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렌시아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렌시아어는 스페인 발렌시아 지방에서 사용되는 로망스어이다. 아라곤 왕국의 하이메 1세 정복 이후 카탈루냐에서 이주한 사람들에 의해 퍼져나갔으며, 14세기부터 발렌시아어라는 명칭으로 불렸다. 스페인 민주화 이후, 발렌시아어를 카탈루냐어의 방언으로 볼 것인지, 별개의 언어로 볼 것인지를 두고 정치적 논쟁이 있어 왔다. 발렌시아어 학회(AVL)는 발렌시아어와 카탈루냐어를 같은 언어의 다른 이름으로 간주하지만, 발렌시아 문화 왕립 아카데미(RACV)는 독립적인 언어로 규정한다. 2018년 재개국한 À Punt를 포함하여 발렌시아어 공영 방송이 존재하며, 발렌시아어는 발렌시아 자치 헌장과 법률에 의해 스페인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렌시아주의 문화 - 모로스 이 크리스티아노스
모로스 이 크리스티아노스는 스페인, 필리핀, 멕시코 등에서 레콩키스타 시대를 기념하여 무어인과 기독교인의 전투를 재현하는 연극, 퍼레이드, 음악 공연 등으로 구성된 축제이다. - 발렌시아주의 문화 - 무이셰랑가
무이셰랑가는 알제메시에서 건강의 성모 축일을 기념하며, 지역 전통 춤과 음악을 보존하고 복원하는 데 기여하여 유네스코 인류 무형 유산으로 인정받은 발렌시아 지역의 중요한 문화 행사이다. - 카탈루냐어 - .cat
.cat은 카탈루냐어 사용자를 위해 2006년 4월부터 일반 등록이 시작된 최상위 도메인으로, 카탈루냐 문화 관련 콘텐츠에 사용이 허용된다. - 카탈루냐어 - 알게로 방언
알게로 방언은 14세기 카탈루냐인들이 사르데냐섬 알게로에 정착하며 형성된 카탈루냐어의 변종으로, 이탈리아어의 영향으로 사용이 줄어들고 있으나 지방 의회의 보호 노력과 함께 언어 사용 및 문학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표준 카탈루냐어와 차이점을 보이고 사르데냐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의 영향을 받았다. - 스페인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스페인의 언어 - 아란 방언
아란 방언은 스페인 발다란 지역에서 사용되는 가스코뉴어의 하위 방언인 오크어의 방언으로, 여러 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카탈루냐의 공용어로서 특별한 지위를 갖고 보존 및 부흥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발렌시아어 | |
---|---|
지도 정보 | |
![]() | |
![]() | |
기본 정보 | |
언어 이름 | 발렌시아어 |
로마자 표기 | valencià |
발음 (표준 발렌시아어) | /valensiˈa/ |
사용 국가 | 스페인 |
사용 지역 | 발렌시아 지방, 무르시아 지방 (카르체) |
사용자 수 (2004년) | 240만 명 |
언어 계통 | 인도유럽어족 이탈리아어파 라틴어팔리스카어파 로망스어군 이탈리아서부어군 서부로망스어군 갈로로망스어군 옥시타노로망스어군 카탈루냐어 |
조상 언어 | 원시 인도유럽어 원시 이탈리아어 고대 라틴어 통속 라틴어 고대 옥시탄어 고대 카탈루냐어 |
문자 | 발렌시아어 철자법(라틴 문자) |
공용 국가 | 스페인 발렌시아 지방 |
소수 언어 국가 | 스페인, 카르체, 무르시아 지방 |
언어 관리 기관 | 발렌시아어 아카데미(Acadèmia Valenciana de la Llengua, AVL) |
ISO 639-6 | vlca |
IETF 언어 태그 | ca-valencia |
추가 정보 | |
다른 이름 | |
방언 | 서부 카탈루냐어 |
발렌시아어 아카데미의 정의 | 발렌시아어는 카탈루냐, 발레아레스 제도, 프랑스 피레네오리엔탈 데파르트망, 안도라 공국, 아라곤 동부, 사르데냐 알게로에서 사용되는 로망스어이다. |
스페인 왕립 학회의 정의 | 발렌시아어는 발렌시아 지방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
카탈루냐 연구소의 정의 | 발렌시아어는 발렌시아 지방에서 사용되는 카탈루냐어의 서부 방언이다. |
역사 | |
주요 문헌 | 티란트 로 블랑 사랑의 체스 |
언어 정책 및 인식 | |
발렌시아어와 카탈루냐어의 관계에 대한 인식 | 발렌시아인 중 거의 65%가 발렌시아어가 카탈루냐어와 다르다고 생각한다. |
2. 역사
17세기 모리스코 추방 이후, 주로 카스티야인들이 주도한 새로운 재정착은 발렌시아 내륙 지역의 스페인어 방언을 확립했다. 그러나 발렌시아어는 역사적으로 왕국에서 주요 행정 언어였다.[1]
발렌시아인의 정체성은 수세기 동안의 정치적 발전의 결과이며, 발렌시아인들은 카탈루냐의 정체성을 받아들이거나 거부해 왔다. 두 지역 사이에는 종종 마찰도 발생했다. 이러한 역사적 요인 때문에 발렌시아에서 사용되는 방언의 지위에 대해 언어학적 다툼이 발생한 것도 놀라운 일이 아니다. 스페인 정부와 발렌시아 자치 정부의 현재 공식적인 정의는 모호하다. 발렌시아 자치법에서는 발렌시아어를 독자적인 언어로 해석할 수 있지만, 발렌시아어 규칙을 정하는 주 공식 언어 학회는 발렌시아어를 카탈루냐어의 한 종류로 보고 있다.
언어학적 관점에서 볼 때, 발레아레스 제도, 루시용(프랑스의 카탈루냐어 지역), 특히 알게로의 방언보다 발렌시아어는 카탈루냐 지방의 카탈루냐어에 가깝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방언들은 모두 카탈루냐어의 방언으로 간주되며, 문어체로 표기할 때는 표준 카탈루냐어 문법을 따른다. 반대로 발렌시아어에는 다른 표준이 있지만, 발렌시아어와 카탈루냐어의 표준 문법은 서로 완전히 이해 가능하다. 공식적으로는 발렌시아어 표준은 발렌시아어 학회에 의해 제정된다. 그러나 발렌시아에서 제정되지 않은 부분은 카탈루냐 연구 기관에서 정한 카탈루냐어 규칙을 따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발렌시아 자치법에서는 발렌시아어를 "valencià"라고 부르고 있는데, 이것은 15세기 이래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명칭이다. [http://www.loratpenat.org/ Lo Rat Penat]라는 사단법인은 발렌시아어를 다른 규칙으로 표기하는 것을 주장하고 있으며, 발렌시아어와 카탈루냐어의 규칙을 구분하려는 시도는 지방주의자와 우익 정치인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이러한 이론을 지지하지 않는다.
2. 1. 기원과 발전
아라곤 왕국의 하이메 1세 '정복왕'의 정복 이후 카탈루냐와 아라곤의 식민지 개척자들이 이 지역에 정착하면서 발렌시아어가 퍼져 나간 것으로 일반적으로 추정된다.[17]발렌시아인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가리키는 용어 의 최초의 문서적 언급은 1343년에서 1346년 사이에 기록된 길 데 로사노에 대한 미노르카의 사법 절차에서 발견되는데, 여기서 피고의 어머니인 시빌라가 오리우엘라(옛 오리올라) 출신이기 때문에 valencianeschca를 사용한다고 언급되어 있다.[18]
발렌시아어라는 개념은 14세기 후반에 등장했고, 다양한 성격(정치적, 사회적, 경제적)의 사건들로 인해 의미가 변화하면서 점진적으로 확립되었다. 이전 세기에는 발렌시아 왕국 영토에서 사용되는 카탈루냐어가 romançca(13세기)와 catalaneschca(14세기, 중세적 개념의 언어 공동체로서의 국가)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발렌시아어라는 개념은 14세기와 15세기 동안 지중해 무역 강국이었던 발렌시아 왕국의 법적 실체가 강화됨에 따라 특수한 성격을 띠게 되었는데, 아라곤 연합의 문화 및 문학 중심지가 되었기 때문이다.
15세기, 소위 발렌시아 황금기에는 "발렌시아어"가 이미 발렌시아 왕국의 주요 언어의 일반적인 명칭이었고, vulgarca, romançca 또는 catalaneschca라는 이름은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소설 『티랑트 로 블랑』의 저자인 조아노트 마르토렐은 "나는 영어에서 포르투갈어로, 그리고 포르투갈어에서 발렌시아 속어로 표현하는 것을 감히 시도했다. 내가 태어난 나라가 기뻐할 수 있도록 말이다."라고 말했다.
학계에서는 발렌시아어의 기원이 카탈루냐어에 있으며, 레콩키스타를 통해 발렌시아 왕국이 된 지역으로 유입된 언어라는 것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아라곤 왕국에서 아라곤과 카탈루냐 사람들이 발렌시아로 이주했다고 여겨진다. 카탈루냐 남서부 지역의 방언과 발렌시아어가 유사한 것은 그 지역에서 이주한 사람들이 많았기 때문으로 추정되어 왔다.
그러나 아라곤의 학자 안토니오 우비에토 아르테타는 그의 저서 『발렌시아 왕국의 기원』에서 하이메 1세가 남긴 기록의 수치를 바탕으로, 레콩키스타와 14세기, 15세기 사이에 카탈루냐에서의 이주민은 단 5%에 불과했다고 제시하고 있다. 발렌시아 인구의 70%는 무사라베(이슬람 지배하의 기독교도)와 무어인으로 남아 있었고, 11%는 카스티야에서, 10%는 아라곤 왕국에서, 7%는 외국에서 온 사람들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대규모 인구 이동이 없어도 언어가 변화하는 예는 많다. 예를 들어 아일랜드, 웨일스, 스코틀랜드에서는 이주가 거의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몇 세대 만에 기존의 언어가 영어로 대체되었다.
가장 널리 퍼져 있는 이론 중 하나는, 발렌시아어가 알안달루스 정복 이후에도 주민들이 사용하던 로망스어의 일종인 모사라베어에서 발전했다는 것이다. 이후 이 언어는 카탈루냐어, 프로방스어, 카스티야어에서 단어를 차용하여 발렌시아어가 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이론은 모사라베어 자료에 의해 반박된다. 주로 "Campos"와 같이 모사라베어에서 유래한 지명이 발렌시아어와 특징을 공유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른 이론은 발렌시아어가 카탈루냐어와 함께 고오크어에서 직접 파생되었다고 주장한다. 고오크어는 정복왕 하이메 1세의 궁정과 함께 발렌시아로 들어왔다는 것이다. 하이메 1세는 몽펠리에 출신이었고, 고오크어는 트루바두르의 언어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발렌시아가 정복되었던 당시에는 실제로 카탈루냐어와 오크어가 혼동되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카탈루냐어와 오크어는 시 낭송에서는 같은 전통을 공유했지만, 구어로는 달랐다. 카탈루냐의 트루바두르들은 쓰는 언어와 말하는 언어가 다르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하이메 1세 시대 이전 자료, 예를 들어 "Homilies d'Organyà"에서는 카탈루냐어와 오크어가 다르다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다.
2. 2. 언어 명칭 논쟁
스페인 민주주의 전환 이후, 발렌시아어가 카탈루냐어와 같은 언어 체계에 속하는지, 아니면 독립적인 언어인지에 대한 논쟁이 발렌시아인들 사이에서 벌어졌다. 이 논쟁은 정치적인 배경을 띠는 경우가 많았다.[44]언어학계에서는 로망스어 연구 이후 발렌시아어와 카탈루냐어의 언어적 통일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 적이 없지만,[44] 발렌시아 여론의 일부는 두 언어가 다르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은 격동적인 발렌시아 전환기에 지역주의 우익과 이른바 블라베리즘 세력에 의해 확산되기 시작했다.[44]
발렌시아 문화 왕립 아카데미(RACV)는 1915년 발렌시아 주 의회에 의해 설립된 기관으로, 분리주의적 언어 규범인 '푸익 규범'을 제시했지만, 그 사용은 미미한 수준이다.[44]
발렌시아 학자들을 포함한 언어학자들은 카탈루냐어와 발렌시아어를 같은 언어로 취급한다. 발렌시아 지방의 언어를 관장하는 공식 기구인 발렌시아어 학회(AVL)는 발렌시아어와 카탈루냐어가 같은 언어의 두 가지 이름이라고 간주한다.[44] AVL은 1998년 발렌시아 지방 인민당(PP)-발렌시아 연합(UV) 정부의 에두아르도 사플라나에 의해 설립되었다.
AVL의 결정에 따르면, 발렌시아어는 카탈루냐 자치주, 발레아레스 제도, 안도라 등 아라곤 왕관의 다른 지역에서 공유되는 언어와 동일하며, 이들 지역의 다양한 방언들은 하나의 언어, 즉 "언어 시스템"을 구성한다. 발렌시아어는 이 언어 시스템 내에서 다른 어떤 방언과도 동등한 위계와 존엄성을 가진다.[44]
엘 파이스에 따르면, 당시 카탈루냐 대통령이자 CiU 대표였던 조르디 푸졸은 1996년 사플라나와 협상하여 호세 마리아 아스나르의 스페인 총리 임명에 대한 CiU의 지지와 맞바꾸어 카탈루냐어의 언어적 통일성을 보장했다.[45] 사플라나는 이를 부인하며 "언어의 통일성은 협상 대상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엘 푸히 규범은 AVL과 경쟁 언어 학회로 자처하며 발렌시아어를 카탈루냐어의 방언이 아닌 독립적인 언어로 규정하는 대체 철자법을 장려하는 발렌시아 문화 왕립 학회(RACV)에 의해 1979년에 제정되었다.
발렌시아어는 서부 카탈루냐에서 사용되는 북서부 방언과 함께 서부 방언으로 분류되며, 카탈루냐어와 발렌시아어의 다양한 형태는 90%~95% 수준에서 상호 이해 가능하다.[46]
공식 기관의 입장에도 불구하고, 2001년에서 2004년 사이에 실시된 여론 조사에 따르면 발렌시아인의 대다수(65%)는 발렌시아어가 카탈루냐어와 다르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4] 2014년 공식 여론 조사에서는 발렌시아인의 54%가 발렌시아어를 카탈루냐어와 다른 언어로 간주했지만, 41%는 같은 언어로 간주했다.[13]
언어 통일성에 대한 의견은 연령, 교육 수준, 거주 지역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18~24세(51%)와 고등 교육을 받은 사람들(58%)의 대다수가 발렌시아어를 카탈루냐어와 같은 언어로 간주하는 반면, 65세 이상(29%)과 초등 교육만 받은 사람들(32%)은 이러한 견해에 대한 지지율이 가장 낮았다. 카스테욘 주 거주자들은 언어 통일성에 찬성할 가능성이 더 높은 반면, 알리칸테 주 거주자들은 반대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47]
발렌시아어라는 용어와 카탈루냐어와의 관계에 대한 모호성은 때때로 혼란과 논쟁을 야기했다. 2004년 유럽헌법 초안 작성 중 스페인의 지역 정부는 스페인어 이외의 언어가 공용어인 경우 해당 언어로 번역본을 제출하라는 요청을 받았다. 카탈루냐와 발렌시아 지방에서 다른 이름이 사용되기 때문에 두 지역은 각각 서로 동일한 버전을 하나씩 제공했다.[49]
2006년 5월 스페인 대법원은 발렌시아 주 정부가 1995년에 발표한 교육 관련 명령을 취소하는 결정을 내렸다. 취소된 명령은 카탈루냐 주와 발레아레스 제도가 발행하는 카탈루냐어 자격증이 발렌시아 주에서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내용이었다.[50]
발렌시아어의 지위는 1970년대부터 80년대 스페인 민주화 과정에서 첨예한 문제였으며, 현재에도 감정적인 문제로 남아있다. 일반적으로 발렌시아어가 독자적인 언어라는 주장은 발렌시아 지방에서 인정된 정치적 권리이다. 우익 정치인들은 카탈루냐인, 특히 카탈루냐 지역주의자들이 발렌시아의 독자성을 부정하고 카탈루냐어 사용 지역을 정치적으로 통합하려 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카탈루냐 정치인들은 발렌시아 우익이 이 문제를 이용하여 카탈루냐인을 언어 제국주의자로 묘사하고, 발렌시아와 카탈루냐 이외의 스페인에서 중앙집권주의 우익의 지지를 얻으려 한다고 비판한다.
3. 공식 지위
발렌시아어의 공식 지위는 스페인 헌법, 발렌시아 자치헌장, 발렌시아어 사용 및 교육에 관한 법률((ca))에 의해 규정된다.[19]
발렌시아 자치헌장 제6조는 발렌시아어가 발렌시아 공동체의 고유어이며, 스페인어와 함께 공용어임을 명시하고 있다. 모든 사람은 발렌시아어를 알고 사용할 권리와 발렌시아어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으며, 언어를 이유로 차별받아서는 안 된다. 또한, 발렌시아어의 회복에 특별한 보호와 존중이 필요하며, 발렌시아어 학술원(Acadèmia Valenciana de la Llengua)이 발렌시아어의 규범 기관이다.[19]
1983년에 통과된 발렌시아어 사용 및 교육에 관한 법률은 이중 언어 교육 시스템 실행, 공공 행정 및 사법 시스템에서 발렌시아어 사용 규정 등을 구체화했다. 시민은 양쪽 언어(발렌시아어, 스페인어)를 자유롭게 사용할 권리와 발렌시아어로 정보를 받을 권리가 있다.
발렌시아어는 스페인이 비준한 유럽 지역 또는 소수 언어 헌장에 의해서도 보호받고 있다. 그러나 헌장 전문가 위원회는 스페인 정부와 발렌시아 정부가 헌장을 적용하는 데 상당한 결함이 있다고 지적했다.[20]
4. 사용 지역 및 현황
2010년 발렌시아 지방 정부는 (발렌시아어의 지식 및 사회적 사용)라는 연구 보고서[26]를 발표했다. 이 연구에는 카스테욘, 발렌시아, 알리칸테 3개 주의 6,600명 이상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가 포함되어 있으며, 응답자의 답변을 수집했을 뿐 별도의 검증이나 시험은 포함되지 않았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발렌시아어를 "항상, 대체로, 또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비율:
- * 집에서: 31.6%
- * 친구와 함께: 28.0%
- * 내부 업무 관계에서: 24.7%
- 발렌시아어 사용 능력:
- * "완벽하게" 또는 "꽤 잘" 말할 수 있다고 응답한 비율: 48.5% (발렌시아어 사용 지역 54.3%, 스페인어 사용 지역 10%)
- * "완벽하게" 또는 "꽤 잘" 쓸 수 있다고 응답한 비율: 26.2% (발렌시아어 사용 지역 29.5%, 스페인어 사용 지역 5.8%)
이 설문 조사는 발렌시아어가 발렌시아 지방의 많은 지역에서 여전히 공용어이지만, 발렌시아 인구의 절반 이상이 발렌시아어를 구사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발렌시아 주민들이 사회적 관계에서 발렌시아어를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2021년 최근 설문 조사[27]에 따르면 일상적으로 발렌시아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수가 감소하는 추세이며, 발렌시아와 알리칸테와 같은 주요 도시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하여 일상적으로 발렌시아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한 자릿수에 불과하다. 그러나 발렌시아어를 이해하고 읽을 수 있다고 주장하는 주민의 비율은 2015년 이후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탄압, 이민, 발렌시아어 정규 교육의 부족 등 여러 정치적, 사회적 요인으로 인해 발렌시아어 사용자 수가 크게 감소했고, 스페인어의 영향으로 다수의 언어 오용이 나타났다.[29]
4. 1. 사용 지역
레콩키스타 이후 발렌시아어는 현재보다 훨씬 남쪽까지 사용되었으며, 스페인어와 이중언어 사용 지역이었다. 그러나 스페인어가 점차 많은 지역에서 우세해지면서 18세기 중반경 두 언어의 경계가 안정되었다.[21] 다른 스페인의 자치주들과는 달리, 발렌시아어는 역사적으로 발렌시아 지방 전역에서 동일한 정도로 사용되지 않았다. 발렌시아 지방의 10~15%에 해당하는 4분의 1이 넘는 지역(내륙 및 최남단 지역)은 중세 이후로 스페인어를 사용해왔다.발렌시아 지방과 인접한 무르시아 지방의 농촌 지역인 카르체 코마르카에서도 소수의 사람들이 발렌시아어를 사용한다.[22][23][24] 그러나 이 지역에서는 발렌시아어가 공식적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현재 카르체에서 약 600명이 발렌시아어를 구사할 수 있다.[25]
발렌시아어는 전통적으로 알리칸테와 카스테욘 주의 해안 지역과 일부 내륙 지역에서 사용되며, 발렌시아 지방 해안에서 발렌시아어가 사용되는 지역의 최북단인 비나로스에서 최남단인 과르다마르까지 사용된다.
발렌시아어 사용 지역 | 스페인어 사용 지역 | 총계 | |
---|---|---|---|
이해 가능 | 79.4% | 54% | 75.8% |
말할 줄 아는 사람 | 54.9% | 24.2% | 50.6% |
읽을 줄 아는 사람 | 60.9% | 35% | 57.2% |
쓸 줄 아는 사람 | 44.4% | 19.5% | 40.8% |
4. 2. 사용 현황
레콩키스타 이후 발렌시아어는 현재보다 훨씬 남쪽까지 사용되었으며, 스페인어와 이중언어 사용 지역이었다. 그러나 스페인어가 점차 많은 지역에서 우세해지면서 18세기 중반경 두 언어의 경계가 안정되었다.[21]다른 스페인의 자치주들과는 달리, 발렌시아어는 역사적으로 발렌시아 지방 전역에서 동일한 정도로 사용되지 않았다. 발렌시아 지방의 10~15%에 해당하는 4분의 1이 넘는 지역(내륙 및 최남단 지역)은 중세 이후로 스페인어를 사용해왔다.
발렌시아 지방과 인접한 무르시아 지방의 농촌 지역인 카르체 코마르카에서도 소수의 사람들이 발렌시아어를 사용한다.[22][23][24] 그러나 이 지역에서는 발렌시아어가 공식적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현재 카르체에서 약 600명이 발렌시아어를 구사할 수 있다.[25]
발렌시아어는 전통적으로 알리칸테와 카스테욘 주의 해안 지역과 일부 내륙 지역에서 사용되며, 발렌시아 지방 해안에서 발렌시아어가 사용되는 지역의 최북단인 비나로스에서 최남단인 과르다마르까지 사용된다.
5. 특징
발렌시아어 학회(Acadèmia Valenciana de la Llengua)(AVL)는 표준 카탈루냐어와 비교하여 표준 발렌시아어가 특정 구문, 어휘, 동사 활용 및 악센트 표시를 갖도록 규정한다. 발렌시아어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으며, 발렌시아 지방 내의 다양성이 커서 아래 특징이 모든 지역 변종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언어 변종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는 카탈루냐어를 참조한다.
'''참고:''' 하위 섹션("음운론", "형태론", "어휘", "표기법")과 내용이 중복되므로, 여기서는 발렌시아어의 특징을 간략하게 요약만 한다.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섹션을 참조.
5. 1. 음운론
발렌시아어의 강세 모음 체계는 동부 카탈루냐어와 동일하며, /a/, /e/, /ɛ/, /i/, /o/, /ɔ/, /u/ 7개의 모음이 있다.[30][31]| | 전설 모음 | 후설 모음 |
---|---|---|
고모음 | ||
저모음 | ||
colspan="2" | |
- 발렌시아어의 강세 모음 체계는 동부 카탈루냐어와 동일하다.
- , , , , , , 및 ( 및 는 동부 카탈루냐어보다 상당히 낮음).
고모음(및 고중모음):
- 및 모음은 스페인어보다 더 열리고 중앙화되어 있다.
- 이 효과는 무강세 음절에서 더 두드러지며, 이때의 음소는 로 가장 잘 표기된다. (예: '소년'). 이 과정은 완전히 예측 가능하므로, 후자의 기호는 이 문서의 다른 곳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 (무강세 고모음 및/또는 고중모음/중모음의 근접성으로 인해, 비표준 구어체 발렌시아어는 모음 변화나 음운변이를 일으키는 더 낮은 모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 → * '수영장').
- 모음은 강세 및 무강세 음절 모두에서 약간 후퇴되어 있으며() 는 약간 전진되어 있다() (예: '지하철').
- 및 는 경우에 따라 중모음 로 실현될 수 있다. 이것은 에서 더 자주 발생한다 (예: '사랑').
저모음:
- 소위 "저모음"인 및 는 대부분의 발렌시아어 방언에서 만큼 낮다. 의 음성적 실현은 에 가까워지며, 는 전통적인 RP ''d'''o'''g''과 같이 만큼 열린다. 이 특징은 발레아레스에서도 발견된다. 이러한 모음의 빈도를 보여주는 목록은 /ɛ/ 및 /ɔ/가 발렌시아어에서 발견되는 경우를 참조.
- 는 유음 앞(예: '녹색')과 단음절 단어(예: '일곱')에서 약간 더 열리고 중앙화되어 있다.
- 는 대부분 후설 모음이다 ( '나막신', '황소').
- 일부 방언(발레아레스 포함)에서는 가 무원순화될 수 있다(, ).
- 모음은 중앙 동부 카탈루냐어보다 약간 더 전설화되고 폐쇄적이지만(마요르카어보다 덜 전설화되고 폐쇄적임) 발렌시아어에서 모음의 정확한 음성적 실현은 [ ~ ]이며, 이 모음은 많은 경우 동화 작용을 받는다.
- 강세 는 연구개 자음(후설화된 포함)과 접촉할 때 로 후퇴될 수 있다. ('막대기'); 그리고 구개음과 접촉할 때 로 전설화될 수 있다. ('엉망진창의 일'). 이것은 이 문서에서 표기되지 않는다.
- 의 구개음 발음은 일부 화자에 의해 와 합쳐질 수 있다: ('광선').
모음 축약:
- 일반적으로 5개의 무강세 모음 이 있다 (합성과 모음 조화를 통해 및 의 드문 경우가 발견됨). 무강세 모음은 동부 카탈루냐어 방언보다 안정적이지만, 이들이 합쳐지는 많은 경우가 있다.
- : 최종 무강세 는 다음 값을 가질 수 있다. [ ~ ~ ] (음성적으로 , 그리고 전통적으로 구별 기호 및/또는 특이한 문자 없이 표기됨: 단순화를 위해 ), 이전 음과/또는 방언에 따라 다름(아래 모음 조화 참조).
- 발렌시아 주의 일부 지역(특히 남부 발렌시아)에서는 강세 가 뒤따르는 무강세 가 가 된다: ('포도'). 에 따르면, 마리나 알타의 일부 마을에서는 최종 가 에 가깝다: ('소녀').
- : 무강세 및 는 파찰음, 비음 및 특정 유사음 및 유음과 접촉하여 초기 위치에서 (음성적으로 , , 등)로 실현될 수 있다 (예: '벌떼').
- 마찬가지로(발렌시아어 학회(AVL)에서는 권장하지 않지만), 무강세 및 는 구개음과 접촉하여 (음성적으로 )와 합쳐지며(예: '무릎'), 특히(이 경우에는 허용됨) 접미사 가 있는 어휘 파생어에서 그렇다 (예: '지식').
- 표준어에서는( → ) 접미사 가 있는 단어에서만 허용된다.
- : 무강세 위치에서는 더 열리고 중앙화된다 .
- : 무강세 및 는 순음과 접촉하여 (음성적으로 )로 실현될 수 있다 (예: ''c'''o'''berts'' '식기류'), 고모음이 있는 강세 음절 앞(예: '한숨을 쉰다')과 일부 고유 명사에서(예: '요셉').
- (일부 구어체에서 초기 무강세 는 로 이중모음화될 수 있다, ) '냄새(명사).' 이것은 비표준으로 간주된다.
- : 무강세 위치에서는 더 열리고 중앙화된다 .
생략 및 이중모음화:
- 특정 경우, 무강세 및 는 강세 모음이 뒤따르거나 앞설 때 묵음이 된다.
- 무강세 : 또는 ('몇 시입니까?')
- 무강세 : ('이 남자').
- 일부 악센트에서는 운율 단위의 끝에 있는 모음이 특별한 강조를 위해 중앙 이중모음으로 실현될 수 있으므로, '이봐! 여기 와!'는 로 발음될 수 있다. 무음 (음성적으로 )는 스페인어와 마찬가지로 모음 뒤에 나타나는 무강세 무음 변이체 와 관련이 없다.
모음 조화:
- 많은 발렌시아어 방언은 어떤 종류의 모음 조화()를 특징으로 한다. 이 과정은 일반적으로 단어의 마지막 무강세 모음에 대해 진행적이다(즉, 앞선 모음이 그 뒤에 발음되는 모음에 영향을 미침). 예: > '천', > '시간'. 그러나(비표준으로 간주되지만) 전강세 모음에 대해 역행적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예: > '영향을 미친다', > '수건'.
- 모음 조화는 방언에 따라 크게 다르며, 많은 변종에서 앞선 강세 모음의 높이와 음질 모두에 동화된다(예: '땅' 및 '여자'); 다른 변종에서는 높이만 동화되므로, 및 는 지역과 화자에 따라 ( 및/또는 ) 또는 ( 및/또는 )로 실현될 수 있다.
- 일부 하위 변종에서는 모음 조화에 의해 생성된 무강세 모음이 실제로 강세 모음보다 더 높을 수 있다(예: '문').
- 더 넓은 의미에서 모음 동화는 더 많은 경우(즉, 앞선 음에 관계없이 최종 무강세 의 모든 경우 또는 대부분의 경우, 구개음화 및/또는 연구개음화 포함)에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소녀'). 이것은 비표준으로 간주된다.
기타 음운 변화:
- 모음 비음화 및 장음화
- 모든 모음은 비음 자음 사이에서 또는 음절 말의 비음 앞에서 음성적으로 비음화된다(예: '일요일').
- 모음은 일부 문맥에서 장음화될 수 있다 (예: '조정').
음소 | 변이체 | 용법 | 예시 | 영어 |
---|---|---|---|---|
rowspan="9"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대부분의 경우에 나타남 | hand영어 | ||
style="text-align:center;"| | - 구개음 앞/뒤, 더 높은 일 수 있음 (강세 및 무강세 위치 모두) | botched job영어 | ||
style="text-align:center;"| | lightning영어 | |||
style="text-align:center;"| | - 연구개음 앞/뒤, 일반적으로 무강세 위치에서 더 높음 | bucket영어 | ||
style="text-align:center;"| | - 와 동일하지만, 비음이 뒤따름; 일반적으로 무강세 위치에서 더 높음 | blood영어 | ||
style="text-align:center;"| | - 무강세 위치 | before영어 | ||
style="text-align:center;"| | - 비음 ; 즉, 뒤에 또는 사이에 비음이 있음 | thrown영어 | ||
style="text-align:center;"| | - 최종 무강세 음절 (모음 조화), 더 낮은 및 일 수 있음 | Earth, land영어; woman영어 | ||
rowspan="4"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유음 앞과 단음절 용어에서 | seven영어 | ||
style="text-align:center;"| | - 비음 앞 | dense영어 | ||
style="text-align:center;"| | - 나머지 경우, 더 낮은 일 수 있음 | thesis영어 | ||
rowspan="9"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강세 및 무강세 음절에서 발견됨, 더 낮은 일 수 있음 | dry영어 | ||
style="text-align:center;"| | - 강세 및 무강세 위치에서 비음 뒤에 또는 사이에 있음, 더 낮은 일 수 있음 | slow영어 | ||
style="text-align:center;"| | - 일부 경우, 구개음 앞 초기 무강세 위치; 더 높은 일 수 있음 | swarm영어 | ||
style="text-align:center;"| | - 일부 경우, 무강세 위치 | earthy영어 | ||
style="text-align:center;"| | - 일부 경우, (연구개 비음 제외) 비음 앞 초기 무강세 위치 | they understands영어 | ||
style="text-align:center;"| | - 일부 경우, 연구개음과 접촉하는 무강세 위치; 더 높은 일 수 있음 | crevice영어 | ||
style="text-align:center;"| | - 일부 경우, 연구개 비음 앞 초기 무강세 위치; 더 높은 일 수 있음 | anvil영어 | ||
style="text-align:center;"| | - 접미사 -ixement에서 발견됨 | birth영어 | ||
rowspan="6"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특히 강세 음절에서 발견됨 | six영어 | ||
style="text-align:center;"| | - 비음 ; 즉, 뒤에 또는 사이에 비음이 있음 | in, within, inside영어 | ||
style="text-align:center;"| | - 무강세 위치 | boy영어 | ||
style="text-align:center;"| | - 비음 ; 즉, 뒤에 또는 사이에 비음이 있음 | to decrease, to wane영어 | ||
style="text-align:center;"| | - 모음 앞/뒤 무강세 위치 | yoghurt영어 | ||
rowspan="4"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파열음 앞과 단음절 용어에서 발견됨 | red영어 | ||
style="text-align:center;"| | - 비음 앞 | bridge영어 | ||
style="text-align:center;"| | - 나머지 경우, 더 낮은 일 수 있음 | woman영어 | ||
rowspan="7"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강세 및 무강세 음절에서 발견됨 | much, very영어 | ||
style="text-align:center;"| | - 비음 ; 즉, 뒤에 또는 사이에 비음이 있음 | where영어 | ||
style="text-align:center;"| | - 접미사 -dor 및 종지 강세 음절에서 발견됨 | song영어 | ||
style="text-align:center;"| | - 순음 앞, 고모음이 있는 음절 및 일부 고유 명사에서 무강세 위치 | Joseph영어 | ||
style="text-align:center;"| | - 와 동일하지만, 비음이 뒤따름 | to fulfill영어 | ||
style="text-align:center;"| | - 약한 대명사 ho에서 대부분의 경우 발견됨 | it영어 | ||
rowspan="6"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특히 강세 음절에서 발견됨 | hake영어 | ||
style="text-align:center;"| | - 비음 ; 즉, 뒤에 또는 사이에 비음이 있음 | smoke영어 | ||
style="text-align:center;"| | - 무강세 위치 | to soak, to dip영어 | ||
style="text-align:center;"| | - 비음 ; 즉, 뒤에 또는 사이에 비음이 있음 | a lot영어 | ||
style="text-align:center;"| | - 모음 앞/뒤 무강세 위치 | your영어 (f.) |
colspan="2" | | 순음 자음 | 치음/치경음 | 연구개음 | 연구개음 | |||||
---|---|---|---|---|---|---|---|---|---|
비음 | style="border-right: 0;" width=25px| | style="border-left: 0;" width=25px | | style="border-right: 0;" width=25px| | style="border-left: 0;" width=25px | | style="border-right: 0;" width=25px| | style="border-left: 0;" width=25px | | style="border-right: 0;" width=25px| | () | |
파열음 | style="border-right: 0;" width=25px| | style="border-left: 0;" width=25px | | style="border-right: 0;" width=25px| | style="border-left: 0;" width=25px | | colspan=2 | | style="border-right: 0;" width=25px| | style="border-left: 0;" width=25px | | ||
마찰음+파열음 | colspan=2 | | style="border-right: 0;" width=25px| | style="border-left: 0;" width=25px | | style="border-right: 0;" width=25px| | style="border-left: 0;" width=25px | | colspan=2 | | |||
마찰음 | style="border-right: 0;" width=25px| | style="border-left: 0;" width=25px | | style="border-right: 0;" width=25px| | style="border-left: 0;" width=25px | | style="border-right: 0;" width=25px| | () | colspan=2 | | ||
유음 | 중앙음 | colspan=2 | | colspan=2 | | style="border-right: 0;"| | style="border-left: 0;" | | style="border-right: 0;"| | style="border-left: 0;" | | ||
측음 | colspan=2 | | style="border-right: 0;"| | style="border-left: 0;" | | style="border-right: 0;"| | style="border-left: 0;" | | colspan=2 | | |||
설측음 | 탄음 | colspan=2 | | style="border-right: 0;"| | style="border-left: 0;" | | colspan=2 | | colspan=2 | | |||
전동음 | colspan=2 | | style="border-right: 0;"| | style="border-left: 0;" | | colspan=2 | | colspan=2 | |
비음:
- 는 순음이며, 와 앞에서는 순치음 이 된다.
- 는 앞쪽 치경음 이며, 와 앞에서는 치경음 이 된다.
- 또한, 은 , , 앞에서는 후치경음 또는 치경구개음 이 되며; 와 앞에서는 연구개음 이 되고; 와 앞에서는 순치음 이 되어 과 동화된다. 와 앞에서도 과 동화되어 이 된다.
- 는 앞쪽 치경구개음 이다.
- 은 연구개음이며, 어말에만 나타난다.
파열음, 마찰음:
- 파열음은 뒤따르는 자음과 모음의 유성 여부에 따라 동화된다: ('친구들').
- 유성 파열음은 어말 무성화를 겪는다. 따라서 fre'''d'''|프레트ca ('추운', 남성 명사 단수)는 (또는 )로 발음되며 로 표기되고, {{llang
5. 2. 형태론
발렌시아어의 형태론은 중앙 카탈루냐어와 몇 가지 차이점을 보이며, 중세 카탈루냐어 및 현대 발레아레스 제도 카탈루냐어와 유사한 특징을 갖는다.- 동사의 현재 1인칭 단수 형태는 중앙 카탈루냐어와 다르다. 어미에 -''o''가 없는 형태는 중세 카탈루냐어 및 현대 발레아레스 제도 카탈루냐어와 더 유사하다.
어간 | 카탈루냐어 | 발렌시아어 | 중앙 카탈루냐어 |
---|---|---|---|
(원형) | scope="col" | | scope="col" | | |
-ar | parlarca (말하다) | parloca | |
-re | batreca (치다) | batoca | |
-er | témerca (두려워하다) | temoca | |
-ir | sentirca (느끼다) | sentoca | |
(구어) | |||
시작 동사 -ir | patirca (고통받다) | pateixoca | |
- 현재 접속법은 중세 카탈루냐어 및 스페인어와 더 유사하다. -''ar'' 동사는 로 끝나고, -''re'', -''er'', -''ir'' 동사는 로 끝난다 (현대 중앙 카탈루냐어 현재 접속법은 ica로 끝남).
- 발렌시아어는 접속법 미완료 시제 어미로 -''ra''를 사용한다. 예: ('그가 올지도 모른다').
- 발렌시아어는 3접합 시작 동사의 테마 모음으로 -''i''를 사용한다. (예: ('그들이 섬긴다')). 그러나 와 같이 -''ei''-를 사용하는 발렌시아어 방언도 있다.
- 발렌시아어의 과거 단순 시제 (예: '그는 노래했다')는 중앙 카탈루냐어보다 구어체에서 더 자주 사용된다. 중앙 카탈루냐어에서는 주로 도치 과거 시제 (예: va cantarca '그는 노래했다')가 사용되고 과거 단순 시제는 주로 문어체에 나타난다.[32]
- '이다'라는 뜻의 동사 의 현재 시제 2인칭 단수 형태 ('너는 ~이다')는 구어체에서 로 대체되었다.
- '보다'라는 뜻의 원형 는 더 비공식적인 표현으로 를 사용하기도 한다.
- 의무 표현으로 표준 + (영어의 "have to"와 동등) 대신 + + 원형(~해야 한다) 구문이 구어체 발렌시아어에서 널리 사용된다.
; 클리틱(Clitics)
- 일반적으로, 정관사의 현대 형태 (, 'the')와 3인칭 무강세 목적격 대명사 (, '그를, 그들을')의 사용이 일반적이지만, 일부 방언 (예: 비나로스 지역 방언)은 레이다와 같이 어원 형태 , 를 유지한다.
- 다른 무강세 목적격 대명사의 경우, 지역에 따라 어원적 고어 형태 (, , , , , ...)가 더 현대적인 강화된 형태 (, , , , , ...)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 , ('우리, 너희들')에 대한 여러 지역적 변형: , , 등; , , 등.
- 표준 // ('우리') 대신 /와 / ('너희') 대신 / 약형도 사용된다. 후자 ( 대신 )는 표준으로 간주된다.
- 부사 대명사 ('거기에')는 구어체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고 다른 대명사로 대체된다. 부사 대명사 ('그를/그녀를/그들을/것을')은 카탈루냐와 발레아레스 제도보다 덜 사용된다.[32]
- ('그를/그녀를/것을')가 결합된 약한 클리틱은 를 유지하는 반면, 중앙 카탈루냐어에서는 로 대체된다. (예: 발렌시아어: , 중앙 카탈루냐어: l'hica)
- 약한 대명사 ('그것')는 다음과 같이 발음된다.
- 대명사와 음절을 형성할 때: , ('그들이 나에게 그것을 준다')
- 자음으로 시작하는 동사 앞에 올 때 또는 : (또는 ) ('그들이 그것을 준다')
- 모음 앞이나 모음 뒤에 올 때 : ('그들이 그녀/그에게 그것을 준다'), ('너는 그것을 준다')
- 자음이나 반모음 뒤에 올 때 : ('것을 주다').
- 인칭 대명사 ('나')와 부사 ('이미')는 철자대로 발음되지 않고 어원대로 발음된다 ( 및 대신 및 ). 북서 카탈루냐어와 이비자어에서도 비슷한 발음을 들을 수 있다.
- 전치사 ('~와 함께')는 대부분의 발렌시아어 방언에서 ('~에')와 합쳐진다.
- 복합 전치사 ('~을 위해')는 구어체 발렌시아어에서 보통 로 축약된다.
- 발렌시아어는 세 가지 수준의 지시어 정밀도를 가진 중세 지시어 체계를 유지한다 ( 또는 //, 또는 //, // 또는 , 여기서 와 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 (현대 리바고르찬어와 토르토산어와 공유하는 특징).
- ('이것')의 구어체 변형인 는 알리칸테 발렌시아어에서 자주 들린다.
5. 3. 어휘
발렌시아어 어휘는 발렌시아어 사용 지역에만 국한된 단어와 다른 카탈루냐어 방언, 특히 북서부 방언과 공유하는 단어로 구성된다. 단어는 발렌시아 지방 전역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않고, 대개 특정 지역에 한정되거나 다른 방언 지역으로 확산되어 있다. 예를 들어, ‘오늘’을 뜻하는 는 (전이 방언을 제외한 발렌시아 전역에서 사용되지만, 북부 방언에서는 를 사용한다)과 ‘거울’을 뜻하는 (북서부 방언, 중앙 카탈루냐어 mirallca)이 있다. 발렌시아 내부에서도 차이가 있는데, ‘옥수수’는 중부 및 남부 발렌시아어에서는 이지만, 알리칸테와 북부 발렌시아어(그리고 북서부 카탈루냐어에서도)에서는 이다. 표준 발렌시아어는 남부 방언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다른 단어들이 전통적으로 다른 발렌시아어 방언에서 사용되는 것에도 불구하고, 이 방언의 단어들이 표준어의 주요 형태로 자주 사용된다. ‘토마토’를 뜻하는 (남부 발렌시아어 이외 지역에서는 를 사용)와 ‘매트리스’를 뜻하는 (남부 발렌시아어 지역을 포함한 발렌시아 일부 지역에서는 을 사용)가 그러한 예이다.다음은 표준 발렌시아어와 카탈루냐어에서 다른 형태를 가지거나 차이가 있는 단어들이다. 많은 경우, 두 표준 모두 각각의 사전에 이러한 변형을 포함하고 있지만, 어떤 형태가 주요 형태로 간주되는지에 대해서는 다르다. 다른 경우에는 발렌시아어가 IEC 표준에는 없는 구어체 형태를 포함한다. 각 표준의 주요 형태는 굵게 표시되어 있으며(둘 이상일 수도 있습니다), 대괄호 안의 단어는 해당 표준에 포함되어 있지만, 다른 표준에서 사용되는 동족어와 의미가 다릅니다.
5. 4. 표기법
발렌시아어와 카탈루냐어는 일부 추가 기호와 이중자음을 사용하는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35] 대부분의 문자는 두 표준(발렌시아어와 카탈루냐어)에서 동일하게 발음된다. 주요 표준 간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b와 v (섬 카탈루냐어에도 있음)의 대조
- 발렌시아어에서 단순화 경향이 있는 긴 자음의 처리 (아래 표 참조)
- 부드러운 g(전치 모음 뒤)와 j(대부분의 경우)의 파찰음화()
- 초기 및 자음 후 x의 파찰음화()(일부 경우 제외)
- 대부분의 경우 tz의 연화(파찰음 제거)(특히 -''itzar'' 접미사)
주요 형태 | |||||||||||||||||||||||||||||||
---|---|---|---|---|---|---|---|---|---|---|---|---|---|---|---|---|---|---|---|---|---|---|---|---|---|---|---|---|---|---|---|
변형 형태 | |||||||||||||||||||||||||||||||
IPA | /a/ | /b/ | /k/, /s/ | /d/ | /e/ | /ɛ/ | /f/ | /ɡ/, /d͡ʒ/ | ∅ | /i/, /j/ | /d͡ʒ/ | /k/ | /l/ | /m/ | /n/ | /o/ | /ɔ/ | /p/ | /k/ | /r/, /ɾ/ | /s/, /z/ | /t/ | /u/, /w/ | /v/ | /w/, /v/ | /ks/, /ɡz/ | /t͡ʃ/, /ʃ/ | /j/, /i/ | /z/ |
주요 이중자음 및 문자 조합 | ||||
---|---|---|---|---|
철자 | IPA | 예시 | 의미 | |
카탈루냐어 | 발렌시아어 | |||
ch | /k/ | olch' | Folch | |
gu | /ɡ/ | gu'ila | 독수리 | |
ig | /t͡ʃ/ | aig' | 광선 | |
ix | /ʃ/ | /jʃ/ | ix'ida | 출구 |
kh | /x/ | xékh'ov | 체홉 | |
ll | /ʎ/ | roll'ar | 싹트다 | |
ŀl | /lː/ 또는 /l/ | /l/ | oŀl'egi | 학교, 대학 |
ny | /ɲ/ | eny'al | 신호 | |
qu | /k/ | 'qu'è | 무엇 | |
rr | /r/ | arr'a | 발목, 발톱 | |
sc | /s/ | sc'ens | 상승 | |
ss | oss'a | 가방, 지갑 | ||
tg | /d͡ʒ/ | etg'e | 간 | |
tj | iatj'ar | 여행하다 | ||
th | /θ/ | 'th'eta | 세타 | |
tl | /lː/ | /l/ 또는 /lː/ | etl'em | 베들레헴 |
tll | /ʎː/ | /ʎ/ | itll'et | 지폐, 티켓 |
tm | /mː/ | /m/ | etm'ana | 주 |
tn | /nː/ | /n/ 또는 /nː/ | otn'a | 돼지껍데기 |
ts | /t͡s/ | ots'er | 아마 | |
tx | /t͡ʃ/ | otx'e | 자동차 | |
tz | /d͡z/ | /d͡z/ | etz'e | 16 |
/z/ | nalitz'ar | 분석하다 |
구분 기호 | |||
---|---|---|---|
철자 | IPA | 예시 | 의미 |
à | /a/ | utà' | 부탄 |
철자 | IPA | 예시 | 의미 |
é | /e/ | é's | 더 |
è | /ɛ/ | è'tol | 표지판, 라벨 |
철자 | IPA | 예시 | 의미 |
ó | /o/ | moció' | 감정 |
ò | /ɔ/ | 'ò'bila | 헛간 올빼미 |
철자 | IPA | 예시 | 의미 |
í | /i/ | í'sic | 물리적인 |
ï | uï'na | 폐허 | |
철자 | IPA | 예시 | 의미 |
ú | /u/ | ejú' | 금식 |
ü | eü'c | 부츠 | |
/w/ | igü'es | 물 |
C trencada | |||
---|---|---|---|
철자 | IPA | 예시 | 의미 |
ç | /s/ | raç' | 팔 |
6. 방언
발렌시아어는 서카탈루냐어의 한 방언으로, 카탈루냐어 전체 또는 "바르셀로나 카탈루냐어" (중앙 카탈루냐어)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 서카탈루냐어에는 라 프란하(아라곤 동부), 안도라, 카탈루냐의 레이다와 타라고나 남부에서 사용되는 방언도 포함된다.
발렌시아어는 지역에 따라 다양한 방언으로 나뉘며, 크게 북부 발렌시아 방언, 카스테욘 방언, 중앙 방언 (''apitxatca''), 남부 방언, 알리칸테 방언으로 구분된다. 각 방언은 음운, 형태, 어휘 등에서 특징적인 차이를 보인다.
표준 발렌시아어는 남부 발렌시아어를 기반으로 하며, 발렌시아어 학회(Acadèmia Valenciana de la Llengua)(AVL)에서 제정한 표준안을 따르는 것이 일반적이다.[36]
6. 1. 주요 방언
발렌시아어는 매우 다양한 하위 방언들을 가지고 있으며, 그 특징들은 모든 지역에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발렌시아어 학회(Acadèmia Valenciana de la Llengua)(AVL)는 표준 발렌시아어가 특정 구문, 어휘, 동사 활용 및 악센트 표시를 갖도록 규정한다.[36]
발렌시아어의 주요 방언은 다음과 같다.
지역 | 방언명 | 사용 지역 | 특징 |
---|---|---|---|
북부 | 전이형 발렌시아어 () 또는 토르토사 방언 () | 카스테욘 주 최북단 지역(베니카를로, 비나로스 등), 아라곤 테루엘 주 마타라냐 지역, 타라고나 주 토르토사 인근 카탈루냐 남부 국경 지역 | |
북부 발렌시아어 () 또는 카스테욘 발렌시아어 () | 카스테욘 데 라 플라나 시 주변 지역 | ||
중부 | 중부 발렌시아어 () 또는 | 발렌시아 시와 그 주변 지역 (발렌시아 언론에서는 표준어로 사용되지 않음) | |
남부 | 남부 발렌시아어 () 또는 상부 남부 발렌시아어 | 발렌시아 주 최남단과 알리칸테 주 최북단 인접 (표준 발렌시아어로 간주) | |
알리칸테 발렌시아어 () 또는 하부 남부 발렌시아어 | 알리칸테 주 남쪽 절반과 무르시아 카르체 지역 |
7. 문학
- '''엘체의 신비극''' (1350년경) 종교극. 유네스코에 의해 인류 무형문화유산 걸작으로 등재되었다.
- '''쿠리아르 이 겔파''' (15세기), 인문주의적 기사도 로맨스
- 아우시아스 마르크 (간디아, 1400년 – 발렌시아, 1459년 3월 3일). 시인. 르네상스 유럽에서 널리 읽혔다.
- 호아노트 마르토렐 (간디아, 1413년–1468년). 기사이자 소설 '''티란트 로 블랑크'''의 저자.
- 이사벨 데 비예나 (발렌시아, 1430년–1490년). 종교 시인.
- 호안 로이스 데 코렐라 (간디아 또는 발렌시아, 1435년 – 발렌시아, 1497년). 기사이자 시인.
- '''성모 마리아 찬미시집''' (1474년) 스페인에서 인쇄된 최초의 책. 발렌시아 마을에서 그 해에 열린 종교 시 낭송 대회의 작품집이다.
8. 미디어
2013년 11월 해산될 때까지 공영 방송사인 Ràdio Televisió Valenciana(RTVV)는 발렌시아어 방송의 주요 라디오 및 텔레비전 방송사였다. 발렌시아 지방 정부는 1984년 발렌시아 주민들의 모국어로 된 정보 접근의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해 이 방송사를 설립했다.[37] 2018년 같은 장소에서 다른 이름인 À Punt로 재개국하였으며, 발렌시아 지방 정부 소유의 À Punt Media 그룹이 소유하고 있다. 새 텔레비전 채널은 발렌시아 주민 전체를 위한 다원적이고 정보적이며 중립적인 채널이라고 주장한다. 발렌시아어를 중심으로 하는 이중 언어 방송이며, 지역 TV 채널로 인정받고 있다.[38]
인민당(PP) 정부 하의 RTVV 운영은 이념적 조작과 다원성 부족에 대한 비난으로 논란이 되었다. 뉴스 방송은 2006년 발렌시아 지하철 탈선 사고와 2009년 귈텔(Gürtel) 스캔들에서 발렌시아 지방 정부 대표 프란시스코 캄프스의 기소에 대한 보도가 미흡했다는 비난을 받았다.[39] PP가 임명한 감독들은 성희롱 혐의를 받았다.[40]
PP의 과도한 지출로 인한 부채 증가에 직면하여, RTVV는 2012년 인력의 70%를 감축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노동조합의 항소 후, 국가 고등법원은 2013년 11월 5일 이 계획을 무효화했다. 같은 날, 발렌시아 지방 정부 대표 알베르토 파브라(PP 소속)는 직원들의 복직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며 RTVV의 폐쇄를 발표했다.[41] 11월 27일, 의회는 RTVV 해산을 통과시켰고, 직원들은 방송을 장악하고 PP에 반대하는 운동을 시작했다. 누에브 TV(Nou TV)의 마지막 방송은 2013년 11월 29일 12시 19분 스페인 경찰이 전원을 차단하면서 갑자기 종료되었다.[42]
광고 수익을 모두 잃고 수백 건의 계약 해지로 인한 높은 비용에 직면하면서, RTVV 폐쇄가 발렌시아 지방 정부의 재정 상황을 개선했는지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으며, 사유 미디어에 대한 지원 계획을 지적하고 있다.[43]
2016년 7월, RTVV를 대체할 새로운 공영 방송사인 발렌시아 미디어 공사가 설립되었다. 이 회사는 2018년 6월 방송을 시작한 À Punt 텔레비전 채널을 포함하여 발렌시아 지방의 여러 공영 미디어를 관리하고 있다.
9. 정치 언어적 논쟁
스페인 민주주의 전환 이후, 발렌시아어가 나머지 발렌시아-카탈루냐어 언어 체계와 관련하여 자율적인지 종속적인지에 대한 문제는 발렌시아인들 사이에서 논쟁거리가 되어 왔다. 보통 정치적인 배경을 가지고 있다.[44] 언어학자들은 로망스어 연구 이후로 언어의 통일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 적이 없지만, 발렌시아의 여론 일부는 발렌시아어와 카탈루냐어가 다른 언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생각은 격동적인 발렌시아 전환기에 지역주의 우익과 소위 세력에 의해 확산되기 시작했다.[44] 발렌시아 문화 왕립 아카데미(RACV)가 작성한 대안적인 분리주의 언어 규정인 『푸익 규범』(Normes del Puig)이 있지만, 그 사용은 매우 미미하다.
언어학자들은 카탈루냐어와 발렌시아어를 같은 언어로 취급한다. 발렌시아 지방의 언어를 관장하는 공식 기구인 발렌시아어 학회(AVL)는 발렌시아어와 카탈루냐어가 같은 언어의 두 가지 이름이라고 간주한다.[44] AVL은 1998년 PP-UV 정부의 에두아르도 사플라나에 의해 설립되었다. 엘 파이스에 따르면, 당시 카탈루냐 대통령이자 CiU 대표였던 조르디 푸졸은 1996년 사플라나와 협상하여 호세 마리아 아스나르의 스페인 총리 임명에 대한 CiU의 지지와 맞바꾸어 카탈루냐어의 언어적 통일성을 보장했다.[45] 사플라나는 이를 부인하며 "언어의 통일성은 협상 대상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AVL 철자법은 1932년에 제정된 카스테요 규범을 기반으로 한다.
엘 푸히 규범은 1979년 AVL과 경쟁 언어 학회로 자처하며 발렌시아어를 카탈루냐어의 방언이 아닌 독립적인 언어로 규정하는 대체 철자법을 장려하는 RACV에 의해 제정되었다. 표준 발렌시아어에 비해 이 철자법은 발렌시아 지방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지 않은 많은 단어를 제외하고, /tʃ/에 대해 ⟨ch⟩, /j/에 대해 ⟨y⟩(스페인어와 유사)와 같은 철자를 선호한다.
공식 기관의 입장에도 불구하고, 2001년에서 2004년 사이에 실시된 여론 조사[14]에 따르면 발렌시아인의 대다수(65%)는 발렌시아어가 카탈루냐어와 다르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입장은 발렌시아어를 정기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에 의해 옹호된다. 2014년 공식 여론 조사[13]에 따르면, 발렌시아인의 54%는 발렌시아어를 카탈루냐어와 다른 언어로 간주했지만, 41%는 같은 언어로 간주했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적용한 결과, 언어 통일성에 대한 의견은 학력 수준과 거주 지역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18~24세(51%)와 고등 교육을 받은 사람들(58%)의 대다수가 발렌시아어를 카탈루냐어와 같은 언어로 간주하는 반면, 65세 이상(29%)과 초등 교육만 받은 사람들(32%)은 가장 낮은 지지율을 보였다. 카스테욘 주 거주자들은 언어 통일성에 찬성할 가능성이 더 높은 반면, 알리칸테 주 거주자들은 특히 학교에서 발렌시아어가 의무 언어가 아닌 지역에서는 반대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47]
발렌시아어라는 용어와 카탈루냐어와의 관계에 대한 모호성은 때때로 혼란과 논쟁을 야기했다. 2004년 유럽헌법 초안 작성 중 스페인의 지역 정부는 스페인어 이외의 언어가 공용어인 경우 해당 언어로 번역본을 제출하라는 요청을 받았다. 카탈루냐("카탈루냐어")와 발렌시아 지방("발렌시아어")에서 다른 이름이 사용되기 때문에 두 지역은 각각 서로 동일한 버전을 하나씩 제공했다.[49]
발렌시아어의 지위는 1970년대부터 80년대 스페인 민주화 과정에서 작지만 첨예한 문제였으며, 현재에도 감정적인 문제로 남아있다. 일반적으로 발렌시아어가 독자적인 언어라는 것은 발렌시아 지방에서 인정된 정치적 권리이다. 우익 정치인들은 카탈루냐인, 특히 카탈루냐 지역주의자들이 발렌시아의 독자성을 부정하고 카탈루냐어 사용 지역을 정치적으로 통합하려 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카탈루냐 정치인들은 발렌시아 우익이 이 문제를 이용하여 카탈루냐인을 언어 제국주의자로 묘사하고, 발렌시아와 카탈루냐 이외의 스페인에서 중앙집권주의 우익의 지지를 얻으려 한다고 비판한다. 또한 카탈루냐 정치인들은 발렌시아어의 언어적 독자성을 열렬히 옹호하는 사람들 중 상당수가 실제로 그 언어를 구사하지 못하는 사실을 지적한다.
2006년 5월 스페인 대법원은 발렌시아 주 정부가 1995년에 발표한 교육 관련 명령을 취소하는 결정을 내렸다. 취소된 명령은 카탈루냐 주와 발레아레스 제도가 발행하는 카탈루냐어 자격증이 발렌시아 주에서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내용이었다.[50]
참조
[1]
학술회의
Evaluation of several Maximum Likelihood Linear Regression variants for language adaptation
http://www.lrec-conf[...]
[2]
웹사이트
Ley Orgánica 1/2006, de 10 de abril, de Reforma de la Ley Orgánica 5/1982, de 1 de julio, de Estatuto de Autonomía de la Comunidad Valenciana.
http://www.docv.gva.[...]
Generalitat Valenciana
2006-04-10
[3]
웹사이트
Valenciano, na
http://dle.rae.es/?i[...]
Real Academia Española
2017-06-09
[4]
뉴스
Otra sentencia equipara valenciano y catalán en las oposiciones, y ya van 13.
http://www.20minutos[...]
20 minutos
2008-01-07
[5]
문서
Decreto 84/2008, de 6 de junio, del Consell, por el que se ejecuta la sentencia de 20 de junio de 2005, de la Sala de lo Contencioso-Administrativo del Tribunal Superior de Justicia de la Comunitat Valenciana
https://www.docv.gva[...]
[6]
웹사이트
no trobat
https://sindicat.net[...]
[7]
뉴스
La AVL publica una 'Gramàtica Valenciana Bàsica' con las formas más "genuinas" y "vivas" de su tradición histórica
http://www.20minutos[...]
2016-04-22
[8]
웹사이트
Acord de l'Acadèmia Valenciana de la Llengua (AVL), adoptat en la reunió plenària del 9 de febrer del 2005, pel qual s'aprova el dictamen sobre els principis i criteris per a la defensa de la denominació i l'entitat del valencià
http://www.avl.gva.e[...]
2005-02-09
[9]
웹사이트
Resultats de la consulta:valencià
http://dlc.iec.cat/r[...]
[10]
웹사이트
Dictamen sobre los Principios y Criterios para la Defensa de la Denominación y entidad del Valenciano
http://www.docv.gva.[...]
[11]
서적
Per la llengua
https://books.google[...]
Secció de Filologia Catalana, Universitat de Palma
[12]
서적
Gramàtica catalana: Referida especialment a les Illes Balears
https://books.google[...]
Editorial Moll
[13]
보고서
Baròmetre d'abril 2014
http://www.argos.gva[...]
Presidència de la Generalitat Valenciana
2014
[14]
뉴스
Casi el 65% de los valencianos opina que su lengua es distinta al catalán, según una encuesta del CIS
https://www.lavangua[...]
2004-12-09
[15]
웹사이트
Ley 7/1998, de 16 de septiembre, de creación de la Academia Valenciana de la Lengua.
https://www.boe.es/d[...]
[16]
문서
Trobes en llaors de la Verge Maria
1474
[17]
서적
Història
https://books.google[...]
L'Abadia de Montserrat
1992
[18]
서적
Història de la llengua catalana
https://books.google[...]
Editorial UOC
2011
[19]
웹사이트
Título I. La Comunitat Valenciana – Estatuto Autonomía
http://www.congreso.[...]
[20]
웹사이트
Aplicación de la Carta en España, Segundo ciclo de supervisión. Estrasburgo, 11 de diciembre de 2008. A.1.3.28 pag 7; A.2.2.5
http://www.coe.int/t[...]
Coe.int
[21]
학술지
La frontera meridional per la costa de la llengua catalana
https://www.raco.cat[...]
2018
[22]
웹사이트
El valencià continua viu en la comarca murciana del Carxe
http://www.avl.gva.e[...]
2013-07-23
[23]
뉴스
El valenciano 'conquista' El Carche
http://www.laopinion[...]
2016-02-12
[24]
뉴스
En Murcia quieren hablar valenciano
http://www.elmundo.e[...]
2016-02-21
[25]
뉴스
Una isla valenciana en Murcia
http://www.abc.es/20[...]
2011-11-26
[26]
웹사이트
Servei d'Investigació i Estudis Sociolingüístics (Research Service and Sociolinguistic Studies)
http://www.edu.gva.e[...]
Servei d'Investigació i Estudis Sociolingüístics
[27]
웹사이트
Enquestes sobre la situació del valencià - Política Lingüística - Generalitat Valenciana
https://ceice.gva.es[...]
2023-07-30
[28]
웹사이트
Coneixement i ús social del valencià
https://ceice.gva.es[...]
Generalitat Valenciana
[29]
학술지
Castellanismos y su cambio semántico al penetrar en el catalán
http://cvc.cervantes[...]
1980
[30]
서적
Manual d'ús de l'estàndard oral
Universitat de València
[31]
웹사이트
L'estàndard oral del valencià
http://www.avl.gva.e[...]
Acadèmia Valenciana de la Llengua
[32]
서적
Gramàtica de la llengua catalana: Descriptiva, normativa, diatópica, diastrática
Proa
[33]
웹사이트
Diccionari Normatiu Valencià
http://www.avl.gva.e[...]
[34]
웹사이트
Diccionari de la llengua catalana, Segona edició
http://dlc.iec.cat/i[...]
[35]
서적
The Architect of Modern Catalan: Selected writings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2009
[36]
법률
Statute of Autonomy of the Valencian Community, article 6, section 4
[37]
웹사이트
Ley de Creación de la Entidad Pública Radiotelevisión Valenciana
http://www.ugtrtvv.n[...]
2015-04-01
[38]
웹사이트
Benvinguts a À Punt. L'espai públic de comunicació valencià
https://www.apuntmed[...]
[39]
웹사이트
Los escándalos de Canal 9
http://www.vertele.c[...]
2015-04-01
[40]
웹사이트
Sanz, destituït de secretari general de RTVV per assetjament sexual
http://www.vilaweb.c[...]
2015-04-01
[41]
뉴스
El fracaso de Fabra acaba con el PP
http://ccaa.elpais.c[...]
2015-04-01
[42]
웹사이트
Polic evict staff in Spain after closure of station
https://www.bbc.com/[...]
BBC
2015-04-01
[43]
웹사이트
El coste del cierre de RTVV asciende a 144,1 millones
http://www.levante-e[...]
2015-04-01
[44]
간행물
"Dictamen de l'Acadèmia Valenciana de la Llengua sobre els principis i criteris per a la defensa de la denominació i l'entitat del valencià"
http://ca.wikisource[...]
Acadèmia Valenciana de la Llengua
[45]
뉴스
Pujol revela que pactó con Zaplana para avanzar con discreción en la unidad del catalán
http://elpais.com/di[...]
2004-11-10
[46]
웹사이트
Central Catalan has 90% to 95% inherent intelligibility for speakers of Valencian (1989 R. Hall, Jr.)
http://www.ethnologu[...]
[47]
저널
Análisis de la realidad sociolingüística del valenciano
https://papers.uab.c[...]
2011-10-15
[48]
저널
A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Valencian Linguistic Secessionism: Relations between the Perception of the Supradialectal Unity of the Catalan Language and Other Sociolinguistic Variables
https://www.liverpoo[...]
2023-10-15
[49]
웹사이트
Traducció única de la Constitució europea
http://www.mail-arch[...]
2009-04-29
[50]
웹사이트
http://www.ciemen.or[...]
2024-02-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