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빌론 작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빌론 작전은 1981년 6월 7일 이스라엘 공군이 이라크의 오시라크 원자로를 폭격한 사건을 말한다. 이라크가 핵 개발 프로그램을 추진하자, 이스라엘은 자국의 안보를 위협한다고 판단하여 프랑스의 기술 지원을 받아 건설 중이던 원자로를 공격했다. 이 작전은 국제적으로 큰 논란을 일으켰으며, 이스라엘은 자국의 안보를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주장한 반면, 국제사회는 국제법 위반이라며 규탄했다. 이스라엘은 이 작전을 통해 이라크의 핵 개발을 지연시켰다고 평가하며, 이후 '베긴 독트린'을 통해 선제 공격의 가능성을 천명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바빌론 작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위치 | 디얄라 주, 이라크 바트당 투와이타 핵 연구 센터 |
기본 정보 | |
작전명 | 오페라 작전 (Operation Opera) |
다른 이름 | 바빌론 작전 |
일부 | 아랍-이스라엘 분쟁 |
목표 | 이라크의 "오시라크" 핵 반응로 파괴 |
전투 정보 | |
실행 날짜 | 1981년 6월 7일 |
위치 | 이라크 디얄라 주 투와이타 핵 연구 센터 |
실행 주체 | 이스라엘 공군 |
결과 | 이스라엘의 작전 성공 |
세부 결과 | 오시라크 핵 반응로 파괴 이라크 핵 프로그램 심각하게 훼손 |
관련 정보 | |
계획 주체 | 메나헴 베긴 (이스라엘 총리) 다비드 이브리 (이스라엘 공군 사령관) |
피해 규모 | |
이라크군 사상자 | 이라크 군인 10명 사망 |
기타 사상자 | 프랑스 민간인 1명 사망 |
병력 규모 | |
이스라엘 공군 전력 | F-16 전투기 8대 F-15 전투기 6대 |
이라크 전력 | 없음 |
2. 이라크의 핵 개발 프로그램
이라크는 1960년대부터 핵 개발 프로그램을 시작했고, 1970년대 중반에는 핵 반응로를 획득하여 이를 확장하려 했다.[15] 프랑스와 협상하여 바그다드 인근 알 투와이타 핵 센터에 40MW급 경수로 건설을 시작했다.[20] 프랑스는 이 원자로를 ''오시라크''(Osiraq)라고 명명했으며, 이라크는 바트당이 집권한 달의 이름을 따 ''타무즈 1''(تموزar)이라고 불렀다.[21][22]
프랑스는 원자로 건설 계약과 함께 93% 농도의 고농축 우라늄 72kg을 제공하고, 이라크 기술진에 대한 교육을 지원하기로 했다.[18] 총비용은 3억 달러(현재 가치로 약 16.2억달러)였다.[19] 1975년 11월, 양국은 핵 협력 협정을 체결했고, 1976년에 원자로 판매가 최종 확정되었다.[16]
이라크와 프랑스는 이라크의 원자로가 평화적 과학 연구를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으며,[29] 양국 간 협정은 군사적 사용을 명시적으로 금지했다.[30] 그러나 이스라엘은 이라크가 핵무기를 개발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고 의심했다.
1979년 4월, 이스라엘 정보기관 모사드는 프랑스에서 이라크로 운송 대기 중이던 오시라크 원자로를 파괴했다.[23] 1980년 6월에는 모사드 요원들이 이라크 핵 프로그램 책임자인 이집트 핵 과학자 야히야 엘 마샤드를 파리에서 암살했다.[24][25][26]
하버드 대학교의 물리학 교수 리처드 윌슨은 2003년 연설에서 "핵무기용 플루토늄을 ''오시라크''를 사용하여 모으는 데 수십 년이 걸렸을 것"이라고 말했다.[32] 2005년에는 ''The Atlantic''에서 "1981년 6월 이스라엘에 의해 폭격당한 오시라크 원자로는 프랑스 엔지니어 이브 지라드에 의해 폭탄을 만드는 데 적합하지 않도록 설계되었다."라고 언급했다.[33]
2. 1. 이라크의 주장
이라크는 산유국으로서 에너지 자원이 풍부했음에도 불구하고, 미래의 석유 고갈에 대비하기 위해 원자력 개발을 추진했다고 주장했다.[113] 이라크는 핵 확산 금지 조약의 서명국으로서 국제 원자력 기구(IAEA)의 안전 조치하에 원자로를 두고 있었으며, 프랑스와의 협정을 통해 군사적 사용을 배제하고 평화적 과학 연구를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15][29][30]그러나 이스라엘은 이라크의 핵 개발이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로부터 입수한 이스라엘의 핵무기 보유 정보에 대한 대응이며, 핵무기 개발을 위한 것이라고 의심했다.[113][114]
2. 2. 이스라엘의 의혹 제기
이라크는 1960년대에 핵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1970년대 중반 핵 반응로 획득을 통해 이를 확장하려 했다.[15] 이라크는 핵 확산 금지 조약 (NPT) 서명국으로서 국제 원자력 기구 (IAEA)의 안전 조치하에 자국의 원자로를 두었다.[15] 그러나 이스라엘은 이라크가 프랑스에서 도입한 오시라크 원자로 (이라크 명칭: 타무즈 1)가 핵무기 개발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의심했다.이라크는 산유국임에도 불구하고 장래의 석유 자원 고갈에 대비하여 원자력 개발을 추진한다고 주장했다.[113] 그러나 이스라엘은 이라크가 PLO로부터 이스라엘의 핵무기 보유 정보를 입수하고, 이를 계기로 핵무기 개발을 시작했다고 판단했다.[114]
미국의 민간 정보 기관 STRATFOR는 2007년에 이라크의 우라늄 연료 원자로가 "무기 이용을 위한 플루토늄을 생산하려 하고 있다고 생각되었다"고 기록했다.[116]
이스라엘은 이라크의 핵무장이 자국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될 것이라고 판단하고, 원자로가 가동되기 전에 이를 제거하기 위한 군사 작전을 계획했다.
3. 이스라엘의 대응과 외교적 노력
이스라엘은 이라크의 원자로 개발에 대응하기 위해 이츠하크 라빈 총리 시절(1974-1977)부터 대응 전략을 논의하기 시작했다.[38] 1977년 메나헴 베긴 총리 취임 후, 이라크 원자로 실물 크기 모형을 제작하여 폭격 연습을 하는 등 준비가 강화되었다.[39] 이 과정에서 세 명의 이스라엘 조종사가 훈련 중 사고로 사망했다.[62]
이스라엘은 외교, 비밀 작전, 군사 공격 등 다양한 수단을 동원해 이라크 핵 개발 저지를 시도했다. 모셰 다얀 외무장관은 프랑스, 미국, 이탈리아와 협상했지만 원자로 프로그램 중단을 이끌어내지 못했고,[40] 사담 후세인은 오시라크 원자로가 평화적 목적이라고 주장했다.[41] 모사드는 원자로 부품 파괴, 과학자 암살 등 비밀 작전을 수행했다.[43]
이러한 노력에도 이라크 핵 개발이 진전되자, 베긴 총리는 1979년 봄 선제 공격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42] 1980년 10월, 모사드는 오시라크 원자로가 1981년 6월까지 가동될 것이라고 보고했고,[61] 이스라엘 내각은 격론 끝에 공격을 가결했다.[42]
이스라엘 군사 기지와 원자로 부지 간 거리는 1600km 이상이었다.[53] 요르단 또는 사우디 영공을 침범해야 했기에 공중 급유는 불가능했다.[62][61][54] 이스라엘은 F-16A와 F-15A를 이용, 급유 없이 작전을 완수할 수 있다고 결론 내렸다.[66]
베긴 총리는 원자로 가동 후 공격이 바그다드까지 방사능 오염을 일으킬 수 있다고 주장하며 공격 시기를 옹호했다.[20][58] 그러나 미국 의회 조사국과 컬럼비아 대학교 연구에 따르면, 치명적인 오염은 원자로 부근에 국한될 가능성이 높았다.[59][60]
1980년 11월 30일, 이란 F-4 팬텀 정찰기가 오시라크 원자로 사진을 촬영해 이스라엘에 제공했다.[64] 이스라엘은 이 사진을 바탕으로 작전을 계획, 지중해 상공에서 공습 훈련을 시작했고, 1979년 이란 혁명으로 일찍 인도받은 F-16기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64]
1981년 4월 4일, 이란 공군이 이라크 서부 H-3 공군 기지를 공격해 이라크 공군력을 약화시켰다.[64][63] 이스라엘은 이란과의 전쟁에 몰두한 이라크 상황을 이용해 공격을 감행할 수 있었다.
3. 1. 비밀 작전 (모사드)
외교적 해결이 실패로 돌아가자, 이스라엘은 모사드와 이스라엘 방위군의 정보 기관인 아만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해 공작을 펼친 것으로 알려졌다.- 1979년 4월, 프랑스 라 센 쉬르 메르 항구의 창고에 보관되어 있던 이라크행 원자로 격납 용기가 폭파되었다(범행 성명은 프랑스의 과격파 명의였다).[64]
- 1980년 6월, 이라크 핵 개발 책임자가 프랑스 호텔에서 타살되었다.[64]
- 1980년 8월, 원자로 개발 계약 기업의 로마 사무실과 중역의 사택이 폭파되었다(이슬람 혁명 보장 위원회에서 범행 성명이 있었다).[64]
- 이라크 핵 개발과 관련된 프랑스와 이탈리아 과학자 앞으로 이라크 발신 협박장이 발송되었다.[64]
3. 2. 외교적 노력의 한계
이스라엘은 이라크의 원자로 개발에 대응하기 위해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지만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모셰 다얀 이스라엘 외무부 장관은 프랑스, 미국, 이탈리아와 협상했지만 원자로 프로그램 중단을 이끌어내지 못했다.[40] 특히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과 프랑수아 미테랑 정부의 프랑스는 이라크 핵 프로그램을 계속 지원했다.[40] 사담 후세인은 오시라크 원자로가 평화적 목적이라고 주장했다.[41]메나헴 베긴 총리는 외교적 해결이 어렵다고 판단하고 군사 공격을 고려하게 되었다.[91] 이스라엘은 프랑스 정부에 기술 제공 중단을 요청했으나,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대통령은 평화적 이용을 위한 기술 제공이라며 거절했다.
4. 오페라 작전 (바빌론 작전)
1981년 6월 7일, 이스라엘 공군은 F-16 전투기 8대와 F-15 전투기 6대를 동원해 오시라크 원전을 폭격했다.[66] 타바 국제공항에서 오시라크 원전까지의 거리는 1,600km에 달했다.
공격 편대는 각각 두 발의 Mark-84 2000 파운드 지연 작동 폭탄을 장착한 8대의 F-16A로 구성되었고,[61] 6대의 F-15A가 엄호했다.[62]
이 작전은 이라크의 핵무기 개발을 막기 위한 예방 공격의 최초 사례였다.[49][50][51] 이스라엘은 외교적 수단을 통해 프랑스 정부에 기술 제공 중단을 요청했으나, 당시 프랑스 대통령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은 평화적 이용을 위한 기술 제공이라며 거절했다. 외교적 해결이 실패로 돌아가자 이스라엘은 방해 공작을 펼쳤으나 원자력 발전소 완성이 다가오자 무력 공격을 결의했다.
폭격으로 이라크 군인 10명과 프랑스 민간인 1명이 사망했다.[9]
4. 1. 작전 계획
이란 혁명으로 미국에서 조기에 인도받은 F-16 전투기가 장거리 비행을 위해 선정되었다.[64] 이스라엘은 F-16A와 공중 엄호 및 전투 지원을 제공할 F-15A를 이용하여 급유 없이 작전을 완수할 수 있다고 결론 내렸다.[66]작전에는 각각 2발의 Mark 84 폭탄 지연 작동 폭탄을 장착한 8대의 F-16A가 투입되었다.[61] 전투 지원을 위해 6대의 F-15A가 배정되었다.[62] F-16 조종사는 제에브 라즈, 아모스 야들린, 도비 야페, 하가이 카츠, 아미르 나추미, 이프타흐 스펙터, 렐리크 샤피르, 일란 라몬이었다. 라즈는 공격을 이끌었고, 참모총장으로부터 훈장을 받았다. 작전에 참여한 최연소 조종사였던 라몬은 후에 최초의 이스라엘 우주 비행사가 되었으나, 우주왕복선 컬럼비아호 참사로 사망했다.[65]
이스라엘 비행기는 요르단과 사우디 아라비아 영공을 아무런 방해 없이 비행했다.[66] 탐지를 피하기 위해, 이스라엘 조종사들은 요르단 영공에서 사우디 억양의 아랍어를 사용했고, 요르단 공군 관제사들에게 길을 잃은 사우디 순찰대라고 말했다.[39] 사우디 아라비아 상공을 비행하는 동안에는 요르단 라디오 신호와 편대 대형을 사용하여 요르단인인 척했다.[39][67] 이스라엘 비행기는 연료를 많이 적재하여 외부 연료 탱크가 비행 중 고갈되었고, 탱크는 나푸드 사막 상공에서 투하되었다.[66]
후세인 요르단 국왕은 아카바 만에서 휴가를 보내던 중, 자신의 요트를 지나가는 비행기를 목격했고, 이스라엘 표식을 알아챘다. 제트기의 위치, 방향, 무장을 고려하여, 후세인은 이라크 원자로가 가장 유력한 표적이라고 즉시 추론했다. 후세인은 즉시 정부에 연락하여 이라크 측에 경고를 보낼 것을 명령했다. 그러나 통신 오류로 인해 메시지는 전달되지 않았고, 이스라엘 비행기는 탐지되지 않은 채 이라크 영공에 진입했다.[66] 이라크 영공에 도착하자, 비행대는 분리되어, 2대의 F-15가 F-16 편대를 근접 호위했고, 나머지 F-15는 이라크 영공으로 분산되어 기만 작전 및 예비 지원을 했다. 공격 편대는 이라크 사막 상공 30m로 하강하여 이라크 방공망의 레이더를 피하려 했다.[66]
현지 시간 18시 35분(그리니치 표준시 14시 35분), ''오시라크'' 원자로 단지에서 20km 떨어진 곳에서, F-16 편대는 2100m까지 상승하여 1100km/h 속도로 35도 급강하하여 원자로 단지를 겨냥했다. 1100m 지점에서, F-16은 5초 간격으로 Mark 84 폭탄을 쌍으로 투하하기 시작했다.[66] 투하된 16발의 폭탄 중 최소 8발이 원자로의 격납 돔을 타격했다.[61]
4. 2. 작전 실행
1981년 6월 7일 오후 4시(현지 시각), 이스라엘 공군의 F-16A 전투기 8대가 마크 84 2000 파운드 폭탄 2발씩을 장착하고, F-15A 전투기 6대의 호위를 받으며 에치온 공군 기지에서 이륙했다.[66] 이들은 요르단과 사우디아라비아 영공을 통과하면서, 요르단 영공에서는 사우디 억양의 아랍어를 사용하고, 사우디아라비아 상공에서는 요르단 라디오 신호와 편대 대형을 사용하여 요르단 조종사로 위장했다.[39][67]이라크 영공에 진입한 후에는 고도 30m를 유지하여 이라크 방공망의 레이더를 피했다.[66] 현지 시각 18시 35분, 오시라크 원전에서 20km 떨어진 지점에서 F-16 편대는 2100m로 상승한 후 35도 각도로 시속 1100km/h로 급강하했다.[66] 1100m 거리에서 F-16 전투기들은 5초 간격으로 마크 84 폭탄을 2발씩, 총 16발을 투하했다.[66] 최소 8발이 원자로 격납 돔에 명중했다.[61]
이 공격으로 이라크 군인 10명과 프랑스 민간인 기술자 1명이 사망했다.[9] 이스라엘 전투기들은 이라크 방공망의 요격을 받았지만, 모두 무사히 귀환했다.[62]
4. 3. 작전 결과
عملية بابلar의 결과, 이라크 바그다드 동남쪽 17km 지점에 건설 중이던 오시라크 원전이 파괴되었다.[10] 이 공격으로 이라크 군인 10명과 프랑스 민간인 기술자 1명이 사망했다.[10] 사망한 프랑스 민간인은 프랑스 대체 에너지 및 원자력 위원회(CEA)와 에어 리퀴드의 직원이던 다미앙 쇼세피에였다.[79][80][81] 이스라엘은 1981년에 쇼세피에의 유족에게 배상하기로 합의했다.[81]이스라엘 공군의 F-16A 전투기 8대가 각각 2발의 Mark-84 지연 작동 폭탄을 장착하고 공격에 투입되었으며, 6대의 F-15A 전투기가 엄호했다.[61][62] 공격에는 일란 라몬 대령, 아모스 야들린 등 이스라엘 공군의 정예 조종사들이 참여했다.[65] 이들은 이라크 방공망의 레이더를 피해 저고도로 침투, 원자로에서 20km 떨어진 지점에서 2100m까지 상승한 뒤 1100km/h 속도로 급강하하여 폭탄을 투하했다.[66] 투하된 16발의 폭탄 중 최소 8발이 원자로 격납 돔을 타격하여 원자로를 파괴하는 데 성공했다.[61] 공격은 2분도 채 안 되는 시간 동안 이루어졌으며, 이스라엘 전투기들은 이라크 공군의 요격을 받지 않고 전 기체가 무사히 귀환했다.[50][62]



5. 국제사회의 반응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는 이스라엘의 공격을 규탄하고 이라크에 대한 배상을 촉구하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487호를 채택했다. 미국은 이스라엘을 비판했지만, 대 이스라엘 제재에는 반대했다. 이 사건으로 핵 확산 금지 조약(NPT) 체제와 국제 원자력 기구(IAEA)의 안전 조치에 대한 논란이 발생했다.
유엔 총회는 1981년 11월 13일 결의안 제36/27호를 통해 이스라엘의 "사전 계획된 전례 없는 침략 행위"를 규탄하고, 이스라엘이 발생시킨 피해와 인명 피해에 대해 신속하고 적절한 보상을 요구했다.[74] 이 과정에서 이라크는 이스라엘의 공격 배후에 이스라엘의 핵무기 보유를 은폐하고 아랍 국가의 과학적, 기술적 지식 습득을 막으려는 의도가 있다고 주장했고,[30] 시리아는 이스라엘뿐만 아니라 미국도 규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75]
마거릿 대처 영국 총리는 "이러한 상황에서의 무력 공격은 정당화될 수 없다. 그것은 국제법의 심각한 위반을 나타낸다"라고 비판했다.[12] 진 커크패트릭 당시 유엔 주재 미국 대사는 이스라엘의 공격을 "충격적"이라고 묘사하며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에 비유했다.[12] ''뉴욕 타임스''는 "이스라엘의 기습 공격은 용납할 수 없고 근시안적인 침략 행위였다"고 비판했고,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이를 "국가 주도 테러"라고 규정했다.[12]
5. 1.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487호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는 1981년 6월 19일, 8차례의 회의와 이라크 및 국제 원자력 기구의 성명 발표 이후 만장일치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487호[68]를 채택했다. 이 결의안은 이스라엘의 공격을 "국제 연합 헌장과 국제 규범의 명백한 위반"으로 강력히 규탄하고, 앞으로 이러한 공격을 자제할 것을 촉구했다. 이사회는 이라크가 "기술 및 핵 개발 프로그램을 수립할" 권리가 있음을 인정했으며, 이스라엘이 이라크와 함께 핵확산 금지 조약의 "IAEA 안전 조치 체제"에 가입할 것을 촉구했다.[69] 또한 이라크가 "입은 피해에 대해 적절한 배상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고려했다. 미국은 결의안에 찬성표를 던졌고, 이스라엘에 대한 F-16 항공기 4대의 인도를 중단했지만, UN의 징벌적 조치는 저지했다.[70][71] 항공기 인도 중단은 2개월 후에 해제되었다.[72][73]5. 2. 국제사회의 비판과 논란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는 1981년 6월 19일 8차례의 회의와 이라크 및 국제 원자력 기구의 성명 발표 후 만장일치로 이스라엘의 바빌론 작전을 규탄하는 결의안 487[68]을 채택했다. 이 결의안은 이스라엘의 공격을 "국제 연합 헌장과 국제 규범의 명백한 위반"으로 규정하고, 이스라엘에게 앞으로 이러한 공격을 자제할 것을 촉구했다. 또한, 이사회는 이라크가 "기술 및 핵 개발 프로그램을 수립할" 권리가 있음을 인정하고, 이스라엘이 이라크와 함께 핵확산 금지 조약의 "IAEA 안전 조치 체제"에 가입할 것을 요구했다.[69] 더불어 이라크가 "입은 피해에 대해 적절한 배상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명시했다. 미국은 이 결의안에 찬성표를 던졌지만, 이스라엘에 대한 F-16 항공기 4대의 인도를 일시 중단하는 선에서 그쳤으며, UN의 추가적인 징벌적 조치는 막았다.[70][71] 항공기 인도 중단은 2개월 후 해제되었다.[72][73]유엔 총회도 1981년 11월 13일 결의안 제36/27호를 통해 이스라엘의 "사전 계획된 전례 없는 침략 행위"를 규탄하고, 이스라엘이 발생시킨 피해와 인명 피해에 대해 신속하고 적절한 보상을 요구했다.[74] 이 결의안은 또한 이스라엘에게 앞으로 그러한 조치를 취하지 말 것을 엄중히 경고했다.
UN 결의안 채택 과정에서 회원국들은 핵 확산 문제, 이스라엘 행동의 적절성 및 정당성에 대해 다양한 입장을 보였다. 이라크는 이스라엘의 공격 배후에 이스라엘의 핵무기 보유를 은폐하고 아랍 국가의 과학적, 기술적 지식 습득을 막으려는 의도가 있다고 주장했다.[30] 시리아는 이스라엘뿐만 아니라 "이스라엘에 전략적 동맹의 일환으로 파괴 수단을 계속 제공하고 있는" 미국도 규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75]
프랑스는 원자로의 유일한 목적이 과학 연구이며, 프랑스와 이라크 간의 협정은 군사적 사용을 배제한다고 밝혔다.[30] 영국은 이라크가 핵무기를 제조할 능력이 있다고 믿지 않는다고 밝혔다.[30] IAEA 사무총장은 바그다드 인근의 핵 연구 원자로에 대한 사찰 결과 안전 조치 협정 위반 사항이 발견되지 않았음을 확인했다.[30]
IAEA 이사회는 1981년 6월 9일부터 12일까지 회의를 열어 이스라엘의 행동을 규탄하고, 다음 총회에서 이스라엘의 회원 자격 특권과 권한을 정지하는 방안을 고려할 것을 요청했다.[76] 1981년 9월 26일, IAEA 총회는 이스라엘에 대한 모든 기술 지원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76] 이스라엘을 IAEA에서 추방하려는 결의안 초안이 제출되었으나 부결되었다.[76] 미국은 이 공격이 IAEA 규정을 위반한 것이 아니며, 이스라엘에 대한 징벌적 조치는 IAEA와 핵 확산 방지 체제에 큰 해를 끼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마거릿 대처 영국 총리는 "이러한 상황에서의 무력 공격은 정당화될 수 없다. 그것은 국제법의 심각한 위반을 나타낸다"라고 비판했다.[12] 진 커크패트릭 당시 유엔 주재 미국 대사는 이스라엘의 공격을 "충격적"이라고 묘사하며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에 비유했다.[12] ''뉴욕 타임스''는 "이스라엘의 기습 공격은 용납할 수 없고 근시안적인 침략 행위였다"고 비판했고,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이를 "국가 주도 테러"라고 규정했다.[12] 조나단 스틸은 ''가디언''에 기고한 글에서 당시의 국제사회의 반응을 상세히 묘사했다. 레이건 대통령은 공격 당일 일기장에 "나는 아마겟돈이 임박했다고 믿는다"고 적고, 베긴의 결정에 대해 "그는 우리와 프랑스에게 말했어야 했다. 우리는 위협을 제거하기 위해 무언가를 할 수 있었을 것이다"라고 덧붙였다.[78]
6. 사건의 영향 및 평가
바빌론 작전으로 이라크 군인 10명과 프랑스 민간인 1명이 사망했다.[10] 사망한 민간인은 에어 리퀴드와 프랑스 대체 에너지 및 원자력 위원회(CEA)의 직원이었던 다미앙 쇼세피에로 알려졌으며,[79][80][81] 1981년 이스라엘은 그의 유족에게 배상하기로 합의했다.[81]
이라크는 시설을 재건하겠다고 밝혔고, 프랑스는 원칙적으로 재건을 지원하기로 합의했다.[82] 그러나 이란-이라크 전쟁, 국제적인 압력, 이라크의 지불 문제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1984년에 협상이 결렬되었고 프랑스는 프로젝트에서 철수했다.[43][83] ''오시라크'' 시설은 1991년 걸프 전쟁까지 손상된 상태로 남아있었고, 이후 미국 공군의 연합 공습으로 완전히 파괴되었다.[84] 사담 후세인은 바빌론 작전을 막지 못한 책임을 물어 이라크 서부 방공 구역 사령관 파흐리 후세인 자베르 대령과 그의 지휘 아래 있는 모든 소령 이상의 장교들에게 사형을 명령했고, 다른 23명의 이라크 조종사와 장교들을 투옥시켰다.[64]
이 공격은 1981년 이스라엘 총선에 영향을 주었다. 시몬 페레스는 이 작전을 정치적인 책략이라고 비판했으나, 유권자들에게는 오히려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87] 미국 정부는 공격에 완전히 당황했으며, 미국 정보 기관의 전 고위 관리는 이스라엘 언론인 로넨 베르그만에게 공격 준비를 감지하지 못한 것이 미국 정보 공동체 내에서 심각한 정보 실패로 인식되었다고 말했다.[88] 2009년, 이라크 총리 누리 알-말리키는 이스라엘에게 원자로 파괴에 대한 배상을 요구했다.[89] 이라크 관리는 이라크의 배상 권리가 결의안 487에 의해 뒷받침된다고 주장했다.[89]
바빌론 작전에 대한 평가는 다음과 같이 엇갈린다.
- 이스라엘은 이 공격이 이라크의 핵 야망을 최소 10년 지연시켰다고 주장한다.[91]
- 빌 클린턴은 2005년 인터뷰에서 이 공격을 지지했다.[92]
- 루이스 르네 베레스는 1995년에 "오시라크에 대한 훌륭한 공습이 없었다면 1991년에 사담의 군대가 핵탄두를 장비했을지도 모른다"라고 썼다.[93]
- 케네스 월츠는 이스라엘의 공습은 이라크의 핵 미래를 막기는커녕 다른 일부 아랍 국가들의 지원을 얻어 핵 개발을 추진하게 했다고 평가했다.[95]
- 찰스 R. H. 트립은 이 공격 25주년 인터뷰에서 ''오시라크'' 폭격을 데이비드 벤구리온 총리 시절부터 시작된 이스라엘 군사 교리의 변형으로 묘사했다.[96]
- 조셉 시린시오네는 2006년에 이 폭격은 이라크보다 이스라엘에 더 큰 피해를 입혔다고 평가했다.[57]
- 이라크 연구자들은 이라크 핵 프로그램이 단순히 지하로 들어가 다변화되고 확장되었다고 주장한다.[99]
- 리처드 K. 베츠는 "이스라엘이 오시라크를 파괴한 것이 이라크의 핵무기 프로그램을 지연시켰다는 증거는 없다. 실제로 공격으로 인해 가속화되었을 수도 있다."라고 썼다.[104]
- 댄 레이터는 이 공격이 위험한 실패였다고 평가했다.[105][106]
- 말프리드 브라우트-헤그해머는 공격이 이전에 존재하지 않았던 비밀 핵무기 프로그램을 촉발했다고 평가했다.[107]
사막의 폭풍 이후, 당시 미국 국방 장관이었던 딕 체니는 이스라엘 작전 사령관에게 "1981년 이라크 핵 프로그램에 대한 훌륭한 임무를 수행한 것"에 대해 감사를 표했다.[109]
이 사건을 소재로 만들어진 픽션 스파이 소설로, 영국의 A. J. 퀴넬이 1982년에 출판한 『스냅 샷』 (Snap Shot)이 있다. 신예기 F-16의 조종사 중 한 명으로, 경험이 풍부한 조종사 일란 라몬이 있었다. 그는 후에 이스라엘 최초의 우주 비행사가 되었으나, 컬럼비아 우주왕복선 참사로 순직했다. 이라크는 1982년 폭격 1주년에 이스라엘을 비난하는 우표 4종을 발행했는데, 거기에서는 평화 이용 목적의 원자로였다고 주장했다.
6. 1. 이라크 핵 개발
이라크는 1960년대에 핵 프로그램을 시작했고, 1970년대 중반에는 핵 반응로 획득을 통해 이를 확장하려 했다.[15] 프랑스와 이탈리아를 설득하여 핵 시설을 구매하려 했으나 실패한 후, 프랑스 정부를 설득하여 오시리스급 연구용 원자로를 구매하는 데 성공했다.[16][17] 이 구매에는 더 작은 부속 이시스형 반응로, 72킬로그램의 93% 농축 우라늄 판매, 인력 훈련도 포함되었다.[18] 총 비용은 3억달러였다.[19] 1975년 11월, 양국은 핵 협력 협정을 체결했고 1976년에는 원자로 판매가 최종 확정되었다.[16]1979년 바그다드 근처 알 투와이타 핵 센터에서 40-메가와트 경수 핵 반응로 건설이 시작되었다.[20] 프랑스는 주요 원자로를 ''오시라크''(Osiraq)라고 명명했고, 이라크는 ''타무즈 1''(تموز|타무즈ar)과 ''타무즈 2''라고 명명했다.[21] 타무즈는 바빌론 달력에서 바트당이 1968년에 집권한 달이었다.[22]
이라크와 프랑스는 이라크 원자로가 평화적 과학 연구를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29] 프랑스와 이라크 간의 협정은 군사적 사용을 배제했다.[30] 그러나 미국의 민간 정보 기관 STRATFOR는 2007년에 우라늄 연료 원자로가 "무기 프로그램을 위한 플루토늄을 생산하기 직전의 상태였던 것으로 여겨진다"라고 썼다.[31]
이라크는 핵 확산 금지 조약의 서명국이었으며, 자국의 원자로를 국제 원자력 기구 (IAEA)의 안전 조치하에 두었다.[15]
6. 2. 이스라엘
이스라엘은 이 공격으로 이라크의 핵 개발을 최소 10년 지연시켰다고 주장한다.[91] 빌 클린턴은 2005년 인터뷰에서 "1981년 이스라엘이 오시라크에서 한 일은 정말 잘한 일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사담이 핵 개발을 하지 못하게 했으니까요."라며 이 공격을 지지했다.[92]1981년 이스라엘 총선 약 3주 전에 이 공격이 감행되면서 이스라엘 국내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야당 지도자 시몬 페레스는 이 작전을 정치적인 책략이라고 비판했지만, 유권자들은 리쿠드당과 메나헴 베긴 총리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87] 댄 페리는 "''오시라크'' 폭격과 페레스의 비판에 대한 형편없는 정치적 판단은 처음에는 리쿠드에게 희망이 없어 보였던 선거 운동의 흐름을 바꾸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87] 베긴은 리쿠드 집회에서 "선거를 위해 유대인 젊은이들을 죽음의 위험에 빠뜨리거나 죽음보다 더 끔찍한 포로로 만들겠습니까?"라고 반박하며 페레스의 비난을 일축했다.[87] 결국 6월 30일, 리쿠드는 페레스의 얼라인먼트 정당을 상대로 재선에 성공, 크네세트에서 단 1석 차이로 승리했다.[87]


이 작전의 성공 이후, 1991년 걸프 전쟁 당시 미국 공군의 공격으로 오시라크 원자로가 완전히 파괴될 때까지, 이스라엘은 베긴 독트린으로 알려진 정책을 통해 중동 지역에서 핵무기 개발을 저지하려는 노력을 계속했다.[109]
6. 3. 베긴 독트린
오시라크 원자로 폭격은 이스라엘의 안보를 위협하는 어떠한 적대적 행위에 대해서도 선제공격을 감행한다는 '베긴 독트린'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96] 이 독트린은 1981년 이스라엘 총리 메나헴 베긴이 이라크의 오시라크 원자로를 폭격한 바빌론 작전을 정당화하면서 처음 등장했다.[91]베긴 총리는 이라크의 핵 개발이 이스라엘에 실존적 위협이 된다고 판단했다. 그는 외교적 노력이 실패하자, 원자로가 가동되기 전에 공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원자로 가동 이후에는 방사능 오염으로 인해 바그다드까지 피해를 줄 수 있다는 것이 그의 논리였다.[20][58]
베긴 독트린은 이스라엘이 자국 안보를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적대국의 핵 시설을 포함한 어떠한 위협에 대해서도 선제적으로 군사력을 사용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96] 이는 국제법상의 논란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 안보 정책의 핵심 기조로 자리 잡았다.
2007년 오차드 작전은 베긴 독트린이 적용된 또 다른 사례이다. 이스라엘은 시리아가 비밀리에 핵 시설을 건설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F-15I와 F-16I 전투기를 동원하여 해당 시설을 폭격했다.[110]
6. 4. 한국의 시각
이 사건은 한반도 비핵화 문제와 관련하여 북한의 핵 개발 의혹과 한국의 대응 방안에 대한 논의를 촉발시켰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이스라엘의 선제공격이 국제법적으로 정당화될 수 없다는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하지만 보수 진영에서는 북한의 핵 위협에 대한 자위권 차원의 선제공격 필요성을 주장하는 근거로 이 사건을 활용하기도 한다.7. 관련 자료
- 아모스 펄머터, 마이클 I. 핸들, 우리 바르-요세프, ''바그다드 상공 2분''
- 제프 시몬스, ''이라크: 수메르에서 사담까지''
- 게리 D. 솔리스, ''무력 분쟁의 법: 전쟁에서의 국제 인도주의 법''
- 국제 연합 직원, ''국제 연합 연감 1981''
- ''1982년 월드 북 연감''
- 앤서니 코드스먼, ''이라크와 제재 전쟁: 재래식 위협과 대량 살상 무기''
- 베넷 램버그, ''적의 무기로서의 원자력 발전소: 인식되지 않은 군사적 위험''
- 사샤 폴라코프-서란스키, ''말하지 않은 동맹: 아파르트헤이트 남아프리카 공화국과의 이스라엘의 비밀 관계''
- 트리타 파르시, ''배신적인 동맹: 이스라엘, 이란, 미국의 비밀 거래''
- 이스라엘 스톡먼-쇼므론, ''이스라엘, 중동 및 강대국''
- 헨리 슈, 데이비드 로딘, ''선제: 군사 행동과 도덕적 정당화''
- 엘레인 시올리노, ''불법 국가: 사담 후세인의 권력 추구와 걸프 전쟁''
- 셜리 V. 스콧, 앤서니 빌링슬리, 크리스토퍼 미카엘센, ''국제법과 무력 사용: 문서 및 참고 안내서''
- 댄 페리, ''이스라엘과 영속성 추구''
- 슐로모 알로니, ''이스라엘 F-15 이글 부대의 전투''
- 프레드 홀로이드, ''핵무기에 대한 생각: 분석 및 처방''
- 리처드 C. 라가이니, ''핵 전쟁 및 지구 비상 사태에 관한 국제 세미나: 제29차 회의''
- 데이비드 스티안, ''프랑스와 이라크: 중동의 석유, 무기 및 프랑스 정책 결정''
- 레너드 스펙터, ''오늘날의 확산''
- 댄 맥키넌, ''불스아이 이라크''
- 패트릭 실, ''아사드: 중동을 위한 투쟁''
- 앨런 D. 애비, ''희망의 여정: 이스라엘 최초의 우주 비행사 일란 라몬의 이야기''
- 트레버 듀피, 폴 마텔, ''결함 있는 승리: 아랍-이스라엘 분쟁과 1982년 레바논 전쟁''
- 오피라 셀릭타르, ''분열된 우리: 미국 유대인, 이스라엘, 그리고 평화 과정''
- 피터 A. 클라우센, ''비확산과 국가 이익: 핵무기 확산에 대한 미국의 대응''
- 데이비드 크리거, ''핵무기 폐지의 도전''
- 세이모어 허쉬, ''삼손 옵션: 이스라엘의 핵무기고와 미국 외교 정책''
- 잭슨 냐무야 마오고토, ''테러리즘과의 싸움: 무력 사용 및 테러와의 전쟁에 대한 법적 관점''
- H. H. A. 쿠퍼, ''중동의 테러리즘과 간첩 행위: 속임수, 이동 및 거부''
- 배리 레너드, [http://www.dianepublishing.net/Technology_Transfer_to_the_Middle_East_p/1428923837.htm ''중동으로의 기술 이전'']
- 샤라드 S. 초한, ''이라크 전쟁''
- 밥 우드워드, ''부정의 시대: 부시의 전쟁, 3부''
- 임마드 카두리, ''이라크의 핵 신기루, 회고록 및 망상''
- 칼 P. 뮬러, ''선제 공격: 미국의 국가 안보 정책에서의 선제적 및 예방적 공격''
- 샤이 펠드먼, ''중동의 핵무기 및 군비 통제''
- 댄 매키넌 「저 원자로를 쳐라!」
- A. J. 퀴넬 「스냅 숏」
- 로저 클레이어 「이라크 원자로 공격! - 이스라엘 공군 비밀 작전의 전모」
- 「이스라엘 공군」
참조
[1]
문서
Perlmutter, p. 172.
[2]
서적
Two Minutes over Baghdad
Routledge
2008
[3]
뉴스
1981: Israel bombs Baghdad nuclear reactor
http://news.bbc.co.u[...]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1981-06-07
[4]
간행물
Israel Bombs Iraq's Osirak Nuclear Research Facility
http://www.washingto[...]
Andrew I. Kilgore
2010-11-30
[5]
웹사이트
Country Profiles -Israel
http://www.nti.org/c[...]
Nuclear Threat Initiative
2014-05
[6]
서적
Nuclear Power Plants as Weapons for the Enemy: An Unrecognized Military Peril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5
[7]
서적
Iraq and the War of Sanctions: Conventional Threats and Weapons of Mass Destruction
Praeger
1999
[8]
서적
International Law and the Use of Force: A Documentary and Reference Guide
Praeger
2009
[9]
문서
Scott, p. 132.
[10]
서적
The Unspoken Alliance: Israel's Secret Relationship with Apartheid South Africa
Pantheon
2010
[11]
뉴스
Israel's Illusion
https://www.nytimes.[...]
2023-02-13
[12]
뉴스
The Bush doctrine makes nonsense of the UN charter
https://www.theguard[...]
2010-11-29
[13]
서적
Preemption: Military Action and Moral Justifi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14]
뉴스
Osirak: Threats real and imagined
http://news.bbc.co.u[...]
2006-06-05
[15]
문서
Perlmutter, p. 40.
[16]
문서
Perlmutter, pp. 41–42.
[17]
간행물
The Israeli Strike Against Osiraq: the dynamics of fear and proliferation in the Middle East
http://www.globalsec[...]
[18]
서적
Israel, the Middle East, and the great powers
Transaction Books
1985
[19]
웹사이트
Iraq Profile: Nuclear Overview
http://www.nti.org/e[...]
Nuclear Threat Initiative (NPT)
2010-12-08
[20]
서적
Israeli F-15 Eagle Units in Combat
Osprey Publishing
2006
[21]
문서
Perlmutter, p. 46.
[22]
간행물
The Road To Osiraq: Baghdad's Quest for the Bomb
Middle East Institute
[23]
서적
Nuclear Shadowboxing: Legacies and Challenges
https://books.google[...]
DeVolpi, Inc.
2005
[24]
뉴스
Killing the Killers
http://www.newsweek.[...]
2010-12-13
[25]
뉴스
The secret life of Tzipi Livni
http://www.timesonli[...]
2008-09-20
[26]
잡지
Attack – and Fallout: Israel and Iraq
http://www.time.com/[...]
1981-06-22
[27]
서적
Thinking about nuclear weapons: analyses and prescriptions
Routledge
1985
[28]
문서
Holroyd, p. 151.
[29]
서적
The 1982 World Book Year Book
World Book Inc.
1983
[30]
서적
Yearbook of the United Nations 1981
United Nations Pubns
1984
[31]
웹사이트
Geopolitical Diary: Israeli Covert Operations in Iran
http://www.stratfor.[...]
STRATFOR
2007-02-02
[32]
서적
International Seminar on Nuclear War and Planetary Emergencies: 29th session
World Scientific Publishing
2003
[33]
뉴스
Letters to the Editor
https://www.theatlan[...]
2010-11-29
[34]
웹사이트
Myth: Israel's Strike on Iraqi Reactor Hindered Iraqi Nukes
http://www.accuracy.[...]
Institute for Public Accuracy
2006-03-16
[35]
웹사이트
Bomb Iran and it will surely decide to pursue nuclear arms
https://www.theguard[...]
2012-05-16
[36]
학술지
10 years ago in the Bulletin
https://books.google[...]
Educational Foundation for Nuclear Science, Inc.
2010-11-30
[37]
학술지
Osirak and international security
https://books.google[...]
Educational Foundation for Nuclear Science, Inc.
2010-11-30
[38]
문서
Perlmutter, p. 67
[39]
서적
Iraq: From Sumer to Saddam
St. Martin's Press
[40]
문서
"Analysis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Israel's Strike Against the Iraqi Nuclear Reactor 7 June 1981''
Menachem Begin Heritage Center
[41]
서적
The Outlaw State: Saddam Hussein's Quest for Power and the War in the Gulf
John Wiley & Sons Inc.
[42]
서적
Striking First: Preemptive and Preventive Attack in U.S. National Security Policy
https://books.google[...]
RAND Corporation
2011-06-23
[43]
문서
Cordesman, p. 606.
[44]
서적
France and Iraq: Oil, Arms and French Policy Making in the Middle East
I.B. Tauris
[45]
문서
Bergman, Ronen: ''Rise and Kill First'', pp. 350–352
[46]
서적
United States and Iraq Since 1979: Hegemony, Oil and War
Edinburgh University Press
[47]
서적
Proliferation Today
Vintage Books
[48]
학술지
Target: Saddam's Reactor; Israeli and Iranian Operations against Iraqi Plans to Develop Nuclear Weapons
https://www.angelfir[...]
Key Publishing
[49]
웹사이트
McNair Paper 41, Radical Responses to Radical Regimes: Evaluating Preemptive Counter-Proliferation, May 1995, note 39
http://www.au.af.mil[...]
Au.af.mil
2011-06-19
[50]
웹사이트
Preventive Attacks against Nuclear Programs and the "Success" at Osiraq
http://www.diplomati[...]
2010-11-29
[51]
웹사이트
McNair Paper 41, Radical Responses to Radical Regimes: Evaluating Preemptive Counter-Proliferation, May 1995
http://www.au.af.mil[...]
Au.af.mil
1980-09-30
[52]
서적
Treacherous Alliance: The Secret Dealings of Israel, Iran, and the United States
Yale University Press
[53]
서적
Asad: The Struggle for the Middle Eas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4]
서적
Journey of Hope: The Story of Ilan Ramon, Israel's First Astronaut
Geffen Publishing House
[55]
서적
Ariel Sharon: An Intimate Portrait
Palgrave Macmillan
[56]
서적
Nuclear Weapons and Arms Control in the Middle East
MIT Press
[57]
웹사이트
No Military Options
http://www.carnegiee[...]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2010-12-01
[58]
서적
Physics and Nuclear Arms Today
https://books.google[...]
Springer
1991
[59]
학술지
Osirak and international security
https://books.google[...]
Educational Foundation for Nuclear Science, Inc.
2010-11-30
[60]
서적
Physics and Nuclear Arms Today: Section 5 Nuclear Prolifer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1991
[61]
학술지
Osirak Redux? Assessing Israeli Capabilities to Destroy Iranian Nuclear Facilities
http://muse.jhu.edu/[...]
Belfer Center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Affairs
2010-12-01
[62]
서적
The Law of Armed Conflict: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in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63]
서적
Iran at war: 1500–1988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Ltd.
[64]
웹사이트
Target: Saddam's Reactor
https://www.angelfir[...]
[65]
웹사이트
Operation Opera
http://www.iafe.net/[...]
2010-08-28
[66]
문서
"The Raid on the Reactor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hief of Staff," ''Israel's Strike Against the Iraqi Nuclear Reactor 7 June 1981''
Menachem Begin Heritage Center
[67]
서적
Flawed Victory: Arab-Israeli Conflict and the 1982 War in Lebanon
Hero Books
[68]
웹사이트
S-RES-487(1981) Security Council Resolution 487 (1981)
http://domino.un.org[...]
United Nations
2011-06-19
[69]
간행물
1981-06-19
[70]
서적
Divided We Stand: American Jews, Israel, and the Peace Process
Praeger
[71]
서적
Nonproliferation and the National Interest: America's Response to the Spread of Nuclear Weapons
Longman
1992
[72]
서적
The challenge of abolishing nuclear weapons
Transaction Publishers
2009
[73]
웹사이트
The Samson Option: Israel's Nuclear Arsenal and American Foreign Policy
https://www.scribd.c[...]
Random House Inc.
1991
[74]
문서
[75]
문서
[76]
웹사이트
Precautionary Self-Defense: Preempting Nuclear Proliferation
https://www.scribd.c[...]
2010-12-02
[77]
서적
Battling Terrorism: Legal Perspectives on the Use of Force and the War on Terror
Ashgate Publishing
2005
[78]
간행물
Editor's Note: Nuclear Options
2010-09
[79]
문서
[80]
서적
Terrorism and Espionage in the Middle East: Deception, Displacement and Denial
Edwin Mellen Press
2006
[81]
간행물
Israel Pays a Raid Victim's Family
https://books.google[...]
2010-11-30
[82]
서적
Technology Transfer to the Middle East
DIANE Publishing
1984
[83]
서적
War on Iraq
New Delhi
2003
[84]
웹사이트
Osiraq – Iraq Special Weapons Facilities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11-07-24
[85]
간행물
Iraq and the Rules of the Nuclear Game
http://www.iraqwatch[...]
2010-12-08
[86]
뉴스
Begin says Gulf war vindicated Israeli attack on reactor
https://news.google.[...]
1991-07-11
[87]
서적
Israel and the Quest for Permanence
McFarland & Co Inc.
1999
[88]
뉴스
NSA spying on Israel: This is how you treat your enemies
https://www.ynetnews[...]
2016-01-03
[89]
웹사이트
Iraq demands compensation from Israel
https://www.youtube.[...]
Al-Alam News Network
2009-06-06
[90]
웹사이트
Iraq pursuing compensation for Israel nuke attack
http://www.siasat.co[...]
2010-01-06
[91]
문서
Parliamentary Assembly – Working papers – 2007 Ordinary Session (Third part) 25–29 June 2007 – Volume V (2008)
Council of Europe
[92]
웹사이트
Transcript: Interview at the World Economic Forum in Davos
http://www.clintonfo[...]
The Clinton Foundation
2005-01-27
[93]
문서
Reconsidering Israel's Destruction of Iraq's Osiraq Nuclear Reactor
https://www.jewishvi[...]
Menachem Begin Heritage Center
1995
[94]
웹사이트
Zeev Raz
https://www.youtube.[...]
Leadel.net
2010-01-31
[95]
간행물
The Spread of Nuclear Weapons: More May Be Better
http://www.mtholyok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2010-12-10
[96]
뉴스
Osirak: Threats real and imagined
http://news.bbc.co.u[...]
2006-06-05
[97]
뉴스
Papers From Iraqi Archive Reveal Conspiratorial Mind-Set of Hussein
https://www.nytimes.[...]
2011-10-25
[98]
간행물
Entering the Valley of Uncertainty: The Future of Preemptive Attack
World Affairs Institute
2004-Fall
[99]
웹사이트
A Preemptive Attack on Iran's Nuclear Facilities: Possible Consequences
http://cns.miis.edu/[...]
James Martin Center for Nonproliferation Studies
2004-08
[100]
서적
Iraq's Nuclear Mirage, Memoirs and Delusions
Springhead Publishers
2003
[101]
서적
Proliferation: Threat and Response
DIANE Publishing
1996
[102]
서적
Comprehensive Report of the Special Advisor to the DCI on Iraq's WMD (The Duelfer Report)
https://www.cia.gov/[...]
2004-09-30
[103]
서적
State of Denial
Simon & Schuster
[104]
간행물
The Osirak Fallacy
http://nationalinter[...]
2006-03-01
[105]
간행물
The Osiraq Myth and the Track Record of Preventive Military Attacks
http://www.pitt.edu/[...]
Pittsburgh's Ridgway Center
2004-10
[106]
논문
Preventive Attacks Against Nuclear Programs and the 'Success' at Osiraq
http://www.diplomati[...]
Routledge
2012-03-13
[107]
논문
Revisiting Osirak: Preventive Attacks and Nuclear Proliferation Risks
http://belfercenter.[...]
2012-03-13
[108]
웹사이트
Can an Attack Deny Iran the Bomb?
http://www.huffingto[...]
2012-03-13
[109]
뉴스
Israeli Attack on Iraqi Reactor Offers History Lesson for Obama
http://blogs.britann[...]
Encyclopædia Britannica Blog
2010-03-16
[110]
뉴스
Ending a decade of silence, Israel confirms it blew up Assad's nuclear reactor
https://www.timesofi[...]
2018-03-21
[111]
서적
国際法辞典
有斐閣
[112]
간행물
(7)イスラエル機によるイラク原子炉爆撃に関する国連安全保障理事会決議487(仮訳)
https://www.mofa.go.[...]
外務省
[113]
서적
イラク原子炉攻撃!
並木書房
[114]
서적
イラク原子炉攻撃!
並木書房
[115]
서적
イラク原子炉攻撃!
並木書房
[116]
웹사이트
Free Article for Non-Members {{!}} STRATFOR
https://web.archive.[...]
2022-05-14
[117]
서적
International Seminar on Nuclear War and Planetary Emergencies: 29th session.
World Scientific Publish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