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타 신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스타 신전은 로마의 여신 베스타에게 바쳐진 고대 로마의 신전으로, 원형의 형태를 가지며 신성한 불꽃을 숭배했다. 로마 포럼에 위치했으며, 로마 건국 초기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신전은 법적 유언장, 로마 원로원 문서, 팔라디움을 보관했으며, 로마의 번영과 멸망에 밀접하게 연결된 신성한 불을 관리하는 베스타 여사제에 의해 운영되었다. 베스타 신전은 여러 차례 재건되었으며, 4세기에 기독교의 부상과 함께 폐쇄되었다. 현재는 일부가 복원되어 로마 포럼에서 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룸 로마눔의 신전 - 안토니누스와 파우스티나 신전
안토니누스와 파우스티나 신전은 로마 포룸에 위치한 고대 로마 신전으로, 파우스티나 황후를 기리기 위해 건설되었으며, 안토니누스 피우스 황제 사후에는 그를 기리는 신전으로 사용되다가 7세기에 성당으로 개조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 헤스티아 - 베스타
베스타는 로마 신화에서 화로, 가정, 순결을 상징하는 여신으로, 다른 신들의 싸움에 관여하지 않으며, 국가의 공공 화로를 관리하는 베스타 여사제를 통해 숭배되었다. - 베스타 - 4 베스타
1807년 하인리히 올베르스가 발견하고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가 명명한 4 베스타는 소행성대에서 네 번째로 발견된 소행성이자 분화된 내부 구조와 레아실비아 크레이터를 포함한 다양한 지형적 특징을 가진 두 번째로 무거운 천체이며, 2011년 탐사선 돈의 관측을 통해 지질학적 역사와 구성 성분에 대한 정보가 밝혀졌다. - 베스타 - 베스타 신녀
베스타 신녀는 로마 신화의 여신 베스타를 섬기는 여사제로, 국가의 지원을 받으며 신성한 불을 지키고 로마의 안녕을 기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나, 기독교의 부상으로 쇠퇴하여 해산되기까지 엄격한 자격 요건과 헌신적인 봉사를 통해 특권과 지위를 누렸다.
베스타 신전 | |
---|---|
개요 | |
![]() | |
위치 | Regio VIII Forum Romanum |
![]() | |
유형 | 로마 왕정 시대 신전 |
상세 정보 | |
건축 시기 | 알려지지 않음 (고대 왕정 시대) |
건축가 | 알려지지 않음 |
2. 역사
로마 포룸에 위치한 베스타 신전은 로마의 초기 건축물 중 하나였지만, 현재 남아있는 건물은 이후에 재건된 것이다. 신전 중앙에는 신상 대신 신성한 불꽃이 타오르는 화로가 있었다.[14] 베스타 신전은 법적 유언장, 로마 원로원의 문서, 팔라디움 같은 의식 도구들을 보관했다. 특히 트로이에서 아이네이아스가 가져왔다고 전해지는 아테나 (로마의 미네르바) 조각상인 팔라디움은 로마 제국을 지켜주는 특별한 상징으로 여겨졌다.[15] 로마인들은 베스타 신전의 신성한 불이 로마의 번영과 멸망에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믿었으며, 이 불이 꺼지면 제국에 큰 재앙이 닥칠 것이라고 생각했다.[16] 베스타 신전은 4세기에 로마 제국이 동로마 제국과 서로마 제국으로 분열되면서 문을 닫았다.
2. 1. 기원

베스타에게 바쳐진 모든 신전들은 원형이었고, 생명의 원천으로 여겼던 베스타의 불과 태양을 상징하기 위해 동쪽으로 난 입구가 있었다. 베스타 신전은 기원전 7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고대 신앙에서부터 내려온 것이다. 누마 폼필리우스는 이 신전이 로마가 처음 세워졌을 때부터, 즉 로마 건국 초기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했다.[13] 베스타 신전 주변에는 사제와 여사제들을 위한 묘지가 있었다.[13]
베스타 신전은 로마 왕국의 두 번째 왕인 누마 폼필리우스에 의해 처음으로 지어졌다. 그는 또한 최초의 레기아 ("왕의 집")와 베스타의 처녀들의 집을 지었으며, 베스타의 처녀라는 사제단을 창설했다. 처음에는 단 두 명의 베스타 여사제가 있었지만, 공화정 말기에는 여섯 명이 되었다.[3]
2. 2. 베스타 여사제
누마 폼필리우스는 로마 왕국의 두 번째 왕으로, 베스타 신전을 처음으로 지었다. 그는 최초의 레기아 ("왕의 집")와 베스타의 처녀들의 집을 짓고, 베스타의 처녀 사제단을 창설했다. 처음에는 베스타 여사제가 두 명뿐이었지만, 공화정 말기에는 여섯 명이 되었다.[3]베스타 여사제는 6세에서 10세 사이의 자유민 또는 귀족 가문 출신으로 선발되어, 베스타 신전을 관리했다.[5] 이들은 출생 가문과의 법적 관계를 포기하고 최고 신관(''pontifex maximus'')의 권한 아래 들어갔다. 베스타 여사제는 30년 임기 동안 순결 서약을 했는데, 이는 다른 로마 여성들과 구별되는 점이었다. 로마에서는 결혼 전 정조는 당연했지만, 장기간 독신 생활은 일반적이지 않았다. 여성은 결혼하여 남편의 후계자를 낳는 것이 일반적이었기 때문이다.[6] 여사제가 순결 서약을 어기면 로마와 신들의 관계가 훼손되어 역병, 사회 붕괴, 군사적 패배와 같은 재앙을 초래한다고 믿었다.[6]
베스타 여사제가 사소한 의무를 위반하면 채찍질을 당했다. 순결 서약을 어긴 경우에는 도시 경계 내 지하 감옥에 생매장되어 약간의 음식과 물만 제공받고 죽게 되었다.[5] 재앙이 닥치면, 베스타 여사제는 태도, 도덕성, 행동의 문제로 서약을 어기고 재앙을 초래했다는 혐의를 받기도 했다. 기원전 114년, 기병 계급 출신 헬비아가 말을 타다 번개에 맞아 죽자, 베스타 여사제들의 부정(inchastity) 혐의에 대한 조사 후 가장 미약한 증거만으로 세 명이 사형 선고를 받았다.[6][7] 베스타 여사제는 거의 초자연적인 도덕적 우월성을 보여야 했지만, 실패와 처벌은 드물었다. 지위에서 오는 존경과 사회적 특권, 넉넉한 연금, 로마 결혼 의무에서의 자유는 많은 이들이 임기 종료 후에도 사제직에 남도록 장려했다.[8][9]
2. 3. 건축
베스타에게 바쳐진 모든 신전들은 원형이었고, 생명의 원천으로 여겼던 베스타의 불과 태양을 상징하기 위해 동쪽으로 난 입구가 있었다. 베스타 신전은 기원전 7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고대 신앙에서부터 내려온 것이다. 누마 폼필리우스는 이 신전이 로마가 처음 세워졌을 때부터, 즉 로마 건국 초기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했다. 베스타 신전 주변에는 사제와 여사제들을 위한 묘지가 있었다.[13]베스타 신전은 다른 많은 신전들과는 달리 직사각형이 아닌 둥근 형태의 독특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었다. 베스타 신전의 둥근 모양은 원시적인 둥근 오두막을 기반으로 했다.[3] 일부 연구자들은 베스타 신전의 둥근 평면이 땅을 상징하고 돔 형태의 지붕이 하늘을 상징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한다.[10] 모든 베스타 신전은 둥근 형태였으며, 베스타의 불과 생명의 근원인 태양과의 연결을 강화하기 위해 동쪽을 향한 입구를 가지고 있었다. 베스타 신전은 기원전 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고대 종교 활동의 장소를 나타낸다.[3]
고고학자들은 베스타 신전이 둥근 토대 위에 세워졌다는 것을 발견했다. 신전 외부를 둘러싸고 20개의 세로 홈이 있는 기둥이 있었다. 각 기둥의 직경은 0.52미터였으며, 기둥 밑 부분의 둘레는 1.6미터였다. 기둥 위에는 코린트 양식의 머리 부분이 있었다. 신전의 반지름은 약 6.19미터였다. 이는 아치트레이브의 바깥 선에서 신전의 중앙까지 측정한 것이다. 내부 벽은 두께가 0.60미터이고 신전 내부의 직경은 8.6미터이다. 신전은 높은 플랫폼 위에 있었고 넓은 계단이 입구까지 이어졌다.[2]
2. 4. 위치
베스타 신전은 로마 포룸에서 가장 초기에 세워진 건축물 중 하나였지만, 최종 형태는 이후의 재건축을 통해 완성되었다.[10] 원래의 베스타 신전은 포룸의 동쪽 끝, 베스타 여사제의 집과 레기아 근처에 위치해 있었다. 이 건물들 너머에는 위로 뻗어 올라가는 비아 사크라(성스러운 길)가 있었다.[11] 이 건물들은 서기 64년 로마 대화재로 파괴되었으며, 신전은 트라야누스 황제에 의해 수년에 걸쳐 재건되었다.[2]2. 5. 재건 역사
베스타 신전은 여러 번 파괴되었고, 재건되었다. 첫 번째 파괴는 기원전 390년에 침입해온 갈리아인들에 의한 것이었다.[17] 로마 역사가 오비디우스에 따르면, 기원전 241년에 베스타 신전에서 발생한 큰 불로 인해 신전이 전소되었다고 한다. 그 당시 폰티펙스 막시무스였던 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는 팔라디움을 지켜냈지만, 그 과정에서 사고를 당해 시력을 잃었다고 한다.[18] 기원전 210년과 기원전 1세기 초에도 화재가 발생했으나, 신전에 큰 피해는 없었다고 한다. 신전은 아우구스투스와 네로 황제 시기에 개축되고 재건되었다. 마지막으로 서기 191년에 불타,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 통치 시기에 재건됐다.[19]베스타 신전은 르네상스 시기까지 꽤나 온전한 모습으로 남아있었다. 그러나 1549년 완전히 해체되었고, 신전의 대리석은 교회와 교황의 궁전을 짓는데 사용되었다.[20] 오늘날 우리가 볼 수 있는 부분은 베니토 무솔리니가 독재 정치로 이탈리아를 통치하던 1930년대에 재건된 것이다.[21]

3. 현대의 베스타 신전
베스타 신전은 르네상스 시대까지 꽤나 온전한 모습으로 남아있었다. 그러나 1549년 완전히 해체되었고, 신전의 대리석은 교회와 교황의 궁전을 짓는 데 사용되었다.[20] 1930년대 베니토 무솔리니의 독재 정치 시기에 오늘날 볼 수 있는 베스타 신전의 일부가 재건되었다.[21]
3. 1. 현대의 재건
베스타 신전은 르네상스 시기까지 꽤나 온전한 모습으로 남아있었다. 그러나 1549년 완전히 해체되었고, 신전의 대리석은 교회와 교황의 궁전을 짓는 데 사용되었다.[20] 베니토 무솔리니가 이탈리아를 독재 정치로 통치하던 1930년대에 오늘날 볼 수 있는 베스타 신전의 일부가 재건되었다.[21]1930-1931년에 알폰소 바르톨리가 베스타 신전의 2칸 반을 재건했으며, 이는 오늘날에도 포럼에서 볼 수 있다.[3]

3. 2. 쇠퇴
기원전 390년, 침입해온 갈리아인들에 의해 베스타 신전이 처음으로 파괴되었다.[17] 로마 역사가 오비디우스에 따르면, 기원전 241년 베스타 신전에서 발생한 큰 불로 인해 신전이 전소되었다고 한다. 그 당시 폰티펙스 막시무스였던 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라는 인물이 팔라디움을 지켜냈지만, 그 과정에서 사고를 당해 시력을 잃었다고 한다.[18] 화재 사고는 기원전 210년과 기원전 1세기 초에 또 다시 발생했다. 다만 신전에 큰 피해는 없었다고 한다. 신전은 아우구스투스와 네로 황제 시기에 개축되고 재건되었다. 191년에 마지막으로 불타,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가 통치하던 시기에 재건됐다.[19]394년, 테오도시우스 1세에 의해 성스러운 불꽃이 마침내 꺼졌다. 이는 제국 내 후기 로마 제국의 이교도 박해 기간으로, 기독교의 부상에 따른 조치였다.[12]
베스타 신전은 르네상스 시기까지 꽤나 온전한 모습으로 남아있었다. 그러나 1549년 완전히 해체되었고, 신전의 대리석들은 교회와 교황의 궁전을 짓는데 사용되었다.[20] 오늘날 우리가 볼 수 있는 부분은 베니토 무솔리니가 독재 정치로 이탈리아를 통치하던 1930년대에 재건된 것이다.[21]
참조
[1]
서적
The Journal of Philology. Volume 14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07-05
[2]
서적
Vesta : a study on the origin of a goddess and her cultus
Bell & Howell
1999
[3]
서적
The Roman Forum: A Reconstruction and Architectural Guid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4]
학술지
Rome's Vestal Virgins
Routledge
2014-05-13
[5]
학술지
New Evidence for the Republican Aedes Vestae
1973-01
[6]
서적
A Place at the Altar: Priestesses in Republican Rom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6
[7]
서적
War, Vestal Virgins, and Live Burials in the Roman Republic
Pen & Sword
2020
[8]
서적
Portraits of the Vestal Virgins, Priestesses of Ancient Rom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5
[9]
웹사이트
Life of Numa
http://penelope.uchi[...]
1914
[10]
학술지
XV.—The Temple and Atrium of Vesta and the Regia
https://zenodo.org/r[...]
1886
[11]
학술지
Rome: an Oxford archaeological guide (2nd edn). By Amanda Claridge, with contributions by Judith Toms and Tony Cubberley.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ISBN 9780199546831.
2011-08-17
[12]
서적
The Ruins and Excavations of Ancient Rom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Library
2021-09-07
[13]
서적
Rome in the Nineteenth Century
1822
[14]
서적
(페이지 295)
1892
[15]
서적
(페이지 590)
2011
[16]
서적
(페이지 6)
2006
[17]
서적
(페이지 395)
1886
[18]
서적
Fas.
[19]
서적
(페이지 228)
2005
[20]
서적
(페이지 317)
2015
[21]
서적
(페이지 587)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