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누에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누에주는 나이지리아 중부에 위치한 주로, 1976년 베누에-플래토 주에서 분리되어 형성되었다. 베누에 강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2006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4백만 명이 넘는 인구가 거주한다. 주요 도시로는 마쿠르디, 그보코, 오투크포 등이 있으며, 티브족, 이도마족, 이게데족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한다. 농업이 경제의 중심이며, 야마, 콩, 쌀 등을 생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누에주 - 마쿠르디
    나이지리아 베누에 주의 주도인 마쿠르디는 베누에 강을 끼고 있는 상업 중심지로서, 1920년대 초 설립 후 주의 본부가 되었으며 티브족의 이주와 철도 및 항공 교통의 요충지 역할, 그리고 여러 교육 기관의 존재로 도시 정체성을 확립했다.
베누에주
지도
베누에주의 나이지리아 내 위치
베누에주의 나이지리아 내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Benue State
유형
별칭국가의 식량 바구니
국가나이지리아
설치일1976년 2월 3일
주도마쿠르디
정부베누에주 정부
지사히아신스 이오르멤 알리아
지사 소속 정당APC
부지사사무엘 오데 (APC)
입법부베누에주 의회
상원 의원NE: 에마뉘엘 우덴데 (APC)
NW: 티투스 잠 (APC)
S: 패트릭 아바 모로 (PDP)
하원 의원목록
면적34,059km²
면적 순위36개 주 중 11위
인구 (2006년)4,253,641명
인구 (2022년 추정)6,141,300명
인구 순위36개 주 중 7위
인구 밀도자동 계산
인구 통계GDP (PPP)
2021년 (추정): 276억 4천만 달러
1인당: 4,141달러
시간대WAT
UTC 오프셋+01
ISO 코드NG-BE
인간 개발 지수 (2022년)0.582, 37개 주 중 19위
우편번호해당 정보 없음
지역 번호+234
공식 웹사이트해당 정보 없음
역사
배경역사적 배경 - 나는 베누에이다
베누에 46주년: 윈스턴 처칠처럼, 사무엘 오르톰처럼
설치일1976년 2월 3일
역사적 배경베누에주
지리
위치마쿠르디, 나이지리아
기타
언어다양한 토착어 존재
수도마쿠르디

2. 역사

베누에주는 20세기 초 나이지리아 북부 보호령에서 분리된 행정 구역이다. 1918년 베누에 강의 이름을 따서 개칭되기 전까지 먼시 주(Munshi Province)로 알려져 있었다.[9]

1976년 이전의 베누에-플래토 주와 이갈라족 지역, 콰라 주의 일부 지역에서 베누에주가 형성되었다.[10] 1991년, 베누에주의 일부(대부분 이갈라족 거주 지역)와 콰라 주의 일부가 합쳐져 코기 주가 신설되었다. 이보족오비, 오주, 아도 지방 자치구와 같은 경계 지역에 거주한다. 베누에주는 "미들 벨트의 심장"이자 니제르 강 북쪽의 "미들 벨트의 오락 수도"로 알려져 있으며, 이도마족의 전통적, 행정적 중심지인 오투크포는 사자의 심장과 용감한 자들의 땅으로도 불린다.[11]

2. 1. 식민지 이전 시대

베누에 주는 20세기 초 나이지리아 북부 보호령에서 분리된 행정 구역이다. 이 지역은 1918년 지배적인 지리적 특징인 베누에 강의 이름을 따기 전까지 먼시 주(Munshi Province)로 알려져 있었다.[9]

2. 2. 식민지 시대

베누에주는 20세기 초 나이지리아 북부 보호령에서 분리된 행정 구역이다. 1918년까지 먼시 주(Munshi Province)로 알려졌으나, 이후 이 지역의 주요 지리적 특징인 베누에 강의 이름을 따서 개칭되었다.[9]

1976년 베누에주는 이전의 베누에-플래토 주와 이갈라족 지역, 그리고 콰라 주의 일부 지역에서 형성되었다.[10] 1991년에는 베누에주의 일부(주로 이갈라족 거주 지역)와 콰라 주의 일부가 합쳐져 코기 주가 신설되었다. 이보족오비, 오주, 아도 지방 자치구 등 경계 지역에 거주한다. 베누에주는 "미들 벨트의 심장"이자 니제르 강 북쪽 "미들 벨트의 오락 수도"로 알려져 있으며, 이도마족의 전통적, 행정적 중심지인 오투크포는 사자의 심장과 용감한 자들의 땅으로도 불린다.[11]

2. 3. 독립 이후

베누에주는 20세기 초 나이지리아 북부 보호령에서 분리된 행정 구역의 유산이다. 이 지역은 1918년 지배적인 지리적 특징인 베누에 강의 이름을 채택할 때까지 먼시 주(Munshi Province)로 알려져 있었다.[9]

베누에주는 베누에 강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1976년 이전의 베누에-플래토 주와 이갈라족 지역, 그리고 콰라 주의 일부 지역으로부터 형성되었다.[10] 1991년, 베누에주의 일부 지역(대부분 이갈라족 거주 지역)과 콰라 주의 일부 지역이 합쳐져 새로운 코기 주가 되었다. 이보족오비, 오주, 아도 지방 자치구와 같은 경계 지역에 거주한다. 이곳은 "미들 벨트의 심장"이자 니제르 강 북쪽의 "미들 벨트의 오락 수도"로 알려져 있다. 이도마족의 전통적이자 행정적 중심지인 오투크포는 사자의 심장과 용감한 자들의 땅으로도 알려져 있다.[11]

3. 지리

Mkar 언덕


베누에주는 나이지리아 중부지대의 베누에 강 하류 분지에 위치하며, 북위 6° 25'에서 8° 8', 동경 7° 47'에서 10° 0' 사이에 자리 잡고 있다. 베누에주는 나사라와주, 타라바주, 크로스리버주, 에누구주, 코기주 등 다섯 개의 주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 남동쪽으로는 카메룬 북서주와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이 지역은 암바조니아카메룬 양측에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베누에주의 면적은 34059km2이다.

3. 1. 위치 및 경계

베누에주는 나이지리아 중부지대의 베누에 강(Benue River) 하류 분지에 위치한다. 위도는 북위 6° 25'에서 8° 8' 사이이며, 경도는 동경 7° 47'에서 10° 0' 사이이다. 베누에주는 다섯 개의 주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

방위거리
북쪽나사라와주231km (부분적으로 베누에 강을 사이에 두고)
동쪽타라바주235km
남쪽크로스리버주96km
남서쪽에누구주84km
서쪽코기주153km



또한 남동쪽으로는 카메룬 북서주(Nord-Ouest Province)(22km)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데, 이 지역은 암바조니아와 카메룬 공화국(Republic of Cameroon) 양쪽에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베누에주의 면적은 34059km2이다.

3. 2. 기후

베누에주는 열대 습윤 및 건조 기후 또는 사바나 기후를 가지고 있다. 이 도시의 연평균 기온은 29.38°C이며, 나이지리아 평균보다 0.08% 낮다.[14][15] 연간 강수량은 약 135.2mm이며, 연간 강우일수는 160.01일(시간의 43.84%)이다.

3. 3. 지형



베누에주는 나이지리아 중부지대의 베누에 강 하류 분지에 위치한다. 북위 6° 25'에서 8° 8', 동경 7° 47'에서 10° 0' 사이에 있다. 북쪽으로는 나사라와주, 동쪽으로는 타라바주, 남쪽으로는 크로스리버주, 남서쪽으로는 에누구주, 서쪽으로는 코기주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 남동쪽으로는 카메룬 북서주와 국경을 접하며, 이 지역은 암바조니아카메룬 양측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베누에주의 면적은 34059km2이다.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베누에주는 AW 기후에 속하며, 우기건기 두 계절이 뚜렷하다. 우기는 4월부터 10월까지이며 연 강수량은 100~200mm이다. 건기는 11월부터 3월까지이다. 연중 기온은 21°C에서 37°C 사이이다. 오부두-카메룬 산맥에 인접한 주의 남동부는 플래토주와 유사한 서늘한 기후를 보인다.[15]

베누에주의 대부분은 베누에 계곡/분지에 속한다. 제3기 및 플라이스토세 빙하기 동안 베누에 계곡과 니제르 계곡은 대서양의 해수에 침수되었다. 그 결과, 해양 퇴적물이 베누에주의 지표 지질학적 특징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 지역은 대체로 해발고도 100m~250m의 저지대이며, 완만하게 구릉이 이어지고 드물게는 단애성 잔구, 구릉, 라테라이트 등이 나타난다. 카메룬과의 경계 지역과 콴데 및 오주 지방 자치구에서만 구릉성 지형이 발견된다. 이 지역은 급경사, 깊게 패인 계곡 및 험준한 지형이 특징이다. 다른 지역에서는 경사도가 4° 미만이다. 베누에 강은 이 주에서 가장 두드러진 지리적 특징이며, 나이지리아에서 몇 안 되는 큰 강 중 하나이다. 카치나알라가 가장 큰 지류이며, 그 외 소규모 하천으로는 므코몬, 아밀레, 두루, 로코 콘시샤, 크파, 옥포크우, 무, 베, 아야, 아파 오게데, 옴비가 있다. 광범위한 늪지와 연못이 특징인 충적평야는 건기 관개 농업에 적합하다.

베누에 주는 배수 밀도가 높지만 하천의 많은 부분은 계절적이다. 따라서 구마, 옥포크우, 오그바디보, 구웨르 서부(나카), 오주와 같은 지방 자치구에서는 건기에 심각한 물 부족 현상을 겪는다. 이 하천 시스템은 수산업, 관개를 통한 건기 농업, 내륙 수로 등에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3. 4. 광물 자원

베누에주는 풍부한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자원들은 주의 각 지방 자치 구역에 분포되어 있다. 이 광물 자원 중에서 고코 Tse-Kucha석회암과 오투크포의 카올리나이트만이 상업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다른 광상으로는 중정석, 석고, 장석, 텅스텐석, 카올리나이트, 광물염 및 보석 등이 있다.[15]

4. 인구 및 사회

베누에주는 티브족, 이도마족, 이게데족을 비롯하여 에툴루족, 우피아 오링족, 아박파족, 주쿤족, 이그보족, 아크웨야족, 하우사족, 니폰족 등 여러 민족이 거주하는 곳이다.[1] 주민 대다수는 농업에 종사하며, 강가에 사는 사람들은 어업을 주요 생계 수단으로 삼기도 한다.[1]

베누에주는 3개의 상원 선거구와 23개의 지방 자치구로 나뉘는데, 각 지방 자치구별 주요 민족 및 행정 중심지는 다음과 같다.[1]

지방 자치구주요 민족행정 중심지
아도 (Ado)이도마족이구말레 (Igumale)
아가투 (Agatu)이도마족오바가지 (Obagaji)
아파 (Apa)이도마족우그보크포 (Ugbokpo)
부루쿠 (Buruku)티브족부루쿠 (Buruku)
그보코 (Gboko)티브족그보코 (Gboko)
구마 (Guma)티브족그바짐바 (Gbajimba)
그웨어 이스트 (Gwer East)티브족알리아데 (Aliade)
그웨어 웨스트 (Gwer West)티브족나카 (Naka)
카트시나-알라 (Katsina-Ala)티브족카트시나-알라 (Katsina-Ala)
콘시샤 (Konshisha)티브족트세-아그베라그바 (Tse-Agberagba)
콴데 (Kwande)티브족아딕포 (Adikpo)
로고 (Logo)티브족우그바 (Ugba)
마쿠르디 (Makurdi)티브족마쿠르디 (Makurdi)
오비 (Obi)이도마족오바리케-이토 (Obarike-Ito)
오그바디보 (Ogbadibo)이도마족오투크파 (Otukpa)
오히미니 (Ohimini)이도마족이덱파 (Idekpa)
오주 (Oju)이게데족오주 (Oju)
옥포크우 (Okpokwu)이도마족옥포가 (Okpoga)
오투크포 (Otukpo)이도마족오투크포 (Otukpo)
타르카 (Tarka)티브족완누네 (Wannune)
우쿰 (Ukum)티브족상케라 (Sankera)
우숑고 (Ushongo)티브족레셀 (Lessel)
반데이키야 (Vandeikya)티브족반데이키야 (Vandeikya)



카트시나 알라와 자키 비암에는 하우사족 소규모 공동체가 있으며,[1] 부루쿠에는 에툴루족과 니폰족 소규모 공동체가 있다.[1] 마쿠르디 자치구 아빈시 마을 강둑에는 주쿤족 공동체가, 마쿠르디 시에는 하우사족의 2개 대규모 공동체(와다타 지역, 북쪽 강둑 지역)가 있다.[1] 오주와 오비에는 이게데족 외에 소수의 코링/오링족과 이그보족이, 아도에는 소수의 아크웨야족이 거주한다.[1]

베누에 주에서 사용되는 주요 언어는 다음과 같다.[18]

지방자치구언어
아도오링, 이도마, 이그보
아가투이도마
아파이도마
부루쿠티브
그보코티브
구마티브
그웨르 동부티브
그웨르 서부티브
카치나-알라티브
콴데티브
마쿠르디티브
오그바디보이도마
오히미니이도마
오비이게데, 이도마, 이그보
오주이게데, 오링, 이그보
오크포크우이도마
오툭포이도마
우숑고티브
반데이키아티브



이 외에도 오링, 에툴로, 니폰, 바사, 주쿤(와누 포함), 우투그왕 이룬게네 아프리케어가 사용되며, 국경 지역에서는 이그보어가 사용된다.[19]

종교적으로는 로마 가톨릭교회, 성공회, 그리고 티브족 중심의 수단의 그리스도 교회(N.K.S.T. Church) 등 다양한 기독교 교파가 존재한다.

4. 1. 인구 구조 및 분포

나이지리아 북중부 지역에 위치한 베누에주의 2006년 인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총 인구는 4,253,641명이며, 평균 인구밀도는 99km2이다. 이는 베누에주를 나이지리아에서 9번째로 인구가 많은 주로 만든다.[12]

그러나 지방 자치 구역별 인구 분포는 현저한 이중성을 보인다.[12] 구마, 오히미니, 타르카, 아파, 로고, 아가투와 같이 70km2 미만의 저밀도 지역이 있는 반면, 반데이키야, 우쿰, 콴데, 오투크포, 오크포크우, 고보코는 160km2에서 200km2 사이의 인구밀도를 보인다. 마쿠르디 LGA는 380km2가 넘는다. 전체 인구 중 남성은 49.8%, 여성은 50.2%를 차지한다.

4. 2. 도시화

베누에주 지역은 노예 무역 기간 동안 인구가 감소했다. 주로 시골 지역이며, 대부분 630명 미만의 소규모 농장이나 농가 단지들이 산재해 있고, 주민 대부분은 농부이다.[13]

베누에주의 도시화는 식민지 시대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식민지 시대에 세워진 소수의 도시들은 1976년 베누에주가 설립될 때까지 3만 명 미만의 매우 작은 규모를 유지했다.[13]

베누에주의 도시들은 세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 첫 번째 그룹은 8만 명에서 50만 명의 인구를 가진 도시들로, 주도인 마쿠르디, 그보코, 오투크포(각각 125,944명과 88,958명)가 포함된다.
  • 두 번째 그룹은 2만 명에서 5만 명의 인구를 가진 도시들로, 카치나-알라, 자키-비암, 반데이키야, 아디크포가 포함된다. 이들은 모두 지방 정부의 중심지이다.
  • 세 번째 그룹은 1만 명에서 1만 9천 명의 인구를 가진 도시들로, 레셀, 이휴, 나카, 아도카, 알리아데, 오크포가, 이구말레, 오주, 우톤콘, 우그보콜로, 와누네, 우그보크포, 오투크파, 우그바, 코리냐가 포함된다. 이들 도시 대부분은 최근에 설립된 지방 자치구의 중심지이거나 구 중심지 또는 주요 시장 지역이다.[13]


새로 설립된 지방 자치구 중 일부는 인구가 1만 명 미만이다. 이러한 곳으로는 체-아그베라바, 그바짐바, 부루쿠, 이덱파, 오바가지, 오바리케이토가 있다. 흙길, 학교, 정기 시장, 약국(현지 약국) 외에는 시골 지역은 주로 농업에 이용되며, 대부분의 도시 생활 필요품은 도시 중심지에 의존한다. 베누에주는 수도의 과도한 집중 문제는 없다. 오히려 마쿠르디, 그보코, 오투크포의 세 도시가 중요한 도시 중심지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이들 도시는 주에서 제공되는 사회 편의 시설의 70% 이상과 거의 모든 산업 시설을 담당한다. 이들은 주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이며, 더 작고 젊은 도시들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13]

마쿠르디는 주도이자 마쿠르디 지방 자치구의 중심지이며, 그보코, 오투크포, 오주는 지방 자치구와 민족 중심지(즉, 티브족, 이도마족, 이게데족)를 겸한다. 주의 모든 도로는 이 세 중심지에서 뻗어나간다.[13]

4. 3. 민족 구성

베누에주에는 티브족, 이도마족, 이게데족, 에툴루족, 우피아 오링족, 아박파족, 주쿤족, 이그보족, 아크웨야족, 하우사족, 니폰족 등 여러 민족이 거주하고 있다.[1]

대부분의 티브족과 이도마족은 농업에 종사하며, 강가에 사는 주민들은 어업을 주요 또는 중요한 부업으로 삼고 있다.[1] 이 주의 주민들은 쾌활하고 환대하는 성격과 풍부한 문화유산으로 유명하다.[1]

베누에주는 3개의 상원 선거구와 23개의 지방 자치구로 나뉘는데, 티브족은 14개, 이도마족은 7개, 이게데족은 2개의 지방 자치구를 차지하고 있다.[1]

지방 자치구주요 민족행정 중심지
아도 (Ado)이도마족이구말레 (Igumale)
아가투 (Agatu)이도마족오바가지 (Obagaji)
아파 (Apa)이도마족우그보크포 (Ugbokpo)
부루쿠 (Buruku)티브족부루쿠 (Buruku)
그보코 (Gboko)티브족그보코 (Gboko)
구마 (Guma)티브족그바짐바 (Gbajimba)
그웨어 이스트 (Gwer East)티브족알리아데 (Aliade)
그웨어 웨스트 (Gwer West)티브족나카 (Naka)
카트시나-알라 (Katsina-Ala)티브족카트시나-알라 (Katsina-Ala)
콘시샤 (Konshisha)티브족트세-아그베라그바 (Tse-Agberagba)
콴데 (Kwande)티브족아딕포 (Adikpo)
로고 (Logo)티브족우그바 (Ugba)
마쿠르디 (Makurdi)티브족마쿠르디 (Makurdi)
오비 (Obi)이도마족오바리케-이토 (Obarike-Ito)
오그바디보 (Ogbadibo)이도마족오투크파 (Otukpa)
오히미니 (Ohimini)이도마족이덱파 (Idekpa)
오주 (Oju)이게데족오주 (Oju)
옥포크우 (Okpokwu)이도마족옥포가 (Okpoga)
오투크포 (Otukpo)이도마족오투크포 (Otukpo)
타르카 (Tarka)티브족완누네 (Wannune)
우쿰 (Ukum)티브족상케라 (Sankera)
우숑고 (Ushongo)티브족레셀 (Lessel)
반데이키야 (Vandeikya)티브족반데이키야 (Vandeikya)


  • 카트시나 알라에는 에툴루족과 하우사족 소규모 공동체가 있다.[1]
  • 자키 비암에는 하우사족 소규모 공동체가 있다.[1]
  • 부루쿠에는 에툴루족과 니폰족 소규모 공동체가 있다.[1]
  • 마쿠르디 자치구 아빈시 마을 강둑에는 주쿤족 공동체가 거주한다.[1]
  • 마쿠르디 시에는 하우사족의 2개 대규모 공동체(와다타 지역, 북쪽 강둑 지역)가 있다.[1]
  • 오주와 오비에는 이게데족 외에 소수의 코링/오링족과 이보족이 거주한다.[1]
  • 아도에는 소수의 아크웨야족이 거주한다.[1]

4. 4. 언어

베누에 주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다음과 같다.[18]

지방자치구언어
아도오링, 이도마, 이그보
아가투이도마
아파이도마
부루쿠티브
그보코티브
구마티브
그웨르 동부티브
그웨르 서부티브
카치나-알라티브
콴데티브
마쿠르디티브
오그바디보이도마
오히미니이도마
오비이게데, 이도마, 이그보
오주이게데, 오링, 이그보
오크포크우이도마
오툭포이도마
우숑고티브
반데이키아티브



주에서 사용되는 기타 언어로는 오링, 에툴로, 니폰, 바사, 주쿤(와누 포함), 우투그왕 이룬게네 아프리케가 있다. 이그보어는 국경 지역에서도 사용된다.[19]

4. 5. 종교

베누에주에는 로마 가톨릭교회와 성공회, 그리고 티브족 중심의 수단의 그리스도 교회(N.K.S.T. Church) 등 다양한 기독교 교파가 존재한다.

로마 가톨릭교회는 아부자 대교구 소속으로 4개의 교구가 있으며, 총 2,354,410명의 신자가 있다. 각 교구와 현황은 다음과 같다.

교구명설립 연도주교 (임명 연도)본당 수
마쿠르디 교구1934년 (베누에로 설립)윌프레드 치크파 아나그베 (2015년)89개
고보코 로마 가톨릭 교구2012년윌리엄 아모브 아베냐 (2012년)84개
카트시나-알라 교구2012년이삭 붕데푼 두구 (2022년)34개
오투크포 교구1995년마이클 에크워이 아포치 (2002년)61개



나이지리아 교회의 아부자 성공회 관구에는 3개의 교구가 있다.

교구명설립 연도주교 (임명 연도)
마쿠르디 성공회 교구1990년나단 이뇨옴 (1990년)25개
고보코 성공회 교구2009년에마누엘 니트세
오투크포 성공회 교구1996년데이비드 벨로 (2004년)



수단의 그리스도 교회(N.K.S.T. Church)는 티브족 사이에서 가장 큰 교회이며, 본부는 고보코의 Mkar에 있다. 이 교회는 베누에주 최초의 교회이자 티브족이 처음으로 기독교를 접한 곳이다.

5. 문화

베누에주의 사회는 다양한 레크리에이션 시설을 통해 풍요롭게 유지되고 있다. 마쿠르디(Makurdi), 그보코(Gboko), 오투크포(Otukpo) 등지의 대형 호텔에는 다양한 실내 스포츠 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골프 클럽, 마쿠르디 클럽, 철도 클럽, 경찰 클럽, 공군 클럽 등에서는 음료와 간식을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게임도 가능하다.

아퍼 아쿠 스타디움(Aper Aku Stadium)을 비롯한 현대식 스포츠 단지에는 실내 스포츠 홀, 마쿠르디의 올림픽 규모 수영장 등이 갖춰져 있다. 그보코(Gboko) (J. S. Tarka 스타디움), 카트시나-알라(Katsina-Ala), 아딕포(Adikpo), 반데이키야(Vandeikya), 오투크포(Otukpo)에는 이보다 작은 규모의 스타디움들이 있다. BCC 로원 테니스 토너먼트는 전국 각지의 선수들이 참가하는 대회이다. 베누에주는 프로 축구 1부 리그의 로비 스타스 FC(Lobi Stars F.C.), 2부 리그의 BCC 라이온스 FC(BCC Lions FC), 농구 프리미어 리그의 마크 멘토스 등 세 팀을 보유하고 있다.

5. 1. 전통 문화

베누에주 전통 의상을 입은 무용수들


베누에주 대표단


베누에주는 다채로운 의복, 이국적인 가면극, 신성한 음악과 춤 등 풍부하고 다양한 문화유산을 가지고 있다. 베누에주의 전통 춤은 국내외 문화 축제에서 찬사를 받았다. 가장 인기 있는 춤으로는 잉기요(Ingyough), 앙주(Ange), 안차나쿠파(Anchanakupa), 스완게(Swange), 오기리냐(Ogirinya) 등이 있다.

주민들의 사회 종교적 축제, 다채로운 춤, 의복, 노래 또한 관광 가치가 있다. 예를 들어, 이도마족의 알레쿠(Alekwu) 조상 축제는 현지인들이 조상들이 가면극의 형태로 살아있는 사람들과 다시 소통한다고 믿는 행사이다.

이게데 아그바(Igede Agba)는 매년 9월에 오주와 오비 지역 정부 지역의 이게데족이 지키는 야미 축제이다. 티브족에게는 티브의 날, 결혼식, 춤 경연대회(예: 스완게(Swange) 춤)가 매우 화려하게 치러진다. 콰그-히르(Kwagh-Hir)는 매우 재미있는 티브 인형극이다.

5. 2. 전통 통치자

베누에 주 정부는 전통 지도자들이 문화의 수호자이자 개발의 주체라는 점을 인정하여 그들에게 높은 존중을 표하고 있다. 또한, 그들이 지방 차원에서 평화와 질서를 증진하는 역할도 인정받고 있다. 주 정부는 그들의 기여를 높이기 위해 3단계 전통 평의회 시스템을 설립했는데, 이는 지역 정부 지역 전통 평의회, 지역 전통 평의회, 그리고 티브족의 왕인 토르 티브를 의장으로 하는 주 수장 평의회로 구성된다.

두 지역 평의회는 티브 전통 평의회와 이도마족 전통 평의회이다. 티브 전통 평의회는 티브족이 주로 거주하는 지역의 모든 전통 지도자들을 의장으로 하는 토르 티브를 두고 있으며, 이도마족 전통 평의회는 이도마족이 주로 거주하는 지역의 모든 전통 지도자들을 의장으로 하는 오치 이도마(이도마족 왕)를 두고 있다.

주 수장 평의회는 오치 이도마와 모든 2급 수장 및 지역 정부 전통 평의회 의장들을 회원으로 하며, 토르 티브이자 오르치비리그 James Ayatse 교수(토르 티브 5세)([17])가 의장을 맡고 있다.

6. 정치 및 행정

현재 베누에 주의 정치 및 행정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6. 1. 정부

현재 베누에 주는 하이신스 알리아 주지사의 행정부 통치하에 있다. 베누에 주 주지사는 행정부를 이끌고, 주 각료를 임명하며, 주 최고 보안 책임자 역할도 수행한다.

7. 경제

농업은 베누에주 경제의 중추로, 주 전체 노동력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주요 농작물로는 야마, 쌀, , 카사바, 고구마, 옥수수, 대두, 수수, 기장, 참깨, 코코얌 등이 있다. 베누에주는 나이지리아 대두 생산량의 70% 이상을 차지한다.[16] 전문가들은 대부분의 현대 기술이 나이지리아 농민들에게 아직 보편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농업이 더 발전할 수 있다고 말한다.

기타 상품 작물로는 팜유, 멜론, 아프리카 배(Dacryodes edulis), 고추, 토마토 등이 있다. 식량 작물에는 야콘, 카사바, 고구마, , 옥수수, 기장, 수수, 채소 등이 있다. 관개 농업과 기술은 매우 부족하다. 축산업에는 소, 돼지, 가금류, 염소가 포함되지만 아직 유제품은 없다.

나이지리아의 모든 은행이 베누에주에 지점을 두고 있으며, 나이지리아 중앙은행의 지역 본부가 마쿠르디에 위치해 있어 은행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당고트 시멘트 회사(Dangote Cement Company)는 베누에주에서 운영되는 민간 기업으로 주민들에게 일자리를 일부 제공하고 있다.[1]

베누에주의 고용 비율은 대략 다음과 같다.

농업상업공무원민간 부문
75%10%6%9%

[1]

베누에주는 지역 농산물과 광물 자원을 활용하여 다양한 산업을 지원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아직 개발되지 않은 상태이다.[1] 상업 및 산업 분야의 민간 사업은 소규모이며 목공, 구두 수리 및 제조, 소규모 정미소, 가죽 및 플라스틱 산업, 직조, 인쇄, 음식 서비스, 블록 제조, 식품 가공 등에 국한되어 있다.[1] 자본 부족, 기본 인프라 부족, 잦은 정치적 변화로 인해 산업과 상업이 크게 침체되어 있다.[1]

7. 1. 농업

농업은 베누에주 경제의 중추이며, 주 전체 노동력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주요 농작물로는 야마, 쌀, , 카사바, 고구마, 옥수수, 대두, 수수, 기장, 참깨, 코코얌 등이 있다. 베누에주는 나이지리아 대두 생산량의 70% 이상을 차지한다.[16]

농업은 베누에주 경제의 중추로, 70% 이상의 노동 인구가 종사하고 있어 나이지리아의 주요 식량 생산지가 되었다. 전문가들은 대부분의 현대 기술이 나이지리아 농민들에게 아직 보편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농업이 더 발전할 수 있다고 말한다. 기계화와 농장 농업/농림업은 아직 초기 단계이다. 비료, 개량 씨앗, 살충제 및 기타 외국 방식과 같은 농업 투입물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지만, 비용과 이용 가능성은 여전히 과제이다. 중요한 상품 작물로는 대두, 쌀, 땅콩, 망고 품종, 감귤류 등이 있다.

기타 상품 작물로는 팜유, 멜론, 아프리카 배(Dacryodes edulis), 고추, 토마토 등이 있다. 식량 작물에는 야콘, 카사바, 고구마, , 옥수수, 기장, 수수, 채소 등이 있다. 관개 농업과 기술은 매우 부족하다.

축산업에는 소, 돼지, 가금류, 염소가 포함되지만 아직 유제품은 없다.

자키 이비암 국제 야콘 시장은 나이지리아에서 단일 품목으로는 가장 큰 시장이다.[20]

7. 2. 상업 및 산업

나이지리아의 모든 은행이 베누에주에 지점을 두고 있으며, 나이지리아 중앙은행의 지역 본부가 마쿠르디에 위치해 있어 은행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당고트 시멘트 회사(Dangote Cement Company)는 베누에주에서 운영되는 민간 기업으로 주민들에게 일자리를 일부 제공하고 있다.[1]

베누에주의 고용 비율은 대략 다음과 같다.

농업상업공무원민간 부문
75%10%6%9%

[1]

베누에주는 지역 농산물과 광물 자원을 활용하여 다양한 산업을 지원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아직 개발되지 않은 상태이다.[1] 상업 및 산업 분야의 민간 사업, 특히 주민에 의한 사업은 소규모이며 목공, 구두 수리 및 제조, 소규모 정미소, 가죽 및 플라스틱 산업, 직조, 인쇄, 음식 서비스, 블록 제조, 식품 가공 등에 국한되어 있다.[1] 자본 부족, 기본 인프라 부족, 잦은 정치적 변화로 인해 산업과 상업이 크게 침체되어 있다.[1]

8. 교통 및 인프라

베누에 주는 나이지리아 중앙에 위치하며, 베누에강과 카치나알라강이 있어 주요 교차로 역할을 한다. 주 정부는 주도인 마쿠르디와 주 내외를 연결하는 주요 도로 건설에 힘쓰고 있으며, 도로 상태는 매우 양호하다.[21]

동부 주와 북부 및 북동부를 연결하는 두 개의 연방 고속도로가 있다.


  • A3 고속도로: 에누구에서 오투크포와 마쿠르디를 거쳐 나사라와 주의 라피아까지 북쪽으로 이어진다.
  • A4 고속도로: 베누에 주 가켐에서 카도 근처 타라바 주까지 북동쪽으로 이어지는 카치나 알라-자키 비암 도로이다.


다른 주요 도로는 다음과 같다.

도로명방향연결 지역
마쿠르디-그보코 도로남동쪽얀데브를 거쳐 우그베마까지 연결, 카치나 알라 도로는 아딕포를 거쳐 가켐의 크로스리버주까지 남서쪽으로 연결
마쿠르디-나카-아도카-안크파-오케네 도로서쪽
마쿠르디-얀데브-카치나 알라-우카리 도로동쪽
마쿠르디 북부-우다 도로서쪽우타구두의 나사라와주까지 연결
아도카-웨토 도로북쪽아도카에서 베누에강을 건너 2km 길이의 [http://Loko%20Oweto%20Bridge 로코-오웨토 다리](2022)를 지남
그보코-엠바세레 도로동쪽알리아데의 A3 고속도로에서 시작
카치나 알라-타쿰 도로동쪽도곤 가와의 타라바주까지 연결



나이지리아 동부 철도는 에누구에서 마쿠르디 철교(1932)를 통해 베누에강을 건너 나사라와주까지 이어지며, 마쿠르디, 오투크포, 타라쿠, 우톤콘, 이구말레를 전국과 연결한다. 베누에 주를 통과하는 철도의 총 길이는 약 180km이다.

연방 정부는 마쿠르디 공항을 개조 및 확장하여 나이지리아 최대 규모의 농산물 화물 공항으로 만들고 있다.[21]

베누에강과 카치나알라강은 준설 작업만 하면 마쿠르디, 투란, 부루쿠, 카치나알라강에 현대식 강 항구를 건설하여 베누에 주가 나이지리아 중앙에 위치한 이점을 활용해 전국으로 상품을 수송할 수 있다. 아빈시 부두에서는 드물게 화물선이 베누에 회사의 화물을 하역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베누에주의 전력난은 나이지리아 다른 지역과 다르지 않다. 마쿠르디, 오투크포, 그보코와 같은 지역은 적어도 60%의 전력 공급을 받고 있다. 그러나 민간 기업들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다른 전력 공급원을 확보하고 있다.

베누에주에는 국내에서 운영되는 GSM 서비스 회사들을 위한 시설이 있다. 또한 베누에주에는 라디오 방송국 7개소(라디오 베누에, 조이 FM, 하베스트 FM, 아시웨이브 FM, 선레이즈 FM, 브라더스 FM, 스피드 FM)와 텔레비전 방송국 2개소가 있다.[22]

8. 1. 도로

베누에주는 나이지리아 중앙에 위치하며, 베누에강과 카치나알라강에 놓인 다리들 덕분에 주요 교차로 역할을 한다. 현 정부는 주도인 마쿠르디와 주 내외를 연결하는 주요 도로 건설에 힘쓰고 있으며, 도로 상태는 매우 양호하다.[21]

동부 주와 북부 및 북동부를 연결하는 두 개의 연방 고속도로가 있다.

  • A3 고속도로는 에누구에서 오투크포와 마쿠르디를 거쳐 나사라와 주의 라피아까지 북쪽으로 이어진다.
  • A4 고속도로는 베누에 주 가켐에서 카도 근처 타라바 주까지 북동쪽으로 이어지는 카치나 알라-자키 비암 도로이다.


다른 주요 도로는 다음과 같다.

  • 마쿠르디-그보코 도로(남동쪽): 얀데브를 거쳐 우그베마까지 이어지며, 카치나 알라 도로는 아딕포를 거쳐 가켐의 크로스리버주까지 남서쪽으로 계속된다.
  • 마쿠르디-나카-아도카-안크파-오케네 도로(서쪽)
  • 마쿠르디-얀데브-카치나 알라-우카리 도로(동쪽)
  • 마쿠르디 북부-우다 도로(서쪽): 우타구두의 나사라와주까지 이어진다.
  • 아도카-웨토 도로(북쪽): 아도카에서 베누에강을 건너 2km 길이의 [http://Loko%20Oweto%20Bridge 로코-오웨토 다리](2022)를 지난다.
  • 그보코-엠바세레 도로(동쪽): 알리아데의 A3 고속도로에서 시작된다.
  • 카치나 알라-타쿰 도로(동쪽): 도곤 가와의 타라바주까지 이어진다.

8. 2. 철도

나이지리아 동부 철도는 에누구에서 마쿠르디 철교(1932)를 통해 베누에강을 건너 나사라와주까지 이어지며, 마쿠르디, 오투크포, 타라쿠, 우톤콘, 이구말레를 전국과 연결한다. 베누에주를 통과하는 철도의 총 길이는 약 180km이다.

8. 3. 공항

연방 정부는 마쿠르디 공항을 개조 및 확장하여 국가 최대 규모의 농산물 화물 공항으로 만들고 있다.[21]

8. 4. 수운

베누에 주는 나이지리아 중앙에 위치하며, 베누에강과 카치나알라강이라는 두 개의 큰 강이 있어 주요 교차로 역할을 한다. 주 정부는 주도인 마쿠르디와 주 내외를 연결하는 주요 도로 건설에 힘쓰고 있으며, 도로 상태는 매우 양호하다.[21]

두 개의 연방 고속도로가 동부 주와 북부 및 북동부를 연결한다.

  • A3 고속도로는 에누구에서 오투크포와 마쿠르디를 거쳐 나사라와 주의 라피아까지 북쪽으로 이어진다.
  • A4 고속도로는 베누에 주 가켐에서 카도 근처 타라바 주까지 북동쪽으로 이어지는 카치나 알라-자키 비암 도로이다.


다른 주요 도로는 다음과 같다.

도로명방향연결 지역
마쿠르디-그보코 도로남동쪽얀데브를 거쳐 우그베마까지 연결, 카치나 알라 도로는 아딕포를 거쳐 가켐의 크로스리버주까지 남서쪽으로 연결
마쿠르디-나카-아도카-안크파-오케네 도로서쪽
마쿠르디-얀데브-카치나 알라-우카리 도로동쪽
마쿠르디 북부-우다 도로서쪽우타구두의 나사라와주까지 연결
아도카-웨토 도로북쪽아도카에서 베누에강을 건너 2km 길이의 [http://Loko%20Oweto%20Bridge 로코-오웨토 다리](2022)를 지남
그보코-엠바세레 도로동쪽알리아데의 A3 고속도로에서 시작
카치나 알라-타쿰 도로동쪽도곤 가와의 타라바주까지 연결



연방 정부는 마쿠르디 공항을 개조 및 확장하여 나이지리아 최대 규모의 농산물 화물 공항으로 만들고 있다.

베누에강과 카치나알라강은 준설 작업만 하면 마쿠르디, 투란, 부루쿠, 카치나알라강에 현대식 강 항구를 건설하여 베누에 주가 나이지리아 중앙에 위치한 이점을 활용해 전국으로 상품을 수송할 수 있다. 아빈시 부두에서는 드물게 화물선이 베누에 회사의 화물을 하역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에누구에서 마쿠르디 철교(1932)를 통해 베누에강을 건너 나사라와주까지 이어지는 동부 철도는 마쿠르디, 오투크포, 타라쿠, 우톤콘, 이구말레를 전국과 연결한다. 총 약 180km의 철도가 베누에 주를 통과한다.

8. 5. 전력

베누에주의 전력난은 나이지리아 다른 지역과 다르지 않다. 마쿠르디, 오투크포, 그보코와 같은 지역은 적어도 60%의 전력 공급을 받고 있다. 그러나 민간 기업들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다른 전력 공급원을 확보하고 있다.

8. 6. 통신

베누에주에는 국내에서 운영되는 GSM 서비스 회사들을 위한 시설이 있다. 또한 베누에주에는 라디오 방송국 7개소(라디오 베누에, 조이 FM, 하베스트 FM, 아시웨이브 FM, 선레이즈 FM, 브라더스 FM, 스피드 FM)와 텔레비전 방송국 2개소가 있다.[22]

9. 관광

베누에주는 아직 개발되지 않은 막대한 관광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 관광 명소 중 일부는 관광객이 직접 선택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베누에주는 관광 개발을 위해 관광객의 전반적인 복지를 위해 필요한 인프라 개발에 착수했다. 외국 투자자들에게는 여전히 기회가 열려 있다.

도로 개발, 호텔, 우편, 전화 및 이메일 서비스, 전기, 식수, 레크리에이션 시설, 그리고 주민들의 일반적인 환대 프로그램은 결국 관광객들에게 주를 개방할 것이다. 마쿠르디에는 놀이공원과 동물원이 조성되었다. 이크웨에는 야생동물 공원이 있으며, 관광객을 위한 회의장과 샬레가 건설되었다. 주의 관광 명소는 자연 경관, 역사 유적 및 축제로 분류할 수 있다.

베누에주의 자연 명소에는 이키오겐, 아반데, 응고쿠르, Mkar, 우숑고, 하르가와 같은 언덕과 산맥이 포함된다. Tse-Mker에는 비단뱀을 포함한 위험한 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울창한 숲으로 이루어진 자연 해자가 있다. 구르굴은 카치나 알라 강에 있는 폭포이다. 오부두/남카메룬 고원 산맥에 인접한 국경 지역에는 숲, 해체된 언덕, 절리, 수십 개의 빠르게 흐르는 개울과 침식된 계곡이 있다. 건기에는 베누에 강과 카치나-알라 강의 수위가 낮아져 모래 사장과 깨끗한 얕은 물이 생긴다. 이 물은 레크리에이션 보트 및 수영에 사용된다.[23] 오그바디보 지역 정부 지역의 오로캄에서는 에누마비아 온천이 발견된다. 에프와-이빌라, 안디-이빌라, 우체늄-이빌라, 오코치-우오쿠우, 이라치-우오쿠우, 에테-우다-우오쿠우, 오데파-우오쿠우, 이그베기-이피누-우오쿠우, 에데-이빌라-우오쿠우, 오후마-우오쿠우(오주)에는 깨끗한 물이 솟는 샘이 있다. 깊은 계곡과 가파른 고지대에는 특이하게 키가 큰 나무들이 많이 있지만, 모두 사람이 거주하고 있다.

주의 역사 유적에는 마쿠르디와 카치나-알라 근처의 Gbileve에 있는 로열 나이저 컴퍼니 무역 상점, 하르가와 카치나-알라 지역 정부 지역의 사이에 있는 최초의 네덜란드 선교사들의 무덤, 전설적인 정치인 J. S. 타르카와 과거 세 명의 토르 티브의 무덤(고보코 마을), 그리고 19세기에 티브족이 참바족의 침략을 막기 위해 판 트렌치 요새( 콴데 지역 정부 지역의 투란 지역)가 있다.

우톤콘에는 키 큰 거대한 나무들이 빽빽한 숲이 있는데, 이곳 중앙은 예전에 노예 무역 시장으로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사당과 정기 시장이 있는 곳이다.

10. 교육


  • 아카웨 토르쿨라 공과대학(Akawe Torkula Polytechnic), ATP, 마쿠르디.[24]
  • 베누에주립공과대학(Benue State Polytechnic), 우고보콜로
  • 베누에주립대학교(Benue State University), 마쿠르디
  • 카치나-알라 교육대학(College of Education, Katsina-Ala)[25]
  • 조셉 사르완 타르카 대학교(Joseph Sarwuan Tarka University, JOSTUM), 마쿠르디[26]
  • 엠카르 대학교(University of Mkar)[27]

11. 저명한 인물


  • 아페르 아쿠
  • 조지 아쿠메
  • 제임스 나지
  • 다니엘 아모카치
  • D. 데넨게 두이스트-아크펨
  • 데이비드 마크
  • 로렌스 오노자
  • 기프트 오반
  • 새뮤얼 오톰
  • 쿤레 레미
  • 가브리엘 수스왐
  • 조셉 타르카
  • 이노센트 이디비아 (투페이스(Tuface)로도 알려짐)

참조

[1] 웹사이트 2006 PHC Priority Tables – NATIONAL POPULATION COMMISSION http://population.go[...] 2017-10-10
[2] 웹사이트 Benue State: Subdivision https://www.citypopu[...] 2024-02-05
[3] 웹사이트 State of States 2022 Edition https://yourbudgit.c[...] BudgIT 2022-10-13
[4]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18-09-13
[5] 웹사이트 Benue at 46: Like Winston Churchill, like Samuel Ortom https://www.thecable[...] 2022-02-04
[6] 웹사이트 Historical Background – I am Benue http://www.iambenue.[...] 2022-02-07
[7] 웹사이트 Benue State https://www.nipc.gov[...] 2019-01-07
[8] 웹사이트 Makurdi {{!}} Nigeria https://www.britanni[...] 2019-04-19
[9] 웹사이트 Benue {{!}} Nigeria https://www.britanni[...] 2021-06-15
[10] 웹사이트 Historical Background https://benuestate.g[...] 2017-11-01
[11] 뉴스 Idoma International Carnival gradually revving into cultural hub https://t.guardian.n[...] 2018-01-28
[12] 간행물 National Population Census Statistics https://nigerianstat[...]
[13] 웹사이트 Benue State Local Government Areas – I am Benue http://www.iambenue.[...] 2022-09-05
[14] 웹사이트 Benue, NG Climate Zone, Monthly Weather Averages and Historical Data https://tcktcktck.or[...] 2023-06-30
[15] 웹사이트 Climate Benue: Temperature, climate graph, Climate table for Benue https://en.climate-d[...] 2023-08-26
[16] 웹사이트 Soybeans Producing States in Nigeria https://veggiegrow.n[...] 2023-05-30
[17] 뉴스 New dawn, as Tiv land crowns Professor James Ortese Iorzua Ayatse King https://guardian.ng/[...] 2017-03-05
[18] 웹사이트 Nigeria https://www.ethnolog[...] 2020-01-10
[19] 뉴스 We may share similar culture, but we're not Igbo at all –Jerry Agada https://punchng.com/[...] 2017-08-26
[20] 웹사이트 In Zaki Biam, Nigeria's Largest Mono-Product Market https://folio.ng/in-[...] 2020-06-25
[21] 웹사이트 Benue State History, LGA and Senatorial Districts https://www.aziza.co[...] 2019-10-08
[22] 웹사이트 Benue State - NigRadio https://nigradio.com[...] 2024-07-11
[23] 웹사이트 Culture & Tourism https://nigeriaembas[...] 2022-02-08
[24] 뉴스 Benue govt converts institutions to Polytechnic https://tribuneonlin[...] 2020-01-20
[25] 웹사이트 College of Education Katsina-Ala Archives https://guardian.ng/[...] 2023-03-16
[26] 웹사이트 Federal University of Agriculture https://www.radionig[...]
[27] 웹사이트 Top Universities in Benue {{!}} 2018 Nigeria University Ranking https://www.4icu.org[...] 2018-07-03
[28] 뉴스 遊牧民と農家が衝突、72人死亡 https://www.cnn.co.j[...] CNN 2018-0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