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얀마 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얀마 분쟁은 2021년 2월 1일 미얀마 군부의 쿠데타로 민간 정부가 전복된 이후 발생한 일련의 사건들을 포괄한다. 쿠데타로 아웅산수찌를 비롯한 정부 고위 인사들이 체포되었고, 대규모 시위가 발생했다. 중국은 미얀마 정부와 반군 단체 모두와 관계를 맺으며 다면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인도는 미얀마 군부에 훈련, 무기 등을 제공하며 협력하고 있다. 파키스탄은 과거 무자헤딘을 지원했으나, 이후 지원을 중단했다. 태국은 경제적 이익을 위해 미얀마와의 관계를 변화시켰으며, 미국은 군부 제재와 민주 진영 지원을 통해 민주화를 촉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족 분쟁 - 2001년 마케도니아 공화국 분란
    2001년 마케도니아 공화국 분란은 코소보 전쟁 후 알바니아계 차별 정책에 반발한 알바니아계 민족해방군(NLA)의 무장 봉기로, 오흐리드 협정을 통해 알바니아계 권리 확대와 NLA의 무장 해제를 합의하며 일단락되었다.
  • 민족 분쟁 -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은 19세기 말 시온주의 운동과 유대인 정착으로 시작되어 발푸어 선언, 유엔 팔레스타인 분할 계획, 여러 전쟁과 인티파다를 거치면서 국경, 정착촌, 예루살렘 지위, 난민, 안보 문제 등으로 지속적인 갈등과 협상이 이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스라엘-하마스 무력 충돌과 국제적 논쟁이 발생하고 있다.
  • 미얀마의 정치 - 국가평화발전평의회
    국가평화발전평의회는 1997년부터 2011년까지 미얀마에서 존재했던 군사 정권 기구로, 8888 항쟁 이후 권력을 장악한 군부가 운영했으며, 심각한 인권 침해를 자행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 미얀마의 정치 - 미얀마 연방의회
    미얀마 연방의회는 흘루토에서 양원제 의회로 변화해왔으나 쿠데타로 폐지 및 기능이 정지되기도 했으며, 인민 대표원과 민족 대표원으로 구성된 양원제 의회로서 군부 임명 의석을 가진 특징이 있다.
  • 분리주의 내전 - 파푸아 분쟁
    파푸아 분쟁은 파푸아 지역에서 발생하는 정치적, 사회적 갈등을 포괄하는 용어이며, 다양한 역사적 배경과 복잡한 이해관계를 가지며 미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 분리주의 내전 - 모로 분쟁
    모로 분쟁은 필리핀 민다나오 지역에서 모로족과 필리핀 정부 간에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현재까지 지속되는 분쟁으로, 외부 세력에 대한 저항, 민족 통합 정책과 자원 개발 소외로 인한 갈등 심화, 무장 단체의 등장과 무력 투쟁, 평화 협상을 통한 자치구 설립 노력에도 불구하고 테러 단체 활동 등으로 불안정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미얀마 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분쟁 개요
분쟁미얀마 분쟁
2024년 미얀마의 군사적 상황
2024년 미얀마의 군사적 상황
날짜1948년 4월 2일~현재
장소미얀마
교전 세력
교전국 1버마 연방
버마
국가평화발전위원회
교전국 2국민통합정부
지휘관
병력
사상자
기타

2. 2021년 쿠데타와 그 이후의 폭력

2021년 2월 1일 새벽, 따머도 총사령관 민 아웅 흘라잉이 이끄는 군부 세력이 쿠데타를 일으켜 아웅산수찌 국가고문을 비롯한 민간 정부 고위 인사들을 체포했다.[12] 이에 맞서 미얀마 국민들은 국가행정평의회(SAC)의 사퇴와 쿠데타 체포자 석방, 민정 복구를 요구하며 대규모 시위를 벌였다.[13]

3. 대외 지원

미얀마 내전은 주변국들의 복잡한 이해관계와 맞물려 국제적인 문제로 확대되었다. 특히, 주변국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미얀마 내 분쟁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중국: 중국-미얀마 국경을 따라 활동하는 미얀마 정부와 반군 단체 모두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어, 미얀마 분쟁에서 다면적인 역할을 한다는 비판을 받는다.[14]
  • 인도: 북동인도 반란과 겹치면서 미얀마와 전략적 군사 관계를 맺고 있다. 미얀마 군부에 훈련, 무기, 전술 장비를 제공하며,[15] 양국 군은 1990년대부터 국경에서 저항 세력에 대한 연합 작전을 벌여왔다.[16] 미얀마는 인도 북동부에서 도망친 저항 세력을 체포하여 인도 당국에 넘기기도 했다.[17] 인도는 로힝야족 난민을 미얀마로 강제 송환한 유일한 국가이기도 하다.[18]
  • 파키스탄: 1948년부터 1950년까지 아라칸 북부(현재의 라카인주)의 무자헤딘에게 원조를 제공했다.[19] 아라칸 로힝야 구세군(ARSA) 지도자들은 사우디아라비아와 파키스탄의 개인 기부자들과 연계되어 있다고 주장하며,[20] 로힝야족 주민들이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전투기들에 의해 비밀리에 훈련받았다는 보도도 있었다.[21]
  • 태국: 미얀마 내 여러 반군 단체들을 지원하며 군부 정권의 행동을 규탄하고, 무기와 탄약이 국경을 통해 밀반입되는 것을 묵인했다.[23] 그러나 1995년 미얀마와 주요 경제협정을 체결하면서 미얀마와의 국경을 확보하고 태국을 통과하는 모든 물류 지원을 중단했다.
  • 미국: 중앙정보국(CIA)은 1951년부터 중국 공산군윈난성으로 진격함에 따라 미얀마로 도주한 국민당 군인들을 지원했다.[4]

3. 1. 중화인민공화국

중국은 중국-미얀마 국경을 따라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미얀마 정부와 반군 단체 모두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어, 미얀마 분쟁에서 다면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비판을 오랫동안 받아왔다.[14]

3. 2. 인도

인도와 미얀마는 북동인도 반란이 겹치면서 전략적 군사 관계를 맺고 있다. 인도는 미얀마 군부에 훈련, 무기, 전술 장비 등을 제공했다.[15] 양국 군은 1990년대부터 국경에서 저항 세력에 대한 연합 작전을 벌여왔다.[16] 미얀마는 또한 인도 북동부로부터 도망친 저항 세력을 찾아내 체포하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 2020년 5월 미얀마는 몇몇 최고 지휘관들을 포함한 22명의 저항 세력을 인도 당국에 넘겼다.[17] 마찬가지로 인도는 세계적인 항의에도 불구하고 로힝야족 난민을 미얀마로 강제 송환한 유일한 국가였다.[18]

3. 3. 파키스탄

1948년부터 1950년까지 파키스탄은 아라칸 북부(현재의 라카인주)의 무자헤딘에게 원조를 제공했다. 1950년 파키스탄 정부는 미얀마인들에게 무슬림에 대한 처우에 대해 경고했다. 이에 대응하여 우 누 미얀마 총리는 이슬람 외교관 페 킨을 파견하여 양해각서를 협상하였다. 파키스탄은 무자헤딘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고 그 단체의 회원들을 체포하기로 합의했다. 1954년 무자헤딘 지도자 미르 카셈이 파키스탄 당국에 체포되었고, 그의 추종자 중 많은 수가 미얀마 정부에 항복했다.[19]

국제위기감시기구는 2016년 12월 14일 아라칸 로힝야 구세군(ARSA)과의 인터뷰에서, ARSA 지도자들이 사우디아라비아파키스탄의 개인 기부자들과 연계되어 있다고 주장했다고 보고했다. 또한 로힝야족 주민들이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전투기들에 의해 비밀리에 훈련받았다는 미확인 보도도 발표했다.[20][21] 2017년 9월, 방글라데시 소식통들은 파키스탄 파키스탄 정보부(ISI)와 ARSA 간의 협력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밝혔다.[22]

3. 4. 태국

태국은 미얀마 내 여러 반군 단체들의 목소리를 높여 당시 집권당이었던 군부 정권의 행동을 규탄하고, 느슨한 단속을 통해 무기와 탄약이 국경을 통해 밀반입되는 것을 허용했다.[23] 그러나 1995년 태국 정부는 미얀마와 주요 경제협정을 체결하면서 미얀마와의 국경을 확보하고 태국을 통과하는 모든 물류 지원을 중단했다.

3. 5. 미국

미국 중앙정보국(CIA)은 1951년부터 중국 공산군윈난성으로 진격함에 따라 미얀마로 도주한 국민당 군인들을 지원하기 시작했다.[4] 1953년까지 태국을 경유해 비살상적인 원조를 제공했으며, 이후 7000명의 병사를 대만으로 공수하여 작전을 종료했다.[4]

참조

[1] 뉴스 How to Bring Peace to the World's Longest Civil War http://time.com/4597[...] TIME 2019-03-11
[2] 뉴스 Fighting in Kachin Highlights Myanmar Civil War Worries https://www.voanews.[...] VOA 2019-03-11
[3] 웹인용 Burmese Days http://www.foreignaf[...]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Inc 2013-03-27
[4] 웹인용 Burma Press Summary, From Working People's Daily http://www.ibiblio.o[...] 2017-09-18
[5] 뉴스 The Burma Socialist Programme Party (BSPP) https://rlp.hds.harv[...] 2018-05-16
[6] 뉴스 Ottawa Citizen 1988-09-24
[7] 뉴스 Chicago Tribune Associated Press 1988-09-26
[8] 문서 Ferrara (2003), pp. 313
[9] 뉴스 Was Burma's 1988 uprising worth it? http://news.bbc.co.u[...] BBC News 2013-03-27
[10] 문서 Wintle (2007)
[11] 웹인용 The saffron revolution http://www.economist[...] The Economist 2015-10-21
[12] 웹인용 Myanmar Coup: With Aung San Suu Kyi Detained, Military Takes Over Government https://www.npr.org/[...] 2021-02-08
[13] 웹인용 Protests, Anger Spreading Rapidly in the Wake of Myanmar Coup https://thediplomat.[...] 2021-02-08
[14] 웹인용 China's Role in Myanmar's Internal Conflicts https://www.usip.org[...] United States Institute of Peace 2020-05-08
[15] 뉴스 The Bumpy Relationship Between India and Myanmar https://thediplomat.[...] The Diplomat 2020-08-06
[16] 뉴스 Manipur ambush: Why Army? saw the worst attack in 20 years https://www.dailyo.i[...] DailyO 2020-08-06
[17] 뉴스 Myanmar Army hands over 22 'Most Wanted Militants' from Northeast India, including top UNLF and NDFB commanders https://nenow.in/top[...] Northeast Now News 2020-08-06
[18] 뉴스 India's Rohingya shame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20-08-06
[19] 문서 U Nu, U Nu: Saturday's Son,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1975, p. 272.
[20] 뉴스 Rohingya militants in Rakhine have Saudi, Pakistan links, think tank says https://sg.news.yaho[...] 2017-08-26
[21] 뉴스 Rohingya insurgency a 'game-changer' for Myanmar http://www.bangkokpo[...] Bangkok Post 2016-12-15
[22] 웹인용 As Rohingya deepens, Bangladesh fears Pakistan's ISI will foment trouble https://www.indiatod[...]
[23] 서적 "The Shan Rebellion: The Road to Chaos", from The Politics of Heroin in Southeast Asia: CIA Complicity in the Global Drug Trade http://www.drugtext.[...] Lawrence Hill Books 2011-1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