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백훈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훈족은 동로마, 인도, 중국, 아랍-페르시아, 아르메니아 등 다양한 문헌에 기록된 중앙아시아의 민족 집단이다. 에프탈로도 불리며, 이들의 기원과 역사는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다. 중국 기록에 따르면 동튀르키스탄이 기원지이며, 유연과의 갈등으로 인해 이동했다. 백훈족은 백훈과 적훈으로 나뉘었으며, 이란어를 사용하고 박트리아어를 공식 언어로 사용했다. 다양한 기록에서 하이탈, 이달리안, 카두시족 등으로 언급되었으며, 캅카스 훈족과의 연관성도 제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훈족 - 카탈라우눔 전투
    451년 갈리아 카탈라우니아 평원에서 서로마 제국과 훈족 연합군 사이에 벌어진 카탈라우눔 전투는 서로마 제국 연합군의 승리로 묘사되기도 하지만, 양측 모두 막대한 손실을 입었으며 유럽 역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 사건으로 평가된다.
  • 훈족 - 키다라족
    키다라족은 4세기 후반 인도 북서부에서 독립하여 펀자브 지방까지 세력을 확장했으나, 굽타 제국에 굴복하고 에프탈의 침입으로 멸망한 유목 민족이다.
  • 에프탈 - 준빌
  • 에프탈 - 부하라 전투
    부하라 전투는 6세기 중반 사산 제국과 돌궐 연합군이 에프탈 제국을 공격하여 에프탈 제국을 멸망시키고 사산 제국이 아무다리야 남쪽 지역을 병합한 전투이다.
  • 파키스탄의 고대 민족 - 캄보자
    캄보자는 베다 시대 후기 인도아리아어 문헌에 등장하는 고대 부족 또는 왕국으로, 현재의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지역에 주로 거주하며 이란어와 언어적 연관성을 갖고 말 사육 기술이 뛰어났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파키스탄의 고대 민족 - 인도-스키타이
    인도-스키타이는 기원전 2세기부터 서기 1세기경 중앙아시아에서 남아시아 북서부로 이주한 스키타이인(사카족)의 한 갈래로, 월지족에 밀려 간다라 지방에 왕국을 세우고 인도-그리스 왕조를 멸망시키며 서북 인도에 세력을 확장, 불교와 연관되어 예술과 종교 분야에서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백훈족
기본 정보
백훈족의 기원과 영토 변화를 나타내는 지도
백훈족의 기원과 영토 변화를 나타내는 지도 (대략 4세기에서 7세기 사이)
주요 호칭백훈족
다른 명칭에프탈족
흰 훈족
에프탈
헤프탈
압달
아프탈
하이탈
엽달
로마자 표기Baek Hun jok
페르시아어هپتالیان (Heptaliyan)
박트리아어εβοδαλο (Ebōdalo)
역사
존속 기간5세기 초 ~ 7세기
기원중앙아시아
지배 지역중앙아시아
토하리스탄
아프가니스탄
인도 아대륙 북서부
주요 활동 시기5세기 ~ 6세기
멸망7세기
멸망 원인서돌궐의 공격
사산 왕조 페르시아와의 연합 공격
민족
언어에프탈어
박트리아어
소그드어
종교불교
마니교
조로아스터교
샤머니즘
정치
정부 형태군주제
통치자
기타 정보
관련 민족훈족
돌궐
소그드인
토하라인
페르시아인

2. 역사

에프탈은 동로마, 인도, 중국, 아랍-페르시아, 아르메니아 등 다양한 문헌에서 언급된다.[9][10][11][12] 이러한 기록들의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에프탈이 세운 국가들의 역사에 대한 많은 질문들은 여전히 학자들 사이에서 이견이 분분하다. 중국 사서들은 동튀르키스탄 (투루판) 지역을 에프탈의 발상지로 지목하며, 이들은 유연과의 갈등으로 인해 그곳에서 쫓겨났다고 전한다.[9] 에프탈은 백훈과 적훈의 두 집단으로 나뉘었는데, 적훈은 붉은 머리 장식, 갑옷, 깃발에서 그 이름이 유래했다.[9] 이들이 별개의 부족인지, 아니면 단일 부족 연합 내의 민족적 다양성을 반영하는 것인지는 불분명하다. 에프탈은 이란 계통의 언어를 사용했으며, 토하리스탄에서는 박트리아어가 공식 언어로 사용되었다. 에프탈 문자는 쿠샨 문자를 바탕으로 발전했지만, 장테페 조각, 카르데페 낙서, 아프라시압 비문 등 극소수의 자료만이 남아있다.[9]

라틴어와 시리아어 자료에서는 키오니아인, 키다르족(쿠샨족), 에프탈인을 백훈으로 불렀으며, 누사이빈에 거주했던 카두시족도 여기에 포함시켰다.[10] 카스피족과 카두시이인의 동일성을 고려하면, 누사이빈 카두시이인은 키오니아인, 에프탈인과 마찬가지로 히르카니아 카두시이인 또는 카스피인의 후손으로 볼 수 있다.[10] 이는 "알란과 사리르" 또는 "알란과 루스"에 해당한다. 따라서, 훈족과 혼동되지 않고 "마스쿠트" 또는 "마사-훈족"과 동일시되는 "캅카스 훈족"은 코카서스의 군사 무역 식민지와 관련된 히르카니아인들과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다.[10]

아랍어와 페르시아어 사용 작가들은 중앙아시아, 특히 트란스카스피해와 아무다리야강 상류 지역의 에프탈 부족들을 하이탈 (타바리, 마수디, 페르도우시 등)이라는 이름으로 기록했다.[11] 아르메니아 역사가들은 에프탈족을 이달리안, 이달, 또는 하이탈로 번역하며 반복적으로 언급했다.[11] 가자르 파르페치 (5세기 말)는 헵탈이라는 용어를 사용했고, 시리아의 미카엘 (9세기)은 테달과 테달치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마르크바르트는 아르메니아어 용어 ''카티스크 - 카두시족''을 에프탈족의 또 다른 이름으로 언급했다.[11] 마르크바르트는 아르메니아 사료의 ''카티스크''인 카디세니를 백훈과 연관시켰다. 이 카두시족 또는 카디세니는 헤라트 지역을 점령했다. 마르크바르트는 처음에는 그들을 키오니트족 또는 에프탈족으로 간주해야 할지 의심했지만, 결국 에프탈족으로 분류했다. 시리아 작가 안티오키아의 이삭은 퀴디샤예가 누세이빈 근처에 있다고 언급했다. 뇌르데케는 그들을 쿠르드족의 친척으로 여겼다. 안티오키아의 요한의 기록에는 카두시족이 훈족에 속했다는 언급이 있다.[12]

2. 1. 기원과 초기 역사

에프탈은 동로마, 인도, 중국, 아랍-페르시아, 아르메니아 등 다양한 문헌에서 언급된다.[9][10][11][12] 이러한 기록들의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에프탈이 세운 국가들의 역사에 대한 많은 질문들은 여전히 학자들 사이에서 이견이 분분하다. 중국 사서들은 동튀르키스탄 (투루판) 지역을 에프탈의 발상지로 지목하며, 이들은 유연과의 갈등으로 인해 그곳에서 쫓겨났다고 전한다.[9] 에프탈은 백훈과 적훈의 두 집단으로 나뉘었는데, 적훈은 붉은 머리 장식, 갑옷, 깃발에서 그 이름이 유래했다.[9] 이들이 별개의 부족인지, 아니면 단일 부족 연합 내의 민족적 다양성을 반영하는 것인지는 불분명하다. 에프탈은 이란 계통의 언어를 사용했으며, 토하리스탄에서는 박트리아어가 공식 언어로 사용되었다. 에프탈 문자는 쿠샨 문자를 바탕으로 발전했지만, 장테페 조각, 카르데페 낙서, 아프라시압 비문 등 극소수의 자료만이 남아있다.[9]

라틴어와 시리아어 자료에서는 키오니아인, 키다르족(쿠샨족), 에프탈인을 백훈으로 불렀으며, 누사이빈에 거주했던 카두시족도 여기에 포함시켰다.[10] 카스피족과 카두시이인의 동일성을 고려하면, 누사이빈 카두시이인은 키오니아인, 에프탈인과 마찬가지로 히르카니아 카두시이인 또는 카스피인의 후손으로 볼 수 있다.[10] 이는 "알란과 사리르" 또는 "알란과 루스"에 해당한다. 따라서, 훈족과 혼동되지 않고 "마스쿠트" 또는 "마사-훈족"과 동일시되는 "캅카스 훈족"은 코카서스의 군사 무역 식민지와 관련된 히르카니아인들과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다.[10]

아랍어와 페르시아어 사용 작가들은 중앙아시아, 특히 트란스카스피해와 아무다리야강 상류 지역의 에프탈 부족들을 하이탈 (타바리, 마수디, 페르도우시 등)이라는 이름으로 기록했다.[11] 아르메니아 역사가들은 에프탈족을 이달리안, 이달, 또는 하이탈로 번역하며 반복적으로 언급했다.[11] 가자르 파르페치 (5세기 말)는 헵탈이라는 용어를 사용했고, 시리아의 미카엘 (9세기)은 테달과 테달치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마르크바르트는 아르메니아어 용어 ''카티스크 - 카두시족''을 에프탈족의 또 다른 이름으로 언급했다.[11] 마르크바르트는 아르메니아 사료의 ''카티스크''인 카디세니를 백훈과 연관시켰다. 이 카두시족 또는 카디세니는 헤라트 지역을 점령했다. 마르크바르트는 처음에는 그들을 키오니트족 또는 에프탈족으로 간주해야 할지 의심했지만, 결국 에프탈족으로 분류했다. 시리아 작가 안티오키아의 이삭은 퀴디샤예가 누세이빈 근처에 있다고 언급했다. 뇌르데케는 그들을 쿠르드족의 친척으로 여겼다. 안티오키아의 요한의 기록에는 카두시족이 훈족에 속했다는 언급이 있다.[12]

2. 2. 중앙아시아에서의 발전

동로마, 인도, 중국, 아랍-페르시아, 아르메니아 등 다양한 문헌에서 백훈족 또는 에프탈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9] 이러한 기록에도 불구하고 에프탈 국가의 역사에 대한 많은 부분은 학자들 사이에서 이견이 있거나 상반된 견해를 보인다.[9] 중국 역사 기록에서는 동튀르키스탄(투루판) 지역을 에프탈의 고향으로 지목하며, 유연과의 충돌로 인해 그곳에서 쫓겨났다고 전한다.[9] 에프탈은 백훈족과 적훈의 두 그룹으로 나뉘었는데, 적훈은 붉은 머리장식, 붉은 갑옷, 붉은 깃발에서 그 이름이 유래했다.[9] 이들이 별개의 부족이었는지, 아니면 단일 부족 연합 내의 다른 민족 집단이었는지는 불분명하다.[9]

에프탈은 이란 계통의 언어를 사용했으며, 그들의 언어는 동이란어군에 속했지만 다른 이란어 사용 민족들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9] 토하리스탄에서 에프탈의 공식 언어는 박트리아어였으며, 박트리아어 명칭은 에프탈 동전에서 발견된다.[9] 에프탈 문자는 쿠샨 문자를 기반으로 발전했으나, 장테페 조각, 카르즈데페 낙서, 아프라시압 비문 등 극소수의 유물만이 남아있다.[9]

라틴어 및 시리아어 문헌에서는 키오니아인, 키다르족(쿠샨족), 에프탈인을 백훈족이라 불렀으며, 누사이빈에 거주하는 카두시족도 포함했다.[10] 카스피족과 카두시이인의 동일성을 고려하면, 누사이빈 카두시이인은 키오니아인 및 에프탈인과 마찬가지로 히르카니아 카두시이인 또는 카스피인의 후손으로 볼 수 있다.[10] 이는 알란과 사리르 또는 알란과 루스에 해당한다.[10] 따라서 훈족과 혼동되지 않고 "마스쿠트" 또는 "마사-훈족"과 동일시되는 "캅카스 훈족"은 코카서스의 군사 무역 식민지와 관련된 히르카니아인들과 연관되었을 수 있다.[10]

에프탈 부족들은 중앙아시아, 특히 트란스카스피해와 아무다리야강 상류 지역에서 아랍어와 페르시아어를 사용하는 작가들에 의해 하이탈(타바리, 마수디, 페르도우시 등)이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었다.[11] 아르메니아 역사가들은 에프탈 사람들을 반복적으로 언급하며 이달리안, 이달 또는 하이탈로 번역했다.[11] 가자르 파르페치 (5세기 말)는 헵탈이라는 용어를 사용했고, 시리아의 미카엘 (9세기)은 테달과 테달치라는 용어를 사용했다.[11] 마르크바르트는 아르메니아어 카티스크 - 카두시족을 에프탈족의 이름 중 하나로 언급했다.[11] 마르크바르트는 아르메니아 사료의 "카티스크"라는 카디제니를 백훈족과도 관련이 있다는 것을 지적했다.[12] 이 카두시이 또는 카디세니는 페르시아의 헤라트 지방을 점령했다.[12] 마르크바르트는 처음에는 그들을 시온족 또는 에프탈족으로 간주할지 의심했지만 그의 작업에서 에프탈로 간주했다.[12] 시리아 작가인 안티오키아의 이삭은 퀴디샤예가 누사이빈 근처에 있다고 말한다.[12] 뇌르데케는 그들을 쿠르드족의 친척으로 여겼고, 그의 생각에 그들은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었다.[12] 현존하는 안티오키아의 요한의 조각에는 카두시이족이 훈족에 속했다는 증거가 있다.[12]

2. 3. 백훈족과의 관계

동로마, 인도, 중국, 아랍-페르시아인, 아르메니아어 및 기타 서면 자료에서 백훈족 또는 에프탈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9] 이러한 정보의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에프탈에 의해 만들어진 국가들의 역사에 대한 많은 질문들은 과학자들에 의해 다른 그리고 종종 반대의 관점에서 고려된다.[9] 중국 정사 작가들은 동튀르키스탄(투루판) 지역을 에프탈의 고향이라고 부른다.[9] 이 정보에 따르면 에프탈은 유연이라는 이웃 부족과의 충돌로 인해 그곳에서 쫓겨났다.[9] 에프탈은 백훈족과 적훈족 두 그룹으로 나뉘었다.[9] 후자의 이름은 붉은 머리장식, 붉은 갑옷, 붉은 깃발에서 유래했다.[9] 이 집단들이 연방의 일부인 다른 부족이었는지, 아니면 단일 부족 연합의 일부였던 다민족 집단이었는지는 여전히 불분명하다.[9] 에프탈은 이란 계통의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었다.[9] 그들의 언어는 동이란 그룹에 속했지만 이란어를 사용하는 다른 민족의 언어와 다소 달랐다.[9] 토하리스탄의 소유지에서, 에프탈의 공식적인 공용어는 박트리아어였다.[9] 박트리아어 제목은 에프탈 동전의 전설에서 읽힌다.[9] 에프탈의 글쓰기는 쿠샨의 기초 위에서 발전했다.[9] 에프탈 문자의 기념물은 거의 남은 것이 없다.[9] 여기에는 장테페의 조각에 새겨진 글귀, 카르즈데페의 낙서, 아프라시압 비문이 포함된다.[9]

라틴어와 시리아어 문헌에서는 키오니아인, 키다라인(쿠샨족), 에프탈인을 백훈족이라고 불렀다.[10] 여기에는 누사이빈에 사는 카두시이족이 포함되었다.[10] 카스피인과 카두시이인의 동일성을 고려하면, 누사이빈 카두시이인과 키오니아인, 에프탈인은 히르카니아 카두시이인 또는 카스피인의 후계자로 볼 수 있다.[10] 이는 무나짐바시의 "알란과 사리르" 또는 "알란과 루스"에 해당한다.[10] 따라서, 훈족과 혼동되지 않고 "마스쿠트" 또는 "마사-훈족"과 동일시되는 "캅카스 훈족"은 코카서스의 군사 무역 식민지와 관련된 히르카니아인들과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다.[10]

에프탈인 부족들은 중앙아시아, 특히 트랜스 카스피 해와 아무다리야 강 상류 지역에서 아랍어와 페르시아어를 사용하는 작가들이 하이탈(타바리, 마수디, 페르도우시 등)이라는 이름으로 기록하고 있다.[11] 아르메니아 역사학자들은 에프탈 사람들에 대해 반복적으로 언급하는데, 그들의 이름을 이달리안, 이달 또는 하이탈로 옮겨 적는다.[11] 바르다펫은 헤일런이라는 용어를 가지고 있다.[11] 가자르 파르페치 (5세기 말)은 그들의 명칭에 에프탈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으며, 시리아의 미카엘 (9세기)은 테달과 테달치가 사용되었다.[11] 마르크와르트는 또한 아르메니아어로 카디스크 - 카두시이를 에프탈 사람들의 이름 중 하나로 언급했다.[11]

마르크와르트는 아르메니아 사료의 "카티스크"라는 카디제니를 여러 번 기억한 백훈족과도 관련이 있다는 것을 지적할 필요가 있다.[12] 이 카두시이 또는 카디세니는 페르시아의 헤라트 지방을 점령했다.[12] 처음에 마르크와르트는 그것들을 시온족 또는 에프탈족으로 간주할지 의심했지만 그의 작업에서 에프탈로 간주했다.[12] 시리아 작가인 안티오키아의 이삭은 퀴디샤예가 누사이빈 근처에 있다고 말한다.[12] 놀데케는 그들을 쿠르드족의 친척으로 여겼고, 그의 생각에 그들은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었다.[12] 현존하는 안티오키아의 요한의 조각에는 카두시이족이 훈족에 속했다는 증거가 있다.[12] 이 증거는 카두시이족이 백훈족으로부터 물려받았음을 시사한다.[12]

2. 4. 쇠퇴

3. 문화

3. 1. 언어와 문자

3. 2. 종교

4.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서적 Rome and Persia in Late Antiquity: Neighbours and Rival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09-13
[2] 서적 The Fall of the West: The Death of the Roman Superpower https://books.google[...] Orion 2009-04-02
[3] 서적 Средняя Азия и Дальний Восток в эпоху средневековья: Средняя Азия в раннем средневековье https://books.google[...] Наука 1999
[4] 서적 "Дорога Страбона" как часть Великого Шелкового пути: материалы Международной конференции, Баку, 28-29 ноября 2008 г. https://books.google[...] Mezhdunarodnyĭ institut t︠s︡entralʹnoaziatskikh issledovaniĭ 2009
[5] 서적 Очерк истории гуннов https://books.google[...] Изд-во Ленинградского гос. университета 1951
[6] 서적 Сирийские источники по истории народов СССР https://books.google[...] Изд-во Академии наук СССР 1941
[7] 서적 Rome and Persia in Late Antiquity: Neighbours and Rivals https://books.google[...] 2007-09-13
[8] 서적 The Fall Of The West: The Death Of The Roman Superpower https://books.google[...] 2009-04-02
[9] 서적 Средняя Азия и Дальний Восток в эпоху средневековья: Средняя Азия в раннем средневековье https://books.google[...] 1999
[10] 서적 "Дорога Страбона" как часть Великого Шелкового пути: материалы Международной конференции, Баку, 28-29 ноября 2008 г. https://books.google[...] 2009
[11] 서적 Очерк истории гуннов https://books.google[...] 1951
[12] 서적 Сирийские источники по истории народов СССР https://books.google[...] 194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