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의 예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법의 기술》은 그리스어로 쓰인 최초의 문법 저작으로, 서양 언어에 관한 최초의 저작으로 평가받는다. 이 책은 코이네 그리스어 사용자들이 호메로스 및 기타 고대 시인들의 언어를 이해하도록 돕기 위해 쓰였으며, 훈련된 독해를 포함한 여섯 가지 부분과 아홉 부분으로 된 단어 분류 체계를 포함한다. 8품사 체계는 전통 문법뿐만 아니라 현대 언어학적 영문법에도 영향을 미쳤다. 아리스토텔레스의 흐름을 잇는 알렉산드리아 학파의 문헌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디오니시오스 트락스가 저술했으며, 라틴 문법의 규범이 되었고 중세 유럽 문법학의 기초가 되었다. 6세기에 시리아어와 아르메니아어로 번역되었으며, 2022년 5월 기준으로 일본어 및 한국어 번역본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어학사 - 학자의 지침서
《학자의 지침서》는 게일어 문법과 오검 문자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중세 아일랜드의 필사본으로, 페니우스 파르사이드, 아메르긴 글링겔, 페르케르트네 필리드, 켄 파엘라드 막 알레야의 저서로 구성되어 있다. - 언어학사 - 언어적 전회
언어적 전회는 20세기 철학과 인문학에서 언어의 역할을 재조명하고 분석의 중심 대상으로 삼는 사상적 전환으로, 언어와 논리에 대한 관심 증가와 함께 언어 분석을 통해 형이상학적 문제에 접근하며 현실 인식과 구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관점을 제시했다. - 언어학 책 - 지식의 고고학
지식의 고고학은 미셸 푸코가 제시한 지식 분석 방법론으로, '주장'이라는 개념을 통해 담론의 의미 생성 과정을 탐구하며, 주장들의 조직적인 분산인 '담론 형성' 분석을 통해 지식 양식 간의 불연속성과 복잡한 관계에 주목하여 지식의 생성과 변형 과정을 밝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언어학 책 - 말과 사물
미셸 푸코의 《말과 사물》은 서구 사상사를 르네상스, 고전, 근대로 나누어 각 시대의 지식 체계인 에피스테메 변화를 분석하고, 각 에피스테메가 지식 생산 방식과 인간 이해에 미친 영향을 밝히며, 특히 근대에 '인간' 개념이 형성되었음을 강조하고, 벨라스케스의 《시녀들》 분석을 통해 고전적 표상과 근대적 표상의 차이를 보여주는 책이다.
문법의 예술 |
---|
2. 내용
《문법의 예술》은 그리스어로 쓰인 최초의 문법 저작이자, 서양 언어에 관한 최초의 저작으로 평가받는다. 이 책은 주로 코이네 그리스어 사용자들이 호메로스 및 기타 고대 시인들의 언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쓰였다.[1] 또한 이 책은 널리 읽히는 고대 작가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고대 텍스트를 어떻게 연기해야 하는지에 대한 자료가 되었다.[2]
2. 1. 문법의 구성
이 책은 문법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여섯 가지 부분을 제시한다. 여기에는 훈련된 독해 능력과 특정 시적 인물들이 사용하는 방언에 대한 이해가 포함된다.[3] 또한 단어를 아홉 부분으로 나누는 분류 체계를 제시하는데, 이는 이전의 여덟 부분 분류 체계에서 벗어난 것이다.[4] 형태론적으로는 중간태가 없는 구조를 설명하며,[5] 별도의 형태론적 분석 없이 단어와 패러다임 모델을 사용하여 문법을 다룬다.[6][7]2. 2. 8품사
이 책에서는 그리스 문법을 명사, 동사, 분사, 관사, 대명사, 전치사, 부사, 접속사 등 8가지 품사로 분류하였다. 이 책에서 제시된 8품사와 그 정의는 전통 문법뿐만 아니라 현대의 언어학적 영문법에 이르기까지 오랫동안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전통 문법 이후에 등장하는 변형생성문법에서는 처음부터 품사 정의에 대한 비판이나 논의 없이 8품사를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 여러 쟁점들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12][13]3. 역사
《문법의 기술》( Τέχνη γραμματική|테크네 그람마티케grc)은 그리스어로 쓰인 최초의 문법 저작이자, 서양 언어에 관한 최초의 저작으로 알려져 있다. 이 책은 주로 코이네 그리스어 사용자들이 호메로스 및 기타 고대 시인들의 언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쓰였다.[1] 또한 널리 읽히는 고대 작가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고대 텍스트를 어떻게 읽고 해석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서 역할을 했다.[2] 문법 이해를 위해 훈련된 독해를 포함한 여섯 가지 요소가 제시되었는데, 여기에는 특정 시적 인물의 방언을 이해하는 것도 포함되었다.[3] 이 책은 기존의 여덟 부분 분류 체계에서 벗어나 아홉 부분으로 된 단어 분류 체계를 제시했다.[4] 형태론적으로는 중간태가 없는 구조를 설명했으며,[5] 별도의 형태론적 분석 없이 단어와 패러다임 모델을 사용했다.[6][7]
이 책의 탄생 배경에는 기원전 3세기경 아리스토텔레스의 학문적 흐름을 이은 알렉산드리아 학파의 고전 연구가 있다. 이들은 주로 호메로스 등의 고전을 연구했지만, 당시에는 이미 의미를 알 수 없는 단어가 많아 문맥을 통해 추측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그러나 여러 방언에 대한 연구를 통해 고전 텍스트의 의미를 명확히 할 수 있다는 점이 밝혀지면서, 스토아 학파의 철학적·논리학적 연구와는 구별되는 새로운 문헌학적 연구의 길이 열리게 되었다.
이러한 문헌학적 연구는 아리스타르코스의 제자인 디오니시오스 트락스와 아폴로니우스 디스콜로스가 주도했다. 그들은 개별적인 지식으로 이루어진 경험(ἐμπειρία|엠페이리아grc, empeiria)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문법의 기술》을 저술했다. 이 책은 이후 라틴 문법의 규범이 되었고, 중세에 이르기까지 천 년 넘게 유럽 문법학의 기초를 이루었다.[10]
3. 1. 저본 및 진위 논쟁
현재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저본은 1883년에 구스타프 울리히가 여덟 개의 사본을 바탕으로 작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 저본의 신빙성에 관한 논쟁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논쟁점으로는 "피리어드는 콤마와 어떻게 다른가?"나 "장소"와 같은 특정 절들이 원래 문헌에 포함되었는지 여부 등이 있다[11].4. 번역
6세기에 니시비스 학파의 요셉 후자야에 의해 시리아어로 번역되었다.[8] 또한 아르메니아어로도 번역되었다.[9]
현대에는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는데, 예를 들어 영어로는 J. Alan Kemp의 번역본(1986년)과 앤서니 알콕의 번역본(온라인)이 있다. 프랑스어로는 장 랄로의 번역 및 주석본(2003년)이 있으며, 독일어로는 K. 린케가 편집한 단편 모음집(1977년)이 출간되었다.
2022년 5월 기준으로 일본어 번역본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한국어 번역본 역시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Art of Grammar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10-07-15
[2]
논문
Literary Performance in the Imperial Schoolroom as Historical Reënactment: The Evidence of the Colloquia, Scholia to Canonical Works, and Scholia to the Techne of Dionysius Thrax
http://dx.doi.org/10[...]
2015
[3]
서적
Die Fragmente des Grammatikers Dionysios Thrax
http://dx.doi.org/10[...]
DE GRUYTER
2021-12-08
[4]
논문
Linguistic Theories in the Rhetorical Works of Dionysius of Halicarnassus
https://www.jstor.or[...]
1983
[5]
간행물
Diathesis and Middle Voice in the Syriac Ancient Grammatical Tradition: The Translations and Adaptations of the Téchne Grammatiké and the Arabic Model
2008
[6]
서적
History and Historiography of Linguistics: Papers from the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History of the Language Sciences (ICHoLS IV), Trier, 24-28 August, 1987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1990
[7]
문서
Ancient Greeks on compounds: Aristotle, Dionysius Thrax, Apollonius Dyscolus.
2017
[8]
간행물
Diathesis and Middle Voice in the Syriac Ancient Grammatical Tradition: The Translations and Adaptations of the ''Téchne Grammatiké'' and the Arabic Model
https://hal.archives[...]
[9]
웹사이트
Armenian Early Printed Books (armbook)
http://greenstone.fl[...]
2023-12-14
[10]
문서
1957
[11]
문서
2017
[12]
서적
영어학개론
한국문화사
1998
[13]
서적
영어문법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