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덕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덕국은 668년 고구려 멸망 후 신라가 고구려 유민을 통합하고 당나라를 견제하기 위해 건국한 국가이다. 674년 고구려 유민 출신인 안승을 왕으로 삼아 익산에 건국되었으며, 고구려의 국호를 사용하고 일본에 사신을 파견하는 등 자치적인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안승이 신라에 귀속되고, 683년 대문 등의 반란이 진압되면서 멸망했다. 멸망 후 고구려 유민들은 남원경으로 이주하고, 거문고가 한반도 남부에 전파되는 등 문화적 영향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구려 부흥운동 - 천문령 전투
천문령 전투는 698년 대조영이 이끄는 고구려 유민 군대가 당나라 군대를 상대로 승리한 전투이며, 발해 건국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 고구려 부흥운동 - 소고구려
소고구려는 699년 고구려 유민 고덕무가 고구려 부흥을 목표로 요동반도에 건국한 나라로, 고덕무는 당으로부터 좌현왕, 요동군 태수에 임명되었으나 당에 반기를 들었으며, 820년경 발해에 흡수되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역사 - 전라북도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일제강점기)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 제국의 지배 아래 놓인 전라북도 지역으로, 조선인이 다수를 차지하고 일본인이 소수를 이루었으며, 부, 군, 면으로 구성된 행정 구역과 전주지방법원, 전주형무소 등의 사법 및 치안 기관, 그리고 전주지방전매국, 군산세무서 등의 경제 기관이 설치되어 농업, 광업, 제조업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 활동과 철도, 도로, 항만을 중심으로 교통이 발달하고 일본어 신문과 라디오 방송국이 운영되었으며, 황민화 정책의 일환으로 전주신사를 비롯한 여러 신사가 설치되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역사 - 완산주
완산주는 신라 신문왕 때 설치된 구주 중 하나로, 후백제 건국 시 중심지가 되었으며, 현재의 전북특별자치도와 영역이 대체로 일치한다. - 신라의 역사 - 통일신라
통일신라는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668년부터 고려에 병합된 935년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며 왕권 강화와 불교 문화 번성, 해상 무역 장악 등 전성기를 누렸으나, 9세기 이후 쇠퇴하여 후삼국 시대를 거쳐 멸망한 시대를 말한다. - 신라의 역사 - 신라의 삼국통일
신라의 삼국 통일은 7세기 신라가 당나라와의 협력으로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한반도 중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통일 국가를 이룬 사건이다.
보덕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현지 이름 | 보덕국/고려 |
다른 표기 | 報德國/高麗 |
존속 기간 시작 | 674년 |
존속 기간 끝 | 684년 |
지위 | 신라의 제후국 |
수도 | 금마저(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
공용어 | 고구려어 |
종교 | 불교, 무속신앙 |
정치 체제 | 군주제 |
민족 | 고구려인 말갈족 백제인 |
어림 인구수 | 4천호(추산 2만명)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정치 지도자 | |
왕 (674년 ~ 683년) | 안승 |
태대형 (680년 ~ 683년) | 고연무 |
역사적 사건 | |
사건 | 보덕왕 책봉 나당 전쟁 참전 신라 왕족과 혼사 대문의 난 견고려사 파견 남원경 설치 |
사건 날짜 | 674년 679년 680년 683년 684년 685년 |
이전 및 이후 | |
이전 | 고구려 백제 |
이후 | 통일신라 |
![]() | |
![]() | |
![]() |
2. 역사
668년 고구려가 신라와 당나라의 연합군에게 멸망한 후, 안승은 사야도(史冶島)에 머무르고 있었다. 670년 검모잠이 안승을 한성으로 맞아들여 왕으로 추대하고 고구려 부흥군을 일으켰다.[7] 고구려 부흥군은 신라에 복속할 것을 약속하고 도움을 청했고, 문무왕은 그들을 금마저(金馬渚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에 머물도록 했다. 그러나 당군의 압박과 내분으로 안승이 검모잠을 죽이고 신라에 투항했다.[8]
674년 신라 문무왕은 안승에게 금마저를 하사하고 보덕국왕(報德國王)으로 책봉하였다. 이는 신라가 고구려 유민을 흡수하고 당나라를 한반도에서 몰아내기 위한 화합 정책의 일환이었다. 같은 해 보덕국은 고려(高麗) 국호를 내세워 일본에 사신을 보냈고, 일본서기에는 신라 김이익(金利益)이 이때 쓰쿠시(築紫)까지 안내해 주었다고 나와있다.[9] 679년 신라군의 휘하에서 나당전쟁에 참전하여 당나라군을 격퇴하였다. 680년 문무왕은 안승과 문무왕의 조카딸과 혼인하도록 하고 보덕국에 금·은으로 만든 그릇과 여러 가지 채색 비단 100단을 주었다. 이에 고연무가 신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감사 교서를 전하였다.[10][11] 683년 6월에는 보덕국에서 일본에 사신을 보냈고, 신라가 이들을 치쿠시까지 호송하였다.
683년 신문왕은 안승에게 소판(蘇判)의 관직을 주고 김씨(金氏) 성을 사성(賜姓)한 뒤 집과 토지를 하사하여[12] 신라 중앙 귀족으로 만들었다. 이러한 신라의 조치에 불만을 품은 안승의 친족이자 보덕국의 장수인 대문이 반란을 기도하다가 처형되자 실복이 우두머리가 되어 반란을 일으켰다.[13] 이때 격렬한 전투가 벌어져 신라 장군들이 전사하는 등 막대한 피해를 입혔으나,[14] 결국 신라에 의해 진압되어 683년 보덕국은 멸망하였다.
2. 1. 망명
668년 고구려가 신라와 당나라의 연합군에게 멸망당한 뒤, 안승은 사야도(史冶島)에 머무르고 있었다. 670년 검모잠이 사야도에 있던 안승을 한성으로 맞아들여 왕으로 추대하고 고구려 부흥군을 일으켰다.[7] 그 후 고구려 부흥군은 소형(小兄) 다식(多式)을 보내 신라에 복속할 것을 약속하고 도움을 청했다. 문무왕은 그들을 금마저(金馬渚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에 머물도록 했다. 그러나 당군의 압박을 받게 되자, 이에 대처하는 방안을 둘러싸고 내분이 일어나 안승이 검모잠을 죽이고 신라에 투항했다.[8]2. 2. 건국
674년 신라 문무왕은 안승에게 금마저(金馬渚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를 하사하고 보덕국왕(報德國王)으로 책봉하였다. 이는 신라가 고구려 유민을 흡수하고 당나라를 한반도에서 몰아내기 위해 편 화합 정책의 하나였다. 같은 해 보덕국은 고려(高麗) 국호를 내세워 위두대형 한자(邯子)와 전부대형 석간(碩干)을 일본에 사신으로 보냈다. 일본서기에는 신라 김이익(金利益)이 이때 쓰쿠시(築紫)까지 안내해 주었다고 나와있다.[9] 679년 신라군의 휘하에서 나당전쟁에 참전하여 당나라군을 격퇴하였다. 680년 문무왕은 보덕국에 금·은으로 만든 그릇과 여러 가지 채색 비단 100단을 주고 문무왕의 조카딸과 혼인하도록 하였다. 이에 화답하여 보덕국의 대장군 태대형(太大兄) 고연무(高延武)가 신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신라 왕족과 보덕국의 혼례를 맞게 해준 것에 대한 감사 교서를 전하였다.[10][11] 683년 6월에는 보덕국에서 하부조유 괘루모절(卦婁毛切)과 대고앙가(大古昻加)를 일본에 사신으로 보냈다. 신라가 대나마(大那末) 김석기(金釋起)를 보내 보덕국의 사신을 치쿠시까지 호송하였다.2. 3. 멸망
683년 신문왕으로부터 안승이 소판(蘇判)의 관직을 받고 김씨(金氏) 성을 사성(賜姓)받은 뒤 집과 토지를 하사받아[12] 보덕국과 격리된 채 신라 중앙 귀족이 되었다. 이러한 신라의 조치에 불만을 품은 안승의 친족이자 보덕국의 장수인 대문이 반란을 기도하다가 처형되자 실복이 우두머리가 되어 반란을 일으켰다.[13] 이때 격렬한 전투가 벌어져 토벌군인 신라 장군 핍실(逼實)·김영윤(金令胤) 등이 전사하는 등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14] 결국 신라에 의해 진압되어 보덕국은 683년 멸망하였다.2. 4. 거문고의 전래
685년 신라 신문왕은 전국 행정 구역을 9주 5소경으로 재편성하였다. 보덕국 멸망 후 고구려 귀족과 유민들은 5소경 중 호남 지역을 관할하는 남원경(전북특별자치도 남원)으로 이주되었다. 귀족은 6두품 신분으로 신라 귀족에 편입되었고, 유민은 신라 중앙군인 벽금서당과 적금서당에 편입되었다. 이 과정에서 고구려 현악기 거문고가 남원 지역을 중심으로 한반도 남부에 전파되었다. 신라 경덕왕 때 옥공영의 아들 옥보고가 남원경 지리산 운상원(국악의 성지)에 들어가 50년 동안 상원곡, 중원곡, 하원곡 등 새로운 거문고 가락 30곡을 지어 널리 전파하였다.[15]3. 정치
보덕국은 형식적으로 신라의 힘을 빌려 세워진 번속국(藩屬國)이었다. 그러나 고구려를 계승하여 고려(高麗) 국호를 사용하고, 외교에서도 일본이 보덕국을 고구려의 후신으로 간주하여 견고려사(遣高麗使)를 보내는 등 높은 자치성을 보였다.
보덕국의 관직 체계는 고구려와 동일한 5부와 관등 체계를 계승하였다. 일본서기에 기록된 보덕국 사신의 관직명은 상부(上部)와 하부(下部), 위두대형(位頭大兄), 전부대형(前部大兄), 조유(助有), 태대형(太大兄) 등 고구려에서 쓰이던 직책들이다.
보덕국의 치소는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금마면 서고도리 50-3에 위치한 익산 토성(보덕성)으로 추정되고 있다. 삼국사기 열전 김영윤 조에 "신라 신문왕 때에 고구려의 남은 적(賊)인 실복(悉伏)이 보덕성(報德城)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왕이 그를 토벌할 것을 명하고 김영윤을 황금서당 보기감으로 삼았다."라는 기록이 남아있다.[16]
4. 사회
보덕국은 신라에 망명한 고구려 왕족과 귀족, 고구려 유민이 주축이 되었으며 지리적으로는 백제 유민들의 근거지였다. 당나라가 고구려 유민들을 포로로 데려가자, 신라는 고구려 유민들을 신라 영토로 이주시키면서 보덕국을 세우고 마한과 연합하게 하였다.
보덕왕(報德王) 안승(安勝)은 고구려의 마지막 왕인 보장왕의 서자(庶子), 또는 외손(신라본기에는 연정토의 아들)이자 횡성 고씨(橫城 高氏) 중시조 고인승의 동복동생이다. 연개소문 가문이 고구려 후기에 실질적으로 왕권을 행사하던 세력이므로 안승이 연정토의 아들이라고 하여도 실제로는 고구려 왕족과 대등하였다.
보덕국이 멸망하고 고구려인들은 5소경 중 호남지역을 관할하는 남원경(南原京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으로 이주되어 고구려 귀족은 6두품의 신분으로 신라 귀족으로 편입되었고 고구려 유민은 신라의 중앙군 벽금서당과 적금서당으로 편입되었다.
5. 역대 군주
참조
[1]
서적
『三国史記』6・新羅本紀・文武王紀十年秋七月条
[2]
서적
『三国史記』7・新羅本紀・文武王紀十四年九月条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
[4]
일본육국사
일본육국사 한국관계기사 > 日本書紀 > 卷第廿七 天命開別天皇 天智天皇 > 高麗 可婁 등의 貢調
http://db.history.go[...]
[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6]
뉴스
옥보고와 남원 운상원 - 거문고 주법 완성한 국악의 성지
http://www.jjan.kr/n[...]
전북일보
[7]
서적
《삼국사기》 권제6 신라본기 제6 문무왕 10년(670)
[8]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안승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10]
서적
《삼국사기》 권제7 신라본기 제7 문무왕 20년(680)
[1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12]
서적
《삼국사기》 권제8 신라본기 제8 신문왕 3년(683)
[1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대문(大文)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1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보덕국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15]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
[16]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