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란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란다는 건물 외부에 덧붙여 만들어진 지붕이 있는 공간으로, 인도에서 유래된 건축 용어이다. 한국에서는 툇마루와 유사한 기능을 하였으며, 현대에는 아파트 등에 설치되어 휴식, 여가, 비상시 탈출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베란다는 지붕의 유무에 따라 발코니, 테라스, 포치, 선룸 등으로 구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조공학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철근 콘크리트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콘크리트에 미리 압축 응력을 가하여 인장 응력을 상쇄하거나 감소시킨 콘크리트 구조이며, 고강도 강재와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교량, 건축물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 구조공학 - 모노코크
모노코크는 외부 껍데기가 주요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로, 넓은 내부 공간과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여 항공기, 자동차, 철도 차량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었으나, 현재는 세미 모노코크 구조나 특수 목적 차량에 주로 사용된다. - 건축의장 - 계단
계단은 층간 이동을 위한 구조물로, 다양한 형태와 재료로 만들어지며 디딤판, 챌면, 난간 등으로 구성되고, 건축적 실용성과 더불어 현대에는 유니버설 디자인과 안전이 중요하며 예술적 상징으로도 활용된다. - 건축의장 - 장미창
장미창은 로마 건축의 오쿨루스에서 유래된 원형 창으로, 초기 기독교 건축에서 시작하여 고딕 시대에 이르러 크고 화려하게 발전했으며,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베란다 | |
---|---|
개요 | |
유형 | 지붕이 있는, 야외 복도 또는 현관 |
영어 | Veranda(verandah) |
어원 | |
어원 | 힌디어의 'varanda'에서 유래 |
유래 언어 | 산스크리트어의 'varanda' 또는 'varandah' |
건축학적 특징 | |
정의 | 건물 또는 구조체의 측면을 따라 뻗어 있는 지붕이 덮인 외부 통로 |
특징 | 일반적으로 집 앞이나 옆으로 뻗어 있으며, 지붕과 난간이 있을 수 있다. |
용도 | 휴식 공간 제공 햇빛과 비로부터 보호 |
위치 | 열대 및 아열대 지역의 주택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다양한 건축 양식에서 나타난다. |
한국어 '베란다' 용어 관련 | |
한국어 사용 | 한국에서는 발코니와 유사한 의미로 혼용되기도 한다. |
건축법상 정의 | 건축법상 '발코니'는 건축물의 외부로 돌출된 공간으로, 휴식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베란다'는 위층이 아래층보다 좁게 지어진 경우 생기는 옥상 공간을 의미한다. |
지역별 특징 | |
오스트레일리아 | 'verandah'로 표기하는 경향이 있다. |
2. 역사
옥스포드 영어 사전에 따르면, 베란다의 어원은 인도의 토착 언어이다. 그러나 포르투갈이나 스페인의 고어인 'Varanda'에서 변형되었다는 설도 있다. 영국과 프랑스에서 사용되는 '베란다'는 영국인들이 인도(힌디어: बरामदाhi)에서 가져온 것으로, 정확한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다. 학자들은 이 단어가 인도에서 유래되었거나, 포르투갈령 인도에서 차용되어 영국과 프랑스 식민지 개척자들에게 전파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6] 고대 및 중세 인도의 바스투 샤스트라와 같은 주거 건축 관련 텍스트에서는 베란다를 ''"알린다"''라는 단어로 사용한다.[7] 베란다를 나타내는 영어 등의 외국어 표기 "veranda(h)"는 원래 포르투갈어의 발코니를 나타내는 "varandapt"이며, 이것이 인도로 건너가 힌디어의 "बरामदाhi"가 되었고, 거기에서 세계로 퍼져나갔다고 전해진다.[19]
2. 1. 인도
인도는 대부분 따뜻하고 열대 기후인 국가이므로 현관은 자연스러운 아이디어였다. 구자라트에서는 현관 공간을 '오탈라'라고 부르고, 힌두 벨트에서는 '알린다'라고 부른다. 이 구조물은 더위를 식히는 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이웃끼리 대화하고 아이들이 놀 수 있는 사교의 중심지나, 의례와 특정 신을 숭배하는 종교의 중심지로도 사용된다.[10]남인도에서는 '티나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며, 이러한 구조물은 매우 흔하다. 이 공간은 사회적인 목적 외에도 종교적인 역할을 하며, 많은 사람들의 일상생활의 중심지이다.[11] 콘칸의 건축은 자연의 영향을 받았다. 지속 가능하고 비용 효율적이다. 콘칸 전통 건축에서 베란다는 '오티'라고 불리며, 영구적인 지붕으로 덮인 낮은 좌석이 있는 반개방형 공간이다. 폐쇄된 환경으로 이어지는 과도기적 공간 역할을 한다. 때로는 측면이 나무 잘리 벽으로 덮여 있다. 오후와 저녁 시간에 가족 구성원에게 임시 휴식 공간을 제공한다.
2. 2. 기타 국가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1850년대 식민지 시대 건물에서 베란다가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빅토리아 시대 필리그리 건축 양식은 단철, 주철 "레이스" 또는 목재 세공으로 된 장식 스크린이 특징이며, 주거용 및 상업용 건물에 두루 사용되었다. 퀸즐랜더는 퀸즐랜드의 주거 건축 양식으로 넓은 베란다가 특징이다.브라질의 반데이란치 양식 주택은 일반적으로 해돋이를 향하도록 배치된 베란다를 갖추고 있다.[8]
홍콩에서는 19세기 이후 공간 부족으로 인해 퉁라우(상점 겸 주택)의 윗층에 베란다가 자주 나타났다.

일본에서는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을 중심으로 에도 시대부터 간기즈쿠리(雁木造) (:ja:雁木造)라고 불리는 건축물이 발달했다. 옛 다카다시의 간기 총 길이는 16km가 넘는다.[12]
폴란드에서 "weranda"라는 단어는 벽이 없거나 유리 벽으로 된, 난방이 되지 않는 지붕이 있는 집의 부속 건물을 의미한다.
스리랑카에서 베란다는 전통적인 토착 건축에서 유래되었으며, 싱할라어로는 "필라"(Pila)로 알려져 있다.[13][14][15][16]
3. 건축 양식
베란다는 다양한 건축 양식에서 나타나며, 지역과 문화에 따라 독특한 특징을 가진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빅토리아 시대 필리그리 건축 양식이 주거용 및 상업용 건물에 사용되었는데, 베란다에 단철, 주철 "레이스" 또는 목재 세공으로 된 장식 스크린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1] 퀸즐랜더는 퀸즐랜드의 주거 건축 양식으로, 넓은 베란다가 특징이다.[1]
브라질의 반데이란치 양식 주택은 일반적으로 해돋이를 향하도록 배치된 베란다를 갖추고 있다.[8]
일본에서는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을 중심으로 에도 시대부터 간기즈쿠리(雁木造)라고 불리는 건축물이 발달했다. 아오모리현과 니가타현에서 주로 볼 수 있으며, 옛 다카다시의 간기즈쿠리 총 길이는 16km가 넘는다.[12]
중국 남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베란다는 기루라고 불리며, 광둥성의 차오저우 사람들은 '''우지아오치'''(五脚砌), 민난어로는 '''팅자이카'''(亭仔跤)·'''팅자이쟈오'''(亭仔腳), 커자어로는 '''뎬팅샤'''(店亭下)라고 부른다. 1층은 보행자용 도로를 겸하고, 2층 이상은 베란다 부분 위에까지 튀어나온 "기(騎)"의 형태를 하고 있다.
3. 1. 오스트레일리아의 필리그리 건축

오스트레일리아의 빅토리아 시대 필리그리 건축 양식은 주거용 (특히 오스트레일리아의 테라스 하우스와 뉴질랜드) 및 상업용 건물 (특히 호텔)에서 사용되며, 베란다에 단철, 주철 "레이스" 또는 목재 세공으로 된 장식 스크린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1] 퀸즐랜더는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의 주거 건축 양식으로 아열대 기후에 적합하며, 때로는 집 전체를 둘러싸는 넓은 베란다가 특징이다.[1]
3. 2. 브라질의 반데이란치 양식
반데이란치 양식 주택은 일반적으로 해돋이를 향하도록 배치된 베란다를 갖추고 있다.[8]3. 3. 일본의 간기즈쿠리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 특히 아오모리현과 니가타현에서는 에도 시대부터 간기즈쿠리(雁木造) (:ja:雁木造)라고 불리는 건축물이 발달했다. 예를 들어, 옛 다카다시의 간기 총 길이는 16km가 넘는다.[12]
3. 4. 중국의 기루

중국 남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베란다는 '''기루'''라고 불리며, 광둥성의 차오저우 사람들은 '''우지아오치'''(五脚砌), 민난어로는 '''팅자이카'''(亭仔跤)·'''팅자이쟈오'''(亭仔腳), 커자어로는 '''뎬팅샤'''(店亭下)라고 부른다.
1층 부분이 보행자용 도로를 겸하고, 2층 이상은 베란다 부분 위에까지 튀어나온 "기(騎)"의 형태를 하고 있다.
4. 기능
베란다는 주거 공간의 일부로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크게 생활 편의 기능과 비상시 기능으로 나눌 수 있다.
4. 1. 생활 편의 기능
베란다는 빨래 건조, 화분 가꾸기, 물품 보관 등 다양한 생활 편의 기능을 제공하며, 가정용 에어컨 실외기 설치 공간으로도 활용된다. 일본의 집합 주택에서는 세탁기를 놓기 위한 수도꼭지와 배수구를 갖추고, 빨래 건조대를 설치하는 등 세탁 관련 기능이 중시되기도 한다.4. 2. 비상시 기능
베란다는 비상 계단과 연결되어 있거나, 탈출구 및 피난 사다리 등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화재 등의 비상시에 큰 역할을 한다.[20] 맨션이나 아파트 등의 베란다는 각 방마다 규산 칼슘판(케이칼판)이나 플렉시블판(플렉스판) 등으로 구분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화재 등의 비상시에는 이러한 판을 부수고 비상 계단이나 탈출구로 피난할 수 있다.5. 다른 공간과의 차이점
베란다는 지붕이나 차양이 덮여 있는 것이 특징이며, 차양이나 처마가 덮여 있지 않으면 발코니라고 한다. 1층에 설치된 베란다는 테라스라고도 하지만, 차양이 덮여 있으면 원래는 베란다이다. 현관 앞의 베란다는 포치라고 한다. 방으로 둘러싸인 베란다는 선룸이라고 칭해지는 경우도 있다.[18]
참조
[1]
서적
What Style is it?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2]
웹사이트
Glossary of Anglo-Indian words - Veranda
http://dsalsrv02.uch[...]
University of Chicago
2015-07-08
[3]
서적
A Visual Dictionary of Architecture
John Wiley and Sons
[4]
웹사이트
'Guardian and Observer style guide: V | Info | the Guardian'
https://www.theguard[...]
2016-12-18
[5]
웹사이트
Macquarie Dictionary
https://www.macquari[...]
[6]
서적
Hobson-Jobson: Glossary of Colloquial Anglo-Indian Words And Phras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10-24
[7]
서적
Indian Architectural Theory and Practice: Contemporary Uses of Vastu Vidya
Routledge
2013-01-11
[8]
서적
A History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in the America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9-30
[9]
서적
Indian Architectural Theory and Practice: Contemporary Uses of Vastu Vidya
Routledge
2013-01-11
[10]
웹사이트
Traditional Pol Houses of Ahmedabad: An Overview
https://www.research[...]
[11]
뉴스
Why we need the thinnai
https://www.thehindu[...]
2022-04-22
[12]
웹사이트
Gangi Dori (covered walkways)
http://joetsukankona[...]
[13]
간행물
A Review of Ancient Built Environment Property Standards of Sri Lanka
http://dr.lib.sjp.ac[...]
2021
[14]
서적
Proceedings Article
2020
[15]
간행물
Some design aspects of sustainable post-disaster housing
2014-01-01
[16]
뉴스
Sovereignty, Space and Civil War in Sri Lanka: Porous Na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10-25
[17]
서적
The Vastuvidya Sastra ascribed to Manjusri (Sanskrit Text with English Translation)
Sri Satguru Publications
1989
[18]
웹사이트
サンルーム
2021-05-13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