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게로 방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게로 방언은 이탈리아 사르데냐 북서부의 알게로 지역에서 사용되는 카탈루냐어의 방언이다. 1372년 카탈루냐 침략 이후 알게로 시에 정착한 사람들로부터 기원했으며, 2만에서 3만 명이 사용한다. 이탈리아어의 영향으로 사용 빈도가 줄었지만, 1997년 사르데냐 지방 의회에서 알게로 카탈란어를 별도의 언어로 공식 인정하여 사용을 장려하고 있다. 알게로 방언은 음운, 문법, 어휘 등에서 표준 카탈루냐어와 차이를 보이며, 문학 작품과 노래에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탈루냐어 - .cat
    .cat은 카탈루냐어 사용자를 위해 2006년 4월부터 일반 등록이 시작된 최상위 도메인으로, 카탈루냐 문화 관련 콘텐츠에 사용이 허용된다.
  • 카탈루냐어 - 발렌시아어
    발렌시아어는 스페인 발렌시아 지방에서 사용되는 로망스어로, 카탈루냐어의 방언으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역사적, 정치적 요인으로 인해 카탈루냐어와의 관계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발렌시아 자치헌장에 의해 스페인어와 함께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으나 사용자 수 감소와 독립성 여부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로망스어군 - 라딘어
    라딘어는 이탈리아 북부 라디니아 지역에서 쓰이는 레토로망스어군 언어로, 라틴어에서 유래하여 여러 방언으로 나뉘며 일부 지역에서는 공식 언어로 인정받지만, 소수 언어로서의 어려움도 겪고 있다.
  • 로망스어군 - 프리울리어
    프리울리어는 이탈리아 북동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로망스어로, 로마 시대 이전 언어들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현재는 소수 언어로 인정받아 보존 및 발전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고, 분류에 대한 학계 논쟁과 표준화 과정에서의 방언 보존 문제가 있다.
  • 이탈리아의 언어 - 크로아티아어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공용어이며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역사적으로 일리리아어 등으로 불렸고, 19세기 일리리아 운동을 통해 표준화되었으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한 형태이지만 독립적인 언어로 간주되기도 하며, 가이식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고 표준 세르비아어와 차이를 보인다.
  • 이탈리아의 언어 - 슬로베니아어
    슬로베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 남슬라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약 200만 명이 사용하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와는 달리 어휘, 문법, 발음에서 차이를 보이며, 9세기 후반에서 11세기 초에 작성된 프라이징 사본이 가장 오래된 기록이며, 1991년 슬로베니아 독립 이후 공용어로 사용되고 2004년에는 유럽 연합의 공용어가 되었다.
알게로 방언
언어 정보
이름알게로 방언 / 알게레스 방언
자기 이름카탈루냐어: alguerés
사용 국가이탈리아
사용 지역사르데냐 알게르 시
화자 수제일 언어: 4만 3천 명
언어 계통인도유럽어족
이탈리아어파
라틴팔리스칸어군
라틴어
로망스어군
이탈리아 서부어
서부 로망스어군
갈리아이베리아어
갈리아 로망스어
옥시타니아 로망스어
동부 카탈루냐어
도서 카탈루냐어
조상 언어고대 오크어
조상 언어 (2)고대 카탈루냐어
문자카탈루냐어 알파벳
언어 코드 (글로톨로그)algh1238
언어 코드 이름 (글로톨로그)알게로 방언
IETF 언어 태그ca-IT
[[사르데냐]] 섬의 위성 사진, 알게로 방언 사용 지역은 노란색으로 표시됨.
사르데냐 섬의 위성 사진, 알게로 방언 사용 지역은 노란색으로 표시됨.
알게로 카탈루냐어는 유네스코 세계 위험에 처한 언어 아틀라스에 의해 확실히 위험에 처한 것으로 분류됨
알게로 카탈루냐어는 유네스코 세계 위험에 처한 언어 아틀라스에 의해 확실히 위험에 처한 것으로 분류됨
기타
관련 정보카탈루냐-발렌시아 문화권

2. 역사

알게로 방언은 사르데냐 북서부 알게로 마을에 거주하는 2만~3만 명이 사용하는 지역 방언이다.[3][4] 이 언어는 카탈루냐어에서 파생된 변종으로 간주된다.[4]

1372년 카탈루냐 침략자들이 사르데냐 토착민들을 추방하고 알게로 시를 재정착시키면서 알게로 방언이 시작되었다.[4] 이후 이탈리아어화가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카탈루냐 방언은 적어도 1970년대까지 널리 사용되었다.[5]

2. 1. 기원

알게로 방언은 2만에서 3만 명 정도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지역 방언으로, 대부분 사르데냐 북서부에 있는 알게로 마을에 거주하고 있다.[3][4] 이 언어는 독자적이지만, 원래 카탈루냐어에서 파생되었으며, 따라서 그 변종으로 간주된다.[4] 이 언어의 기원은 1372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당시 카탈루냐 침략자들이 사르데냐의 토착민들을 추방한 후 알게로 시를 재정착시켰다.[4] 도시의 이탈리아어화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카탈루냐 방언의 사용은 적어도 1970년대까지 널리 퍼져 있었다.[5]

2. 2. 근대

알게로 방언은 2만에서 3만 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지역 방언으로, 대부분 사르데냐 북서부에 위치한 알게로 마을에 거주하고 있다.[3][4] 이 언어는 독자적이기는 하지만, 원래 카탈루냐어에서 파생되었으며, 따라서 그 변종으로 간주된다.[4] 이 언어의 기원은 1372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당시 카탈루냐 침략자들이 사르데냐의 토착민들을 추방한 후 알게로 시를 재정착시켰다.[4] 도시의 이탈리아어화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카탈루냐 방언의 사용은 적어도 1970년대까지 널리 퍼져 있었다.[5]

2. 3. 현재

이탈리아어알게로에서 주된 언어가 되었지만,[6] 사르데냐 지방 의회는 1997년에 "알게로 카탈란어"를 별도의 언어로 공식 인정하여 사용과 유통을 장려했다.[6] 2004년 조사에 따르면 알게로 방언은 인구의 약 14%가 일상적인 대화에 사용했다.[8] 이 방언은 주로 지역 언어이며, 비교적 작은 범위 내에서 이탈리아어 및/또는 사르데냐어를 보충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9]

2004년 ''Enquesta d'usos lingüístics a l'Alguer'' ("알게로 언어 사용 설문 조사", EULAL)[10]과 2015년의 ''Els usos lingüístics a l'Alguer'' (EULA 2015)[11]의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연구 모두 알게로 시에서 알게로 방언의 일반적인 사용에 대해 수행되었다.

언어 현황
2004년2015년
구두 이해90.1% (사르데냐어 구두 이해: 69.7%)88.2%
구두 표현61.3% (사르데냐어 구두 표현: 33.9%)50.5%
문어 이해46.6% (사르데냐어 문어 이해: 35.4%)35.6%
문어 표현13.6% (사르데냐어 문어 표현: 15.4%)8.1%
제1 언어22.4% (이탈리아어 59.2%)17.5%
습관적인 언어13.9%9.1%



1999년, 카탈루냐어사르데냐어는 이탈리아 법률 제482/1999호에 따라 이탈리아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12개의 소수 언어 중 하나인 "역사적 언어 소수자"에 포함되었다.[12] 이보다 앞서 사르데냐 지방 의회는 1997년 10월 15일 지방 법률 제26호를 통과시켰는데, 이 법은 사르데냐어이탈리아어와 섬 전체에서 동등한 위상을 증진하는 것 외에도, 알게로 시에서 카탈루냐어를 포함하여 규모가 작은 다른 언어들도 위에 언급된 언어들과 동일한 대우를 받도록 규정했다.[13] 알게로 시 의회는 자체적으로 시 조례에서 이 언어의 보호와 표준화를 공포했다.[14]

3. 특징

알게로 방언은 동부 카탈루냐어의 방언이지만, 중부 카탈루냐어와는 음운, 형태, 어휘 등 여러 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3. 1. 음운

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비음()파열음무성colspan=2 |유성colspan=2 |파찰음무성유성마찰음무성유성R음전동rowspan="2" |접근음중설설측

3. 2. 형태 및 어휘


알게로의 ''unitat de la llengua'' 기념비


다음은 카탈루냐어 번역 세트에서 수집되었지만, 알게로어의 일반적인 문구도 유사하다.

알게로 방언 예시
영어카탈루냐어알게로어
환영합니다Benvingut (m.)
Benvinguda (f.)
Benvinguts (pl.)
Benvingudes (f. pl.)
Benvingut (m.)
Benvinguda (f.)
Benvinguts (pl.)
Benvingudes (f. pl.)
안녕HolaTxau
제 이름은 ... 입니다Em dic ...Me aquirr ...
Me dic ...
어디에서 오셨어요?'Don ets? (inf.)
Dn és vostè? (f.)
De ont ses? (inf.)
De ont és vostè? (f.)
좋은 아침입니다Bon diaBon dia


4. 표준 카탈루냐어와의 차이점

알게로 방언은 동부 카탈루냐어의 방언이지만, 중부 카탈루냐어와 많은 차이점을 보인다. 가장 뚜렷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16]

다음은 약어 설명이다: m. (남성), f. (여성), pl. (복수), f. pl. (여성 복수), inf. (비공식), f. (공식).

다음 문구는 카탈루냐어 번역 세트에서 수집되었지만, 알게로어의 일반적인 문구도 유사하다.[16]

영어카탈루냐어알게로어
환영합니다Benvingut (m.)
Benvinguda (f.)
Benvinguts (pl.)
Benvingudes (f. pl.)
Benvingut (m.)
Benvinguda (f.)
Benvinguts (pl.)
Benvingudes (f. pl.)
안녕HolaTxau
제 이름은 ... 입니다Em dic ...Me aquirr ...
Me dic ...
어디에서 오셨어요?'Don ets? (inf.)
Dn és vostè? (f.)
De ont ses? (inf.)
De ont és vostè? (f.)
좋은 아침입니다Bon diaBon dia


5. 문학

알게로 문화재단(Obra Cultural de l'Alguer)[17]에서 주최하는 '라파엘 사리 상(Premi Rafael Sari)'은 매년 9월 알게로 카탈루냐어로 쓰인 최고의 시와 산문 작품에 수여되는 상이다.

2008년 라파엘 사리 상 포스터


주목할 만한 시인으로는 라파엘 사리, 파스콸레 스카누, 마리아 체사 라이 등이 있다. 알게로 카탈루냐어로 노래를 쓰고 공연하는 오랜 전통이 있으며, 이 언어로 쓰인 새로운 노래에 대해 '피노 피라스 상(Premi Pino Piras)'[18]이 수여된다. 주목할 만한 싱어송라이터로는 피노 피라스와 프란카 마수가 있다.

2015년, 카를라 발렌티노는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의 ''어린 왕자''를 알게로어로 번역하여 출판했다.[19]

참조

[1] 웹사이트 Glottolog 4.8 - Shifted Western Romance https://glottolog.or[...]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22-05-24
[2] 웹사이트 L'Alguer and Alguerese Catalan – Oral Corpus of Alguerese http://prosodia.upf.[...] 2018-09-01
[3] 서적 Encyclopedia of the World's Endangered Languages Routledge 2007
[4] 웹사이트 Did you know Algherese Catalan is vulnerable? http://endangeredlan[...] 2017-03-09
[5] 뉴스 Italy's Last Bastion of Catalan Language Struggles to Keep It Alive https://www.nytimes.[...] 2016-11-21
[6] 웹사이트 Corpus Oral de l'Alguerès http://prosodia.upf.[...] 2017-03-09
[7] 간행물
[8] 간행물
[9] 간행물
[10] 보고서 Enquesta d'usos lingüístics a l'Alguer http://llengua.genca[...] Generalitat de Catalunya, Secretaria de Política Lingüística 2004
[11] 보고서 Els usos lingüístics a l'Alguer, 2015 http://llengua.genca[...] Generalitat de Catalunya 2017
[12] 문서 Law No. 482 of 15 December 1999. "Rules on the protection of historical linguistic minorities". Article 2. Gazzetta Ufficiale n. 297. 20 December 1999
[13] 웹사이트 Regional Law No. 26 of 15 October 1997. "Promozione e valorizzazione della culture e della lingua della Sardegna" http://www.regione.s[...] 1997-10-15
[14] 웹사이트 Communal Statute http://www.ciutatdel[...]
[15] 서적 Caracterització del lèxic alguerès University of the Balearic Islands
[16] 웹사이트 Useful Catalan phrases http://www.omniglot.[...] 2017-04-25
[17] 웹사이트 Qui sem – Obra Cultural de l'Alguer http://www.obracultu[...] 2018-09-01
[18] 뉴스 Al Civico di Alghero il "Premio Pino Piras" http://notizie.algue[...] 2008-10-23
[19] 웹사이트 Little Prince nr. PP-3547 / Catalan Algherese http://www.petit-pr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