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버마 문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버마 문자는 12세기부터 16세기까지 사용된 고대 버마어 문자를 포함하여 33개의 기본 자모(자음)를 기반으로 하는 문자 체계이다. 삐우 문자, 옛 몬 문자, 또는 남인도 문자에서 유래되었으며, 33개의 기본 자모와 4개의 촉음 기호, 모음 및 성조 기호, 받침, 숫자, 구두점 등으로 구성된다. 버마 문자는 버마어 외에도 샨어, 몬어 등 여러 언어 표기에 사용되며, 언어에 따라 문자의 형태나 발음이 달라진다. 획순에 따라 쓰이며, 컴퓨터 환경에서는 유니코드 지원 글꼴 설치가 필요하다. 한국 사회는 미얀마의 민주화 운동에 대한 관심 증가와 함께 미얀마 문자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버마어 - 미얀마 언어 위원회
    미얀마 언어 위원회는 미얀마어의 발전, 보존, 표준화를 목표로 설립된 기관으로, 사전 편찬, 용어 및 번역 자료 출판, 교육 자료 개발 등의 사업을 통해 미얀마어와 문화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한다.
  • 버마어 - 버마어 대명사
    버마어 대명사는 화자와 청자의 관계에 따라 표현이 달라지는 경어법을 사용하며, 주격 조사가 붙는 주어 대명사와 목적격 조사가 붙는 목적어 대명사를 포함하여 다양한 인칭 대명사, 특수한 상황의 대명사, 지시 대명사, 재귀 대명사 등을 사용한다.
  • 미얀마 - 양곤
    양곤은 미얀마의 최대 도시이자 과거 수도로, 6세기 몬족의 작은 어촌에서 시작되어 알라웅파야 왕에 의해 개명 및 확장되었고, 영국령 버마의 수도를 거쳐 현재는 미얀마의 상업, 경제, 문화 중심지이지만 2005년 행정 수도가 네피도로 이전되었으며 다양한 민족과 문화, 불교 사원과 역사적 건축물을 보유하고 최근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미얀마 - 버마어
    버마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미얀마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고대 몬 문자 또는 퓨 문자에 기원을 두며, 다양한 방언과 문어체, 구어체를 가지며, 유니코드와 Zawgyi 글꼴을 지원한다.
  • 브라흐미계 문자 - 타이 문자
    타이 문자는 람캄행 대왕이 창제한 태국어 문자 체계로, 수코타이 문자를 기반으로 크메르 문자를 수정하고 성조 부호를 도입하여 태국어의 복잡한 음운 체계를 표기한다.
  • 브라흐미계 문자 - 데바나가리 문자
    데바나가리 문자는 브라흐미 문자에서 유래한 아부기다 문자로 남아시아 지역에서 여러 언어를 표기하며, 상단의 가로획이 특징이고 유니코드를 통해 컴퓨터 입력이 가능하다.
버마 문자
개요
버마 문자 견본
버마 문자 견본
유형아부기다
사용 언어버마어
라카인어
팔리어
산스크리트어
사용 시기기원후 984년 또는 1035년 – 현재
유니코드 범위U+1000–U+104F
ISO 15924Mymr
계통
1단계이집트 상형 문자
2단계원시 시나이 문자
3단계페니키아 문자
4단계아람 문자
5단계브라흐미 문자
6단계카담바 문자 또는 팔라바 문자
7단계표 문자 또는 몬 문자
8단계몬-버마 문자
명칭
한국어버마 문자
버마어 발음 (IPA)mjəmà ʔɛʔkʰəjà

2. 역사

== 역사 ==

바간 왕조부터 인와 왕조 시대(12세기~16세기)까지 사용된 고대 버마어 문자는 몇 가지 특징적인 요소를 지녔다. '라 스웨'(라틴 문자 표기: လဆွဲ)는 다른 구별 부호('야 핀', '하 토', '와 스웨')와 결합하여 ◌္လျ, ◌္လွ, ◌္လှ를 형성했다.[11][12] 인와 왕조 시대까지 '야 핀'은 '야 잇'과 결합하여 ◌ျြ를 만들었다. 바간 왕조 초기부터 19세기까지는 운율 /ɔ̀/에 대해 ◌ော် 대신 ဝ်이 사용되었다. 16세기에 생겨난 현대 버마어의 고음 표시 ◌း와 달리, 초기 버마어 문자는 ဟ်을 사용했다. 또한 16세기에 사라진 အ်은 쉰소리(현재는 ◌့로 표시)를 나타내는 아래첨자로 쓰였다. 바간 왕조 초기에는 운율 /ɛ́/(현재는 구별 부호 ◌ဲ로 표시)가 ◌ါယ်로 표기되었다. ◌ိုဝ်의 구별 부호 조합은 1750년대 중반(일반적으로 중세 버마어로 지정됨)에 사라지고, 1638년에 도입된 ◌ို 조합으로 대체되었다. 현대 버마어에서 볼 수 있는 표준 톤 표기는 19세기에 정착되었다.[12]

2. 1. 기원 및 발전

버마 알파벳은 삐우 문자, 옛 몬 문자, 또는 남인도 문자(카담바 문자나 팔라바 문자)에서 유래했다.[2] 가장 오래된 기록은 1035년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3] 18세기에 만들어진 옛 돌 비문의 주조물에는 984년을 가리키는 기록이 있다.[3] 초기에는 정사각형 형태였으나,[4] 17세기 이후 팜잎과 파라바이크가 널리 사용되면서 필기체 형태가 자리 잡았다.[4] 곧은 선을 그을 때 첨필이 팜잎을 찢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4] 버마어의 음운 변화에 따라 알파벳은 지속적으로 수정되었다.

2. 2. 고대 문자 사용 흔적

바간 왕조부터 인와 왕조 시대(12세기~16세기)까지 사용된 고대 버마어 문자에는 몇 가지 특징적인 요소가 있었다. '라 스웨'(라틴 문자 표기: လဆွဲmy)는 다른 구별 부호('야 핀', '하 토', '와 스웨')와 결합하여 ◌္လျmy ◌္လွmy ◌္လှmy를 형성했다.[11][12] 인와 왕조 시대까지 '야 핀'은 '야 잇'과 결합하여 ◌ျြmy를 만들었다. 바간 왕조 초기부터 19세기까지는 운율 에 대해 ◌ော်my 대신 ဝ်my이 사용되었다. 16세기에 생겨난 현대 버마어의 고음 표시 ◌းmy와 달리, 초기 버마어 문자는 ဟ်my을 사용했다. 또한 16세기에 사라진 အ်my은 쉰소리(현재는 ◌့my로 표시)를 나타내는 아래첨자로 쓰였다. 바간 왕조 초기에는 운율 (현재는 구별 부호 ◌ဲmy로 표시)가 ◌ါယ်my로 표기되었다. ◌ိုဝ်my의 구별 부호 조합은 1750년대 중반(일반적으로 중세 버마어로 지정됨)에 사라지고, 1638년에 도입된 ◌ိုmy 조합으로 대체되었다. 현대 버마어에서 볼 수 있는 표준 톤 표기는 19세기에 정착되었다.[12]

3. 특징

== 특징 ==

버마 문자는 33개의 기본 자모(자음)를 기반으로 한다. 이 자모들은 발음과 형태에 따라 여러 그룹으로 나뉘며, 각각 고유한 명칭과 국제 음성 기호(IPA)로 표기되는 음가를 갖는다. 하지만 문맥에 따라 발음이 달라질 수 있으며, 특히 무성음 자음은 앞선 발음의 영향으로 유성음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흔하다. 기본 자모는 크게 무성음, 유성음, 비음으로 나뉘며, 회색 배경의 자모는 주로 팔리어 어원의 단어에서 사용되고, 주황색 배경의 ''ရ''는 팔리어나 외래어에서 원래 발음인 /ɹ/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다. 라틴 문자 표기는 MLCTS 방식을 따른다.

(자모의 세부 목록은 '자모 (기본 자모)' 항목 참조)

기본 자모 외에도 ျ (ya pin), ြ (ya yit), ွ (wa hswe), ှ (ha hto) 네 가지 촉음 기호가 있어, 이들이 결합하여 다양한 복자음을 만든다. 이 촉음 기호들은 독립적으로 쓰이기도 하지만, 2개 또는 3개가 결합하여 기본 자모와 결합하는 경우도 있다.

(복자음과 결합 문자의 세부 설명은 '복자음과 결합 문자' 항목 참조)

모음은 모음과 성조를 동시에 나타내는 기호로 표기한다. 7개의 기본 모음(/a/, /i/, /u/, /e/, /ɛ/, /o/, /ɔ/)과 3가지 성조(하강조, 저평조, 고평조)의 조합으로 총 21가지의 모음이 존재한다. 일부 모음은 데바나가리 문자나 크메르 문자처럼 독립된 모음 자모를 가지기도 한다.

(모음 및 성조의 세부 내용은 '모음 및 성조' 항목 참조)

받침(말자음)은 /ɴ/ (비음)과 /ʔ/ (성문 폐쇄음) 두 종류가 있으며, 8개의 기본 자음에 '်' 기호(아삿)를 추가하여 표기한다. '်' 기호는 버마어로 ''asat''( , )이라 하며,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받침의 발음은 자음과 '်' 기호의 조합에 따라 결정되며, 성조에 따라 다양한 표기법이 존재한다.

(받침(말자음)의 세부 내용은 '받침 (말자음)' 항목 참조)

숫자는 십진법 체계를 사용하며, 0부터 9까지는 ၀, ၁, ၂, ၃, ၄, ၅, ၆, ၇, ၈, ٩ (유니코드 1040~1049)로 표기한다. 숫자를 그룹화할 때는 쉼표와 같은 구분 기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미얀마 숫자도 현재 많이 사용되지만, 아라비아 숫자는 일부에서만 사용된다.

(숫자의 세부 내용은 '숫자' 항목 참조)

구두점은 ၊ (쉼표)와 ။ (마침표)가 주로 사용되며, 샨어에서 유래한 느낌표 ႟도 사용한다. 문장이 동사로 끝나는 경우 ၏를 마침표로 사용하며, 소유격 조사의 역할도 한다. 그 외에도 ၍(접속사), ၌(처소격), ၎င်း(동일한 것을 나타내는 약어) 등이 사용된다.

(문장 부호의 세부 내용은 '문장 부호' 항목 참조)

3. 1. 문자 체계

버마 문자는 자음(초성)과 모음의 조합으로 음절을 구성한다. 모음은 자음의 위, 아래, 앞, 뒤에 표시되며, 자음 자체는 기본적으로 '아' 소리를 가진다. 총 33개의 기본 자모(자음)가 있으며, 4개의 촉음 기호가 존재한다. 자음은 '웨크'(vagga)에 따라 무기음, 유기음, 유성음, 비음으로 분류되는데, 브라흐미 문자와 마찬가지로 파열음은 5개의 문자로 그룹을 지어 나뉜다. 각 그룹의 첫 번째 문자는 무기음, 두 번째는 유기음, 세 번째와 네 번째는 유성음, 다섯 번째는 비강음이다. 33개의 문자 중 25개는 이 원리를 따르며 팔리어의 규칙과 동일하다. 나머지 8개의 자음 (ယ, ရ, လ, ဝ, သ, ဟ, ဠ, အ)은 '아 웨크'(အဝဂ်, "그룹 없음"을 의미)로 분류되어 특별한 규칙을 따르지 않는다.

(), (), (), (), (), (), (), (), () 그리고 ()는 팔리어에서 유래한 것이다.

일부 방언에서는 /l/ 발음을 구분하기 위해 발음 구분 기호를 사용하지만, 현대 미얀마어에서는 /y/ 발음으로 흡수되었다. 다음은 발음 구별 기호와 결합 가능한 예시이다.

중간 자음에 오는 발음 구별기호는
Base문자IPAMLCTS비고

ya pin
my일반적으로 양순음이나 연구개음에 쓰이는 것. ().
구개음화되는 연구개음: (ky), (hky), (gy) 소리는 다음과 같이 발음된다:
hmy (hsy) and (hly)는 쉬 발음이다.
myw
hmyw

ya yit
mr양순음과 연구개음에만 사용된다.(). (단, 팔리어와 산스크리트어 차용 단어는 다른 자음에도 사용된다.)
구개음화 연구개음s: (kr), (hkr), (gr),
hmr
mrw
hmrw

wa hswe
mw
hmw

ha hto
hm다음 경우에 한정 사용된다. (hng) , (hny) , (hn) , (hm) , (hl) , (hw) . (hy) and





3. 2. 자모 (기본 자모)

k(a)
hk(a)
g(a)
gh(a)
ng(a) (경구개음)
c(a)
hc(a)
j(a)
jh(a)
ny(a) 치경음1
t(a)
ht(a)
d(a)
dh(a)
n(a) 치경음2
t(a)
ht(a)
d(a)
dh(a)
n(a) 순음
p(a)
hp(a)
b(a)
bh(a)
m(a) colspan="6"|접근음
y(a)
r(a)
l(a)
w(a)
s(a) 마찰음 등
h(a)
l(a)
(a)



회화에서는 무성음 자음이 앞선 발음에 따라 유성음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이미지 "버마 문자의 기본 자모 및 필순"에도 나타나 있다.

3. 3. 복자음과 결합 문자

버마 문자의 기본 자모에는 ျ (ya pin), ြ (ya yit), ွ (wa hswe), ှ (ha hto) 네 가지 촉음 기호가 결합하여 복자음을 형성한다. 이러한 촉음 기호는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2개 또는 3개가 결합하여 기본 자모와 결합하는 경우도 있다.

ျ (ya pin)과 ြ (ya yit)는 주로 연구개음과 순음에 결합하여 경구개음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က (k), ခ (hk), ဂ (g)와 같은 연구개음에 ျ, ြ가 결합하는 경우, 순수한 경구개음화보다는 기존의 경구개음인 ⟨tɕ⟩, ⟨tɕʰ⟩, ⟨dʑ⟩ 등의 음을 재현하거나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ကျ (ky), ချ (hky), ဂျ (gy)는 각각 [tɕ], [tɕʰ], [dʑ]로 발음된다.

ှ (ha hto)는 주로 비음과 근사음에 결합하여 무성화시킨다. 이 무성화는 기류를 섞어 음소를 약화시키는 작용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ယ (y)와 ရ (r)에 ှ가 결합한 경우에는 [ɕ] (샤행)의 발음이 되며, လ (l)과 결합한 경우에도 어휘에 따라 [ɕ]로 발음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촉음 기호의 결합은 다양한 복자음을 만들어내며, 그 발음은 기본 자모와 촉음 기호의 종류, 그리고 결합 순서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ကျ [tɕa̰]는 က (k)에 ျ (y)가 결합한 복자음으로 발음된다. 다음 표는 몇 가지 대표적인 복자음과 그 발음을 보여준다.

기호사용 예
(-y )ky )、hky )、gy )、py )、hpy )、by )、my )、ly ())[13]
(-r )kr )、hkr )、ngr )、pr )、hpr )、br )、mr
(-w )kw )、hkw )、gw )、ngw )、cw )、hcw )、jw )、nyw )、tw )、htw )、dw )、nw )、pw )、hpw )、bw )、bhw )、mw )、yw )、rw )、lw )、sw )、hw
(h- )hng )、hny )、hn )、hm )、hy )、hr )、hl ())、hw
colspan="2"|
(-yw )kyw )、hkyw )、gyw
(-rw )krw )、hkrw )、pyw
(h-y )hmy )、hly ())
(h-r )hngr )、hmr
(h-w )hngw )、hnyw )、hmw )、hrw[14]hlw[15]
(h-rw )hngrw )、hmrw

[13][14][15]

3. 4. 모음 및 성조

a./
a/
a:
i.
i
i:
u.
u
u:
e.
e
e:
ai.
ai
ai:
ui.
ui
ui:/
au./
au/
au:



(''ny'' )와 의 조합으로도 /i/, /e/, /ɛ/를 표현할 수 있다.

style="width:30px"|하강조저평조고평조



any.

any

any:



또한, 데바나가리 문자나 크메르 문자처럼 일부 모음은 독립된 모음 자모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ʔi/는 'ဣ' (하강조), 'ဤ' (저평조)로 표기된다. /ʔu/, /ʔe/, /ʔɔ/ 역시 각 성조에 따라 다른 독립적인 자모를 사용한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표를 참고한다.

style="width:30px"|하강조저평조고평조

a.

a

a:

i.

i

i:

u.

u

u:

e.

e

e:

ai.

ai

ai:

ui.

ui

ui:

au.

au

au:


3. 5. 받침 (말자음)

an./am./am.Image:Thai script-vowels-hojo.png/Image:Thai script-vowels-hojo.png/
an/am/amImage:Thai script-vowels-hojo.png/Image:Thai script-vowels-hojo.png/
an:/am:/am:/aɪɴ/
uing.
uing
uing:/aʊɴ/
aung.
aung
aung:/ɪɴ/Image:Thai script-vowels-hojo.png/Image:Thai script-vowels-hojo.png
ang./any.Image:Thai script-vowels-hojo.png/Image:Thai script-vowels-hojo.png
ang/anyImage:Thai script-vowels-hojo.png/Image:Thai script-vowels-hojo.png
ang:/any:/ʊɴ//
wan./wam./
wan/wam/
wan:/wam:/eɪɴ//
in./im./
in/im/
in:/im:/oʊɴ///
un./um./um.//
un/um/um//
un:/um:/um:



다음 표는 /ʔ/ 받침으로 끝나는 음절의 예시를 보여준다.

/ʔ/(성문폐쇄음)으로 끝남
/aʔ/Image:Thai script-vowels-hojo.png/Image:Thai script-vowels-hojo.png
at/ap
/aɪʔ/
uik
/aʊʔ/
auk
/ɪʔ/Image:Thai script-vowels-hojo.png
ac
/ʊʔ//
wat/wap
/eɪʔ//
it/ip
/ɛʔ/Image:Thai script-vowels-hojo.png
ak
/oʊʔ//
ut/up



3. 6. 숫자

미얀마에서는 십진법 체계를 사용하며, 숫자는 힌두-아랍 숫자와 같은 순서로 작성된다. 0부터 9까지의 숫자는 ၀, ၁, ၂, ၃, ၄, ၅, ၆, ၇, ၈, ٩ (유니코드 1040~1049)이며, 예를 들어 1945는 ၁٩၄٥로 표기한다. 숫자를 그룹화하는 데 쉼표와 같은 구분 기호는 사용하지 않는다. 미얀마는 독자적인 미얀마 숫자를 가지고 있으며, 현재에도 많이 사용된다. 아라비아 숫자는 일부에서만 사용된다.

1 | 2 | 3 | 4 | 5 | 6 | 7 | 8 | 9 | 0
၁ | ၂ | ၃ | ၄ | ၅ | ၆ | ၇ | ၈ | ٩ | ၀

3. 7. 문장 부호

미얀마어에는 두 가지 주요 구두점이 있다. 하나 또는 두 개의 아래쪽 획으로 그려진 ၊ (ပုဒ်ဖြတ်, ပုဒ်ကလေး, ပုဒ်ထီး 또는 တစ်ချောင်းပုဒ်이라고 함)은 쉼표이고, ။ (ပုဒ်ကြီး, ပုဒ်မ 또는 နှစ်ချောင်းပုဒ်이라고 함)은 마침표의 역할을 한다. 샨어에서 유래한 느낌표 ႟도 사용된다. 미얀마 문학에서는 다음과 같은 약어들도 사용된다.

4. 미얀마어 외의 언어 표기

미얀마 문자는 미얀마어 외에도 여러 언어의 표기에 사용된다. 하지만, 같은 문자라도 언어에 따라 추가적인 요소가 있거나 발음이 크게 달라지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몬어는 미얀마어와 같은 문자를 사용하지만, 일부 문자의 형태가 다르고, 미얀마어에는 없는 음가를 표기하는 문자가 추가되었다.

몬어에서 버마 문자의 일부 문자는 다음과 같이 다르게 표기된다. 버마어의 ဧ(e)는 몬어에서 ဨ로, င(ṅa)는 ၚ으로, ဈ(jha)는 ၛ으로 표기된다. 또한, 몬어에는 버마어에 없는 양순 파열음 을 나타내는 ၜ와 ၝ가 추가되었다. 버마어 표기에도 사용되는 반모음 ျ (y), ြ (r), ွ (w) 외에도 몬어에는 ၞ (n), ၟ (m), ၠ (l) 등의 반모음이 존재한다. 원래 유성음이었던 문자 중 적어도 연구개음이나 경구개음의 것(ga, gha, ja, jha)은 무성화되었거나, 원래 유성음이었는지 여부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뉘어, 같은 발음이라도 모음 기호의 붙는 방식이 달라지기도 한다. 이는 크메르 문자와 공통되는 특징이다.

같은 문자를 사용하더라도, 버마어와 몬어의 발음과 의미는 상당히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버마어의 တိ (ti)는 (티)로 발음되지만, 몬어에서는 로 발음되며 의미도 '다듬다'에서 '땅'으로 바뀐다. 다른 예로 တီ (tī)는 버마어에서 (티)이지만 몬어에서는 로 발음되고, 의미는 '현손, 지렁이, 개간하다'에서 '알다'로 바뀐다. ဆီ (chī)는 버마어에서 (씨)이지만 몬어에서는 으로 발음되고, 의미는 '주변, 기름, 맞다'에서 '피'로 변한다. 마지막으로 တဲ (tai)는 버마어에서 (테)로 발음되지만, 몬어에서는 로 발음되며, 의미는 '텐트, 오두막'에서 '손'으로 달라진다.

4. 1. 샨어

샨어에서 버마 문자의 사용에는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17]

4. 2. 몬어

몬어를 표기할 때 버마 문자에서 일부 문자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버마어의 ဧ(e)는 몬어에서 ဨ로, င(ṅa)는 ၚ으로, ဈ(jha)는 ၛ으로 표기된다. 또한 몬어에는 버마어에 없는 양순 파열음 을 나타내는 ၜ와 ၝ가 추가되었다. 버마어 표기에도 사용되는 반모음 (y), (r), (w) 외에도 몬어에는 (n), (m), (l) 등의 반모음이 존재한다. 원래 유성음이었던 문자 중 적어도 연구개음이나 경구개음의 것(ga, gha, ja, jha)은 무성화되었거나, 원래 유성음이었는지 여부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뉘어, 같은 발음이라도 모음 기호의 붙는 방식이 달라지기도 한다. 이는 크메르 문자와 공통되는 특징이다.

같은 버마 문자를 사용하더라도 버마어와 몬어의 발음이 전혀 다른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버마어의 တိ (ti)는 버마어에서는 (티)로 발음되지만, 몬어에서는 로 발음되며 의미 또한 '다듬다'에서 '땅'으로 달라진다. 다른 예로 တီ (tī)는 버마어에서 (티)이지만 몬어에서는 으로 발음되고, 의미도 '현손, 지렁이, 개간하다'에서 '알다'로 바뀐다. ဆီ (chī)는 버마어에서 (씨)이지만 몬어에서는 으로 발음되고, 의미는 '주변, 기름, 맞다'에서 '피'로 변한다. 마지막으로 တဲ (tai)는 버마어에서 (테)로 발음되지만, 몬어에서는 로 발음되며, 의미 또한 '텐트, 오두막'에서 '손'으로 달라진다.




|}

5. 획순

버마 알파벳 글자는 특정한 획순에 따라 쓰인다. 자형은 원을 기반으로 하며, 일반적으로 하나의 원은 한 번의 획으로 그려지고, 모든 원은 시계 방향으로 쓴다. 대부분 위쪽에 구멍이 있는 글자는 예외인데, 이런 글자의 원은 서로 반대 방향에서 나온 두 개의 획으로 그린다.

다음 열 개의 글자는 시계 방향 규칙의 예외다: ပ, ဖ, ဗ, မ, ယ, လ, ဟ, ဃ, ဎ, ဏ. 획순의 일부 버전은 약간 다를 수 있다.

버마 획순은 미얀마 교육부(미얀마 교육부)가 발행한 교과서인 ပထမတန်း မြန်မာဖတ်စာ ၂၀၁၇-၂၀၁၈ (''Burmese Grade 1, 2017-2018'')에서 배울 수 있다. 이 책은 유네스코의 LearnBig 프로젝트에서 제공된다.[5] 다른 자료로는 노던 일리노이 대학교 동남아시아 연구 센터[6]와 대만 교육부가 발행한 온라인 학습 자료가 있다.[7]

6. 컴퓨터 환경

기존 많은 컴퓨터 환경에서 버마 문자의 입력과 표시는 미흡하다. 표준으로 탑재되지 않은 환경에서는 https://software.sil.org/padauk/ Padauk Font 등의 버마 문자 글꼴을 설치해야 버마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나 브라우저에 따라 추가 글꼴 설정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사용자 편의를 위해 일부 이미지를 함께 게재한다.

6. 1. 유니코드

1999년 9월 유니코드 표준 3.0 버전에 추가된 버마 문자는 U+1000–U+109F 영역을 사용한다. 하지만, Zawgyi 와 같은 다른 문자 코드를 사용하는 글꼴이 많아 유니코드 지원 글꼴을 설치해야만 버마 문자를 제대로 볼 수 있다. 특히 유니코드를 지원하지 않는 글꼴로 작성된 문서는 전용 글꼴 설치가 필수적이다.

2008년 유니코드 5.1 업데이트를 통해 음절 끝받침을 나타내는 기호 아삿(အသတ်, U+103A의 ်에 해당), 介音(개음), 긴 a 등이 추가되었기 때문에, 유니코드 5.0 이전 버전의 글꼴에서는 버마 문자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19] 파독(Padauk)은 SIL 국제에서 배포하는 무료 미얀마어 유니코드 글꼴이며,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 가능하다. https://zawgyi-unicode-converter.myanmartools.org Zawgyi 유니코드 변환기 와 같은 온라인 변환 도구를 이용하여 Zawgyi 문자를 유니코드로 변환할 수 있다.

7. 한국에서의 위상

한국 사회는 미얀마의 민주화 운동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왔으며, 특히 2021년 쿠데타 이후 미얀마 시민들의 저항에 대한 지지 여론이 높았다. 이러한 관심 증가는 미얀마 문화와 언어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는 움직임으로 이어졌으며, 미얀마 문자를 비롯한 미얀마어 학습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한국에서 미얀마 문자에 대한 연구와 교육은 부족한 실정이다. 한국어 위키백과를 포함한 한국 내 정보 접근성 또한 미흡하여, 미얀마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심도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미얀마의 민주화 운동과 관련된 정보, 그리고 미얀마 사회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한국어 위키백과의 미얀마 관련 문서 확충 및 정보 정확성 향상이 시급하다. 향후 미얀마와의 교류 증진을 위해서는 미얀마 문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한 교육 및 연구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 미얀마 군부의 탄압에도 불구하고 미얀마 시민들의 저항이 계속되는 가운데, 한국 사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미얀마에 대한 올바른 정보 제공은 매우 중요하다.

참조

[1] 서적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https://archive.org/[...] 1948
[2] 문서 Lieberman 2003
[3] 문서 Aung-Thwin (2005)
[4] 문서 Lieberman (2003)
[5] 웹사이트 Myanmar Grade 1 Textbook https://www.learnbig[...] Ministry of Education, Myanmar 2020-03-09
[6] 웹사이트 Burmese script lessons http://seasite.niu.e[...] 2020-03-09
[7] Youtube 緬甸語25子音筆順動畫 https://www.youtube.[...] 新住民語文數位學習教材計畫, Ministry of Education, Taiwan 2020-03-09
[8] 문서 The consonant letters that take the long form ါ are ခ, ဂ, င, ဒ, ပ, and ဝ.
[9] 서적 Burmese for Beginners Paiboon Publishing 2006
[10] 서적 Burmese Phrasebook Lonely Planet 2008-10-21
[11] 문서 Herbert et al. (1989)
[12] 문서 MLC (1993)
[13] 문서 예: လျက်…〈舐める〉의 경우 jɛʔ, 〈…つつ、…であれど〉의 경우 jɛʔ 또는 ljɛʔ
[14] 문서 예: ရွှေ ɕwè 〈황금〉
[15] 문서 예: မလွှ məl̥wa̰ 〈특정 노우젠카즈라과 식물〉
[16] 문서 가장 기본적인 모음인 "[a]의 하강조"는 애매모음 [ə]라고도 표현된다.
[17] 서적 세계의 문자의 도전 吉川弘文館
[18] 학술지 Mon at Nong Duu, Lamphun Province http://sealang.net/s[...]
[19] 웹사이트 Unicode 5.1.0 https://www.unicode.[...] The Unicode Consortium 2008-04-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