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이패스 도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이패스 도로는 기존 도로의 교통 체증을 완화하고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해 건설되는 우회 도로이다. 이는 본선과 같은 노선명을 사용하며, 때로는 '○○ 바이패스'와 같은 명칭이 붙는다. 바이패스 도로는 좁은 의미로는 본선 두 지점 사이를 연결하는 도로를, 넓은 의미로는 실질적으로 바이패스 역할을 하는 다른 노선을 포함한다. 주요 기능은 교통량 분산, 교통사고 감소, 주행 시간 단축 등이며, 도시부에서는 시가지 통과 교통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고, 산간부에서는 병목 현상을 해소하여 지역 간 교통을 촉진한다. 건설에는 주민 이주나 부지 확보 등의 영향이 있으며,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지역 경제 활성화, 부정적인 측면으로는 농지 분단 등이 있다. 해외에서는 캐나다, 영국, 미국 등에서 다양한 형태의 바이패스 도로가 건설되었으며, 페리 항로를 바다의 바이패스로 부르기도 한다.

2. 기능

바이패스 도로는 본래의 도심부와 간부 일대에서 기존 도로의 정체, 지체 및 병목 현상을 완화하는 기능을 한다.

3. 건설의 목적

바이패스 도로는 도로의 안전 향상 및 물류 고속화를 목적으로 건설된다[11]교통 체증은 도로 교통 용량을 초과하는 교통 집중이나 교차로 등 교통 처리 시스템 문제로 발생하는데, 바이패스 도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설된다[10]

도심에서는 넓고 신호등과 교차로가 적은 도로를 만들어 교통 흐름을 개선한다. 해안선, 산악 지대의 고개, 계곡 등 선형이 좋지 않은 협소 도로에서는 터널이나 교량으로 급경사를 줄이고 굽이길을 없애 시야가 좋은 완만한 선형으로 정비하여 운전을 용이하게 한다.

3. 1. 정의

좁은 의미로는, 본선의 두 지점 사이를 다른 경로로 연결하는 도로를 가리킨다. 본선과 같은 노선명이 부여되며, 구별하기 위해 '''○○ 바이패스''' 등의 명칭이 부가된다. 바이패스 도로의 기점과 종점 중, 한쪽 또는 양쪽이 본선과 연결되지 않은 경우도 있지만, 장래에 연장하여 연결할 구상이나, 다른 노선을 경유한 간접 연결로 건설된 경우도 있다.

넓은 의미로는, '''○○ 바이패스'''의 명칭이 붙어 있지 않더라도, 실질적으로 바이패스의 역할을 하고 있는 다른 노선도 가리킨다. 바이패스로 건설된 도로가 본선(현도라고도 한다)이 되고, 그 전까지 본선이었던 것이 구도로로서 등급이 낮은 노선이 되는 경우가 있다. 바이패스가 본선이 된 경우, 일반적으로 이쪽은 바이패스가 아니게 되지만, 도로의 애칭이 없는 경우나 "바이패스"라는 호칭이 강하게 침투되어 있는 경우 등은, 계속해서 그것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여러 노선을 가로로 연결하는 도로가 바이패스로 명명되는 경우도 있다.

바이패스 도로는 통행료가 무료인 경우와 유료인 경우가 있다. 다액의 사업비가 소요된 경우 등에는, 수익자 부담의 관점에서, 도로 이용자로부터 요금을 징수하는 유료 도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상환이 끝나 유료의 바이패스 도로가 무료 개방되는 사례도 보인다.

일본의 행정 기관의 전문 용어에서는, 전선 개통된 바이패스 도로를 새로운 "현도", 기존의 도로는 "구도"로 일반적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많지만, 바이패스로 양단이 현도에 연결되지 않고, 전선 개통에 이르지 않은 부분 개통된 바이패스 도로 구간은 "신도"로 구분된다.

3. 2. 구조

기존 구 도로와 비교하여 선형 개량 및 확폭이 이루어지며, 커브나 구배를 줄이기 위해 터널, 깎기·고가교를 다수 활용하거나, 신호를 줄이기 위해 입체 교차 구조로 건설하여, 보다 고규격의 도로로 개통한다[11]。 또한, 계획 당시의 정비 예산, 교통량 예측, 용지 수용의 진척도 등에 따라 임시 2차선 도로로 개통 후, 나중에 확폭·완성되는 경우나, 평면 교차로 개통 후, 나중에 당초 계획대로 또는 계획 변경을 통해 입체 교차화되는 경우도 있다. 바이패스 건설에 따라, 암거 박스나 오버 브리지와 같은 횡단 시설 외에도, 나들목의 위치 변경, 서비스 도로(측도)의 건설, 하수도관의 루트 변경 등의 정비가 필요할 수 있다[11]

바이패스 도로는 계획된 도로 전체가 완성된 후 개통하는 경우와, 계획한 바이패스의 연장이 장거리인 경우에는, 도로를 관리하는 행정의 예산상 사정에 따라, 그 일부 구간만을 연도별로 순차적으로 완성시키고, 기존 도로와 교차하는 연락 도로로 연결하여, 사다리꼴 형태로 단계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4. 바이패스의 효과

바이패스 도로는 도심부와 산간부 일대에서 기존 도로의 정체, 지체 및 병목 현상을 완화하는 효과를 가진다.

4. 1. 유효성

바이패스 건설은 도로의 안전 향상 및 물류의 고속화를 목적으로 한다.[11] 교통량이 증가하여 교통 체증이 발생할 경우, 도로 교통 용량을 초과하는 교통 집중 또는 교차로 등 교통 처리 시스템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10]

바이패스 도로의 유효성은 사업 도로에서의 교통량, 교통 사고 발생 상황, 주행 시간 단축, 내부 수익률(사회적 할인율) 등이 고려된다.[11]

; 교통량

: 바이패스 건설은 교통량 증가에 대응하여 도로 안전성 향상 및 물류 고속화를 목적으로 한다.[11] 바이패스 건설로 장거리 교통 증가, 일반 도로에서 고속도로로의 전환 교통 증가가 발생할 수 있다.[11] 교통 수요의 대폭적인 증가로 인해 이전에 건설된 바이패스 도로가 좁아져, 바이패스 도로를 다시 바이패스하는 도로 건설도 이루어지고 있다.

; 교통 사고 억제

: 바이패스 건설은 교통량을 줄여 교통 사고율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만, 타이어 파열이나 속도 위반 등 다른 요인에 의한 사고도 발생할 수 있다.[11]

; 주행 시간 단축

: 바이패스 건설은 주행 시간 단축을 통한 물류 고속화 등도 목적으로 한다.[11]

; 내부 수익률

: 재무적 내부 수익률(FIRR)은 건설비, 유지 관리비, 채무 지불 비용, 세금 등을 비용으로, 요금 수입을 정량적 편익으로 산정한다.[11] 또한, 경제적 내부 수익률(EIRR)은 건설비, 유지 관리비를 비용으로, 연료 절약, 유지 관리비 절감을 정량적 편익으로 산정한다.[11]

4. 2. 효과

바이패스 도로는 도심부와 산간부 일대에서 기존 도로의 정체, 지체 및 병목 현상을 완화하는 효과를 가진다.

4. 2. 1. 도시부에서의 효과

바이패스 도로는 본디의 도심부에서 기존 도로의 정체, 지체 및 병목 현상을 완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어떤 시가지에 바이패스 도로를 설치하면, 통과 교통(그 도로를 통과하는 교통)이 시가지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정체, 사고, 소음, 진동, 배출 가스 오염, 포장 열화 등의 문제를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다. 시가지에서는 어려운 대규모 도로 확폭도 가능해진다. 통과 교통뿐만 아니라, 해당 시가지를 출발지 또는 목적지로 하는 교통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도 한다.[1]

4. 2. 2. 산간부에서의 효과

산간 지역에서는 굴곡이 심하고 좁은 구간이 많아 병목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데, 바이패스 도로를 건설하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간 교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1] 또한 대형 차량 통행이 가능해져 물류 흐름이 개선되고, 구급차가 더 빠르게 이동할 수 있어 응급 의료 서비스 향상에도 기여한다.[1]

길 어깨 붕괴와 같은 재해가 자주 발생하는 지역에 바이패스 도로를 설치하면 사고 예방, 재해 복구 비용 절감, 통행 불가능 기간 단축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1]

5. 바이패스의 영향

바이패스 도로는 사회, 경제, 환경 등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 건설 과정에서 주민 이주나 부지 확보가 필요하며, 이는 공사 기간에 영향을 줄 수 있다.[11] 교통사고 감소 등 안전성이 높아지지만, 마을 간 왕래나 공공 서비스 접근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11]

지역 경제 측면에서는 도로 건설로 유통이 활발해지고, 기업 진출을 통한 고용 창출, 관광 루트 개발 등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11] 그러나 농지나 지역 사회 분단 등 부정적인 측면도 고려해야 한다.[11]

자연 환경 측면에서는 동식물에 대한 배려와 공사 소음 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12]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교통량 분산으로 인한 대기 오염 및 소음 공해 감소가 있다.[11]

일본의 경우, 바이패스 도로 건설 후 이전 도로는 "구도"로 불리며, 행정상 이관되어 격이 낮은 도로로 지정되는 경우가 많다.[13] 다만, 유료 바이패스 도로는 무료화될 때까지 구도도 일반 국도로 유지된다.[13] 신도가 현도로 지정된 경우에는 바이패스라는 명칭이 부자연스럽지만, 그대로 남는 경우도 있다. 지방 도시에서는 차량 통행이 바이패스 도로로 옮겨가 기존 도로가 쇠퇴하는 경우가 있으며, 산악 지대에서는 구도가 폐도가 되기도 한다. 대도시 주변에서는 바이패스 개통 후에도 구도가 주요 도로로 기능하는 경우가 많으며, 기존 도로가 국도였을 경우 노선 지정이 국도로 유지되는 경우도 있다. 간선 국도에 바이패스가 개통되면 기존 노선 번호가 3자리 노선 번호로 바뀌는 경우도 있다.

고속도로 건설을 위해 일반 국도의 바이패스 명목으로 국토교통성 직할 고속도로가 건설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 기간 도로로서의 국도는 격하되지 않는다.

5. 1. 주요 영향

바이패스 도로는 사회, 경제, 환경 등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

; 주민 이주 및 부지 확보

: 바이패스 건설에는 주민 이주나 부지 확보가 필요한 경우가 많아 공사 기간에 영향을 줄 수 있다.[11]

; 사회 환경에 미치는 영향

: 교통사고 감소 등 안전성이 높아지지만, 마을 간 왕래나 공공 서비스 접근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11]

; 지역 경제 발전

: 도로 건설로 지역 유통이 활발해지고, 기업 진출을 통한 고용 창출, 관광 루트 개발 등 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11] 반면 농지나 지역 사회 분단 등 부정적인 측면도 발생할 수 있다.[11]

; 자연 환경에 미치는 영향

: 귀중한 동식물에 대한 배려, 공사 소음 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12]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교통량 분산으로 정체가 완화되어 대기 오염 개선, 소음 공해 감소 등이 있다.[11]

5. 2. 일본의 바이패스 건설 후 도로 관리

바이패스 도로가 건설되면 그 이전의 도로는 "구도"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다. 이 구도는 행정상 이관되어 격이 낮은 도로 구분 (예: 일반 국도에 대한 도도부현도, 시정촌도)으로 지정되는 경우가 있다. 다만 일반 국도의 바이패스 도로가 유료일 경우에는, 상환 기한이 지나 무료화될 때까지 구도도 일반 국도 지정 상태로 있는 것이 통례이다.[13] 신도가 현도(現道)로 지정된 경우에는 바이패스라는 명칭이 부자연스럽지만, 그대로 남아 있는 경우도 많다. 지방 도시에서는 차량 통행이 바이패스 도로로 옮겨가 본래의 국도 현도 등의 메인 도로가 잘 사용되지 않게 되어 쇠퇴하는 경우가 있다. 산악 지대의 경우에는 교통 수요나 도로 유지 비용 문제로 구도가 폐기되어 그대로 폐도가 되는 경우도 있다. 대도시 주변에서는 바이패스 개통 후에도 구도의 교통량이 많아 여전히 주요 도로로 기능하는 경우도 적지 않으며, 기존 도로가 국도였을 경우에는 도도부현도·시정촌도로 강등에 반대하는 연선 주민도 있기 때문에 노선 지정은 국도로 유지되는 경우가 있다. 1~2자리 번호의 간선 국도에 바이패스가 개통되었을 때는, 기존의 노선 번호에서 3자리 노선 번호 지정으로 바뀌는 경우도 있다.

고속도로를 건설하기 위해 일반 국도의 바이패스라는 명목으로 국토교통성 직할의 고속도로가 건설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기간 도로로서의 국도가 격하되는 일은 없다.

6. 해외 사례


  • '''캐나다'''


온타리오주에는 도널드 코즌스 파크웨이(2004년부터 2006년까지 마컴 바이패스로 불림)와 마컴 시의 박스 그로브 바이패스가 있다. 토론토에서는 1950년대에 2번 고속도로를 우회하는 도로로 401번 고속도로의 일부가 건설되면서 토론토 바이패스로 불렸다. 온타리오 2A번 고속도로는 토론토와 뉴캐슬 사이의 2번 고속도로를 우회하기 위해 건설되었고, 칼레도니아 바이패스는 칼레도니아의 6번 고속도로 일부 구간이다.

노바스코샤주에서는 톰슨 스테이션과 매스타운 사이의 104번 고속도로 구간이 구어체로 코베키드 패스로 불린다. 이 이름은 코베키드 산맥을 가로질러 웬트워스 계곡을 우회하는 도로 구간에 해당한다.

  • '''영국'''


우회 도로라는 개념은 자동차가 사용되기 이전부터 있었다. 최초의 (북부) 런던 우회 도로는 현재 메릴본 로드로, 패딩턴이즐링턴 사이를 연결하며 1756년에 착공되었다.

우회 도로 건설에는 계획 승인과 자금 조달에 여러 해가 걸릴 수 있다. 노스 서머싯의 반웰과 같이 많은 도시와 마을이 30년 이상 우회 도로 건설을 요구하기도 했다.[2]

뉴버리 우회 도로 건설 중에는 대규모 시위가 발생했다. 공식 명칭은 윈체스터-프레스턴 간선 도로(A34) (뉴버리 우회 도로)이며, 잉글랜드 버크셔의 뉴버리 마을을 우회하는 약 14.48km 길이의 복선 차도이다. 이 시위는 대중적으로 '뉴버리의 세 번째 전투'로 알려졌는데, 이는 주요 시위 단체 중 하나가 채택한 이름이기도 했다. 이 이름은 잉글랜드 내전 중 마을 근처에서 벌어진 1643년의 뉴버리 1차 전투와 1644년의 뉴버리 2차 전투를 참고하여 지어졌다.

  • '''미국'''


미국에서 바이패스 노선은 고속도로 주 노선이 마을을 통과할 때 마을 주변을 우회하는 대체 노선으로 사용되는 일종의 특별 노선이다. 원래 명칭은 마을에서 트럭 교통을 우회시키기 위한 "트럭 노선"이었지만, 1959년 AASHTO에 의해 "바이패스"로 변경되었다.[3] 그러나 고속도로 본선에서 트럭 통행이 금지된 "트럭" 노선도 많이 남아 있다.

비즈니스 노선과 바이패스 노선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는 드물며, 각각 보조 표지판을 갖추고 있다(예: 켄터키주 렉싱턴의 미국 국도 60번). 바이패스 노선은 비즈니스 노선보다 흔하지 않다. 주간 고속도로 시스템 시대 이전에 존재했던 노선 중 많은 수가 기존 지정 방식을 잃었다. 예를 들어, 미주리주에서 캔자스시티 동쪽으로 가는 미국 국도 71번의 구 바이패스 노선은 주간 고속도로 435번이 이를 대체하면서 폐지된 고속도로가 되었다. 교외의 표면 노선으로 남아 있던 노선은 미주리주 노선 291번이 되었다.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주변에서는 미국 국도 50번 바이패스가 주간 고속도로 44번과 주간 고속도로 64번에서 갈라져 나온 미국 국도 50번의 우회로에 흡수되었다.

주간 고속도로 95번을 따라가는 머리 위 표지판으로, 버지니아주 리치몬드의 바이패스 노선으로 주간 고속도로 295번을 표시함


미국 주간 고속도로 시스템에서 주요 노선은 1자리 또는 2자리 숫자로 지정되며, 바이패스 및 루프는 일반적으로 짝수로 시작하는 3자리 숫자로 지정된다. 그러나 이 규칙에는 예외가 많다.

"바이패스 노선"(보통 단순히 "바이패스"라고 함)이라는 용어는 교통 체증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을 우회하기 위해 건설된 고속도로를 의미하기도 한다. 여기에는 시내 지역을 우회하기 위해 건설된 주간 고속도로 순환도로 및 미국 고속도로가 포함된다.

미국 최초의 바이패스 노선은 1958년 앨라배마주 도선의 앨라배마주 노선 210번(로스 클라크 서클)으로 완공되었다.[4]

미국에서는 철도 전문 용어에서 차용한 단어인 슈플라이가 건설 현장이나 기타 임시 장애물을 우회하기 위해 건설된 짧은 임시 도로를 지칭하는 데에도 사용된다.[3]

  • '''브라질'''


브라질에서 가장 넓고 통행량이 많은 우회 도로는 상파울루주에 있으며, 이 도로들은 대도시 주변에서 서로 교차하고 합쳐져 순환 도로 형태를 이룬다. 특히 마리우 코바스 링 로드(Rodoanel Mário Covas)는 상파울루 시를 둘러싸고 대도시권의 다른 도시들을 통과하는, 완공 시 총 180km에 달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이다. 이 도로는 여러 구간으로 나뉘어 있고 주요 고속도로와 연결되어 있다. 통행료를 징수하지는 않지만, 다른 고속도로로 진입할 때는 요금소를 거치는 경우가 많다.

  • '''아시아'''


홍콩에는 여러 개의 바이패스(우회도로)가 있다. 초기에는 아일랜드 이스턴 회랑, 이스트 구룡 회랑, 웨스트 구룡 회랑, 룽청과 칭청 로가 있었다. 이후에는 쿤통 바이패스, 훙홈 바이패스, 마온산 바이패스와 같이 이름에 직접 '바이패스'가 붙은 도로들이 건설되었다. 이 외에도 톨로 고속도로의 타이포 구간, 툰문 로의 툰문 신시가지 내 구간, 위엔롱 고속도로, 웨스트 구룡 고속도로 등이 바이패스 역할을 한다. 센트럴-완차이 바이패스는 센트럴과 코즈웨이 베이 사이를 잇는 터널로, 건설에 281억홍콩 달러가 소요되었다.[5]

6. 1. 캐나다

온타리오주에는 도널드 코즌스 파크웨이(2004년부터 2006년까지 마컴 바이패스로 불림)와 마컴 시의 박스 그로브 바이패스가 있으며, 토론토에서는 401번 고속도로의 일부가 1950년대에 2번 고속도로를 우회하는 도로로 건설되면서 토론토 바이패스로 불렸다. 온타리오 2A번 고속도로는 토론토와 뉴캐슬 사이의 2번 고속도로를 우회하기 위해 건설되었고, 칼레도니아 바이패스는 칼레도니아의 6번 고속도로의 일부 구간이다.

노바스코샤주에서는 104번 고속도로의 톰슨 스테이션과 매스타운 사이 구간이 구어체로 코베키드 패스로 불린다. 이 이름은 코베키드 산맥을 가로질러 웬트워스 계곡을 우회하는 도로 구간에 해당한다.

6. 2. 영국

우회 도로라는 개념은 자동차가 사용되기 이전부터 있었다. 최초의 (북부) 런던 우회 도로는 현재 메릴본 로드로, 패딩턴이즐링턴 사이를 연결하며 1756년에 착공되었다.

우회 도로를 건설하려면 계획 승인과 자금 조달에 여러 해가 걸릴 수 있다. 노스 서머싯의 반웰과 같이 많은 도시와 마을이 30년 이상 우회 도로 건설을 요구하기도 했다.[2]

뉴버리 우회 도로 건설 중에는 대규모 시위가 발생했다. 공식 명칭은 윈체스터-프레스턴 간선 도로(A34) (뉴버리 우회 도로)이며, 잉글랜드 버크셔의 뉴버리 마을을 우회하는 약 14.48km 길이의 복선 차도이다. 이 시위는 대중적으로 '뉴버리의 세 번째 전투'로 알려졌는데, 이는 주요 시위 단체 중 하나가 채택한 이름이기도 했다. 이 이름은 잉글랜드 내전 중 마을 근처에서 벌어진 1643년의 뉴버리 1차 전투와 1644년의 뉴버리 2차 전투를 참고하여 지어졌다.

6. 3. 미국

미국에서, 바이패스 노선은 고속도로의 주 노선이 마을을 통과할 때 마을 주변을 우회하는 대체 노선에 사용되는 일종의 특별 노선이다. 원래 명칭은 마을에서 트럭 교통을 우회시키기 위한 "트럭 노선"이었지만, 1959년 AASHTO에 의해 "바이패스"로 변경되었다.[3] 그러나 고속도로 본선에서 트럭 통행이 금지된 "트럭" 노선도 많이 남아 있다.

비즈니스 노선과 바이패스 노선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는 드물며, 각각 보조 표지판을 갖추고 있다(예: 켄터키주 렉싱턴의 미국 국도 60번). 바이패스 노선은 비즈니스 노선보다 흔하지 않다. 주간 고속도로 시스템 시대 이전에 존재했던 노선 중 많은 수가 기존 지정 방식을 잃었다. 예를 들어, 미주리주에서 캔자스시티 동쪽으로 가는 미국 국도 71번의 구 바이패스 노선은 주간 고속도로 435번이 이를 대체하면서 폐지된 고속도로가 되었다. 교외의 표면 노선으로 남아 있던 노선은 미주리주 노선 291번이 되었다.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주변에서는 미국 국도 50번 바이패스가 주간 고속도로 44번과 주간 고속도로 64번에서 갈라져 나온 미국 국도 50번의 우회로에 흡수되었다.

미국 주간 고속도로 시스템에서 주요 노선은 1자리 또는 2자리 숫자로 지정되며, 바이패스 및 루프는 일반적으로 짝수로 시작하는 3자리 숫자로 지정된다. 그러나 이 규칙에는 예외가 많으며, 3자리 숫자가 있는 노선이 마을을 통과하는 주요 노선으로 사용되는 반면 1자리 또는 2자리 숫자가 있는 노선이 바이패스로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아이오와주 데모인(주간 고속도로 235번는 시내를 통과하는 반면 주간 고속도로 35번과 주간 고속도로 80번은 시내를 우회),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주간 고속도로 480번은 오마하 시내를 통과하는 반면 주간 고속도로 80번은 바이패스 중 하나),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이 도시는 주간 고속도로 279번과 주간 고속도로 376번을 이용하며, 주간 고속도로 70번, 주간 고속도로 76번, 주간 고속도로 79번은 모두 도시 경계를 우회) 등이 이에 해당한다.

"바이패스 노선"(보통 단순히 "바이패스"라고 함)이라는 용어는 교통 체증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을 우회하기 위해 건설된 고속도로를 의미하기도 한다. 여기에는 시내 지역을 우회하기 위해 건설된 주간 고속도로 순환도로 및 미국 고속도로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버지니아주 윌리엄스버그를 우회하는 미국 국도 60번, 조지아주 애틀랜타 시내를 우회하는 주간 고속도로 285번, 인디애나주 사우스벤드 광역 도시권을 우회하는 미국 국도 20번/미국 국도 31번(세인트 조셉 밸리 파크웨이), 플로리다주 탬파와 플로리다주 세인트피터스버그를 우회하는 주간 고속도로 75번 등이 있다. 이러한 바이패스는 일반적으로 보조 "바이패스" 노선이 아닌 주요 노선을 운행한다.

미국 최초의 바이패스 노선은 1958년 앨라배마주 도선의 앨라배마주 노선 210번(로스 클라크 서클)으로 완공되었다.[4]

미국에서는 철도 전문 용어에서 차용한 단어인 슈플라이가 건설 현장이나 기타 임시 장애물을 우회하기 위해 건설된 짧은 임시 도로를 지칭하는 데에도 사용된다.[3]

6. 4. 브라질

브라질에서 가장 넓고 통행량이 많은 우회 도로는 상파울루주에 있으며, 이 도로들은 대도시 주변에서 서로 교차하고 합쳐져 순환 도로 형태를 이룬다. 특히 마리우 코바스 링 로드(Rodoanel Mário Covas)는 상파울루 시를 둘러싸고 대도시권의 다른 도시들을 통과하는, 완공 시 총 180km에 달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이다. 이 도로는 여러 구간으로 나뉘어 있고 주요 고속도로와 연결되어 있다. 통행료를 징수하지는 않지만, 다른 고속도로로 진입할 때는 요금소를 거치는 경우가 많다.

6. 5. 아시아

홍콩에는 여러 개의 바이패스(우회도로)가 있다. 처음에는 아일랜드 이스턴 회랑, 이스트 구룡 회랑, 웨스트 구룡 회랑, 룽청과 칭청 로가 있었다. 이후에는 쿤통 바이패스, 훙홈 바이패스, 마온산 바이패스와 같이 이름에 직접 '바이패스'가 붙은 도로들이 건설되었다. 이 외에도 톨로 고속도로의 타이포 구간, 툰문 로의 툰문 신시가지 내 구간, 위엔롱 고속도로, 웨스트 구룡 고속도로 등이 바이패스 역할을 한다. 센트럴-완차이 바이패스는 센트럴과 코즈웨이 베이 사이를 잇는 터널로, 건설에 281억홍콩 달러가 소요되었다.[5]

7. 바다의 바이패스

페리 항로가 육상 교통 도로는 있지만 이를 대체하는 역할을 하는 경우, 이를 "'''바다의 바이패스'''"라고 통칭하는 경우가 있다.[14]

참조

[1] 뉴스 YLE: Video: Suomen pisin maantietunneli löytyy nyt Tampereelta – valmistui puoli vuotta etuajassa https://yle.fi/uutis[...]
[2] 웹사이트 Banwell bypass http://www.bypassban[...] 2008-04-22
[3] 웹사이트 Oklahoma's I-40 Crosstown Expressway: Glossary http://www.40forward[...] 2008-04-16
[4] 문서 Section 6C.09 https://mutcd.fhwa.d[...] MUTCD
[5] 간행물 Central – Wan Chai Bypass and Island Eastern Corridor Link http://www.hyd.gov.h[...]
[6] 웹사이트 平成21年度主要事業  安城西尾IC~芦池IC間の工事推進 http://www.cbr.mlit.[...] 国土交通省中部地方整備局 名四国道事務所 2009-04-13
[7] 웹사이트 国道2号バイパス「玉島・笠岡道路」1期分開通 アクセス向上、流通促進に期待 岡山 http://www.sankei.co[...] 産経新聞 2015-03-30
[8] 웹사이트 志摩建設事務所管内図 http://www.pref.mie.[...] 三重県 2015-03-30
[9] 웹사이트 暫定対面通行可能に 国道1号富士由比BP http://www.at-s.com/[...] 静岡新聞 2014-10-07
[10] 서적 交通システム 第2版 2016年
[11] 웹사이트 高速道路建設事業、カサブランカ市南部バイパス建設事業 https://www2.jica.go[...] 独立行政法人国際協力機構 2022-03-24
[12] 웹사이트 都市計画道路大内白鳥(おおちしろとり)バイパス線に係る環境影響評価書に対する環境大臣意見の提出について https://www.env.go.j[...] 環境省 2022-03-24
[13] 서적 国道者 新潮社 2015-11-25
[14] 웹사이트 鳥羽伊良湖航路への支援 http://www.city.toba[...] 鳥羽市 2012-03-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