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목차

1. 개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은 19세기 말 시온주의의 발전과 팔레스타인 지역으로의 유대인 이주가 시작되면서 발생한 오랜 갈등이다. 이 분쟁은 국경, 정착촌, 동예루살렘의 지위, 팔레스타인 난민의 귀환권, 안보 문제 등 여러 핵심 쟁점을 포함하며,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후 여러 차례의 전쟁과 폭력 사태를 겪었다. 1990년대 오슬로 협정을 통해 평화 협상이 시도되었으나, 2000년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담 결렬 이후 폭력이 재개되었고, 현재까지도 지속적인 긴장과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으로 인해 사상자가 급증하고 국제 사회의 개입과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2. 역사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정치적 시온주의의 발전과 시온주의 정착민들의 팔레스타인 유입과 함께 시작되었다.[32][41] 팔레스타인에 유대인 국가를 건설한다는 목표를 가진 현대 정치적 시온주의 운동은 19세기 후반 20년 동안 주로 유럽의 반유대주의에 대한 반응으로 성장했다. 유대인 식민지 개척이 이 시기에 시작되었지만,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10년 동안 더 많은 이념적으로 시온주의적인 이민자들이 도착하기 전까지는 오스만 팔레스타인의 지형이 크게 바뀌기 시작하지 않았다.[42] 토지 매입, 아랍 소작농의 퇴거, 유대인 준군사 단위와의 무장 충돌은 모두 팔레스타인 주민들의 영토 이동과 몰수에 대한 두려움을 증폭시켰다. 이러한 두려움은 점차 아랍 인구가 대부분인 땅을 유대인의 고향으로 만든다는 시온주의 목표를 거부하는 것을 포함한 더 광범위한 팔레스타인 민족주의 표현으로 대체되었다.[38] 초기부터 시온주의 운동 지도부는 유대인 인구의 다수를 확보하기 위해 아랍 팔레스타인 인구를 그 땅에서 "이전"(민족 정화의 완곡어)하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43][44][45][46][47] 이스라엘 역사가 베니 모리스에 따르면 이전의 생각은 "시온주의에 불가피하고 내재되어 있었다".[48] 아랍 인구는 제1 알리야 도착과 함께 1880년대 초부터 이러한 위협을 느꼈다.[38]

차임 바이츠만의 시온주의 운동에 대한 영국 지원 확보 노력은 결국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7년 영국 정부가 발표한 팔레스타인에 "유대인 민족의 국가적 보금자리"를 수립하기 위한 지원을 발표한 발푸어 선언을 확보하게 되었다.[49] 바이츠만은 이 선언을 최대한주의적으로 해석하여 국가의 미래에 대한 협상은 아랍 대표를 배제하고 영국과 유대인 사이에서 직접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파리 평화 회의에서 "팔레스타인을 영국이 영국인인 것처럼 유대인으로 만드는 것"이라는 목표를 발표하며 이 선언에 대한 자신의 해석을 유명하게 공유했다. 부분적으로 시온주의 운동에 대한 반응으로 팔레스타인 민족 운동은 전간기에 더 구체적으로 발전했다. 그 후 몇 년 동안 유대인과 팔레스타인의 관계는 극적으로 악화되었다.[50]

고대 명칭은 "가나안"이다. 팔레스타인 주변 지역은 블레셋 사람들의 땅이었으며, 팔레스타인이라는 단어는 블레셋이라는 단어가 변형된 것으로 여겨진다. 기원전 13세기경 블레셋 사람들에 의한 블레셋 문명이 번영하였다. 그러나 블레셋 사람들의 그 이후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그 후 기원전 10세기경 이스라엘 사람들에 의한 이스라엘 왕국이 예루살렘을 중심 도시로 하여 번영하였다.

이윽고 3대륙의 요충지에 위치한 그 군사적·지정학적 중요성 때문에 이스라엘 왕국은 주변 강대국의 잇따른 침략을 받아 멸망하였고, 서기 135년 바르 코크바의 난을 진압한 로마 황제 하드리아누스는 그때까지의 유대 속주의 명칭을 폐지하고, 속주 시리아 팔레스타이나/Syria Palaestina영어로 개명하였다. 로마 제국은 여러 차례 반란을 일으키는 유대인들을 탄압하기 위해, 그보다 천 년도 전에 멸망한 블레셋 사람들의 이름을 인용한 것이다. 이 지역이 팔레스타인이라고 불리게 된 것은 이 이후부터이다.

7세기에는 이슬람 제국이 침입해왔으며, 시리아를 지배하는 세력과 이집트를 지배하는 세력 사이의 대립 전쟁의 무대가 되었다. 11세기에는 유럽에서 십자군이 쳐들어온 결과 예루살렘 왕국이 건국되었지만, 12세기 말에는 아이유브 왕조의 살라딘에게 탈환되었고, 팔레스타인의 대부분은 왕조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16세기가 되면 맘루크 왕조를 멸망시킨 오스만 제국이 팔레스타인 지역의 지배자가 된다.

2. 1. 19세기 말 ~ 1920년대: 분쟁의 기원

팔레스타인에 유대인 국가를 건설하겠다는 약속에 따라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팔레스타인 영국 위임 통치령이 수립되면서 대규모 유대인 이민이 가능해졌다. 이는 해외로부터 많은 자본의 지원을 받은 별도의 유대인 통제 경제 부문의 발전과 함께 이루어졌다.[51] 2차 알리야(Second Aliyah)의 열렬한 시오니즘(Zionism)(유대인 민족 운동) 이념가들은 1920년대부터 이슈브(Yishuv)의 지도자가 되었으며, 유대인과 아랍인의 경제와 사회의 분리를 믿었다. 이 기간 동안 배타적인 민족주의 정신이 2차 알리야가 가지고 온 사회주의 이상을 압도하게 되었다.[32]

팔레스타인 아랍 민족 운동의 지도자인 아민 알 후세이니(Amin al-Husseini)는 즉시 시오니즘과 알리야(Aliyah)(팔레스타인으로의 유대인 이민)를 자신의 대의에 대한 유일한 적이라고 규정했으며,[52] 1920년 예루살렘에서 발생한 1920년 네비 무사 폭동(1920 Nebi Musa riots)과 1921년 야파에서 발생한 야파 폭동(Jaffa riots) 등 유대인에 대한 대규모 폭동을 일으켰다. 이 폭력의 결과 중 하나는 유대인 준군사 조직 하가나(Haganah)의 설립이었다. 1929년 일련의 폭력적인 1929년 팔레스타인 폭동(1929 Palestine riots)으로 133명의 유대인과 116명의 아랍인이 사망했고, 헤브론(1929 Hebron massacre)과 사파드(1929 Palestine riots#Safed massacre, 29 August)에서 유대인이 큰 피해를 입었으며, 헤브론과 가자에서 유대인들이 피난했다.[53]

사이क्स-피코 협정. 짙은 빨강은 영국 직접 통치, 짙은 파랑은 프랑스 직접 통치, 옅은 빨강은 영국의, 옅은 파랑은 프랑스의 세력권. 보라색(팔레스타인)은 공동 통치 지역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연합국 측의 영국은 동맹국 측의 일각인 오스만 제국에 대한 측면 공격을 의도하여, 터키의 지배하에 있던 아랍인(예후디(현지 유대인) 및 기독교인 포함)들에게 오스만 제국에 대한 무장 봉기를 호소했다. 그 대가로 1915년 10월 후세인-맥마흔 협정을 맺고 이 지역의 독립을 인정했다.

한편, 막대한 전비가 필요했던 영국은 유대인 거상 로스차일드 가문에 자금 지원을 요청했다. 이 무렵, 전 세계에 퍼져 있던 유대인들 중 유럽에서는 개종 압력을 포함한 차별이 심했기 때문에, 시온으로 돌아가자는 운동(초기 시오니즘)이 19세기 말 이후 활기를 띠고 있었다. 그래서 영국은 아서 발포어 외무장관을 통해 1917년 유대인 국가 건설을 지지하는 서한을 발표하고, 로스차일드 가문으로부터 자금 지원을 받는 데 성공했다(발포어 선언).

그러나 영국은 같은 연합국이었던 프랑스, 러시아와도 전후 중동 분할을 협의하고 있었고, 본래의 목적은 이 지역에 장래에 걸쳐 영향력을 확보하는 것이었다(사이क्स-피코 협정).

이러한 영국의 "삼중 외교"는 러시아 혁명이 일어나 블라디미르 레닌 등에 의해 외교 비밀 문서가 모두 공표됨으로써 공개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아랍군·유대군은 모두 영국군의 일원으로 오스만 제국과 대결했고, 현재 요르단을 포함한 "팔레스타인"은 영국의 위임 통치 지역이 되었다.

2. 1. 1. 시온주의 운동의 대두와 팔레스타인 이주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연합국 측의 영국은 동맹국 측의 일각인 오스만 제국에 대한 측면 공격을 의도하여, 터키의 지배하에 있던 아랍인(예후디(현지 유대인) 및 기독교인 포함)들에게 오스만 제국에 대한 무장 봉기를 호소했다. 그 대가로 1915년 10월 후세인-맥마흔 협정을 맺고 이 지역의 독립을 인정했다.

한편, 막대한 전비가 필요했던 영국은 유대인 거상 로스차일드 가문에 자금 지원을 요청했다. 이 무렵, 전 세계에 퍼져 있던 유대인들 중 유럽에서는 개종 압력을 포함한 차별이 심했기 때문에, 시온으로 돌아가자는 운동(초기 시오니즘)이 19세기 말 이후 활기를 띠고 있었다. 그래서 영국은 아서 발포어 외무장관을 통해 1917년 유대인 국가 건설을 지지하는 서한을 발표하고, 로스차일드 가문으로부터 자금 지원을 받는 데 성공했다(발포어 선언).

그러나 영국은 같은 연합국이었던 프랑스, 러시아와도 전후 중동 분할을 협의하고 있었고, 본래의 목적은 이 지역에 장래에 걸쳐 영향력을 확보하는 것이었다(사이क्स-피코 협정).

이러한 영국의 "삼중 외교"는 러시아 혁명이 일어나 블라디미르 레닌 등에 의해 외교 비밀 문서가 모두 공표됨으로써 공개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아랍군·유대군은 모두 영국군의 일원으로 오스만 제국과 대결했고, 현재 요르단을 포함한 "팔레스타인"은 영국의 위임 통치 지역이 되었다.

2. 1. 2. 영국의 벨푸어 선언과 위임통치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연합국 측의 영국은 동맹국 측의 일각인 오스만 제국에 대한 측면 공격을 의도하여, 터키의 지배하에 있던 아랍인(예후디(현지 유대인) 및 기독교인 포함)들에게 오스만 제국에 대한 무장 봉기를 호소했다. 그 대가로 1915년 10월 후세인-맥마흔 협정을 맺고 이 지역의 독립을 인정했다.

한편, 막대한 전비가 필요했던 영국은 유대인 거상 로스차일드 가문에 자금 지원을 요청했다. 이 무렵, 전 세계에 퍼져 있던 유대인들 중 유럽에서는 개종 압력을 포함한 차별이 심했기 때문에, 시온으로 돌아가자는 운동(초기 시오니즘)이 19세기 말 이후 활기를 띠고 있었다. 그래서 영국은 아서 발포어 외무장관을 통해 1917년 유대인 국가 건설을 지지하는 서한을 발표하고, 로스차일드 가문으로부터 자금 지원을 받는 데 성공했다(발포어 선언).

그러나 영국은 같은 연합국이었던 프랑스, 러시아와도 전후 중동 분할을 협의하고 있었고, 본래의 목적은 이 지역에 장래에 걸쳐 영향력을 확보하는 것이었다(사이क्स-피코 협정).

이러한 영국의 "삼중 외교"는 러시아 혁명이 일어나 블라디미르 레닌 등에 의해 외교 비밀 문서가 모두 공표됨으로써 공개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아랍군·유대군은 모두 영국군의 일원으로 오스만 제국과 대결했고, 현재 요르단을 포함한 "팔레스타인"은 영국의 위임 통치 지역이 되었다.

2. 1. 3. 삼중 외교와 아랍 민족주의의 좌절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연합국 측의 영국은 동맹국 측의 일각인 오스만 제국에 대한 측면 공격을 의도하여, 터키의 지배하에 있던 아랍인(예후디(현지 유대인) 및 기독교인 포함)들에게 오스만 제국에 대한 무장 봉기를 호소했다. 그 대가로 1915년 10월 후세인-맥마흔 협정을 맺고 이 지역의 독립을 인정했다.

한편, 막대한 전비가 필요했던 영국은 유대인 거상 로스차일드 가문에 자금 지원을 요청했다. 이 무렵, 전 세계에 퍼져 있던 유대인들 중 유럽에서는 개종 압력을 포함한 차별이 심했기 때문에, 시온으로 돌아가자는 운동(초기 시오니즘)이 19세기 말 이후 활기를 띠고 있었다. 그래서 영국은 아서 발포어 외무장관을 통해 1917년 유대인 국가 건설을 지지하는 서한을 발표하고, 로스차일드 가문으로부터 자금 지원을 받는 데 성공했다(발포어 선언).

그러나 영국은 같은 연합국이었던 프랑스, 러시아와도 전후 중동 분할을 협의하고 있었고, 본래의 목적은 이 지역에 장래에 걸쳐 영향력을 확보하는 것이었다(사이क्स-피코 협정).

이러한 영국의 "삼중 외교"는 러시아 혁명이 일어나 블라디미르 레닌 등에 의해 외교 비밀 문서가 모두 공표됨으로써 공개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아랍군·유대군은 모두 영국군의 일원으로 오스만 제국과 대결했고, 현재 요르단을 포함한 "팔레스타인"은 영국의 위임 통치 지역이 되었다.

2. 2. 1920년대 ~ 1940년대: 긴장의 고조와 폭력 사태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 위임통치령 팔레스타인이 수립되면서, 팔레스타인에 유대인 국가를 건설하겠다는 약속에 따라 대규모 유대인 이민(알리야)이 가능해졌다. 이는 해외 자본의 지원을 받는, 별도의 유대인 통제 경제 부문의 발전으로 이어졌다.[51] 제2차 알리야의 시온주의(Zionism, 유대인 민족 운동) 이념가들은 1920년대부터 이슈브(Yishuv, 팔레스타인 지역의 유대인 공동체)의 지도자가 되었으며, 유대인과 아랍인의 경제 및 사회 분리를 추구했다. 이 시기 배타적인 민족주의 정신이 2차 알리야의 사회주의 이상을 압도했다.[32]

팔레스타인 아랍 민족 운동 지도자인 아민 알 후세이니는 시온주의와 알리야를 자신의 대의에 대한 유일한 적으로 규정하고,[52] 1920년 예루살렘에서 발생한 1920년 네비 무사 폭동과 1921년 야파에서 발생한 야파 폭동 등 유대인에 대한 대규모 폭동을 일으켰다. 이러한 폭력 사태는 유대인 준군사 조직 하가나의 설립으로 이어졌다. 1929년에는 1929년 팔레스타인 폭동이 발생하여 133명의 유대인과 116명의 아랍인이 사망했고, 헤브론과 사파드에서 유대인들이 큰 피해를 입었으며, 헤브론과 가자에서 유대인들이 피난했다.[53]

하가나 선박 ''유대 국가''가 1947년 영국 위임통치령 팔레스타인 하이파 항에 유럽에서 온 불법 유대인 이민자들을 태우고 도착하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될 때까지 간헐적으로 계속된 폭력 사태는 아랍 측 약 5,000명, 영국과 유대인 측 합쳐 700명의 사상자를 냈다.[61][62][63] 제2차 세계 대전 발발과 함께 팔레스타인의 상황은 진정되었다. 나샤시비(Nashashibi) 가문의 지도 아래 팔레스타인 아랍인들 사이에서 온건한 입장으로의 전환이 가능해졌고, 영국군 지휘 아래 북아프리카에서 독일군과 싸운 유대인-아랍 팔레스타인 연대까지 창설되었다. 그러나 알후세이니의 과격파는 나치 독일과 협력하는 경향을 보였고, 아랍 세계 전체에 친나치 선전 기구 설립에 참여했다. 이라크에서 아랍 민족주의자들의 패배와 알후세이니의 나치 점령 유럽으로의 이전은 팔레스타인에서의 현장 작전에 제약을 가했지만, 그는 이탈리아와 독일에 텔아비브 폭격을 요구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 유럽 출신 홀로코스트 생존자들의 운명에 대한 위기는 이슈브와 위임 통치 당국 간의 긴장을 다시 고조시켰다. 유대인 난민들의 불법 이민 증가와 시온주의 민병대에 의한 영국 당국에 대한 준군사 저항 운동은 1939년 백서를 무력화시키고 영국의 철수로 이어졌다.[53]

한편, 팔레스타인 지역으로의 유대인 귀환 운동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었고, 유대인과 평화로운 세속 국가를 건설하려는 아랍인들도 많았다. 유대인들은 히브리어를 구어로 부활시켰고, 아랍인들과 통곡의 벽 사건 등의 충돌에도 불구하고 안정된 사회를 건설해 나갔다. 그러나 1947년 유대인 이주민의 증가와 이에 반발하는 아랍 민족주의자들의 반대 운동으로 인해, 요르단의 후세인 1세, 아미르 파이살 후세이니(1933년 아랍 과격파에 의해 암살), 파우지 다르위시 후세이니(1946년 암살), 마르틴 부버 등이 추진했던 이후드 운동(민족성·종교성을 드러내지 않는 평화 통합 국가안)은 비현실적인 양상을 띠게 되었다.

2. 2. 1. 1936년 ~ 1939년 팔레스타인 아랍 봉기

1936년-1939년 팔레스타인 아랍 봉기는 영국 위임통치령이 허용한 대규모 유대인 이민에 대한 반대에서 비롯되었다.


1930년대 초, 팔레스타인의 아랍 민족주의 투쟁은 시리아 출신의 셰이크 이자딘 알카삼과 같이 중동 전역의 많은 아랍 민족주의자들을 끌어들였다. 그는 흑수기(Black Hand)라는 무장 단체를 설립하여 1936년-1939년 팔레스타인 아랍 봉기의 기반을 마련했다. 1935년 말 영국군에 의해 알카삼이 사망한 후, 1936년에 아랍 총파업과 전반적인 불매운동으로 긴장이 고조되었다. 파업은 곧 폭력으로 악화되었고, 아랍 봉기는 유대인 정착민 경찰, 유대인 예비 경찰, 그리고 특별 야간 부대의 지원을 받은 영국군에 의해 유혈 진압되었다.[54] 봉기 진압으로 인해 성인 남성 인구의 최소 10%가 사망, 부상, 투옥 또는 추방되었다.[55] 1937년 초까지 지속된 조직적인 폭력의 첫 번째 물결에서 대부분의 아랍 단체는 영국군에 의해 패배했고, 많은 아랍 지도자들의 강제 추방이 뒤따랐다.[56] 많은 지도자들이 망명하고 경제가 심각하게 약화되면서 팔레스타인인들은 영국의 지원을 받으며 세력을 키워가던 시오니스트 운동에 맞서 싸우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봉기와 지속적인 종교 간 갈등과 관련된 비용과 위험으로 인해 영국의 지역 정책이 변화하고 팔레스타인 분할을 권고한 필 위원회가 임명되었다. 두 명의 주요 시오니스트 지도자 차임 바이츠만과 다비드 벤구리온은 더 확장할 수 있다는 근거로 이 권고를 받아들였지만, 일부 2선 시오니스트 지도자들은 이를 반대했다.[57][58][59] 이 지역으로의 유대인 이민을 제한하려는 1939년 백서의 발표는 영국 당국과 시오니스트 운동 간의 관계를 결정적으로 악화시켰다.[60]

2. 2. 2. 필 위원회와 분할안 제시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요약 및 섹션 제목, 그리고 위키 페이지 제목만을 가지고는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원본 소스(`source`)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생성해드리겠습니다.)

2. 3. 1940년대: 제2차 세계 대전과 유엔 분할 결의안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될 때까지 산발적으로 계속된 새로운 폭력 사태는 아랍 측 약 5,000명, 영국과 유대인 측 합쳐 700명의 사상자를 낸 것으로 끝났다.[61][62][63]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과 함께 의무 팔레스타인의 상황은 진정되었다. 나샤시비 씨족의 지도 아래 팔레스타인 아랍인들 사이에서 보다 온건한 입장으로의 전환이 가능해졌고, 심지어 영국군 지휘 아래 북아프리카에서 독일군과 싸운 유대인-아랍 팔레스타인 연대까지 창설되었다. 그러나 알후세이니의 보다 과격한 망명파는 나치 독일과 협력하는 경향이 있었고, 아랍 세계 전체에 걸쳐 친나치 선전 기구 설립에 참여했다. 이라크에서 아랍 민족주의자들의 패배와 그 후 알후세이니의 나치 점령 유럽으로의 이전은 팔레스타인에서의 현장 작전과 관련하여 그의 손을 묶었지만, 그는 정기적으로 이탈리아와 독일에게 텔아비브를 폭격할 것을 요구했다(이탈리아의 의무 팔레스타인 폭격).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 유럽 출신 홀로코스트 생존자들의 운명에 대한 위기는 이슈브와 위임 통치 당국 간의 긴장을 다시 고조시켰다. 유대인 난민들의 불법 이민 증가와 함께 의무 팔레스타인에서의 시온주의 민병대에 의한 영국 당국에 대한 준군사 저항 운동은 백서를 효과적으로 뒤엎고 결국 영국의 철수로 이어질 것이다.[53]

2. 3. 1. 제2차 세계 대전과 홀로코스트 생존자 문제

아무 내용도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위키텍스트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 `summary` 또는 `source`에 내용을 제공해주시기 바랍니다.

2. 3. 2. 1947년 유엔 분할 결의안



1947년 11월 29일, 유엔총회는 결의안 181(II)를 채택하여 팔레스타인을 아랍 국가, 유대 국가, 예루살렘으로 분할하는 계획의 채택과 이행을 권고했다.[64][65]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은 분할에 반대했다.[66] 시오니스트들은 분할을 수용했지만 유엔이 할당한 것보다 이스라엘의 국경을 확장할 계획이었다.[67]

유엔의 "팔레스타인 분할 결의안" 1947


유대인 인구는 팔레스타인 인구의 3분의 1에 불과했지만, 1947년 11월 29일 유엔 총회에서는 팔레스타인 토지의 56.5%를 유대 국가, 43.5%를 아랍 국가로 하고 예루살렘을 국제 관리 지역으로 하는 유엔 결의안 181호 팔레스타인 분할 결의안이 찬성 33, 반대 13, 기권 10으로 가결되었다.[398] 필 계획보다 유대인에게 유리하게 된 이 결의안은 국내 선거에서 유대인 표를 얻기 위한 미국의 해리 S. 트루먼 미국 대통령의 강력한 압력에 의해 성립되었다. 유대인을 자국에서 추방하기 원하는 기독교도가 많은 미국, 소비에트 연방, 프랑스, 브라질 등이 찬성했고, 아랍 국가들이 반대했다(영국은 더 이상 반감을 사는 것을 우려하여 기권했다).

2. 4. 1948년 ~ 1967년: 이스라엘 건국과 중동 전쟁

wikitext

1949년 그린라인 경계선


승리가 예상되었던 아랍 측은 내분으로 인해 실력을 발휘하지 못했고, 이스라엘은 인구의 1%가 전사했음에도 불구하고 열강으로부터 풍부한 물자 지원을 받아 승리했다. 1948년 당시 팔레스타인 지역에 살고 있던 70만~80만 명의 아랍인 등이 난민이 되었다(소위 '''팔레스타인 난민'''). 팔레스타인인을 중심으로 한 아랍인들은 "'''나크바(النكبة)'''"(아랍어로 "대파국", "대재앙"을 의미함)라고 부른다.

팔레스타인 난민 발생 원인에 대해서는 당시 유대인 군사 조직에 의해 추방당했다는 팔레스타인 측 주장과 팔레스타인인이 자발적으로 떠났다는 이스라엘 측 주장이 있었다. 현재는 이스라엘 정부 자료와 미국의 첩보 자료가 공개되면서 이스라엘 측 주장이 허구이며, 대다수의 팔레스타인 난민은 유대인 군사 조직에 의한 대량 학살(이스라엘 역사학자 이란 파페에 따르면 총계 2천 명~3천 명이 희생됨), 총기로 인한 협박, 그리고 유대인 군사 조직의 공격을 두려워하여 난민이 된 것이 학술적으로 명확해졌다. 현재 학술적인 논쟁점은 팔레스타인인 추방이 계획된 것이었는지, 아니면 전투 격화에 따른 우발적인 것이었는지에 대한 점이다.

또한, 이스라엘 건국에 따른 아랍 국가들에서의 유대인에 대한 박해 증가로 인해, 세파르딤 등 아랍 국가들의 유대인 주민 40만 명이 이스라엘로 이주했고, 아랍 국가들에 남겨진 재산의 대부분은 몰수되었다.

1949년 2월 이집트와 이스라엘의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다.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의 80%를 점령하고, 나머지 20%인 요르단 강 서안 지구는 트랜스요르단이 점령했다. 예루살렘은 구시가지는 요르단에, 신시가지는 이스라엘에 점령되었다. 가자 지구는 이집트 영토가 되어 팔레스타인 난민이 몰려들었다.

이스라엘에 잔류한 비유대인(팔레스타인인)은 이스라엘 국방군의 군정(점령 통치) 하에 놓였다. 즉, 이스라엘 정부의 민정 하의 유대인과 이스라엘 군의 군정 하의 비유대인이라는 이중 체제가 갖춰졌다. 비유대인은 참정권 등 시민권은 부여받았지만, 거주 이전의 자유나 직업 선택의 자유 등을 엄격하게 제한받았다.[399]

1950년, 이스라엘에서 부재자 재산 몰수법이 시행되었다. 이에 따라 1947년 팔레스타인 분할 결의안부터 이듬해 9월까지 거주지를 떠나 인근으로 피난하는 등을 한 팔레스타인인은 가옥·재산을 몰수당하게 되었다. 이렇게 몰수된 토지는 유대인 이주민들에게 주어졌다(이것이 아래의 난민의 귀환권 문제로 이어짐. 이스라엘은 난민인 것 자체를 인정하지 않음). 요르단은 점령하고 있는 요르단 강 서안 지구의 정식 병합을 선언한다.

1954년, 이스라엘에서 이 시행되었다. 이것은 팔레스타인 난민이 이스라엘 영토에 귀환하려는 행위를 범죄화한 것이다.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난민을 돌려보냈지만, 일부는 이스라엘 법정에서 체류가 인정되는 판결이 나왔다. 이 때문에 이스라엘은 일률적으로 범죄화하는 법률을 제정했다. 또한 레바논, 이집트, 시리아, 사우디아라비아, 요르단, 이라크, 예멘을 적국으로 지정하고, 적국과의 상호 출입국도 마찬가지로 규제했다.[400]

1956년 7월, 이집트가 수에즈 운하 국유화를 선언하고, 그것을 막기 위해 10월에 이스라엘·영국·프랑스가 이집트에 침공하여 제2차 중동 전쟁(시나이 작전, 수에즈 전쟁)이 발발했다. 그러나 미국과 소련의 즉각적인 휴전 요구에 따라 영국·프랑스는 11월에 전투를 중지했다. 미국의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경제 원조 중단이라는 압력을 가하여, 1957년 3월 이스라엘을 시나이 반도에서 철수시켰다. 이 전쟁으로 중동의 주도권은 영국·프랑스에서 미국·소련으로 옮겨갔다.

1964년 5월,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PLO)가 결성되었다.

1966년, 이스라엘의 아랍인(팔레스타인인) 주민에 대한 군정을 종료했다.

1967년 5월, 이집트의 가말 압델 나세르대통령은 시나이 반도의 병력을 증강하고, 유엔 감시군의 철수를 요구하며, 이스라엘 선박에 대한 티란 해협 봉쇄를 선언했다. 6월 4일 이스라엘은 이집트를 기습 공격하여 제3차 중동 전쟁이 발발했다. 이스라엘은 미국이 지원하고, 아랍 국가들은 소련이 지원했다.

2. 4. 1.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제1차 중동 전쟁)



1948년 5월 14일 이스라엘 건국 선언 이후 아랍 연맹은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을 지원하기 위해 개입하기로 결정하고, 군대를 전 영국령 팔레스타인으로 진군시켜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의 주요 단계를 시작했다.[65] 약 1만 5천 명의 사상자를 낸 전투는 1949년 휴전 및 정전 협정으로 이어졌으며, 이스라엘은 이전 위임 통치 지역의 대부분을 장악하고, 요르단은 요르단 강 서안을 점령하여 나중에 병합했으며, 이집트는 가자 지구를 장악했다. 아랍 연맹은 1948년 9월 22일 가자 지구에서 전팔레스타인 정부를 선포했다.[54]

승리가 예상되었던 아랍 측은 내분으로 인해 실력을 발휘하지 못했고, 이스라엘은 인구의 1%가 전사했음에도 불구하고 열강으로부터 풍부한 물자 지원을 받아 승리했다. 1948년 당시 팔레스타인 지역에 살고 있던 70만~80만 명의 아랍인 등이 난민이 되었다(소위 '''팔레스타인 난민'''). 팔레스타인인을 중심으로 한 아랍인들은 "'''나크바(النكبة)'''"(아랍어로 "대파국", "대재앙"을 의미함)라고 부른다.

팔레스타인 난민 발생 원인에 대해서는 당시 유대인 군사 조직에 의해 추방당했다는 팔레스타인 측 주장과 팔레스타인인이 자발적으로 떠났다는 이스라엘 측 주장이 있었다. 현재는 이스라엘 정부 자료와 미국의 첩보 자료가 공개되면서 이스라엘 측 주장이 허구이며, 대다수의 팔레스타인 난민은 유대인 군사 조직에 의한 대량 학살(이스라엘 역사학자 이란 파페에 따르면 총계 2천 명~3천 명이 희생됨), 총기로 인한 협박, 그리고 유대인 군사 조직의 공격을 두려워하여 난민이 된 것이 학술적으로 명확해졌다. 현재 학술적인 논쟁점은 팔레스타인인 추방이 계획된 것이었는지, 아니면 전투 격화에 따른 우발적인 것이었는지에 대한 점이다.

또한, 이스라엘 건국에 따른 아랍 국가들에서의 유대인에 대한 박해 증가로 인해, 세파르딤 등 아랍 국가들의 유대인 주민 40만 명이 이스라엘로 이주했고, 아랍 국가들에 남겨진 재산의 대부분은 몰수되었다.

1949년 2월 이집트와 이스라엘의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다.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의 80%를 점령하고, 나머지 20%인 요르단 강 서안 지구는 트랜스요르단이 점령했다. 예루살렘은 구시가지는 요르단에, 신시가지는 이스라엘에 점령되었다. 가자 지구는 이집트 영토가 되어 팔레스타인 난민이 몰려들었다.

2. 4. 2. 1956년 수에즈 위기 (제2차 중동 전쟁)

1950년대를 통해 요르단과 이집트는 팔레스타인 페다인/فدائيونar 무장세력의 이스라엘 국경 침범을 지원했고, 이스라엘은 이들 국가에 대한 보복 작전을 수행했다. 1956년 수에즈 위기는 이스라엘의 가자 지구 단기 점령과 전팔레스타인 정부의 망명으로 이어졌으며, 이후 이스라엘 철수와 함께 복원되었다. 전팔레스타인 정부는 1959년 이집트에 의해 완전히 폐기되었고, 팔레스타인 민족 운동에 손해를 끼치며 공식적으로 아랍 연합 공화국에 합병되었다. 그 후 가자 지구는 이집트 군사 행정관의 권한 아래 놓여 사실상의 군사 점령이 되었다.[65]

1956년 7월, 이집트가 수에즈 운하 국유화를 선언하자, 이를 막기 위해 10월에 이스라엘·영국·프랑스가 이집트에 침공하여 제2차 중동 전쟁(시나이 작전, 수에즈 전쟁)이 발발했다. 그러나 미국과 소련의 즉각적인 휴전 요구에 따라 영국·프랑스는 11월에 전투를 중지했다. 미국의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경제 원조 중단이라는 압력을 가하여, 1957년 3월 이스라엘을 시나이 반도에서 철수시켰다. 이 전쟁으로 중동의 주도권은 영국·프랑스에서 미국·소련으로 옮겨갔다.

2. 4. 3. 1967년 6일 전쟁 (제3차 중동 전쟁)

1967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에서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의 요르단 강 서안 지구, 동예루살렘, 가자 지구, 이집트의 시나이 반도, 시리아의 골란 고원, 그리고 아카바 만의 두 섬을 점령했다.[69] 1967년 6월 전쟁은 이스라엘이 요르단으로부터 요르단 강 서안 지구를, 이집트로부터 가자 지구를 군사적으로 장악함에 따라 팔레스타인 민족주의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1967년 6일 전쟁 당시 이스라엘은 요르단 강 서안 지구, 가자 지구, 골란 고원, 시나이 반도를 점령했습니다. 시나이 반도를 제외한 모든 지역은 이스라엘 점령하에 있습니다.


1967년 5월, 이집트의 가말 압델 나세르대통령은 시나이 반도의 병력을 증강하고, 유엔 감시군의 철수를 요구하며, 이스라엘 선박에 대한 티란 해협 봉쇄를 선언했다. 6월 4일 이스라엘은 이집트를 기습 공격하여 제3차 중동 전쟁이 발발했다. 이스라엘은 미국이 지원하고, 아랍 국가들은 소련이 지원했다.

2. 5. 1967년 ~ 1993년: 점령과 저항

이스라엘은 동예루살렘, 가자 지구, 시나이 반도, 요르단 강 서안, 골란 고원을 점령했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휴전 결의안을 채택했다. 11월 유엔 안보리에서 이스라엘의 승인, 이스라엘의 점령지에서의 철수, 중동 지역의 항해 자유 보장, 난민 문제 해결 등을 결의했다(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242호). 그러나 이스라엘 점령지에 대해서는 영어판과 불어판에서 해석이 달랐고, 영어판에서는 반드시 모든 점령지에서 철수할 필요는 없다는 해석의 여지가 있었다.[401][402][403][404] 어찌 되었든 이스라엘, PLO, 아랍 국가 모두 이 시점에서는 안보리 결의 제242호를 따르지 않았다.

점령지에서는 다시 군정이 시행되었고(이스라엘 방위군 군법), 기본적으로 팔레스타인인 등 비유대인 주민들이 군법에 구속되었다. 이스라엘군은 일단 점령지에서 피점령민 보호를 규정한 1949년 제네바 제4조약을 따르겠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10월 22일자 명령 144에서 (요르단 강) 서안 지구, 가자 지구, 골란 고원에서는 IDF가 제네바 제4조약에 제약받지 않는다고 공표했다.[405] 이러한 지역은 제네바 제4조약에 규정된 점령지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이스라엘 측 주장에 근거하고 있다.

1973년 10월 이집트와 시리아가 이스라엘을 기습 공격하여 제4차 중동 전쟁(욤 키푸르 전쟁, 라마단 전쟁)이 발발했다. 석유수출국기구 10개국은 이스라엘이 점령지에서 철수할 때까지 매달 석유 생산량의 5% 이상을 감산한다는 결의안을 채택했고, 석유 파동이 발생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휴전 결의안을 채택했다.

1974년 10월 PLO가 유엔에서 옵저버 지위를 획득했다.

미국의 평화 협상에 의해 1978년 9월 캠프 데이비드 협정이 체결되었고, 1979년 3월 이집트-이스라엘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에 따라 시나이 반도가 이집트에 반환되었고,"'''토지와 평화의 교환'''"이라고 불렸다. PLO와 아랍 국가들은 이 협정을 이집트의 "배신"으로 강하게 반발했고, 이집트는 아랍 연맹에서 추방되었다(1990년 복귀).

1980년 3월 1일 유엔 안보리에서 이스라엘이 1967년 이후 아랍 측 영토를 점령하고 유대인 정착지를 건설한 행위를 모두 무효로 하고 신속한 철수를 요구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465호를 채택했다.[406] 이때 미국도 찬성(기권하려다 실수했다고 성명)했지만, 이스라엘은 이 결의를 무시했다. 또한 7월 이스라엘은 "통일 예루살렘은 이스라엘의 불가분하고 영원한 수도이다"라는 예루살렘 기본법을 제정하고, 동예루살렘의 영구 병합을 선포했다.

1981년 미국의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은 유대계 로비와 이스라엘의 반대를 무릅쓰고 사우디아라비아에 무기를 수출했다. 1978년 4월 시나이 반도가 이집트에 반환되었다. 6월 이스라엘이 레바논에 침공하여 레바논 전쟁이 발생했다. PLO는 베이루트에서 철수했다. 9월 미국이 중동 평화안을 제시했고, 아랍 정상 회의에서 페즈 헌장이 채택되었다.

1987년 이스라엘 점령지에서 팔레스타인인들의 저항 운동인 제1차 인티파다가 발생했다. 12월 14일 반이스라엘·반PLO를 주장하는 저항 운동 조직 하마스가 결성되었다.

1988년 7월 31일 요르단은 이스라엘 점령하의 요르단 강 서안 지구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철회하고, PLO가 유일한 정통 팔레스타인 대표라고 선언했다.

같은 해 11월 15일 제19회 팔레스타인 민족평의회(PNC)에서 팔레스타인 독립 선언을 했다. 전날인 11월 14일에는 안보리 결의 제242호, 338호에 기초한 정치적 해결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이에 따라 팔레스타인 주류는 안보리 결의 제242호를 승인하고, 이스라엘의 승인을 전제로 (두 국가 해결) 동 결의에 기초한 국경선에 따른 팔레스타인의 영유권을 요구하는 노선이 확립되었다.[407]

1990년 걸프 전쟁에서 이라크쿠웨이트를 침공했다.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대통령은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점령을 빌미로 쿠웨이트 점령을 정당화하려 했다. 예전부터 후세인과 친분이 있던 PLO의 야세르 아라파트 의장(팔레스타인 대통령)은 이라크를 지지했기 때문에 쿠웨이트를 포함한 아랍 국가들의 반발을 사고, 지원도 감소 또는 중단되어 곤경에 처했다.

2. 5. 1.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의 등장과 무장 투쟁

이스라엘은 동예루살렘, 가자 지구, 시나이 반도, 요르단 강 서안, 골란 고원을 점령했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휴전 결의안을 채택했다. 11월 유엔 안보리에서 이스라엘의 승인, 이스라엘의 점령지에서의 철수, 중동 지역의 항해 자유 보장, 난민 문제 해결 등을 결의했다(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242호). 그러나 이스라엘 점령지에 대해서는 영어판과 불어판에서 해석이 달랐고, 영어판에서는 반드시 모든 점령지에서 철수할 필요는 없다는 해석의 여지가 있었다.[401][402][403][404] 어찌 되었든 이스라엘, PLO, 아랍 국가 모두 이 시점에서는 안보리 결의 제242호를 따르지 않았다.

점령지에서는 다시 군정이 시행되었고(이스라엘 방위군 군법), 기본적으로 팔레스타인인 등 비유대인 주민들이 군법에 구속되었다. 이스라엘군은 일단 점령지에서 피점령민 보호를 규정한 1949년 제네바 제4조약을 따르겠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10월 22일자 명령 144에서 (요르단 강) 서안 지구, 가자 지구, 골란 고원에서는 IDF가 제네바 제4조약에 제약받지 않는다고 공표했다.[405] 이러한 지역은 제네바 제4조약에 규정된 점령지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이스라엘 측 주장에 근거하고 있다.

1973년 10월 이집트와 시리아가 이스라엘을 기습 공격하여 제4차 중동 전쟁(욤 키푸르 전쟁, 라마단 전쟁)이 발발했다. 석유수출국기구 10개국은 이스라엘이 점령지에서 철수할 때까지 매달 석유 생산량의 5% 이상을 감산한다는 결의안을 채택했고, 석유 파동이 발생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휴전 결의안을 채택했다.

1974년 10월 PLO가 유엔에서 옵저버 지위를 획득했다.

미국의 평화 협상에 의해 1978년 9월 캠프 데이비드 협정이 체결되었고, 1979년 3월 이집트-이스라엘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에 따라 시나이 반도가 이집트에 반환되었고,"'''토지와 평화의 교환'''"이라고 불렸다. PLO와 아랍 국가들은 이 협정을 이집트의 "배신"으로 강하게 반발했고, 이집트는 아랍 연맹에서 추방되었다(1990년 복귀).

1980년 3월 1일 유엔 안보리에서 이스라엘이 1967년 이후 아랍 측 영토를 점령하고 유대인 정착지를 건설한 행위를 모두 무효로 하고 신속한 철수를 요구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465호를 채택했다.[406] 이때 미국도 찬성(기권하려다 실수했다고 성명)했지만, 이스라엘은 이 결의를 무시했다. 또한 7월 이스라엘은 "통일 예루살렘은 이스라엘의 불가분하고 영원한 수도이다"라는 예루살렘 기본법을 제정하고, 동예루살렘의 영구 병합을 선포했다.

1981년 미국의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은 유대계 로비와 이스라엘의 반대를 무릅쓰고 사우디아라비아에 무기를 수출했다. 1978년 4월 시나이 반도가 이집트에 반환되었다. 6월 이스라엘이 레바논에 침공하여 레바논 전쟁이 발생했다. PLO는 베이루트에서 철수했다. 9월 미국이 중동 평화안을 제시했고, 아랍 정상 회의에서 페즈 헌장이 채택되었다.

1987년 이스라엘 점령지에서 팔레스타인인들의 저항 운동인 제1차 인티파다가 발생했다. 12월 14일 반이스라엘·반PLO를 주장하는 저항 운동 조직 하마스가 결성되었다.

1988년 7월 31일 요르단은 이스라엘 점령하의 요르단 강 서안 지구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철회하고, PLO가 유일한 정통 팔레스타인 대표라고 선언했다.

같은 해 11월 15일 제19회 팔레스타인 민족평의회(PNC)에서 팔레스타인 독립 선언을 했다. 전날인 11월 14일에는 안보리 결의 제242호, 338호에 기초한 정치적 해결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이에 따라 팔레스타인 주류는 안보리 결의 제242호를 승인하고, 이스라엘의 승인을 전제로 (두 국가 해결) 동 결의에 기초한 국경선에 따른 팔레스타인의 영유권을 요구하는 노선이 확립되었다.[407]

1990년 걸프 전쟁에서 이라크쿠웨이트를 침공했다.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대통령은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점령을 빌미로 쿠웨이트 점령을 정당화하려 했다. 예전부터 후세인과 친분이 있던 PLO의 야세르 아라파트 의장(팔레스타인 대통령)은 이라크를 지지했기 때문에 쿠웨이트를 포함한 아랍 국가들의 반발을 사고, 지원도 감소 또는 중단되어 곤경에 처했다.

2. 5. 2. 1973년 욤 키푸르 전쟁 (제4차 중동 전쟁)

1973년 10월 6일, 유대교의 성일인 욤 키푸르에 이집트와 시리아를 중심으로 한 아랍 연합군이 이스라엘을 기습 공격하면서 욤 키푸르 전쟁(제4차 중동 전쟁)이 발발했다. 이집트와 시리아는 1973년 이전에 합의된 휴전선을 넘어섰으며, 이집트는 수에즈 운하 주변 지역 대부분을 재점령하려 했고, 시리아와의 전선은 주로 북쪽 골란 고원에 위치했다.[70][71] 이 전쟁은 이스라엘의 승리로 끝났지만, 양측 모두 막대한 인명 피해를 입었다.

전쟁 이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338호를 채택하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242호에 명시된 토지 대 평화 원칙을 확인하고 중동 평화 프로세스를 시작했다. 아랍의 패배는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가 갈등에 대한 협상된 해결책을 추구하려는 의지를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70][71] 또한 많은 이스라엘인들은 이스라엘이 점령한 지역을 무력으로 무기한 유지할 수 없다고 생각하기 시작했다.[72][73]

1973년 10월 이집트와 시리아가 이스라엘을 기습 공격하여 제4차 중동 전쟁(욤 키푸르 전쟁, 라마단 전쟁)이 발발했다. 석유수출국기구 10개국은 이스라엘이 점령지에서 철수할 때까지 매달 석유 생산량의 5% 이상을 감산한다는 결의안을 채택했고, 석유 파동이 발생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휴전 결의안을 채택했다.

2. 5. 3. 1982년 레바논 전쟁

레바논 남부 팔레스타인 반란이 1970년대 초에 정점을 찍은 뒤, 레바논은 이스라엘 북부 공격과 전 세계 항공기 납치 작전의 기지로 사용되면서 이스라엘의 보복을 불렀다. 레바논 내전 동안 팔레스타인 무장 세력은 이스라엘에 대한 공격을 계속하는 동시에 레바논 내 반대 세력과도 싸웠다. 1978년 해안 도로 학살은 리타니 작전으로 알려진 이스라엘의 대규모 침공으로 이어졌다. 이 작전은 레바논에서 를 축출하고 레바논 남부에서 이스라엘과 동맹을 맺은 기독교 민병대의 통제 지역을 확장하려는 것이었다. 이 작전은 남부의 상당 부분을 이스라엘의 대리 세력이 장악하게 하는 데 성공했고, 결국 레바논 남부군이 형성되었다. 미국의 압력 하에 이스라엘군은 결국 레바논에서 철수했다.[76][77][78][79]

1982년 이스라엘은 이집트와의 남부 국경을 확보한 후 레바논에서 PLO의 군사 및 정치적 권력을 와해시킴으로써 팔레스타인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80] 목표는 레바논에 친이스라엘 정권을 수립하고 점령지 팔레스타인에서 정착 및 합병 정책을 계속하는 것이었다.[81][82][83] PLO는 이스라엘과의 최근 휴전을 준수했고 군사 작전보다 협상을 선호했다. 결과적으로 이스라엘은 PLO를 잠재적인 협상 파트너로 제거하려 했다.[84][85][86] 대부분의 팔레스타인 무장 세력은 몇 주 만에 패배했고, 베이루트는 함락되었으며, 6월 야세르 아라파트의 결정에 따라 PLO 본부는 튀니지로 철수했다.[54] 1981년 6월 이스라엘은 레바논을 침공하여 레바논 전쟁이 발생하였고, PLO는 베이루트에서 철수하였다.

2. 5. 4. 제1차 인티파다 (1987년 ~ 1993년)

제1차 인티파다는 1987년 격화되는 공격과 끝없는 점령에 대한 반응으로 시작되었다.[53] 1980년대 후반, 이스라엘 점령에 대한 팔레스타인 주민들의 저항 운동이 일어났으며 이를 제1차 인티파다라고 부른다.[53] 1987년 12월 14일에는 반이스라엘·반PLO를 주장하는 저항 운동 조직 하마스가 결성되었다.

1988년 7월 31일, 요르단은 이스라엘 점령하의 요르단 강 서안 지구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철회하고,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PLO)가 유일한 정통 팔레스타인 대표라고 선언했다. 같은 해 11월 15일, 제19회 팔레스타인 민족평의회(PNC)에서 팔레스타인 독립 선언을 했다. 전날인 11월 14일에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242호, 338호에 기초한 정치적 해결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이에 따라 팔레스타인 주류는 안보리 결의 제242호를 승인하고, 이스라엘의 승인을 전제로 (두 국가 해결) 동 결의에 기초한 국경선에 따른 팔레스타인의 영유권을 요구하는 노선이 확립되었다.[407]

1990년대 초, 제1차 인티파다는 1982년 이집트-이스라엘 평화 조약의 성공에 부분적으로 힘입어 국제적 해결 노력의 초점이 되었다.[53] 결국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평화 과정은 1993년 오슬로 협정으로 이어져 PLO가 튀니지에서 이전하고 요르단강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에 기반을 마련하여 팔레스타인 자치정부를 수립하게 되었다.[53] 그러나 이 평화 과정은 하마스팔레스타인 이슬람 지하드와 같은 팔레스타인 사회 일부의 강력한 반대에 직면했으며, 이들은 즉시 이스라엘을 겨냥한 공격을 시작했다.[53] 수백 명의 사상자와 반정부 선전의 물결이 이어진 후, 이스라엘의 이츠하크 라빈 총리는 평화 협상에 반대한 극우 이스라엘 극단주의자에 의해 암살되었다(이츠하크 라빈 암살).[53] 이 사건은 평화 과정에 심각한 타격을 입혔고, 1996년 새로 선출된 이스라엘 정부는 어느 정도 평화 과정에서 물러섰다.[53]

2. 6. 1993년 ~ 2000년: 오슬로 평화 협상

wikitext

조인 후 악수하는 이스라엘 라빈 총리와 PLO 아라파트 의장. 중앙은 중재한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


1991년 10월, 마드리드에서 중동 평화 회의가 개최되었다. 그러나 PLO 지도부는 이스라엘의 반대로 배제되었고, 팔레스타인은 PLO 색채가 옅은 인물을 요르단과의 합동 대표단 형태로 참가시키는 데 그쳤다.[408]

1993년 9월 13일, 이스라엘과 PLO는 팔레스타인 사람의 잠정 자치 원칙 선언(오슬로 협정)에 워싱턴 D.C.에서 조인했다(사진 참조). 그 결과, 1994년 5월부터 가자·예리코 선행 자치가 시작되었고, 자치 정부도 조직되기 시작했다. PLO의 아라파트 의장과 이스라엘의 이츠하크 라빈 총리, 시몬 페레스 외무장관은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1995년 9월 24일, 워싱턴에서 「오슬로 협정 II/Oslo II Accord영어」(오슬로 협정 II)가 PLO와 이스라엘 사이에 조인되었다. 요르단 강 서안은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가 치안과 행정을 모두 담당하는 "A 지역(일본 외무성의 명칭은 "A 지역", 이하 동일)", 팔레스타인이 행정, 이스라엘군이 치안을 담당하는 "B 지역", 이스라엘군이 치안과 행정을 모두 담당하는 "C 지역"으로 분할되었다. "C 지역"은 향후 협상을 통해 순차적으로 팔레스타인으로 이관될 계획이었다.[409][410]

1996년 1월에 팔레스타인 평의회 선거가 실시되었다. 그 직전인 1995년 11월 4일, 평화에 헌신했던 이스라엘의 라빈 총리는 텔아비브에서 카하네주의자 이갈 아미르에게 살해당했다. 이스라엘에서는 원칙적으로 노동당이 "평화 추진"(예루살렘과 요르단 강 서안의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역을 병합), 리쿠드가 "평화 반대"(팔레스타인 전토를 병합)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이스라엘이 시나이 반도 철수를 기반으로 한 이집트와의 평화를 추진한 것은 우익 정당인 리쿠드의 메나헴 베긴 정권이었다. 또한 팔레스타인 잠정 합의 및 요르단과의 평화를 추진한 것은 좌익 정당인 노동당의 라빈 정권이었지만, 라빈은 정계 활동 이전에는 이스라엘군 참모총장으로서 제3차 중동 전쟁을 지휘했었다.

1996년, 이스라엘에 대한 아랍·이슬람 원리주의자(하마스, 이슬람 지하드, 히즈볼라)에 의한 테러가 격화되었다.

1997년 1월 17일, 헤브론 프로토콜/Protocol_Concerning_the_Redeployment_in_Hebron영어 체결로 자치가 확대되었다.

1998년 10월 23일, 와이리버 각서/Wye_River_Memorandum영어 체결로 자치가 확대되었다.

2000년 7월에는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담 후 아라파트 의장이 이스라엘 측의 "서안 지구의 91% 지배권을 인정하되, 별도로 서안 지구 면적의 10%를 당분간(6~21년) 이스라엘 측 지배하에 둘 것"이라는 평화안을 거부했다. 이스라엘의 에후드 바락 총리는 "관대한 제안을 거부했다"고 비난했다.
팔레스타인 측이 거부한 이유로는, 하나는 단순히 준비 부족이었다. 아라파트는 아랍 국가들과 협의 후 결론을 내리려고 했지만, 이스라엘과 미국은 본 회담에서 결과를 내리려고 결론을 서둘렀다. 또 하나는 팔레스타인 측은 안보리 결의 242 및 338의 수용 자체를 양보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안보리 결의 242에 따른 영토 "양도"를 완전히 할 필요는 없고, 오슬로 협정에서 팔레스타인 측도 받아들였다고 인식하여 인식 차이가 있었다. 그 결과, 동예루살렘의 귀속과 팔레스타인 난민 귀환 문제 등 각론에서 타협할 수 없었다. 또한 항공 교통 관제와 수자원 권리에 있어서 이스라엘 측이 현상 유지를 주장한 것도 대립점이 되었다.[411]

2. 6. 1. 오슬로 협정 (1993년, 1995년)

1991년 10월, 마드리드에서 중동 평화 회의가 개최되었으나, PLO 지도부는 이스라엘의 반대로 배제되었고, 팔레스타인은 PLO 색채가 옅은 인물을 요르단과의 합동 대표단 형태로 참가시키는 데 그쳤다.[408]

1993년, 이츠하크 라빈이 이끄는 이스라엘 관리들과 야세르 아라파트가 이끄는 PLO의 팔레스타인 지도자들은 오슬로 평화 과정을 통해 평화적인 해결책을 모색했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이정표는 아라파트가 이스라엘의 존재 권리를 인정하는 서한을 보낸 것이었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국가의 존재 권리를 인정할 필요가 없었고, 실제로 인정하지도 않았다.[https://www.nytimes.com/1993/09/10/world/israel-and-plo-recognize-each-other-formal-ties-are-next.html] 같은 해 원칙 선언(오슬로 1)이 서명되어 향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협상을 위한 틀을 마련했다. 그러나 이 협정들은 팔레스타인의 자결권이나 국가 수립을 지지하지 않았고, 전쟁으로 땅을 얻을 수 없다는 유엔 결의안 242의 국제적으로 인정된 해석을 무효화했다.[128]

1993년 9월 13일, 이스라엘과 PLO는 팔레스타인 사람의 잠정 자치 원칙 선언(오슬로 협정)에 워싱턴 D.C.에서 조인했다(사진 참조). 그 결과, 1994년 5월부터 가자·예리코 선행 자치가 시작되었고, 자치 정부도 조직되기 시작했다. PLO의 아라파트 의장과 이스라엘의 이츠하크 라빈 총리, 시몬 페레스 외무장관은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오슬로 협정의 핵심은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의 수립과 이스라엘 군 당국과의 안보 협력이었는데, 이는 점령의 "외부 위탁"으로 묘사되어 왔다.[132] 이츠하크 라빈은 "팔레스타인인들이 우리보다 내부 안보를 더 잘 확립할 것"이라며, 그 이유는 "그들이 대법원에 항소를 허용하지 않고 [인권 단체]가 그곳의 상황을 비판하는 것을 막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133] 벤 아미는 "오슬로의 의미 중 하나는 PLO가 결국 인티파다를 억압하고 팔레스타인 독립을 위한 진정한 민주적 투쟁을 단축하는 임무에서 이스라엘의 협력자가 되었다는 것이다."라고 설명했다.[131]

1995년 9월 24일, 워싱턴에서 「」(오슬로 협정 II)가 PLO와 이스라엘 사이에 조인되었다. 요르단 강 서안은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가 치안과 행정을 모두 담당하는 "A 지역", 팔레스타인이 행정, 이스라엘군이 치안을 담당하는 "B 지역", 이스라엘군이 치안과 행정을 모두 담당하는 "C 지역"으로 분할되었다. "C 지역"은 향후 협상을 통해 순차적으로 팔레스타인으로 이관될 계획이었다.[409][410]

평화 운동 포스터: 이스라엘 국기와 팔레스타인 국기, 그리고 아랍어와 히브리어로 쓰인 "평화"라는 단어


1996년 1월에 팔레스타인 평의회 선거가 실시되었다.

이 과정은 1995년 11월 이츠하크 라빈 암살과 1996년 네타냐후의 당선을 기점으로 전환점을 맞았다.

2. 6. 2. 1994년 이스라엘-요르단 평화 조약



1991년 10월, 마드리드에서 중동 평화 회의가 개최되었다. 그러나 PLO 지도부는 이스라엘의 반대로 배제되었고, 팔레스타인은 PLO 색채가 옅은 인물을 요르단과의 합동 대표단 형태로 참가시키는 데 그쳤다.[408]

1993년 9월 13일, 이스라엘과 PLO, 팔레스타인 사람의 잠정 자치 원칙 선언에 워싱턴 D.C.에서 조인(사진 참조) (오슬로 협정)이 체결되었다. 그 결과, 1994년 5월부터 가자·예리코 선행 자치가 시작되었고, 자치 정부도 조직되기 시작했다. PLO의 아라파트 의장과 이스라엘의 이츠하크 라빈 총리, 시몬 페레스 외무장관은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1995년 9월 24일, 워싱턴에서 「오슬로 협정 II/Oslo II Accord영어」(오슬로 협정 II)가 PLO와 이스라엘 사이에 조인되었다. 요르단 강 서안은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가 치안과 행정을 모두 담당하는 "A 지역(일본 외무성의 명칭은 "A 지역", 이하 동일)", 팔레스타인이 행정, 이스라엘군이 치안을 담당하는 "B 지역", 이스라엘군이 치안과 행정을 모두 담당하는 "C 지역"으로 분할되었다. "C 지역"은 향후 협상을 통해 순차적으로 팔레스타인으로 이관될 계획이었다.[409][410]

1996년 1월에 팔레스타인 평의회 선거가 실시되었다. 그 직전인 1995년 11월 4일, 평화에 헌신했던 이스라엘의 라빈 총리는 텔아비브에서 카하네주의자 이갈 아미르에게 살해당했다. 이스라엘에서는 원칙적으로 노동당이 "평화 추진"(예루살렘과 요르단 강 서안의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역을 병합), 리쿠드가 "평화 반대"(팔레스타인 전토를 병합)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이스라엘이 시나이 반도 철수를 기반으로 한 이집트와의 평화를 추진한 것은 우익 정당인 리쿠드의 메나헴 베긴 정권이었다. 또한 팔레스타인 잠정 합의 및 요르단과의 평화를 추진한 것은 좌익 정당인 노동당의 라빈 정권이었지만, 라빈은 정계 활동 이전에는 이스라엘군 참모총장으로서 제3차 중동 전쟁을 지휘했었다.

2. 6. 3.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담 (2000년)

2000년 7월,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은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반 야세르 아라파트와 에후드 바락 이스라엘 총리 간의 평화 정상회담을 소집했다. 바락은 미국을 통해 팔레스타인 대통령에게 "협상의 기초"로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역사적 팔레스타인의 78%를 포기한 후, 3~4개 지역으로 분할된 비무장화된 팔레스타인 국가가 요르단 강 서안 지구의 87~92%를 차지하는 것이다.[145] 요르단 강 서안의 91%(요르단 강 서안 5,538km²는 팔레스타인 관점에서는 86%에 불과함),[145] 동예루살렘의 아랍 지역과 가자 지구 전체를 포함,[146][147] 요르단 강 서안 유대인 정착민의 85%를 차지하는 69개의 유대인 정착촌은 이스라엘에 할양하고, 이스라엘로의 귀환권은 없고, 템플 마운트 또는 동예루살렘 핵심 지역에 대한 주권은 없으며, 요르단 계곡에 대한 이스라엘의 통제는 계속 유지된다는 조항도 포함되었다.[148][149]

아라파트는 이 제안을 거부했으며,[146] 팔레스타인 협상가들과 이스라엘 분석가들, 그리고 이스라엘 외무장관 슬로모 벤 아미는 이를 "용납할 수 없다"고 묘사했다.[140][150] 팔레스타인 협상가들에 따르면, 이 제안은 토지, 안보, 정착촌, 예루살렘에 관한 이스라엘 점령의 많은 요소를 제거하지 못했다.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담 이후, 에후드 바락 이스라엘 총리와 슬로모 벤 아미 외무장관, 그리고 데니스 로스와 매들린 올브라이트 등 미국 관리들이 지지하는 이야기가 등장했다. 야세르 아라파트가 이스라엘의 관대한 평화 제안을 거부하고 대신 폭력적인 봉기를 선동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야기는 아라파트가 2국가 해결책에 관심이 없고 이스라엘을 파괴하고 팔레스타인 전체를 장악하려는 것을 목표로 했다고 시사했다. 이러한 견해는 미국과 이스라엘 여론에서 널리 받아들여졌다. 거의 모든 학자들과 협상에 참여한 대부분의 이스라엘과 미국 관리들은 이러한 이야기를 거부했다. 이러한 사람들에는 저명한 이스라엘 협상가, IDF 참모총장, IDF 정보국장, 신 베트 국장과 그들의 자문관들이 포함된다.[151]

미국의 강한 압력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요구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타당한 해결책은 마련되지 않았다. 클린턴은 오랫동안 정상회담 실패에 대해 아라파트를 비난해왔다.[152] 정상회담 이후 몇 달 동안 클린턴은 평화 프로세스 복원을 위한 전략을 파악하기 위해 전 미국 상원의원 조지 J. 미첼을 임명하여 사실 조사 위원회를 이끌도록 했다. 위원회의 조사 결과는 2001년에 발표되었으며, 기존 이스라엘 정착촌의 철거와 팔레스타인의 무장 활동 단속을 하나의 전략으로 제시했다.[153]

2000년 7월에는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담 후 아라파트 의장이 이스라엘 측의 "서안 지구의 91% 지배권을 인정하되, 별도로 서안 지구 면적의 10%를 당분간(6~21년) 이스라엘 측 지배하에 둘 것"이라는 평화안을 거부했다. 이스라엘의 에후드 바락 총리는 "관대한 제안을 거부했다"고 비난했다.
팔레스타인 측이 거부한 이유로는, 하나는 단순히 준비 부족이었다. 아라파트는 아랍 국가들과 협의 후 결론을 내리려고 했지만, 이스라엘과 미국은 본 회담에서 결과를 내리려고 결론을 서둘렀다. 또 하나는 팔레스타인 측은 안보리 결의 242 및 338의 수용 자체를 양보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안보리 결의 242에 따른 영토 "양도"를 완전히 할 필요는 없고, 오슬로 협정에서 팔레스타인 측도 받아들였다고 인식하여 인식 차이가 있었다. 그 결과, 동예루살렘의 귀속과 팔레스타인 난민 귀환 문제 등 각론에서 타협할 수 없었다. 또한 항공 교통 관제와 수자원 권리에 있어서 이스라엘 측이 현상 유지를 주장한 것도 대립점이 되었다.[411]

2. 7. 2000년 ~ 현재: 폭력의 악순환과 평화 협상 중단

베들레헴의 이스라엘 서안 장벽


클린턴 협상안

실패한 정상회담 이후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협상가들은 2000년 8월과 9월에 걸쳐 소규모 그룹으로 계속 만나 각자의 입장 차이를 해소하려고 노력했다. 미국은 미해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체 계획을 준비했다. 클린턴의 미국 제안 발표는 9월 말 제2차 인티파다의 발생으로 지연되었다.

2000년 12월 23일에 마침내 제시된 클린턴의 계획은 가자 지구와 서안 지구의 94~96%에 팔레스타인 주권 국가를 수립하고, 1967년 이전 이스라엘 영토에서의 토지 교환을 통해 서안 지구의 1~3%에 해당하는 영토를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제안했다. 예루살렘에 대해서는 "아랍 지역은 팔레스타인 지역이고 유대인 지역은 이스라엘 지역이라는 일반 원칙"을 명시했다. 성지에 대해서는 팔레스타인이 하라무 앗샤리프/템플 마운트에 대한 주권을 갖고, 이스라엘이 통곡의 벽에 대한 주권을 갖는다는 기준으로 분할될 것이었다. 난민 문제에 대해서는 재정적 보상, 팔레스타인 국가로의 귀환권, 그리고 1948년 팔레스타인인들에게 가해진 고통에 대한 이스라엘의 인정 등 여러 제안이 제시되었다. 안보 제안은 "비무장화된" 팔레스타인 국가와 국경 안보를 위한 국제군을 언급했다. 양측 모두 클린턴의 계획을 수용했으며,[154][155] 이는 다음 해 1월 타바 평화 정상회담에서의 협상의 기초가 되었다.

가자 지구 철수, 요르단강 서안 장벽

2. 7. 1. 제2차 인티파다 (2000년 ~ 2005년)

텔아비브 버스 자살 폭탄 테러 이후


수년간의 실패한 협상 끝에, 2000년 9월 분쟁이 제2차 인티파다로 재개되었다.[54] 팔레스타인 국가 안보군과 이스라엘 방위군 간의 공공연한 분쟁으로 확대된 폭력 사태는 2004년/2005년까지 지속되었으며, 약 130명의 사망자를 냈다. 2005년 이스라엘 총리 아리엘 샤론은 가자 지구에서 이스라엘 정착민과 군인을 철수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이스라엘과 대법원은 가자 지구에서 "발생하는 일에 대해 효과적인 통제권을 행사하지 못했다"고 말하며 공식적으로 점령 종식을 선언했다.[87] 그러나 유엔, 휴먼 라이츠 워치 및 기타 많은 국제 기구와 NGO들은 이스라엘이 가자 지구의 영공과 영해를 통제하고, 항공 또는 해상을 통해 가자 지구로의 사람이나 물자의 이동을 통제하기 때문에 이스라엘을 가자 지구 점령국으로 간주하고 있다.[87][88][89]

2000년 9월 30일, 알아크사 인티파다(제2차 인티파다) 발생으로 PLO와의 평화 협상이 결렬되었다.

양측 시민들 사이에는 평화 운동과 교류 활동, 이스라엘 내 징병 거부 및 예비역 병사의 복무 거부 운동 등이 있었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는 평화를 추진하는 것을 공식적인 정책으로 삼고 있으나, 무력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테러 전략을 채택하는 무장 단체들도 존재하며, 젊은이들과 여성들을 자주 자살 폭탄 테러에 이용하고 있다.

한편, 이스라엘 정부는 점령 중인 요르단강 서안 지역에 정착민들을 보내 일반 시민들을 불법적인 영토 확장 정책에 이용하고 있다. 이스라엘 정착민들이 팔레스타인 주민들의 올리브 밭에 방화한 후, 밭을 갈아 자신의 땅으로 만들어 사실상의 점유를 하고 있다. 또한 팔레스타인 주민들은 이스라엘군도 방화에 가담했다고 증언하고 있다.

최근에는 팔레스타인의 자살 폭탄 테러가 이스라엘 측이 건설한 분리 장벽(아래 참조)으로 인해 어려워지고 있으며, 팔레스타인의 각 무장 단체는 카삼 로켓을 이용한 포격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 결과, 이스라엘 민간인들에게 많은 희생자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이스라엘 측은 공격 헬리콥터를 이용한 폭격, 불도저를 이용한 주택 파괴(이스라엘군의 불도저는 미국 캐터필러사의 특주품이다), 전차를 이용한 포격 등으로 팔레스타인에 반격하고 있다.

또한, 2002년 4월 이스라엘군의 제닌 지역 진입으로 팔레스타인인 학살이 자행되었다고 팔레스타인이 주장했지만, 이스라엘은 이를 부인하고, 유엔의 사찰 수용을 거부하여 유엔 사찰단이 현장에 들어가지 못하고 해체되는 등, 이스라엘은 유엔이나 제3국으로부터의 개입을 기본적으로 거부하고 있다.

2002년 2월 사우디아라비아의 압둘라 왕세자가 이스라엘이 모든 점령지에서 철수하면 국가로서 승인하겠다는 중동 평화 제안을 했다. 3월 27일에는 아랍 연맹에서 "아랍 평화 이니셔티브(아랍 평화 구상)[412]"가 채택되어 만장일치로 가결되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이스라엘은 1967년 6월 4일 이후의 점령지에서 철수한다(유엔 안보리 결의 242에 따른 요구)

# 이스라엘은 유엔 총회 결의 194에 따라 팔레스타인 난민 문제를 해결한다

# 이스라엘은 1967년 6월 4일 이후의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영토에 해당하는 점령지를 팔레스타인에 반환하고, 동예루살렘을 팔레스타인의 수도로 인정한다

# 이상의 대가로 아랍 국가들은 이스라엘과의 평화 협정에 서명하고, 지역 모든 국가의 평화를 달성한다

# 동시에 아랍 국가들은 이스라엘과의 국교 정상화에 나선다

같은 해 6월, 미국의 조지 W. 부시 대통령이 팔레스타인 임시 국가 건설을 지지하고, 이스라엘이 정착 활동을 중단하고 팔레스타인이 테러 조직을 해체한다는 중동 평화 구상을 발표했다.
2003년 4월, 미국, EU, 러시아, 유엔 4개국에 의해 중동 평화안의 로드맵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에 제시되었다. 10월 유엔 총회에서 분리 장벽 건설 중단에 관한 결의가 채택되었다.

2. 7. 2. 가자 지구 철수 (2005년)

2005년 4월, 미국의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이스라엘의 아리엘 샤론 총리와의 회담에서, 이스라엘이 가자 지구의 유대인 정착촌에서 철수할 예정이지만, 예루살렘에 인접한 요르단강 서안 지구 최대의 마알레 아두밈 지역에 대한 정착촌 확장을 계획하고 있는 것에 대해 "중동 평화 로드맵에 위배된다"며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413] 샤론과 “약속의 땅”에 대한 애착이 강한 종교 우파 사이에는 대립이 존재했고, 정착민들이 강한 저항을 보이는 가운데, 8월 17일부터 가자 지구 정착촌 철거 작업이 시작되어 가자 지구의 유대인 정착촌이 해체되었다. 그러나 요르단강 서안 지구의 유대인 정착촌은 이전하지 않고, 오히려 새로운 정착촌의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

2. 7. 3. 파타-하마스 분열 (2006년 ~ 현재)

2006년 팔레스타인 의회 선거에서 하마스는 44%의 득표율로 다수당이 되었다. 이에 이스라엘은 하마스가 이전의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협정을 수용하고, 폭력을 포기하며, 이스라엘의 존재권을 인정할 경우에만 경제 제재를 시작하지 않겠다고 했으나, 하마스는 이를 모두 거부했다.[90] 파타흐와 하마스 간의 갈등은 2007년 가자 전투로 격화되었고, 결국 하마스가 가자 지구를 완전히 장악했다.[91] 2007년, 이스라엘은 가자 지구에 해상 봉쇄를 실시했고, 이집트와의 협력을 통해 이집트 국경의 육상 봉쇄도 이루어졌다.

2008년 말,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이스라엘은 가자 지구에 주조작전을 개시, 수천 명의 민간인 사상자와 수십억 달러의 피해를 초래했다. 2009년 2월, 국제 사회의 중재로 양측은 휴전했지만, 점령과 소규모 폭력 사태는 계속되었다.

2011년, 팔레스타인 자치정부는 UN 가입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하마스가 통치하는 가자 지구에서는 이스라엘에 대한 산발적인 로켓 공격과 이스라엘의 공습이 계속되었다.[92][93][94][95] 2012년 11월, UN에서 팔레스타인의 지위는 비회원 옵서버 국가로 격상되었고, 대표단 명칭은 "팔레스타인(PLO에 의해 대표됨)"에서 "팔레스타인국"으로 변경되었다. 2014년, 또 다른 전쟁이 발발하여 70명 이상의 이스라엘인과 2,000명 이상의 팔레스타인인이 사망했다.[96]

2006년 이후 이스라엘은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 사이의 분리를 강화하는 정책을 시행해 왔다.[203] 이 분리 정책에는 가자 지구로의 수입, 수출 및 이동에 대한 엄격한 제한이 포함되었다.[204] 이스라엘은 가자 지구 주민들이 가자 지구를 출입하고 서안 지구로 들어가려면 허가를 받도록 요구했다.[205][206] 하버드 대학교의 정치 경제학자 사라 로이(Sara Roy)는 이 분리 정책이 팔레스타인의 정치적, 경제적 결속을 약화시키고 국가적 통합을 약화시킨다고 주장한다.[208][209]

2007년 하마스 집권 후, 이스라엘은 가자 지구를 "적대적 영토"로 선포했다.[207][210] 이스라엘은 강화된 봉쇄 정책을 통해 가자 지구 경제를 붕괴 직전으로 몰아넣는 "경제 전쟁"을 벌였다.[207] 이스라엘 인권 단체 기샤(Gisha)는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이스라엘의 가자 지구 정책을 "명백히 처벌적"이라고 설명하며, 경제 활동을 제한하고 식량 유입을 통제했다고 한다.[212] 기샤에 따르면, 가자 지구의 이동 제한은 개별적인 안보 우려에 근거하지 않고, 가자 지구에서 이스라엘이나 서안 지구로의 이동은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허용되지 않는다.[213] 이스라엘 정책은 가자 지구를 "종착역"으로 취급하며,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 사이의 가족 재결합은 가족이 가자 지구로 영구 이주하는 경우에만 가능하다.[214]

야세르 아라파트 의장 사후, 2005년 1월 자치정부 의장 선거에서 마무드 압바스가 당선되었다. 2006년 1월 25일 팔레스타인 총선거에서 하마스가 제1당이 되었고, 3월 29일 이스마일 하니야 내각이 구성되었다. EU, 미국, 일본 등은 하마스를 테러 조직으로 지정하고 원조를 중단했다.

2006년 6월 27일, 압바스 의장과 하마스 하니야 총리는 1967년 유엔 휴전 결의에 기초한 국경선 합의(사실상 이스라엘 승인)에 합의했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가자 지구 침공을 확대하고, 요르단강 서안 지구에서는 장관을 포함한 입법 평의원, 지방 수장 약 80명을 납치하여 평의회를 기능 정지 상태로 몰아넣었다. 일본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을 방문하여 회담했지만, 하니야 총리와는 회담하지 않았다.

2006년 11월 1일, 이스라엘은 다시 가자 지구에 침공했다. 이스라엘은 오폭이라고 주장했지만, 압바스 의장은 "이스라엘은 평화의 기회를 파괴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2007년, 파타흐와 하마스의 내부 항쟁이 격화되었다. 압바스 대통령은 긴급 사태 선언 후 내각 해산을 선포했고, 이스라엘과 미국은 살람 파이야드 정부를 공식 협상 상대로 인정했다.

2008년 1월, 조지 워커 부시 대통령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을 방문했다. 부시는 이스라엘의 유대인 정착촌에 대해 비판했지만, 팔레스타인 자치구를 분단하고 있는 현황에 대해서는 "스위스 치즈(구멍 난 치즈)로는 잘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417] 이스라엘의 가자 지구 공격에는 이해를 표명했고, 팔레스타인 난민의 귀환을 인정하지 않았다.[418]

2008년 2월 28일, 이스라엘의 마탄 빌나이 국방차관은 하마스가 공격을 멈추지 않으면 팔레스타인인을 대량 학살하겠다고 위협했다.[424] 3월 1일, 이스라엘은 가자 지구에 대한 지상군 침공을 본격화했다.

2008년 3월 6일, 이스라엘의 신학교에 팔레스타인인 남성이 난입하여 학생 8명을 사살했다. 하마스는 범행을 지지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2008년 6월 19일, 이집트의 중재로 하마스와 이스라엘은 6개월 휴전에 들어갔다. 그러나 11월 4일,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긴장이 고조되었다.

2. 7. 4. 가자 전쟁 (2008년 ~ 2009년, 2012년, 2014년, 2021년, 2023년 ~ 현재)

2014년 전쟁과 2021년 분쟁 이후, 하마스는 이스라엘 공격을 계획하기 시작했다.[97] 2022년 베냐민 네타냐후는 강경 극우 정부를 이끌며 권력에 복귀했고,[98] 이는 이스라엘 내 정치적 갈등을 심화시켰으며[99] 팔레스타인 지역에서 충돌을 야기했다.[100] 이는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으로 이어졌는데, 하마스가 이끄는 무장 단체들이 가자 지구에서 이스라엘 남부를 기습 공격하여 1,200명 이상의 이스라엘 민간인과 군인이 사망하고 인질이 발생했다.[101][102] 이스라엘군은 가자 지구에 대한 대대적인 공습 작전으로 보복했고,[103] 이어 하마스를 제압하고 가자 지구의 안보를 장악한다는 명분으로 대규모 지상 침공을 감행했다.[104] 이스라엘은 민간인과 전투원을 포함하여 수만 명의 팔레스타인인을 사망하게 했고, 거의 200만 명의 사람들이 이주했다.[105]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2023년 가자 지구 이스라엘 공격에서의 집단학살 주장 혐의로 국제사법재판소에서 이스라엘을 비난하고 즉각적인 휴전을 촉구했다.[106] 재판소는 이스라엘에 1948년 집단학살 협약에 위배되는 모든 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을 명령했지만,[107][108][109] 군사 작전 중단을 명령하지는 않았다.[110]

전쟁은 확산되어 이스라엘은 서안 지구의 지역 민병대, 레바논과 이스라엘 북부의 헤즈볼라, 그리고 시리아의 다른 이란 지원 민병대와 충돌했다.[111][112][113] 이란 지원 민병대는 미국과도 충돌했고,[114] 후티 반군은 항의의 표시로 홍해를 봉쇄했으며,[115] 미국은 예멘,[116] 이라크, 시리아에서 공습으로 대응했다.[117]

2008년 12월, 이집트의 중재 하에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휴전이 종료되었다. 하마스는 이스라엘이 가자 지구 봉쇄를 해제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휴전 연장을 거부했다. 이스라엘은 봉쇄가 단계적으로 해제되었고 인도적 지원 물품을 포함한 다양한 물자가 유통되었다고 주장했지만, 적십자사는 봉쇄 강화로 가자 지구 상황이 "파국적"이라고 보고했다. 유엔 조사관 리처드 포크는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인에 대한 집단적 처벌을 반인도 범죄로 규정했다.[430]

휴전 기한 만료 전부터 하마스는 로켓탄박격포 공격을 재개했다. 하마스의 로켓 공격으로 이스라엘인 1명이 사망했다.[431] 12월 21일 이스라엘군은 헬리콥터로 가자 지구를 공격했고, 12월 27일 가자 지구를 본격적으로 공습하여 당일 200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스라엘군은 하마스 테러 조직원과 훈련 캠프 및 무기고를 목표로 했다고 밝혔다.[434] 지미 카터에 따르면 이스라엘은 비공식적으로 48시간 동안 로켓탄 발사를 중단하면 물자 공급이 가능하다는 견해를 밝혔지만 하마스가 거부했고, 그 결과 이스라엘의 보복 공격이 시작되었다고 한다.[435]

2009년 1월 17일까지 22일 동안 지상전을 포함하여 팔레스타인 측에서 최소 1300명이 사망했다.[436] 이스라엘 측 사망자는 13명이었다. 이스라엘 측 주장에 따르면 하마스 전투원 500명을 사살하고 130명을 체포했다.[438][439] 주택 4100채가 전파되고 1만 7000채가 파손되었다.

유엔 팔레스타인 난민 구호 기구(UNRWA)에 따르면 이스라엘군의 가자 지구 침공으로 약 1만 5000명의 주민이 집을 잃고 난민이 되었다. 유엔이 운영하는 학교에서 이스라엘군의 포격으로 최소 48명이 사망했다.[440] UNRWA 가자 지부 존 깅 부소장은 학교에 전투원은 없었고 공격도 없었다고 반박했지만, 이스라엘군은 오폭을 인정하지 않고 하마스의 공격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1월 8일 UNRWA 수송 트럭이 이스라엘군의 포격을 받아 1명이 사망했다.[441] UNRWA는 활동을 중단했다가[442] 1월 9일 이스라엘 정부로부터 안전 확보 보장을 받고 활동을 재개했다. 1월 14일 UNRWA 본부가 공습을 받아 지원 물품이 불타 없어졌다.[443]

1월 9일 유엔 인도지원 조정국(OCHA)은 이스라엘군이 팔레스타인 민간인 약 110명을 한 주택에 모은 후 포격하여 어린이를 포함한 약 30명이 사망했다고 발표했다.[444]

이스라엘은 하마스 시설 공격의 정당성을 주장했고, 미국, 영국, 독일, 이집트, 팔레스타인 자치정부도 이스라엘의 자위권을 인정하거나 하마스를 비난했다. 걸프 협력 회의는 이스라엘을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했고, 유엔의 반기문 사무총장은 양측에 휴전을 촉구했지만 무시되었다.

2008년 12월 30일과 2009년 1월 1일 프랑스는 48시간 휴전안을 제시했지만 이스라엘은 거부했다. 12월 29일 이스라엘의 에후드 바락 국방장관은 하마스와의 "전면전"을 선포했다.

카삼 로켓의 가자 지구 민간 지역에서 이스라엘 남부를 향한 발사, 2009년 1월


이스라엘군 공격을 받는 가자 지구 외곽, 2009년 1월


가자 지구 주민들은 하마스의 지배를 이유로 지역 밖으로의 대피가 허용되지 않았다.[445] 2009년 1월 2일 이스라엘은 비팔레스타인인에 한해 탈출을 허용했다.

이스라엘 여론은 공습을 지지했다. 『하아레츠』지에 따르면 52%가 공습 지속, 19%가 지상 침공을 지지했다.[446]

1월 3일 밤 이스라엘군은 가자 지구 지상 침공을 감행했다. 유엔의 반기문 사무총장은 이스라엘에 공격 중단을 요구했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와 이집트도 비난 성명을 발표했다. 미국 부시 대통령은 이스라엘의 공격을 지지하는 태도를 보였다.

1월 8일 이스라엘군의 UNRWA 공격은 공격 중단 시간대였다. 같은 날 유엔 안보리는 양측에 즉각적인 휴전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지만, 당사자들은 무시했다. 1월 13일 가자시에서 지상전에 돌입했다. 1월 14일 볼리비아와 베네수엘라는 이스라엘과 단교했다. 이스라엘과 하마스는 이집트를 통해 휴전 협상 중이었지만, 이스라엘은 일방적으로 휴전을 선언했다.[449] 하마스는 이를 거부하고 충돌이 계속되었지만, 1월 18일 하마스 측이 1주일 휴전을 표명함으로써 일단락되었다. 1월 21일 이스라엘 방위군은 가자 지구에서 철수했다.

150px


이스라엘은 가자 지구 봉쇄를 계속하고 있으며 하마스는 밀수 터널 재건으로 맞서고 있다.

양측 모두 보도 통제를 실시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언론 관계자의 가자 지구 출입을 금지하고 있다.[451]

3월 31일 이스라엘의 벤야민 네타냐후가 총리에 취임했다.

}}

동예루살렘에서 유대인 정착민 단체가 팔레스타인 주민 추방 운동을 주도했다. 지역의 팔레스타인 주민을 상대로 한 퇴거 소송에서 이스라엘 대법원은 2021년 5월 2일 정착민 단체의 주장을 받아들여 팔레스타인 7가구의 퇴거를 명령했다.[763]

2021년 라마단 기간 동안 이스라엘 정부는 이슬람교도들의 동예루살렘 집회를 금지했고, 이스라엘 경찰은 다마스쿠스 문에 바리케이드를 설치했다. 팔레스타인인들은 시위에 나섰고, 극우 단체 레하바가 예루살렘을 행진하며 팔레스타인인들을 자극했다.

5월 6일, 이스라엘 대법원이 셰이크 자르라에 사는 팔레스타인 주민의 퇴거를 결정하면서 소동이 심화되었다.[765] 5월 9일 예루살렘의 날 시위로 300명 이상의 팔레스타인인이 부상을 입었다. 하마스이슬람 지하드는 이스라엘에 로켓탄을 발사했고, 이스라엘은 보복으로 가자 지구에 대규모 공습을 실시했다.

5월 13일 이스라엘군은 가자 지구의 하마스 기지에 대해 공군과 지상군을 동원한 공격을 개시했다.

5월 20일 밤, 이스라엘 정부는 팔레스타인과의 휴전 협정을 수용한다고 발표했다.[766] 하마스도 휴전을 수용했다.

5월 21일 현재 팔레스타인 측 232명, 이스라엘 측 12명이 사망했다.[766]

6월 13일, 이스라엘에서 나프탈리 베넷 정권이 출범했다.

10월 24일, 베넷 정권은 요르단강 서안, 동예루살렘에서 약 1,300동의 정착촌 주택 건설 입찰을 공고했고, 10월 27일 3,144동의 정착촌 주택 건설 계획을 승인했다.[768]

2021년 한 해 동안 팔레스타인 측 280명, 이스라엘 측 13명이 분쟁으로 사망했다.[770]

2022년 5월 12일, 이스라엘 민정국 고등계획위원회는 요르단강 서안에서 4,427동의 정착촌 주택 건설 계획을 승인했다.[771]

베넷 정권은 연립 정권으로, 여당 내의 갈등이 컸다. 2017년에 제정된 "유대 사마리아 정착지 규제법"은 5년간의 한시 법률로, 시효 만료가 임박했지만, 야당은 퇴진을 위해 갱신에 반대했다. 6월 30일 해산하여 연명시켰다.[774][775]

11월 1일, 총선 결과 베냐민 네타냐후가 총리에 복귀했다. 네타냐후는 요르단강 서안과 골란 고원 등의 정착지 확장을 제시했다.[776]

2022년 한 해 동안 팔레스타인 측 214명, 이스라엘 측 30명이 분쟁으로 사망했다.[778]

2023년 1월 9일, 크네셋(Knesset)에서 “유대-사마리아 정착지 규제법” 개정안이 통과되었다.[779]

1월 26일, 이스라엘 방위군(IDF)은 요르단강 서안 지구 제닌 난민 캠프를 기습 공격하여 무장 세력 9명을 사살했다.[780]

2월 12일, 이스라엘은 9개의 전초기지(이스라엘 국내법에서도 불법인 정착지)를 승인하고 기존 정착지를 확장할 것이라고 발표했다.[782]

3월 21일, 크네셋에서 2005년 철수 계획을 수정하여 요르단강 서안의 4개 정착지 재건을 허용하는 개정안이 통과되었다.[785]

5월 18일, 요르단강 서안 의 정착 규제를 완화하는 내용의 IDF 군율이 공포되었다.[788]

6월 18일, 이스라엘은 요르단강 서안에서 약 4560동의 정착지 주택 건설 계획을 승인할 전망을 밝혔다. 2023년 반년도 안 되는 기간에 13,082동의 정착지 건설이 승인되었는데, 이는 과거 최다 기록이다.[792][793]

7월 3일부터 5일까지, IDF는 요르단강 서안 지구 제닌 난민 캠프를 공격하여 “제닌 대대” 무장 세력 12명을 사살했다.

10월 6일 현재, OCHA에 따르면 팔레스타인 측 237명, 이스라엘 측 29명이 분쟁으로 사망했다.[800]

10월 7일, 하마스-이슬람 성전 측에서 이스라엘에 2000발의 미사일이 발사되었고, 무장 세력이 이스라엘 영토에 침입했다.[801][802] 이스라엘은 보복으로 가자 지구를 공습했다. 10월 9일에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양측에서 사망자가 약 1200명에 달했다.[803]

11월 29일, 이스라엘 예루살렘 지역 계획위원회는 동예루살렘-요르단강 서안에서 1,792동의 정착지 주택 건설 계획을 승인했다.

2023년 한 해 동안 사망한 사람 수에 대한 정보는 혼란스럽다. OCHA에 따르면, 2023년 팔레스타인-이스라엘 분쟁을 제외한 숫자로, 팔레스타인 측 551명, 이스라엘 측 37명이 분쟁으로 사망했다.[806] 2023년 팔레스타인-이스라엘 분쟁에서는 팔레스타인 측이 가자 보건부(하마스 정권)-OCHA에 따르면 21672명이 사망했다.[807] 이스라엘 측은 초기 기습에서 1222명이 사망했다. 이와 별도로, 초기 기습 저지에서 팔레스타인 측 “테러리스트” 약 1500명을 사살했다고 밝혔지만, 가자 보건부 집계에 포함되어 있는지는 불명확하다.[808] 이스라엘 방위군은 가자 지구 침공에서의 전사자는 172명이라고 발표했다.[809]

2024년 2월 27일, 이스라엘 방위군 중앙군 사령관 는 10개 전초기지(이스라엘 국내법에서도 불법인 정착지)의 합법화를 공식 승인했다.

5월 22일, IDF는 요르단강 서안 지구에 명령 2190호를 공포했다. 같은 날 스페인, 노르웨이, 아일랜드가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을 발표한 것에 대한 대응 조치이다.[814]

5월 29일, IDF는 요르단강 서안 지구에 명령 2195호를 공포했다.

6월 27일, 스모트리치 재무장관 겸 국방부 차관은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 및 국제사법재판소-국제형사재판소 제소[821]에 대한 “제재”로 5개 전초기지의 합법화, 수천 호의 새로운 정착지 승인을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7월 3일, “피스 나우”는 이스라엘이 요르단 계곡의 약 12.7㎢의 국유화를 선언했다는 것을 지적했다.

7월 4일, “피스 나우”에 따르면, 이스라엘은 새롭게 전초기지 3곳을 합법화하고 기존 정착지 5295동의 추가 건설을 승인했다.[829]

7월 19일, 국제사법재판소는 이스라엘에 의한 요르단강 서안 지구・가자 지구・동예루살렘의 점령 및 점령에 수반되는 모든 조치는 국제법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이스라엘의 네타냐후 총리는 권고를 거부했다.

2. 7. 5. 미국의 예루살렘 수도 인정 (2017년)

2017년 12월 6일, 미국은 예루살렘을 이스라엘의 수도로 인정했다.[506] 이는 이전까지의 미국 정부의 입장과는 확연히 다른, 친이스라엘 정책의 일환이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미국을 비난하는 결의안이 상정되었으나, 미국의 거부권 행사로 부결되었다.[506] 팔레스타인은 이에 반발하여 유엔 총회 긴급 특별 회의 개최를 요구했다.

12월 21일, 유엔 총회 긴급 특별 회의에서는 예루살렘에 외교 사절(암묵적으로 대사관)을 설치하지 않도록 요구하는 결의안이 채택되었다. 찬성 128표, 반대 9표(이스라엘, 미국, 과테말라, 온두라스, 마셜 제도, 미크로네시아 연방, 나우루, 팔라우, 토고), 기권 35표, 불참 21표로 가결되었으나, 법적 구속력은 없었다.[506][507] 이스라엘의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는 유엔을 "거짓 의회"라고 맹비난하며 투표 결과를 거부한다고 밝혔다. 반면 팔레스타인 대변인은 "팔레스타인의 승리"라며 환영했다.[506][507]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 결의에 찬성하는 국가에 대해 경제 지원을 중단하겠다고 압박했으며, 일본에도 반대 또는 최소한 기권을 요구했다.[508][509] 그러나 일본은 미국을 제외한 다른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들이 모두 찬성할 것으로 예상되었고, 결의안에 반대하는 것은 기존의 "두 국가 해법" 지지 입장과 모순된다는 점, 그리고 결의안이 미국을 직접 명시하지 않았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찬성표를 던졌다.[508][509]

2. 7. 6. 아브라함 협정 (2020년)

2018년 1월 3일,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를 통해 팔레스타인에 대한 보복을 시사했다.[511] 1월 14일, 팔레스타인의 아부 마젠(Abbas)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평화안을 ‘세기의 뺨맞음’이라고 비난했다.[512][513] 1월 16일, 미국 국무부는 유엔 팔레스타인난민구호기구(UNRWA)에 대한 분담금 중 6,500만 달러를 동결한다고 발표했다.[514]

3월, 사우디아라비아의 무함마드 왕세자는 팔레스타인에 대해 미국의 평화안을 수용하거나 침묵해야 한다는 견해를 보였다.[515] 이는 아랍 지도자들이 이스라엘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516] 3월 30일, 가자 지구에서 팔레스타인 난민의 귀환을 요구하는 대귀환 행진 시위가 벌어져 이스라엘군과 충돌, 팔레스타인 측에서 최소 16명이 사망했다.[517]

4월 15일, 아랍 연맹은 이스라엘의 예루살렘 수도 선언을 비난했지만, 미국을 명시적으로 거명하지는 않았다.[519] 5월 9일, 이스라엘 방위군은 “유대 사마리아”에 명령 1797을 발표, 팔레스타인 주민의 건축물을 일방적으로 파괴할 수 있게 했다.[520][521] 5월 14일, 미국은 이스라엘 대사관을 예루살렘으로 이전했고,[522] 가자 지구에서는 팔레스타인인들의 항의 집회가 폭동으로 번져 이스라엘군이 발포, 5월 15일까지 55명이 사망하고 약 2,700명이 부상했다.[523]

6월 16일, 이스라엘 방위군은 가자 지구에서 풍선폭탄을 날린 집단을 공격했다고 발표했다.[525] 8월 24일, 미국은 팔레스타인에 대한 경제 지원 철회를 밝혔다.[526] 8월 31일, 미국은 UNRWA에 대한 자금 지원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527][528][529][530] 9월 11일, 미국은 팔레스타인 총대표부 폐쇄를 발표했다.[532]

2019년 2월, 미국 주최로 폴란드에서 중동 안보 회의가 열렸고,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들이 한자리에 모였다.[540] 3월 25일, 미국은 골란 고원을 이스라엘 영토로 공식 승인했다.[545]

6월, 미국 주최로 바레인에서 “번영을 위한 평화” 회의가 열려 팔레스타인 등에 대한 투자 계획을 발표했지만, 팔레스타인은 불참했다.[548] 11월 18일, 미국의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요르단강 서안의 이스라엘 정착지가 국제법에 위반되지 않는다는 견해를 밝혔다.[552]

2020년 1월 28일,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과 이스라엘의 네타냐후 총리는 공동으로 평화안 "Trump peace plan"을 발표했다.[559][560][561] 이 안은 팔레스타인의 독립을 인정하지만, 이스라엘에 대한 위협이 되지 않도록 주권을 제한하고, 팔레스타인의 비무장화를 요구했다. 또한, 이스라엘 정착지의 97%를 이스라엘 영토로 승인하고, 예루살렘 전역을 이스라엘의 수도로 인정하는 등 이스라엘 측 주장을 대부분 수용했다. 팔레스타인의 아부 마젠 대통령은 이 안을 거부했다.[567]

3. 핵심 쟁점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간 분쟁의 핵심 쟁점은 국경, 서안지구 정착촌의 지위, 동예루살렘의 지위, 팔레스타인 난민의 귀환권, 그리고 안보이다.[124][128][255][256] 1982년 PLO가 이스라엘의 "존재권"을 인정하면서,[139] 미국과 이스라엘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제 사회는 국제법에 근거한 갈등 해결의 틀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했다.[257][258][259] 여러 UN 기구와 국제사법재판소(ICJ)가 이러한 입장을 지지했으며,[259][124] 매년 UN 총회는 "팔레스타인 문제의 평화적 해결"이라는 결의안에 대해 거의 만장일치로 찬성표를 던져왔다. 이 결의안은 이스라엘 정착촌의 불법성, 동예루살렘의 합병, 그리고 전쟁을 통한 영토 획득의 부적합성 원칙을 꾸준히 확인하고 있다. 또한 1967년 이후 점령된 팔레스타인 영토에서 이스라엘의 철군과 UN 결의안 194에 근거한 난민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의 필요성을 강조한다.[260]

일방적인 전략과 강경파 정치 세력의 과격한 언설, 그리고 폭력은 상호 적대감과 증오심을 조장하고 평화적 해결 가능성에 대한 믿음을 상실하게 만들었다. 협상 결렬 이후 이스라엘의 우려 사항에서 안보는 고용, 부패, 주택 등의 시급한 문제들에 비해 중요성이 낮아졌다.[261] 이스라엘 정책은 협상을 통한 해결책을 찾는 것이 아니라 갈등과 관련된 팔레스타인 영토 점령을 관리하는 데 초점을 맞추도록 재편되었다.[261][262][129][263][264] 서안지구 내 이스라엘 정착촌의 확장은 대다수의 팔레스타인인들에게 이스라엘이 합의에 전념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안보를 확보하기 위해 이 영토에 대한 영구적인 통제를 추구한다는 믿음을 심어주었다.[265]

'''국경'''

팔레스타인의 요르단강 서안 지구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와 이스라엘군이 행정권과 치안권을 분담하거나 이스라엘군이 모두 장악하는 형태로 구분된다.[842] 이스라엘은 "군사기지", "사격장", "자연보호구역" 등으로 분류된 지역도 실질적으로 C지구의 일부로 간주하며,[842] 유대인 정착지는 이러한 면적에 포함되지 않는다.[843] C지구는 이스라엘의 점령지이지만, 이스라엘은 점령지 자체를 인정하지 않고 법적으로 분쟁지역이라고 주장한다.[844][845][846]

이스라엘 지배하의 팔레스타인 지역에서는 주택 건설에 이스라엘의 허가가 필요하지만, 대부분 기각된다.[847] 특히 C지구에서는 팔레스타인인의 주택 건축 허가가 극히 드물게 내려진다.[848] 이스라엘군은 "불법 건축"을 이유로 팔레스타인 주민의 건축물을 파괴하고 있으며,[848] 파괴 명령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다. 파괴 비용은 팔레스타인인에게 부과된다.

이스라엘 민정국은 유대인 정착지의 "불법 건축"도 단속하지만, 파괴 명령 취소율이 팔레스타인인보다 훨씬 높고, 파괴되더라도 보상받는 경우가 있다.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거주구와 분리하는 벽을 일방적으로 건설하고 있으며, 이는 사실상의 영토 확장으로 간주된다. 국제사법재판소는 이스라엘의 벽 건설이 국제법에 위반된다는 의견을 제시했지만, 이스라엘은 건설을 계속하고 있다.[849]

이스라엘은 도로 통행도 규제하여, 팔레스타인 자치구여야 할 지역에 이스라엘인 전용 도로나 팔레스타인인의 통행이 제한되는 도로가 존재한다. 이스라엘 군민은 사실상 치외법권이며, 팔레스타인 자치정부는 이들의 범죄를 단속할 수 없다.[849] 이스라엘 사법부는 유대인 정착민 피의자 대부분을 불기소 처분한다.[850][851]

팔레스타인인 토지 몰수도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며, 이스라엘은 오스만 제국 및 영국 위임통치령 시대의 법률을 이용하기도 한다.[852] 이스라엘군은 팔레스타인인의 경작을 방해하고, 미등기 토지를 국유지로 몰수하는 방식으로 토지를 강탈한다.[852][853] 몰수한 토지는 유대인에게 저렴하게 판매된다.[854][855]

유엔 인도주의 업무 조정국(OCHA)은 이스라엘군의 행위가 제네바 협약 위반이라고 지적하지만, 이스라엘은 헤이그 육전 조약 및 PLO와의 잠정 합의에 부합한다고 주장한다.[848] OCHA 보고서에 따르면, 요르단강 서안 지구에서 이스라엘군에 의한 팔레스타인인 건축물 파괴는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많은 팔레스타인인이 집을 잃고 난민이 되고 있다.[856][857][860]

수자원 권리 역시 이스라엘이 대부분 장악하고 있다. 이스라엘군은 점령 직후 수자원 권리 전권을 장악하고, 상하수도 시설 허가권을 통해 팔레스타인인의 수자원 이용을 제한한다.[849] 오슬로 협정에서 팔레스타인인의 수자원 권리가 일부 인정되었지만, 이스라엘이 여전히 대부분의 수자원 권리를 장악하고 있다.[849] OCHA에 따르면, 많은 팔레스타인 주민이 WHO 권장량 이하의 물만 이용할 수 있으며, 이스라엘인 정착민은 팔레스타인인보다 훨씬 많은 물을 할당받는다.[856]

'''정착촌'''

국제 사회는 국제법에 따라 이스라엘 정착지를 불법으로 간주하지만,[185][186][187][188] 이스라엘은 이를 부인한다.[189][190][191][192] 정착지의 합법성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제4차 제네바 협약 제2조 및 제49조(제2조, 제49조)뿐만 아니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242를 근거로 든다.[193] 정착지 확장은 팔레스타인의 토지와 자원 몰수를 수반하여 팔레스타인 공동체의 이주를 초래하고 긴장과 갈등의 원인이 된다. 정착지는 이스라엘 군대에 의해 보호되며 팔레스타인에 대한 폭력의 발단이 되는 경우가 잦다. 또한 정착지와 유대인 전용 우회 도로의 존재는 팔레스타인 영토를 분열시켜 경제 개발과 팔레스타인의 이동의 자유를 심각하게 저해한다.[194] 앰네스티 인터내셔널은 이스라엘 정착지가 경작 가능한 토지, 물 및 기타 자원과 같이 팔레스타인 마을에 필요한 자원을 돌리고 있으며, 안전 문제로 인해 팔레스타인이 지역 도로를 통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능력을 감소시킨다고 보고한다.[194]

아리엘 정착지의 한 지역. 이스라엘이 점령한 서안지구에 위치하며, 아리엘 대학교가 있다.


서안지구 헤브론에 있는 이스라엘 정착민들


2023년 현재 서안지구에는 약 50만 명의 이스라엘 정착민이 거주하고 있으며, 동예루살렘에는 20만 명이 더 거주하고 있다.[195][196][197] 2023년 2월, 이스라엘 재무장관 베잘렐 스모트리히는 이스라엘 민정청의 대부분을 장악하여 서안지구의 민간 문제에 대한 광범위한 권한을 얻었다.[198][199] 2023년 상반기에 정착지에 1만 3천 가구의 주택이 건설되었는데, 이는 2022년 전체 건설량의 거의 3배에 달한다.[200]

팔레스타인의 요르단강 서안 지구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가 행정권과 치안권을 모두 장악하는 A지구, 팔레스타인 자치정부가 행정권을, 이스라엘군이 치안권을 장악하는 B지구, 이스라엘군이 행정권과 군사권을 모두 장악하는 C지구로 나뉜다. 2000년 현재 C지구는 요르단강 서안 지구 면적의 59%를 차지한다. 이스라엘은 이 외에도 “군사기지”, “사격장”, “자연보호구역”으로 분류하지만,[842] 실질적으로 C지구의 일부이다. 또한 이스라엘군 점령지, 유대인 정착지는 이러한 면적에 포함되지 않는다(요르단강 서안 지구#통치자에 의한 구분 참조).[843] C지구는 이스라엘의 점령지이지만, 이스라엘은 점령지 자체를 인정하지 않고 법적으로는 분쟁지역이라고 주장한다.[844][845][846]

이스라엘 지배하의 팔레스타인 지역에서는 주택을 비롯한 건물·구축물의 건설에 이스라엘의 허가가 필요하지만, 이스라엘 시민단체 “피스 나우”에 따르면 신청의 94%가 기각된다.[847] 유엔 인도주의 업무 조정국(OCHA)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4년 사이에 C지구에서 팔레스타인 주민에게 건축 허가가 내려진 비율은 1.5%였다.[848] 이스라엘군은 “불법 건축”을 주요 근거로 삼아 팔레스타인 주민의 건축물 파괴를 자행하고 있다. OCHA가 이스라엘 민정국의 자료를 참고한 결과에 따르면, 1988년부터 2014년까지 이스라엘 민정국은 C지구에서 팔레스타인인의 건축물에 대해 14,087건의 파괴 명령을 내렸다. 2015년 상반기에는 팔레스타인인 건축물 245채가 파괴·해체·몰수되었다.

이스라엘 민정국은 유대인 정착지의 “불법 건축”도 단속하고 있지만, 유대인 정착지는 “불법 건축”으로 인정되어도 취소될 확률이 팔레스타인인보다 약 7배 높다. 또한 팔레스타인인과 달리, 설령 파괴되더라도 당국으로부터 대지 포함 보상·지원을 받을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스라엘은 자국 영토·점령지·정착지와 팔레스타인인 거주구를 분단하는 벽을 일방적으로 쌓고 있다. 이스라엘은 “벽”이 아니라 “반테러 펜스”라고 주장하며, 제1차 중동 전쟁 휴전선에서 팔레스타인 측으로 된 지역도 벽 내부에 포함시켜 사실상의 영토 확장을 진행하고 있다. 2004년 7월 9일, 국제사법재판소는 이스라엘의 점령하에 있는 팔레스타인에서의 벽 건설이 국제법에 위반된다는 자문 의견을 제시했지만, 이스라엘은 현재도 벽 건설을 계속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도로 통행 규제도 실시하고 있다. 팔레스타인 자치구여야 할 지역에 이스라엘인 전용 도로나 팔레스타인인의 통행이 제한되는 도로가 다수 존재한다.

이스라엘군과 유대인 정착민 등 이스라엘 민간인은 사실상 치외법권이며, 팔레스타인 자치정부가 치안권을 장악하는 A지구라 할지라도 이스라엘 군민의 범죄를 단속할 수 없는 상황에 있다.[849] 이스라엘은 유대인 정착민의 범죄에 자주 협력하고 있다. 이스라엘 인권 단체 예쉬 딘/Yesh Din영어에 따르면, 2015년 현재 이스라엘 사법부는 유대인 정착민 피의자의 85%를 불기소 처분했고, 유죄 판결을 받은 것은 1.9%였다.[850][851]

팔레스타인인 거주·소유 토지의 몰수도 일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스라엘은 오스만 제국 토지법에 근거하는 “3년간 경작하지 않은 토지는 몰수한다”는 규정을 악용하여 팔레스타인인의 경작을 방해하고, 많은 토지를 국유지로 몰수했다. 2014년 현재 이 방법으로 몰수한 팔레스타인인 사유지·미등기지는 요르단강 서안 지구의 16%에 달한다.[852][853] 2017년 2월 6일, 크네세트는 팔레스타인인 사유지의 강제 수용을 가능하게 하는 법안을 가결했지만, 2020년 6월 9일 이스라엘 대법원은 이 법을 기본법 위반으로 판단하여 폐지했다.[609]

OCHA는 이스라엘군의 팔레스타인 주민에 대한 행위를 1949년 제네바 협약 제4조약 제49조 위반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한편 이스라엘은 1907년 헤이그 육전 조약 제43조에 따른 이스라엘의 의무와 일치하며, 1995년 PLO와의 잠정 합의에도 부합한다고 주장하고 있다.[848]

OCHA의 보고서[856]에 따르면, 2019년 1~3월에 요르단강 서안 지구에서 이스라엘군에 의해 136개의 팔레스타인인 건축물이 파괴되었다. 2020년 9월 OCHA 보고서에 따르면 이스라엘군에 의한 팔레스타인인 소유 건축물 파괴는 2019년에 52건으로 증가했고, 2020년에는 코로나19 유행 초기 감소했다가 3~8월에는 65건으로 2017년 이후 4년간 가장 많았다.[857] OCHA는 2018년에 공포된 명령 1797에 따라 건축물의 신속한 파괴가 가능해지고 소유자가 이의 신청 절차를 취할 수 없게 된 것을 우려하고 있다.[857] OCHA에 따르면, 2009년부터 2020년까지 12년간 팔레스타인인 소유 건축물 7,236동이 파괴되어 10,920명이 집을 잃고 난민이 되었다.[860]

수자원 권리에 대해서도 이스라엘의 점유가 진행되고 있다. 이스라엘군은 1967년 명령 92로 이스라엘군이 수자원 권리의 전권을 장악한다고 공포했다.[849] 1968년 명령 291에서는 1967년 이전의 토지권·수자원 권리 계약은 모두 무효라고 공포했다. 오슬로 협정에서는 요르단강 서안에서 팔레스타인인의 수자원 권리가 인정되었지만, 지하수의 1/4에 그쳤고 요르단강에 대해서는 수자원 권리가 인정되지 않았다. 2009년 시점에서도 이스라엘이 8할의 수자원 권리를 장악하고 있다.[849] OCHA에 따르면, C지구 팔레스타인 주민 27만 명 중 9만 5,000명은 WHO가 권장하는 1일 수자원 소비량인 100리터의 절반 이하의 물만 이용할 수 있다. 팔레스타인 투바스 주의 추계에 따르면 주내 이스라엘인 정착민은 팔레스타인인의 8배의 물을 할당받고 있다고 한다.[856]

'''예루살렘'''

1967년 이스라엘은 국제법을 위반하여 일방적으로 동예루살렘을 병합했다.[266] 이스라엘은 도시 동쪽으로 상당한 지역을 점령하여 도시 주변에 이스라엘 정착촌 장벽을 만들었고, 이는 예루살렘의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요르단 강 서안 지구로부터 고립시켰다.[266] 광대한 유대인 거주지를 건설하려는 이스라엘의 정책은 도시 재분할을 어렵게 만들려는 목적이었다.[278] 이스라엘은 유대인 다수를 선호하는 예루살렘 인구 구성을 바꾸기 위해 팔레스타인 지역 건설 제한, 건축 허가 지연 및 거부, 주택 철거 명령 등의 정책을 도입했다.[278] 예루살렘의 긴장은 주로 이스라엘 당국과 유대인 극단주의자들이 도시 내 아랍인들을 상대로 자행하는 도발 행위에서 비롯된다.[267]

2006년 5월 대예루살렘. CIA 원격 감지 지도에는 CIA가 정착지로 간주하는 지역과 난민 캠프, 울타리, 벽이 표시되어 있음


이스라엘 의회인 크네세트과 대법원을 포함한 이스라엘 정부는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후 서예루살렘의 "신도시"에 위치해 있다. 1967년 이스라엘이 동예루살렘을 병합한 후, 동예루살렘에 대한 완전한 행정권을 장악했다. 그 이후로 여러 UN 기구는 이스라엘의 동예루살렘 지배를 꾸준히 무효라고 비난했다.[278] 1980년 이스라엘은 "완전하고 통일된 예루살렘은 이스라엘의 수도이다"라고 선언하는 예루살렘 법을 통과시켰다.[268]

미국[269]과 러시아[270]를 제외한 많은 국가는 예루살렘을 이스라엘의 수도로 인정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유엔 회원국과 대부분의 국제기구는 1967년 6일 전쟁 이후 발생한 이스라엘의 동예루살렘에 대한 주장과 1980년 예루살렘 법 선포를 인정하지 않는다.[271] 국제사법재판소는 2004년 "점령된 팔레스타인 지역에 벽을 건설하는 것의 법적 결과"에 대한 자문 의견에서 동예루살렘을 "점령된 팔레스타인 지역"으로 묘사했다.[272]

아브라함계 종교 중 세 가지 주요 종교인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는 예루살렘을 그들의 종교적, 역사적 서사에 중요한 배경으로 여긴다. 예루살렘은 성전산에 있던 유대교 성전의 옛 위치와 고대 이스라엘 왕국의 수도였기 때문에 유대교에서 가장 신성한 도시이다. 무슬림에게 예루살렘은 이스라와 미라즈 사건과 알아크사 모스크가 있는 곳이기 때문에 세 번째로 신성한 곳이다. 기독교인에게 예루살렘은 예수의 십자가 처형과 성묘 교회가 있는 곳이다.

al-Aqsa mosque)가 보인다.


20세기 초부터 성지(Holy Land), 특히 예루살렘의 성지 문제는 민족주의 정치인들에 의해 이용되어 왔다.[273] 이스라엘인들은 요르단 점령 기간 동안 동예루살렘의 성지에 접근할 수 없었다.[274] 1975년 이후 이스라엘은 유대인과 무슬림 모두에게 신성한 장소로 여겨지는 요셉의 무덤(Joseph's Tomb)에서 무슬림의 예배를 금지했다.[275] 이스라엘 보안 기관은 공격을 계획하는 유대인 극단주의자들을 정기적으로 감시하고 체포하지만, 여전히 많은 심각한 사건이 발생했다.[277] 이스라엘은 템플 마운트(Temple Mount)에 대한 무슬림 신탁(Waqf)에 거의 완전한 자치권을 허용했다.[278] 팔레스타인인들은 이스라엘의 통제하에 있는 기독교와 무슬림 성지의 복지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279]

'''난민'''

팔레스타인 난민은 1948년 아랍-이스라엘 분쟁[285]과 1967년 6일 전쟁[281]으로 인해 집과 생계 수단을 모두 잃은 사람들이다. 1949년 이스라엘에서 추방되거나 탈출한 팔레스타인인의 수는 71만 명으로 추산되었다.[282] 유엔은 모든 난민(팔레스타인 난민만이 아닌)[283] 후손들도 난민으로 간주하며, 2010년 기준으로 470만 명의 팔레스타인 난민이 있다.[284] 1967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중에는 35만~40만 명의 팔레스타인인이 난민이 되었다.[281]

1948년 팔레스타인 난민


난민 3분의 1은 요르단, 레바논, 시리아, 서안 지구 및 가자 지구의 공식 난민촌에 거주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이들 난민 수용국의 도시와 마을 주변에 거주하고 있다.[285] 대부분의 팔레스타인 난민은 이스라엘 외부에서 태어났으며 역사적 팔레스타인 지역 어디에도 거주할 수 없다.[285][286]

이스라엘은 1948년 이후로 팔레스타인 난민의 귀환을 막고 제한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들의 귀환을 허용하는 어떠한 합의도 거부해 왔다.[139][287][288] 팔레스타인인들은 세계인권선언과 유엔 총회 결의 194호를 근거로 1948년과 1967년 망명으로 내몰리기 전에 살았던 땅, 집, 마을로 돌아갈 난민의 권리를 주장한다. 아라파트 자신도 캠프 데이비드에서 미국과 이스라엘 대표들에게 실제로 완전한 귀환권이 아니라 귀환권이라는 원칙을 수용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추구한다고 여러 차례 확언했다.[289]

2002년 제2차 인티파다 당시 파괴된 발라타 난민촌의 가옥


팔레스타인과 국제 학자들은 몇 가지 근거를 들어 팔레스타인 난민의 귀환권을 정당화해 왔다.[290][291][292] 신역사학파에 포함된 여러 학자들은 팔레스타인 난민들이 하가나, 레히 및 이르군과 같은 시온주의 준군사 조직의 행동으로 인해 도망치거나 쫓겨났거나 추방되었다는 주장을 한다.[293][294] 일부는 이를 인종 청소로 규정하기도 했다.[295][296][297][298]

유대인 출신에게 시민권을 부여하는 이스라엘의 귀환법은 다른 민족 집단, 특히 1948년 전쟁 중 추방되거나 도망친 지역으로 귀환법에 따라 시민권을 신청할 수 없는 팔레스타인인에 대해 차별적인 것으로 여겨진다.[300][301][302]

샤틸라 난민촌 베이루트 외곽, 2019년 5월


1948년에 채택된 유엔 결의 194호에 따르면, "고향으로 돌아가 이웃과 평화롭게 살기를 원하는 난민들은 가능한 한 빠른 시일 내에 그렇게 할 수 있도록 허용되어야 하며, 귀환하지 않기로 선택한 사람들의 재산에 대해서는 보상이 지급되어야 한다."[303] 유엔 결의 3236호는 "팔레스타인인들이 추방되고 뿌리 뽑힌 집과 재산으로 돌아갈 불가침의 권리를 재확인하고 그들의 귀환을 촉구한다."[304] 유엔 결의 242호는 "난민 문제에 대한 정당한 해결"을 달성할 필요성을 확인하지만, 결의 242호는 이 해결이 반드시 팔레스타인의 귀환권 형태여야 한다고 명시하지 않는다.[305]

역사학자 베니 모리스는 팔레스타인 난민 70만 명 중 대부분이 "전쟁의 격렬함" 때문에 도망쳤고 아랍 침공이 성공한 후 곧 고향으로 돌아올 것으로 예상했다고 말한다. 그는 하이파에서와 같이 아랍 지도자들이 전체 지역 사회의 대피를 조언한 사례를 기록하지만, 이것들이 고립된 사건이었음을 인정한다.[306][307] 후기 저서에서 모리스는 이러한 난민 발생을 아랍인들 자신이 시작한 국가적 갈등의 결과로 본다.[307] 2004년 하아레츠와의 인터뷰에서 그는 엑소더스가 주로 베냐민 갈릴리에 의해 촉진되고 군 지휘부가 이해한 이전 분위기의 결과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역사적으로 민족 청소를 정당화하는 상황이 있다"고 주장했다.[308]

이스라엘은 새로운 팔레스타인 국가로의 팔레스타인 디아스포라의 귀환권을 인정하지만, 현재 이스라엘 국가로의 이 인구의 귀환은 유대 국가의 안정을 위협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팔레스타인 난민의 유입은 유대인의 인구 다수가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유대 국가로서의 이스라엘 국가의 종말로 이어질 것이다.[310][311][312]

'''안보'''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에서 팔레스타인의 폭력은 이스라엘인들에게 지속적인 우려의 대상이었다.[313][314][315] 안보 문제는 이스라엘의 정치적 의사결정에서 주요 동인이었으며, 국제법이나 팔레스타인 인권보다 우선시되기도 했다.[313][314][315] 서안 지구, 가자 지구, 동예루살렘 점령과 정착촌 확장은 안보를 이유로 정당화되었다.[316]

이스라엘,[332] 미국,[317] 유럽 연합은 팔레스타인 단체의 무력 사용을 테러 행위로 규정한다.[318][319] 그러나 유엔 총회 결의안 [https://www.un.org/unispal/document/auto-insert-184801/ A/RES/45/130]은 팔레스타인인들이 점령에 저항하기 위해 무장 투쟁을 하는 것의 정당성을 확인한다.[320][321]

2011년 남부 이스라엘 국경을 넘는 공격 이후 자살 폭탄 테러범에 의해 피해를 입은 에게드 버스 잔해. 8명이 사망하고 약 40명이 부상을 입었다.


1993년부터 2003년까지 303명의 팔레스타인 자살 폭탄 테러범들이 이스라엘을 공격하여 민간인 버스, 식당, 쇼핑몰 등을 표적으로 삼았다. 1994년, 하마스는 바룩 골드슈타인의 족장의 굴 학살 사건에 대한 대응으로 최초의 치명적인 자살 폭탄 테러를 시작했다.[323]

이스라엘 정부는 2003년 안전 장벽 건설을 시작했고, IDF에 따르면 장벽 건설 이후 테러 행위는 약 90% 감소했다.[324] 그러나 이 장벽은 서안 지구의 10% 이상을 이스라엘이 일방

3. 1. 국경

팔레스타인의 요르단강 서안 지구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와 이스라엘군이 행정권과 치안권을 분담하거나 이스라엘군이 모두 장악하는 형태로 구분된다.[842] 이스라엘은 "군사기지", "사격장", "자연보호구역" 등으로 분류된 지역도 실질적으로 C지구의 일부로 간주하며,[842] 유대인 정착지는 이러한 면적에 포함되지 않는다.[843] C지구는 이스라엘의 점령지이지만, 이스라엘은 점령지 자체를 인정하지 않고 법적으로 분쟁지역이라고 주장한다.[844][845][846]

이스라엘 지배하의 팔레스타인 지역에서는 주택 건설에 이스라엘의 허가가 필요하지만, 대부분 기각된다.[847] 특히 C지구에서는 팔레스타인인의 주택 건축 허가가 극히 드물게 내려진다.[848] 이스라엘군은 "불법 건축"을 이유로 팔레스타인 주민의 건축물을 파괴하고 있으며,[848] 파괴 명령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다. 파괴 비용은 팔레스타인인에게 부과된다.

이스라엘 민정국은 유대인 정착지의 "불법 건축"도 단속하지만, 파괴 명령 취소율이 팔레스타인인보다 훨씬 높고, 파괴되더라도 보상받는 경우가 있다.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거주구와 분리하는 벽을 일방적으로 건설하고 있으며, 이는 사실상의 영토 확장으로 간주된다. 국제사법재판소는 이스라엘의 벽 건설이 국제법에 위반된다는 의견을 제시했지만, 이스라엘은 건설을 계속하고 있다.[849]

이스라엘은 도로 통행도 규제하여, 팔레스타인 자치구여야 할 지역에 이스라엘인 전용 도로나 팔레스타인인의 통행이 제한되는 도로가 존재한다. 이스라엘 군민은 사실상 치외법권이며, 팔레스타인 자치정부는 이들의 범죄를 단속할 수 없다.[849] 이스라엘 사법부는 유대인 정착민 피의자 대부분을 불기소 처분한다.[850][851]

팔레스타인인 토지 몰수도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며, 이스라엘은 오스만 제국 및 영국 위임통치령 시대의 법률을 이용하기도 한다.[852] 이스라엘군은 팔레스타인인의 경작을 방해하고, 미등기 토지를 국유지로 몰수하는 방식으로 토지를 강탈한다.[852][853] 몰수한 토지는 유대인에게 저렴하게 판매된다.[854][855]

유엔 인도주의 업무 조정국(OCHA)은 이스라엘군의 행위가 제네바 협약 위반이라고 지적하지만, 이스라엘은 헤이그 육전 조약 및 PLO와의 잠정 합의에 부합한다고 주장한다.[848] OCHA 보고서에 따르면, 요르단강 서안 지구에서 이스라엘군에 의한 팔레스타인인 건축물 파괴는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많은 팔레스타인인이 집을 잃고 난민이 되고 있다.[856][857][860]

수자원 권리 역시 이스라엘이 대부분 장악하고 있다. 이스라엘군은 점령 직후 수자원 권리 전권을 장악하고, 상하수도 시설 허가권을 통해 팔레스타인인의 수자원 이용을 제한한다.[849] 오슬로 협정에서 팔레스타인인의 수자원 권리가 일부 인정되었지만, 이스라엘이 여전히 대부분의 수자원 권리를 장악하고 있다.[849] OCHA에 따르면, 많은 팔레스타인 주민이 WHO 권장량 이하의 물만 이용할 수 있으며, 이스라엘인 정착민은 팔레스타인인보다 훨씬 많은 물을 할당받는다.[856]

3. 2. 정착촌

국제 사회는 국제법에 따라 이스라엘 정착지를 불법으로 간주하지만,[185][186][187][188] 이스라엘은 이를 부인한다.[189][190][191][192] 정착지의 합법성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제4차 제네바 협약 제2조 및 제49조(제2조, 제49조)뿐만 아니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242호를 근거로 든다.[193] 정착지 확장은 팔레스타인의 토지와 자원 몰수를 수반하여 팔레스타인 공동체의 이주를 초래하고 긴장과 갈등의 원인이 된다. 정착지는 이스라엘 군대에 의해 보호되며 팔레스타인에 대한 폭력의 발단이 되는 경우가 잦다. 또한 정착지와 유대인 전용 우회 도로의 존재는 팔레스타인 영토를 분열시켜 경제 개발과 팔레스타인의 이동의 자유를 심각하게 저해한다.[194] 앰네스티 인터내셔널은 이스라엘 정착지가 경작 가능한 토지, 물 및 기타 자원과 같이 팔레스타인 마을에 필요한 자원을 돌리고 있으며, 안전 문제로 인해 팔레스타인이 지역 도로를 통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능력을 감소시킨다고 보고한다.[194]

2023년 현재 서안지구에는 약 50만 명의 이스라엘 정착민이 거주하고 있으며, 동예루살렘에는 20만 명이 더 거주하고 있다.[195][196][197] 2023년 2월, 이스라엘 재무장관 베잘렐 스모트리히는 이스라엘 민정청의 대부분을 장악하여 서안지구의 민간 문제에 대한 광범위한 권한을 얻었다.[198][199] 2023년 상반기에 정착지에 1만 3천 가구의 주택이 건설되었는데, 이는 2022년 전체 건설량의 거의 3배에 달한다.[200]

팔레스타인의 요르단강 서안 지구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가 행정권과 치안권을 모두 장악하는 A지구, 팔레스타인 자치정부가 행정권을, 이스라엘군이 치안권을 장악하는 B지구, 이스라엘군이 행정권과 군사권을 모두 장악하는 C지구로 나뉜다. 2000년 현재 C지구는 요르단강 서안 지구 면적의 59%를 차지한다. 이스라엘은 이 외에도 “군사기지”, “사격장”, “자연보호구역”으로 분류하지만,[842] 실질적으로 C지구의 일부이다. 또한 이스라엘군 점령지, 유대인 정착지는 이러한 면적에 포함되지 않는다(요르단강 서안 지구#통치자에 의한 구분 참조).[843] C지구는 이스라엘의 점령지이지만, 이스라엘은 점령지 자체를 인정하지 않고 법적으로는 분쟁지역이라고 주장한다.[844][845][846]

이스라엘 지배하의 팔레스타인 지역에서는 주택을 비롯한 건물·구축물의 건설에 이스라엘의 허가가 필요하지만, 이스라엘 시민단체 “피스 나우”에 따르면 신청의 94%가 기각된다.[847] 유엔 인도주의 업무 조정국(OCHA)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4년 사이에 C지구에서 팔레스타인 주민에게 건축 허가가 내려진 비율은 1.5%였다.[848] 이스라엘군은 “불법 건축”을 주요 근거로 삼아 팔레스타인 주민의 건축물 파괴를 자행하고 있다. OCHA가 이스라엘 민정국의 자료를 참고한 결과에 따르면, 1988년부터 2014년까지 이스라엘 민정국은 C지구에서 팔레스타인인의 건축물에 대해 14,087건의 파괴 명령을 내렸다. 2015년 상반기에는 팔레스타인인 건축물 245채가 파괴·해체·몰수되었다.

이스라엘 민정국은 유대인 정착지의 “불법 건축”도 단속하고 있지만, 유대인 정착지는 “불법 건축”으로 인정되어도 취소될 확률이 팔레스타인인보다 약 7배 높다. 또한 팔레스타인인과 달리, 설령 파괴되더라도 당국으로부터 대지 포함 보상·지원을 받을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스라엘은 자국 영토·점령지·정착지와 팔레스타인인 거주구를 분단하는 벽을 일방적으로 쌓고 있다. 이스라엘은 “벽”이 아니라 “반테러 펜스”라고 주장하며, 제1차 중동 전쟁 휴전선에서 팔레스타인 측으로 된 지역도 벽 내부에 포함시켜 사실상의 영토 확장을 진행하고 있다. 2004년 7월 9일, 국제사법재판소는 이스라엘의 점령하에 있는 팔레스타인에서의 벽 건설이 국제법에 위반된다는 자문 의견을 제시했지만, 이스라엘은 현재도 벽 건설을 계속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도로 통행 규제도 실시하고 있다. 팔레스타인 자치구여야 할 지역에 이스라엘인 전용 도로나 팔레스타인인의 통행이 제한되는 도로가 다수 존재한다.

이스라엘군과 유대인 정착민 등 이스라엘 민간인은 사실상 치외법권이며, 팔레스타인 자치정부가 치안권을 장악하는 A지구라 할지라도 이스라엘 군민의 범죄를 단속할 수 없는 상황에 있다.[849] 이스라엘은 유대인 정착민의 범죄에 자주 협력하고 있다. 이스라엘 인권 단체 예쉬 딘/Yesh Din영어에 따르면, 2015년 현재 이스라엘 사법부는 유대인 정착민 피의자의 85%를 불기소 처분했고, 유죄 판결을 받은 것은 1.9%였다.[850][851]

팔레스타인인 거주·소유 토지의 몰수도 일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스라엘은 오스만 제국 토지법에 근거하는 “3년간 경작하지 않은 토지는 몰수한다”는 규정을 악용하여 팔레스타인인의 경작을 방해하고, 많은 토지를 국유지로 몰수했다. 2014년 현재 이 방법으로 몰수한 팔레스타인인 사유지·미등기지는 요르단강 서안 지구의 16%에 달한다.[852][853] 2017년 2월 6일, 크네세트는 팔레스타인인 사유지의 강제 수용을 가능하게 하는 법안을 가결했지만, 2020년 6월 9일 이스라엘 대법원은 이 법을 기본법 위반으로 판단하여 폐지했다.[609]

OCHA는 이스라엘군의 팔레스타인 주민에 대한 행위를 1949년 제네바 협약 제4조약 제49조 위반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한편 이스라엘은 1907년 헤이그 육전 조약 제43조에 따른 이스라엘의 의무와 일치하며, 1995년 PLO와의 잠정 합의에도 부합한다고 주장하고 있다.[848]

OCHA의 보고서[856]에 따르면, 2019년 1~3월에 요르단강 서안 지구에서 이스라엘군에 의해 136개의 팔레스타인인 건축물이 파괴되었다. 2020년 9월 OCHA 보고서에 따르면 이스라엘군에 의한 팔레스타인인 소유 건축물 파괴는 2019년에 52건으로 증가했고, 2020년에는 코로나19 유행 초기 감소했다가 3~8월에는 65건으로 2017년 이후 4년간 가장 많았다.[857] OCHA는 2018년에 공포된 명령 1797에 따라 건축물의 신속한 파괴가 가능해지고 소유자가 이의 신청 절차를 취할 수 없게 된 것을 우려하고 있다.[857] OCHA에 따르면, 2009년부터 2020년까지 12년간 팔레스타인인 소유 건축물 7,236동이 파괴되어 10,920명이 집을 잃고 난민이 되었다.[860]

수자원 권리에 대해서도 이스라엘의 점유가 진행되고 있다. 이스라엘군은 1967년 명령 92로 이스라엘군이 수자원 권리의 전권을 장악한다고 공포했다.[849] 1968년 명령 291에서는 1967년 이전의 토지권·수자원 권리 계약은 모두 무효라고 공포했다. 오슬로 협정에서는 요르단강 서안에서 팔레스타인인의 수자원 권리가 인정되었지만, 지하수의 1/4에 그쳤고 요르단강에 대해서는 수자원 권리가 인정되지 않았다. 2009년 시점에서도 이스라엘이 8할의 수자원 권리를 장악하고 있다.[849] OCHA에 따르면, C지구 팔레스타인 주민 27만 명 중 9만 5,000명은 세계보건기구가 권장하는 1일 수자원 소비량인 100리터의 절반 이하의 물만 이용할 수 있다.

3. 3. 예루살렘

1967년 이스라엘은 국제법을 위반하여 일방적으로 동예루살렘을 병합했다.[266] 이스라엘은 도시 동쪽으로 상당한 지역을 점령하여 도시 주변에 이스라엘 정착촌 장벽을 만들었고, 이는 예루살렘의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요르단 강 서안 지구로부터 고립시켰다.[266] 광대한 유대인 거주지를 건설하려는 이스라엘의 정책은 도시 재분할을 어렵게 만들려는 목적이었다.[278] 이스라엘은 유대인 다수를 선호하는 예루살렘 인구 구성을 바꾸기 위해 팔레스타인 지역 건설 제한, 건축 허가 지연 및 거부, 주택 철거 명령 등의 정책을 도입했다.[278] 예루살렘의 긴장은 주로 이스라엘 당국과 유대인 극단주의자들이 도시 내 아랍인들을 상대로 자행하는 도발 행위에서 비롯된다.[267]

이스라엘 의회인 크네셋과 대법원을 포함한 이스라엘 정부는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후 서예루살렘의 "신도시"에 위치해 있다. 1967년 이스라엘이 동예루살렘을 병합한 후, 동예루살렘에 대한 완전한 행정권을 장악했다. 그 이후로 여러 UN 기구는 이스라엘의 동예루살렘 지배를 꾸준히 무효라고 비난했다.[278] 1980년 이스라엘은 "완전하고 통일된 예루살렘은 이스라엘의 수도이다"라고 선언하는 예루살렘 법을 통과시켰다.[268]

미국[269]과 러시아[270]를 제외한 많은 국가는 예루살렘을 이스라엘의 수도로 인정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유엔 회원국과 대부분의 국제기구는 1967년 6일 전쟁 이후 발생한 이스라엘의 동예루살렘에 대한 주장과 1980년 예루살렘 법 선포를 인정하지 않는다.[271] 국제사법재판소는 2004년 "점령된 팔레스타인 지역에 벽을 건설하는 것의 법적 결과"에 대한 자문 의견에서 동예루살렘을 "점령된 팔레스타인 지역"으로 묘사했다.[272]

아브라함계 종교 중 세 가지 주요 종교인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는 예루살렘을 그들의 종교적, 역사적 서사에 중요한 배경으로 여긴다. 예루살렘은 성전산에 있던 유대교 성전의 옛 위치와 고대 이스라엘 왕국의 수도였기 때문에 유대교에서 가장 신성한 도시이다. 무슬림에게 예루살렘은 이스라와 미라즈 사건과 알아크사 모스크가 있는 곳이기 때문에 세 번째로 신성한 곳이다. 기독교인에게 예루살렘은 예수의 십자가 처형과 성묘 교회가 있는 곳이다.

20세기 초부터 성지(Holy Land), 특히 예루살렘의 성지 문제는 민족주의 정치인들에 의해 이용되어 왔다.[273] 이스라엘인들은 요르단 점령 기간 동안 동예루살렘의 성지에 접근할 수 없었다.[274] 1975년 이후 이스라엘은 유대인과 무슬림 모두에게 신성한 장소로 여겨지는 요셉의 무덤(Joseph's Tomb)에서 무슬림의 예배를 금지했다.[275] 이스라엘 보안 기관은 공격을 계획하는 유대인 극단주의자들을 정기적으로 감시하고 체포하지만, 여전히 많은 심각한 사건이 발생했다.[277] 이스라엘은 템플 마운트(Temple Mount)에 대한 무슬림 신탁(Waqf)에 거의 완전한 자치권을 허용했다.[278] 팔레스타인인들은 이스라엘의 통제하에 있는 기독교와 무슬림 성지의 복지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279]

3. 4. 난민

팔레스타인 난민은 1948년 아랍-이스라엘 분쟁[285]과 1967년 6일 전쟁[281]으로 인해 집과 생계 수단을 모두 잃은 사람들이다. 1949년 이스라엘에서 추방되거나 탈출한 팔레스타인인의 수는 71만 명으로 추산되었다.[282] 유엔은 모든 난민(팔레스타인 난민만이 아닌)[283] 후손들도 난민으로 간주하며, 2010년 기준으로 470만 명의 팔레스타인 난민이 있다.[284] 1967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중에는 35만~40만 명의 팔레스타인인이 난민이 되었다.[281]

난민 3분의 1은 요르단, 레바논, 시리아, 서안 지구 및 가자 지구의 공식 난민촌에 거주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이들 난민 수용국의 도시와 마을 주변에 거주하고 있다.[285] 대부분의 팔레스타인 난민은 이스라엘 외부에서 태어났으며 역사적 팔레스타인 지역 어디에도 거주할 수 없다.[285][286]

이스라엘은 1948년 이후로 팔레스타인 난민의 귀환을 막고 제한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들의 귀환을 허용하는 어떠한 합의도 거부해 왔다.[139][287][288] 팔레스타인인들은 세계인권선언과 유엔 총회 결의 194호를 근거로 1948년과 1967년 망명으로 내몰리기 전에 살았던 땅, 집, 마을로 돌아갈 난민의 권리를 주장한다. 아라파트 자신도 캠프 데이비드에서 미국과 이스라엘 대표들에게 실제로 완전한 귀환권이 아니라 귀환권이라는 원칙을 수용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추구한다고 여러 차례 확언했다.[289]

팔레스타인과 국제 학자들은 몇 가지 근거를 들어 팔레스타인 난민의 귀환권을 정당화해 왔다.[290][291][292] 신역사학파에 포함된 여러 학자들은 팔레스타인 난민들이 하가나, 레히 및 이르군과 같은 시온주의 준군사 조직의 행동으로 인해 도망치거나 쫓겨났거나 추방되었다는 주장을 한다.[293][294] 일부는 이를 민족 청소로 규정하기도 했다.[295][296][297][298]

유대인 출신에게 시민권을 부여하는 이스라엘의 귀환법은 다른 민족 집단, 특히 1948년 전쟁 중 추방되거나 도망친 지역으로 귀환법에 따라 시민권을 신청할 수 없는 팔레스타인인에 대해 차별적인 것으로 여겨진다.[300][301][302]

1948년에 채택된 유엔 결의 194호에 따르면, "고향으로 돌아가 이웃과 평화롭게 살기를 원하는 난민들은 가능한 한 빠른 시일 내에 그렇게 할 수 있도록 허용되어야 하며, 귀환하지 않기로 선택한 사람들의 재산에 대해서는 보상이 지급되어야 한다."[303] 유엔 결의 3236호는 "팔레스타인인들이 추방되고 뿌리 뽑힌 집과 재산으로 돌아갈 불가침의 권리를 재확인하고 그들의 귀환을 촉구한다."[304] 유엔 결의 242호는 "난민 문제에 대한 정당한 해결"을 달성할 필요성을 확인하지만, 결의 242호는 이 해결이 반드시 팔레스타인의 귀환권 형태여야 한다고 명시하지 않는다.[305]

역사학자 베니 모리스는 팔레스타인 난민 70만 명 중 대부분이 "전쟁의 격렬함" 때문에 도망쳤고 아랍 침공이 성공한 후 곧 고향으로 돌아올 것으로 예상했다고 말한다. 그는 하이파에서와 같이 아랍 지도자들이 전체 지역 사회의 대피를 조언한 사례를 기록하지만, 이것들이 고립된 사건이었음을 인정한다.[306][307] 후기 저서에서 모리스는 이러한 난민 발생을 아랍인들 자신이 시작한 국가적 갈등의 결과로 본다.[307] 2004년 하아레츠와의 인터뷰에서 그는 엑소더스가 주로 베냐민 갈릴리에 의해 촉진되고 군 지휘부가 이해한 이전 분위기의 결과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역사적으로 민족 청소를 정당화하는 상황이 있다"고 주장했다.[308]

이스라엘은 새로운 팔레스타인 국가로의 팔레스타인 디아스포라의 귀환권을 인정하지만, 현재 이스라엘 국가로의 이 인구의 귀환은 유대 국가의 안정을 위협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팔레스타인 난민의 유입은 유대인의 인구 다수가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유대 국가로서의 이스라엘 국가의 종말로 이어질 것이다.[310][311][312]

3. 5. 안보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에서 팔레스타인의 폭력은 이스라엘인들에게 지속적인 우려의 대상이었다.[313][314][315] 안보 문제는 이스라엘의 정치적 의사결정에서 주요 동인이었으며, 국제법이나 팔레스타인 인권보다 우선시되기도 했다.[313][314][315] 서안 지구, 가자 지구, 동예루살렘 점령과 정착촌 확장은 안보를 이유로 정당화되었다.[316]

이스라엘,[332] 미국,[317] 유럽 연합은 팔레스타인 단체의 무력 사용을 테러 행위로 규정한다.[318][319] 그러나 유엔 총회 결의안 [https://www.un.org/unispal/document/auto-insert-184801/ A/RES/45/130]은 팔레스타인인들이 점령에 저항하기 위해 무장 투쟁을 하는 것의 정당성을 확인한다.[320][321]

1993년부터 2003년까지 303명의 팔레스타인 자살 폭탄 테러범들이 이스라엘을 공격하여 민간인 버스, 식당, 쇼핑몰 등을 표적으로 삼았다. 1994년, 하마스는 바룩 골드슈타인의 족장의 굴 학살 사건에 대한 대응으로 최초의 치명적인 자살 폭탄 테러를 시작했다.[323]

이스라엘 정부는 2003년 안전 장벽 건설을 시작했고, IDF에 따르면 장벽 건설 이후 테러 행위는 약 90% 감소했다.[324] 그러나 이 장벽은 서안 지구의 10% 이상을 이스라엘이 일방적으로 몰수하고 팔레스타인 마을을 분리하여 팔레스타인인들의 이동의 자유에 큰 영향을 미쳤다.[326][327][328] 2004년 국제 사법 재판소는 장벽 건설이 팔레스타인의 자결권을 침해한다고 판결했다.[329]

2001년 이후 팔레스타인 영토에서 이스라엘로 발사되는 카삼 로켓은 이스라엘 국방 당국에 큰 우려가 되고 있다.[331] 2006년에는 2005년의 4배가 넘는 1,726발의 로켓이 발사되었고,[332][333] 2009년 1월까지 8,600발이 넘는 로켓이 발사되어[334][335] 광범위한 심리적 외상과 일상생활의 혼란을 야기했다.[336]

이스라엘 내에서는 안보 문제에 대한 대응 방식으로 군사 행동, 외교, 일방적 제스처, 보안 조치 등 다양한 논쟁이 있다. 2007년 6월 중순 이후 이스라엘은 미국이 후원하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의 보안군과 협력하여 서안 지구의 안보 문제에 대처하고 있다.[338]

3. 6. 수자원

중동에서 물 자원은 중요한 정치적 문제이다. 이스라엘은 그린 라인 아래의 두 대규모 지하 대수층에서 많은 물을 얻고 있으며, 이 물의 사용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논쟁거리 중 하나이다.[339] 이스라엘은 이 지역 대부분의 물을 끌어들이지만, 연간 약 4천만 입방미터의 물을 요르단 서안에 공급하여 요르단 서안 팔레스타인인의 물 공급량 77%를 차지한다. 이는 약 260만 명이 공유하는 양이다.[339]

헤브론 구릉 키르벳 아-두카이카의 팔레스타인 주민들이 물탱크 트럭에서 물을 구입하고 있다.


요르단 서안에 있는 이스라엘 정착지 마알레 아두밈의 수영장


이스라엘은 요르단 서안 점령 이후 물 소비량을 줄였지만, 여전히 대부분을 소비하고 있다. 1950년대 이스라엘은 서부 대수층 수량의 95%, 북동부 대수층 수량의 82%를 소비했다.[340] 이 물은 1967년 이전 국경의 이스라엘 측에서 얻은 것이지만, 그 근원은 요르단 서안과 이스라엘 모두에 걸쳐 있는 공유 지하수 분지이다.[340]

오슬로 협정 II에서 양측은 "자원 이용의 기존 양"을 유지하기로 합의했다. 이를 통해 팔레스타인 자치정부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공동 수자원 위원회(JWC)의 적용을 받는 요르단 서안의 이스라엘 물 생산의 합법성을 확립했다.[341][342] 또한 이스라엘은 이 협정에서 팔레스타인 생산을 보충하기 위해 물을 제공하고, 공동 수자원 위원회의 적용을 받는 조건으로 동부 대수층에서 팔레스타인의 추가 시추를 허용하기로 약속했다.[341][342] 이스라엘이 얻는 물은 주로 요르단 강 시스템, 갈릴리 호수, 그리고 두 개의 지하수원에서 온다. 2003년 BBC 기사에 따르면 팔레스타인인들은 요르단 강 시스템에 접근할 수 없다.[343]

유엔 식량농업기구의 2008년 보고서에 따르면, 요르단 계곡의 이스라엘 정착촌의 이익을 위해 물 자원이 몰수되었다. 1967년 전쟁 후 요르단 강의 팔레스타인 관개 펌프는 파괴되거나 몰수되었고, 팔레스타인인들은 요르단 강 시스템의 물을 사용할 수 없었다. 당국은 팔레스타인 농부들이 새로운 관개용 우물을 파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지만, 요르단 서안과 가자 지구의 유대인 정착촌에는 담수를 제공하고 관개 목적으로 우물을 파는 것을 허용했다.[344]

이스라엘군은 1967년에 요르단강 서안, 가자 지구, 골란 고원, 동예루살렘, 시나이 반도를 점령한 후, 같은 해 8월 15일 명령 92로 이스라엘군이 수자원 권리의 전권을 장악한다고 공포했다.[849] 1967년 11월 19일, 명령 158을 통해 상하수도 시설 허가권을 공포하고 거부에 대한 이유를 제시할 필요가 없다고 규정했다. 또한 무허가 시설 및 자원은 유죄 판결 없이 몰수할 수 있다고 밝혔다.[861] 1968년 11월 29일 명령 291에서는 1967년 이전(이스라엘 점령 이전)의 토지권 및 수자원 권리 계약은 모두 무효라고 선언했다.

오슬로 협정에서는 요르단강 서안에서 팔레스타인인의 수자원 권리가 인정되었지만, 지하수의 1/4에 불과했고 요르단강에 대해서는 수자원 권리가 인정되지 않았다. 오슬로 협정에는 팔레스타인에 대한 미래의 수자원 권리 확대를 포함한 최종 지위 협정이 예정되어 있었지만, 이행되지 않았다. 2009년 시점에도 이스라엘이 8할의 수자원 권리를 장악하고 있다.[849]

OCHA에 따르면, C지구 팔레스타인 주민 27만 명 중 9만 5,000명은 WHO가 권장하는 1일 수자원 소비량인 100리터의 절반 이하의 물만 이용할 수 있다. 팔레스타인 투바스 주의 추계에 따르면 주내 이스라엘인 정착민은 팔레스타인인의 8배의 물을 할당받고 있다고 한다.[856]

4. 평화 협상 노력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는 테러 행위를 부인하고 이스라엘의 “존재권”을 인정하는 조건으로 외교 협상에 참여했다. 이는 PLO가 역사적 팔레스타인 전체를 되찾는 목표 대신 1967년 이스라엘 군사 통제하에 들어온 22%에 집중하도록 했다.[132] 1970년대 후반까지 점령지역의 팔레스타인 지도자들과 대부분의 아랍 국가들은 2국가 해결책을 지지했다.[118] 1981년 사우디아라비아는 아랍연맹의 지지 아래 2국가 해결책 기반의 분쟁 해결 계획을 제시했다.[119] 이스라엘 분석가 아브너 야니브(Avner Yaniv)는 야세르 아라파트가 이 시점에 역사적인 타협을 할 준비가 되어 있었지만, 이스라엘 내각은 팔레스타인 국가의 존재를 계속 반대했다고 기술한다. 야니브는 아라파트의 타협 의지를 이스라엘이 국제 외교적 압력을 피하기 위해 PLO를 잠재적 협상 파트너로 제거하려는 계획으로 대응한 “평화 공세”로 묘사했다.[120] 이스라엘은 다음 해 레바논을 침공하여 PLO를 약화시키고, 팔레스타인 민족주의를 약화시키며, 요르단강 서안을 대이스라엘에 편입하는 것을 시도했다.[82]

PLO는 1970년대 중반부터 이스라엘과 나란히 팔레스타인 국가 추구 프로그램을 채택했으며, 1988년 팔레스타인 독립 선언은 이 목표를 공식화했다. 이 선언은 1949년 휴전 협정선 내에서 요르단강 서안, 가자 지구, 동예루살렘을 포함하는 팔레스타인 국가 건설을 옹호했다. 선언 이후 아라파트는 모든 형태의 테러를 규탄하고 PLO의 유엔 결의안 242호와 338호 수용 및 이스라엘의 존재권 인정을 확인했다. 헨리 키신저가 PLO와의 미국 협상을 위해 정의한 모든 조건이 충족되었다.[121]

이스라엘 총리 이츠하크 샤미르는 PLO가 테러 조직이라는 입장을 고수하며, 점령된 팔레스타인 지역에서의 철수, PLO에 대한 인정이나 협상, 팔레스타인 국가 수립을 포함한 어떠한 양보에도 반대했다. 샤미르는 미국이 PLO와 대화에 참여하기로 한 결정을 실수로 간주했다.[122]

"평화 과정"이라는 용어는 갈등 해결을 위한 단계적 접근 방식을 의미한다. 미국이 중재한 이스라엘과 주변 아랍 국가들, 특히 이집트 간의 협상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기 시작했지만, "평화 과정"이라는 용어는 갈등에 대한 포괄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기보다는 협상 과정 자체에 중점을 두는 것과 관련되게 되었다.[123][124][125] 국경, 자원 접근 및 팔레스타인 난민의 귀환권과 같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의 근본적인 문제들은 "최종 지위" 협상으로 남겨졌지만, 1991년 마드리드에서 논의된 것과 같은 "최종 지위" 협상은 이루어지지 않았다.[125]

1993년과 1995년의 오슬로 협정은 1978년 캠프 데이비드 협상과 1991년 마드리드 및 워싱턴 회담에서 마련된 점진적인 틀을 기반으로 했다. 합의를 위한 점진적인 접근 방식의 동기는 "신뢰 구축"이었지만, 최종 결과는 상호 신뢰의 감소였다.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자치정부가 극단주의 단체의 폭력적인 공격을 억제하기 위한 의무를 이행하고, 부분적으로 이스라엘군과 협력함에도 불구하고, 팔레스타인 지역 점령을 더욱 강화했다.[126]

예루살렘 전 부시장인 메론 벤베니스티(Meron Benvenisti)는 이 기간 동안 국가 폭력이 증가하고 정착촌 확장으로 팔레스타인의 토지가 계속 몰수됨에 따라 팔레스타인인들의 삶이 더욱 어려워졌다고 지적했다.[127][128][129][130] 이스라엘 외무장관 실로모 벤아미(Shlomo Ben-Ami)는 오슬로 협정을 "요르단 강 서안을 '지도상의 체스판'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변모시키는 것"을 합법화하는 것으로 묘사했다.[131]

5. 국제 사회의 역할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는 유엔에서 팔레스타인 국가의 정회원 자격을 얻고 1967년 국경을 기준으로 한 승인을 위해 노력해왔으며, 이는 광범위한 지지를 받고 있다.[232][233] 유엔 총회는 매년 1967년 국경을 기준으로 한 팔레스타인 국가 수립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거의 만장일치로 찬성하고 있다.[260] 그러나 미국과 이스라엘은 양자 협상을 통한 갈등 해결을 선호한다.[234][235]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팔레스타인이 직접 대화를 회피하려 한다고 비판했고,[236] 마무드 아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반은 이스라엘의 유대인 정착촌 건설 지속이 "두 국가 해결책의 현실적인 가능성을 훼손하고 있다"고 주장했다.[237]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팔레스타인의 정회원 자격을 거부했지만,[238] 2012년 말 유엔 총회는 팔레스타인에 비회원국 지위를 부여하여 사실상 주권 국가로 인정하였다.[239]



미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이스라엘 비난 결의안에 대해 거의 확실하게 거부권을 행사하고 있다.[832] 2010년 2월 갤럽사의 여론조사에서 미국 국민의 이스라엘 지지율은 63%, 팔레스타인 지지율은 15%를 기록했다.[834] 반면 영BBC와 요미우리신문의 조사에서는 이스라엘이 나쁜 영향을 미치는 국가 3위(50%)로 나타나 세계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이 존재함을 보여주었다.[835][836] 미국은 이스라엘에 막대한 군사 원조를 제공하고 있으며, 2016년에는 2019년부터 2028년까지 10년간 380억 달러(약 3조 9000억 엔)의 군사 원조를 제공하기로 합의했다.[837] 2015년 현재 유대인 정착민의 15%가 미국 국적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838]

독일은 나치에 의한 홀로코스트의 역사적 책임 때문에 이스라엘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다른 유럽 국가들은 팔레스타인을 승인하지 않았지만 미국과 독일에 비해 이스라엘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아랍 국가들은 팔레스타인에 대한 원조를 감축하고 있으며, 미국은 원조를 완전히 중단했기 때문에 유럽 국가들의 팔레스타인 원조 비중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아시아, 아프리카 국가들은 대부분 팔레스타인을 승인하고 있다. 중국은 팔레스타인을 승인하는 한편, 이스라엘과도 관계를 유지하며 양측 모두에 대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 중남미 국가들은 2010년 12월 브라질의 승인을 시작으로 대부분 팔레스타인을 승인하였다.

이스라엘을 제외한 중동 아시아·아프리카 국가들은 전통적으로 "팔레스타인 대의"를 내세워 팔레스타인을 지원해왔다. 그러나 이집트, 요르단을 시작으로 2020년에는 아랍에미리트, 바레인, 모로코도 이스라엘을 승인하고 사우디아라비아가 팔레스타인에 대한 비판을 강화하는 등 아랍 국가들은 점차 이스라엘에 접근하고 있다. 하지만 아랍 국가 국민들 사이에서는 이스라엘에 대한 반감이 강하게 남아있어 정부 차원의 접근과는 차이가 있다. 시리아, 이란, 터키는 이스라엘과 대립하며 팔레스타인 지원을 계속하고 있으며, 아랍 국가들에게는 이스라엘을 대신하는 주요 적이 되고 있다.

일본은 팔레스타인을 승인하지 않았으며, 미래의 승인을 전제로 한 자치구로 취급하고 있다. 팔레스타인에 물자 원조는 하지만 하마스에 대한 대응은 서구와 보조를 맞추고 있다. 일본은 하마스와의 공식적인 접촉을 금지하고 있으며, 원조 등 실무자급 협의에 필요한 최소한의 접촉만 유지하고 있다. 일본의 원조로 건설된 팔레스타인 시설이 이스라엘에 의해 파괴되는 경우가 많지만, 일본은 이에 대해 이스라엘에 항의하지 않고 있다. 2008년 2월 27일 후쿠다 야스오 총리는 에후드 올메르트 이스라엘 총리와 회담하고 양국 관계 강화 등을 담은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국제협력기구에 따르면, 일본은 1993년 오슬로 협정 이후 2018년 12월까지 약 19억 달러의 팔레스타인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840]

알자지라는 하마스 편향 보도를 이유로 이스라엘의 취재를 거부당한 적이 있다.[841] 이스라엘은 유튜브 채널을 설립하는 등 홍보 활동(Hasbara)을 펼치고 있다.

6. 최근 동향 (2023년 ~ 현재)

2023년 1월 9일, 크네셋에서 “유대-사마리아 정착지 규제법” 개정안이 통과되었다.[779] 1월 26일, 이스라엘 방위군(IDF)은 요르단강 서안 지구 제닌 난민 캠프를 기습 공격하여 무장 세력 9명(민간인 1명 포함)을 사살했다.[780] IDF는 “테러 작전에서 테러리스트 3명이 제압(사살)되었고, 다른 사상자에 대해서는 조사 중이다”라고 발표했다.[781]

2월 12일, 이스라엘은 9개의 전초기지(이스라엘 국내법에서도 불법인 정착지)를 승인하고 기존 정착지를 확장할 것이라고 발표했다.[782] 일본 외무성은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며 “정착 활동을 완전히 동결할 것을 강력히 요구”했다.[783] 2월 20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정착지 확장에 대해 “깊은 우려와 실망을 표명하는” 성명을 채택했다.[784] 아랍에미리트는 “팔레스타인 점령지에서의 모든 정착 활동의 즉각적이고 완전한 중단”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준비했으나 철회하고, 더 강제력이 약한 문구로 대체함으로써 미국은 찬성으로 돌아섰다. 이스라엘 총리실은 성명이 “일방적”이며 “성명은 발표되어서는 안 되었고, 미국도 참여해서는 안 되었다”고 주장했다.[784]

3월 21일, 크네셋에서 2005년 철수 계획을 수정하여 요르단강 서안의 4개 정착지 재건을 IDF의 승인을 조건으로 허용하는 개정안이 통과되었다.[785] 미국과 유럽연합은 잇따라 비판했고, 팔레스타인 대통령府 나빌 아부 루다이네 대변인은 “모든 정착지를 불법으로 규정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2334를 비롯한 모든 국제적 정당성을 가진 결의를 위반하는 행위”라고 비난했다.[786] 일본 외무성은 “정착 활동을 완전히 동결할 것을 강력히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787]

5월 18일, 요르단강 서안 호메시/Homesh영어의 정착 규제를 완화하는 내용의 IDF 군율(명령 2137)이 공포되었다.[788] 이에 따라, 사마리아 지역 평의회/Shomron Regional Council영어(정착민의 지역 자치 단체)는 이전부터 이스라엘 민정국 승인을 얻은 계획에 따라[789] 정착지 재건에 착수했다.[790] 『Arab News』에 따르면 정착민들은 팔레스타인인들의 농작물을 파괴했고, IDF는 팔레스타인 농민들을 체포했다고 한다.[791]

6월 18일, 이스라엘은 요르단강 서안에서 약 4560동(『The Times of Israel』에 따르면 약 5700동)의 정착지 주택 건설 계획을 승인할 전망을 밝혔다. 2023년 반년도 안 되는 기간에 13,082동의 정착지 건설이 승인되었는데, 이는 과거 최다 기록이다.[792][793] 또한, 정착지 승인 절차를 간소화하고, 권한을 베자렐 스모트리치 재무장관 겸 제2 국방장관에게 이관하는 것도 결정되었다.[794][795] 일본 외무성은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796]

7월 3일부터 5일까지, IDF는 요르단강 서안 지구 제닌 난민 캠프를 공격하여 “제닌 대대” 무장 세력 12명(어린이 4명 포함)을 사살했다. 이 과정에서 20년 만에 요르단강 서안 지구에 대한 드론 공격이 이루어졌다. 제닌 대대는 IDF 병사 1명을 사살했다.[797] 제닌 대대는 파타, 하마스, 이슬람 성전의 구성원들이 각각 참여하고 있다고 한다.[798] IDF는 제닌이 “테러리스트의 최대 발생원”이며 “인구의 25%가 테러 조직인 이슬람 성전에, 20%가 하마스에 소속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1000정 이상의 무기를 압수하고 30명을 체포했다”고 발표했다.[799]

10월 6일 현재, 유엔 인도주의 업무 조정국(OCHA)에 따르면 팔레스타인 측 237명, 이스라엘 측 29명이 분쟁으로 사망했다.[800]

10월 7일, 2023년 팔레스타인-이스라엘 분쟁이 발발했다. 하마스와 이슬람 성전 측은 이스라엘에 2000발의 미사일을 발사하고 무장 세력을 침투시켰다.[801][802] 이스라엘은 보복 공습을 감행했으며, 10월 9일에는 양측 사망자가 약 1200명에 달했다.[803]

11월 29일, 이스라엘 예루살렘 지역 계획위원회는 동예루살렘-요르단강 서안 지구에서 1,792동의 정착지 주택 건설 계획을 승인했다. 인권 단체 일 아밈/Ir Amim영어은 건설 예정지에 “팔레스타인인 사유지가 포함되어 있지만, 수용될 가능성이 높고, 베들레헴과 동예루살렘의 영토적 인접성을 매우 어렵게 만든다”고 지적했다.[804][805]

2023년 한 해 동안 팔레스타인-이스라엘 분쟁을 제외하고 팔레스타인 측 551명, 이스라엘 측 37명이 분쟁으로 사망했다. 2023년 팔레스타인-이스라엘 분쟁에서는 팔레스타인 측 21,672명, 이스라엘 측 1,222명(군인 318명 포함)이 사망했다. 이스라엘은 초기 기습 저지 과정에서 팔레스타인 측 “테러리스트” 약 1,500명을 사살했다고 발표했다.[806][807][808] 이스라엘 방위군은 가자 지구 침공에서의 전사자는 172명이라고 발표했다.[809]

2024년 2월 27일, 이스라엘 방위군 중앙군 사령관 예후다 폭스/Yehuda Fox영어는 10개 전초기지의 합법화를 공식 승인했다. 구시 에찌온 지역 평의회는 3,600호의 정착 계획을 발표했다.[810][811]

5월 22일, IDF는 요르단강 서안 지구에 명령 2190호를 공포하여 2005년 가자 지구 등 철수에서 이루어진 요르단강 서안 지구 4개 정착지 철수를 완전히 철회했다. 그러나, 예후다 폭스 소장은 이 지역을 2028년까지 군사 폐쇄 지역으로 지정하여 민간인 정착민의 입역은 보류되었다.[812][813] 이는 스페인, 노르웨이, 아일랜드의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 발표에 대한 대응 조치였다.[814]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에 대한 “엄격한 처벌”로 팔레스타인의 세수 송금을 중단했다.[815]

5월 29일, IDF는 요르단강 서안 지구에 명령 2195호를 공포하여 이스라엘 민정국에 신설된 민정국 차관에 광범위한 권한을 이양했다.[816] 이는 스모트리치 재무장관 겸 국방부 차관의 의향을 반영한 것으로, 그의 측근인 히렐 로스가 차관에 임명되었다.[817] 스모트리치는 6월 9일, 실질적인 합병과 팔레스타인 국가 수립 저지, 정착지 투자, 이스라엘이 불법으로 규정한 팔레스타인인 건축물 파괴, IDF 권한의 민간 이양 등의 목표를 밝혔다.[818][819][820]

6월 27일, 스모트리치 재무장관 겸 국방부 차관은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 및 국제사법재판소-국제형사재판소 제소[821]에 대한 “제재”로 5개 전초기지 합법화, 수천 호의 새로운 정착지 승인,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직원에 대한 이스라엘 통행 비자 박탈[822]을 결정했다. 또한 유대 사막의 자연보호구역의 팔레스타인인 “불법” 건축물 파괴 권한을 팔레스타인으로부터 박탈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오슬로 협정을 위반하는 내용이다.[823] 대신, 송금을 중단했던 팔레스타인 세수의 일부를 인도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스모트리치는 X(구 Twitter)에서 “우리는 이스라엘의 안전을 유지하고, 우리의 존재를 위험에 빠뜨리는 팔레스타인 국가의 수립을 막기 위해 정착지 개발을 계속할 것이다”라고 밝혔다.[824] 일본 외무성은 “강한 유감”을 표명하며 “상기 결정의 철회 및 정착 활동의 완전 동결을 강력히 요구”했다. 또한, “이스라엘 극우 정착민에 의한 팔레스타인인에 대한 폭력 증가”를 비난하며 “적절한 대응”을 요구했다.[825]

7월 3일, “피스 나우”는 이스라엘이 요르단 계곡의 약 12.7㎢를 국유화했다고 지적했다. 이는 오슬로 협정 이후 최대 면적의 국유화 선언이며, 팔레스타인 국가의 영토적 일체성을 해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826][827][828]

7월 4일, “피스 나우”에 따르면, 이스라엘은 새롭게 전초기지 3곳을 합법화하고 기존 정착지 5295동의 추가 건설을 승인했다.[829]

7월 19일, 국제사법재판소는 동예루살렘을 포함한 점령하의 팔레스타인 지역에서 이스라엘의 정책과 실행으로부터 발생하는 법적 귀결/ICJ case on Israel's occupation of the Palestinian territories영어의 권고적 의견으로, 이스라엘의 요르단강 서안 지구, 가자 지구, 동예루살렘 점령 및 관련 조치가 국제법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이스라엘은 신속한 철수와 손해 배상 의무가 있으며, 모든 유엔 회원국은 이스라엘의 점령에 협력하지 않을 의무가 있다고 결론지었다.[830] 이스라엘의 네타냐후 총리는 권고를 거부했다. 한편, PLO 집행위원회의 후세인 알 셰이크 사무총장은 “팔레스타인 국민의 권리와 팔레스타인인의 자결권에 있어 역사적인 승리다”라고 평가했다.[831]

참조

[1] 웹사이트 Occupied Palestinian Territory: Overview Map {{!}} December 2011 http://www.ochaopt.o[...] 2023-11-11
[2] 웹사이트 Who Governs the Palestinians? https://www.cfr.org/[...] 2024-07-30
[3] 논문
[4] 서적 Six Days: How the 1967 War Shaped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Simon & Schuster 2003
[5] 서적 The Politics of Jerusalem Since 1967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7
[6] 서적 Politics and Society in Modern Israel: Myths and Realities https://books.google[...] M. E. Sharpe
[7] 서적 https://books.google[...] Facts On File, Incorporated 2024-10-04
[8] 서적 War over Peace: One Hundred Years of Israel's Militaristic Nationalis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9] 간행물 From Blitzkrieg To Attrition: Israel's Attrition Strategy and Staying Power 2005
[10] 서적 Routledge Handbook on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Routledge 2013
[11] 웹사이트 B'Tselem – Statistics – Fatalities http://www.btselem.o[...] B'Tselem
[12] 웹사이트 Palestinians killed by Israeli security forces in the Gaza Strip, before Operation "Cast Lead" http://www.btselem.o[...] B'Tselem 2024-02-18
[13] 뉴스 IDF releases Cast Lead casualty numbers https://www.jpost.co[...] 2024-01-05
[14] 웹사이트 Confirmed figures reveal the true extent of the destruction inflicted upon the Gaza Strip; Israel's offensive resulted in 1,417 dead, including 926 civilians, 255 police officers, and 236 fighters. http://www.pchrgaza.[...] 2024-01-05
[15] 웹사이트 Report of the detailed findings of the independent commission of inquiry established pursuant to Human Rights Council resolution S-21/1 http://www.ohchr.org[...] Human Rights Council 2015-06-23
[16] 웹사이트 2021 was the deadliest year since 2014, Israel killed 319 Palestinians in oPt 5-year record in house demolitions: 895 Palestinians lost their homes https://www.btselem.[...] B'Tselem 2022-01-04
[17] 웹사이트 Reported impact snapshot {{!}} Gaza Strip (10 December 2024) https://www.ochaopt.[...] 2024-12-10
[18] 뉴스 Israel military says 2 civilians killed for every Hamas militant is a 'tremendously positive' ratio given combat challenges https://edition.cnn.[...] 2024-01-05
[19] 웹사이트 UN rights chief warns of heightened risk of 'atrocity crimes' in Gaza https://www.reuters.[...] 2023-12-06
[20] 웹사이트 The Tragedy of Israel's 135,000 Displaced Citizens https://www.haaretz.[...] 2024-07-18
[21] 간행물 Armed conflict and public health: Into the 21st century 2020
[22] 논문
[23] 뉴스 Scientists are closing in on the true, horrifying scale of death and disease in Gaza https://www.theguard[...] 2024-09-13
[24] 서적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What Everyone Needs to Know Oxford University Press 2019
[25] 서적 The Israel-Palestine Conflict: A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
[26] 웹사이트 A History of Conflict: Introduction http://news.bbc.co.u[...] BBC News 2008-12-17
[27] 웹사이트 Canadian Policy on Key Issues in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http://www.internati[...] Government of Canada 2010-03-13
[28] 웹사이트 Movement and Access Restrictions in the West Bank: Uncertainty and Inefficiency in the Palestinian Economy http://siteresources[...] World Bank 2010-03-29
[29] 서적 The hundred years' war on Palestine: a history of settler colonialism and resistance, 1917-2017 Henry Hold and Company 2020
[30] 논문
[31] 서적 1948: A history of the first Arab–Israeli war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32] 서적 1948: A history of the first Arab–Israeli war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33] 웹사이트 The Roots of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1882–1914 http://digitalcommon[...] 2017-08-22
[34] 백과사전 Balfour Declaration | History & Impact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20-10-26
[35] 논문
[36] 서적 https://books.google[...]
[37] 서적 The Ethnic Cleansing of Palestine https://books.google[...] Oneworld Publications
[38] 서적
[39] 서적 Last Lectures on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Genocid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3-03-31
[40] 학술지 Anatomy of the 1936–39 Revolt: Images of the Body in Political Cartoons of Mandatory Palestine https://www.academ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8-01-14
[41] 서적 The Palestine Nakba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42] 서적
[43] 서적 Scars of War, Wounds of Peac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4] 서적 The Palestine Nakba https://books.google[...] Zed Books
[45] 서적
[46] 서적 Zionism and the Palestinians https://books.google[...] Croom Helm
[47] 서적 Image and Reality of the Israel-Palestine Conflict https://books.google[...] Verso Books
[48] 서적
[49] 서적 The Israel–Palestine Conflict: One Hundred Years of War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11-09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웹사이트 History of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https://www.pbs.org/[...] PBS 2013-03-14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Ends of British Imperialism: The Scramble for Empire, Suez, and Decolonization I. B. Tauris
[58] 서적 One State, Two States: Resolving the Israel/Palestine Conflict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20-09-27
[59] 서적
[60] 서적
[61] 학술지 The Banality of Brutality: British Armed Forces and the Repression of the Arab Revolt in Palestine, 1936–39 http://v-scheiner.br[...]
[62] 서적 A Survey of Palestine https://www.bjpa.org[...] Government of Palestine 1946
[63] 서적 Military Preparations of the Arab Community in Palestine: 1945–1948 Routledge
[64] 웹사이트 A/RES/181(II) of 29 November 1947 http://domino.un.org[...] United Nations 2013-05-28
[65] 웹사이트 Historical Time Line for Israel/Palestine http://www.umass.edu[...] UMass Amherst 2005-04-05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Deluge OR Books
[70] 서적 Justice for Some: Law and the Question of Palestine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9
[71] 서적 The disastrous defeat of the Arab states in the 1973 war also played a major role in convincing Arafat of the need for a compromise peace settlement. Arafat's decision to start peace negotiations with Israel led to the June 1974 PLO agreement to adopt a new strategy that called for a struggle for "every part of Palestine that is liberated" (emphasis added). Anziska writes that this constituted "an acceptance of a political solution on a limited piece of territory," the first step, however vague, that opened the door for a Palestinian acceptance of a two-state solution... In a recent major work, historian Seth Anziska writes that the 1973 war "launched a new phase in the PLO's struggle, oriented toward partition and the acknowledgment of Israel's presence. In the aftermath of the October War, the PLO sought a place within the comprehensive diplomatic negotiations, which required political compromise and the eventual embrace of a state on far less territory than historic Palestine" (Anziska, Preventing Palestine, Kindle 25). Similarly, Bird writes: "By mid-1974 the PLO was rapidly moving away from a strategy of armed struggle and morphing into a political movement seeking international legitimacy" based on a two-state solution (Bird, The Good Spy, Kindle location 2560–75). For similar assessments of the importance of the 1974 PLO program, see Hart, Arafat, 10–11; Weinberger, "The Palestinian National Security Debate"; Nofal, "Yasir Arafat: A Mixed Legacy"; Tessler, A History of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Kindle 483–84; and Elgindy, Blind Spot, Kindle 88.
[72] 서적 On the other hand, the war had given Israel a stinging slap in the face. The 1948, 1956, and 1967 wars had conditioned them to stunning victories over the Arabs and to Arab military (and political) incompetence; 1973 proved to be something else altogether. Many Israelis were now persuaded that the territories could not be held indefinitely by force and that continued occupation would necessarily lead to further bouts of painful warfare. At last, and for the first time since June 1967, most people were willing to contemplate giving up large chunks of land for peace.
[73] 서적 The 1973 war was a traumatic event that promoted the disintegration of Israeli politics and culture. The myth of Israeli invincibility was shattered, and while some saw this as a good reason to become more insistent in the search for peace, others turned to God, toughening their positions on peace and territorial compromise. What added to the confusion and the erosion of self-confidence was the high number of deaths, about 3,000, compared with the few hundred in the 1967 war. A general sense of grief fell on the country and affected the government's prestige.
[74] 서적 In addition to their central provision, for a peace treaty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Camp David Accords, agreed upon by Israel and Egypt under the aegis of the United States in 1978, called for negoti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a "Self-Governing Authority" (SGA) for the Arab population of the West Bank and the Gaza Strip. Jerusalem was to be excluded from its provisions. The accords stipulated "full autonomy for the inhabitants," but crucially, this did not apply to the land, which was to remain under full Israeli control. A bilateral peace treaty based on these accords was signed between Israel and Egypt in 1979, and Israel thereafter began a withdrawal of its forces from the occupied Egyptian Sinai Peninsula, which was completed in the spring of 1982. However, the modalities of the Palestinian-autonomy accords were a continuing source of dispute between the three signatories to the Camp David Accords, as well as with the Palestinians and other Arabs, and in the end they were never implemented.
[75] 서적 The Camp David Accords were signed in an impressive ceremony in the White House on 17 September 1978. The two accords were entitled "A Framework for Peace in the Middle East" and "A Framework for the Conclusion of a Peace Treaty between Israel and Egypt." The former stated in its preamble, "The agreed basis for a peaceful settlement of the conflict between Israel and its neighbours is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242 in all its parts." The framework dealt with the West Bank and Gaza and envisaged nothing less than "the resolution of the Palestinian problem in all its aspects." Egypt, Israel, Jordan, and the representatives of the Palestinian people were to participate in the negotiations, which were to proceed in three stages. In the first, the ground rules would be laid for electing a "self-governing authority" for the territories, and the powers of this authority would be defined. In the second stage, once the self-governing authority had been established, a transitional period would begin. Israel's military government and its civilian administration would be withdrawn; Israel's armed forces would also be withdrawn and the remaining forces redeployed into specified security locations. In the third stage, not later than the third year after the beginning of the transitional period, negotiations would take place to determine the final status of the West Bank and Gaza. These negotiations had to recognize "the legitimate rights of the Palestinian people and their just requirements."
[76] 서적 The aim of "Operation Litani" was to kill as many guerrillas as possible and to destroy the military infrastructure—camps, munitions dumps, artillery pieces. A secondary aim was to expand, and create continuity between, the existing Christian-held enclaves on the Lebanese side of the border. By March 21, the IDF had taken all of the area south of the Litani (except for Tyre and its environs).
[77] 서적 Politicide https://books.google[...] Verso Books
[78] 서적 Nevertheless, after all this and despite an Israeli incursion in 1978—the Litani Operation—which left a swath of south Lebanon under the control of its proxy, the South Lebanese Army, the PLO was still standing. Indeed, it remained the strongest force in large parts of Lebanon, those that were not in the hands of foreign armies or their proxies, including West Beirut, Tripoli, Sidon, the Shouf Mountains, and much of the south. It would take one more military campaign to dislodge the PLO, and in 1982, American Secretary of State General Alexander Haig agreed to Ariel Sharon's plans for Israel to finish off the organization and with it Palestinian nationalism.
[79] 서적 This was that belt the Israeli government wished to destroy. Its first concerted effort to do so occurred in 1978, when 25,000 Israeli troops invaded Lebanon as far north as the Litani River. The operation failed to dislodge the PLO from its strongholds, although it did cause large-scale demographic disruptions in southern Lebanon as thousands of villagers, mainly Shi'as, fled their homelands for the area of Beirut. Pressure from the United States and the UN eventually compelled Israel to withdraw its troops.
[80] 서적 A history of the Arab peoples https://books.googl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81] 서적 Scars of War, Wounds of Peac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82] 서적 The real driving force behind Israel's invasion of Lebanon, however, was Ariel Sharon, whose aims were much more ambitious and far-reaching. From his first day at the Defense Ministry, Sharon started planning the invasion of Lebanon. He developed what came to be known as the "big plan" for using Israel's military power to establish political hegemony in the Middle East. The first aim of Sharon's plan was to destroy the PLO's military infrastructure in Lebanon and to undermine it as a political organization. The second aim was to establish a new political order in Lebanon by helping Israel's Maronite friends, headed by Bashir Gemayel, to form a government that would proceed to sign a peace treaty with Israel. For this to be possible, it was necessary, third, to expel the Syrian forces from Lebanon or at least to weaken seriously the Syrian presence there. In Sharon's big plan, the war in Lebanon was intended to transform the situation not only in Lebanon but in the whole Middle East. The destruction of the PLO would break the backbone of Palestinian nationalism and facilitate the absorption of the West Bank into Greater Israel. The resulting influx of Palestinians from Lebanon and the West Bank into Jordan would eventually sweep away the Hashemite monarchy and transform the East Bank into a Palestinian state. Sharon reasoned that Jordan's conversion into a Palestinian state would end international pressures on Israel to withdraw from the West Bank. Begin was not privy to all aspects of Sharon's ambitious geopolitical scenario, but the two men were united by their desire to act against the PLO in Lebanon.
[83] 서적 On September 1 an IDF helicopter flew Gemayel to Nahariya, in northern Israel, where he met Begin, who had just been informed of the "Reagan Plan," the new American initiative for Israeli withdrawal from most of the occupied territories in exchange for Arab recognition and peace. By invading Lebanon, Begin had hoped to neutralize Palestinian nationalism and facilitate Israeli annexation, at least de facto, of the West Bank. But the invasion had brought home to the Americans the plight of the Palestinians and the imperative of resolving their problem, with Israeli withdrawal from the West Bank among the necessary preconditions. The Reagan initiative ruled out a final settlement that would involve either Israeli annexation of the territories or full-fledged Palestinian statehood.
[84] 서적 Fateful Triangle https://books.google[...] Pluto Press
[85] 서적 The Case for Palestine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86] 서적 For just that reason, though, Prime Minister Menachem Begin and Defense Minister Ariel Sharon worried that the growing PLO moderation would increase the pressure on Israel to accept the creation of a Palestinian state. To prevent that, in 1982 they seized upon a pretext to again invade Lebanon and attack the PLO, this time on a far larger scale than in previous conflicts. The attacks resulted in tens of thousands of Lebanese civilian casualties; however, the PLO forces in southern Lebanon, still led by Arafat, who escaped Israeli efforts to kill him, were soon reconstituted.
[87] 뉴스 Is Gaza 'occupied' territory? http://www.cnn.com/2[...] CNN 2009-05-30
[88] 웹사이트 Israel/Occupied Palestinian Territories: The conflict in Gaza: A briefing on applicable law, investigations and accountability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2009-06-05
[89] 웹사이트 Human Rights Council Special Session on the Occupied Palestinian Territories, July 6, 2006 https://www.hrw.org/[...] 2022-03-05
[90] 뉴스 Hamas Leader Faults Israeli Sanction Plan https://www.nytimes.[...] 2022-03-05
[91] 서적 Power, Faith, and Fantasy: America in the Middle East, 1776 to the Present https://archive.org/[...] W. W. Norton & Company
[92] 뉴스 Hamas: Rockets will stop when Gaza borders are opened https://www.usatoday[...] 2022-03-05
[93] 웹사이트 Abbas: No justification for Gaza rocket attacks http://www.jpost.com[...] 2013-03-14
[94] 웹사이트 Gaza: Palestinian Rockets Unlawfully Targeted Israeli Civilians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22-03-05
[95] 뉴스 Seven Truths About Israel, Hamas and Violence https://www.bloomber[...] 2022-10-24
[96] 뉴스 Urban battle from past Gaza war offers glimpse of what an Israeli ground offensive might look like https://apnews.com/a[...] 2023-12-02
[97] 웹사이트 Hamas planned Oct. 7 from before 2014, with final decision made by 5 leaders – report https://www.timesofi[...] 2024-02-10
[98] 뉴스 In Israel and the U.S., 'apartheid' is the elephant in the room https://www.washingt[...] 2023-08-24
[99] 뉴스 Israel judicial reform explained: What is the crisis about? https://www.bbc.com/[...] 2024-02-10
[100] 웹사이트 Israeli-Palestinian death toll highest since 2005: UN envoy https://news.un.org/[...] UN 2023-08-24
[101] 뉴스 Exclusive: Qatar seeking Israel-Hamas deal to free 50 hostages and 3-day truce https://www.reuters.[...] 2023-12-18
[102] 뉴스 What we know about the captives taken by Hamas https://www.aljazeer[...] 2023-12-15
[103] 뉴스 Gaza war inflicts catastrophic damage on infrastructure and economy https://www.reuters.[...] 2024-02-10
[104] 뉴스 Has Israel invaded Gaza? The military has been vague, even if its objectives are clear https://apnews.com/a[...] 2023-11-02
[105] 웹사이트 United Nations Office for the Coordination of Humanitarian Affairs – occupied Palestinian territory http://www.ochaopt.o[...] 2024-02-06
[106] 웹사이트 Proceedings instituted by South Africa against the State of Israel on 29 December 2023 https://www.icj-cij.[...] 2024-01-05
[107] 뉴스 Israel-Hamas War: Update from Patrick Kingsley https://www.nytimes.[...] 2024-01-26
[108] 웹사이트 Order respecting South Africa's request for provisional measures https://www.icj-cij.[...] 2024-01-26
[109] 간행물 U.N. Court Says Israel Must Prevent Genocidal Acts in Gaza, But Doesn't Order a Ceasefire https://time.com/658[...] 2024-01-26
[110] 뉴스 World Court stops short of Gaza ceasefire order for Israel https://www.reuters.[...] 2024-01-27
[111] 뉴스 Netanyahu dismisses international pressure: 'Nothing will stop us' destroying Hamas https://www.timesofi[...] 2023-12-18
[112] 뉴스 Can Hamas actually be eliminated? This is what military and security analysts think https://www.cnbc.com[...] 2023-12-18
[113] 뉴스 Netanyahu says IDF will control Gaza after war, rejects notion of international force https://www.timesofi[...] 2023-12-18
[114] 뉴스 Three US troops killed in drone attack in Jordan, more than 30 injured https://www.cnn.com/[...] 2024-02-10
[115] 뉴스 Houthis claim new attacks on Red Sea shipping https://www.bbc.com/[...] 2024-02-10
[116] 뉴스 U.S. and U.K. launch new wave of strikes, this time targeting Houthis in Yemen https://www.nbcnews.[...] 2024-02-10
[117] 뉴스 What we know about US retaliatory strikes in Iraq and Syria https://www.bbc.com/[...] 2024-02-10
[118] 서적 The Palestinian Hamas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119] 서적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A documentary record, 1967–1990 Cambridge
[120] 서적 Dilemmas of Securit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21] 서적 (Shlaim, 2015)
[122] 서적 (Shlaim, 2015)
[123] 서적 (Pappé, 2022)
[124] 서적 Peace Process https://books.google[...] Brookings Institution Press
[125] 서적 (Khalidi, 2020)
[126] 서적 (Slater, 2020, Chapter 14)
[127] 서적 (Shlaim, 2015, Stonewalling 1988 –1992)
[128] 서적 Perceptions of Palestin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29] 서적 A History of the Modern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ReadHowYouWant.com, Limited
[130] 서적 (Slater, 2020)
[131] 서적 Scars of War, Wounds of Peac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32] 서적 (Baconi, 2018, Politicide, Containment, and Pacification)
[133] 웹사이트 Dennis Ross and the Peace Process: Subordinating Palestinian Rights to Israeli "Needs" https://www.palestin[...] 2024-08-13
[134] 간행물 An Analysis of the Wye River Memorandum Human Rights Watch
[135] 간행물 The United States, Israel and the Palestinian Authority Amnesty International
[136] 서적 The Missing Peace https://books.google[...] Farrar, Straus and Giroux
[137] 서적 (Watson, 2000, pp. 211–236)
[138] 서적 (Watson, 2000, pp. 211–236)
[139] 서적 Fateful Triangle https://books.google[...] Pluto Press
[140] 서적 Gaz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41] 서적 Politicide https://books.google[...] Verso Books
[142] 서적 Prophets Without Honor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43] harvnb
[144] harvnb
[145] harvnb
[146] 서적 Arafat's War: The Man and His Battle for Israeli Conquest Grove Press 2003
[147] 뉴스 Camp David and After: An Exchange (1. An Interview with Ehud Barak) https://www.nybooks.[...] 2022-03-05
[148] harvnb
[149] 학술지 Camp David: The Tragedy of Errors https://www.nybooks.[...] 2001-08-09
[150] 서적 Prophets Without Honor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51] harvnb
[152] 뉴스 Clinton: Arafat changed mind on peace deal https://www.washingt[...] 2022-03-05
[153] 잡지 Middle East Envoy George Mitchell http://content.time.[...] 2009-01-22
[154] 웹사이트 Excerpts: State Dept; Spokesman on Mideast Peace Prospects (Both sides accept Clinton's parameters with reservations) http://www.usembassy[...] Embassy of the United States, Israel
[155] 뉴스 Renewed Hope for Peace Talks as Arafat Returns to Mideast https://www.nytimes.[...] 2001-01-03
[156] 뉴스 Israel moves to green light 2,200 new settlement units, recognizes outposts http://www.haaretz.c[...] 2015-11-09
[157] 뉴스 UN: Israeli-Palestinian violence nears 'catastrophe' http://www.aljazeera[...]
[158] 뉴스 Mapping the dead in latest Israeli-Palestinian violence http://www.aljazeera[...]
[159] 뉴스 Annapolis joint declaration to focus on goals of final status talks http://www.haaretz.c[...] 2007-11-14
[160] 웹아카이브 Joint Understanding Read by President Bush at Annapolis Conference https://unispal.un.o[...] 2007-11-27
[161] 뉴스 Abbas admits he rejected 2008 peace offer from Olmert https://www.timesofi[...] 2015-11-19
[162] 뉴스 Saudi Prince al-Faisal tells Haaretz: Desire for peace exists both in Gaza and Ramallah – Israel Conference on Peace TLV http://www.haaretz.c[...] 2015-11-12
[163] 뉴스 The Saudi Arabia peace initiative https://www.ynetnews[...] 2009-03-23
[164] 뉴스 Support for the Saudi Initiative https://www.nytimes.[...] 2002-02-28
[165] 뉴스 Abbas calls on Obama to enact Arab peace plan as soon as he takes office http://www.haaretz.c[...] 2008-11-22
[166] 뉴스 Hamas' al-Zahar: Arab peace initiative impractical http://www.ynetnews.[...] 2006-06-01
[167] 잡지 Time to Test the Arab Peace Offer http://mideast.blogs[...] 2009-01-17
[168] 뉴스 Saudi former intel chief slams Palestinian's criticism of UAE-Israel deal https://www.jpost.co[...] 2020-10-06
[169] 뉴스 Arabs offer Israel peace plan http://news.bbc.co.u[...] 2002-03-28
[170] 뉴스 Sharon warns Saudi plan may be Arab plot http://www.jpost.com[...] 2002-03-04
[171] 뉴스 Olmert gives cautious welcome to Arab peace plan https://www.theguard[...] 2007-03-30
[172] 뉴스 Netanyahu backs 'general idea' behind Arab Peace Initiative http://www.timesofis[...] 2015-05-28
[173] 뉴스 Netanyahu: Israel Will Never Accept Arab Peace Initiative as Basis for Talks With Palestinians https://www.haaretz.[...]
[174] 웹아카이브 The ICJ Just Demolished One of Israel's Key Defenses of the Occupation https://www.haaretz.[...] 2024-07-19
[175] 간행물 A Threshold Crossed: Israeli Authorities and the Crimes of Apartheid and Persecution hrw.org Human Rights Watch 2021-04-27
[176] 뉴스 Israel is committing the crime of apartheid, rights group says http://www.theguardi[...] 2021-04-27
[177] 보고서 Israel's Apartheid Against Palestinians: Cruel System of Domination and Crime Against Humanity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2022-01-01
[178] 웹사이트 Defending the rule of law, enforcing apartheid – the double life of Israel's judiciary https://www.amnesty.[...] 2023-09-13
[179] 서적 Three Worlds https://books.google[...] Oneworld Publications
[180] 웹사이트 Israel must end its occupation of Palestine to stop fuelling apartheid and systematic human rights violations https://www.amnesty.[...] 2024-02-19
[181] 간행물 Legal Consequences Arising from the Policies and practices of Israel in the Occupied Palestinian Territory, Including East Jerusalem:Advisory Opinion, https://www.un.org/u[...] 2023-07-19
[182] 웹사이트 Israel always sold the occupation as legal. The ICJ now terrifies them https://www.972mag.c[...] 2024-07-23
[183] 서적 #추정 Arab-Israel Peacemaking
[184] 뉴스 Hamas presents new charter accepting a Palestine based on 1967 borders https://www.theguard[...] 2017-05-01
[185] 논문 Prolonged Military Occupation: The Israeli-Occupied Territories Since 1967 https://pdfs.semanti[...]
[186] 서적 The Italian Yearbook of International Law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87] 논문 Israel: The security barrier—between international law, constitutional law, and domestic judicial review
[188] 서적 Human rights, self-determination and political change in the occupied Palestinian territories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89] 웹사이트 Public Opinion Poll No (84) http://pcpsr.org/en/[...] Palestinian Center for Policy and Survey Research 2022-07-06
[190] 뉴스 Settlements grow on Arab land, despite promises made to U.S. http://www.haaretz.c[...] Haaretz 2006-10-24
[191] 서적 International Law and the Arab-Israel Conflict: Extracts from "Israel and Palestine Assault on the Law of Nations" by Professor Julius Stone Jirlac Publications
[192] 서적 War Crimes and Crimes Against Humanity in the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3] 웹사이트 Historical, Legal, and Political Aspects of Israeli Settlement Policy http://www.ajc.org/s[...] 2009-06-18
[194] 웹사이트 Chapter 3: Israeli Settlements and International Law https://www.amnesty.[...] 2019-01-30
[195] 뉴스 Jewish settler population in the West Bank surpasses half a million https://www.latimes.[...] 2023-02-02
[196] 뉴스 Israel to ramp up settlement expansion in occupied West Bank https://www.aljazeer[...] 2023-06-18
[197] 뉴스 Far-right Israeli Minister Lays Groundwork for Doubling West Bank Settler Population https://www.haaretz.[...] 2023-05-18
[198] 웹사이트 Smotrich handed sweeping powers over West Bank, control over settlement planning https://www.timesofi[...] 2023-02-23
[199] 뉴스 Former US ambassador accuses Israel of 'creeping annexation' of the West Bank https://www.theguard[...] 2023-02-24
[200] 웹사이트 Netanyahu hands Smotrich full authority to expand existing settlements https://www.timesofi[...] 2023-06-18
[201] 뉴스 Amnesty says some Israeli West Bank killings may be war crimes https://www.reuters.[...] 2014-02-27
[202] 웹사이트 Israel and Occupied Palestinian Territories: Trigger-happy: Israel's use of excessive force in the West Bank https://www.amnesty.[...] 2014-02-27
[203] 웹사이트 #추정 What is the Separation Policy?
[204] 서적 #추정 De-development Completed
[205] 서적 #추정
[206] 서적 #추정
[207] 서적 #추정
[208] 서적 #추정
[209] 서적 #추정
[210] 서적 #추정
[211] 웹사이트 What's the ICJ case against Israel's illegal occupation of Palestine? https://www.aljazeer[...] 2024-09-12
[212] 논문 Bashi 2018
[213] 간행물 A Guide to the Gaza Closure: In Israel's own words GISHA
[214] 간행물 Cease Failure Oxfam International
[215] 서적 (제목 없음) 2014-08
[216] 뉴스 Israel announces 'total' blockade on Gaza https://www.aljazeer[...] 2023-10-09
[217] 뉴스 Israel announces 'complete siege' of Gaza, cutting its electricity, food, water, and fuel https://www.business[...] 2023-10-09
[218] 뉴스 Israel: Unlawful Gaza Blockade Deadly for Children https://www.hrw.org/[...] 2023-10-18
[219] 뉴스 As World Focuses On Gaza, Grim Lives Go On https://www.npr.org/[...] 2022-03-05
[220] 논문 Roy 2016
[221] 웹사이트 Interception of the Gaza flotilla-Legal aspects. http://www.mag.idf.i[...] Mag.idf.il 2012-01-02
[222] 뉴스 Court extends remand of Israelis aboard Gaza ship http://www.jpost.com[...] 2012-11-04
[223] 웹사이트 Position paper on the naval blockade on Gaza http://www.mag.idf.i[...] 2010-09-08
[224] 웹사이트 Palmer Report Did Not Find Gaza Blockade Legal, Despite Media Headlines https://www.amnestyu[...] 2011-09-06
[225] 웹사이트 The Humanitarian Monitor. December Overview, 2011 http://domino.un.org[...] United Nations Office for the Coordination of Humanitarian Affairs 2011-12-31
[226] 뉴스 2,279 Calories per Person: How Israel Made Sure Gaza Didn't Starve https://www.haaretz.[...] 2022-03-05
[227] 뉴스 Israel used 'calorie count' to limit Gaza food during blockade, critics claim https://www.theguard[...] 2012-10-17
[228] 뉴스 Israel set calorie limit during Gaza blockade http://www.aljazeera[...]
[229] 뉴스 Cabinet: All non-military items can enter Gaza freely http://www.ynetnews.[...] 2010-06-20
[230] 뉴스 Reaction mixed to Israeli announcement on easing of Gaza blockade https://web.archive.[...] Jewish Telegraphic Agency 2010-06-21
[231] 논문 Roy 2016
[232] 뉴스 Israeli minister says Palestinians losing UN bid https://archive.toda[...] 2011-07-18
[233] 뉴스 UN envoy Prosor: Israel has no chance of stopping recognition of Palestinian state http://www.haaretz.c[...] 2011-08-28
[234] 뉴스 US to 'adamantly object' PA's UN bid https://www.ynetnews[...] 2011-09-13
[235] 뉴스 Obama at UN declares 'no shortcuts' to peace http://www.jpost.com[...]
[236] 뉴스 Netanyahu: PA attempt to become a permanent UN member will fail http://www.ynetnews.[...] 2011-09-18
[237] 뉴스 Abbas defies US with formal call for Palestinian recognition by UN https://www.theguard[...] 2011-09-23
[238] 뉴스 Security Council rejects Palestinian statehood resolution https://edition.cnn.[...] 2014-12-31
[239] 뉴스 Palestinians win implicit U.N. recognition of sovereign state https://www.reuters.[...] 2012-11-29
[240] 서적 The Israeli–Palestinian Peace Negotiations, 1999–2001: Within Reach Taylor & Francis 2006
[241] 뉴스 Some experts question extent of Palestinian incitement http://www.timesofis[...]
[242] 서적 Religious Stereotyping and Interreligious Relations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3
[243] 서적 Israel/Palestine: How to End the War of 1948 Seven Stories Press 2011
[244] 뉴스 Academic claims Israeli school textbooks contain bias – Israel https://amp.theguard[...] 2011-08-06
[245] 웹사이트 Report on Palestinian Textbooks http://www.gei.de/en[...] Georg Eckert Institute 2019-2021
[246] 뉴스 EU holds PA funds after reform of antisemitic textbooks fails https://www.jpost.co[...] 2022-05-07
[247] 뉴스 EU moves to stop funding Palestinian terrorists, inciting textbooks https://www.jpost.co[...] 2022-05-08
[248] 웹사이트 UNRWA Head Faces Questions at EU Parliament Over 'Hate Speech, Violence' in Palestinian Textbooks https://www.algemein[...]
[249] 서적 The Oslo Idea: The Euphoria of Failure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250] 뉴스 PA TV glorifies murderers of Fogel family http://www.jpost.com[...] 2012-01-30
[251] 뉴스 In Israel, an ugly tide sweeps over Palestinians http://www.thenation[...] 2016-04-25
[252] 뉴스 Israeli Soldier Indicted for Shooting Wounded Palestinian Assailant Released for Passover http://www.haaretz.c[...] 2016-04-22
[253] 뉴스 When Israelis Teach Their Kids To Hate http://forward.com/o[...] 2014-05-08
[254] 뉴스 Gaza kindergartners want to 'blow up Zionists' http://www.ynetnews.[...]
[255] 서적 Moment of Truth OR Books
[256] 서적 The Making of Modern Zionism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57] 서적 Prophets Without Honor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58] 서적 Gaz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59] 서적 Deluge https://books.google[...] OR Books 2024-04-16
[260] 서적 Knowing Too Much OR Books 2012
[261] 서적 The Gaza Strip extended 3rd edition https://books.google[...] Institute for Palestine Studies
[262] harvnb
[263] 서적 Moment of Truth OR Books 2017
[264] 서적 Prophets Without Honor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65] 웹사이트 Overview of the conflict between Israel and the Palestinians http://news-basics.c[...]
[266] harvnb
[267] 서적 Continuum Political Encyclopedia of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68] 웹사이트 Basic Law: Jerusalem, Capital of Israel (Unofficial translation) https://www.knesset.[...] 1980-07-30
[269] 뉴스 Trump recognizes Jerusalem as Israel's capital https://www.cnn.com/[...] 2017-12-06
[270] 뉴스 In curious twist, Russia recognizes West Jerusalem as Israel's capital https://www.timesofi[...] 2017-04-06
[271] 웹사이트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478 https://unispal.un.o[...] unispal.un.org
[272] 웹사이트 Jerusalem – Some Legal Issues http://www.jiis.org/[...] The Jerusalem Institute for Israel Studies
[273] 서적 Contested Holy Places in Israel–Palestine: Sharing and Conflict Resolution Routledge 2017
[274] 서적 Holy Places in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Confrontation and Co-Existence Taylor & Francis Group 2010
[275] 서적 The Fight for Jerusalem: Radical Islam, the West, and the Future of the Holy City Regnery Publishing 2007
[276] 서적 Marketing heritage: archaeology and the consumption of the past https://books.google[...] Rowman Altamira
[277] 웹사이트 Extremists – Talking With Jewish Extremists | Israel's Next War? https://www.pbs.org/[...] PBS
[278] harvnb
[279] 웹사이트 Debating Islam in the Jewish State: The Development of Policy toward Islamic Institutions in Israel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1
[280] 뉴스 Secret tunnel under Al-Aqsa Mosque exposed https://www.alarabiy[...] 2008-03-27
[281] 서적 The Israel–Palestine Conflict Parallel discours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11-12
[282] 웹사이트 General Progress Report and Supplementary Report of the United Nations Conciliation Commission for Palestine, Covering the Period from 11 December 1949 to 23 October 1950 http://domino.un.org[...] United Nations Conciliation Commission for Palestine 2007-11-20
[283] 웹사이트 Refugees https://www.un.org/e[...] 2024-06-24
[284] 웹사이트 UNRWA https://www.unrwa.or[...] United Nations Relief and Works Agency for Palestine Refugees 2022-03-05
[285] 논문
[286] 서적
[287] 서적
[288] 논문
[289] 서적
[290] 뉴스 Right of return: Palestinian dream? http://news.bbc.co.u[...] 2022-03-05
[291] 논문 The Palestinian Exodus of 1948 1987-06-01
[292] 논문 Observations on the Right of Return 1992-12-31
[293] 서적 Righteous Victims: A History of the Zionist–Arab conflict, 1881–2001 https://archive.org/[...] Vintage Books 2001
[294] 서적 Expulsion of the Palestinians: The Concept of 'Transfer' in Zionist Political Thought, 1882–1948 https://archive.org/[...] Institute for Palestine Studies 1992
[295] 서적 The Dark Side of Democracy: Explaining Ethnic Cleans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6] 웹사이트 Arab–Israeli War http://www.crimesofw[...] The Crimes of War Education Project 2014-03-14
[297] 서적 Under the Cover of War: The Zionist Expulsion of the Palestinians Arabicus Books & Media
[298] 서적 The Ethnic Cleansing of Palestine https://archive.org/[...] Oneworld Publications 2007
[299] 논문 The Other Exodus 1961-05-12
[300] 서적 The False Prophets of Peace: Liberal Zionism and the Struggle for Palestine Haymarket Books
[301] 서적 Foundations of Civil and Political Rights in Israel and the Occupied Territories GRIN Verlag oHG
[302] 서적 The Palestine Yearbook of International Law 2001–2002: Vol. 11 Brill
[303] 웹사이트 A/RES/181(II) of 29 November 1947 https://unispal.un.o[...] United Nations 2014-10-19
[304] 웹사이트 A/RES/181(II) of 29 November 1947 https://unispal.un.o[...] United Nations 2014-10-19
[305] 논문 The Palestinian Refugees: The Right to Return in International Law
[306] 서적 Righteous victims: a history of the Zionist-Arab conflict, 1881–2001 https://archive.org/[...] Vintage Books 2001
[307] 뉴스 Israel and the Palestinians http://www.irishtime[...] 2008-02-02
[308] 뉴스 Survival of the Fittest http://www.haaretz.c[...] 2004-01-08
[309] 서적 Knowing Too Much: Why the American Jewish Romance with Israel is Coming to an End OR Books 2012
[310] 서적 Scars of War, Wounds of Peac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11] 서적 The Case for Palestine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312] 뉴스 Olmert Rejects Right of Return for Palestinians https://www.nytimes.[...] 2007-03-31
[313] 서적 Fateful Triangle https://books.google[...] Pluto Press
[314] 서적
[315] 서적 Prophets Without Honor Oxford University Press
[316] 서적 In any event, there was no legitimate security argument at all for the Israeli seizure of Arab East Jerusalem immediately after the 1967 war and for subsequently settling religious fanatics in the West Bank. The real motivating forces for most of the postwar Israeli expansionism into the West Bank and East Jerusalem were clearly "Greater Israel" nationalism and religious messianism. If anything, as many Israeli security experts pointed out at the time, the "need" to defend the settlers was a security liability... Israeli governments have long cited "security" as the reason they need to maintain occupation of Arab territories—but when Israel withdrew from Lebanon and Egyptian territory, the attacks against it ended. It is unlikely that an Israeli withdrawal from the Palestinian territories would have a different result—and if it did, there would be little to prevent Israel from reinvading and occupying those territories. Moreover, in those circumstances repression of any continuing Palestinian violence would have a legitimacy that it currently lacks. For these reasons, Israel has a security problem with the Palestinians only in the same way that colonial powers had "security problems" with nationalist uprisings that eventually forced them to withdraw.
[317] 웹사이트 Palestinian Anti-Terrorism Act of 2006. http://www.glin.gov/[...] 2007-11-28
[318] 서적 Justice for Some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319] 서적 The Case for Palestine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320] 웹사이트 Importance of the universal realization of the right of peoples to self-determination and of the speedy granting of independence to colonial countries and peoples for the effective guarantee and observance of human rights :: resolution /: adopted by the General Assembly https://digitallibra[...] 1990-12-14
[321] 웹사이트 Right of peoples to self-determination/Struggle by all available means – GA resolution https://www.un.org/u[...] 2024-10-23
[322] 뉴스 Analysis: Palestinian suicide attacks http://news.bbc.co.u[...] 2007-01-29
[323] 서적 On February 25, 1994, an American Jewish settler named Baruch Goldstein walked into the Ibrahimi Mosque in the West Bank city of Hebron during prayer time. Standing behind the rows of kneeling figures in front of him, Goldstein opened fire. Within minutes, twenty-nine Muslim worshippers had been killed and close to one hundred injured. The atrocity jolted the nascent Israeli-Palestinian bilateral negotiations that had gathered pace in the wake of the First Intifada, prompted by the PLO's strategic redirection in 1988. Less than six months before the Hebron attack, in September 1993, PLO chairman Yasser Arafat and Israeli prime minister Yitzhak Rabin had awkwardly shaken hands in a widely publicized event on the South Lawn of the White House. The leaders had assembled in the American capital to sign the Declaration of Principles on Interim Self-Government Arrangements, popularly known as the Oslo Accords, referring to the capital city where the secretive talks leading to the agreement had taken place. Following the signing, negotiations between Israel and the PLO in the form of a "peace process" were launched.1 Goldstein's attack served as a reminder of the bloody challenges this process faced. Forty-one days after the shooting, once the time allotted for Muslim ritual mourning had been respected, a member of Hamas approached a bus stop in Afula, a city in northern Israel. Standing next to fellow passengers, the man detonated a suicide vest, killing seven Israelis. This was on April 6, 1994, a day that marked Hamas's first lethal suicide bombing in Israel.
[324] 웹사이트 The Security Barrier (Fence) http://www.law.idf.i[...] IDF Military Advocate General 2017-10-12
[325] 서적 Far fewer Israelis were killed in Palestinian suicide bombs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barrier (130 in 2003 and fewer than 25 in 2005), convincing most Israelis that it saved the lives of fellow Israelis and was necessary for their security. However, the decline in bombings can also be attributed to the permanent presence of Israeli troops inside and around Palestinian cities and increasing security cooperation between the IDF and the PA, particularly after the Second Intifada ended in 2005.
[326] 서적 A History of the Arab People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327] 서적 The barrier followed a route that ran almost entirely through land occupied by Israel in June 1967.
[328] 서적 Rather than building the wall on Israeli land or along the 1967 borders, however, the structure snaked through Palestinian territories, unilaterally seizing more than 10 percent of the West Bank, including whole neighborhoods around East Jerusalem as well as major settlement blocs that were integrated into this de facto border. The structure split whole Palestinian villages in half and had an immediate effect on the freedom of movement for Palestinians within the occupied territories. Jewish settlers living illegally within the same land continued to be linked into Israel through exclusive Jewish-only highways and bypass roads. On July 20, 2004,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issued an advisory opinion ruling that the wall was illegal, to no effect.4 With Israel's planned disengagement from the Gaza Strip and the construction of advanced "security" infrastructure, Sharon was actively restructuring the framework of Israel's occupation.
[329] 서적 Justice for Some: Law and the Question of Palestine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330] 서적 Knowing Too Much OR Books 2012
[331] 뉴스 Defense officials concerned as Hamas upgrades Qassam arsenal http://www.haaretz.c[...] 2007-12-07
[332] 웹사이트 Victims of Palestinian Violence and Terrorism since September 2000 http://www.mfa.gov.i[...] Israeli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2007-04-03
[333] 보고서 Rockets from Gaza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09-08-06
[334] 뉴스 Q&A: Gaza conflict http://news.bbc.co.u[...] 2009-01-18
[335] 뉴스 Gaza's rocket threat to Israel http://news.bbc.co.u[...] 2008-01-21
[336] 뉴스 Playing cat and mouse with Gaza rockets http://news.bbc.co.u[...] 2008-02-28
[337] 서적 However, none of the rockets had a warhead of the size or lethality of the over 49,000 tank and artillery shells fired by Israel in 2014. The Soviet-designed 122mm Grad or Katyusha rocket commonly used by Hamas and its allies normally carried either a 44- or 66-pound warhead (compared with the 96-pound 155mm shells), although many were fitted with smaller warheads to increase their range. Most of the homemade Qassam rockets that were used had considerably smaller warheads. Together, the 4,000 Qassam, Katyusha, Grad, and other missiles that were fired from the Gaza Strip, and that reached Israel (many were so imprecise and poorly manufactured that they fell short and landed within the strip), would have likely had less explosive power in total than a dozen 2,000-pound bombs.
[338] 잡지 Our Man in Palestine http://www.nybooks.c[...] 2010-10-14
[339] 뉴스 How many Palestinians actually live in the West Bank? http://www.haaretz.c[...] 2013-06-30
[340] 웹사이트 Till the Last Drop: The Palestinian Water Crisis in the West Bank, Hydrogeology and Hydropolitics of a Regional Conflict http://www.juragenti[...] 2008-12-17
[341] 웹사이트 Annex III: Protocol Concerning Civil Affairs https://www.knesset.[...] 2002-11-25
[342] 웹사이트 Oslo+21 and Water Problems in Palestine: A Story of Failure https://www.orsam.or[...] 2023-11-25
[343] 뉴스 Water war leaves Palestinians thirsty http://news.bbc.co.u[...] 2003-06-16
[344] 웹사이트 Israel http://www.fao.org/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3-01-16
[345] 웹사이트 Lack of sufficient services in Gaza could get worse without urgent action, UN warns https://www.un.org/a[...] UN News Centre 2012-08-27
[346] 웹사이트 Water as a human right: The understanding of water in the Arab countries of the Middle East – A four country analysis http://www.emwis.org[...] Heinrich-Böll-Foundation 2016-03-04
[347] 서적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100 Years of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348] 웹사이트 From 1947 to 2023: Retracing the complex, tragic Israeli-Palestinian conflict https://www.france24[...] 2023-10-11
[349] 서적 Nakba: Palestine, 1948, and the Claims of Memory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7
[350] 뉴스 Agriculture in Palestine: a post-Oslo Analysis http://thecepr.org/i[...] 2015-09-04
[351] 서적 Coping with Conflict: Poverty and Inclusion in the West Bank and Gaza http://siteresources[...] 2014-04-28
[352] 뉴스 Palestinians lose billions to Israeli land bans, says World Bank report http://www.thenation[...] 2014-04-13
[353] 서적 Itineraries in Conflict Duke University Press 2008
[354] 서적 Emplaced Resistances in Occupied Palestine: Stories of a Village, Its People, and Their Land Rowman & Littlefield 2023
[355] 서적 Palestine and the Palestinians in the 21st century Indiana University Press 2013
[356] 뉴스 Palestinian Economic Recovery Plan Takes Shape http://www.thenation[...] 2014-04-14
[357] 뉴스 How Does Palestine's Economy Work? https://www.theguard[...] 2014-04-30
[358] 뉴스 Mystery surrounds 'suicide' of Abu Nidal, once a ruthless killer and face of terror – Middle East, World https://web.archive.[...] 2022-03-05
[359] 뉴스 Attempt to carry explosives device on El Al flight foiled https://www.jpost.co[...] 2022-03-05
[360] 간행물 Encyclopedia of the Developing World
[361] 간행물 Encyclopedia of the Developing World
[362] 뉴스 How Israel builds its fifth column https://www.csmonito[...] 2002-05-22
[363] 웹사이트 From 1947 to 2023: Retracing the complex, tragic Israeli-Palestinian conflict https://press.un.org[...]
[364] 뉴스 Q&A: Palestinian Embargo http://news.bbc.co.u[...] BBC Jerusalem 2014-04-30
[365] 웹사이트 Data on casualties https://www.ochaopt.[...] United Nations
[366] 뉴스 Palestinian civilians suffer in Israel-Gaza crossfire as death toll rises https://abcnews.go.c[...] 2023-10-11
[367] 웹사이트 Twentieth Century Atlas – Death Tolls http://users.erols.c[...]
[368] 웹사이트 All wars in the 20th century, since 1900 | the Polynational War Memorial http://www.war-memor[...]
[369] 논문 The 1982 Israeli invasion of Lebanon: the casualties
[370] 웹사이트 Fatalities in the first Intifada https://www.btselem.[...]
[371] 간행물 The Humanitarian Monitor https://web.archive.[...] United Nations Office for the Coordination of Humanitarian Affairs 2007-12
[372] 뉴스 B'Tselem: Since 2000, 7,454 Israelis, Palestinians killed https://www.jpost.co[...]
[373] 간행물 Casualties in Operation Cast Lead: A closer look http://www.ict.org.i[...] Interdisciplinary Center Herzliya 2009
[374] 뉴스 B'Tselem: 773 of Palestinians killed in Cast Lead were civilians https://www.ynetnews[...] 2009-09-09
[375] 서적 Gaza: An Inquest into Its Martyrdom https://books.google[...] Univ of California Pres8
[376] 웹사이트 Country Overviews – Occupied Palestinian Territory https://web.archive.[...] United Nations Mine Action Service
[377] 웹사이트 A History of Conflict: Introduction http://news.bbc.co.u[...] BBC News
[378] 서적 Arab-Israel Peacemaking Continuum
[379] 웹사이트 https://divinity.duk[...]
[380] 웹사이트 http://polisci.colum[...]
[381] 서적 Fratricide in the Holy Land: A Psychoanalytic View of the Arab–Israeli Conflict https://books.google[...]
[382] 웹사이트 水利権の支配:イスラエル対パレスチナ戦争の見過ごされた一面 http://nautilus.org/[...]
[383] 웹사이트 我田引水 公平な水利を得られないパレスチナ人 https://www.amnesty.[...]
[384] 웹사이트 Demolitions in West Bank undermine access to water Rate increases in first quarter of 2019 https://www.ochaopt.[...]
[385] 웹사이트 The Roots of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1882–1914 http://digitalcommon[...]
[386] 웹사이트 Canadian Policy on Key Issues in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http://www.internati[...] Government of Canada 2010-03-13
[387] 웹사이트 Movement and Access Restrictions in the West Bank: Uncertainty and Inefficiency in the Palestinian Economy http://siteresources[...] World Bank 2007-05-09
[388] 뉴스 Tourism Curbed in Palestinians Areas http://articles.lati[...] Los Angeles Times 2000-05-28
[389] 뉴스 Just another forgotten peace summit http://www.haaretz.c[...] Haaretz 2007-12-11
[390] 서적 Negotiating Arab-Israeli Peace: American Leadership in the Middle East https://archive.org/[...] United States Institute of Peace Press
[391] 서적 Politics and Violence in Israel/Palestine: Democracy Versus Military Rule https://books.google[...] Routledge
[392] 서적 The Case for Peace: How the Arab–Israeli Conflict Can Be Resolved John Wiley & Sons, Inc.
[393] 웹사이트 The source of the Jewish public's skepticism – and even pessimism – is apparently the widespread belief that a peace agreement based on the 'two states for two peoples' formula would not lead the Palestinians to end their conflict with Israel.
[394] 간행물 U.S. Foreign Aid to the Palestinians https://fpc.state.go[...] CRS Report for Congress 2006-06-27
[395] 서적 Understanding Israel/Palestine Race, Nation, and Human Rights in the Conflict Springer
[396] 서적 Contested Land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06-30
[397] 웹사이트 セクションⅢ:コンフリクト シオニスト運動と「アラブ問題」—「解決」としてのアラブ住民移送 https://www.ritsumei[...] 立命館大学生存学研究所 2008-04
[398] 이미지 パレスチナの歴史的変遷図 http://palestine-hei[...]
[399] 논문 イスラエルのアラブ人市民の政治参加 https://doi.org/10.2[...] 日本ユダヤ学会
[400] 웹사이트 에집트, 요르단은 국교 정상화 후 적국 지정을 해제. 1979년에 이란을 추가. 2008년, 다르푸르, 남수단, 에리트리아에서의 망명 희망자를 이집트에 강제송환할 수 있는 조항을 추가. 2013년, 아프리카에서의 불법 입국자 규제를 추가. 2020년, 사우디아라비아로의 출국을 사실상 완화했다.
[401] 웹사이트 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242号 https://undocs.org/S[...] United Nations Documents
[402] 논문 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242号と中東和平の展望 https://doi.org/10.1[...] 広島大学平和科学研究センター
[403] 논문 誤訳のメッセージ性と真実性 : 試論 https://doi.org/10.1[...] 愛知県立大学高等言語教育研究所
[404] 웹사이트 第5回国連研究会から-歴史としての日本の国連外交(2) 2007年10月18日 https://www.tkfd.or.[...] 東京財団政策研究所
[405] 웹사이트 144מסי צו https://www.nevo.co.[...] 1967-10-22
[406] 웹사이트 (2) アラブ占領地におけるイスラエル入植地に関する国連安全保障理事会決議465(仮訳) https://www.mofa.go.[...]
[407] 논문 パレスチナ人民の自決権とオスロ合意(上) https://kobe-cufs.re[...] 神戸市外国語大学研究会
[408] 서적 オスロ合意から20年= Twenty years after the Oslo Accords : パレスチナ/イスラエルの変容と課題 https://ndlsearch.nd[...] NIHUイスラーム地域研究東京大学拠点中東パレスチナ研究班 2015-03
[409] 웹사이트 パレスチナ概況 https://www.mofa.go.[...] 外務省
[410] 웹사이트 「オスロⅡ」後のパレスチナ ──最終的な線引きに向けて http://palestine-hei[...]
[411] 웹사이트 第二章バラク政権と中東和平プロセス http://www2.jiia.or.[...]
[412] 웹사이트 API The Arab Peace Initiative http://arableague-us[...] アラブ連盟
[413] 웹사이트 Online NewsHour http://www.pbs.org/n[...] PBS NewsHour
[414] 뉴스 エルサレムで17歳の少女を自爆容疑で逮捕 http://www.haaretz.c[...] ハアレツ 2008-02-29
[415] 뉴스 ハマースとファタハ間の緊張高まる - パレスチナ自治区 https://web.archive.[...] AFP通信 2006-12-15
[416] 뉴스 イスラム原理主義組織ハマースがガザ地区の主要拠点を占拠 - ハマースとファタハの対立、2年間の軌跡 - https://www.afpbb.co[...] AFP通信 2007-06-15
[417] 웹사이트 「穴あき国家」は問題 ブッシュ大統領 http://www.usfl.com/[...]
[418] 뉴스 パレスチナ難民帰還権 米大統領 『補償金で解決を』 http://www.tokyo-np.[...] 東京新聞・中日新聞 2008-01-11
[419] 뉴스 米大統領の中東和平外交 イスラエルの『独り勝ち』 http://www.tokyo-np.[...] 東京新聞 2008-01-12
[420] 웹사이트 George W. Bush: You are not welcome http://electronicint[...]
[421] 뉴스 ブッシュ大統領訪問の成果、イスラエル国民は「懐疑的」 https://www.afpbb.co[...] AFP通信 2008-01-10
[422] 뉴스 ガザへの攻撃、続く 内務省ビル崩壊、一週間で死者30人超 http://0000000000.ne[...] 2008-01-19
[423] 웹사이트 毎日の動き(2008年1月17日の項目) http://www.unic.or.j[...]
[424] 뉴스 Dozens die in Israel-Gaza clashes http://news.bbc.co.u[...] BBC
[425] 일반
[426] 뉴스 イスラエル軍 地上部隊、ガザから撤退 ハマースは「勝利」を宣言(03/04 07:40) http://www.hokkaido-[...] 北海道新聞 2008-03-04
[427] 뉴스 エルサレムで銃乱射テロ、ハマースが犯行認める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
[428] 뉴스 ハマースが犯行否定、ヒズボラの関与示唆 エルサレム乱射 http://www.cnn.co.jp[...] CNN
[429] 웹사이트 The Six Months of the Lull Arrangement http://www.terrorism[...] 2008-12
[430] 웹사이트 occupied Palestinian territory The Humanitarian Monitor November 2008 Number 31 http://www.ochaopt.o[...]
[431] 뉴스 Man killed in rocket strike http://www.ynetnews.[...] 2008-12-27
[432] 뉴스 ハマース、ガザから迫撃砲攻撃 イスラエル側は反撃示唆 https://web.archive.[...] 朝日新聞 2008-12-25
[433] 뉴스 ANALYSIS / IAF strike on Gaza is Israel’s version of ‘shock and awe’ http://www.haaretz.c[...] Ha’aretz 2008-12-27
[434] 뉴스 Disinformation, secrecy and lies: How the Gaza offensive came about http://www.haaretz.c[...] 2008-12-28
[435] 뉴스 An Unnecessary War https://www.washingt[...] 2009-01-08
[436] 일반
[437] 일반
[438] 뉴스 ガザ死者1315人、被害額1750億円に…自治政府発表 http://www.yomiuri.c[...] 讀賣新聞 2009-01-21
[439] 일반
[440] 일반
[441] 일반
[442] 뉴스 国連車両をイスラエル軍が攻撃、ガザ援助活動停止 https://www.afpbb.co[...] AFP通信 2009-01-09
[443] 뉴스 UN building on fire in Gaza http://news.bbc.co.u[...] BBC
[444] 뉴스 イスラエル軍:住民を住宅に集め砲撃…30人死亡 ガザ https://web.archive.[...] 毎日新聞 2009-01-09
[445] 뉴스 入院中の9歳少女、父「娘は空爆で口がきけなくなった」 https://megalodon.jp[...] 朝日新聞 2009-01-03
[446] 뉴스 Labor, Barak enjoy popularity surge thanks to Gaza operation http://www.haaretz.c[...] ハアレツ 2009-01-01
[447] 일반
[448] 뉴스 Behind Gaza Operation, An Uneasy Triumvirate https://www.washingt[...] washingtonpost.com 2008-12-31
[449] 뉴스 イスラエル、ガザ地区での戦闘で一方的停戦の構え https://www.afpbb.co[...] AFP通信 2009-01-17
[450] 뉴스 Mitchell As Envoy Could Split Center http://www.thejewish[...] The Jewish Week(週刊ユダヤ人) 2009-01-21
[451] 뉴스 イスラエルが情報統制 記者の立ち入り禁止 http://www.47news.jp[...] 共同通信 2008-12-29
[452] 뉴스 【ガザ侵攻】事前報道でイランTV記者ら逮捕 https://web.archive.[...] 産經新聞 2009-01-06
[453] 뉴스 【ガザ侵攻】新しい戦場・インターネット 宣伝戦も熾烈 (2/2ページ) http://sankei.jp.msn[...] 産經新聞 2009-01-12
[454] 웹사이트 ISRAEL DEFENSE FORCES Order No. 1649 Order regarding Security Provisions (Amendment No. 112) https://ihl-database[...] 赤十字国際委員会
[455] 웹사이트 ISRAEL DEFENSE FORCES Order No. 1650 Order regarding Prevention of Infiltration (Amendment No. 2) http://www.hamoked.o[...]
[456] 웹사이트 南米 連携/パレスチナ国家 相次ぎ承認 https://www.jcp.or.j[...] 日本共産党 2010-12-31
[457] 뉴스 占領から63年「大災厄」の日 イスラエル軍 抗議行動に発砲 界のパレスチナ難民ら12人死亡 https://www.jcp.or.j[...] しんぶん赤旗 2011-05-17
[458] 웹사이트 エジプトのイスラエル大使館襲撃、双方が関係悪化回避の姿勢 http://jp.reuters.co[...] ロイター 2011-09-11
[459] 뉴스 パレスチナ、国連加盟を申請…米は拒否権行使へ https://web.archive.[...] 2011-09-24
[460] 웹사이트 パレスチナ 国連加盟申請 https://www.jcp.or.j[...] 日本共産党 2011-09-25
[461] 뉴스 パレスチナ、ユネスコ加盟…米は「時期尚早」 https://web.archive.[...] 2011-11-01
[462] 뉴스 パレスチナ 「国家」格上げ決議採択 国連総会 http://www.tokyo-np.[...] 2012-11-29
[463] 뉴스 イスラエルが入植決定 パレスチナ「国家」に報復 https://www.nikkei.c[...] 2012-12-01
[464] 뉴스 Supreme Court orders removal of Amona outpost https://www.timesofi[...] 2014-12-25
[465] 웹사이트 PHOTOS: Israelis and Palestinians killed in 2014 https://israelpalest[...]
[466] 뉴스 パレスチナ、国際刑事裁判所に正式加盟 イスラエル反発 https://www.nikkei.c[...] 2015-04-01
[467] 뉴스 Islamic State sends warning to Hamas and Fatah https://www.nikkei.c[...] 2015-06-30
[468] 뉴스 過激派組織「イスラム国」 写真特集 https://www.jiji.com[...] 2015-06-30
[469] 웹사이트 PHOTOS: Israelis and Palestinians killed in 2015 https://israelpalest[...]
[470] 일반
[471] 뉴스 Israeli ministers vote in favour of legalising outposts https://www.theguard[...] 2016-11-14
[472] 웹사이트 Israeli settlers agree to government deal to leave illegal outpost https://www.reuters.[...] トムソン・ロイター 2016-12-26
[473] 웹사이트 Resolution 2334 (2016) https://www.un.org/w[...] 国際連合 2016-12-23
[474] 뉴스 イスラエル入植非難決議を採択 米が拒否権行使せず 安保理 https://www.nikkei.c[...] 2016-12-24
[475] 웹사이트 №151 イスラエル:入植政策を批判する安保理採決で米国が棄権 https://www.meij.or.[...] 中東調査会 2016-12-26
[476] 웹사이트 Israel responds to UNSC resolution https://mfa.gov.il/M[...] イスラエル外務省 2016-12-23
[477] 웹사이트 イスラエル首相、米国大使呼びつけ抗議 安保理決議で https://www.bbc.com/[...] 2016-12-26
[478] 논문 日本人はイスラエルをもっと理解する努力を 中東和平の実現に貢献するために https://webronza.asa[...] 朝日新聞社 2017-02-28
[479] 웹사이트 国連安保理、イスラエル入植地非難決議を採択 米国棄権 https://www.bbc.com/[...] 2016-12-24
[480] 뉴스 ケリー米国務長官 演説でイスラエルを酷評 入植「背景に過激派」 https://mainichi.jp/[...] 2016-12-30
[481] 웹사이트 イスラエルの入植活動、中東和平脅かす=ケリー米国務長官 https://br.reuters.c[...] トムソン・ロイター 2016-12-28
[482] 뉴스 Analysis: Donald Trump, Israel and the Jews http://www.jpost.com[...] 2015-12-28
[483] 뉴스 トランプ氏、イスラエルとの強固な同盟を公約 米大統領選に向け https://jp.reuters.c[...] 2016-03-22
[484] 웹사이트 The big loss yesterday for Israel in the United Nations will make it much harder to negotiate peace.Too bad, but we will get it done anyway! https://twitter.com/[...] Twitter 2016-12-25
[485] 웹사이트 not anymore. The beginning of the end was the horrible Iran deal, and now this (U.N.)! Stay strong Israel, January 20th is fast approaching! https://twitter.com/[...] Twitter 2016-12-28
[486] 웹사이트 PHOTOS: Israelis and Palestinians killed in 2016 https://israelpalest[...]
[487] 웹사이트 パリで中東和平めぐり国際会議 「一方的な行動」の自制呼び掛け https://www.afpbb.co[...] 2017-01-16
[488] 웹사이트 イスラエル、東エルサレムでの住宅建設制限を撤廃へ=首相 https://jp.reuters.c[...] トムソン・ロイター 2017-01-23
[489] 웹사이트 イスラエル、入植住宅2500戸承認 トランプ氏就任で計画加速か https://www.afpbb.co[...] 2017-01-25
[490] 웹사이트 イスラエルによる入植地建設計画の推進について(外務報道官談話) https://www.mofa.go.[...] 外務省 2017-01-25
[491] 웹사이트 イスラエル、入植地でさらに3000戸の住宅建設へ https://www.cnn.co.j[...] 2017-02-01
[492] 웹사이트 無断入植地の撤去で衝突、ユダヤ人入植者とイスラエル警察 https://www.afpbb.co[...] 2017-02-02
[493] 웹사이트 Israel legalizes settler homes on private Palestinian land https://www.reuters.[...] トムソン・ロイター 2017-02-07
[494] 웹사이트 イスラエル入植地合法化、国際社会が批判 米国は沈黙 https://www.afpbb.co[...] 2017-02-08
[495] 논문 【イスラエル政治】「ユダヤ人国家」の二律背反(ディレンマ):相克する民族主義と民主主義 https://www.afpbb.co[...] アジア経済研究所 2019-03-00
[496] 웹사이트 מהו בעצם חוק ההסדרה? https://www.mako.co.[...] 2016-11-13
[497] 뉴스 Israel Supreme Court petitioned to strike down settler law https://www.newindia[...] 2017-02-08
[498] 웹사이트 米大統領「2国家共存」こだわらず、イスラエル首相と会談 https://jp.reuters.c[...] トムソン・ロイター 2017-02-16
[499] 웹사이트 US envoy: US supports 2-state Israel-Palestinian solution https://apnews.com/a[...] 2017-02-17
[500] 웹사이트 イスラエル、入植地の新規建設を承認 ヨルダン川西岸 https://www.cnn.co.j[...] 2017-03-31
[501] 뉴스 ヨルダン川西岸で入植地建設承認 イスラエル、20年ぶり https://www.nikkei.c[...] 2017-03-31
[502] 웹사이트 イスラエル、26年ぶりに入植地承認 米は無制限の建設に懸念 https://www.afpbb.co[...] 2017-04-01
[503] 논문 ハマース憲章全訳--パレスチナ抵抗運動の一側面へのアプローチ http://repository.tu[...] 東京外国語大学アジア・アフリカ言語文化研究所 2011-09-00
[504] 뉴스 ハマスが「国境」新指針 対外関係改善狙いか https://www.bbc.com/[...] 2017-05-02
[505] 뉴스 Talk of a Peace Plan That Snubs Palestinians Roils Middle East https://www.nytimes.[...] 2017-12-05
[506] 뉴스 エルサレム首都宣言批判の決議案、米が拒否権 安保理 https://www.cnn.co.j[...] 2017-12-19
[507] 웹사이트 General Assembly Overwhelmingly Adopts Resolution Asking Nations Not to Locate Diplomatic Missions in Jerusalem https://www.un.org/p[...]
[508] 뉴스 賛成の日本、米の要請断る エルサレム非難決議 https://www.nikkei.c[...] 2017-12-22
[509] 뉴스 米圧力、揺れた東欧や小国 エルサレム決議に棄権や欠席 https://www.asahi.co[...] 2017-12-22
[510] 웹사이트 PHOTOS: Israelis and Palestinians killed in 2017 https://israelpalest[...]
[511] 웹사이트 ...peace treaty with Israel. We have taken Jerusalem, the toughest part of the negotiation, off the table, but Israel, for that, would have had to pay more. But with the Palestinians no longer willing to talk peace, why should we make any of these massive future payments to them? https://twitter.com/[...]
[512] 뉴스 エルサレム移転を前に報じられる驚愕「トランプ和平案」の中身 https://www.newsweek[...] 2018-03-19
[513] 뉴스 パレスチナ議長、トランプ氏のディールは「世紀の侮辱」 https://www.afpbb.co[...] 2018-01-15
[514] 뉴스 パレスチナ支援、米が拠出金を半分凍結 圧力は否定 https://www.asahi.co[...] 2018-01-17
[515] 뉴스 Palestinians must make peace or shut up, Saudi crown prince said to tell US Jews https://www3.timesof[...] 2018-04-29
[516] 뉴스 イスラエルが描く中東の“未来予想図” https://www3.nhk.or.[...] 2018-05-15
[517] 뉴스 ガザ大規模デモ、死者16人に イスラエル軍と衝突 https://www.nikkei.c[...] 2018-03-31
[518] 논문 INTERVIEW WITH DR. GHASSAN ABU SITTA: "There Is No International Community" https://www.jstor.or[...] 2018-00-00
[519] 뉴스 連帯できぬ中東諸国 米大使館エルサレム移転に温度差 https://www.asahi.co[...] 2018-05-15
[520] 웹사이트 צבא הגנה לישראל צו בדבר סילוק מבנים חדשים (יהודה והשומרון) (הוראת שעה) (מס' 1797), התשע"ח-2018 https://www.idf.il/m[...] 2018-05-00
[521] 뉴스 Israel's New Tool for Dispossessing Palestinians https://www.haaretz.[...] 2018-06-13
[522] 뉴스 米大使館、エルサレム移転 米主導の中東和平は絶望的に https://www.asahi.co[...] 2018-05-14
[523] 웹사이트 ガザ地区でイスラエル軍発砲、パレスチナ人55人死亡 米大使館移転抗議で https://www.bbc.com/[...]
[524] 뉴스 Gaza: Deux Palestiniens succombent à leurs blessures infligées lundi, nouveau bilan de 61 morts https://www.20minute[...] 2018-05-20
[525] 뉴스 パレスチナの「燃える風船」作戦にイスラエルが反撃、2人負傷 ガザ地区 https://www.afpbb.co[...] 2018-06-17
[526] 뉴스 米、パレスチナへの2億ドル支援を撤回 和平交渉へ圧力 https://www.asahi.co[...] 2018-08-25
[527] 뉴스 【トランプ政権】米、UNRWA通じたパレスチナ支援停止「修復不能な欠陥ある」 https://www.sankei.c[...] 2018-09-01
[528] 뉴스 仕事クビ、先生いない 米の拠出金停止、パレスチナ直撃 https://www.asahi.co[...] 2018-09-04
[529] 뉴스 【図解・国際】国連パレスチナ難民救済事業機関に登録のパレスチナ難民数(2018年9月) https://www.jiji.com[...] 2018-09-07
[530] 뉴스 【中東見聞録】危うい「トランプ式中東和平」 支援停止で圧力、パレスチナ難民“ゼロ”狙う https://www.sankei.c[...] 2018-09-18
[531] 뉴스 トランプ政権がパレスチナ難民支援を停止した時、40カ国が立ち上がった https://www.newsweek[...] 2018-12-13
[532] 뉴스 米国 パレスチナ代表部を閉鎖 和平交渉巡り圧力か https://mainichi.jp/[...] 2018-09-11
[533] 웹사이트 Occupied Palestinian Territory Has World’s Highest Unemployment Rate – UNCTAD Report https://unctad.org/e[...]
[534] 뉴스 パレスチナの失業率27%超、国連調べ https://www.nikkei.c[...] 2018-09-13
[535] 웹사이트 イスラエルの経済 https://embassies.go[...]
[536] 웹사이트 National Accounts: Third Estimate for the Second Half of 2018-GDP Increased at an Annual Rate of 2.4% https://www.cbs.gov.[...]
[537] 웹사이트 National Accounts: In the First Quarter of 2020-GDP Decreased at Annual Rate of 7.1% https://www.cbs.gov.[...]
[538] 서적 イスラエルを知るための62章 村橋靖之
[539] 웹사이트 PHOTOS: Israelis and Palestinians killed in 2018 https://israelpalest[...]
[540] 뉴스 Palestinians ask Arab countries to skip US-sponsored Mideast summit in Poland https://www.timesofi[...] 2020-02-12
[541] 뉴스 Israeli leader’s trip to Poland beset by string of missteps https://apnews.com/a[...] 2019-02-16
[542] 뉴스 ネタニヤフ続投で始まる「米=イスラエル=サウジ」のパレスチナ包囲網 https://www.newsweek[...] 2019-04-17
[543] Twitter After 52 years it is time for the United States to fully recognize Israel’s Sovereignty over the Golan Heights, which is of critical strategic and security importance to the State of Israel and Regional Stability! https://twitter.com/[...]
[544] 뉴스 トランプ大統領「ゴラン高原、イスラエルに主権」 国連決議違反との声も https://www.bbc.com/[...] 2019-03-22
[545] 뉴스 ゴラン高原「イスラエルに主権」 トランプ氏が正式署名 https://www.asahi.co[...] 2019-03-26
[546] 뉴스 Trump Team Begins Drafting Middle East Peace Plan https://www.nytimes.[...] 2017-11-11
[547] 뉴스 'Don't talk about history': how Jared Kushner crafted his Middle East 'peace' plan https://www.theguard[...] 2020-01-28
[548] 웹사이트 中東和平に関する経済ワークショップの開催 https://www.scgr.co.[...]
[549] 웹사이트 Jared Kushner on Israel-Palestine deal: Time to try something new https://www.aljazeer[...]
[550] 뉴스 Netanyahu ally elected head of settler umbrella body https://www.timesofi[...] 2019-11-04
[551] 뉴스 国連パレスチナ機関トップ辞任 職権乱用疑惑で調査 https://web.archive.[...] 2019-11-07
[552] 웹사이트 Secretary Michael R. Pompeo Remarks to the Press https://www.state.go[...]
[553] 뉴스 イスラエル入植地「違法ではない」 米政府が方針転換 2019年11月19日 https://www.bbc.com/[...]
[554] 뉴스 ヘブロンで入植地拡大計画 パレスチナ自治区侵食―イスラエル https://web.archive.[...] 2019-12-02
[555] 웹사이트 PHOTOS: Israelis and Palestinians killed in 2019 https://israelpalest[...]
[556] 웹사이트 イスラエルによる入植地建設計画の推進について (外務報道官談話) https://www.mofa.go.[...]
[557] 뉴스 Bennett: Area C of West Bank belongs to us, we’re waging a battle for it https://www.jpost.co[...] 2020-01-08
[558] 뉴스 IDF razes Palestinian home, school as Israel tightens hold on Area C https://www.jpost.co[...] 2020-01-17
[559] 웹사이트 Peace to Prosperity(繁栄に至る平和) https://www.whitehou[...]
[560] 뉴스 トランプ氏、中東和平案を公表 イスラエルの希望多く反映 https://www.afpbb.co[...] 2020-01-29
[561] 뉴스 米「入植地はイスラエル領」 中東和平案発表 難民帰還認めず https://web.archive.[...] 2020-01-29
[562] 일반
[563] 일반
[564] 일반
[565] 트위터 I will always stand with the State of Israel and the Jewish people. I strongly support their safety and security and their right to live within their historical homeland. It's time for peace! https://twitter.com/[...]
[566] 트위터 אנו עושים היסטוריה, זהו יום מכונן למדינת ישראל.התוכנית של נשיא ארה"ב דונלד טראמפ מחזקת אותנו בצורה בלתי רגילה, היא מכירה בריבונותנו על כל הישובים היהודיים.מאחורינו שנים של עמידה בלחץ, וכעת נקבע את חבלי מולדתינו מלפני אלפי שנים.אני גאה לייצג אתכם! https://twitter.com/[...]
[567] 뉴스 平和案 エジプト・サウジ容認 アッバス議長反発「歴史のごみ箱に捨てる」 https://web.archive.[...] 2020-01-30
[568] 뉴스 What Trump's Middle East plan means for Palestinians https://edition.cnn.[...] 2020-01-31
[569] 웹사이트 外部記事の紹介「トランプの中東(和平)案はパレスチナ人にとって何を意味するか」 https://www.ngo-jvc.[...]
[570] 뉴스 パレスチナ議長、安保理演説へ 米和平案で決議案調整も https://web.archive.[...] 2020-01-30
[571] 뉴스 パレスチナ議長、安保理演説へ 米和平案で決議案調整も https://www.afpbb.co[...] 2020-02-02
[572] 웹사이트 Don’t Call It a Peace Plan https://prospect.org[...]
[573] 뉴스 根強く残る植民地主義 イスラエル・パレスチナ問題 戦争に繋がる「和平」案 https://jp.mondedipl[...]
[574] 뉴스 I’ve been an Israeli settler for 30 years. Trump’s peace plan puts our communities in danger. https://www.jta.org/[...] 2020-02-03
[575] 뉴스 Jared Kushner put a knife ‘in Netanyahu’s back’ over annexation delay, says Israeli settler leader https://www.washingt[...] 2020-02-04
[576] 학술지 Israeli settler leader: 'Kushner took a knife and put it in Netanyahu's back' https://thehill.com/[...] 2020-02-04
[577] 웹사이트 Jared Kushner's 'Put Up or Shut Up' Peace Plan https://www.gzeromed[...] 2020-01-31
[578] 트위터 Jared Kushner: The peace plan "is a big compromise from the Israelis, because they don't have a strong reason to compromise. Because they're strong and getting stronger." https://twitter.com/[...]
[579] 웹사이트 2020-2-5 「トランプ和平案」が突きつけた中東の新たな現実 https://www3.nhk.or.[...]
[580] 학술지 All eyes on Germany as UN Security Council debates anti-Israel resolution https://thehill.com/[...] 2020-02-12
[581] 뉴스 背中を刺した イスラエル・スーダン会談非難―パレスチナ https://web.archive.[...] 2020-02-04
[582] 뉴스 スーダン指導者、イスラエル首相との会談は「国家の安全守るため」 https://www.afpbb.co[...] 2020-02-05
[583] 뉴스 チュニジアが国連大使を突如解任 中東和平巡り米圧力か https://www.47news.j[...] 2020-02-08
[584] 뉴스 トランプ氏の中東和平案は違法、アフリカ連合 パレスチナに連帯表明 https://www.afpbb.co[...] 2020-02-10
[585] 뉴스 パレスチナ議長、トランプ氏の中東和平案の拒否呼び掛け 国連安保理 https://www.afpbb.co[...] 2020-02-12
[586] 웹사이트 UN rights office issues report on business activities related to settlements in the Occupied Palestinian Territory https://www.ohchr.or[...]
[587] 웹사이트 A/HRC/43/71 Advance Edited Version https://www.ohchr.or[...]
[588] 뉴스 国連、イスラエル入植地に関わる企業112社のリスト公表 https://www.afpbb.co[...] 2020-02-13
[589] 뉴스 Netanyahu advances plans for 3,500 settler homes in West Bank’s E1 https://www.jpost.co[...] 2020-02-25
[590] 웹사이트 Statement by Dr. Saeb Erakat S.G. P.l.O .February ,25 th 2020: The UN Security Council reaffirmed its support for a two-state solution. http://www.plo.ps/en[...]
[591] 트위터 That is pm Netanyahu’s response to all those who asked him to stop building settlements E1. If carried out it is the end of two states https://twitter.com/[...]
[592] 웹사이트 イスラエルによる入植地建設計画の推進について (外務報道官談話) https://www.mofa.go.[...]
[593] 뉴스 退任間近のイスラエル国防相、ヨルダン川西岸の入植地拡大を承認 https://www.afpbb.co[...] 2020-05-07
[594] 뉴스 イスラエル新政権、ユダヤ人入植地併合向け法整備へ…パレスチナ「宣戦布告だ」 https://www.yomiuri.[...] 2020-05-18
[595] 뉴스 イスラエル与野党が挙国一致内閣 ネタニヤフ氏続投へ https://www.nikkei.c[...] 2020-04-21
[596] 뉴스 イスラエル新政権、夏以降に併合議論 米政権の対応注目 https://www.asahi.co[...] 2020-05-18
[597] 뉴스 UAE、イスラエルへ初の直行便 エティハド航空、医療物資を輸送 https://www.asahi.co[...] 2020-05-20
[598] 뉴스 Palestine rejects UAE aid delivered on first direct flight to Israel https://www.middleea[...] 2020-05-21
[599] 간행물 パレスチナによるUAE支援物資拒否事案が意味するもの http://meis.or.jp/pr[...] 中東イスラム世界社会統合研究会
[600] 웹사이트 End of Palestinian Authority coordination with Israel in response to annexation threat: decision already impacting medical referrals https://www.ochaopt.[...] 国際連合人道問題調整事務所
[601] 뉴스 Palestinian Authority prefers conflict with Israel over COVID-19 mitigation https://www.israelna[...] 2020-07-20
[602] 뉴스 丸腰のパレスチナ人男性射殺 イスラエル警察 https://web.archive.[...] 2020-05-30
[603] 뉴스 警官が非武装のパレスチナ人射殺 エルサレム https://www.cnn.co.j[...] 2020-05-31
[604] 뉴스 'He's Disabled,' the Caregiver Screamed. 'I'm With Her,' Eyad Cried. The Cop Opened Fire Anyway https://www.haaretz.[...] 2020-06-05
[605] 뉴스 イスラエル警察、パレスチナ人障害者を射殺 拳銃所持と誤認 https://www.afpbb.co[...] 2020-05-31
[606] 뉴스 Family of slain autistic Palestinian not optimistic over inquiry https://www.aljazeer[...] 2020-06-03
[607] 뉴스 Despite PA objections, UN still hoping to get UAE virus aid to West Bank, Gaza https://www.timesofi[...] 2020-06-14
[608] 간행물 Palestinians See Major Threat in UAE Aid Shipment Via Israel https://besacenter.o[...] ビギン・サダット戦略研究センター
[609] 웹사이트 Israel's Supreme Court strikes down law legalising settlements on private Palestinian land https://www.reuters.[...] トムソン・ロイター 2020-06-10
[610] 뉴스 Annexation will be a serious setback for better relations with the Arab world https://www.ynetnews[...] 2020-06-12
[611] 뉴스 UAE駐米大使、イスラエルの併合はアラブとの関係を「根底から覆す」だろうと警告 https://www.arabnews[...] 2020-06-12
[612] 뉴스 米大統領側近、イスラエルの入植地併合計画巡る協議開始=関係筋 https://jp.reuters.c[...] 2020-06-24
[613] 뉴스 西岸併合計画でイスラエルに警告、米は支持 安保理会合 https://www.afpbb.co[...] 2020-06-25
[614] 뉴스 イスラエルがガザ地区空爆、前日にガザからロケット弾 https://www.afpbb.co[...] 2020-06-27
[615] 웹사이트 Public Opinion Poll No (76) https://www.pcpsr.or[...] Palestinian Center for Policy and Survey Research
[616] 뉴스 イスラエル新政権による静かなる併合の始まり https://www.newsweek[...] Newsweek日本版
[617] 뉴스 イスラエルの併合を「心待ち」 西岸のユダヤ人入植地、不動産ブーム https://www.afpbb.co[...] 2020-07-08
[618] 뉴스 イスラエルの併合支持した複数のパレスチナ人、自治政府が逮捕 https://www.afpbb.co[...] 2020-07-19
[619] 웹사이트 COVID-19 Emergency Situation Report 14 (15 – 28 July 2020) https://www.ochaopt.[...] 国際連合人道問題調整事務所
[620] 웹사이트 29 ביולי 2020, ח' באב תש"ף, בשעה 14:45 שנה להחלטת הקבינט בעניין שטחי C – מה נעשה בפועל? https://main.knesset[...] クネセト
[621] 웹사이트 13 יום חמישי, 13 באוגוסט 2020, כ"ג באב תש"פ, בשעה12:00 C המאבק של שטחי https://main.knesset[...] クネセト
[622] 뉴스 Knesset Foreign Affairs and Defense Committee Convenes for Hearing on “The Battle for Area C” https://www.jns.org/[...] 2020-07-29
[623] 뉴스 Israel Is Proud to Have Halted International Projects for Palestinians in Area C https://www.haaretz.[...] 2020-09-14
[624] 웹사이트 Sovereignty in reverse: Palestinians have seized 30 percent of Israeli land in territories https://www.regavim.[...] Regavim
[625] 뉴스 How Israel is waging war on Palestinians in Area C https://www.middleea[...] 2020-09-20
[626] 뉴스 イスラエルがガザ空爆、「風船爆弾」に報復 漁業水域削減や燃料輸送中止も https://www.afpbb.co[...] 2020-08-14
[627] 뉴스 Israel Suspends West Bank Annexation in Deal to Normalize Relations With the UAE https://www.haaretz.[...] 2020-08-14
[628] 뉴스 イスラエルとUAE 国交正常化へ「歴史的な外交上成果」と強調 2020年8月14日 10時00分 https://web.archive.[...] 日本放送協会 2020-08-14
[629] 뉴스 Netanyahu says no change in West Bank annexation plans despite UAE peace deal https://www.i24news.[...] 2020-08-14
[630] Twitter During a call with President Trump and Prime Minister Netanyahu, an agreement was reached to stop further Israeli annexation of Palestinian territories. The UAE and Israel also agreed to cooperation and setting a roadmap towards establishing a bilateral relationship. https://twitter.com/[...] null
[631] 뉴스 Palestinians fume over Israel-UAE deal Fatah: UAE betrayed Arabs, Palestinians https://www.jpost.co[...] 2020-08-14
[632] 뉴스 The Israel-UAE agreement, winners and losers edition https://www.jpost.co[...] 2020-08-14
[633] 뉴스 パレスチナ、正常化合意に猛反発 駐UAE大使を召還 https://web.archive.[...] 2020-08-14
[634] 웹사이트 مشعل: التطبيع طعنة في ظهر شعبنا الفلسطيني https://hamas.ps/ar/[...]
[635] 뉴스 イスラエルとUAE、国交正常化に合意 「歴史的」と米大統領ら https://www.bbc.com/[...] 2020-08-14
[636] 뉴스 パレスチナが駐UAE代表召還、イスラエルとの国交合意に抗議 https://www.afpbb.co[...] 2020-08-14
[637] 웹사이트 PM Netanyahu on the Historic Peace Agreement with the UAE https://www.gov.il/e[...]
[638] 웹사이트 דוקטרינת נתניהו: שלום תמורת שלום, שלום מתוך עוצמה https://twitter.com/[...]
[639] 웹사이트 זה הזמן לדבר על "דוקטרינת נתניהו": האיגוף המדיני לפלסטינים מניב פירות היסטוריים https://www.mako.co.[...]
[640] 뉴스 Outraged by annexation halt, rightist leaders suggest time for Netanyahu to go https://www.timesofi[...] 2020-08-14
[641] 뉴스 外務大臣:サウジアラビアはアラブ和平プランに尽力する https://www.arabnews[...] 2020-08-20
[642] 뉴스 Knesset speaker: Rifts in Right helped foil annexation https://www.jpost.co[...] 2020-08-17
[643] 일반
[644] 웹사이트 Exclusive: UAE wants Israel normalization finalized "as soon as possible," minister says https://www.axios.co[...]
[645] 웹사이트 United Arab Emirates (UAE) and Israel Peace Agreement http://www.dirco.gov[...]
[646] 뉴스 イスラエル、ガザのハマス拠点を空爆 発火物付けた風船飛来で https://jp.reuters.c[...] 2020-08-26
[647] 뉴스 Israeli Soldiers Placed Explosives in West Bank Village for ‘Deterrence’ https://www.haaretz.[...] 2020-08-26
[648] 뉴스 パレスチナに拒否権ない 国交合意でイスラエル首相 https://www.nikkei.c[...] 2020-08-31
[649] 뉴스 コソボ、イスラエルと国交樹立へ…セルビアは大使館をエルサレムに移転 https://www.yomiuri.[...] 2020-09-05
[650] 웹사이트 שבוע טוב! אני מברך על ההסכם עם קוסובו שתהיה המדינה המוסלמית הראשונה שתפתח שגרירות בירושלים. סרביה תהיה המדינה הראשונה שתפתח שגרירות בירושלים - בהמשך לפריצת הדרך ההיסטורית עם איחוד האמירויות. https://twitter.com/[...]
[651] 뉴스 アラブ連盟 パレスチナ求めた声明 採択されず https://web.archive.[...] 2020-09-10
[652] 웹사이트 Joint Statement of the United States, the Kingdom of Bahrain, and the State of Israel https://twitter.com/[...]
[653] 웹사이트 Joint Statement of the United States, the Kingdom of Bahrain,and the State of Israel https://bh.usembassy[...]
[654] 뉴스 イスラエル、正常化に喜びの声明 バーレーン「戦略的選択」 https://www.47news.j[...] 2020-09-11
[655] 뉴스 Kushner: Accords allow Arab states to separate own interests from Palestinians’ https://www.timesofi[...] 2020-09-11
[656] 웹사이트 The Abraham Accords Declaration Foreign Policy Issued on: September 15, 2020 https://www.whitehou[...]
[657] 웹사이트 Abraham Accords Peace Agreement: Treaty of Peace, Diplomatic Relations and Full Normalization Between the United Arab Emirates and the State of Israel Foreign Policy Issued on: September 15, 2020(アブラハム合意和平協定 アラブ首長国連邦とイスラエルとの間の平和、外交関係及び完全な国交正常化のための条約) https://www.whitehou[...]
[658] 웹사이트 Abraham Accords: Declaration of Peace, Cooperation, and Constructive Diplomatic and Friendly Relations Foreign Policy Issued on: September 15, 2020(アブラハム合意 平和、協力、建設的な外交・友好関係の宣言) https://www.whitehou[...]
[659] 일반
[660] 웹사이트 Remarks by President Trump and Minister bin Zayed of the United Arab Emirates Before Bilateral Meeting Foreign Policy Issued on: September 15, 2020 https://www.whitehou[...]
[661] 웹사이트 Remarks by President Trump and Prime Minister Netanyahu of the State of Israel Before Bilateral Meeting Foreign Policy Issued on: September 15, 2020 https://www.whitehou[...]
[662] 뉴스 国交正常化の式典中ガザからロケット弾 イスラエルで2人負傷 https://www.sankei.c[...] 2020-09-16
[663] 뉴스 ガザからロケット弾、イスラエルは空爆で報復 https://jp.reuters.c[...] 2020-09-16
[664] 뉴스 Palestine quits Arab League role in protest over Israel deals https://www.aljazeer[...] 2020-09-22
[665] 웹사이트 How long must we wait for a just solution, Palestinian President Abbas asks world leaders https://news.un.org/[...]
[666] 뉴스 パレスチナ アッバス議長 和平問題解決へ国際会議開催求める https://web.archive.[...] 2020-09-26
[667] 뉴스 To UN, Israeli Prime Minister says ‘no doubt’ more Arab countries will soon join ‘circle of peace’ https://news.un.org/[...]
[668] 뉴스 イスラエル首相が国連演説 イランの脅威を強調 https://www.sankei.c[...] 2020-09-30
[669] 뉴스 国連総会でも「米国第一」主張…トランプ大統領に同盟国も警戒感 https://www.tokyo-np[...] 2020-09-30
[670] 뉴스 UAE expresses hopes for Middle East peace talks following ‘historic’ accord with Israel https://news.un.org/[...]
[671] 뉴스 サウジ国王、イラン締め付け訴え 米の中東和平努力支持―国連演説 https://web.archive.[...] 2020-09-24
[672] 뉴스 Palestinians note recent sharp drop in Arab state funding. Could normalisation be the cause? https://english.alar[...] 2020-09-23
[673] 뉴스 Palestinian funding from Arab countries dropped by 85% in 2020 https://www.jpost.co[...] 2020-09-24
[674] 뉴스 Palestinian rivals agree to hold election in six months https://www.reuters.[...] 2020-09-25
[675] 뉴스 Full transcript: Prince Bandar bin Sultan’s interview on Israel-Palestine conflict https://english.alar[...] 2020-10-05
[676] 뉴스 Saudi former intelligence chief slams Palestinian leadership's criticism of UAE-Israel deal https://www.reuters.[...] 2020-10-06
[677] 뉴스 أبو العينين يحذر من قبول التمويل المشروط تساوقاً مع مشاريع الاحتلال التطبيعية https://www.wafa.ps/[...] 2020-10-12
[678] 뉴스 ‘Only terrorists need apply’ for Palestinian NGOs https://www.jns.org/[...] 2020-10-16
[679] 뉴스 Israel approves first West Bank settler homes since Gulf deals https://www.france24[...] 2020-10-14
[680] 뉴스 Israel to resume settlement building https://www.tv7israe[...] 2020-10-15
[681] 뉴스 イスラエル 入植者用の住宅建設継続へ パレスチナは激しく反発 https://web.archive.[...] 2020-10-15
[682] 뉴스 Meet the World Zionist Organization department heads https://www.jpost.co[...] 2020-10-14
[683] 뉴스 4,948 Settlement Units Advanced at October 2020 Higher Planning Council Sessions 15.10.20 https://peacenow.org[...]
[684] 뉴스 Plans for over 2,700 more settlement homes advanced — making 5,000 in 2 days https://www.timesofi[...] 2020-10-15
[685] 뉴스 Israel to construct 4,948 settlement units in West Bank https://www.middleea[...] 2020-10-15
[686] 뉴스 Israel advances plans for 3,122 settler homes on day of Israel-UAE vote https://www.jpost.co[...] 2020-10-15
[687] 뉴스 West Bank: Statement by the High Representative Josep Borrell on Israeli settlement expansion https://eeas.europa.[...]
[688] 뉴스 Foreign Ministry condemns Israel's plans to build new settlement units http://en.ammonnews.[...] 2020-10-14
[689] 뉴스 Big European powers 'deeply concerned' over Israeli settlement plans https://jp.reuters.c[...] 2020-10-16
[690] 뉴스 イスラエルによる入植地建設計画の推進について (外務報道官談話) 令和2年10月16日 https://www.mofa.go.[...]
[691] 뉴스 Israel’s settler plans draw European censure and Emirati silence https://www.ft.com/c[...] 2020-10-17
[692] 뉴스 Palestinians accuse Gulf visitors of ‘desecrating’ Al-Aqsa Mosque https://www.jpost.co[...] 2020-10-17
[693] 뉴스 الوفد المُطبّع.. دخل خلسةً بحماية المحتل خوفًا مما سيُلاقيه https://alqastal.org[...]
[694] 뉴스 A Conversation with Foreign Minister Prince Faisal bin Farhan al-Saud October 15, 2020 https://www.washingt[...]
[695] 뉴스 Saudi Foreign Minister Sees Path Toward Ending Rift With Qatar https://www.bloomber[...] 2020-10-16
[696] 뉴스 サウジアラビア外相 “パレスチナ 和平へイスラエルと対話を” https://web.archive.[...] 2020-10-16
[697] 뉴스 Israel stops issuing visas to UN human rights agency https://www.aljazeer[...] 2020-10-16
[698] 웹사이트 パレスチナ オリーブ畑荒らし被害拡大、コロナで監視不足 https://web.archive.[...] 産経新聞社 2020-12-03
[699] 뉴스 UAE代表団がイスラエル訪問、ネタニヤフ氏「歴史つくった」 https://jp.reuters.c[...] 2020-10-20
[700] 웹사이트 Israeli authorities are attempting to evict four Palestinian families from their home in the Sheikh Jarrah neighborhood of East Jerusalem. Of the 24 Palestinian families in Sheikh Jarrah, 12 are on the brink of homelessness during a pandemic. The evictions cannot go through. https://twitter.com/[...] 2020-11-18
[701] 웹사이트 Eviction of Palestinians in Sheikh Jarrah part of Israeli policy https://www.aljazeer[...] 2020-12-11
[702] 웹사이트 President Donald J. Trump Brokers a Historic Peace Agreement Between Israel and Sudan https://www.whitehou[...]
[703] 뉴스 Sudan agrees to normalise relations with Israel, Trump says https://www.aljazeer[...] 2020-10-24
[704] 뉴스 イスラエルとスーダン国交正常化 仲介のトランプ大統領が発表 https://web.archive.[...] 2020-10-24
[705] 기타
[706] 웹사이트 PM Netanyahu's Remarks at the Start of the Cabinet Meeting https://www.gov.il/e[...]
[707] 뉴스 イスラエルとスーダンが国交正常化に合意 米仲介 トランプ氏、外交実績アピール https://mainichi.jp/[...] 2020-10-29
[708] 뉴스 Presidency condemns Israeli-Sudanese normalization deal https://english.wafa[...] 2020-10-24
[709] 웹사이트 Hamas strongly condemns Sudan-Israeli occupation normalisation agreement https://hamas.ps/en/[...]
[710] 웹사이트 PM Netanyahu's Remarks at Ariel University https://www.gov.il/e[...]
[711] 뉴스 ユダヤ人入植地でも科学技術協力 トランプ政権、イスラエルと合意 https://www.47news.j[...] 2020-10-29
[712] 뉴스 US, Israel extend science accords into West Bank settlements https://apnews.com/a[...] 2020-10-29
[713] 뉴스 米旅券の出生地「イスラエルのエルサレム」記載OKに、福音派にアピール https://www.afpbb.co[...] 2020-11-02
[714] 뉴스 Trump Admin. Set to Allow ‘Jerusalem, Israel’ on Passports, Politico Reports https://www.haaretz.[...] 2020-11-02
[715] 뉴스 大統領選前に 米政府 イスラエル寄り政策 既成事実化の動き https://web.archive.[...] 2020-11-02
[716] 뉴스 イスラエル首相、バイデン氏と「友情」 パレスチナ議長も祝意―米大統領選 https://web.archive.[...] 2020-11-20
[717] 트위터 2020-11-20
[718] 트위터 2020-11-20
[719] 웹사이트 国連パレスチナ機関74億円要請 「職員給与払えない」 https://www.okinawat[...] 2020-12-19
[720] 뉴스 Israel Promotes Jerusalem Settlement Project, Bid Ends Two Days Before Biden Takes Office https://www.haaretz.[...] 2020-11-20
[721] 뉴스 東エルサレムで「駆け込み入植」 イスラエル、米政権交代見据え https://web.archive.[...] 2020-11-20
[722] 뉴스 イスラエル入植加速、トランプ政権下で駆け込み https://www.nikkei.c[...] 2020-11-20
[723] 뉴스 Senior Israeli and PA officials meet, agree on transfer of critical tax revenue https://www.timesofi[...] 2020-12-19
[724] 웹사이트 Hamas strongly condemns Palestinian Authority’s resumption of ties with Israeli occupation https://hamas.ps/en/[...] ハマース 2020-12-19
[725] 웹사이트 Hamas condemns PA's resumption of ties with Israel https://www.middleea[...] 2020-12-19
[726] 뉴스 ポンペオ氏、イスラエル入植地を訪問 米国務長官で初 https://www.bbc.com/[...] 2020-11-20
[727] 웹사이트 US begins labeling settlement goods as 'Made in Israel' https://www.i24news.[...] 2020-12-24
[728] 웹사이트 イスラエル パレスチナ和平交渉 サウジ外相「日本の役割期待」 https://web.archive.[...] 2020-12-19
[729] 웹사이트 イスラエル、ハマス標的にガザ攻撃 ロケット弾発射に報復 https://www.afpbb.co[...] 2020-12-11
[730] 웹사이트 Hamas chief phones secretaries-general of factions to discuss PA’s move to restore ties with Israeli occupation https://hamas.ps/en/[...] ハマース 2020-12-19
[731] 뉴스 パレスチナの学校に取り壊し命令 https://www.kanaloco[...] 2020-12-11
[732] 웹사이트 イスラエルの人権団体と国連の専門家、パレスチナ人が追い立てられそうになっていることを非難 https://www.arabnews[...] 2021-01-13
[733] 뉴스 Court Orders Dozens of Palestinians Out of Jerusalem Homes to Make Way for Settlers https://www.haaretz.[...] 2021-01-13
[734] 웹사이트 Israel/OPT: UN expert calls for reversal of Israel’s eviction order against 16 Palestinian families https://www.ohchr.or[...] 2021-01-13
[735] 웹사이트 イスラエル軍との衝突で死亡、13歳少年の葬儀 パレスチナ https://www.afpbb.co[...] 2020-12-11
[736] 웹사이트 イスラエルは「植民主義勢力」 サウジ有力王子、中東会議で激しく非難 https://www.afpbb.co[...] 2020-12-07
[737] 웹사이트 モロッコもイスラエルと国交合意 米国が西サハラ主権を承認 独立派は猛反発 https://www.afpbb.co[...] 2020-12-11
[738] 웹사이트 イスラエル、モロッコと正常化合意 米仲介 https://jp.reuters.c[...] トムソン・ロイター 2020-12-11
[739] 웹사이트 Israel ties: Morocco’s King tells Palestinians Rabat stands by two-state solution https://englishbeta.[...] 2020-12-11
[740] 웹사이트 Statement By Royal Office https://www.maroc.ma[...] モロッコ王国 2020-12-10
[741] 뉴스 Report: Sudan revokes citizenship of former Hamas leader Khaled Mashaal https://www.israelha[...] 英語 2020-12-17
[742] 웹사이트 Israeli normalisation prompts Sudan to revoke citizenship of Palestinians https://www.middleea[...] 2020-12-22
[743] 뉴스 Jerusalem Police Shoot Dead Palestinian Suspect in Attempted Old City Attack https://www.haaretz.[...] 2020-12-21
[744] 뉴스 聖地「神殿の丘」周辺で警察襲撃の17歳少年を射殺 https://www.nikkansp[...] 2020-12-22
[745] 뉴스 Entre Israël et les Emirats arabes unis, l’émergence d’un nouvel axe stratégique https://www.lemonde.[...] 2020-12-23
[746] 뉴스 Report: Israel and UAE Working on Plan to Shutter UN Palestinian Refugee Agency https://www.algemein[...] 2020-12-27
[747] 웹사이트 UAE drastically cut funding for Palestinian refugee agency https://www.aljazeer[...] 2021-02-06
[748] 뉴스 Gaza terror groups launch first joint drill, fire rockets into sea as ‘message’ https://www.timesofi[...] 2020-12-29
[749] 웹사이트 PHOTOS: Israelis and Palestinians killed in 2020 https://israelpalest[...]
[750] 뉴스 Settlers begin exporting 'made in Israel' products to Dubai https://www.jpost.co[...] 2021-01-10
[751] 웹사이트 UAE receives first shipment of Israel settlement goods https://www.middleea[...] 2021-01-11
[752] 웹사이트 שמח להודיע היום שנבנה 800 דירות חדשות ביהודה ושומרון, בין היתר בנופי נחמיה ובטל מנשה, יישוב מגוריה של אסתר הורגן ז"ל. אנחנו כאן כדי להישאר. ממשיכים לבנות את ארץ ישראל! https://twitter.com/[...] Twitter 2021-01-11
[753] 뉴스 Israel to okay over 800 new settlement homes days before Biden sworn in https://www.timesofi[...] 2021-01-11
[754] 웹사이트 パレスチナ自治政府、議会・議長選の日程発表 ハマスも歓迎 https://www.afpbb.co[...] 2021-01-16
[755] 웹사이트 パレスチナが5月と7月の選挙への監視をEUに要請 https://www.arabnews[...] 2021-01-19
[756] 웹사이트 Israel pushes settlement construction as Trump leaves office https://apnews.com/a[...] 2021-01-20
[757] 뉴스 EU fumes as Israel pushes back at Biden with over 2,000 settler homes https://www.jpost.co[...] 2021-01-20
[758] 뉴스 EU、イスラエルを非難 占領地で大規模な住宅破壊 https://www.sankei.c[...] 2021-02-05
[759] 웹사이트 Diplomats condemn Netanyahu's settlement drive after Israeli troops destroy Bedouin camp three times in a month https://edition.cnn.[...] 2021-02-10
[760] 뉴스 イスラエルの戦争犯罪疑い、国際刑事裁判所の「管轄下」 https://www.asahi.co[...] 2021-02-06
[761] 웹사이트 Statement on the Decision of the Pre-TrialChambers on the Situation in the State of Palestine https://www.palestin[...] 2021-02-05
[762] 웹사이트 Netanyahu: An ICC investigation of Israel would be ‘pure anti-Semitism’ https://www.timesofi[...] 2021-02-06
[763] 웹사이트 №17 パレスチナ:東エルサレムでの大規模な衝突 https://www.meij.or.[...] 中東調査会 2021-05-10
[764] 뉴스 記者も警官に押され恐怖 東エルサレム、緊迫の抗議デモ https://www.asahi.co[...] 2021-05-11
[765] 웹사이트 エルサレムで連日衝突 パレスチナ人とイスラエル当局 https://www.bbc.com/[...] BBC NEWS JAPAN 2021-05-09
[766] 웹사이트 イスラエルとパレスチナが停戦 攻撃激化から12日目 https://www.bbc.com/[...] BBC NEWS JAPAN 2021-05-21
[767] 뉴스 イスラエル、ネタニヤフ氏退陣 ベネット新政権発足 https://www.nikkei.c[...] 2021-06-14
[768] 뉴스 イスラエル政府、ヨルダン川西岸の入植地拡大を決定 米国は反対 https://www.asahi.co[...] 2021-10-29
[769] 웹사이트 イスラエルによる入植地建設計画の推進について(外務報道官談話) https://www.mofa.go.[...] 2021-10-28
[770] 웹사이트 PHOTOS: Israelis and Palestinians killed in 2021 https://israelpalest[...]
[771] 뉴스 占領するヨルダン川西岸地区におけるイスラエルの住居4,000戸建築計画が大騒動に https://www.arabnews[...] 2022-05-15
[772] 웹사이트 イスラエルによる入植地建設計画の推進について(外務報道官談話) https://www.mofa.go.[...] 2022-05-16
[773] 뉴스 イスラエル人入植者がヨルダン川西岸地区における特別な地位を失う局面へ https://www.arabnews[...] 2022-06-10
[774] 뉴스 Government offers Netanyahu deal for dissolution of Knesset https://www.israelna[...] 2022-06-27
[775] 뉴스 イスラエル国会が解散、4年足らずで5度目の総選挙へ https://www.cnn.co.j[...] 2022-07-01
[776] 뉴스 ネタニヤフ新政権発足、入植地を拡大へ イスラエル https://www.nikkei.c[...] 2022-12-30
[777] 뉴스 Coalition deal: Promoting sovereignty in Judea and Samaria https://www.israelna[...] 2022-12-22
[778] 웹사이트 PHOTOS: Israelis and Palestinians killed in 2022 https://israelpalest[...]
[779] 뉴스 Knesset approves extension of Judea and Samaria regulations in first reading https://www.israelna[...] 2023-01-10
[780] 뉴스 ヨルダン川西岸ジェニンでイスラエル軍が急襲作戦、9人死亡 https://www.bbc.com/[...] 2023-01-27
[781] 웹사이트 IDF & Israeli security forces conducted an intel-based counterterrorism operation to apprehend an Islamic Jihad terrorist squad in the Jenin Camp https://www.idf.il/e[...] 2023-01-27
[782] 뉴스 Israel authorises West Bank outposts, despite U.S. admonition https://www.reuters.[...] 2023-02-13
[783] 보도자료 入植地に係るイスラエル政府発表(外務報道官談話) https://www.mofa.go.[...] 外務省 2023-02-15
[784] 뉴스 国連安保理、イスラエルの入植地拡大計画を非難 米国も同調 https://www.reuters.[...] 2023-02-21
[785] 뉴스 イスラエル議会、ユダヤ人定住禁止の法律を修正 米欧が批判 https://www.reuters.[...] 2023-03-22
[786] 뉴스 イスラエルが入植者に入植地4ヶ所への帰還を許可、パレスチナ人は怒り https://www.arabnews[...] 2023-03-22
[787] 보도자료 イスラエルによる2005年撤退計画実施法の改正(外務報道官談話) https://www.mofa.go.[...] 外務省 2023-03-24
[788] 웹사이트 צו בדבריישום תוכנית ההתנתקות(ביטול ביחס למרחב חומש) (יהודה ושומרון) (מס'2137)התשפ"ג-2023 https://www.gov.il/B[...] 2023-05-18
[789] 뉴스 What’s Homesh? The Illegal West Bank Outpost Causing a Diplomatic Storm https://www.haaretz.[...] 2023-05-29
[790] 뉴스 Yeshiva gets new home in north West Bank outpost as legalization efforts gather steam https://www.timesofi[...] 2023-05-29
[791] 뉴스 占領下のヨルダン川西岸地区で暮らすパレスチナ人の警戒を呼ぶイスラエルによる土地侵奪 https://www.arabnews[...] 2023-06-18
[792] 뉴스 イスラエル、ヨルダン川西岸で数千戸の住宅建築承認へ 米が反発 https://jp.reuters.c[...] 2023-06-26
[793] 뉴스 Israel advances plans for 5,700 settlement homes, breaking annual record in 6 months https://www.timesofi[...] 2023-06-26
[794] 뉴스 入植住宅4560戸承認へ 最終決定までの過程も短縮―イスラエル https://www.jiji.com[...] 2023-06-19
[795] 뉴스 Israel to ramp up settlement expansion in occupied West Bank https://www.aljazeer[...] 2023-06-18
[796] 보도자료 現下のイスラエル・パレスチナ情勢について(外務報道官談話) https://www.mofa.go.[...] 外務省 2023-06-21
[797] 뉴스 ジェニン難民キャンプ現地ルポ イスラエル軍が街を破壊、住民はさらなる攻撃におびえる https://www.bbc.com/[...] 2023-07-06
[798] 뉴스 イスラエル軍、ジェニンの難民キャンプから撤退開始 2日間の軍事作戦後 https://www.bbc.com/[...] 2023-07-05
[799] 웹사이트 48 hrs of Operating to Weaken Terrorism in the Jenin Camp https://www.idf.il/e[...] 2023-07-05
[800] 웹사이트 Data on casualties https://www.ochaopt.[...] 2023-12-02
[801] 뉴스 【写真で見る】 「戦争状態」、パレスチナ武装勢力とイスラエルが武力衝突 https://www.bbc.com/[...]
[802] 웹사이트 ガザ地区からイスラエルへ相次ぐ砲撃、多数死傷 「これは戦争」とイスラエル首相 https://wedge.ismedi[...] 2023-10-07
[803] 뉴스 【9日詳細】ハマスの攻撃とイスラエルの報復 死者約1200人に https://www3.nhk.or.[...]
[804] 뉴스 New Jewish neighborhood partly in East Jerusalem given final approval https://www.timesofi[...] 2023-12-05
[805] 뉴스 イスラエル、東エルサレムに新入植地承認 NGO https://www.afpbb.co[...] 2023-12-07
[806] 웹사이트 Data on casualties https://www.ochaopt.[...] 2024-03-06
[807] 웹사이트 Hostilities in the Gaza Strip and Israel - reported impact | Day 85 https://www.ochaopt.[...] 2024-03-06
[808] 뉴스 Israel revises death toll from Oct. 7 Hamas assault, dropping it from 1,400 to 1,200 https://www.timesofi[...] 2024-05-08
[809] 뉴스 IDF: Deaths of 29 of 170 soldiers in Gaza op were so-called friendly fire, accidents https://www.timesofi[...] 2024-03-06
[810] 뉴스 Israeli Military Signs Order That Could Turn West Bank Outpost Into Major Urban Settlement https://www.haaretz.[...] 2024-04-27
[811] 뉴스 ‘A giant gift’: Settler leaders hail IDF approval of borders for new W. Bank settlement https://www.timesofi[...] 2024-04-28
[812] 뉴스 High Court shoots down petition to evacuate illegal Homesh outpost in West Bank https://www.timesofi[...] 2024-06-03
[813] 뉴스 גלנט הכריז על ביטול ההתנתקות בצפון השומרון - אלוף הפיקוד אסר על כניסת ישראלים לשטח https://www.ynet.co.[...] 2024-06-03
[814] 뉴스 Gallant orders cancelation of withdrawal order from additional West Bank settlements https://www.i24news.[...] 2024-06-03
[815] 뉴스 イスラエル、パレスチナ自治政府への税収送金を停止 米が批判 https://www.cnn.co.j[...] 2024-07-01
[816] 웹사이트 צו בדבר הקמת מינהל אזרחי (תיקון מס' 33) (יהודה והשומרון) (מס' 2195), תשפד-2024 https://www.idf.il/m[...] 2024-07-01
[817] 뉴스 IDF transfers powers in occupied West Bank to pro-settler civil servants https://www.theguard[...] 2024-06-22
[818] 뉴스 הכשרת מאחזים, הרחבת הבנייה וסנקציות על הרשות: כך משנה סמוטריץ' את יו"ש https://www.ynet.co.[...] 2024-06-22
[819] 뉴스 Israeli Official Describes Secret Government Bid to Cement Control of West Bank https://www.nytimes.[...] 2024-06-22
[820] 뉴스 "משנים את ה-DNA": ההקלטה שחושפת את תוכנית סמוטריץ' לשליטה אזרחית ביו"ש https://www.ynet.co.[...] 2024-06-22
[821] 기타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제소한 국제사법재판소 사건
[822] 뉴스 西岸入植地「合法化」を承認 イスラエルで違法の5カ所 https://nordot.app/1[...] 共同通信社 2024-07-01
[823] 뉴스 Security cabinet okays legalizing 5 outposts, sanctioning PA officials https://www.timesofi[...] 2024-07-01
[824] 웹사이트 שומרים על ביטחון ישראל! https://x.com/bezale[...] 2024-07-01
[825] 보도자료 入植地に係るイスラエル政府発表(外務報道官談話) https://www.mofa.go.[...] 外務省 2024-07-05
[826] 웹사이트 צו בדבר רכוש ממשלתי (יהודה ושומרון) (מס' 59), תשכ"ז-1967 https://www.gov.il/B[...] 2024-07-05
[827] 웹사이트 The Government Declares 12,000 Dunams in the Jordan Valley as State Lands https://peacenow.org[...] 2024-07-05
[828] 뉴스 Israel turbocharges West Bank settlement expansion with largest land grab in decades https://apnews.com/a[...] AP通信社 2024-07-05
[829] 뉴스 イスラエル、「違法」入植地3か所承認 ヨルダン川西岸 https://www.afpbb.co[...] フランス通信社 2024-07-05
[830] 웹사이트 Legal Consequences arising from the Policies and Practices of Israel in the Occupied Palestinian Territory, including East Jerusalem Summary of the Advisory Opinion of 19 July 2024 https://www.icj-cij.[...] 국제사법재판소 2024-07-19
[831] 뉴스 イスラエルのパレスチナ占領政策は国際法違反、国際司法裁判所が勧告意見 https://www.bbc.com/[...] 2024-07-24
[832] 기타
[833] 웹사이트 In U.S., Canada Places First in Image Contest; Iran Last http://www.gallup.co[...] 2010-02-19
[834] 웹사이트 Support for Israel in U.S. at 63%, Near Record High http://www.gallup.co[...] 2010-02-24
[835] 웹사이트 「世界に良い影響」日本トップ…BBC読売調査 https://web.archive.[...]
[836] 웹사이트 好感度調査:低いイスラエル、イラン、米国 http://www1.ips-j.co[...]
[837] 뉴스 米、イスラエルに3.9兆円の軍事支援 史上最大規模 https://www.afpbb.co[...] 2020-09-18
[838] 뉴스 ヨルダン川西岸に入植するアメリカ人 https://www.newsweek[...] 2020-09-18
[839] 간행물 〈論調〉 イスラエルこそ危険な反動勢力 http://www1.korea-np[...] 조선신보
[840] 논문 제5절 팔레스타인에 대한 일본의 노력 http://www2.jiia.or.[...] 일본국제문제연구소 2021-01-13
[841] 웹사이트 中東問題を扱う西側メディアの規則 https://web.archive.[...] シモン・ペレス
[842] 웹사이트 WEST BANK ACCESS RESTRICTIONS - JUNE 2020 https://www.ochaopt.[...]
[843] 웹사이트 ヨルダン川西岸 http://palestine-hei[...]
[844] 웹사이트 Legal Consequences of the Construction of a Wall in the Occupied Palestinian Territory https://www.icj-cij.[...] 2021-01-04
[845] 논문 パレスチナ占領地における壁建設の法的帰結:国際司法裁判所勧告的意見の本案段階と評価 https://asia-u.repo.[...] 武蔵野 : 亜細亜大学国際関係研究所 2024-06-14
[846] 웹사이트 "入植地問題”ってなに?アメリカの政策転換の先にある現実 https://www3.nhk.or.[...] 2021-01-06
[847] 웹사이트 94% of applications for construction permits are rejected by Israel http://www.imemc.org[...]
[848] 웹사이트 Under Threat: Demolition orders in Area C of the West Bank https://www.ochaopt.[...]
[849] 간행물 我田引水 公平な水利を得られないパレスチナ人 https://www.amnesty.[...] アムネスティ・インターナショナル
[850] 웹사이트 Data Sheet May 2015: prosecution of Israeli civilians suspected of harming Palestinians in the West Bank https://www.yesh-din[...]
[851] 웹사이트 State-Backed Settler Violence https://www.btselem.[...]
[852] 웹사이트 By Hook and by Crook: Israeli Settlement Policy in the West Bank https://www.btselem.[...] 2024-07-05
[853] 웹사이트 What is a declaration of state land? https://peacenow.org[...] 2024-07-05
[854] 웹사이트 地域全体が難民キャンプか、はたまた監獄か ガザ 帰属未定地(パレスチナ暫定自治政府管轄地域) http://geo.d51498.co[...] 吉田一郎
[855] 논문 土地の歴史 ― パレスチナ所有の根源はどこに ― イスラエル入植地の構造 中東百年紛争史(第4回) https://shizusan.rep[...] 磐田 : 静岡産業大学経営研究センター 2019-06
[856] 웹사이트 Demolitions in West Bank undermine access to water Rate increases in first quarter of 2019 https://www.ochaopt.[...]
[857] 웹사이트 Unlawful demolitions in the West Bank spike during COVID-19 https://www.ochaopt.[...]
[858] 웹사이트 COVID-19 Emergency Situation Report 14 (15 – 28 July 2020) https://www.ochaopt.[...]
[859] 뉴스 パレスチナ自治区――占領下で増幅するコロナ禍と医療体制の危機 [5]イスラエルによる家屋破壊、暴力、電気事情の悪化…… https://webronza.asa[...] 論座
[860] 웹사이트 Data on demolition and displacement in the West Bank https://www.ochaopt.[...] 国際連合人道問題調整事務所 2020-12-30
[861] 웹사이트 Israel Military Orders http://www.jmcc.org/[...]
[862] 서적 Zionism and the Arabs, 1882-1948 1987
[863] 웹사이트 Statistical Abstract of Israel, No. 55, 2004 and Statistical Abstract of Israel 2007: Population by district, sub-district and religion http://www1.cbs.gov.[...] 2011-09-28
[864] 서적 Palestine's Population During the Ottoman and the British Mandate Periods
[865] 웹사이트 International Data Base (IDB), Country Summary: West Bank and Gaza Strip U.S. Census Bureau
[866] 웹사이트 A History of Conflict: Introduction http://news.bbc.co.u[...] BBC News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