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티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티어는 교착어이며 어순은 SOV이다. 명사, 인칭 대명사, 수사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헝가리어와 유사한 점을 보인다. 한티어는 1930년대 로마자 표기법, 1937년 키릴 문자 표기법을 거쳐 2000년 키릴 문자 표기법이 제정되었다. 바흐강 방언과 오비강 방언 등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며, 바흐강 방언은 분열 능격적인 격 변화를 보이는 특징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티만시 자치구의 문화 - 만시어
    만시어는 러시아 시베리아 만시족의 언어로, 헝가리어와 가까운 우랄어족에 속하며, 4개 방언 그룹으로 나뉘고 사멸 위기에 놓여 있으며, 북부 방언 기반의 문어와 키릴 문자 체계를 사용한다.
  • 야말로네네츠 자치구의 문화 - 셀쿠프어
    셀쿠프어는 시베리아 셀쿠프인들이 사용하는 사모예드어족 언어로, 나림, 스레드냐야 오브-케트, 타즈, 팀 방언으로 나뉘며, 특히 타즈 방언은 복잡한 음운 체계를, 남부 셀쿠프어는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가진다.
한티어
기본 정보
언어 이름한티어
자칭ханты ясаӈ
사용 국가러시아 한티만시 자치구
사용 지역아시아
사용자 수9,600명 (2010년)
언어 계통우랄어족
공용 국가해당 없음
표준해당 없음
ISO 639-1해당 없음
ISO 639-2해당 없음
ISO 639-3kca

2. 문법

한티어는 교착어이며, 어순은 SOV이다. 명사, 인칭 대명사, 수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2. 1. 명사

한티어의 명사에 붙는 접미사에는 쌍수 -ŋən|-ŋənKhanty, 복수 -(ə)t|-(ə)tKhanty, 여격 -a|-aKhanty, 처격/구격 -nə|-nəKhanty가 있다.

예시:

  • ''xot'' "집" (헝가리어 ''ház'', 핀란드어 ''koto''에 해당)
  • ''xotŋəna'' "두 개의 집으로"
  • ''xotətnə'' "(복수의) 집에서" (핀란드어의 표현 ''kotona'' "집에서"와 유사점에 주의. 핀란드어 양격 접미사 –na를 사용한 표현)


명사의 단수형, 쌍수형, 복수형에는 더 나아가 단수형, 쌍수형, 복수형 각각의 소유 접미사가 붙는다. 소유 접미사에는 3개의 인칭 구분이 있기 때문에 전부 33 = 27가지의 변화형이 존재하게 된다. 아래는 ''məs'' "암소"의 변화형의 일부 예시이다.

  • ''məsem'' "나의 암소" (단수)
  • ''məsemən'' "나의 (두 마리의) 암소" (쌍수)
  • ''məsew'' "나의 암소들" (복수)
  • ''məsŋətuw'' "우리들의 (두 마리) 암소" (쌍수)

2. 2. 인칭 대명사

한티어의 인칭 대명사 주격은 다음과 같다.

단수쌍수복수
1인칭maminmuŋ
2인칭naŋnənnaŋ
3인칭tuwtəntəw



1인칭 대명사 ''ma''는 대격 ''manət'', 여격 ''manəm''으로 격변화한다.

지시 대명사 및 지시 형용사는 다음과 같다.


  • ''tamə'' "이것, 이"
  • ''tomə'' "저것, 저"
  • ''sit'' "저기의"


(예시) ''tam xot'' "이 집"

기본적인 의문사는 다음과 같다.

  • ''xoy'' "누구"
  • ''muy'' "무엇"

2. 3. 수사

한티어와 헝가리어의 수사 비교
한티어헝가리어
yit, yiyegy
katn, katkettő, két
xutəmhárom
nyatənégy
wetöt
xuthat
tapəthét
nəvətnyolc
yaryaŋ (10에 미치지 못하지만 어원일까)kilenc
yaŋtíz
xushúsz
xutəmyaŋ (10이 3개)harminc
sotszáz



"10"과 1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면, 두 언어의 수사는 매우 유사하다. 또한, 두 언어 단어 간의 규칙적인 음운 대응에도 주의해야 한다.

예 (한티어 - 헝가리어 순)


  • "집": xot|xothu - haːz|haːzhu
  • "100 (수사)": sot|sothu - saːz|saːzhu

3. 문자

한티어는 러시아 혁명 이후 문어가 되었다. 1930년에는 라틴 문자 기반 표기법이, 1937년에는 키릴 문자에 <ң>() 문자를 더한 표기법이 만들어졌다. 한티어 문학 작품 표기에는 주로 카짐 방언, 슈리슈카르 방언, 중부 오비 방언 중 하나가 사용되며, 신문, 텔레비전, 라디오에서는 일반적으로 카짐 방언이 사용된다.

3. 1. 키릴 문자 (2000년대)

2000년에 제정된 한티어 키릴 문자는 다음과 같다.

Ӓ ӓӐ ӑБ бВ вГ гД дЕ е
Ё ёӘ әӚ ӛЖ жЗ зИ иЙ йК к
Қ қ (Ӄ ӄ)Л лԮ ԯ (Ԓ ԓ)М мН нҢ ң (Ӈ ӈ)Н’ н’О о
Ӧ ӧ (О̆ о̆)Ө өӪ ӫ (Ө̆ ө̆)П пР рС сТ тУ у
Ӱ ӱЎ ўФ фХ хҲ ҳ (Ӽ ӽ)Ц цЧ чҶ ҷ
Ш шЩ щЪ ъЫ ыЬ ьЭ эЄ єЄ̈ є̈
Ю юЮ̆ ю̆Я яЯ̆ я̆


3. 2. 키릴 문자 (1958년)

문자문자문자문자문자문자문자문자
А аӒ ӓ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
Ә әӚ ӛЖ жЗ зИ иЙ йК кӃ ӄ
Л лЛ’ л’М мН нӇ ӈО оӦ ӧӨ ө
Ӫ ӫП пР рС сТ тУ уӰ ӱФ ф
Х хЦ цЧ чЧ’ ч’Ш шЩ щЪ ъЫ ы
Ь ьЭ эЮ юЯ я


3. 3. 로마자 (1931–1937)

한티어가 문어가 된 것은 러시아 혁명 이후이다. 1930년에 먼저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표기법이 발명되었다.

문자A aB вD dE eӘ әF fH hҺ һ
문자I iJ jK kL lĻ ļŁ łM mN n
문자Ņ ņŊ ŋO oP pR rS sŞ ş
문자T tU uV vZ z


4. 방언

한티어는 크게 바흐강 유역 방언과 오비강 유역 방언으로 나뉜다. 바흐강 방언은 엄격한 모음 조화와 분열 능격적인 격 변화를 가지는 특징이 있는 반면, 오비강 방언은 모음 조화가 나타나지 않는다.

4. 1. 바흐강 방언

바흐강 유역의 방언은 다른 방언과 차이가 크며, 엄격한 모음 조화와 분열 능격적인 격 변화(tripartite case system)를 가지고 있다. 타동사주어목적어, 자동사의 주어가 모두 다른 지표로 표시되는 것이 특징이다. 타동사의 주어는 접미사 ''-nə-''로 표시되며, 타동사의 목적어는 대격의 접미사로 표시된다. 자동사의 주어는 특별한 지표가 붙지 않아, 능격 언어처럼 절대격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타동사는 주어에 일치하여 인칭 변화를 한다.

4. 2. 오비강 방언

오비강 방언의 음운에는 자음 와 단모음 , 장모음 , 그리고 약모음 가 있다. 약모음은 어두에 나타나지 않는다. 위의 바흐강 방언과 달리 모음 조화가 없다.

5. 표기법의 역사

한티어가 문어가 된 것은 러시아 혁명 이후로, 1930년에 먼저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표기법이 발명되었고, 1937년에는 키릴 문자에 <ң> 문자를 더한 표기법이 만들어졌다. 한티어에 의한 문학 작품의 표기에는 주로 카짐 방언, 슈리슈카르 방언, 중부 오비 방언 중 하나가 사용된다. 신문이나 텔레비전, 라디오에서는 일반적으로 카짐 방언이 사용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