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승은 고구려 부흥 운동을 주도하고 신라에 투항하여 보덕국왕이 된 인물이다. 보장왕의 서자 또는 연정토의 아들로 추정되며, 668년 고구려 멸망 후 검모잠에게 추대되어 고구려 부흥군을 이끌었다. 이후 신라에 투항하여 보덕왕에 봉해졌으며, 신라의 나당전쟁에 참전하여 당군을 격퇴하는 데 기여했다. 683년 신문왕으로부터 소판 관직을 받고 김씨 성을 사성받아 신라 귀족으로 편입되었으며, 이후의 행적은 자세히 전해지지 않는다. 안승은 고구려 유민의 신라 정착에 기여하고, 신라가 고구려 문화를 흡수하는 데 영향을 미쳤으며, 드라마 《대조영》 등에서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잡찬 - 김서현
    김서현은 가락국 구형왕의 손자이자 신라 각간을 지낸 인물로, 김유신의 아버지이며, 각간, 소판, 대량주도독 등을 역임하며 군사적으로 공헌했고, 그의 딸 문명왕후는 태종 무열왕과 혼인했다.
  • 고구려 부흥운동가 - 보장왕
    보장왕은 연개소문의 난으로 즉위하여 연개소문 사후 권력 다툼으로 혼란을 겪다 고구려 멸망 후 부흥을 시도하다 유배되어 사망했다.
  • 고구려 부흥운동가 - 검모잠
    검모잠은 7세기 후반 고구려 멸망 후 부흥운동을 주도하며 안승을 왕으로 추대했으나 살해당한 인물로, 여러 드라마에서 묘사되었다.
안승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래 이름안승
안승(安勝)
다른 이름안순(安舜)
즉위보덕왕(報德王)
작위보덕국의 제1대 국왕
재위 기간674년~683년
출생일미상
출생지미상
사망일미상
사망지미상
왕비미상
전임자초임
후임자미상
매장지미상
묘호미상
시호미상
종교미상
국적고구려
보덕국
신라
가문미상
연호미상

2. 생애

안승의 출생 연도, 출신, 성씨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삼국사기에는 보장왕의 서자[6] 또는 연정토의 아들로, 자치통감에는 보장왕의 외손으로 기록되어 있다.[7] 이 기록들에 따르면 안승의 성은 고씨 또는 연씨가 되며, 연개소문의 조카가 될 수도 있다. 안승의 어린 시절과 고구려에서의 행적은 기록에 남아있지 않다.

668년 고구려가 나·당 연합군에게 멸망한 후, 안승은 사야도(史冶島)

史冶島|사야도중국어에 머무르고 있었다.[8] 670년 검모잠이 안승을 한성으로 데려와 왕으로 추대하고 고구려 부흥운동을 일으켰다. 이들은 신라에 도움을 요청했고, 문무왕은 이들을 금마저(金馬渚)

金馬渚|금마저중국어에 머물게 했다.[9][10] 그러나 당나라 군대의 압박에 대한 대처 방안을 두고 내분이 일어나, 안승은 검모잠을 죽이고 신라에 투항했다.[11]

670년, 신라 문무왕은 안승을 고구려 왕으로 임명했다.[2] 674년에는 안승의 집단을 금마저(전라북도 익산시)에 안치시키고 보덕왕으로 봉했다.[12] 680년에는 문무왕의 조카딸과 혼인시키고 금과 은으로 만든 그릇, 여러 가지 채색 비단 100단 등을 하사했다.[13]

683년 (신문왕 3년), 신문왕은 안승에게 소판(蘇判) 관직과 김씨 성을 내리고 집과 토지를 주어[14] 보덕국에서 격리시키고 신라 중앙 귀족으로 편입시켰다.[11] 같은 해 안승이 신라 귀족으로 편입된 것에 불만을 품은 대문 등이 반란을 일으켰으나 신라군에 진압되었다. 이후 안승의 삶은 자세히 전해지지 않으며, 사망 연도와 묘지도 알 수 없다.

2. 1. 출신 배경과 초기 생애

안승의 출생 연도와 출신, 성씨는 알려져 있지 않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에는 보장왕의 서자(庶子)로, 신라본기에는 보장왕의 서자[6] 또는 연정토의 아들로 기록되어 있다. 《자치통감》에는 보장왕의 외손으로 기록되어 있다.[7] 고구려본기와 자치통감을 따르면 안승의 성은 고씨가 되고, 신라본기를 따르면 연씨로서 연개소문의 조카가 된다. 안승의 유년 시절과 고구려에서의 행적, 관직 경력은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에 기록되어 있지 않아 알 수 없다.

고안승은 보장왕의 조카이자 고구려 멸망 이전의 왕족이었다. 일부 중국 사료에는 고안승이 고구려의 마지막 왕인 보장왕의 손자로 기록되어 있기도 하다.

2. 2. 고구려 부흥운동

668년, 고구려신라당나라의 연합군에게 멸망당한 뒤, 안승은 사야도(史冶島)

史冶島|사야도중국어에 머무르고 있었다.[8]

670년 검모잠이 사야도에 있던 안승을 한성으로 맞아들여 왕으로 추대하고 고구려 부흥군을 일으켰다. 그 후 고구려 부흥군은 소형(小兄) 다식(多式)을 보내 신라에 복속할 것을 약속하고 도움을 청했다. 문무왕은 그들을 금마저(金馬渚)

金馬渚|금마저중국어에 머물도록 했다.[9][10] 그러나 당군의 압박을 받게 되자, 이에 대처하는 방안을 둘러싸고 내분이 일어나 안승이 검모잠을 죽이고 신라에 투항했다.[11]

안승은 수년 동안 인질로 신라에 억류되어 있었다. 고구려 멸망 소식을 듣고 생존자를 찾아 고구려를 부활시키기 위한 허락을 구했다. 안승은 도주 중이던 고구려 고위 관리 검모잠을 만났고, 그들은 함께 고구려 왕국을 부활시키기 위해 동맹을 맺었다. 안승은 현재 북한의 황해남도에 위치한 한성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고구려의 왕으로 즉위했다. 곧 신라에 사신을 파견하여 고구려 왕국의 부활을 위한 영토 반환과 신라와의 방어 동맹을 요청했다.

당나라가 옛 백제고구려 영토에 대한 지배권을 행사하려 하자, 신라당나라와의 관계를 끊고 안승을 왕으로 하는 부활한 고구려와 동맹을 맺기로 합의했다. 670년 8월, 신라 문무왕은 안승에게 왕명을 내려 고구려 왕으로 임명했다.[2]

문무왕은 안승에게 보덕국왕(報德國王)

報德國王|보덕국왕중국어 칭호를 하사하고, 현재 부여군의 옛 백제 수도 인근인 익산시 근처의 작은 영토를 주어, 당나라가 그 지역을 지배하려는 시도를 막는 역할을 하도록 했다.

2. 3. 신라 투항과 보덕국왕

670년 문무왕신라에 투항한 안승을 고구려 왕으로 봉했다.[2] 674년(문무왕 14년) 안승의 집단을 금마저(전라북도 익산시) 일대에 안치시키고, 보덕왕에 봉했다.[12]

680년 (문무왕 20년) 3월 금·은으로 만든 그릇과 여러 가지 채색 비단 100단을 보덕왕에게 내리고 문무왕의 조카딸을 아내로 삼게 하였다.[13]

683년 (신문왕 3년) 10월 신문왕으로부터 소판(蘇判)의 관직을 받고 김씨(金氏) 성을 하사받은 뒤 집, 토지를 하사받아[14] 보덕국과 격리된 채 신라 중앙 귀족이 되었다.[11]

2. 4. 신라 귀족 편입과 최후

674년(문무왕 14년) 신라는 안승의 집단을 금마저(전라북도 익산시) 일대에 안치시키고, 안승을 보덕왕(報德王)에 봉했다.[12] 670년 문무왕이 신라에 투항한 안승을 고구려왕으로 봉했다가, 다시 보덕왕으로 봉한 것이다.

679년 안승은 신라군의 선봉에서 나당전쟁에 참전하여 당군을 격퇴하였다. 680년(문무왕 20년) 3월 금·은으로 만든 그릇과 여러 가지 채색 비단 100단을 보덕왕에게 내리고 문무왕의 조카딸을 아내로 삼게 하였다.[13]

683년(신문왕 3년) 10월 신문왕은 안승에게 소판(蘇判)의 관직을 주고 김씨(金氏) 성을 하사(下賜)하였으며, 집과 토지를 내려[14] 보덕국과 격리된 채 신라 중앙 귀족이 되었다.[11]

683년 안승이 신라 귀족으로 편입된 데에 불만을 품은 대문(大文) 등의 무리가 금마저에서 반란을 일으켰으나, 신라 관군에 진압되었다. 대문의 반란을 진압한 신라는 금마저에 금마군(郡)을 설치했다.[15] 이후 안승의 자세한 삶은 전해지지 않으며, 사망년도와 묘지 또한 미상이다.

3. 가계

관계이름비고
부인경주 김씨문무왕의 조카딸
아들김원량(金元良)
장인태종무열왕
장모미상
처남문무왕
처남김인문
처남김문왕


4. 평가

안승에 대한 후대의 평가는 사료 부족으로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그가 수많은 고구려 유민들을 신라 땅에 정착시킴으로써 신라고구려 문화와 의식을 흡수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고 평가된다. 안승이 신라의 삼국통일을 도와 큰 공을 세움으로써 고구려 유민들이 신라에 편입되었을 때, 공신급인 6두품의 지위로 확정하게 하여 사실상 신라의 진골, 6두품 세력과 대등한 입장에 서게 한 인물로 평가된다.

이는 몰락한 가야계 진골 출신인 김무력김유신의 성장 과정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5두품으로 격하된 백제계와는 상반된 것으로, 통일신라 200년간 신라 내에서 고구려계의 지위가 6두품 아래로 격하되지 않은 것만으로도 알 수 있다. 이는 안승이 현실적인 외교 감각을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배경으로 형성된 고구려계 신라 귀족은 황해도(패서) 및 개성 지역의 고구려계 유민들과 함께 훗날 왕건이 고구려를 계승하는 고려를 세우는 데 밑거름이 되었다.

5.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Korea: From "Land of the Morning Calm" to States in Conflict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 논문 Samguk Sagi, Book 6, "Annals of King Munmu", year 10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3] 웹사이트 안승 - 두산백과 https://terms.naver.[...]
[4] 웹사이트 안승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s://terms.naver.[...]
[5] 웹사이트 안승 - 문화원형백과 https://terms.naver.[...]
[6] 웹사이트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
[7] 서적 안승 https://terms.naver.[...] 민중서관
[8] 서적 국역 삼국사기 을유문화사
[9] 문서 지금의 전북 익산시
[10] 간행물 삼국사기 권제6 신라본기 제6 문무왕 10년(670)
[11] 웹사이트 안승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12] 웹사이트 보덕국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s://terms.naver.[...]
[13] 간행물 삼국사기 권제7 신라본기 제7 문무왕 20년(680)
[14] 간행물 삼국사기 권제8 신라본기 제8 신문왕 3년(683)
[15] 간행물 삼국사기 권제8 신라본기 제8 신문왕 4년(68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