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성 권설 파찰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성 권설 파찰음은 혀를 말아 윗잇몸 뒤쪽이나 경구개에 닿게 하여 기류를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소리이다. 국제 음성 기호로는 [t͡ʂ]로 표기하며, 혀의 중앙 틈새로 공기가 통과하는 중설음이자, 성대의 진동이 없는 무성음이다. 표준 중국어, 폴란드어, 슬로바키아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사용되며, 표기법과 발음이 언어에 따라 다르다.

2. 조음 방법

무성 권설 파찰음은 혀끝을 윗잇몸 뒤쪽(후치경)이나 경구개에 닿게 하고, 혀의 중앙 틈새로 공기가 통과하면서 나는 소리이다. 이때 성대는 진동하지 않는다. 조음 과정은 다음과 같다.


  • 혀끝을 위로 말아 올려 윗잇몸 뒤쪽이나 경구개에 닿게 한다. (→ 권설 위치)
  • 혀의 중앙 틈새로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완전히 막혔던 틈새를 서서히 개방하여 마찰음을 동반하는 파찰음을 만든다. (→ 파찰 과정)
  • 연구개(입천장 뒷부분)를 올려 비강(콧구멍)으로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막는다.(→ 구강음)
  • 성대를 진동시키지 않는다.(→ 무성음)[1]

2. 1. 권설 위치

혀끝을 위로 말아 올려 윗잇몸 뒤쪽(후치경)이나 그보다 더 뒤쪽(경구개)에 닿게 한다. 이때 혀끝이 닿는 위치에 따라 설단음 또는 설면음으로 구분될 수 있다.[1]

2. 2. 파찰 과정


  • 조음 위치는 권설음으로, 혀끝을 말아 올려 혀의 아랫부분으로 발음한다. 더 일반적으로는 후치경음이지만 구개음화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즉, 혀끝을 아래로 향하게 하는 조음 외에도 혀를 뾰족하게(설단) 하거나 평평하게(설면) 할 수 있다.
  • 조음 방법
  • 구강 내 기류는 혀의 중앙 틈새로 통과하는 중설음이다.
  • 조음 기관의 접근 정도는 완전한 폐쇄를 서서히 개방하여 틈새에서 일어나는 마찰음을 동반하는 파열음(파찰음)이다.
  • 연구개의 위치는 연구개를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는 구음이다.

2. 3. 무성음

2. 4. 구강음


  • 조음 위치 - 혀끝을 들어 올려 치경 후부에서 조음되는 설단음이다.
  • 조음 방법
  • * 구강 내 기류 - 혀의 중앙 틈새로 기류가 통과하는 중설음이다.
  • * 조음 기관의 접근 정도 - 완전한 폐쇄를 서서히 개방하여 틈새에서 일어나는 마찰음을 동반하는 파열음(파찰음).
  • * 연구개(입천장 뒷부분)를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는 구강음이다.

2. 5. 중설음


  • 조음 방법
  • ** 구강 내 기류 - 혀의 중앙 틈새로 기류가 통과하는 중설음이다.
  • ** 조음 기관의 접근 정도 - 완전한 폐쇄를 서서히 개방하여 틈새에서 일어나는 마찰음을 동반하는 파열음(파찰음)이다.
  • ** 연구개의 위치 - 연구개를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는 구음이다.

2. 6. 폐활음


  • 기류 발생은 폐(폐장기류기구)에서 나오는 호기를 이용한다.[1]
  • 발성은 성대 진동을 동반하지 않는 무성음이다.[1]
  • 조음[1]
  • * 조음 위치는 혀끝을 들어 올려 치경 후부에서 조음하는 설단음이다.[1]
  • * 조음 방법[1]
  • ** 구강 내 기류는 혀의 중앙 틈새로 기류가 통과하는 중설음이다.[1]
  • ** 조음 기관의 접근 정도는 완전한 폐쇄를 서서히 개방하여 틈새에서 일어나는 마찰음을 동반하는 파열음(파찰음)이다.[1]
  • ** 연구개의 위치는 연구개를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는 구음이다.[1]

3. 언어별 사용

표준 중국어, 눠쑤어에서는 병음 'zh', 'ch'로 표기하는데, 'ch'는 유기음이다. 슬로바키아어에서는 'č', 세르보크로아트어에서는 키릴 문자 'ч'와 라틴 문자 'č', 베트남어마푸체어에서는 'tr', 폴란드어에서는 'cz'로 표기한다.

언어단어IPA의미참고
아디게어[t͡ʂəɣə]'나무'
아스투리아스어일부 방언[1][2]ḷḷobuast[t̠͡ʂoβu]'늑대'표준 [ʎ]에 해당한다.
벨라루스어пачатакbe[pat̠͡ʂatak]'시작'설단음. 벨라루스어 음운론 참조
한티어동부 방언
남부 방언
ҷӓңҷkca[t̠͡ʂaɳt̠͡ʂ]'무릎'북부 방언에서는 무성 권설 마찰음 [ʂ]에 해당한다.
마푸둥군어trafoyarn[t̠͡ʂa.ˈfoj]'깨졌다'무성 후치경 파찰음과 대조: chafoyarn [t͡ʃa.ˈfoj] '그/그녀는 기침했다'
북부 챵어zhescng[t̠͡ʂəs]'그저께'유기음 및 유성음 형태와 대조된다.
케추아어카하마르카-카냐리스chupaqu[t̠͡ʂupə]'꼬리'
러시아어лу́чшеru / luchshe[ˈɫut͡ʂʂə]'더 나은'
실레지아어szczopekszl[ʂt̠͡ʂopɛk]'파이크'
토르왈리어ڇووو|rtl=yestrw[t̠͡ʂuwu]'꿰매다'유기음 형태와 대조된다.
슬로바키아어čakaťsk[ˈt̠͡ʂäkäc]'기다리다'설단음.[1]
세르보크로아트어 / [t̠͡ʂe̞p]'코르크'설첨음. 방언에 따라 무성 치경구개 마찰음일 수 있다. 세르보크로아트어 음운론 참조[2]
베트남어tràvi[t̠͡ʂaː˨˩]'차'일부 화자.[3]
누수어ii / 'zh'a[t̠͡ʂa˧]'조금'유기음 형태와 대조된다.[5]


3. 1. 중국어

표준 중국어에서는 병음 'zh', 'ch'에서 이 소리가 나는데, 'ch'는 유기음이다.[3] 예를 들어, '中文'( / )은 으로 발음되며 '중국어'라는 뜻이다.[4] 이 발음은 설첨음이며, 유기음과 대조된다.

일부 방언에서는 권설음 대신 치경음 또는 치경구개음으로 발음되기도 한다.

표준 중국어에서는 유기음과 무기음의 음운 대립이 있다.

중국어의 무성 권설 파찰음
구분예시IPA
유기음chī (먹다)
무기음圆珠笔/圓珠筆 yuánzhūbǐ (볼펜)


3. 2. 러시아어

чru는 보통 무성 치경구개 파찰음(/t͡ɕ/)으로 소리나지만, шru 뒤에서는 권설 파찰음 [t͡ʂ]로 발음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더 나은"을 뜻하는 лу́чшеru는 [ˈɫut͡ʂʂə]로 발음된다.

3. 3. 폴란드어

폴란드어에서 'cz'는 무성 권설 파찰음 [t͡ʂ]로 소리난다.[5][6] 예를 들어 "시간"을 뜻하는 'czas'는 [ˈt͡ʂäs̪]로 발음된다. 폴란드어 학자들은 대부분 [t͡ʃ]로 표기한다. 폴란드어 음운론 참조.

일부 방언(남동부 쿠야비아 방언[7], 수와우키 방언[8])에서는 'c'가 [t͡ʂ]로 과도하게 교정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예를 들어 'cena'(가격)는 [ˈt̠͡ʂɛn̪ä]로 발음되는데, 이는 [t͡s]와 [t͡ʂ]가 합쳐진 [t̪͡s̪]를 과도하게 교정한 결과이다.

3. 4. 기타 언어


  • 슬로바키아어: 'č'로 표기하며, 'čakať'(기다리다) 등에서 나타난다.[1]
  • 세르보크로아트어: 키릴 문자 'ч', 라틴 문자 'č'로 표기하며, 'čep'(코르크) 등에서 나타난다.[2]
  • 베트남어: 'tr'로 표기하며, 'trà'(차) 등에서 나타난다.[3]
  • 마푸둥군어: 'tr'로 표기하며, 'trafoy'(깨졌다) 등에서 나타난다.[4]
  • 누수어: 'zh'로 표기하며, 'zha'(조금) 등에서 나타난다.[5]


언어단어IPA의미참고
슬로바키아어čakaťsk'기다리다'설단음.[1]
세르보크로아트어 / '코르크'설첨음. 방언에 따라 무성 치경구개 마찰음일 수 있다. 세르보크로아트어 음운론 참조[2]
베트남어tràvi'차'일부 화자.[3]
마푸둥군어trafoyarn'깨졌다'무성 후치경 파찰음과 대조: chafoyarn 그/그녀는 기침했다[4]
누수어ii / 'zh'a'조금'유기음 형태와 대조된다.[5]


4.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Normes ortográfiques http://www.academiad[...]
[2] 문헌
[3] 문헌
[4] 학회자료 An articulatory and acoustical analysis of the syllable-initial sibilants and approximant in Beijing Mandarin https://www.internat[...] 1999
[5] 문헌
[6] 문헌
[7] 웹사이트 Gwary polskie - Gwara regionu https://web.archive.[...] Gwarypolskie.uw.edu.pl 2013-11-13
[8] 웹사이트 Gwary polskie - Szadzenie https://web.archive.[...] Gwarypolskie.uw.edu.pl 2013-1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