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트리올 예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몬트리올 예수》는 1989년 개봉한 드니 아르캉 감독의 캐나다 영화이다. 몬트리올의 무명 배우 다니엘이 수난극에서 예수 역을 맡아, 예수의 역사성을 탐구하며 기존의 종교적 해석에 도전하는 과정을 그린다. 연극은 관객의 호응을 얻지만, 로마 가톨릭 교회의 반대로 중단되고, 다니엘은 사고로 뇌사 판정을 받는다. 영화는 예수와 현대 사회의 관계, 예술가의 고뇌를 상징적으로 표현하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종교적 논란도 불러일으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수를 소재로 한 영화 - 세븐 싸인
세븐 싸인은 1988년 개봉한 미국의 종말론 스릴러 영화로, 종말의 징조를 감지한 임신한 여성 애비 퀸이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으로 추정되는 여행자와 대결하여 종말을 막는 내용을 담고 있다. - 예수를 소재로 한 영화 - 벤허 (1925년 영화)
《벤허: 그리스도의 이야기》는 루 월리스의 소설 《벤허》를 원작으로 골드윈 픽처스에서 제작한 1925년 미국의 무성 영화로, 막대한 제작비와 전차 경주 장면으로 유명하며 일부 장면은 2색 테크니컬러로 촬영되었다. - 몬트리올을 배경으로 한 영화 - 라이프 오브 파이
얀 마텔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이안 감독의 영화 《라이프 오브 파이》는 인도 소년 파이가 벵골 호랑이와 태평양에서 227일간 표류하는 이야기를 그리며 영상미, 3D 기술, 종교적 메시지로 호평과 아카데미 4개 부문 수상을 받았지만, 동물 학대 의혹과 시각 효과 스튜디오 도산 논란도 있었다. - 몬트리올을 배경으로 한 영화 - 레드 바이올린
레드 바이올린은 17세기 이탈리아에서 제작된 바이올린이 여러 소유주를 거치며 그들의 운명에 영향을 미치는 기구한 여정을 그린 캐나다-이탈리아 합작 영화로, 바이올린 제작자의 아내의 예언과 붉은색 바니시의 비밀을 간직하고 있으며, 프랑수아 지라르 감독, 다국적 배우 출연, 존 코릴리아노의 아카데미 수상 음악이 특징이다. - 몬트리올에서 촬영한 영화 - 마터스: 천국을 보는 눈
마터스: 천국을 보는 눈은 2008년 개봉한 프랑스 공포 영화로, 고문에서 탈출한 뤼시의 복수와 비밀 결사의 고문 실험을 통해 영적 깨달음을 얻는 과정을 폭력적으로 묘사한다. - 몬트리올에서 촬영한 영화 - 터미널 (2004년 영화)
터미널은 2004년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영화로, 쿠데타로 입국이 거부된 남자가 공항에서 9개월 동안 생활하며 겪는 이야기를 톰 행크스 주연으로 그렸다.
몬트리올 예수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영화 정보 | |
제목 | 몬트리올 예수 |
원제 | Jésus de Montréal |
감독 | 데니 아르캉 |
제작 | 로저 프라피에 피에르 겐드론 모니크 레투르노 |
각본 | 데니 아르캉 |
출연 | 로테어 블루토 카트린 윌케닝 조안-마리 트렘블레 |
음악 | 이브 라페리에르 |
촬영 | 기 뒤포 |
편집 | 이사벨 드디외 |
배급사 | 시네플렉스 오데온 필름 (캐나다) UGC 배급 (프랑스) |
개봉일 | 1989년 5월 17일 |
상영 시간 | 118분 |
국가 | 캐나다 프랑스 |
언어 | 프랑스어 영어 |
제작비 | |
예산 | 420만 달러 |
흥행 | |
흥행 수입 | 300만 캐나다 달러 (캐나다) |
2. 줄거리
몬트리올에서 다니엘이라는 무명 배우가 로마 가톨릭 순례지("르 상크튀에르")에 고용되어 정원에서 수난극을 공연하게 된다. 르클레르 신부는 다니엘에게 교회가 사용해 온 고전적인 연극을 "현대화"해 달라고 요청한다. 이후 다니엘은 배우들을 모았고, 콘스탄스와 미레유와 함께 살게 되었다.
2. 1. 수난극의 현대적 재해석
다니엘은 예수의 역사성을 확인하기 위해 고고학을 참고하고 탈무드 속 예수에 대한 정보를 참고하여 예수의 이름으로 탈무드에 나오는 예슈아 벤 판테라를 사용하는 등 집중적인 학문 연구를 수행한다.[4] 그는 예수의 생물학적 아버지가 미혼의 마리아를 임신시킨 직후 팔레스타인을 떠난 로마 병사였다는 주장을 포함시켰다.[4] 다니엘은 사회적으로 소외된 배경을 가진 배우들을 모아 수난극을 준비한다.[4]2. 2. 논란과 갈등
다니엘의 연극은 관객들의 열광적인 반응을 얻으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교회 당국은 연극의 내용이 신성 모독적이라고 판단하고, 다니엘에게 압력을 가했다. 르클레르 신부는 다니엘의 연극을 논란의 여지가 있다고 여겼으며, 다니엘과 거리를 두었다.[1] 미레유의 오디션에서 미레유가 상의를 벗으라는 지시를 받자 격분한 다니엘은 장비를 파손하고 감독을 폭행하여 형사 고발을 당하기도 했다.[1]교회 상위 당국은 예수에 대한 다니엘의 해석에 강하게 반대하며 공연을 중단시켰고, 이에 관객과 배우들은 반대했다. 이 과정에서 다니엘은 사고로 부상을 입게 된다.[1] 다니엘은 동료 배우들과 함께 교회 당국의 탄압에 맞서 싸웠지만, 결국 뇌사 판정을 받게 되었다.[1]
2. 3. 비극적 사건과 결말
몬트리올에서 공연 도중, 로마 가톨릭 교회 상위 당국의 반대로 보안군이 공연을 중단시키자, 관객과 배우들은 이에 반대했고, 이 과정에서 다니엘은 부상을 입었다.[7]다니엘은 먼저 과밀한 가톨릭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방치되었다. 이후 몬트리올 지하철 승강장에서 쓰러졌고, 같은 구급차에 의해 유대계 종합 병원으로 이송되었다. 의사와 간호사의 즉각적이고 숙련된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는 뇌사 판정을 받았다. 알려진 친척이 없어 그의 친구들이 장기 기증에 동의했고, 의사는 30분만 더 일찍 왔더라면 살릴 수 있었다고 말했다. 사망 후, 그의 눈과 심장은 다른 환자들의 건강 회복을 위해 사용되었다.[8]
다니엘의 사후, 그의 친구들은 그의 작품을 이어가기 위해 극단을 창단했다.
3. 등장인물
배우 | 배역 | 성경 속 인물 |
---|---|---|
로이 듀푸이 | 마르셀 브로슈 | |
세드릭 노엘 | 파스칼 베르제 | 세례자 요한[7] |
드니 아르캉 감독은 1988년 영화 《가슴을 향해》에서 조앤-마리 트렘블레이를 보고 콘스턴스 역으로 캐스팅했다.[9] 콘스턴스는 다니엘의 배우 중 한 명으로, 그와 함께 살게 된다. 트렘블레이는 아르캉의 후기 영화인 《야만적 침략》(2003)과 《어둠의 시대》(2007)에서도 같은 역을 연기했다.
로베르 르파주는 다니엘의 "제자" 중 한 명인 르네 역을 맡았는데, 그는 극작가였다. TV와 학생 영화 외에 《몬트리올의 예수》가 그의 첫 번째 주요 연기 역할이었다고 한다. 그는 각본이 완벽하고 자세해서 예상했던 것보다 즉흥 연기의 여지가 적었다고 말했다.
3. 1. 주요 인물
wikitext배우 | 배역 | 성경 속 인물 |
---|---|---|
로테어 블루토 | 다니엘 쿨롬브 | 예수[1] |
캐서린 윌케닝 | 미레유 | 마리아 막달레나[2] |
조앤-마리 트렘블레이 | 콘스턴스 |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3] |
레미 지라르 | 마르탱 | 성 베드로[4] |
로버트 르파주 | 르네 | 사도[5] |
질 펠르티에 | 르클레르 신부 | 유다 이스카리옷 (가능성)[6] |
- 다니엘 쿨롬브 (로테어 블루토 분): 몬트리올의 무명 배우로, 수난극에서 예수 역을 맡아 연극을 이끈다. 예수의 역사성에 대한 깊은 탐구를 통해 기존의 종교적 해석에 도전하는 인물이다.
- 미레유 (캐서린 윌케닝 분): 배우로, 다니엘의 수난극에서 마리아 막달레나 역을 맡는다.
- 콘스턴스 (조앤-마리 트렘블레이 분): 배우로, 다니엘의 수난극에서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 역을 맡는다.
- 마르탱 (레미 지라르 분): 배우로, 다니엘의 수난극에서 성 베드로 역을 맡는다.
- 르네 (로버트 르파주 분): 배우로, 다니엘의 수난극에서 사도 역을 맡는다.
- 르클레르 신부 (질 펠르티에 분): 다니엘에게 수난극을 의뢰한 신부로, 연극 내용에 대해 논란을 제기한다. 유다 이스카리옷과 유사점이 있다는 해석이 있다.[6]
3. 2. 조연
4. 제작
미술은 프랑수아 세귄이 담당했다.
4. 1. 기획 및 각본
드니 아르캉 감독은 몬트리올 음악 학교 오디션에서 한 배우가 수염을 기르고 나타나 "죄송합니다, 제가 예수입니다."라고 사과한 후 영화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었다.[7] 그 배우는 생 조셉 성당에서 예수 역할을 맡았다고 설명했다. 아르캉은 그 연극을 보러 갔고, "저는 관광객들의 우렁찬 박수를 받는 평범한 연출의 배우들을 보았습니다. 저는 영화를 만들어야겠다고 결심했습니다."라고 회상했다.[8]가톨릭 신자였다가 떠나고 무신론자를 자처하는 아르캉은 ''몬트리올 예수''를 종교 영화로 구상하지 않았으며, "제 영화에서 수난 이야기는 예술가와 그의 고뇌와 유혹에 대한 은유입니다."라고 덧붙였다.[2] 그는 1987년에 1년 동안 각본을 썼다.[7]
4. 2. 촬영
드니 아르캉 감독은 몬트리올에서 이동식 카메라를 사용하여 현장 촬영을 진행했다. 몬트리올은 스카이라인에 많은 교회가 있어 "시작부터 가톨릭의 중심지"였다.[2] 아르캉은 몬트리올을 멀리서 또는 공중에서 촬영하여 도시를 바라보는 하느님을 표현했다고 언급했다.아르캉은 몬트리올의 프랑스계 캐나다 교회들이 건물 내부 촬영 허가를 거부했지만, 영어를 사용하는 가톨릭 교회는 촬영팀에게 공간 사용을 허가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교회 신자들이 시나리오를 보여달라고 요청했지만, 프랑스어를 읽을 수 없었고 임대료가 필요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2] 일부 장면은 생 조셉 성당 근처에서 촬영되었다.[2] 수난극 장면에는 상당량의 영화용 피가 필요했다.
5. 영화 속 상징과 알레고리
영화는 신약 성경의 내용과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으며,[4] 현대 퀘벡 사회와 복음서 사이의 관계를 암시한다.[4] 다니엘은 예수, 그의 동료 배우들은 예수의 제자들과 대응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4]
다니엘의 행동은 성전 정화[5], 예수의 유혹 등 성경 속 사건들을 연상시킨다.[6] 세례자 요한이 예수를 칭송했던 것처럼 다니엘을 칭찬하는 파스칼 베르제라는 인물은 광고주가 향수를 팔기 위해 그의 사진을 사용했을 때 "머리를 잃"는데, 이는 세례자 요한이 참수되었던 것과 같다.[4]
다니엘은 인도와 티베트를 여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예수에 대한 "성경 외적 전설"을 반영한다.[4]
부상 이후, 다니엘은 유대인 종합 병원으로 이송되는데, 감독인 아르캉은 이것이 예수가 유대인이라는 것을 의도적으로 비유한 것이라고 말했다.[4]
다니엘의 죽음과 장기 기증은 예수의 부활과 전 세계적인 영향력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4] 그의 장기는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멀리 떨어진 환자들에게 기증되는데, 이는 맹인의 시력을 회복시키고 죽은 자를 살리는 예수의 기적을 되풀이한다.[4] 다니엘의 "제자들" 또한 그가 죽은 후에도 그의 일을 계속한다.[5]
6. 평가
''몬트리올 예수''는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리뷰 애그리게이터 웹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16개의 리뷰를 기반으로 69%의 지지율을 기록했으며, 평균 평점은 6.8/10이다.[14]
로저 이버트는 이 영화에 별 3개 반을 주면서 아르캉을 "퀘벡 영화 제작자 신세대 중 최고"라고 칭찬했고, "아르캉이 이것을 신학과 드라마로 동시에 만드는 방식이 흥미롭다"고 말했으며, 로타르 블루토는 완벽한 캐스팅이라고 덧붙였다.[5] ''뉴욕 타임스''의 캐린 제임스는 이 영화를 "지적"이고 "대담하다"고 칭하며, 특히 "무겁고 자의식적인 그리스도 이미지를 묘사하기 전"의 전반부를 칭찬했다.[15] ''롤링 스톤''의 피터 트래버스는 "아르캉은 자신의 위선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광야의 목소리를 들을 수 없는 세상을 드러냈다"고 썼다.[16] 조나단 로젠바움은 이 영화를 "꼭 봐야 할 영화"라고 불렀다.[17]
반면, ''뉴욕''의 데이비드 덴비는 ''몬트리올 예수''가 "처음부터 거만했다"고 느꼈지만, 아르캉의 "연극성과 기술" 덕분에 영화는 지루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18] ''엔터테인먼트 위클리''는 이 영화에 C−를 주며 영화에서 묘사된 논쟁에 의문을 제기하며 "지난 20년 동안 캐나다에서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의 순회 공연을 한 번도 보지 못했나?"라고 묻고, 이 영화가 "거만함과 가짜 신비주의 사이를 오간다"고 주장했다.[19] ''워싱턴 포스트''의 할 힌슨은 다니엘이 배우들을 모으는 장면이 영화의 가장 좋은 부분이지만, 나머지는 구식이라고 말했다.[20]
토론토 국제 영화제 평론가들은 1993년과 2004년에 이 영화를 역대 캐나다 영화 10선에서 2위로, 2015년에는 4위로 선정했다.[21] 2003년, ''가디언''의 롭 매키는 이 영화를 "생각을 자극하고 기발하게 웃긴" 영화라고 칭하며 "로타르 블루토는 매력적인 중심 인물로, 그의 연기는 모든 것을 이해하게 만든다"고 말했다.[22] 2010년, 영국의 평론가 마크 커모드는 블루토를 "예수의 최고의 스크린 얼굴 10인" 중 한 명으로 꼽으며, 그를 "매혹적"이라고 칭찬하고 이 영화를 "진정한 걸작"이자 "진정한 영화적 기적"이라고 칭찬했다.[23] 2014년, 몬트리올 기반의 ''라 프레스''의 마크-앙드레 뤼시에는 이 영화를 훌륭하다고 칭찬했다.[24] ''E! 온라인''은 이 영화를 세 번째 최고의 "예수에게 영감을 받은" 영화로 선정하며, "아름답고" "창의적"이라고 칭찬했다.[25] 2001년, ''플레이백''이 실시한 업계 설문조사에서는 지난 15년간 최고의 캐나다 영화 6위로 선정되었다.[26]
6. 1. 흥행
캐나다에서 이 영화는 그 해 캐나다 영화 중 최고의 흥행 성적을 거둔 영화에게 수여되는 골든 릴 상을 수상했으며,[10] 캐나다에서 총 2530000CAD의 수익을 올렸다.[11] 최종적으로 3000000CAD의 수익을 올렸다.[3] 영국령 캐나다에서는 1987년과 1990년 사이에 500000CAD 이상을 벌어들인 세 편의 캐나다 영화 중 하나였으며, 블랙 로브 및 데드 링거스와 함께 747000CAD의 수익을 올렸다.''몬트리올의 예수''는 아르캉의 이전 작품인 ''미국 제국의 쇠퇴''(1986)만큼 프랑스에서 성공을 거두지 못했으며,[12] 187,827명의 관객을 동원하여 현재까지 퀘벡 영화 중 8번째로 높은 기록을 세웠다. 일반적으로 이 영화는 로마 가톨릭 인구가 많은 국가에서 예상만큼 관객을 동원하지 못했는데, 아르캉은 영화 제목에 예수라는 이름을 사용하는 것이 주제를 진부하게 보이게 만들었다고 주장했다.[13] 미국에서 스티븐 J. 니콜스는 이 영화를 "그리 인기가 없는" 영화라고 언급하며, 마틴 스코세지의 ''그리스도 최후의 유혹''이 예수의 극적인 묘사에서 "1980년대를 지배했다"고 말했다.
6. 2. 비평
''몬트리올 예수''는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리뷰 애그리게이터 웹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16개의 리뷰를 기반으로 69%의 지지율을 기록했으며, 평균 평점은 6.8/10이다.[14]로저 이버트는 이 영화에 별 3개 반을 주면서 아르캉을 "퀘벡 영화 제작자 신세대 중 최고"라고 칭찬했고, "아르캉이 이것을 신학과 드라마로 동시에 만드는 방식이 흥미롭다"고 말했으며, 로타르 블루토는 완벽한 캐스팅이라고 덧붙였다.[5] ''뉴욕 타임스''의 캐린 제임스는 이 영화를 "지적"이고 "대담하다"고 칭하며, 특히 "무겁고 자의식적인 그리스도 이미지를 묘사하기 전"의 전반부를 칭찬했다.[15] ''롤링 스톤''의 피터 트래버스는 "아르캉은 자신의 위선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광야의 목소리를 들을 수 없는 세상을 드러냈다"고 썼다.[16] 조나단 로젠바움은 이 영화를 "꼭 봐야 할 영화"라고 불렀다.[17]
하지만 ''뉴욕''의 데이비드 덴비는 ''몬트리올 예수''가 "처음부터 거만했다"고 느꼈지만, 아르캉의 "연극성과 기술" 덕분에 영화는 지루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18] ''엔터테인먼트 위클리''는 이 영화에 C−를 주며 영화에서 묘사된 논쟁에 의문을 제기하며 "지난 20년 동안 캐나다에서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의 순회 공연을 한 번도 보지 못했나?"라고 묻고, 이 영화가 "거만함과 가짜 신비주의 사이를 오간다"고 주장했다.[19] ''워싱턴 포스트''의 할 힌슨은 다니엘이 배우들을 모으는 장면이 영화의 가장 좋은 부분이지만, 나머지는 구식이라고 말했다.[20]
토론토 국제 영화제의 평론가들은 1993년과 2004년에 이 영화를 역대 캐나다 영화 10선에서 2위로, 2015년에는 4위로 선정했다.[21] 2003년, ''가디언''의 롭 매키는 이 영화를 "생각을 자극하고 기발하게 웃긴" 영화라고 칭하며 "로타르 블루토는 매력적인 중심 인물로, 그의 연기는 모든 것을 이해하게 만든다"고 말했다.[22] 2010년, 영국의 평론가 마크 커모드는 블루토를 "예수의 최고의 스크린 얼굴 10인" 중 한 명으로 꼽으며, 그를 "매혹적"이라고 칭찬하고 이 영화를 "진정한 걸작"이자 "진정한 영화적 기적"이라고 칭찬했다.[23] 2014년, 몬트리올 기반의 ''라 프레스''의 마크-앙드레 뤼시에는 이 영화를 훌륭하다고 칭찬했다.[24] ''E! 온라인''은 이 영화를 세 번째 최고의 "예수에게 영감을 받은" 영화로 선정하며, "아름답고" "창의적"이라고 칭찬했다.[25]
2001년, ''플레이백''이 실시한 업계 설문조사에서 이 영화는 지난 15년간 최고의 캐나다 영화 6위로 선정되었다.[26]
참조
[1]
웹사이트
Jésus de Montréal (1989)
https://lumiere.obs.[...]
2023-05-12
[2]
뉴스
The Passion Of Denys Arcand
https://www.washingt[...]
2016-08-04
[3]
간행물
Canadian Films At Home
1990-11-19
[4]
간행물
An Actor Died for Your Sins
1990-06-04
[5]
웹사이트
Jesus of Montreal
http://www.rogereber[...]
2016-08-04
[6]
논문
Jesus of Montreal (Jésus de Montréal) by Denys Arcand
1990-Autumn
[7]
웹사이트
Canadian Director Tries Loftier Topic After 'Decline': Movies: Denys Arcand wins praise and a prize at Cannes for 'Jesus de Montreal.'
https://www.latimes.[...]
2016-08-04
[8]
논문
Réflexions Denys Arcand
2007-12-16
[9]
웹사이트
Johanne Marie Tremblay
http://ici.radio-can[...]
2016-08-28
[10]
논문
Contradictions and Paradoxes in Denys Arcand's The Barbarian Invasion
2005–2006
[11]
간행물
The English track runs slow in Canada
1990-05-02
[12]
웹사이트
Jésus de Montréal présenté à Paris
http://www.journalde[...]
2016-08-05
[13]
웹사이트
Denys Arcand Offers a 'Jesus' for the 1990's
https://www.nytimes.[...]
2016-08-05
[14]
웹사이트
Jésus De Montréal (Jesus Of Montreal) (1989)
https://www.rottento[...]
2016-08-04
[15]
웹사이트
A Modern Passion Play In Montreal
https://www.nytimes.[...]
2016-08-04
[16]
간행물
Jesus of Montreal
https://www.rollings[...]
2016-08-04
[17]
웹사이트
Modern Messiah Jesus of Montreal
http://www.jonathanr[...]
2016-08-07
[18]
간행물
An Actor Died for Your Sins
1990-06-04
[19]
간행물
Jesus of Montreal
http://www.ew.com/ar[...]
2016-08-05
[20]
뉴스
Jesus of Montreal
https://www.washingt[...]
2016-08-05
[21]
백과사전
Top 10 Canadian Films of All Time
http://www.thecanadi[...]
2016-08-04
[22]
웹사이트
Jesus of Montreal
https://www.theguard[...]
2016-08-04
[23]
웹사이트
The 10 best screen faces of Jesus
https://www.theguard[...]
2016-08-05
[24]
웹사이트
Jésus de Montréal ressuscité à Paris
http://www.lapresse.[...]
2016-08-05
[25]
웹사이트
Top 10 Jesus-Inspired Movies
http://www.eonline.c[...]
2016-08-04
[26]
뉴스
Egoyan tops film poll
2001-11-25
[27]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Jesus of Montreal
http://www.festival-[...]
2009-08-01
[28]
웹사이트
On his way to victory
http://www.torontopu[...]
2016-08-05
[29]
웹사이트
The 62nd Academy Awards (1990) Nominees and Winners
http://www.oscars.or[...]
2015-09-06
[30]
웹사이트
Film Not in the English Language in 1991
http://awards.bafta.[...]
2016-08-05
[31]
백과사전
Jésus de Montréal (Jesus of Montreal)
http://www.thecanadi[...]
2016-08-04
[32]
웹사이트
Jesus of Montreal
http://www.goldenglo[...]
2016-08-04
[33]
웹사이트
1990 Award Winners
http://www.nationalb[...]
2016-08-07
[34]
뉴스
Teen film is surprise Best Picture winner at Seattle Film Festival
1990-06-19
[35]
웹사이트
Film and Video Awards: Toronto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ttp://www.lib.berke[...]
2016-08-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