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성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文)은 한국의 성씨이며, 남평 문씨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남평 문씨의 시조는 고려 개국에 공을 세운 문다성이다. 장연 문씨, 정선 문씨, 강릉 문씨, 감천 문씨 등이 있으며, 각 본관별로 시조와 특징이 존재한다. '문'은 인명용 한자로 14자가 있으며, 이름 요소로 사용되기도 한다. 주목할 만한 인물로는 발해의 문왕, 고려 말 문신 문익점, 제19대 대통령 문재인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문 (성씨) |
---|
2. 본관별 문씨
'''남평 문씨'''(南平 文氏)의 시조 '''문다성'''(文多省)은 고려 개국에 공을 세워 삼중대광 벽상공신으로 남평백(南平伯)에 봉해지고 무성(武成)의 시호를 받았다고 한다.
문다성이 472년(백제 개로왕 18년) 갓난아기 때 백제 미동부리현(未冬夫里縣)의 장자못이라는 연못가의 높은 바위 위에서 발견되었다는 전설이 있으며,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에 문암(文巖)이라는 전설 속의 바위가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32호로 지정되어 있다.
선계를 고증할 수 없어 고려 숙종 때 산기상시(散騎常侍)를 지낸 '''문익'''(文翼)을 1세조로 하여 세계를 잇고 있다. 중시조 문익의 아들은 고려 인종 때 재상이었던 문공유(文公裕)·문공인(文公仁)이고,[5] 손자는 명종 때 명재상으로 이름난 문극겸(文克謙)이다.[6]
남평 문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38명을 배출하였다.[7] 2015년 인구는 445,946명이다.
장연 문씨(長淵 文氏) 시조 '''문인위'''(文仁渭)는 1009년(고려 현종 즉위년) 공부상서(工部尙書)가 되고, 1011년 우복야(右僕射)를 거쳐 참지정사(參知政事)가 되었으며, 1019년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에 이르렀다.
중시조 '''문정'''(文正)은 고려 문종 초 문과에 급제한 후 1093년(선종 10년)에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이르렀다. 시호는 정헌(貞獻)이며, 선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8]
2015년 인구는 51명이다.
'''정선 문씨'''(旌善文氏) 시조 '''문림간'''(文林幹)은 고려조에 태자소부(太子少傅)를 지냈으며, 문림간의 아들 문관(文冠)은 고려 문종 때 과거에 급제한 후 1111년(예종 6년) 수사공(守司空)·참지정사(叅知政事)에 이르렀다.[9] 2015년 인구는 19명이다.
강릉 문씨 시조 '''문장필'''(文章弼)은 1170년(고려 의종 24년) 무신란으로 중랑장이 된 뒤 1184년 참지정사를 거쳐 벼슬이 중서문하평장사·상장군에 이르렀다. 2015년 인구는 40명이다. 강릉 문씨는 남평 문씨와 같은 계통임을 주장한다.[2]
감천 문씨(甘泉 文氏) 시조 문세광(文世光)의 아들 문원길(文原吉)이 낭장(郎將)이 되었다고 한다. 감천 문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9명을 배출하였다. 2015년 인구는 1,076명이다.
문구(文龜)를 시조로 하는 감천 문씨는 남평 문씨(南平文氏)에서 분적하여 남평 문씨와 같은 뿌리임이 확인되어 《남평문씨대동보(南平文氏大同譜)》편간 시 합보되었다.
2. 1. 남평 문씨
'''남평 문씨'''(南平 文氏)의 시조 '''문다성'''(文多省)은 고려 개국에 공을 세워 삼중대광 벽상공신으로 남평백(南平伯)에 봉해지고 무성(武成)의 시호를 받았다고 한다.문다성이 472년(백제 개로왕 18년) 갓난아기 때 백제 미동부리현(未冬夫里縣)의 장자못이라는 연못가의 높은 바위 위에서 발견되었다는 전설이 있으며,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에 문암(文巖)이라는 전설 속의 바위가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32호로 지정되어 있다.
선계를 고증할 수 없어 고려 숙종 때 산기상시(散騎常侍)를 지낸 '''문익'''(文翼)을 1세조로 하여 세계를 잇고 있다. 중시조 문익의 아들은 고려 인종 때 재상이었던 문공유(文公裕)·문공인(文公仁)이고,[5] 손자는 명종 때 명재상으로 이름난 문극겸(文克謙)이다.[6]
남평 문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38명을 배출하였다.[7] 2015년 인구는 445,946명이다.
2. 1. 1. 강성 문씨
강성 문씨(江城文氏) 시조 문익점(文益漸)은 고려 말기 서장관으로 원나라에 갔다가 목화씨를 가지고 돌아왔다. 2015년 인구는 2,906명이다.[1]2. 2. 장연 문씨
장연 문씨(長淵 文氏) 시조 '''문인위'''(文仁渭)는 1009년(고려 현종 즉위년) 공부상서(工部尙書)가 되고, 1011년 우복야(右僕射)를 거쳐 참지정사(參知政事)가 되었으며, 1019년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에 이르렀다.[8]중시조 '''문정'''(文正)은 고려 문종 초 문과에 급제한 후 1093년(선종 10년)에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이르렀다. 시호는 정헌(貞獻)이며, 선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8]
2015년 인구는 51명이다.
2. 3. 정선 문씨
'''정선 문씨'''(旌善文氏) 시조 '''문림간'''(文林幹)은 고려조에 태자소부(太子少傅)를 지냈으며, 문림간의 아들 문관(文冠)은 고려 문종 때 과거에 급제한 후 1111년(예종 6년) 수사공(守司空)·참지정사(叅知政事)에 이르렀다.[9] 2015년 인구는 19명이다.2. 4. 강릉 문씨
문장필(文章弼)은 1170년(고려 의종 24년) 무신란으로 중랑장이 된 뒤 1184년 참지정사를 거쳐 벼슬이 중서문하평장사·상장군에 이르렀다.[2] 2015년 인구는 40명이다.[1] 강릉 문씨는 남평 문씨와 같은 계통임을 주장한다.[2]2. 5. 감천 문씨
감천 문씨(甘泉 文氏) 시조 문세광(文世光)의 아들 문원길(文原吉)이 낭장(郎將)이 되었다고 한다. 감천 문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9명을 배출하였다.[1] 2015년 인구는 1,076명이다.[1]문구(文龜)를 시조로 하는 감천 문씨는 남평 문씨(南平文氏)에서 분적하여 남평 문씨와 같은 뿌리임이 확인되어 《남평문씨대동보(南平文氏大同譜)》편간 시 합보되었다.[1]
2. 6. 기타 본관
파평 문씨는 2,687명, 743가구, 경주 문씨는 2,609명, 844가구, 나주 문씨는 2,537명, 765가구, 함평 문씨는 2,194명, 612가구로 조사되었다.[1]3. 이름
3. 1. 이름자 '문'
대한민국 정부의 인명용 한자 목록에는 '문'으로 읽히는 한자 14자가 있다.[4]- 門 (문 문 ''mun mun''): "문"
- 問 (물을 문 ''mureul mun''): "묻다"
- 聞 (들을 문 ''teureul mun''): "듣다"
- 文 (글월 문 ''geulwol mun''): "글"
- 汶 (물 이름 문 ''mul ireum mun''): 물의 이름
- 炆 (따뜻할 문 ''ddaddeuthal mun''): "따뜻하다"
- 紋 (무늬 문 ''munui mun''): "무늬", "도안"
- 們 (들 문 ''deul mun''): 복수형 지시사
- 刎 (목 벨 문 ''mok bel mun''): "목을 베다"
- 吻 (입술 문 ''ipsul mun''): "입술", "키스하다"
- 紊 (어지러울 문 ''eojireoul mun'', 문란할 문 ''munnanhal mun''): "어지러움", "혼란"
- 蚊 (모기 문 ''mogi mun''): "모기"
- 雯 (구름 무늬 문 ''gureum munui mun''): "구름 무늬"
- 抆 (닦을 문 ''dakkeul mun''): "닦다"
3. 2. '문'을 이름 요소로 사용하는 이름
문식이나 문수, 기문과 같이 문(성씨)을 이름의 요소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4. 주목할 만한 문씨 성을 가진 인물
문왕(737–793 재위)은 발해의 세 번째 군주였다.
문익점은 고려 말기의 문신으로, 목화씨를 들여온 인물로 알려져 있다.
문재인은 대한민국의 제19대 대통령이다. 문재인 정부는 대한민국의 제6공화국 7번째 정부로, 2017년 5월 10일부터 2022년 5월 9일까지 존속했다.
참조
[1]
웹사이트
행정구역(구시군)/성씨·본관별 가구 및 인구
http://kosis.kr/stat[...]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5-10-23
[2]
웹사이트
강릉문씨
https://www.djjunggu[...]
Jokbo Museum
2015-12-02
[3]
서적
성씨 로마자 표기 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http://korean.go.kr/[...]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2009-06-25
[4]
웹사이트
인명용 한자표
http://help.scourt.g[...]
Supreme Court
2013-10-17
[5]
문서
『고려사』 권125, 열전38, 간신1
https://terms.naver.[...]
[6]
문서
『고려사』 권99, 열전12
https://terms.naver.[...]
[7]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남평 문씨
[8]
문서
『고려사』 권95, 열전8
https://terms.naver.[...]
[9]
문서
『고려사』 권97, 열전10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