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카날리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카날리아는 그리스 신화의 술과 자유, 도취의 신 바쿠스를 기리는 고대 로마의 축제였다. 기원전 200년경 이탈리아 남부와 에트루리아를 통해 로마에 전해졌으며, 비밀 의식과 공개적인 종교극을 포함했다. 초기 바카날리아는 여성 중심적인 행사였으나, 점차 남녀 혼성으로 변화하며 과도한 음주와 성행위, 사회 질서 문란 등의 문제로 원로원의 조사를 받았다. 결국 원로원은 바카날리아를 통제하고 개혁하는 법을 제정했지만, 불법적인 형태의 바카날리아는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현대에는 억제되지 않은 흥청거림을 의미하며, 미술 작품의 소재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로마의 축제 - 리베랄리아
- 고대 로마의 축제 - 마트로날리아
마트로날리아는 고대 로마에서 기혼 여성과 출산을 관장하는 여신 유노를 기리기 위해 매년 3월 1일에 열린 종교 축제이다. - 그리스-로마 밀의종교 - 오르페우스교
오르페우스교는 영혼 불멸과 윤회 사상을 중심으로 오르페우스, 페르세포네, 디오니소스를 숭배하며 금욕 생활과 신비 의례를 강조한 고대 그리스 종교로, 그 기원과 발전에 대해서는 학계에서 논의 중이다. - 그리스-로마 밀의종교 - 아도니스
그리스 신화의 인물 아도니스는 아름다운 외모로 아프로디테와 페르세포네의 사랑을 받았으나, 사냥 중 멧돼지에게 죽임을 당해 고대 그리스에서 아도니아 축제를 통해 애도되었고, 그의 이야기는 후대 문학과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 디오니소스교 - 아울로스
아울로스는 고대 그리스의 관악기로, 갈대 재료 설과 프리지아 유래 설이 있으며 기원전 3000년경부터 지중해 지역에서 사용되었고 군악, 애가, 제례, 극 등 다양한 사회적 환경에서 사용되었으며 마르시아스가 아폴론과의 음악 경연에 사용한 악기로도 알려져 있다. - 디오니소스교 - 사티로스
사티로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반인반수의 숲의 신으로 디오니소스의 동반자이며 술과 향락을 즐기는 호색적인 존재로, 사튀로스 극에서는 합창대 역할을, 로마 신화에서는 파우누스와 동일시되며, 중세 시대에는 악마적인 존재, 르네상스 시대에는 예술 작품 소재, 현대에는 대중 문화 속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재해석되었다.
바카날리아 | |
---|---|
어원 | |
어원 | 고대 그리스어 "Βακχεῖα" (Bakcheia)에서 유래, "바코스 축제" 또는 "디오니소스 축제"를 의미 |
종교 | |
종류 | 고대 로마의 종교 의식 |
신 | 바코스 (디오니소스의 로마식 이름) |
특징 | |
숭배 형태 | 비밀 종교 의식, 황홀경, 엑스터시 추구 |
관련 | 다산 포도주 풍요 자유 쾌락 도취 |
숭배자 | 주로 여성 숭배자 (바카에) |
의식 | 밤에 숲이나 언덕에서 진행, 술에 취해 춤추고 노래하며 광란의 상태 |
동물 숭배 | 황소, 염소, 표범 등을 제물로 바침 |
상징 | 튀르소스 (담쟁이 덩굴로 장식된 지팡이) |
역사 | |
기원 | 고대 그리스에서 유래 |
로마 전파 | 기원전 2세기 경 이탈리아 반도로 확산 |
로마에서의 확산 | 특히 남부 이탈리아와 에트루리아 지역에서 인기 |
사회적 문제 | 의식의 광란적인 성격과 비밀스러움 때문에 로마 사회에서 논란과 우려를 일으킴 |
탄압 | 기원전 186년 로마 원로원에 의해 금지됨, 바카날리아 스캔들 |
금지 이유 | 정치적 음모, 사회 질서 문란, 부도덕한 행위 등의 혐의 |
금지령 이후 | 제한적인 형태로 존속, 개인적인 숭배나 소규모 모임 형태로 유지 |
문화적 영향 | |
예술 | 르네상스 시대 화가들에게 영감을 줌, 그림의 주제로 자주 등장 |
문학 | 다양한 문학 작품에서 묘사됨 |
현대적 의미 | 방종, 향락, 쾌락주의의 상징 |
관련된 용어 | |
바카날 | 술에 취해 흥청거리는 파티 또는 향락적인 모임 |
바카에 | 바코스를 숭배하는 여성 신도 |
참고 | |
관련 인물 | 에우리피데스: 비극 바카이 저술 리비우스: 로마사에 바카날리아 스캔들을 기록 |
2. 역사적 배경 및 발전
바카날리아는 바쿠스를 위한 로마 축제로, 그리스의 디오니시아와 디오니소스 신비에서 유래했다. 기원전 200년경 이탈리아 남부 그리스 식민지와 에트루리아를 통해 로마에 전해졌으며, 테니 프랭크는 기원전 209년 타렌토에서 온 포로들이 디오니소스 숭배를 도입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1]
바카날리아는 비밀 의식으로 은밀하게 개최되었고, 입문자들은 비밀 엄수를 맹세했다. 관련 정보는 그리스와 로마의 문학, 연극, 조각, 그림 등 극히 일부 자료로만 알 수 있다. 초기 자료로는 에우리피데스의 ''바카이''(기원전 405년)가 있다. 바카날리아는 비밀 및 공개 요소를 모두 가졌을 것으로 추정되며, 종교 드라마는 공개 공연, 사적인 의식은 숭배자와 사제들이 진행했다.[3][1][4]
리비우스에 따르면, 캄파니아 출신 바쿠스 여사제 파쿨라 안니아가 스티물라 숲에서 사적, 비공식 바카날리아 컬트를 설립했다. 스티물라 숲은 아벤티노 언덕 서쪽 경사면, 테베레 강 인근에 있었다. 아벤티노 언덕은 다양한 민족, 로마 평민 계급, 외래 컬트 유입과 관련이 깊었다.[5]
리베르 파테르(자유로운 아버지)는 술과 풍요의 신이자 평민의 권리, 자유, 점성술의 후원자로, 세레스, 리베라와 함께 신전에서 숭배받았다.[2] 로마 자료는 그를 디오니소스, 바쿠스와 동일시하며, '엘레우테리오스'(해방자)로 칭하기도 했다.[6]
2. 1. 그리스 디오니소스 신앙의 영향
바카날리아는 그리스-로마 신화의 술, 자유, 도취, 엑스터시의 신인 바쿠스에 대한 로마 축제였다. 이 축제는 그리스의 디오니시아와 디오니소스 신비를 기반으로 했으며, 기원전 200년경 이탈리아 남부의 그리스 식민지와 로마 북쪽 이웃인 에트루리아를 통해 로마에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테니 프랭크는 디오니소스 숭배의 한 형태가 기원전 209년에 카르타고인에게 점령당한 이탈리아 남부 그리스 도시 타렌토에서 온 포로들에 의해 로마에 도입되었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1]모든 비밀 의식과 마찬가지로 바카날리아는 엄격한 은밀함 속에서 개최되었으며, 입문자들은 비밀을 지켜야 했다. 이 컬트와 의식에 대해 알려진 것은 그리스와 로마 문학, 연극, 조각, 그림에서 파생된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가장 초기의 자료 중 하나는 그리스 극작가 에우리피데스의 ''바카이''로, 기원전 405년 아테네 디오니시아 대회에서 우승했다. 바카날리아는 비밀적인 요소와 공개적인 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었을 수 있다. 종교적 드라마는 공개적으로 공연되었고, 신의 숭배자들과 사제들에 의해 사적인 의식이 행해졌다.[3][1][4]
리비우스는 초기 바카날리아에 대한 주요 로마 문학 자료에서 캄파니아 출신 바쿠스 여사제인 파쿨라 안니아를 스티물라 숲을 기반으로 로마에서 사적이고 비공식적인 바카날리아 컬트를 설립한 인물로 지목한다. 스티물라의 숲은 아벤티노 언덕 서쪽 경사면이 테베레 강으로 내려가는 곳에 있었다. 아벤티노 언덕은 민족적으로 혼합된 지역으로, 로마 평민 계급과 새롭고 외래적인 컬트 유입과 강력하게 연관되어 있었다.[5] 평민의 권리, 자유, 점성술의 신성한 후원자인 술과 풍요의 신 리베르 파테르 ("자유로운 아버지")는 인근 세레스, 리베라와 함께 공유하는 신전에서 오래전부터 공식적인 숭배를 받고 있었다.[2] 대부분의 로마 자료는 그를 디오니소스와 바쿠스에 해당하는 인물로 묘사하며, 이들은 때때로 ''엘레우테리오스''(해방자)라는 칭호를 받았다.[6]
2. 2. 로마의 바쿠스 신앙과 파쿨라 안니아
바쿠스, 리베르, 디오니시아, 디오니소스 신비도 참조.리비우스는 로마의 바쿠스 신앙 초기 형태와 관련하여 주요 문학 자료에서 캄파니아 출신의 바쿠스 여사제인 파쿨라 안니아를 언급한다. 파쿨라 안니아는 스티물라의 숲을 기반으로 로마에서 사적이고 비공식적인 바카날리아 컬트를 설립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스티물라의 숲은 아벤티노 언덕의 서쪽 경사면이 테베레 강으로 내려가는 곳에 위치해 있었다. 아벤티노 언덕은 민족적으로 혼합된 지역으로, 로마의 평민 계급과 새롭고 외래적인 컬트의 유입과 강력하게 연관되어 있었다.[5] 평민의 권리, 자유, 점성술의 신성한 후원자인 술과 풍요의 신 리베르 파테르 ("자유로운 아버지")는 인근의 세레스, 리베라와 함께 공유하는 신전에서 오래전부터 공식적인 숭배를 받고 있었다.[2] 대부분의 로마 자료는 그를 디오니소스와 바쿠스에 해당하는 인물로 묘사하며, 이들은 때때로 ''엘레우테리오스''(해방자)라는 칭호를 받았다.[6]
2. 3. 바카날리아의 확산과 변질
바쿠스, 리베르, 디오니시아, 디오니소스 신비도 참조.바카날리아는 그리스-로마 신화의 술, 자유, 도취, 엑스터시의 신인 바쿠스에 대한 로마 축제였다. 이 축제는 그리스의 디오니시아와 디오니소스 신비를 기반으로 했으며, 기원전 200년경에 이탈리아 남부의 그리스 식민지와 로마의 북쪽 이웃인 에트루리아를 통해 로마에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테니 프랭크는 디오니소스 숭배의 한 형태가 기원전 209년에 카르타고인에게 점령당한 이탈리아 남부의 그리스 도시 타렌토에서 온 포로들에 의해 로마에 도입되었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1] 모든 비밀 의식과 마찬가지로 바카날리아는 엄격한 은밀함 속에서 개최되었으며, 입문자들은 비밀을 지켜야 했다. 이 컬트와 의식에 대해 알려진 것은 그리스와 로마 문학, 연극, 조각, 그림에서 파생된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리비우스는 초기 바카날리아에 대한 주요 로마 문학 자료에서 캄파니아 출신의 바쿠스 여사제인 파쿨라 안니아를 스티물라의 숲을 기반으로 로마에서 사적이고 비공식적인 바카날리아 컬트를 설립한 인물로 지목한다. 스티물라의 숲은 아벤티노 언덕의 서쪽 경사면이 테베레 강으로 내려가는 곳에 위치해 있었다. 아벤티노 언덕은 민족적으로 혼합된 지역으로, 로마의 평민 계급과 새롭고 외래적인 컬트의 유입과 강력하게 연관되어 있었다.[5] 평민의 권리, 자유, 점성술의 신성한 후원자인 술과 풍요의 신 리베르 파테르 ("자유로운 아버지")는 인근의 세레스, 리베라와 함께 공유하는 신전에서 오래전부터 공식적인 숭배를 받고 있었다.[2] 대부분의 로마 자료는 그를 디오니소스와 바쿠스에 해당하는 인물로 묘사하며, 이들은 때때로 ''엘레우테리오스''(해방자)라는 칭호를 받았다.[6]
3. 바카날리아 스캔들과 원로원의 개입
리비우스는 바카날리아가 초기에는 여성만 참여할 수 있었고, 1년에 3일간 낮에 열렸다고 주장한다.[2] 그러나 로마 북쪽 인근 에트루리아에서 온 "희생과 점에 능숙한, 낮은 출신의 그리스인"이 밤에 열리는 형태를 만들었고, 술과 잔치를 더해 여성과 남성 모두 열광적인 추종자를 얻었다.[2] 밤에 열리는 바카날리아는 과도한 음주, 취기, 성별과 계급의 자유로운 혼합, 시끄러운 음악을 포함했다.[7][2]
3. 1. 히스팔라 페케니아의 고발과 원로원의 조사
리비우스의 기록에 따르면, Aebutia 가문의 푸블리우스 에부티우스는 기생 히스팔라 페케니아로부터 이 종교 의식과 그 과도함에 대해 경고를 받았다. 원로원은 스푸리우스 포스투미우스 알비누스와 퀸투스 마르키우스 필리푸스를 임명하여 이 종교 의식을 조사하게 했다.[7][3][2][8] 조사는 종교의 탈을 쓰고 사제와 조력자들이 시민법, 도덕, 종교법을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정신이 박약한 개인은 종교 의식이나 정치적 살인을 눈에 띄지 않게 저지를 수 있었으며, 이는 로마 심장부에서 비밀리에 이 종교 의식을 통제하는 자들의 지시를 받은 것이었다. 리비우스는 이 종교 의식이 젊은이, 평민, 여성, 그리고 "여성과 가장 비슷한 남자"와 같이 교육받지 못하고 변덕스러운 마음(''levitas animi'')을 가진 사람들에게 특히 매력적이었으며, 로마 인구의 대부분, 심지어 로마 최상류층의 일부 구성원들까지 관련되었다고 주장한다.3. 2. 바카날리아의 문제점
리비우스는 바카날리아의 초기 형태는 여성만 참여할 수 있었고, 1년에 3일간 낮에 열렸다고 주장한다. 반면 로마 북쪽의 인근 에트루리아에서는 "희생과 점에 능숙한, 낮은 출신의 그리스인"이 밤에 열리는 형태를 만들었고, 술과 잔치를 더하여 여성과 남성 모두의 열광적인 추종자를 얻었다.[2] 밤에 열리는 바카날리아는 과도한 음주, 취기, 성별과 계급의 자유로운 혼합을 포함했으며, 의식에는 시끄러운 음악도 포함되었다.[7][2]리비우스의 기록에 따르면, Aebutia 가문의 푸블리우스 에부티우스는 기생 히스팔라 페케니아로부터 이 종교 의식과 그 과도함에 대해 경고를 받았다. 원로원은 스푸리우스 포스투미우스 알비누스와 퀸투스 마르키우스 필리푸스를 임명하여 이 종교 의식을 조사하게 했다.[7][3][2][8] 조사는 종교의 탈을 쓰고 사제와 조력자들이 무사히 시민법, 도덕, 종교법을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정신이 박약한 개인은 종교 의식이나 정치적 살인을 눈에 띄지 않게 저지를 수 있었으며, 이는 로마 심장부에서 비밀리에 이 종교 의식을 통제하는 자들의 지시를 받은 것이었다. 리비우스는 이 종교 의식이 젊은이, 평민, 여성, 그리고 "여성과 가장 비슷한 남자"와 같이 교육받지 못하고 변덕스러운 마음(''levitas animi'')을 가진 사람들에게 특히 매력적이었으며, 로마 인구의 대부분, 심지어 로마 최상류층의 일부 구성원들까지 관련되었다고 주장한다.
4. 바카날리아에 관한 원로원 결의와 그 영향
기원전 186년의 법은 ''바카날리아에 관한 원로원 결의''(Senatus consultum de Bacchanalibus)로 알려져 있으며, 바카날리아를 원로원의 통제 하에 두었다. 이 법으로 기존의 종교 단체와 대학은 해체되었고, 남녀 혼성 집회는 허용되었지만 남자 2명, 여자 3명 이하로 제한되었으며, 바카날리아 모임은 원로원의 사전 허가를 받아야 했다. 또한 남자는 바쿠스 사제직을 맡는 것이 금지되었다.[2][9]
공식적인 탄압에도 불구하고, 불법적인 바카날리아는 특히 그 기원지로 여겨지는 남부 이탈리아에서 수년 동안 은밀하게 지속되었다.[2][9] 개혁 이후 공식적으로 승인된 바쿠스 신앙은 이전의 혼잡하고 열광적이며 억제되지 않은 바카날리아와는 거의 달랐을 것으로 보인다. 리베르의 신앙에도 비슷한 변화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바카날리아와의 연관성 때문에 3월 17일의 리베랄리아 ''루디''가 일시적으로 4월 12–19일의 케레스의 케레알리아로 옮겨졌다가, 이후 반응이 완화되자 승인된 형태로 복원되었다.[10]
4. 1. 바카날리아에 관한 원로원 결의(Senatus consultum de Bacchanalibus)
186년의 법은 비문 형태로 남아 있다. 이 법은 ''바카날리아에 관한 원로원 결의''(Senatus consultum de Bacchanalibus)로 알려져 있으며, 바카날리아를 원로원, 즉 로마 폰티펙스의 통제 하에 두었다. 기존의 종교 단체와 대학은 해체되었다. 남녀 혼성 집회는 허용되었지만, 남자는 2명, 여자는 3명 이하로 제한되었고, 어떤 바카날리아 모임이라도 원로원의 사전 허가를 받아야 했다. 남자는 바쿠스 사제직을 금지당했다.[2][9]
4. 2. 결의의 주요 내용
186년의 법은 ''바카날리아에 관한 원로원 결의''(Senatus consultum de Bacchanalibus)라는 비문 형태로 남아있다. 이 법은 바카날리아를 원로원, 즉 로마 폰티펙스의 통제 아래에 두었다.[2] 기존의 종교 단체와 대학은 해체되었다. 남녀 혼성 집회는 허용되었지만, 남자는 2명, 여자는 3명 이하로 제한되었고, 어떤 바카날리아 모임이라도 원로원의 사전 허가를 받아야 했다. 남자는 바쿠스 사제직을 맡는 것이 금지되었다.4. 3. 개혁 이후의 바카날리아
186년의 법은 비문 형태로 남아 있다. 이 법은 ''바카날리아에 관한 원로원 결의(Senatus consultum de Bacchanalibus)''로 알려져 있으며, 바카날리아를 원로원, 즉 로마 폰티펙스의 통제 하에 두었다. 기존의 종교 단체와 대학은 해체되었다. 남녀 혼성 집회는 허용되었지만, 남자는 2명, 여자는 3명 이하로 제한되었고, 어떤 바카날리아 모임이라도 원로원의 사전 허가를 받아야 했다. 남자는 바쿠스 사제직을 금지당했다.
공식적인 탄압에도 불구하고, 불법적인 바카날리아는 특히 그 기원지로 여겨지는 남부 이탈리아에서 수년 동안 은밀하게 지속되었다.[2][9] 개혁된, 공식적으로 승인된 바쿠스 신앙은 이전의 혼잡하고, 열광적이며, 억제되지 않은 바카날리아와 거의 닮지 않았을 것이다. 유사한 소모가 리베르의 신앙에 가해졌을 수 있다. 바카날리아와의 연관성이 감지되거나 실제 있었기 때문에, 3월 17일의 리베랄리아 ''루디''가 일시적으로 4월 12–19일의 케레스의 케레알리아로 옮겨졌을 수 있다. 이들은 반응의 격렬함이 완화되자 승인된, 상당히 수정된 형태로 복원되었다.[10]
5. 바카날리아에 대한 해석과 논란
리비우스의 바카날리아 설명은 편향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5] 그는 정치적, 사회적 보수주의자로서 밀교를 불신했으며, 바카날리아를 로마 타락의 징조로 여겼을 가능성이 있다.[11] 그의 글은 등장인물, 비유, 줄거리 전개 등에서 바카날리아 자체보다는 로마의 사티로스극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6]
리비우스는 바카날리아의 문제점을 자유민 남녀노소가 밤에 섞이는 것에서 찾았고, 여성의 수가 남성보다 많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바카날리아에 관한 원로원 결의''는 여성의 수를 더 많게 허용하고, 바쿠스 제사장직을 남성에게 금지하여 성별이 원로원의 대응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13]
리비우스는 바쿠스 종교의 그리스 기원과 낮은 도덕성을 부정적으로 묘사했지만,[16] 바쿠스 및 디오니소스 숭배는 이미 로마와 이탈리아에서 오랫동안 존재해왔다. 그리스 종교와 영향은 기원전 5세기부터 로마 종교의 일부였으며, 로마의 외교 정책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17]
그루엔은 ''원로원 결의''가 로마 원로원의 권위를 과시하고 개인의 야망보다 우선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현실 정치의 일환으로 해석한다.[18] 바카날리아에 대한 공식 대응은 전례가 없을 정도로 격렬했으며, 이는 로마 당국의 도덕적 공황을 드러낸다. 부르케르트는 이를 기독교 박해 이전에는 유사한 사례를 찾기 어렵다고 평가한다.[19][20]
5. 1. 리비우스 기록의 한계
리비우스의 바카날리아 설명은 "최소한 편향적"이라고 묘사되어 왔다.[5] 정치적, 사회적 보수주의자였던 그는 밀교에 깊은 불신을 품고 있었으며, 아마도 어떤 형태의 바카날리아든 로마의 타락 징조로 이해했을 것이다.[11] 그의 대부분의 ''극중 인물''은 역사적 인물로 알려져 있지만, 그들의 연설은 설득력이 부족하고, 그의 등장인물, 비유와 줄거리 전개는 바카날리아 자체보다는 로마의 사티로스극에서 더 많이 가져온 것이다.[6] 파쿨라 안니아는 그가 그녀에게 귀속시키는 모든 변화를 도입했을 가능성은 낮다.[5][12][6]리비우스에게 있어서, 이 종교의 가장 큰 위반 행위는 밤에 자유민 로마인 남녀노소의 무차별적인 혼합에서 비롯되었는데, 특히 술과 제한 없는 기회가 주어졌을 때, 정열이 쉽게 자극되는 시간이었다. 그는 이러한 모임에서 여성의 수가 남성보다 많았다고 말한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집정관 포스투미우스는 종교의 압도적으로 여성적인 본질과 조직을 강조했다. 그러나 ''바카날리아에 관한 원로원 결의'' 자체는 허용된 모임에서 여성의 수를 남성보다 3:2로 더 많게 허용하고 있으며, 바쿠스 제사장직을 남성에게 명시적으로 금지하고 있다.[13] 리비우스의 설명은 위반 행위를 한 종교 지도자들 중 한 명을 제외하고 모두 남성이라고 지칭하고 있는데, 이는 인지된 "여성의 음모"를 제거하는 것으로 보인다.[14] 성별은 다른 어떤 이유보다 원로원의 대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15]
리비우스는 이 종교의 그리스 기원과 낮은 도덕적 특성에 대한 일관된 부정적 묘사, 심지어 바쿠스조차 이 판단에서 예외가 되지 않는다. 이 종교를 갑작스러운 "로마 숭배에 너무 많은 그리스 요소의 침투"로 진압하는 것을 정당화하려 했을 수도 있다.[16] 그러나 이 종교는 갑작스러운 발견이라고 알려지기 수년 전부터 로마에서 활동해 왔으며, 바쿠스 및 디오니소스 종교는 수십 년 동안 로마 및 동맹국인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이탈리아의 삶의 일부였다. 그리스 종교와 그리스의 영향은 기원전 5세기부터 로마의 종교 생활의 일부였으며, 동맹, 조약, 점령 또는 정복을 통해 로마가 외국 종교(그리스 종교든 다른 종교든)를 획득하는 것은 로마의 외교 정책의 초석이자, 궁극적인 패권의 필수적인 특징이었다. 이러한 도입의 속도는 3세기 동안 급격히 증가했지만, 바카날리아 개혁에 대한 당시의 증거는 반그리스 또는 반외국 정책이나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다.[17]
그루엔은 ''원로원 결의''를 제2차 포에니 전쟁 이후 로마 원로원의 권위를 이탈리아 동맹국들에게 과시하고, 어떤 로마 정치인, 포퓰리스트, 장군 지망생에게도 원로원의 집단적 권위가 모든 개인적인 야망보다 우선한다는 것을 상기시키는 ''현실 정치''의 한 부분으로 해석한다.[18]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카날리아에 대한 공식적인 대응의 정도와 격렬함은 아마도 전례가 없었으며, 로마 당국의 일종의 도덕적 공황을 드러낸다. 부르케르트는 "기독교 박해 이전의 종교 역사에서 이와 유사한 것을 찾을 수 없다"고 말한다.[19][20]
5. 2. 성별 문제와 원로원의 대응
리비우스는 바카날리아에서 가장 큰 문제는 로마 남녀노소가 밤에 무분별하게 섞여 방종에 빠지는 등 성별 문제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는 특히 여성들이 남성보다 많았다고 강조했는데, 이는 집정관 포스투미우스의 연설에서도 드러난다.[13] 그러나 ''바카날리아에 관한 원로원 결의''에서는 허용된 모임에서 여성의 수를 남성보다 3:2 비율로 더 많게 허용하고, 바쿠스 제사장을 남성에게 금지하고 있다.[13] 리비우스의 설명은 종교 지도자들이 대부분 남성이었다고 언급하며, 이는 "여성의 음모"를 제거하려는 의도로 해석될 수 있다.[14] 이러한 정황으로 볼 때, 성별은 원로원의 대응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15]5. 3. 그리스 문화에 대한 반감?
리비우스의 바카날리아 묘사는 적어도 "편향적"이라고 평가된다.[5] 정치적, 사회적으로 보수주의자였던 그는 밀교를 매우 불신했으며, 아마도 어떤 형태의 바카날리아든 로마의 타락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했을 것이다.[11] 그의 등장인물, 비유, 줄거리 전개는 바카날리아 자체보다는 로마의 사티로스극에서 더 많이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6]리비우스는 바카날리아의 가장 큰 문제점을 밤에 자유민 로마인 남녀노소가 섞이는 것에서 찾았는데, 특히 술과 제한 없는 기회가 주어졌을 때 성적인 욕망이 쉽게 자극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이러한 모임에서 여성의 수가 남성보다 많았다고 말한다. 그러나 ''바카날리아에 관한 원로원 결의'' 자체는 허용된 모임에서 여성의 수를 남성보다 더 많게 허용하고 있으며(3:2), 바쿠스 제사장직을 남성에게 명시적으로 금지하고 있다.[13] 리비우스는 성별이 원로원의 대응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한다.[15]
리비우스는 바쿠스 종교의 그리스 기원과 낮은 도덕성을 지속적으로 부정적으로 묘사했는데, 심지어 바쿠스조차 예외는 아니었다. 이는 "로마 숭배에 너무 많은 그리스 요소의 침투"를 진압하는 것을 정당화하려는 시도였을 수 있다.[16] 그러나 바쿠스 및 디오니소스 종교는 이미 수십 년 동안 로마와 동맹을 맺은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이탈리아의 삶의 일부였다. 그리스 종교와 영향은 기원전 5세기부터 로마 종교의 일부였으며, 로마가 외국 종교를 획득하는 것은 외교 정책의 핵심이었다. 바카날리아 개혁에 대한 당시의 증거는 반그리스 또는 반외국 정책이나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다.[17]
그루엔은 ''원로원 결의''를 로마 원로원의 권위를 과시하고, 모든 개인적인 야망보다 원로원의 집단적 권위가 우선한다는 것을 상기시키는 ''현실 정치''의 한 부분으로 해석한다.[18]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카날리아에 대한 공식적인 대응은 전례가 없었으며, 로마 당국의 도덕적 공황을 드러낸다. 부르케르트는 "기독교 박해 이전의 종교 역사에서 이와 유사한 것을 찾을 수 없다"고 말한다.[19][20]
5. 4. 정치적 목적
리비우스의 바카날리아 묘사는 "최소한 편향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5] 정치적, 사회적 보수주의자였던 그는 밀교를 매우 불신했으며, 바카날리아를 로마의 타락 징조로 여겼을 가능성이 있다.[11] 그의 글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극중 인물''은 실존 인물이지만, 그들의 연설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그의 등장인물, 비유, 줄거리 전개는 바카날리아 자체보다는 로마의 사티로스극에서 차용한 것으로 보인다.[6] 파쿨라 안니아가 그에게 귀속된 모든 변화를 실제로 도입했을 가능성은 낮다.[5][12][6]리비우스는 이 종교의 가장 큰 문제점을 밤에 자유민 로마인 남녀노소가 무분별하게 섞이는 것에서 찾았다. 특히 술과 제약 없는 환경은 정욕을 쉽게 자극하는 시간이었다. 그는 이러한 모임에서 여성의 수가 남성보다 많았다고 주장한다. 그의 설명에서 집정관 포스투미우스는 종교의 압도적인 여성적 성격과 조직을 강조했다. 그러나 ''바카날리아에 관한 원로원 결의'' 자체는 허용된 모임에서 여성의 수를 남성보다 3:2로 더 많이 허용하고 있으며, 바쿠스 제사장직을 남성에게 명시적으로 금지하고 있다.[13] 리비우스의 설명은 종교 지도자들 중 한 명을 제외하고 모두 남성이라고 언급하며, 이는 인지된 "여성의 음모"를 제거하려는 의도로 보인다.[14] 성별은 다른 어떤 이유보다 원로원의 대응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15]
리비우스는 이 종교의 그리스 기원과 낮은 도덕성을 지속적으로 부정적으로 묘사했으며, 심지어 바쿠스조차 예외로 두지 않았다. 이는 갑작스러운 "로마 숭배에 너무 많은 그리스 요소의 침투"를 억압하는 것을 정당화하려는 시도였을 수 있다.[16] 그러나 이 종교는 갑작스러운 발견이 아니라 수년 전부터 로마에서 활동해 왔으며, 바쿠스 및 디오니소스 숭배는 수십 년 동안 로마 및 동맹국인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이탈리아의 삶의 일부였다. 그리스 종교와 그리스의 영향은 기원전 5세기부터 로마 종교 생활의 일부였으며, 동맹, 조약, 점령 또는 정복을 통해 로마가 외국 종교(그리스 종교든 다른 종교든)를 획득하는 것은 로마 외교 정책의 초석이자, 궁극적인 패권의 필수적인 특징이었다. 이러한 도입 속도는 3세기 동안 급격히 증가했지만, 바카날리아 개혁에 대한 당시의 증거는 반그리스 또는 반외국 정책이나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다.[17]
그루엔은 ''원로원 결의''를 제2차 포에니 전쟁 이후 로마 원로원의 권위를 이탈리아 동맹국들에게 과시하고, 어떤 로마 정치인, 포퓰리스트, 장군 지망생에게도 원로원의 집단적 권위가 모든 개인적인 야망보다 우선한다는 것을 상기시키는 ''현실 정치''의 일환으로 해석한다.[18]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카날리아에 대한 공식적인 대응의 정도와 격렬함은 전례가 없었으며, 로마 당국의 일종의 도덕적 공황을 드러낸다. 부르케르트는 "기독교 박해 이전의 종교 역사에서 이와 유사한 것을 찾을 수 없다"고 평가한다.[19][20]
5. 5. 도덕적 공황
리비우스의 바카날리아 설명은 "최소한 편향적"이라고 평가된다.[5] 정치적, 사회적 보수주의자였던 그는 밀교를 매우 불신했으며, 바카날리아를 로마의 타락 징조로 보았을 것이다.[11] 그의 글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극중 인물''은 실존 인물이지만, 그들의 연설은 설득력이 떨어지고, 등장인물, 비유, 줄거리는 바카날리아 자체가 아니라 로마의 사티로스극에서 가져온 것이다.[6] 파쿨라 안니아가 그에게 귀속된 모든 변화를 도입했을 가능성은 낮다.[5][12][6]리비우스는 바카날리아의 가장 큰 문제점을 밤에 자유민 로마인 남녀노소가 섞이는 것에서 찾았는데, 특히 술과 제한 없는 기회가 주어지면 정욕이 쉽게 자극된다고 보았다. 그는 이러한 모임에서 여성의 수가 남성보다 많았다고 말한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집정관 포스투미우스는 종교의 압도적으로 여성적인 본질과 조직을 강조했다. 그러나 ''바카날리아에 관한 원로원 결의'' 자체는 허용된 모임에서 여성의 수를 남성보다 3:2로 더 많게 허용하고 있으며, 바쿠스 제사장직을 남성에게 명시적으로 금지하고 있다.[13] 리비우스의 설명은 위반 행위를 한 종교 지도자들 중 한 명을 제외하고 모두 남성이라고 지칭하고 있는데, 이는 인지된 "여성의 음모"를 제거하는 것으로 보인다.[14] 성별은 다른 어떤 이유보다 원로원의 대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15]
리비우스는 이 종교의 그리스 기원과 낮은 도덕적 특성에 대해 일관되게 부정적으로 묘사했으며, 심지어 바쿠스조차 예외가 아니었다. 그는 이 종교를 갑작스러운 "로마 숭배에 너무 많은 그리스 요소의 침투"로 진압하는 것을 정당화하려 했을 수도 있다.[16] 그러나 이 종교는 갑작스러운 발견이라고 알려지기 수년 전부터 로마에서 활동해 왔으며, 바쿠스 및 디오니소스 종교는 수십 년 동안 로마 및 동맹국인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이탈리아의 삶의 일부였다. 그리스 종교와 그리스의 영향은 기원전 5세기부터 로마의 종교 생활의 일부였으며, 동맹, 조약, 점령 또는 정복을 통해 로마가 외국 종교(그리스 종교든 다른 종교든)를 획득하는 것은 로마의 외교 정책의 초석이자, 궁극적인 패권의 필수적인 특징이었다. 이러한 도입의 속도는 3세기 동안 급격히 증가했지만, 바카날리아 개혁에 대한 당시의 증거는 반그리스 또는 반외국 정책이나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다.[17]
그루엔은 ''원로원 결의''를 제2차 포에니 전쟁 이후 로마 원로원의 권위를 이탈리아 동맹국들에게 과시하고, 어떤 로마 정치인, 포퓰리스트, 장군 지망생에게도 원로원의 집단적 권위가 모든 개인적인 야망보다 우선한다는 것을 상기시키는 ''현실 정치''의 한 부분으로 해석한다.[18]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카날리아에 대한 공식적인 대응의 정도와 격렬함은 아마도 전례가 없었으며, 로마 당국의 일종의 도덕적 공황을 드러낸다. 부르케르트는 "기독교 박해 이전의 종교 역사에서 이와 유사한 것을 찾을 수 없다"고 말한다.[19][20]
6. 현대적 용법과 예술에서의 바카날리아
현대적 용법에서 '바카날리아'는 억제되지 않거나 술에 취한 흥청거림을 의미한다. 미술에서 바카날은 사티로스와 바쿠스 또는 실레노스를 포함하여 풍경 속에서 작은 무리의 흥청거리는 사람들을 묘사한다. 이 주제는 르네상스 시대부터 인기를 얻었으며, 일반적으로 인물들 사이에 상당한 수준의 누드를 포함했다.[1]
6. 1. 현대적 의미
현대에 '바카날리아'는 억제되지 않거나 술에 취한 흥청거림을 의미할 수 있다. 미술에서의 바카날은 작은 무리의 흥청거리는 사람들을 묘사하며, 종종 사티로스와 풍경 속에서 바쿠스 또는 실레노스를 포함한다. 이 주제는 르네상스 시대부터 인기를 얻었으며, 일반적으로 인물들 사이에 상당한 수준의 누드를 포함했다.[1]6. 2. 예술에서의 바카날리아
현대에는 '바카날리아'는 억제되지 않거나 술에 취한 흥청거림을 의미할 수 있다. 미술에서의 바카날은 작은 무리의 흥청거리는 사람들을 묘사하며, 종종 사티로스와 풍경 속에서 바쿠스 또는 실레노스를 포함한다. 이 주제는 르네상스 시대부터 인기를 얻었으며, 일반적으로 인물들 사이에 상당한 수준의 누드를 포함했다.참조
[1]
논문
Making a Drama out of a Crisis: Livy on the Bacchanalia
1996
[2]
논문
Politics and Religion in the Bacchanalian Affair of 186 B.C.E.
2000
[3]
서적
Ovid, Metamorphoses, 3.511-733: Latin Text with Introduction, Commentary, Glossary of Terms, Vocabulary Aid and Study Questions
Open Book Publishers
2016
[4]
서적
Neurotransmissions: Essays on Psychedelics from Breaking Convention
MIT Press
2015
[5]
논문
Foreign Cults in Republican Rome: Rethinking the Pomerial Rule
2002
[6]
논문
Liber-Dionysus in Early Roman Drama
1987
[7]
서적
Ancient Roman Civilization: History and Sources, 753 BCE to 640 C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
[8]
논문
The Containment of Dionysos: Religion and Politics in the Bacchanalia Affair of 186 BCE
[9]
간행물
Religions of Rome: Volume 1, a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10]
서적
Remus: a Roman myth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11]
논문
Making a Drama Out of a Crisis: Livy on the Bacchanalia
1996-10
[12]
간행물
Conspiracy Narratives in Roman History
University of Texas Press
2004
[13]
문서
Liber's aged priestesses
[14]
간행물
Studies in Greek culture and Roman polic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6
[15]
서적
Women's religious activity in the Roman Republic
UNC Press Books
2006
[16]
서적
A Companion to Roman Religion
https://archive.org/[...]
Blackwell publishing
[17]
서적
A Companion to Roman Religion
[18]
간행물
Studies in Greek culture and Roman polic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6
[19]
서적
Ancient Mystery Religions
Harvard University Press
1987
[20]
서적
Studies in Greek Culture and Roman Policy
BRILL
1990
[21]
논문
Making a Drama out of a Crisis: Livy on the Bacchanalia
1996
[22]
논문
Politics and Religion in the Bacchanalian Affair of 186 B.C.E.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