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눈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눈어는 "인간" 또는 "남자"를 의미하는 언어로, 대만 원주민인 부눈족이 사용한다. 다섯 개의 주요 방언(이스부쿤, 타크바누아즈, 타키바탄, 타키바카, 타키투두)으로 나뉘며, 과거에는 타키풀란 방언도 존재했으나 소멸되었다. 부눈어는 원래 남투현 신의향 일대에서 사용되었으며, 부눈족의 세력 확장에 따라 타이둥현, 가오슝시 등 넓은 지역으로 사용 범위가 확대되었다. 부눈어는 동사가 문두에 오는 언어로, 주어 표지 체계를 가지며, 다양한 접두사와 접미사를 활용하여 동사의 의미를 풍부하게 표현한다. 라틴 문자와 주음부호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고유의 문자를 사용했다는 기록은 없지만, 일제강점기에 농경 의례를 기록하기 위한 역법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 제어 - 아미어
아미어는 대만 원주민인 아미족이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다섯 가지 방언으로 나뉘며 VSO 어순을 따르고, 화련현과 타이둥현 지역에서 주로 사용된다. - 대만 제어 - 파이완어
파이완어는 타이완 원주민인 파이완족의 언어로, 여러 방언으로 나뉘며 음운론적 특징에 차이가 있고,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음소를 잘 보존하여 언어학 연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쿨랄라우 방언 기준으로 23~24개의 자음과 4개의 모음을 가지고, 다양한 접사를 활용하며 VSO형 어순을 갖는 굴절어이다. - 교착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교착어 - 한국어
한국어는 한국과 북한에서 주로 사용되는 한국어족 언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 또는 한국말, 북한에서는 조선어 또는 조선말이라 불리며, 훈민정음으로 표기되는 독자적인 문자 체계, 교착어적 특징, 유연한 어순, 복잡한 존칭 체계를 가진다.
| 부눈어 | |
|---|---|
| 지도 | |
![]() | |
![]() | |
| 기본 정보 | |
| 언어 이름 | 부눈어 |
| 고유어 이름 | Bunun |
| 다른 이름 | 부농어 |
| 사용 국가 | 타이완 |
| 사용 지역 | 타이완 |
| 민족 | 부눈족 |
| 사용자 수 | 38,000명 (2002년) |
| 언어 계통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 하위 분류 | 타이완 제어 파이완어군 |
| 문자 | 로마자 |
| 언어 상태 | 취약 |
| 방언 | |
| 방언 1 | 이스부쿤 |
| 방언 2 | 북중부 (타키투두–타크바누아) |
| 언어 코드 | |
| ISO 639-3 | bnn |
| Glottolog | bunu1267 |
| 기타 | |
| 국가 | (타이완 원주민 지역의 국가어) |
| 기관 | 원주민족위원회 |
| 로마자 표기법 | Bùnóng Yǔ |
2. 명칭
부눈(Bunun)이라는 이름은 문자 그대로 "인간" 또는 "남자"를 의미한다.
부눈어는 이스부쿤(Isbukun), 타크바누아즈(Takbunuaz), 타키바탄(Takivatan), 타키바카(Takibaka), 타키투두(Takituduh)의 다섯 가지 방언으로 나뉜다.[1] 리(Li, 1988)는 이 방언들을 북부, 중부, 그리고 이스부쿤(남부 부눈어로 분류되기도 함)의 세 가지 주요 가지로 나눈다.[1] 여섯 번째 방언인 타키풀란(Takipulan)은 1970년대에 사멸했다. 가장 권위 있는 방언인 이스부쿤은 동시에 가장 다른 방언이기도 하다. 가장 보존적인 방언들은 북부 계통에 속한다.[1]
3. 방언
원부농어는 다음과 같이 분화되었다.[1]
''타키투두(Takituduh)''
''타키바카(Takibakha)''
''타크바누아즈(Takbanuaz)''
''타키바탄(Takivatan)''
부눈어는 원래 남투현 신의향(신의진, Xinyi)과 그 주변에서 사용되었다.[2] 17세기부터 부눈족은 남쪽과 동쪽으로 세력을 확장하면서 사라와족(Saaroa), 카나카나부족(Kanakanavu), 타오족(Thao people)과 같은 다른 민족 집단을 흡수했다. 부눈어는 북쪽의 남투현 런아이향(런아이진, Ren-ai)에서 남쪽의 타이둥현 옌핑향(옌핑진, Yan-ping)까지 넓은 지역에서 사용된다. 이스부쿤은 남투, 타이둥, 가오슝시 전역에 걸쳐 사용된다. 타크바누아즈는 남투와 화롄현 남부에서 사용된다. 타키바탄은 남투와 화롄 중부에서 사용된다. 타키투두와 타키바카는 모두 남투에서 사용된다.[2]
부눈족의 하위 집단으로는 타키바카(卡社群, Takibakha) 집단, 타키투두(卓社群, Takitudu) 집단, 타크바누아즈(巒社群, Takbanuaz) 집단, 타키바탄(丹社群, Takivatan) 집단, 이스부쿤(郡社群, Isbukun) 집단이 존재하지만, 방언으로는 기본적으로 북부 방언, 중부 방언, 남부 방언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 과거 타코풀란(蘭社群, Takopulan) 집단이 존재했지만, 일제강점기에 이미 인접한 조우족에 동화되었다.
3. 1. 방언 분포
부눈어는 이스부쿤(Isbukun), 타크바누아즈(Takbunuaz), 타키바탄(Takivatan), 타키바카(Takibaka), 타키투두(Takituduh)의 다섯 가지 방언으로 나뉜다.[1] 리(Li, 1988)는 이 방언들을 북부, 중부, 그리고 이스부쿤(남부 부눈어로 분류되기도 함)의 세 가지 주요 가지로 나눈다.[1] 여섯 번째 방언인 타키풀란(Takipulan)은 1970년대에 사멸했다. 가장 권위 있는 방언인 이스부쿤은 동시에 가장 다른 방언이기도 하다. 가장 보존적인 방언들은 북부 계통에 속한다.[1]
원부농어는 다음과 같이 분화되었다.[1]
''타키투두(Takituduh)''
''타키바카(Takibakha)''
''타크바누아즈(Takbanuaz)''
''타키바탄(Takivatan)''
부눈어는 원래 남투현 신의향(신의진, Xinyi)과 그 주변에서 사용되었다.[2] 17세기부터 부눈족은 남쪽과 동쪽으로 세력을 확장하면서 사라와족(Saaroa), 카나카나부족(Kanakanavu), 타오족(Thao people)과 같은 다른 민족 집단을 흡수했다. 부눈어는 북쪽의 남투현 런아이향(런아이진, Ren-ai)에서 남쪽의 타이둥현 옌핑향(옌핑진, Yan-ping)까지 넓은 지역에서 사용된다. 이스부쿤은 남투, 타이둥, 가오슝시 전역에 걸쳐 사용된다. 타크바누아즈는 남투와 화롄현 남부에서 사용된다. 타키바탄은 남투와 화롄 중부에서 사용된다. 타키투두와 타키바카는 모두 남투에서 사용된다.[2]
부눈족의 하위 집단으로는 타키바카(卡社群, Takibakha) 집단, 타키투두(卓社群, Takitudu) 집단, 타크바누아즈(巒社群, Takbanuaz) 집단, 타키바탄(丹社群, Takivatan) 집단, 이스부쿤(郡社群, Isbukun) 집단이 존재하지만, 방언으로는 기본적으로 북부 방언, 중부 방언, 남부 방언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 과거 타코풀란(蘭社群, Takopulan) 집단이 존재했지만, 일제강점기에 이미 인접한 조우족에 동화되었다.
4. 음운론
- /ɓ ɗ/는 보통 ⟨b⟩, ⟨d⟩로 표기한다.
- /ð/는 ⟨z⟩로, /ŋ/는 ⟨ng⟩로, /ʔ/는 ⟨'⟩로 표기한다.
접근음 [j w]가 나타나긴 하지만, 음절초에 자음이 있어야 한다는 제약을 만족시키기 위해 기저의 /i u/로부터 나타나는 것이므로 자음 음소가 아니다. 치 마찰음 /ð/은 실제로는 치간음(/ð̟/)이다. 이스부쿤 방언에서 /χ/는 어말 또는 자음 뒤에도 나타나고 /h/는 어두 또는 모음 사이에도 나타나지만, 다른 방언에서는 이 환경에서 모두 /q/로 나타난다. 이스부쿤 방언에서는 다른 방언에서 모음 사이에 나타나는 성문 파열음(/ʔ/)이 탈락하지만, 다른 방언에서 /h/가 나타나는 곳에 /ʔ/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이스부쿤 방언의 [mapais] ‘쓰다’는 다른 방언의 [mapaʔis]에 대응하고, 이스부쿤 방언의 [luʔum] ‘구름’은 다른 방언의 [luhum]에 대응한다.)
=== 모음 ===
모음은 a, i, u 세 가지이며, 이들의 장모음과 이중모음이 있다. 성조는 없지만, 고저억양(pitch accent)이 있으며, 어말에서 두 번째 모음이 높다. 이스부쿤 방언에는 /e/가 나타나지 않는다.
4. 1. 자음
부눈어의 자음은 다음과 같다.[4]| 양순음 | 순치음 | 치음 | 치경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성문음 | |
|---|---|---|---|---|---|---|---|
| 파열음 | p | t | k | q | ʔ | ||
| 내파음 | ɓ | ɗ | |||||
| 마찰음 | v | ð | s | χ | h | ||
| 비음 | m | n | ŋ | ||||
| 접근음 | l |
- /ɓ ɗ/는 보통 ⟨b⟩, ⟨d⟩로 표기한다.
- /ð/는 ⟨z⟩로, /ŋ/는 ⟨ng⟩로, /ʔ/는 ⟨'⟩로 표기한다.
접근음 [j w]가 나타나긴 하지만, 음절초에 자음이 있어야 한다는 제약을 만족시키기 위해 기저의 /i u/로부터 나타나는 것이므로 자음 음소가 아니다. 치 마찰음 /ð/은 실제로는 치간음(/ð̟/)이다. 이스부쿤 방언에서 /χ/는 어말 또는 자음 뒤에도 나타나고 /h/는 어두 또는 모음 사이에도 나타나지만, 다른 방언에서는 이 환경에서 모두 /q/로 나타난다. 이스부쿤 방언에서는 다른 방언에서 모음 사이에 나타나는 성문 파열음(/ʔ/)이 탈락하지만, 다른 방언에서 /h/가 나타나는 곳에 /ʔ/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이스부쿤 방언의 [mapais] ‘쓰다’는 다른 방언의 [mapaʔis]에 대응하고, 이스부쿤 방언의 [luʔum] ‘구름’은 다른 방언의 [luhum]에 대응한다.)
4. 2. 모음
wikitable
```
부눈어의 모음은 a, i, u 세 가지이며, 이들의 장모음과 이중모음이 있다. 성조는 없지만, 고저억양(pitch accent)이 있으며, 어말에서 두 번째 모음이 높다. 이스부쿤 방언에는 /e/가 나타나지 않는다.
5. 문법
5. 1. 주어 표지 체계
부눈어는 동사가 문두에 오는 언어이며, 오스트로네시아어 조어 체계 또는 주어 표지 체계를 가지고 있다.[5] 즉, 부눈어 절에는 주격-목적격 또는 절대격-능격 조어가 없지만, 동사가 서술하는 사건에 참여하는 요소 중 어떤 요소가 '주목'되는지에 따라 절의 논항이 배열된다. 부눈어에서 주목될 수 있는 세 가지 역할은 다음과 같다.- '''작용자''': 행위를 하거나 상태를 달성/유지하는 사람 또는 사물
- '''피작용자''': 행위에 어떤 식으로든 참여하지만 작용자는 아닌 사람 또는 사물. 대상, 도구, 수혜자의 세 가지 종류가 있다.
- '''대상''': 행위가 행해지거나 사건이 발생하는 사람 또는 사물
- '''도구''': 행위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사물(때로는 사람)
- '''수혜자''' (또는 '''받는 사람'''): 행위가 행해지거나 사건이 발생하는 사람(때로는 사물)
- '''처소 참여자''': 행위가 일어나는 장소. 필리핀식 목소리 체계를 가진 언어에서 공간적 위치는 영어와 같이 부사절이 되는 것이 아니라, 절에서 작용자와 대상과 같은 수준에 있는 경우가 많다.
어떤 논항이 주목되는지는 접두사와 접미사의 조합으로 동사에 표시된다.[5] 작용자 주목 동사는 종종 표시되지 않지만, 접두사 ''ma-'' 또는 ''pa-'', ''ka-''를 가질 수 있다. 피작용자 주목 동사는 접미사 ''-un''을, 처소 주목 동사는 접미사 ''-an''을 가진다. 주어 표지 체계를 가진 다른 많은 언어들은 대상, 도구, 수혜자에 대해 다른 표기를 사용하지만, 부눈어는 그렇지 않다. 부눈어 절에서 주목되는 논항은 일반적으로 항상 동사 바로 뒤에 나타나며(예: 작용자 주목 절에서 작용자는 다른 참여자보다 먼저 나타난다), 이스부쿤 방언에서는 명사 뒤에 오는 표지 ''a''로 표시된다.[5]
부눈어는 매우 많은 종류의 조동사를 가지고 있다. 조동사로 표현되는 개념에는 부정 (''ni'' '아니다'와 ''uka'' '없다'), 양태와 의지 (예: ''maqtu'' '할 수 있다, 허용된다'), 상대 시제 (예: ''ngausang'' '처음, 미리', ''qanaqtung'' '끝나다'), 비교 (''maszang'' '같은, 유사하게'), 의문사 (예: ''via'' '왜?'), 때로는 수사 (예: ''tatini'' '(혼자) 있다, (단 하나) 있다') 등이 있다. 부눈어 조동사는 영어에서 부사구로 표현되는 모든 종류의 개념을 표현하지만, 시간과 장소는 일반적으로 부사구로 표현된다.
5. 2. 조동사
5. 3. 품사
타키바탄 부눈어는 개방 계열의 명사, 동사, 형용사와 폐쇄 계열의 지시사, 재귀대명사, 인칭대명사, 수사, 장소 부사, 시간 부사, 방법 부사, 의문사, 조동사 품사를 가지고 있다. 개방 계열의 단어는 복합어를 만들 수 있지만, 폐쇄 계열의 단어는 만들 수 없다.5. 4. 접사
부눈어는 교착어로, 200개 이상의 파생 접사 체계(대부분 접두사)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다른 품사에서 동사를 파생시킨다.[6] 이 접두사 중 일부는 파생 동사뿐만 아니라 앞선 조동사에도 나타나는데, 이를 '''어휘 접두사'''[7] 또는 '''예고 접두사'''[8]라고 하며, 부눈어와 소수의 다른 대만어에서만 나타난다.De Busser (2009)에 따르면 타키바탄 부눈어 동사 접두사는 다음과 같다.
| 접두사 유형 | 중립 | 사동 | 목적격 |
|---|---|---|---|
| 이동 | mu- | pu- | ku- |
| 동적 사건 | ma- | pa- | ka- |
| 정적 사건 | ma- / mi- | pi- | ka- / ki- |
| 시작적 사건 | min- | pin- | kin- |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이동: Cu-
- 동적 사건: Ca-
- 정적 사건: Ci-
- 시작적 사건: Cin-
- 중립: mV-
- 사동: pV-
- 목적격: kV-
De Busser (2009)는 부눈어 접사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초점:
- 작용자 초점(AF): ''-Ø''
- 피동자 초점(UF): ''-un'' (명사화에도 사용)
- 장소 초점(LF): ''-an'' (명사화에도 사용)
- 시상(TAM) 접사:
- na- 비현실(미래, 결과, 의지, 명령)
- -aŋ 진행(진행상, 동시성, 소망/선택적 용법 표현)
- -in 완료(완료, 결과 의미, 상태 변화, 선행)
- -in- 과거/결과(과거, 과거/현재 대조)
- -i- 드물게 나타나는 과거 접속사
- 참여자 교차 참조:
- -Ø 작용자
- -un 피동자
- -an 장소
- is- 도구
- ki- 수혜자
- 장소 접두사:
- 정지 ‘~에, ~에서’: i-
- 여정 ‘~에 도착하다’: atan-, pan-, pana-
- 향방 ‘~로’: mu-, mun-
- 종지 ‘~까지’: sau-
- 방향 ‘~쪽으로, ~방향으로’: tan-, tana-
- 경유 ‘~을 따라, ~에 이어’: malan-
- 관통 ‘~을 통해, ~속으로’: tauna-, tuna-, tun-
- 탈격 ‘~에서’: maisna-, maina-, maisi-, taka-
- 사건 유형 접두사:
- ma- 동적 사건 표시
- ma- 정적 사건 표시
- mi- 정적 부정 사건 표시
- a- 비생산적 정적 접두사
- paŋka- 물질적 속성 표시(정적)
- min- 결과 상태 표시(변형적)
- pain- 참여적; 집단 행위 표시
- 사동:
- pa- 동적 동사의 사동
- pi- 정적 동사의 사동
- pu- ~쪽으로 가게 하다
- 사건 분류:
- mis- 연소 사건
- tin- 충격 사건
- pala- 분열 사건
- pasi- 분리 사건
- kat- 잡는 사건
- 피동자 통합 접두사:
- bit- ‘번개’
- kun- ‘착용하다’
- malas- ‘말하다’
- maqu- ‘사용하다’
- muda- ‘걷다’
- pas- ‘뱉다’
- qu- ‘마시다’
- sa- ‘보다’
- tal- ‘씻다’
- tapu- ‘특성을 가지다’
- tastu- ‘소속되다’
- taus-/tus- ‘출산하다’
- tin- ‘수확하다’
- tum- ‘몰다’
- 동사화 접미사:
- pu- 동사화 접미사: ‘~을 사냥하다’
- maqu- 동사화 접미사: ‘사용하다’
- malas- 동사화 접미사: ‘말하다’
5. 5. 대명사
타키바탄 부눈어 인칭 대명사 어근은 다음과 같다.- 1인칭 단수: -ak-
- 2인칭 단수: -su-
- 3인칭 단수: -is-
- 1인칭 복수(포함): -at-
- 1인칭 복수(제외): -ðam-
- 2인칭 복수: -(a)mu-
- 3인칭 복수: -in-
타키바탄 부눈어 인칭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 대명사 유형 | 어근 | 주어 (의존) | 비주어 (의존) | 중립 | 주어 | 처소 | 소유격 |
|---|---|---|---|---|---|---|---|
| 1인칭 단수 | -ak- | -(ʔ)ak | -(ʔ)uk | ðaku, nak | sak, saikin | ðakuʔan | inak, ainak, nak |
| 2인칭 단수 | -su- | -(ʔ)as | – | suʔu, su | – | suʔuʔan | isu, su |
| 1인칭 복수(포함) | -at- | – | – | mita | ʔata, inʔata | mitaʔan | imita |
| 1인칭 복수(제외) | -ðam- | -(ʔ)am | – | ðami, nam | ðamu, sam | ðamiʔan | inam, nam |
| 2인칭 복수 | -(a)mu- | -(ʔ)am | – | muʔu, mu | amu | muʔuʔan | imu, mu |
타키바탄 부눈어의 3인칭 인칭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 단수 | 복수 | |
|---|---|---|
| [어근] | -is- | -in- |
| 근접 | isti | inti |
| 중간 | istun | intun |
| 원격 | ista | inta |
이스쿠분 부눈어 인칭 대명사는 타키바탄 부눈어와 다소 차이가 있다.
| 대명사 유형 | 주어 | 목적어 | 소유격 |
|---|---|---|---|
| 1인칭 단수 | saikin, -ik | ðaku, -ku | inak, nak |
| 2인칭 단수 | kasu, -as | su | isu, su |
| 3인칭 단수 | saia | saiʤa | isaiʤa, saiʤa |
| 1인칭 복수(포함) | kata, -ta | mita | imita |
| 1인칭 복수(제외) | kaimin, -im | ðami | inam |
| 2인칭 복수 | kamu, -am | mu | imu |
| 3인칭 복수 | naia | inaiʤa | naiʤa |
5. 6. 지시사
다기바탄 부눈어는 다음과 같은 지시사 어근과 접사를 가지고 있다.지시사 접미사로는 근접을 나타내는 ''-i'', 중간을 나타내는 ''-un'', 원격을 나타내는 ''-a''가 있다.
지시사 어근으로는 단수를 나타내는 ''aip-'', 부정확한 복수를 나타내는 ''aiŋk-'', 소량을 나타내는 ''aint-'', 포괄적 일반을 나타내는 ''ait-''가 있다.
지시사 접두사로는 보이는 것을 나타내는 ''Ø-'', 보이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n-''이 있다.
장소 부사로는 ''ʔiti''(여기), ''ʔitun''(저기 (중간)), ''ʔita''(저기 (원격))가 있다.
6. 문자
"글자를 가지고 있었다"는 전승이 존재하지만, 부눈족이 고대부터 문자를 사용했다는 증거는 현재로서는 없다. 다만, 일제강점기에는 농경 의례의 연간 과정을 기록, 보존, 계승하려는 일부 부눈족에 의해 창작적인 역법이 여러 개 만들어졌다.
현재는 라틴 문자나 주음부호를 사용한 표기 또한 이루어지고 있다.
7. 어휘
8. 각주
참조
[1]
서적
A Comparative Study of Bunun Dialects
Institute of Linguistics, Academia Sinica
1988
[2]
논문
2009
[3]
논문
A Reconstruction of Proto-Bunun Phonology and Lexicon
National Tsing Hua University
2020
[4]
학회발표
Introduction to the Bunun language
http://www.rdbusser.[...]
2011-05-14
[5]
논문
2000
[6]
논문
2001
[7]
논문
1996
[8]
논문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