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마비단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버마비단뱀은 어두운 색의 비독성 뱀으로, 등쪽에 검은색 테두리가 있는 갈색 반점이 특징이다. 주로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며, 야생에서는 최대 5m까지 자란다. 플로리다에서는 침입종으로 생태계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으며, 멸종 위기종의 개체 수 감소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애완동물로 인기가 있지만, 강력한 힘과 큰 크기 때문에 사육에 주의가 필요하며, CITES 부속서 II에 등재되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20년 기재된 파충류 - 뻐끔살무사
뻐끔살무사는 아프리카와 아라비아 반도 남서부에 분포하는 독사로, 최대 1.9m까지 성장하며 야행성 매복 사냥을 하고, 강력한 독을 가져 인간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 - 비단뱀속 - 인도비단뱀
인도비단뱀은 남아시아에 서식하며 서식지 감소와 남획으로 국제적인 보호를 받는 대형 뱀으로, 한국에서는 특정 외래생물로 지정되었고 소설 《정글 북》의 '카아'로도 알려져 있다. - 비단뱀속 - 아프리카비단뱀
아프리카비단뱀은 비단뱀속에 속하며 최대 7.5m까지 자라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뱀 중 하나로,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전역에 분포하며 육식성을 띤다. - 라오스의 파충류 - 큰머리거북
큰머리거북은 캄보디아 등지에 서식하며 머리가 크고 등딱지 속으로 들어가지 않으며, 멸종위기종으로 불법 거래, 남획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였다. - 라오스의 파충류 - 물왕도마뱀
물왕도마뱀은 동남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며 반수생 생활을 하는 왕도마뱀과에 속하는 파충류의 일종으로,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위협받아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대상으로 분류된다.
| 버마비단뱀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일반 정보 | |
![]() | |
| 학명 | Python bivittatus |
| 명명자 | Kuhl, 1820 |
| 이명 | Python molurus bivittatus Kuhl, 1820 |
| 영어 이름 | Burmese python (버마 비단뱀) |
| 멸종위기등급 | 취약 |
| 멸종위기등급 기준 | IUCN 3.1 |
| 워싱턴 조약 | 부속서 II |
| 분포 | |
![]() | |
| 분류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아문 | 척추동물아문 |
| 강 | 파충강 |
| 목 | 뱀목 |
| 아목 | 뱀아목 |
| 과 | 비단뱀과 |
| 속 | 비단뱀속 |
| 참고 자료 | |
| 웹사이트 | 버클리 Rausser College of Natural Resources의 "에버글레이즈의 버마 비단뱀" |
2. 형태 및 특징
버마비단뱀은 짙은 갈색 바탕에 검은색 테두리가 있는 반점이 있는 어두운 색의 비독성 뱀이다. 머리 부분에는 황토색 무늬와 함께 뚜렷한 갈색 무늬가 있다.[62] 인도비단뱀은 전체적으로 반점이 불분명하고 눈과 상순판이 접하는 반면, 버마비단뱀은 눈과 상순판이 직접 접하지 않는다.[62]
야생에서 버마비단뱀은 평균 3.7m까지 자라며,[11] 최대 5.79m까지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7] 일반적으로 5m가 넘는 개체는 드물다.[10] 2023년 7월 10일 플로리다 남부 빅 사이프러스 국립 보호 구역에서 5.79m의 개체가 잡혔는데, 이는 버마비단뱀의 최대 길이 기록이다.[11] "Baby"라는 이름의 버마비단뱀은 죽었을 당시 182.8kg로 세계에서 가장 무거운 뱀이었으며,[5] 1999년경 측정된 길이는 5.74m였다.[5] 성체의 최소 크기는 2.35m이다.[13]
자바 섬, 발리 섬, 술라웨시 섬에는 드워프 형태가 존재하는데, 발리에서는 평균 2m,[14] 술라웨시에서는 최대 2.5m이다.[15]
이 종은 크기에서 성적 이형을 보인다. 암컷은 평균적으로 수컷보다 약간 더 길지만, 훨씬 더 무겁고 부피가 크다. 사육된 버마비단뱀의 길이와 무게를 비교한 표는 다음과 같다.
| 성별 | 길이 | 무게 |
|---|---|---|
| 암컷 | 3.47m | 29kg |
| 암컷 | 4m 이상 | 36kg |
| 암컷 | 4.5m | 40kg |
| 암컷 | 5m | 75kg |
| 수컷 | 2.8m | 12kg |
| 수컷 | 2.97m | 14.5kg |
| 수컷 | 3m | 7kg |
| 수컷 | 3.05m | 18.5kg |
2. 1. 질병
버마비단뱀은 고유 서식지와 침입 지역 모두에서 기생충 질환인 ''Raillietiella orientalis'' (오구충)에 감염된다.[16]3. 분포 및 서식지
버마비단뱀은 인도 동부, 네팔 남동부, 부탄 서부, 방글라데시 남동부, 미얀마, 태국, 라오스, 캄보디아, 베트남, 말레이시아 북부(말레이 반도), 중국 남부(푸젠성, 장시성, 광둥성, 하이난성, 광시 좡족 자치구, 윈난성) 등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널리 분포한다.[65] 홍콩, 인도네시아의 자바 섬, 술라웨시 섬 남부, 발리 섬, 숨바와 섬에도 분포한다.[66] 진먼 섬에서도 보고되었다.[67]
수영을 잘하며, 주로 물이 있는 곳에 서식한다. 초원, 늪, 습지, 암산, 산림, 계곡, 트인 정글에 서식한다. 나무 타기를 잘하며, 꼬리로 나뭇가지 등의 물체를 잡는다. 물속에 오래 잠수할 수 있지만, 물가에 있는 경우가 많다.[68]
4. 생태
버마비단뱀은 주로 야행성 열대 우림에 서식한다.[38] 어릴 때는 땅과 나무 위에서 모두 생활하지만, 몸집이 커지면서 주로 땅에서 활동한다. 수영 실력도 뛰어나 최대 30분 동안 물속에 잠수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시간을 덤불 속에 숨어 지낸다. 서식지 북부 지역에서는 추운 계절 동안 속이 빈 나무, 강둑 구멍 또는 바위 밑에서 몇 달 동안 브루메이션을 할 수 있다.[39] 브루메이션은 동면과는 생물학적으로 다르며, 다가오는 번식기를 위해 암컷과 수컷의 생식 기관을 준비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플로리다 개체군 역시 브루메이션을 겪는다.[40]
번식기는 초봄으로, 암컷은 3월 또는 4월에 12~36개의 알을 낳는다.[41] 암컷은 알이 부화할 때까지 알을 감싸고 근육을 꼬여 알 주변의 온도를 몇 도 높인다. 부화한 새끼가 난치를 사용하여 알에서 빠져나오면 더 이상의 어미의 보살핌은 없다. 갓 부화한 새끼들은 종종 첫 번째 탈피를 완료할 준비가 될 때까지 알 속에 머물다가 첫 식사를 한다.[41]
4. 1. 먹이 및 소화
버마비단뱀은 육식성으로, 주로 조류와 포유류를 먹지만, 양서류와 파충류도 먹이로 삼는다.[43] 먹이가 접근할 때까지 움직이지 않고 기다렸다가 재빨리 공격하는 매복형 포식자이다.[43] 날카로운 이빨로 먹이를 문 다음, 몸으로 감아 조여서 질식시킨다.[44] 그 후 먹이를 통째로 삼킨다.인간 거주지 근처에서는 쥐, 생쥐 및 기타 해충을 먹이로 삼기 때문에 자주 발견되기도 한다. 그러나 가축화된 조류와 포유류도 먹기 때문에 해충으로 취급되기도 한다. 사육 환경에서는 주로 적절한 크기의 쥐를 먹이로 하며, 성장하면서 토끼나 가금류와 같은 더 큰 먹이를 섭취한다.[4] 플로리다에서는 침입종으로서 여우, 토끼, 너구리 등 다양한 소형 포유류를 주로 먹으며, 이로 인해 많은 포유류 종의 감소 및 멸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28] 때로는 새나 다른 파충류를 먹기도 하며, 매우 큰 비단뱀은 돼지나 염소와 같은 더 큰 먹이를 필요로 할 수 있고, 플로리다에서 악어와 다 자란 사슴을 공격하여 먹은 사례도 보고되었다.[45]
버마비단뱀은 큰 먹이를 소화하는 생리적 특징 때문에 소화 생리학의 모델 종으로 연구되기도 한다. 이들은 주로 한두 달에 한 번씩 먹이를 먹지만, 때로는 18개월까지 금식하기도 한다.[43] 금식 기간 동안에는 소화 기관의 기능이 저하되어 에너지를 절약한다.[46] 먹이를 섭취하면 소화 기관 전체가 대대적인 재구성을 거치는데, 장이 급격히 비대해지고, 위산이 생성되며, 심실 질량이 40% 증가하여 소화 과정을 돕는다.[47] 소화 과정에서 뱀의 산소 소비량은 먹이 크기에 따라 휴식 시의 17~40배까지 증가한다.[43]
버마비단뱀은 먹이를 통째로 소화하기 위해 다량의 염산을 생성하여 위를 산성으로 만든다. 에너지 소비는 소화 과정이 가장 활발한 식후 며칠 동안 가장 높으며, 이 기간 동안에는 기존에 저장된 에너지를 사용한다.[43][48] 음식 섭취부터 배변까지 소화 과정 전체는 8~14일이 소요된다.[46]
5. 인간과의 관계
버마비단뱀은 매력적인 색상과 온순한 성격으로 인해 애완동물로 인기가 있지만, 빠른 성장 속도와 큰 크기로 인해 사육에 어려움이 있다. 1년 안에 2.1m 이상 자랄 수 있으며, 성체의 경우 20년 이상 생존하며 계속 성장한다.[49][50][51][52][53][54]
비록 온순하다는 평판이 있지만,[113][114][115][116][117][118] 매우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며, 심각한 물림이나 조임으로 인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많은 양의 먹이와 크고 안전한 사육 공간이 필요하여, 일부 사육자들이 뱀을 야생에 방출하는 경우가 발생해 생태계를 파괴하는 침입종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따라서 플로리다주 등 일부 지역에서는 버마비단뱀 사육에 제한을 두고 있으며, 위반 시 징역형이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119]
버마비단뱀은 기회주의적 포식자로,[120] 먹이를 주면 거의 항상 먹는 습성이 있어 과식으로 인한 비만 관련 문제가 흔하게 발생한다. 볼비단뱀처럼 겁이 많고 온순한 동물로 알려져 있어 적절한 관리를 통해 인간과 함께 사는 것에 쉽게 적응할 수 있다.[121] 하지만 성체의 힘을 고려하여 여러 명의 사육자가 함께 다루는 것이 권장된다.(뱀 1m당 1명)[122] 일부 지역에서는 특별 면허를 요구하기도 한다.[123]
색상, 무늬, 크기 등 다양한 형질을 위해 사육되기도 한다. 멜라닌 결핍증 형태가 가장 인기가 많으며, 버터 스카치 옐로우와 탄 오렌지색 무늬를 가진 흰색 변종이다. 이 외에도 "래버린스", "그린", "그래나이트" 등 다양한 변종이 존재한다.[68] 최근에는 왜성 버마비단뱀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으며, 이들은 본토 친척들과 다른 색상과 무늬를 가지며 길이가 2.1m를 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백색증 버마비단뱀은 매우 희귀하며, 무늬가 없고 파란 눈을 가진 완전히 밝은 흰색이다. 카라멜 버마비단뱀은 "밀크 초콜릿" 눈을 가진 카라멜색 무늬를 가지고 있다.
일본에서는 동물애호관리법에 의해 특정 동물로 지정되어 신규 사육이 어렵다.[68]
CITES 부속서 II에 등재되어 있으며,[1] 2012년부터 IUCN 적색 목록에서 취약종으로 등재되었다. 이는 21세기 첫 10년 동안 서식지 파괴와 과도한 포획으로 인해 야생 개체수가 최소 30%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1] IUCN은 뱀의 원산지 전반에 걸쳐 포획을 줄이기 위한 국제적 협력과 보존 법률 강화를 권고하며, 개체군 생태 및 위협에 대한 연구 증가를 제안한다. 홍콩에서는 야생 동물 보호 조례 170조에 따라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태국, 베트남, 중국, 인도네시아에서도 보호를 받고 있다. 그러나 나머지 지역에서는 희귀하거나 매우 희귀하며, 홍콩과 태국에서만 여전히 흔하게 발견된다.
5. 1. 침입종 문제 (미국 플로리다)
버마비단뱀은 남부 플로리다와 에버글레이즈에서 심각한 침입종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20][82][83] 1996년부터 2006년까지 애완동물 거래로 인기를 얻어 9만 마리 이상이 미국으로 수입되었다.[30][84] 현재 에버글레이즈에 서식하는 버마비단뱀의 수는 최소 생존 개체군에 도달하여 침입종이 되었다. 1992년 허리케인 앤드루로 인해 비단뱀 번식 시설과 동물원이 파괴되었고, 여기서 탈출한 뱀들이 에버글레이즈로 퍼져나가 정착했다.[21][85] 에버글레이즈에서는 1,330마리 이상이 포획되었다.[22][86] 2017년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플로리다의 버마비단뱀 개체군은 버마비단뱀과 인도비단뱀 간의 잡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포핵 불일치를 보여 그 기원에 대한 계통 발생 연구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23][87]
2007년까지 버마비단뱀은 플로리다 북부와 플로리다 팬핸들 해안 지역에서 발견되었다.[24] 2012년 1월, 미국 내무부는 버마비단뱀 수입을 금지했다.[24][88] 2012년 보고서에 따르면 뱀이 정착한 지역에서는 여우와 토끼가 사라졌고, 아메리카너구리는 99.3%, 주머니쥐는 98.9%, 흰꼬리사슴은 94.1% 감소했다.[25][89] 2003년과 2011년 사이의 도로 조사를 통해 보브캣 개체수가 87.3% 감소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토끼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26][90] 토끼가 제거된 지역에 토끼 개체군을 재도입하려는 실험은 대부분 실패했는데, 이는 버마비단뱀의 높은 포식률(사망률의 77%) 때문이었다.[27][91] 조류 및 코요테 개체군이 위협받을 수 있으며, 이미 희귀한 플로리다 퓨마도 위협받을 수 있다.[25][89] 버마비단뱀은 실험적으로 늪토끼 개체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많은 기록된 포유류 감소의 원인임을 시사한다.[28][92] 또한 토착 포식자보다 먹이를 얻는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마비단뱀은 토착 아메리카악어와도 경쟁하며, 악어와 비단뱀이 서로 공격하는 사례가 여러 번 보고되고 기록되었으며, 어떤 경우에는 서로를 잡아먹기도 한다.
2011년까지 연구자들은 에버글레이즈 국립공원에서 발견된 85마리의 버마비단뱀의 소화관 잔해에서 9개의 조류 목에서 최대 25종의 조류를 확인했다.[29][93] 토착 조류 개체군은 플로리다에 버마비단뱀이 도입되면서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이 조류 종 중 나무황새는 연방 멸종 위기 종으로 지정되어 특히 우려된다.[29][93]
버마비단뱀 개체수를 제거하기 위한 수많은 노력이 이루어졌다. 이 종의 선호하는 서식지를 이해하는 것은 비단뱀 사냥 범위를 좁히는 데 필요하다. 버마비단뱀은 활엽수와 저지대 서식지를 선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활엽수 서식지는 사이프러스, 상층, 침엽수림으로 구성된다. 수생 늪 환경은 먹이의 훌륭한 공급원이지만, 비단뱀은 포식자로부터 보호받기 위해 형태학적 및 행동적 위장이 가능한 환경을 우선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플로리다의 버마비단뱀은 둥지를 트는 데 최적의 조건을 제공하므로 고지대 서식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고지대 서식지 외에도 가장자리 서식지는 버마비단뱀이 체온 조절, 둥지 및 사냥 목적으로 발견되는 일반적인 장소이다.[30][84]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버마비단뱀 제거 운동 중 하나는 2013년 플로리다 파이썬 챌린지였다. 이것은 총 68마리의 비단뱀이 제거된 한 달간의 대회였다. 이 대회는 가장 길고 가장 많은 수의 비단뱀을 잡은 사람에게 상을 주는 등 인센티브를 제공했다. 이 챌린지의 목적은 침입종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대중의 참여와 기관 간의 협력을 증진하며, 플로리다 에버글레이즈에서 가능한 한 많은 비단뱀을 제거하는 것이었다.[31][94] 그 이후로 이 챌린지는 몇 차례 더 진행되었으며 현재는 10일 동안 연례 행사로 진행되고 있다.[32][95] 2023년에는 1,050명의 참가자가 209마리의 비단뱀을 제거했다.[33][96]
2017년의 연구는 플로리다 남부에서 버마비단뱀의 존재를 식별하는 새로운 방법을 도입했다. 이 방법은 모기 혈액을 검사하는 것이다. 플로리다에 버마비단뱀이 도입된 이후, 모기 군집은 비단뱀을 숙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비록 최근에 도입되었음에도 그러하다.[34][97]
침입성 버마비단뱀은 또한 특정 생리적 변화에 직면해 있다. 먹이 가용성의 계절적 변화로 인해 오랜 기간 단식하는 토착 남아시아 종과 달리, 플로리다의 비단뱀은 음식이 끊임없이 공급되기 때문에 일년 내내 먹이를 먹는다. 또한 추위에 취약하여 겨울철 동결로 인해 최대 90%의 사망률을 보인다. 유전체 데이터는 이러한 개체군에서 이러한 높은 사망률 동결의 결과로 증가된 내열성을 선호하는 자연 선택을 시사한다.[35][98]
버마비단뱀은 오리엔탈 라일리티엘라라는 오구촌충 기생충 질병을 동남아시아에서 가져왔다. 플로리다의 다른 파충류들이 감염되었고, 기생충은 풍토병이 된 것으로 보인다.[16][99]
2019년 4월, 연구자들은 플로리다 빅 사이프러스 국립보호구역에서 큰 버마비단뱀을 포획하여 죽였다. 이 뱀은 약 5.18m가 넘었고, 약 63.50kg의 무게였으며, 73개의 발달 중인 알을 포함하고 있었다.[36][100] 2021년 12월, 플로리다에서 포획된 버마비단뱀은 약 97.52kg의 무게였고, 약 5.49m의 길이를 가지고 있었으며, 기록적인 122개의 발달 중인 알을 포함하고 있었다.[37][101] 2023년 7월, 지역 사냥꾼들이 플로리다 빅 사이프러스 국립보호구역에서 약 56.70kg의 무게와 약 5.79m의 길이를 가진 버마비단뱀을 포획하여 죽였다.[11][77]
5. 2. 사육
버마비단뱀은 매력적인 색상과 온순한 성격으로 인해 애완동물로 인기가 있다. 하지만 성장 속도가 빨라 1년 안에 2.1m가 넘을 수 있으며, 과도하게 먹이를 주면 향후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49][50][51][52][53][54] 4세가 되면 성체 크기에 도달하지만, 수명이 20년 이상일 수 있으며, 그 이후에도 매우 느리게 계속 성장한다.이 종은 온순하다는 평판을 가지고 있지만, 매우 강력한 동물이며 심각한 물림이나 조임을 통해 죽음에 이르게 할 수도 있다.[113][114][115][116][117][118] 또한 많은 양의 먹이를 필요로 하며, 크기 때문에 크고 종종 맞춤 제작된 안전한 사육 공간이 필요하다. 그 결과, 일부 개체는 야생으로 방출되어 환경을 파괴하는 침입종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플로리다주를 포함한 일부 지역에서는[119] 버마비단뱀을 애완동물로 기르는 것에 제한을 두고 있다. 위반자는 유죄 판결을 받으면 7년 이상의 징역형이나 500000USD의 벌금을 물을 수 있다.
버마비단뱀은 기회주의적인 포식자이며[120], 먹이를 제공하면 거의 언제든지 먹으며, 최근에 먹었음에도 불구하고 종종 배고파하는 행동을 보인다. 그 결과, 과식을 하는 경우가 많으며, 사육되는 버마비단뱀에게 비만 관련 문제가 흔하게 발생한다.
훨씬 작은 볼비단뱀처럼 버마비단뱀은 온순하고 겁이 많은 동물로 알려져 있으며, 적절하게 관리하면 인간 근처에서 사는 것에 쉽게 적응할 수 있다.[121]
비단뱀은 키가 큰 사람을 일반적으로 두려워하고 피하려 하지만, 비단뱀을 다룰 때는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성체의 힘을 고려하여 여러 명의 취급자(뱀 1m당 1명)가 권장된다.[122] 일부 지역에서는 소유자에게 특별 면허를 요구하며, 사육되는 모든 야생 동물과 마찬가지로 이 크기의 동물에게 합당한 존중을 표하는 것이 중요하다.[123]
버마비단뱀은 색상, 무늬, 그리고 최근에는 크기를 위해 자주 사육된다. 특히 멜라닌 결핍증 형태가 인기가 많으며 가장 널리 구할 수 있는 변종이다. 이 변종은 버터 스카치 옐로우와 탄 오렌지색 무늬를 가진 흰색이다. 또한 미로와 같은 무늬의 "래버린스" 개체, 카키색 "그린", 작고 각진 반점이 많은 "그래나이트"도 구할 수 있다.[68] 사육사들은 최근 버마비단뱀의 섬 계통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초기 보고서에 따르면 이 왜성 버마비단뱀은 본토 친척들과 약간 다른 색상과 무늬를 가지고 있으며 길이가 2.1m를 넘지 않는다. 이 변종들 중 가장 인기 있는 것 중 하나는 백색증 버마비단뱀이다. 이 특별한 종류는 매우 희귀하며, 무늬가 전혀 없고 파란 눈을 가진 완전히 밝은 흰색이며, 2008/2009년에 동형 접합 형태(파충류 사육자들은 "슈퍼"라고 부름)의 공동 우성 저멜라닌증 형질로 사육되었다. 카라멜 버마비단뱀은 "밀크 초콜릿" 눈을 가진 카라멜색 무늬를 가지고 있다.
일본에서는 동물애호관리법에 의해 특정 동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현재 신규 사육은 어렵다.[68]
5. 3. 보존
CITES 부속서 II에 등재되어 있다.[1] 2012년부터 IUCN 적색 목록에서 취약종으로 등재되었는데, 이는 21세기 첫 10년 동안 야생 개체수가 서식지 파괴 및 과도한 포획으로 인해 최소 30%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1]버마비단뱀의 개체수를 유지하기 위해 IUCN은 뱀의 원산지 전반에 걸쳐 포획을 줄이기 위한 국가 및 국제적 차원의 강화된 보존 법률 및 시행을 권장한다. IUCN은 또한 개체군 생태 및 위협에 대한 연구 증가를 권장한다. 홍콩에서는 야생 동물 보호 조례 170조에 따라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태국, 베트남, 중국, 인도네시아에서도 보호를 받고 있다. 그러나 나머지 지역에서는 희귀하거나 매우 희귀한 상태이며, 홍콩과 태국에서만 여전히 흔하게 발견된다.
참조
[1]
간행물
Python bivittatus
2019
[2]
문서
[3]
학술지
On the taxonomy of the Burmese Python, Python molurus bivittatus KUHL, 1820, specifically on the Sulawesi population
[4]
웹사이트
Burmese Pythons in the Everglades
https://iep.berkeley[...]
2021-03-17
[5]
학술지
The corrected lengths of two well-known giant pythons and the establishment of a new maximum length record for Burmese Pythons, Python bivittatus
http://www.vpi.com/s[...]
2020-03-02
[6]
학술지
Observations on the reproduction of Python molurus bivittatus (Reptilia, Serpentes, Boidae)
[7]
학술지
Social behavior in a captive group of Indian pythons, Python molurus (Serpentes, Boidae) with formation of a linear social hierarchy
[8]
학술지
Preliminary observations on endogeneous heat production after feeding in Python molurus
[9]
학술지
Endocarditis and congestive heart failure in a Burmese python (Python molurus bivittatus)
[10]
학술지
Les serpents du Cambodge
[11]
웹사이트
A record-breaking Burmese python — as long as a giraffe is tall — caught in Florida
https://www.npr.org/[...]
2023-07-13
[12]
학위논문
The life history of the green anaconda (Eunectes murinus), with emphasis on its reproductive Biology
http://www.anacondas[...]
University of Tennessee
[13]
서적
Tales of Giant Snakes: A Historical Natural History of Anacondas and Pythons
https://archive.org/[...]
Krieger Pub. Co.
[14]
서적
A Field Guide to the Amphibians and Reptiles of Bali
Krieger Publishing Company
2006
[15]
서적
The Snakes of Sulawesi: A Field Guide to the Land Snakes of Sulawesi with Identification Keys
Chimaira
2005
[16]
웹사이트
Bloodsucking worms in pythons are killing Florida snakes, study says
http://www.floridato[...]
2021-12-16
[17]
학술지
The Distribution of the Burmese Python, Python bivittatus, in China
http://usark.org/wp-[...]
2012-06-26
[18]
학술지
The distribution of the Burmese Python, Python molurus bivittatus
http://www.venomousr[...]
2012-10-17
[19]
웹사이트
Python molurus bivittatus
http://www.snakesoft[...]
2012-10-17
[20]
잡지
Top 10 Invasive Species
http://www.time.com/[...]
2010-04-27
[21]
웹사이트
Democrats Hold Hearing on Administration's Plan to Constrict Snakes in the Everglades - House Committee on Natural Resources
http://naturalresour[...]
Naturalresources.house.gov
2012-08-09
[22]
웹사이트
(US National Park Service website - December 31, 2009)
http://www.nps.gov/e[...]
2019-04-08
[23]
학술지
Cytonuclear discordance in the Florida Everglades invasive Burmese python (Python bivittatus) population reveals possible hybridization with the Indian python (P. molurus)
2017
[24]
보도자료
Salazar Announces Ban on Importation and Interstate Transportation of Four Giant Snakes that Threaten Everglades
https://www.doi.gov/[...]
2012
[25]
뉴스
Pythons are squeezing the life out of the Everglades, scientists warn
https://www.independ[...]
2012
[26]
학술지
Severe mammal declines coincide with proliferation of invasive Burmese pythons in Everglades National Park
2012
[27]
학술지
Indirect effects of invasive Burmese pythons on ecosystems in southern Florida
2017
[28]
학술지
Marsh rabbit mortalities tie pythons to the precipitous decline of mammals in the Everglades
2015
[29]
학술지
Birds Consumed by the Invasive Burmese Python (Python molurus bivittatus) in Everglades National Park, Florida, USA
2011
[30]
학술지
Habitat selection by the invasive species Burmese python in Southern Florida
2016
[31]
학술지
Implications of the 2013 Python Challenge® for Ecology and Management of Python molorus bivittatus (Burmese python) in Florida
2016
[32]
웹사이트
Florida Python Challenge - Python Challenge
https://flpythonchal[...]
2024-03-29
[33]
웹사이트
ICYMI: Lieutenant Governor Jeanette Nuñez Announces Winners of the 2023 Florida Python Challenge®
https://myfwc.com/ne[...]
2024-03-29
[34]
학술지
Interactions between the invasive Burmese python, Python bivittatus Kuhl, and the local mosquito community in Florida, USA
2018-01-17
[35]
학술지
Novel ecological and climatic conditions drive rapid adaptation in invasive Florida Burmese pythons
2018
[36]
뉴스
A 17-foot, 140-pound python was captured in a Florida park. Officials say it's a record
https://www.washingt[...]
2020-05-23
[37]
웹사이트
Caught! Record-breaking 18-foot Burmese python pulled from Collier County wilderness
https://www.news-pre[...]
2022-06-25
[38]
웹사이트
"''Python molurus'', Burmese Python"
http://digimorph.org[...]
Digital Morphology
2007-07-25
[39]
웹사이트
Glossary of reptile and amphibian terminology
http://www.kingsnake[...]
2019-04-08
[40]
서적
Environmental ScienceBites
The Ohio State University
[41]
웹사이트
Burmese Python
http://www.animalspo[...]
AnimalSpot.net
2012-12-27
[42]
논문
Molecular genetic evidence for parthenogenesis in the Burmese python, Python molurus bivittatus.
2003-02
[43]
논문
Adaptive responses to feeding in Burmese pythons: pay before pumping
1995
[44]
웹사이트
Python Facts
https://www.livescie[...]
2021-03-17
[45]
웹사이트
Photo in the News: Python Bursts After Eating Gator (Update)
https://news.nationa[...]
2019-04-08
[46]
논문
Structural flexibility of the intestine of Burmese python in response to feeding
https://jeb.biologis[...]
2001
[47]
논문
Digestive physiology of the Burmese python: broad regulation of integrated performance
2008
[48]
논문
Gastric function and its contribution to the postprandial metabolic response of the Burmese python Python molurus
2003
[49]
뉴스
Python Kills Careless Student Zookeeper in Caracas
https://www.telegrap[...]
2019-02-18
[50]
논문
A Fatal Attack on a Teenage Boy by a Captive Burmese Python (''Python molurus bivittatus'') in Colorado
http://www.chicagohe[...]
Chicago Herpetological Society
1993
[51]
웹사이트
The Keeping of Large Pythons: Realities and Responsibilities
http://www.anapsid.o[...]
2019-02-18
[52]
뉴스
Python Caused Death in Ontario Home in 1992 Case
https://www.cbc.ca/n[...]
Canadian Broadcasting Commission
2019-02-17
[53]
뉴스
Python-linked Deaths Raise Questions over Exotic Animal Laws
https://www.cbc.ca/n[...]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9-02-17
[54]
웹사이트
'Dr. D. H. Evans, Coroner of Ontario, "Inquest into the Death of Mark Nevilles: Verdict of Coroner\'s Jury" (Brampton, Ontario: June 1992)'
https://assets.docum[...]
2019-04-08
[55]
뉴스
New law makes Burmese python illegal in Florida
http://www.abcaction[...]
2012-08-09
[56]
논문
Invasive Burmese pythons (''Python bivittatus'') are novel nest predators in wading bird colonies of the Florida Everglades
2019-07-01
[57]
웹사이트
"''Python bivittatus'' (Kuhl, 1820)"
https://www.gbif.org[...]
2019-04-08
[58]
웹사이트
Playing with the Big Boys: Handling Large Constrictors
http://www.anapsid.o[...]
2017-09-08
[59]
웹사이트
Captive Animals - Most states have no laws governing captive wild animals.
https://aldf.org/foc[...]
2019-04-08
[60]
간행물
"''Python bivittatus''"
2024-07-01
[61]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4-07-01
[62]
문서
『大蛇全書』258 - 265頁
[63]
논문
On the taxonomy of the Burmese Python, ''Python molurus bivittatus'' KUHL, 1820, specifically on the Sulawesi population
[64]
웹사이트
Burmese Pythons in the Everglades
https://iep.berkeley[...]
2021-03-17
[65]
논문
The Distribution of the Burmese Python, ''Python bivittatus'', in China
http://usark.org/wp-[...]
2012-06-26
[66]
논문
The distribution of the Burmese Python, ''Python molurus bivittatus''
http://www.venomousr[...]
2012-10-17
[67]
웹사이트
"''Python molurus bivittatus''"
http://www.snakesoft[...]
2012-10-17
[68]
문서
『ディスカバリー 生き物・再発見 ヘビ大図鑑 ボア・ニシキヘビ編』172 - 175頁
[69]
문서
"''Python molurus bivittatus''"
https://archive.org/[...]
Secretary of State for India. Taylor and Francis
1943
[70]
문서
A Field Guide to the Snakes of South Vietnam
1970
[71]
논문
The corrected lengths of two well-known giant pythons and the establishment of a new maximum length record for Burmese Pythons, ''Python bivittatus''
http://www.vpi.com/s[...]
2020-03-02
[72]
논문
Observations on the reproduction of ''Python molurus bivittatus'' (Reptilia, Serpentes, Boidae)
[73]
논문
Social behavior in a captive group of Indian pythons, ''Python molurus'' (Serpentes, Boidae) with formation of a linear social hierarchy
[74]
논문
Preliminary observations on endogeneous heat production after feeding in ''Python molurus''
[75]
논문
Endocarditis and congestive heart failure in a Burmese python (''Python molurus bivittatus'')
[76]
논문
Les serpents du Cambodge
[77]
웹사이트
A record-breaking Burmese python — as long as a giraffe is tall — caught in Florida
https://www.npr.org/[...]
2023-07-14
[78]
학위논문
The life history of the green anaconda (''Eunectes murinus''), with emphasis on its reproductive Biology
http://www.anacondas[...]
University of Tennessee
[79]
서적
Tales of Giant Snakes: A Historical Natural History of Anacondas and Pythons
https://archive.org/[...]
Krieger Pub. Co.
[80]
서적
A Field Guide to the Amphibians and Reptiles of Bali
Krieger Publishing Company
2006
[81]
서적
The Snakes of Sulawesi: A Field Guide to the Land Snakes of Sulawesi with Identification Keys
Chimaira
2005
[82]
간행물
Top 10 Invasive Species
http://www.time.com/[...]
2010-04-27
[83]
웹사이트
Species Profile - Burmese Python (''Python molurus bivittatus'')
https://www.invasive[...]
[84]
논문
Habitat selection by the invasive species Burmese python in Southern Florida
2016
[85]
웹사이트
Democrats Hold Hearing on Administration's Plan to Constrict Snakes in the Everglades - House Committee on Natural Resources
http://naturalresour[...]
Naturalresources.house.gov
2012-08-09
[86]
웹사이트
(US National Park Service website - December 31, 2009)
http://www.nps.gov/e[...]
2019-04-08
[87]
논문
Cytonuclear discordance in the Florida Everglades invasive Burmese python (''Python bivittatus'') population reveals possible hybridization with the Indian python (''P. molurus'')
2017
[88]
보도자료
Salazar Announces Ban on Importation and Interstate Transportation of Four Giant Snakes that Threaten Everglades
https://www.doi.gov/[...]
2012
[89]
뉴스
Pythons are squeezing the life out of the Everglades, scientists warn
https://www.independ[...]
2012
[90]
논문
Severe mammal declines coincide with proliferation of invasive Burmese pythons in Everglades National Park
2012
[91]
논문
Indirect effects of invasive Burmese pythons on ecosystems in southern Florida
2017
[92]
논문
Marsh rabbit mortalities tie pythons to the precipitous decline of mammals in the Everglades
2015
[93]
논문
Birds Consumed by the Invasive Burmese Python (''Python molurus bivittatus'') in Everglades National Park, Florida, USA
2011
[94]
논문
Implications of the 2013 Python Challenge® for Ecology and Management of ''Python molorus bivittatus'' (Burmese python) in Florida
2016
[95]
웹사이트
Florida Python Challenge - Python Challenge
https://flpythonchal[...]
2024-03-29
[96]
웹사이트
ICYMI: Lieutenant Governor Jeanette Nuñez Announces Winners of the 2023 Florida Python Challenge®
https://myfwc.com/ne[...]
2024-03-29
[97]
논문
Interactions between the invasive Burmese python, ''Python bivittatus'' Kuhl, and the local mosquito community in Florida, USA
2018-01-17
[98]
논문
Novel ecological and climatic conditions drive rapid adaptation in invasive Florida Burmese pythons
2018
[99]
웹사이트
Bloodsucking worms in pythons are killing Florida snakes, study says
http://www.floridato[...]
2021-12-16
[100]
뉴스
A 17-foot, 140-pound python was captured in a Florida park. Officials say it's a record
https://www.washingt[...]
2020-05-23
[101]
웹사이트
Caught! Record-breaking 18-foot Burmese python pulled from Collier County wilderness
https://www.news-pre[...]
2022-06-25
[102]
웹사이트
''Python molurus'', Burmese Python
http://digimorph.org[...]
Digital Morphology
2007-07-25
[103]
웹사이트
Glossary of reptile and amphibian terminology
http://www.kingsnake[...]
2019-04-08
[104]
서적
Environmental ScienceBites
The Ohio State University
[105]
웹사이트
Burmese Python
http://www.animalspo[...]
AnimalSpot.net
2012-12-27
[106]
논문
Molecular genetic evidence for parthenogenesis in the Burmese python, Python molurus bivittatus
2003-02
[107]
논문
Adaptive responses to feeding in Burmese pythons: pay before pumping
1995
[108]
웹사이트
Python Facts
https://www.livescie[...]
2021-03-17
[109]
웹사이트
Photo in the News: Python Bursts After Eating Gator (Update)
https://news.nationa[...]
2019-04-08
[110]
논문
Structural flexibility of the intestine of Burmese python in response to feeding
https://jeb.biologis[...]
2001
[111]
논문
Digestive physiology of the Burmese python: broad regulation of integrated performance
2008
[112]
논문
Gastric function and its contribution to the postprandial metabolic response of the Burmese python Python molurus
2003
[113]
뉴스
Python Kills Careless Student Zookeeper in Caracas
https://www.telegrap[...]
2019-02-18
[114]
간행물
A Fatal Attack on a Teenage Boy by a Captive Burmese Python (''Python molurus bivittatus'') in Colorado
http://www.chicagohe[...]
Chicago Herpetological Society
1993
[115]
웹사이트
The Keeping of Large Pythons: Realities and Responsibilities
http://www.anapsid.o[...]
2019-02-18
[116]
뉴스
Python Caused Death in Ontario Home in 1992 Case
https://www.cbc.ca/n[...]
Canadian Broadcasting Commission
2019-02-17
[117]
뉴스
Python-linked Deaths Raise Questions over Exotic Animal Laws
https://www.cbc.ca/n[...]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9-02-17
[118]
웹사이트
Dr. D. H. Evans, Coroner of Ontario, "Inquest into the Death of Mark Nevilles: Verdict of Coroner's Jury" (Brampton, Ontario: June 1992)
https://assets.docum[...]
2019-04-08
[119]
뉴스
New law makes Burmese python illegal in Florida
http://www.abcaction[...]
2012-08-09
[120]
논문
Invasive Burmese pythons (''Python bivittatus'') are novel nest predators in wading bird colonies of the Florida Everglades
2019-07-01
[121]
웹사이트
''Python bivittatus'' (Kuhl, 1820)
https://www.gbif.org[...]
2019-04-08
[122]
웹사이트
Playing with the Big Boys: Handling Large Constrictors
http://www.anapsid.o[...]
2017-09-08
[123]
웹사이트
Captive Animals - Most states have no laws governing captive wild animals.
https://aldf.org/foc[...]
2019-04-08
[124]
IUCN
''Python bivittatus''
[125]
저널
On the taxonomy of the Burmese Python, ''Python molurus bivittatus'' KUHL, 1820, specifically on the Sulawesi popul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