2011)
[49]
웹사이트
東北沖地震の二面性 -浅部のすべり過ぎと深部の高周波震動-
http://www.s.u-tokyo[...]
東京大学大学院理学系研究科・理学部
2011-05-20
[50]
저널
Mechanism of tsunami earthquakes
https://www.scienced[...]
[51]
저널
Measures of Earthquake Danger and Expectancy of Maximum Intensity Throughout Japan as Inferred from the Seismic Activity in Historical Times. / 有史以來の地震活動より見たる我國各地の地震危險度及び最高震度の期待値〔英文〕
https://doi.org/10.1[...]
東京大学地震研究所
[52]
URL
阿部勝征、日本付近に発生した津波の規模(1498年-2006年)
https://wwweic.eri.u[...]
[53]
URL
津波マグニチュードによる日本付近の地震津波の定量化
https://hdl.handle.n[...]
東京大学地震研究所
1988
[54]
URL
三陸沖の古い津波のシミュレーション
https://hdl.handle.n[...]
1977
[55]
문서
安部 『月刊地球』 Vol.25
[56]
웹사이트
2011年 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 過去に起きた大きな地震の余震と誘発地震
http://outreach.eri.[...]
東京大学地震研究所 広報アウトリーチ室
2011-04
[57]
웹사이트
技術三室
http://www.eri.u-tok[...]
東京大学地震研究所
[58]
웹사이트
特集:津波を知る
http://www.zisin.jp/[...]
日本地震学会
1999-03
[59]
웹인용
Today in Earthquake History On June 15th...
https://earthquake.u[...]
USGS
2018-05-19
[60]
웹인용
The Great Meiji Sanriku Tsunami
http://shippai.jst.g[...]
Failure Knowledge Database
2018-05-19
[61]
저널
Distribution of seismic coupling on the subducting plate boundary in northeastern Japan inferred from GPS observations
http://www.sciencedi[...]
2011-11-14
[62]
문서
中央気象台 地震報告原簿明治廿九年六月十五日
[63]
문서
大森(1901)
[64]
웹인용
The Great Meiji Sanriku Tsunami
http://shippai.jst.g[...]
Failure Knowledge Database
2018-05-19
[65]
웹인용
地名「三陸地方」の起源に関する地理学的ならびに社会学的問題
https://iwate-u.repo[...]
紀要論文
2018-05-19
[66]
저널
Mechanism of tsunami earthquakes
http://www.gps.calte[...]
1972
[67]
웹사이트
地名「三陸地方」の起源に関する地理学的ならびに社会学的問題
http://hdl.handle.ne[...]
岩手大学教育学部
1994-10
[68]
문서
北原糸子他 座談会(後編)「災害の歴史から何を学び、どう向き合うか 災害列島に生きた人々」/ 保立道久・成田龍一監修、北島糸子他著『津波、噴火、、、日本列島地震の2000年史』 朝日新聞出版 2013年 110-111ページ
[69]
URL
明治三陸津波
http://www.bousai.go[...]
中央防災会議
[70]
문서
谷岡 『月刊地球』 Vol.25
[71]
문서
力武(1994)
[72]
논문
歴史地震史料と現代地震学
https://doi.org/10.5[...]
1986
[73]
문서
首藤ほか(2007)
[74]
문서
土井(2005)
[75]
문서
佐藤・安部ほか(1989)
[76]
문서
金森(1991)
[77]
문서
Abe,K(1973)
[78]
문서
Ide,S(2011)
[79]
웹인용
東北沖地震の二面性 -浅部のすべり過ぎと深部の高周波震動-
http://www.s.u-tokyo[...]
東京大学大学院理学系研究科・理学部
2011-05-20
[80]
논문
MECHANISM OF TSUNAMI EARTHQUAKES
https://roelstanjule[...]
1972
[81]
간행물
有史以來の地震活動より見たる我國各地の地震危險度及び最高震度の期待値
http://hdl.handle.ne[...]
1951-10-05
[82]
웹인용
阿部勝征、日本付近に発生した津波の規模(1498年-2006年)
https://wwweic.eri.u[...]
2019-06-18
[83]
논문
津波マグニチュードによる日本付近の地震津波の定量化
http://hdl.handle.ne[...]
1988
[84]
논문
三陸沖の古い津波のシミュレーション
http://hdl.handle.ne[...]
1977
[85]
문서
安部 『月刊地球』 Vol.25
[86]
뉴스
宮古の津波遡上38.9メートル 明治三陸超える
http://www.iwate-np.[...]
岩手日報社
2011-04-16
[87]
웹인용
綾里漁港
http://www.pref.iwat[...]
[88]
웹사이트
現地調査結果
http://www.coastal.j[...]
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津波合同調査グループ
2012-01-14
[89]
문서
宇津ほか(2001)
[90]
웹사이트
Sanriku, Japan 1896 June 15 UTC Magnitude 8.5 - Historic Earthquakes
http://earthquake.us[...]
[91]
문서
宇佐美(2003)
[92]
문서
『理科年表』
[93]
문서
津波における「引き波の恐怖」―昭和三陸津波の死者数と行方不明者数の比率の意味するもの―
http://www.histeq.jp[...]
2002
[94]
웹인용
2011年 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 過去に起きた大きな地震の余震と誘発地震
http://outreach.eri.[...]
東京大学地震研究所 広報アウトリーチ室
2011-04
[95]
서적
모든 사람을 위한 지진 이야기
사이언스북스
2016-10-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