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리안 3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리안 3세는 4세기에 이베리아 왕국의 왕으로, 이란어 이름 "미흐란"을 조지아어로 각색한 이름이다. 그는 사산 왕조의 지원을 받아 이베리아의 왕위에 올랐으며, 298년 로마와의 니스비스 평화 이후 로마와의 관계를 맺었다. 그는 334년 기독교로 개종하여 이베리아의 국교로 기독교를 선포했고, 고대 세계에서 기독교를 받아들인 최초의 군주 중 한 명으로 꼽힌다. 미리안 3세는 두 번 결혼했으며, 폰투스 출신의 나나와 재혼하여 레브, 바라즈-바쿠르, 딸을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베리아 국왕 - 파르나바즈 1세
    파르나바즈 1세는 카르틀리 왕국의 초대 왕으로, 아존을 몰아내고 왕위에 올라 왕국을 강화했으며 조지아 문자를 창제했다는 전승으로 조지아 역사에서 건국 영웅으로 추앙받는다.
  • 4세기 이란 사람 - 바흐람 4세
    바흐람 4세는 388년부터 399년까지 사산 왕조 페르시아를 통치한 샤로, 재위 기간 동안 로마 제국과의 관계, 훈족의 침입 등의 외세 압박에 직면했으며 아르메니아 왕국 분할 등의 과제를 수행하다 사냥 중 사망했다.
  • 유럽의 군주 - 사모 (슬라브족의 왕)
    사모는 7세기 슬라브족 부족 연합을 이끌었던 왕으로, 아바르족에 대항하여 반란을 주도하고 프랑크 왕국과의 전투에서 승리하여 세력을 확장했으며, 슬라브족의 정체성 형성에 기여했다.
  • 유럽의 군주 - 쿠닝가즈
    쿠닝가즈는 고대 게르만족 사회의 국왕을 지칭하는 용어이자 개념으로, 군사, 사법, 종교적 지도자 역할을 수행하며 선거를 통해 선출되었고, 게르만족 왕국 건설과 발전에 기여했다.
미리안 3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미리안 3세의 석관
삼타브로 수도원에 있는 미리안 3세의 석관
재위284년–361년
전임아스파쿠레스 1세
후임사우로마케스 2세
배우자아베슈라
나나
자녀레브 2세
아스파쿠레스 2세
딸 (미상)
왕조초스로 왕조
출생일기원후 277년경 또는 258년http://dspace.gela.org.ge/handle/123456789/5098 მ. გ. ჯანაშვილი „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ს ისტორია უძველეს დროითგან 985 წლ. ქრ. შ.“]. ტომი I. 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ს ისტორია. I. უუძველესი ხანა. განყოფილება I. თავდაპირვანდელი ცნობები. თავი I. ქართველთა წინაპრები და სამშობლო. ტფილისი, ელექტრონითმბეჭდავი ამხ. „შრომა“, მიხეილის პრ. № 65. 1906. 139-ე გვერდის შენიშვნა.
출생지사산 이란
사망일361년 (83세–84세)
사망지므츠헤타, 이베리아
매장지삼타브로 수도원, 므츠헤타
종교조지아 정교회 (326년부터)
조로아스터교 (326년 이전)
기타 정보
다른 이름

2. 이름

미리안이라는 이름은 이란어 이름인 "미흐란"을 조지아어로 각색한 것이다. 중세 조지아 기록들에는 미레안, 미르반 등으로 번역되기도 했는데, 이 두 이름 모두 조지아어 형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이란 이름의 원형이다.[15][16] 라틴어로는, 로마 역사가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가 동시대의 이베리아 왕을 ''메리바네스''라고 칭했다(XX.6.8).[15][16] 초레네의 모세스가 썼다고 전해지는 아르메니아의 역대기(8세기경 편찬)에서는 미리안을 ''미르한''이라고 칭하며, 그가 기독교로 개종했다고 묘사했다.[15][16] 미리안 3세와 같이 군주 서수는 현대에 붙여진 것이며, 중세 조지아 작가들은 사용하지 않았다. 미리안이라는 이름을 가진 왕이 두 명 더 있었기 때문에, 조지아 역사 문헌에서 '3세'라는 서수가 붙게 되었다.[15][16]

3. 왕조의 기원 및 즉위



조지아의 중세 연대기 ''왕의 삶''에 따르면, 미리안은 페르시아 왕자였으며 조지아 아르사크조의 마지막 왕 아스파구르의 딸인 이베리아 공주 아베슈라와 결혼했다. 아스파구르가 죽자 미리안은 그의 아버지(중세 조지아 연대기에서는 "카스레"(코스라우)로 언급됨)에 의해 이베리아 왕좌에 올랐다. 당시 사산 왕조가 이란 전역을 통치하고 있었는데, 연대기의 중세 작가는 미리안을 사산 왕조 혈통으로 묘사했다(혹은 지어냈다). 그러나 코스라우라는 이름은 그 후 얼마 동안 사산 왕조에서 쓰이지 않았다. 따라서 조지아 연보에는 미리안의 아버지, 즉 "코스라우"가 "왕"을 의미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잘못 적혀 있다.[15]

기오르기 멜리키슈빌리 교수는 토마노프의 추정에 의문을 제기하며, 미리안이 중세 전통에서 그의 명성을 높이기 위해 왕족을 조상으로 묘사한 지방 이베리아 상류층 씨족 대표자라고 주장했다. 또 다른 중세 조지아 기록 ''카르틀리의 전환''은 ''왕의 삶''과 다른 견해를 보이며, 미리안을 다른 어떤 곳에서도 증명되지 않은 레프의 아들과 동일시한다.[15]

3. 1. 이베리아-사산 관계

미리안 3세는 미흐란 가문의 일원으로, 이 가문은 이란의 이란 7대 가문 중 하나였다.[7] 이 가문은 이란 북부의 레이를 기반으로 했으며, 그들의 조상은 아르사케스 제국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미리안은 이란에서 태어났으며 원래는 조로아스터교 신자였다. 284년, 사산 제국의 샤한샤 바흐람 2세는 미리안에게 이베리아 왕위를 보장했는데, 이는 6세기까지 지속될 이베리아의 미흐라니드 통치의 기초를 다졌다.[15] 따라서, 미리안이 초대 수장이 된 초스로이드 왕조는 미흐라니드 왕족 가문의 분파였다. 바흐람 2세가 이 조치를 취한 동기는 코카서스 지역에서 사산 제국의 권위를 강화하고, 이베리아의 수도 므츠헤타를 코카서스 산맥을 통과하는 중요한 길목의 입구로 활용하려는 것이었다. 이는 바흐람 2세에게 매우 중요한 일이었기에, 그는 미리안의 지위를 확보하기 위해 직접 므츠헤타로 갔다고 전해진다. 그는 또한 일곱 살에 불과했던 미리안의 후견인 역할을 할 미르바노즈라는 귀족을 파견했다. 미리안이 전 이베리아 통치자 아스파쿠레스 1세의 딸 아베슈라와 결혼한 후, 4만 명의 사산 제국 "정예 기병/기마병"이 동부 이베리아, 코카서스 알바니아, 구가르크에 주둔했다. 서부 이베리아에서는 7,000명의 사산 기병대가 미리안을 보호하기 위해 므츠헤타로 파견되었다.

미흐라니드 가문의 다른 분파들은 수십 년 후 코카서스의 다른 왕좌에 자리를 잡았는데, 그중 하나는 구가르크에, 다른 하나는 가르드만의 아르메노-알바니아 공국에 자리 잡았다.

4. 초기 통치

미리안 3세는 기원전 4세기부터 이베리아를 다스린 왕국을 물려받았다. 이베리아는 다른 코카서스 지역과 마찬가지로 이란 문화와 조로아스터교가 혼합된 종교의 지배를 받았다. 현대 역사가 스티븐 H. 랩에 따르면, 코카서스는 "이란 연방"의 일부였으며, 이는 "중앙아시아에서 발칸 반도에 이르는 거대한 초문화적 사업"이었다. 샤한샤 나르세 (재위 293년~303년)의 파이쿨리 비문에는 이베리아의 익명의 왕이 그의 봉신 중 하나로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아마도 미리안일 것이다.

사산 왕조의 봉신이었던 미리안은 나르세가 297년부터 298년까지 로마와 벌인 짧은 전쟁에 참여했다. 이 전쟁은 사산 왕조의 처참한 패배로 끝났고, 나르세는 아르메니아와 이베리아를 로마에 할양해야 했다.

4. 1. 로마와의 관계

''왕의 삶''은 미리안의 통치 기간을 매우 상세하게 열거한다. 로마-페르시아 전쟁 때 미리안이 이란의 분봉왕으로 참가했고 아르메니아에서 영토적 야심을 품었다는 점은 진실이나, 미리안이 이란의 왕위를 노리는 자였다는 주장과 콜키스알바니아를 장악하고 시리아까지 활동 범위를 확장했다는 것은 명백한 허구이다.[17] 298년 니스비스 평화를 통해 로마는 아르메니아와 이베리아 전역에 대한 종주권을 승인받았지만, 미리안 3세는 왕위를 보존했다. 그는 이러한 정치적 상황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여 로마와 확고한 결속을 수립했다.[17] 이 공동 연합은 미리안의 기독교 개종으로 더욱 굳건해졌다.[18] 전승에 따르면 미리안은 카파도키아 출신 수녀 니노를 통해 기독교로 개종했다고 한다.[13]

4세기의 코카서스 지도


한편,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에 따르면, 콘스탄티누스의 후계자 콘스탄티우스 2세는 이란과의 대립 기간 동안 아르샤크 2세와 이베리아의 메리바네스에게 충성을 지키도록 값비싼 선물과 함께 360명의 대사관을 파견했다고 한다.[19]

5. 기독교 개종

미리안 3세는 334년에 기독교로 개종했으며, 337년에 이베리아 왕국의 국교로 기독교가 선포된 것으로 보인다.[16] 그는 고대 세계에서 기독교를 채택한 최초의 군주 중 한 명이었다. 전설에 따르면 미리안은 이교도였을 때 므츠헤타 근처 숲에서 사냥을 하던 중 어둠이 드리워져 아무것도 볼 수 없게 되었다. 미리안이 니노의 하느님께 도움을 청하자 빛이 돌아왔고, 그는 니노를 만나 기독교로 개종했다. 전승에 따르면 미리안의 두 번째 왕비 나나가 왕보다 먼저 개종했다고 한다.[15][20]

미리안 3세의 개종은 왕실의 중앙 집권을 촉진시켰고, 그는 이교도 신전의 재산을 몰수하여 귀족들과 교회에 나누어 주었다. 중세 조지아 자료들에는 군주가 기독교 보급에 적극적이었으며, 산악 민속인들과의 저항에 직면했다는 기록이 있다.[21] 티라니우스 루피누스와 조지아 연대기에 따르면, 이베리아인들은 개종 후 콘스탄티누스 황제에게 성직자를 보내달라고 요청했고, 황제는 성직자들과 성유물을 이베리아에 파견했다. 조지아 전승은 미리안의 명령에 따른 므츠헤타 성당 건축과 왕의 예루살렘 성지순례에 대해 이야기한다.[20] 미리안과 나나 왕비는 므츠헤타에 있는 삼타브로 수도원에 묻혔으며, 그들의 묘는 여전히 남아있다.[14]

5. 1. 기독교 국교화

미리안 3세는 334년에 기독교로 개종하였고, 337년에는 이베리아의 국교로 기독교를 선언하였다.[16] 이는 고대 세계에서 기독교를 국교로 채택한 첫 번째 사례 중 하나이다. 전설에 따르면, 독실한 이교도였던 미리안 3세는 수도 므츠헤타 인근 숲에서 사냥하던 중 어둠을 만나 길을 잃었다. 이때 니노의 하느님께 기도하자 빛이 돌아왔고, 미리안 3세는 니노를 통해 기독교로 개종하게 되었다. 그의 두 번째 왕비 나나는 미리안 3세보다 먼저 개종했다고 전해진다.[15][20]

미리안 3세의 개종은 왕실 중심의 중앙집권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는 이교 사원의 재산을 몰수하여 귀족과 교회에 분배하였다. 중세 조지아 자료에 따르면, 미리안 3세와 귀족들은 기독교 전파에 적극적이었으나, 산악 지대 주민들의 저항에 직면하기도 했다.[21] 조지아 역사가 티라니우스 루피누스와 조지아 연대기는 미리안 3세의 개종 이후 이베리아인들이 콘스탄티누스 황제에게 성직자 파견을 요청했고, 황제가 이에 응하여 성직자와 성유물을 보냈다고 기록하고 있다. 조지아 전승에 따르면, 미리안 3세는 므츠헤타에 성당을 건축하고, 죽기 직전 예루살렘으로 성지순례를 떠났다고 한다.[20] 미리안 3세와 나나 왕비는 므츠헤타의 삼타브로 수도원에 안장되었으며, 그들의 무덤은 현재까지 남아있다.[14]

므츠헤타의 삼타브로 교회에 있는 미리안 왕과 나나 왕비의 무덤


므츠헤타의 삼타브로 교회에 있는 미리안 3세와 나나 왕비의 묘

5. 2. 므츠헤타 성당 건축

미리안은 334년에 기독교로 개종했고, 337년에는 이베리아의 국교로 기독교가 선언되었다.[16] 전승에 따르면 미리안의 두 번째 왕비 나나가 왕보다 먼저 개종했다고 한다.[15][20]

조지아 전승에 따르면 미리안의 명령에 따라 므츠헤타에 성당 건축이 시작되었다고 한다.[20]

6. 가족

미리안 3세는 조지아의 자료에 따르면 두 번 결혼했다.

첫 번째 왕비는 아베슈라로, 고대 파르나바즈 왕조 혈통이자 이베리아의 마지막 아르사크조 왕의 딸이었다. 토마노프에 따르면 아베슈라는 292년 미리안 3세가 15세였을 때 자녀 없이 사망했다.[22] 아베슈라의 죽음으로 "이베리아에서의 파르나바즈 왕조의 왕과 여왕의 계승은 막을 내렸다."[22]

미리안 3세는 곧바로 폰투스 출신으로 올리고토스의 딸인 나나와 재혼했다.[22] 나나는 레브와 바라즈-바쿠르 두 아들과 딸 한 명을 낳았다. 딸은 고르가레네의 첫 번째 미흐란조 세습 군주 페로즈와 혼인하였다.[22]

7. 평가 및 유산

제공된 소스에는 미리안 3세에 대한 평가나 유산 관련 정보가 없습니다.

참조

[1] 서적 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ს ისტორია უძველეს დროითგან 985 წლ. ქრ. შ. http://dspace.gela.o[...] ელექტრონითმბეჭდავი ამხ. „შრომა“ 1906
[2] 서적 Lives and legends of the Georgian saints Allen & Unwin, London 1956
[3] 웹사이트 "The Feast of the Robe of our Lord, the Myrrh-streaming and Life-giving Pillar, Equals-to-the-Apostles King Mirian and Queen Nana, and Saints Sidonia and Abiatar (4th century)" http://www.pravoslav[...] 2009-04-15
[4] 서적 Studies in Christian Caucasian History Georgetown University Press 1967
[5] 참고문헌 2018; 1969
[6] 참고문헌 2003; 1967
[7] 참고문헌 1969; 2014; 2008; 2002; 2005; 2015
[8] 서적 The Later Roman Empire (A.D. 354-378) By Ammianus Marcellinus Penguin Classics 1986
[9] 서적 Historical Astronomy of the Caucasus: Sources from Georgia and Armenia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Switzerland 2015
[10] 서적 The Concise Encyclopedia of Orthodox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4-02-03
[11] 서적 Rewriting Caucasian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12] 서적 The church history of Rufinus of Aquileia, books 10 and 11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13] 서적 Lives and legends of the Georgian saints Allen & Unwin, London 1956
[14] 웹사이트 "The Feast of the Robe of our Lord, the Myrrh-streaming and Life-giving Pillar, Equals-to-the-Apostles King Mirian and Queen Nana, and Saints Sidonia and Abiatar (4th century)" http://www.pravoslav[...] 2009-04-15
[15] 서적 Studies In Medieval Georgian Historiography: Early Texts And Eurasian Contexts Peeters Publishers 2003
[16] 서적 Studies in Christian Caucasian History Georgetown University Press 1967
[17] 서적 The Making of the Georgian Nation http://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1994
[18] 서적 Failure of empire: Valens and the Roman state in the fourth century A.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2
[19] 서적 The Later Roman Empire (A.D. 354-378) By Ammianus Marcellinus Penguin Classics 1986
[20] 서적 Rewriting Caucasian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21] 서적 The church history of Rufinus of Aquileia, books 10 and 11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22] 간행물 Chronology of the Early Kings of Iberia 196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