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보르네오 왕령식민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보르네오 왕령식민지는 1946년부터 1963년까지 존재했던 영국의 왕령 식민지이다. 1658년 사바 북동부 지역은 술루 술탄국의 지배를 받았고, 19세기 중반부터 영국의 식민 지배를 받았다. 1963년 8월 31일 자치령이 되었으며, 말라야 연방과의 조약에 따라 9월 16일 말레이시아로 합병되었다. 합병 이후 사바의 독립 문제가 제기되었으며, 현재도 독립 운동이 진행 중이다. 식민지 시절에는 영어, 말레이어, 중국어, 카다잔두순어 등이 사용되었으며, 기독교가 주된 종교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르네오섬의 역사 - 북보르네오 특허 회사
북보르네오 특허 회사는 1881년 폰 오버벡 남작과 알프레드 덴트가 설립하여 브루나이와 술루 술탄국으로부터 영토를 양도받아 북보르네오를 관리하며 치안 유지, 법률 제정, 무역 장려, 철도 건설, 농장 조성 등의 사업을 추진했으나, 1946년 영국 식민부에 양도하고 해산되었다. - 보르네오섬의 역사 - 사라왁 라자
사라왁 라자는 제임스 브룩이 브루나이로부터 사라왁 지역을 할양받아 라자가 되면서 시작되어 브룩 가문이 3대에 걸쳐 통치하며 발전시켰으나, 일본 점령 후 영국에 양도되어 1963년 말레이시아의 주로 편입된 통치 체제이다. - 영국령 보르네오 - 보르네오 전역 (1945년)
보르네오 전역은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연합군이 일본군으로부터 보르네오 섬을 탈환하기 위해 감행한 작전으로, 호주군 주도하에 천연 자원 확보와 해군 기지 건설을 목표로 오보에 작전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 영국령 보르네오 - 북보르네오
북보르네오는 1877년 구스타프 오버벡이 브루나이와 술루 술탄국으로부터 토지 양허를 받아 설립된 지역으로, 이후 영국 세력의 진출과 보호령 편입, 회사 행정 체제, 경제 발전, 일본 점령, 그리고 영국의 직할 식민지화 과정을 거쳤다. - 말레이시아의 역사 - 항 투아
항 투아는 15세기 말라카 술탄국 시대의 전설적인 해군 제독이자 무술가로,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지만 뛰어난 무술 실력과 술탄에 대한 충성심으로 유명하며,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에서 충성심과 용기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말레이시아의 역사 - 조호르 술탄국
조호르 술탄국은 15세기 말 말라카 해협에서 건국된 말레이 왕국으로, 말라카 왕국의 계승을 자처하며 성장했으나, 아체 술탄국, 포르투갈, 네덜란드, 잠비 왕국 등과의 전쟁과 내부 권력 투쟁으로 혼란을 겪으며 네덜란드와 영국의 영향력 아래 놓이다가 말라야 연방 독립과 함께 독립을 선언하고 말레이시아 연방의 조호르주가 되었으며, 술탄의 세습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북보르네오 왕령식민지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 | |
일반 명칭 | 북보르네오 |
완전한 명칭 | 북보르네오 왕령식민지 |
표어 | 페르고 에 페라고 (Pergo et Perago, 나는 인내하고 나는 달성한다) |
국가 | 국왕 폐하 만세 (1946–1952), 여왕 폐하 만세 (1952–1963) |
수도 | 제셀턴 |
공용어 | 영어 카다잔두순어 바자우어 무루트어 룬다예어 룬구스어 사바 말레이어 중국어 |
정치 | |
정치 체제 | 식민지 |
군주 | 조지 6세 (1946–1952) 엘리자베스 2세 (1952–1963) |
총독 | 에드워드 트와이닝 (1946–1949) 윌리엄 구드 (1959–1963) |
역사 | |
성립 | 북보르네오가 왕령식민지로 이양됨 (1946년 7월 15일) |
필리핀 정부로 이관 | 거북섬과 망시섬 관할권이 필리핀 정부로 이관됨 (1947년 10월 16일) |
자치 | 자치 (1963년 8월 31일) |
말레이시아 협정 | 말레이시아 협정 (1963년 9월 16일) |
이전 및 이후 | |
이전 | 영국 군정 북보르네오 라부안 왕령 식민지 |
이후 | 말레이시아 팔라완 사바 술루 |
경제 | |
통화 | 북보르네오 달러 말라야-영국령 보르네오 달러 |
2. 역사
북보르네오 지역은 역사적으로 브루나이 술탄국과 술루 술탄국의 영향을 받았으며, 다양한 토착 부족들이 거주하던 곳이었다. 19세기 중반부터 영국과 네덜란드 등 유럽 열강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점차 식민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은 이 지역을 북보르네오 왕령식민지로 직접 통치하기 시작했다.
1963년, 북보르네오는 말라야 연방, 사라왁, 싱가포르와 함께 말레이시아를 결성하며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였다. 그러나 말레이시아 합병 과정과 이후 싱가포르의 탈퇴는 사바 지역의 독립 논란을 불러일으켰으며, 이는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문제이다. 또한, 식민지 시기 일부 영토는 필리핀에 이양되기도 하였다.
2. 1. 초기 역사
북보르네오 지역의 일부는 과거 브루나이 술탄령이었으며, 그 외에도 카다잔족, 이반족 등 다양한 부족들이 독자적인 사회를 이루며 살아가고 있었다.1658년에는 오늘날 사바 주의 북동부 지역이 술루 술탄령으로 편입되었고, 사라왁 지역 대부분은 여전히 브루나이의 영향 아래 있었다. 이후 19세기 중반에 들어서면서 영국의 영향력이 확대되어 점차 식민 지배를 받게 되었다. 한편, 타와우 지역은 당시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일부였던 칼리만탄 지역과 함께 네덜란드의 지배하에 있었다.
2. 2. 영국의 식민 지배
19세기 중반 영국의 식민 지배가 시작되었으며, 타와우 지역은 인도네시아의 칼리만탄과 함께 네덜란드의 지배를 받았다. 1946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은 북보르네오를 왕령 식민지로 편입했으며, 이때 구 칼리만탄의 일부였던 타와우가 북보르네오에 합병되었다.북보르네오 왕령 식민지의 주지사는 조지 6세 국왕, 그리고 이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에 의해 임명되었다.[8] 1963년 말레이시아가 결성된 후, 이 직위의 명칭은 '양 디-퍼투안 네가라'(Yang di-Pertua Negara)[9]로 변경되었고, 1976년에는 '투안 양 테르우타마 사바 주 주지사'(Tuan Yang Terutama Yang di-Pertua Negeri Sabah)로 다시 변경되었다. 이는 '사바 주 주지사 각하' 또는 '사바 주 국가 원수 각하'를 의미하며, 이후 주지사는 말레이시아의 국왕인 양 디-퍼투안 아궁이 임명하게 되었다.
식민 통치를 위해 행정 위원회와 입법 위원회가 1950년 10월에 설립되어, 1946년 7월부터 존재했던 임시 자문 위원회를 대체했다. 정책 문제에 대해 주지사에게 자문하는 행정 위원회는 세 명의 당연직 위원(수석 비서관, 재무 비서관 및 법무 장관), 두 명의 임명된 정부 위원 및 네 명의 임명된 비정부 위원으로 구성되었다. 입법 위원회는 주지사가 의장, 세 명의 당연직 위원, 아홉 명의 임명된 정부 위원, 열 명의 임명된 비정부 위원으로 구성되었다. 주지사는 관례적으로 대표 단체가 제출한 명단에서 비정부 위원을 임명했다. 민주주의 제도의 발전은 이웃한 사라왁보다 북보르네오에서 훨씬 더 느렸다.[10]
지역 행정을 위해 식민지는 레지던트(Resident)가 감독하는 4개의 레지던시(Residency)로 나뉘었으며, 이는 지방관(District Officer)이 감독하는 구역(District)으로 세분되었다. 라부안 섬의 지방관은 수석 비서관에게 직접 보고했다. 구역은 보조 지방관(Assistant District Officer)이 감독하는 하위 구역(Sub-district)으로 세분되었다. 대부분의 지방관은 외국인이었고, 보조 지방관의 대다수는 현지에서 채용되었다.[10]
각 구역 내에서 마을 촌장(village headman)은 사소한 행정 업무를 담당했다. 촌장은 족장(chief)에게 보고했고, 족장은 다시 지방관에게 보고했다. 족장은 토착 관습과 이슬람 율법 위반을 다루는 토착 법정(Native Court)을 주재했다. 지방관은 또한 치안 판사(magistrate) 자격으로 활동할 수 있었으며, 민사 소송, 식민지 법 위반, 형법 위반에 대한 관할권을 가졌다.[10]
1951년, 농촌 개발 조례(Rural Government Ordinance)는 농촌 지역에 지방 당국(Local Authority)을 설립하는 것을 규정했다. 최초의 지방 당국은 1952년 1월 1일 코타 벨루드 구역에 지방관 및 보조 지방관의 지시 아래 설립되었다. 지방 당국의 구성원은 코타 벨루드의 토착 인구와 중국 인구를 모두 대표하며 전적으로 임명되었다. 이러한 패턴은 다른 농촌 당국이 설립되면서 영토 전역에서 반복되었다.[10]
도시 정부에 관한 조례(Municipal and Urban Authorities Ordinance)는 1954년 7월 1일에 발효되어 읍 당국(Township Authority), 읍 위원회(Town Board) 및 시 의회(Municipal Council)의 설립을 허용했다. 제셀턴(Jesselton, 현 코타키나발루)과 산다칸은 1955년에 타와우와 라부안과 마찬가지로 읍 위원회 지역이 되었다. 지방 위원회의 구성원은 전적으로 주지사가 임명했지만, 비정부 위원이 과반수여야 했다.[10]
사바와 사라왁은 1963년까지 영국의 보호령으로 있다가 각각 8월 31일과 7월 22일 자치권을 획득했다. 사바의 독립은 자신들의 힘으로 이루어지기 보다는, 말라야 연방으로의 가입을 목적으로 하여금 독립한 것이었다. 이는 싱가포르의 영향이 매우 컸는데, 훗날 주수상이 되는 툰 푸아드 스테픈스는 "사라왁과 사바는 싱가포르 때문에 말라야에 가입했다"고 밝혔다. 이리하여 1963년 8월 31일 영국으로부터 자치령이 되었으며, 말라야 연방과의 조약에 따라 동년 9월 16일 신설 말레이시아로 합병되어 소멸되었다.[8]
2. 3. 말레이시아 합병과 독립 문제
사라왁과 사바는 1963년까지 영국의 보호령으로 남아 있었으며, 각각 같은 해 7월 22일과 8월 31일에 자치권을 획득했다. 사바의 독립은 인도처럼 자체적인 역량으로 쟁취하기보다는, 말라야 연방으로의 가입을 목적으로 이루어진 측면이 강하다. 이는 당시 싱가포르의 영향이 컸는데, 훗날 사바의 주수상이 되는 툰 푸아드 스테픈스는 "사라왁과 사바는 싱가포르 때문에 말라야에 가입했다"고 언급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사바는 1963년 8월 31일 영국으로부터 자치령 지위를 얻었으며, 말라야 연방과의 사전 조약에 따라 같은 해 9월 16일 새롭게 출범한 말레이시아 연방에 합병되었다.
그러나 사바의 말레이시아 합병은 초기부터 논란의 대상이었으며, 일부에서는 말레이시아 조약 자체를 무효로 간주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러한 논란은 1965년 싱가포르가 말레이시아 연방에서 탈퇴하면서[14] 더욱 증폭되었다. 당시 주수상이었던 스테픈스는 "싱가포르 때문에 가입했는데 정작 싱가포르가 나갔으니, 우리가 (말레이시아 연방에) 남아 있을 이유가 없다"고 발언하며 사실상 합병 조약의 정당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하지만 말레이시아 연방정부는 이러한 무효 주장을 인정하지 않았으며, 과거 인도네시아의 침공 경험 등으로 인해 사바 내에서도 독립을 추진하기 어려운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1970년대 이후 사바 주는 점차 자치권을 상실하기 시작했고, 현재는 말레이시아 중앙 정부의 강한 통제를 받으며 연방 내에서 가장 빈곤한 주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최근에는 SSKM(Sabah Sarawak Keluar Malaysia)과 같은 독립 단체들이 결성되면서 사바의 독립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다시 커지고 있다.
2. 4. 필리핀으로의 영토 이양
1947년 10월 16일, 영국은 미국과의 조약에 따라 타위타위의 터틀 제도와 망시 제도에 대한 행정 권한을 필리핀 정부에 넘겨주었다.[6][7] 이 섬들은 현재 필리핀의 미마로파 지방(MIMAROPA)과 방사모로 자치 지역(BARMM)의 일부를 이룬다.3. 정치
1963년 8월 31일, 북보르네오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여 사바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내각을 구성하였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영국의 영향력 아래에 있었으며, 북보르네오 직할 식민지 시절 마지막 총독이었던 윌리엄 앨먼드 코드링턴 구드가 총독으로 계속 남아 사바를 이끌었다. 독립 직후 구성된 사바의 새 내각은 불안정하여 16일 만에 붕괴되었고, 이후 툰 푸아드 스테픈스가 초대 주수상으로 선출되었다.
3. 1. 영국령 북보르네오 시기
북보르네오 왕령 식민지의 주지사는 조지 6세 국왕, 그리고 이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에 의해 임명되었다.[8] 1963년 말레이시아가 결성된 후, 주지사라는 명칭은 '양 디-퍼투아 느가라'(Yang di-Pertua Negara|양 디-퍼투아 느가라ms)[9]로 변경되었고, 1976년에는 다시 '투안 양 테르우타마 양 디-퍼투아 느그리 사바'(Tuan Yang Terutama Yang di-Pertua Negeri Sabah|투안 양 테르우타마 양 디-퍼투아 느그리 사바ms)로 바뀌었다. 이는 '사바 주 주지사 각하' 또는 '사바 주 국가 원수 각하'를 의미하며, 이후 임명은 말레이시아의 양 디-퍼투안 아궁(국왕)이 맡게 되었다.
1950년 10월, 기존의 임시 자문 위원회(1946년 7월 설립)를 대체하여 행정 위원회와 입법 위원회가 설립되었다. 행정 위원회는 주지사에게 정책 자문을 제공했으며, 수석 비서관, 재무 비서관, 법무 장관 등 3명의 당연직 위원과 2명의 임명직 정부 위원, 4명의 임명직 비정부 위원으로 구성되었다. 입법 위원회는 주지사가 의장을 맡고, 3명의 당연직 위원, 9명의 임명직 정부 위원, 10명의 임명직 비정부 위원으로 이루어졌다. 주지사는 관례적으로 대표 단체가 제출한 명단에서 비정부 위원을 임명했다. 이웃한 사라왁과 비교했을 때, 북보르네오의 민주주의 제도 발전은 상당히 더딘 편이었다.[10]
지역 행정을 위해 식민지는 4개의 레지던시(Residency)로 나뉘었으며, 각 레지던시는 레지던트(Resident)가 감독했다. 레지던시는 다시 지방관(District Officer)이 관리하는 구역(District)으로 세분화되었다. 라부안 섬의 지방관은 수석 비서관에게 직접 보고했다. 구역은 보조 지방관(Assistant District Officer)이 감독하는 하위 구역으로 나뉘었다. 대부분의 지방관은 외국인이었으나, 보조 지방관의 대다수는 현지에서 채용되었다.[10]
각 구역 내에서는 마을 촌장(Village Headman)이 사소한 행정 업무를 담당했다. 촌장은 족장(Chief)에게 보고했고, 족장은 다시 지방관에게 보고하는 체계였다. 족장은 토착 관습 및 이슬람 율법 위반 사례를 다루는 토착 법정을 주재했다. 지방관은 치안 판사로서 민사 소송, 식민지 법 위반, 형법 위반 사건에 대한 관할권도 가졌다.[10]
1951년에는 농촌 개발 조례가 제정되어 농촌 지역에 지방 당국 설립의 근거를 마련했다. 최초의 지방 당국은 1952년 1월 1일 코타벨루드 구역에 지방관과 보조 지방관의 지휘 아래 설립되었다. 이 지방 당국의 구성원은 코타벨루드의 토착민과 중국계 주민을 모두 대표하도록 전원 임명되었다. 이러한 방식은 다른 농촌 지역에 지방 당국이 설립될 때도 유사하게 적용되었다.[10]
1954년 7월 1일에는 도시 정부에 관한 조례가 발효되어 읍 당국, 읍 위원회, 시 의회 설립이 가능해졌다. 1955년에는 제셀턴(현 코타키나발루)과 산다칸이 읍 위원회 지역이 되었고, 타와우와 라부안도 뒤를 이었다. 지방 위원회의 구성원 역시 전적으로 주지사가 임명했지만, 비정부 위원이 과반수를 차지하도록 규정되었다.[10]
3. 2. 말레이시아 합병 이후
1963년 말레이시아 연방 결성 이후, 북보르네오(당시 사바)의 주(州) 수장 명칭은 Yang di-Pertua Negara|양 디-퍼투안 네가라msa[9]로 변경되었다. 이후 1976년에는 관련 법령(Enactment. No. 17/1976 Constitution (Amendment)(No. 2))에 따라 Tuan Yang Terutama Yang di-Pertua Negeri Sabah|투안 양 테르우타마 양 디-퍼투아 느그리 사바msa로 다시 변경되었는데, 이는 '사바 주 주지사 각하' 또는 '사바 주 국가 원수 각하'를 의미한다. 이 시점부터 주지사 임명은 말레이시아의 양 디-퍼투안 아궁 (말레이시아 국왕)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었다.4. 언어
북보르네오 왕령식민지 시기에는 영어, 말레이어, 중국어, 카다잔두순어 등 다양한 언어가 사용되었으나, 실질적인 공용어는 영어였다. 이는 영국의 영향 때문이었으며, 이 시기에 태어나거나 교육을 받은 사바 주민들은 현재까지도 말레이시아인들과 비교될 정도로 높은 수준의 영어를 구사한다.
그러나 말레이시아로 합병된 이후 영어는 공용어의 지위를 잃게 되었다. 이로 인해 후세대는 영어를 전혀 구사하지 못하는 경우도 생겨났다. 대표적인 원주민인 카다잔두순이나 무룻은 각각 카다잔두순어, 무룻어 등을 사용했으나, 합병 이후 이들 언어에 대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대부분 말레이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현대 카다잔두순 중 카다잔두순어를 구사하지 못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
5. 종교
북보르네오 왕령식민지 시기에는 특별히 정해진 국교는 없었다. 주민들 대부분이 기독교를 믿었으며, 그 외에 이슬람교, 불교 및 토착 종교를 믿는 사람들도 공존했다. 이후 말레이시아 연방에 편입되면서 이 지역에 대한 이슬람화가 진행되었고, 이로 인해 기독교 신자의 수가 줄어들었으나, 여전히 많은 주민들이 기독교를 믿고 있다.
참조
[1]
서적
On Crown Service: A History of HM Colonial and Overseas Civil Services, 1837-1997
https://books.google[...]
I.B.Tauris
1999-06-12
[2]
웹사이트
The National Archives DO 169/254 (Constitutional issues in respect of North Borneo and Sarawak on joining the federation)
http://discovery.nat[...]
The National Archives
1961-1963
[3]
서적
Chronicle of Malaysia: Fifty Years of Headline News, 1963-2013
https://books.google[...]
Editions Didier Millet
2014-02-28
[4]
서적
Annual Report on North Borneo
H.M. Stationery Office
[5]
웹사이트
British North Borneo Becomes Crown Colony
http://trove.nla.gov[...]
Trove
1946-07-18
[6]
웹사이트
Treaty over Turtle Islands
https://news.google.[...]
The Telegraph
1929-07-30
[7]
웹사이트
New Flag Over Pacific Paradise
https://news.google.[...]
The Sydney Morning Herald
1947-12-06
[8]
서적
Borneo Trilogy Volume 1: Sabah
https://books.google[...]
Booksmango
2017-03-09
[9]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State of Sabah
https://sagc.sabah.g[...]
[10]
간행물
Annual Report North Borneo, 1958
https://archive.org/[...]
H.M.S.O.
[11]
웹사이트
British North Borneo Becomes Crown Colony
http://trove.nla.gov[...]
Trove
1946-07-18
[12]
웹인용
The National Archives DO 169/254 (Constitutional issues in respect of North Borneo and Sarawak on joining the federation)
http://discovery.nat[...]
The National Archives
1961-1963
[13]
서적
Chronicle of Malaysia: Fifty Years of Headline News, 1963-2013
http://books.google.[...]
Editions Didier Millet
2014-02-28
[14]
뉴스
Road to Independence
http://ourstory.asia[...]
Headlines, Lifelines, by AsiaOne
2006-06-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