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교교육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교교육학은 1817년 줄리앙의 저작을 기점으로 학문 분야로 성립되었으며, 여러 국가의 교육 제도를 비교·분석하여 교육 원리를 탐구하는 학문이다. 비교교육학은 차용, 예측, 분석의 3단계로 발달해 왔으며, 20세기 후반에는 사회과학적, 철학적, 문제영역 접근 방법 등이 나타났다. 주요 이론으로는 구조 기능주의, 제국주의, 탈식민주의, 신자유주의 등 다양한 이론적 틀을 활용하며, 지역 연구와 비교 연구를 주요 연구 방법으로 한다. 한국에서는 비교교육학회가 설립되어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최근에는 국제교육 및 국제이해교육 분야가 부상하고 있다. 라틴 아메리카와 유럽에서도 비교교육학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유럽 연합의 볼로냐 프로세스와 에라스무스+ 프로그램은 교육 시스템의 국제화를 추진하고 있다. 비교교육학은 정책 차용에 대한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급변하는 사회에서 교육 혁신을 위한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별 교육 - 나라별 교복
    교복은 학교 학생들이 입는 의복으로, 국가, 시대, 문화에 따라 모습이 다르며, 소속감과 규율을 강조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면서 디자인, 기능성, 성별 구분 등 다양한 측면에서 변화하고 있다.
  • 비교 - 비교 문화 연구
    비교 문화 연구는 문화 상대주의와 전체론적 관점에서 다양한 문화 현상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객관적으로 비교·분석하여 문화 간 이해 증진과 상호 존중을 목표로 하는 학문이지만, 문화적 상대주의의 문제점, 서구 중심주의적 시각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비교 - 비교심리학
    비교심리학은 동물의 행동과 심리 과정을 비교 연구하는 학문으로, 다윈의 진화론 영향을 받아 발전해 왔으며, 현대에는 동물 지능 비교, 인지, 행동 장애, 인간-동물 관계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고 대상 동물도 다양해지고 있다.
  • 교육학 - 행동 수정
    행동 수정은 학습 원리를 활용하여 부적절한 행동을 감소시키고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 심리 치료 기법으로,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에 기반하여 발전했으며 인지 행동 치료를 거쳐 개인의 경험과 가치에 대한 수용을 강조하는 3세대 행동 치료로 발전하여 다양한 정신 건강 문제와 행동 장애 치료에 활용된다.
  • 교육학 -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IEP)은 장애 학생의 교육적 요구 충족과 교육권 보장을 위해 법적으로 규정된 교육 계획으로, 학생, 학부모, 교사 등 다양한 전문가가 참여하는 팀에 의해 개발 및 관리되지만, 운영 과정에서 어려움과 비판이 존재하며 국가별 차이가 있다.
비교교육학
개요
분야교육학, 사회과학
하위 분야교육 과정
교육 정책
교육 심리학
교육 사회학
언어 교육
고등 교육
특수 교육
직업 교육
성인 교육
주요 목표
목표교육 시스템 비교 및 ​​분석
교육의 국제 개발 지원
교육 이민 연구
교육 세계화 연구
역사
초기 연구마르크 앙투안 줄리앙 드 파리
호러스 만
새델러 프리드리히
마이클 새들러 경
접근 방식
접근 방식정량적 연구
정성적 연구
혼합 방법 연구
사례 연구
민족지학
역사적 연구
비판적 연구
관련 학문 분야
관련 학문 분야교육학
사회학
정치학
경제학
인류학
역사학
지리학
국제 관계
개발 연구
주요 학술지
주요 학술지Comparative Education Review
Comparative Education
International Review of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 Policy
관련 단체
관련 단체Comparative and International Education Society (CIES)
World Council of Comparative Education Societies (WCCES)

2. 성립

줄리앙(Marc Antoine Julien)이 1817년 <비교교육학에 관한 저작의 예비적 초안과 견해>를 발간하면서 비교교육학이 학문 분야로 성립되었다.[2] 줄리앙은 교육의 사실과 관찰 자료를 수집하고, 도표를 사용하여 분석적인 방법으로 비교·검토하여 일정한 원리를 찾고 규칙을 설정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특히 교육 제도의 구조적인 면과 교육 현장의 특정한 문제 등에 대한 정보 수집을 중요하게 여겼다.[2]

3. 발달 과정

비교교육학의 발달 과정은 일반적으로 다음의 3기로 분류된다.[3]


  • 제1기: '차용의 시기' (줄리앙의 첫 저작 시기부터 19세기 말까지)
  • 제2기: '예측의 시기' (20세기 전반기)
  • 제3기: '분석의 시기' (20세기 후반기)


각 시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3. 1. 제1기: 차용의 시기 (19세기)

19세기 후반기의 비교교육학자들은 주로 외국의 교육 제도에 관한 정보와 자료를 수집하여 자국의 교육 개선에 활용하고자 했다. 이들은 대부분 교육 행정가나 사회 개혁가였으며, 외국의 제도를 자국에 도입하는 것이 교육 개선의 최선이라고 생각했다.[3] 이들은 교육을 사회의 다른 제도와 독립된 존재로 보았으며, 서술적이고 비판 없는 칭찬을 통해 외국 교육 제도를 모델로 삼았다.

대표적인 학자는 다음과 같다.

  • 프랑스의 쿠생(Victor Cousin)
  • 영국의 아놀드(Mathew Arnold), 케이(Joseph Kay), 모란트(Robert Morant), 새들러(Miehael Sadler)
  • 미국의 스토(Calvin Stowe), 그리스콘(John Griscon), (Horace Mann), 버너드(Henry Bernerd)


이들은 비교교육학 발전의 개척자적인 역할을 하였다.

3. 2. 제2기: 예측의 시기 (20세기 전반)

사회 및 교육 제도의 개선을 중요시했으며, 이는 영국의 비교교육학자 새들러에 의해 강조되었다. 이 원리를 중심으로 비교교육학을 발전시킨 대표적인 학자는 칸델(Issac Kandel)인데, 그는 새들러의 영향을 받았다. 칸델은 비교교육학 연구방법에 대해 네 가지 목적을 제시했다. 첫째, 각국의 학교 제도에 대한 정보를 독자에게 제공하는 보고적 서술이다. 둘째, 역사적·기능적 목적이다. 교육은 사회 제도와 독립적이지 않으므로, 교육 제도를 만든 문화적·사회적·정치적·지적 배경을 보고 비교·분석해야 한다. 셋째, 개선적인 목적이다. 자국 교육뿐만 아니라 세계 교육의 개선을 꾀하며, 국제주의 정신을 촉진해야 한다. 넷째, 어떤 일정한 가치관, 예를 들어 민주적 제도가 더 좋고 중앙집권제도가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것을 설정해야 한다. 이러한 접근 방법은 20세기 전반기의 많은 비교교육학자들에 의해서 사용되어 왔다. 대표적인 학자로는 영국의 핸스(Nicholas Hans), 미국의 울리크(Robert Ulick), 독일의 슈나이더(Friedrics Schneider) 등이 있다.[3]

3. 3. 제3기: 분석의 시기 (20세기 후반)

20세기 후반, 비교교육학은 역사적인 면보다 사회적인 면에 더 주목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경향을 가진 학자들이 많이 나타났다. 이들은 역사가 도움이 되기는 하지만, 본질적으로 시간과 공간에 깊이 관련된 특정한 현상을 다루기 때문에 비교교육학자들에게는 그 가치가 제한적이라고 주장했다. 비교교육학자들은 특정한 문화적 배경에서 요소를 추출하여 시간이나 공간의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원리를 찾아야 한다고 보았다.[3]

제3기에는 사회과학적인 접근방법 외에도 철학적 접근방법과 문제영역 접근방법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 철학적 접근방법: 철학적 국가 양식(예: 영국의 경험주의, 프랑스의 국가주의 또는 실존주의, 독일의 이상주의 또는 낭만주의, 미국의 실용주의)을 설정하고, 이를 철학적 논의 양식과 교육 제도 간의 관련성을 통해 해석하는 방법이다. 영국의 조셉 라우어리(Joseph Louwerys)가 대표적인 학자이다. 라우어리는 교양교육이 나라마다 다른 관념과 실제를 가지는 것은 각 나라의 철학적 논의 양식 때문이라고 보았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교양교육을 일반교육, 영국에서는 자유교육, 프랑스에서는 문화교육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비교교육학자들은 왜 특정 견해가 어떤 나라에서는 받아들여지고 다른 나라에서는 배척되는지를 철학적, 역사적, 사회학적, 심리학적, 행정적 분석을 통해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

  • 문제영역 접근방법: 미국의 조지 Z. F. 버레디(George Z. F. Bereday)와 영국의 브라이언 홈즈(Brian Holmes)가 주장한 방법으로, 고등교육, 우수 아동 문제 등 특정한 문제나 주제에 한정하여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분석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시대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에만 초점을 맞추어 비교 연구한다.[3]


많은 중요한 교육적 질문은 국제적이고 비교적인 관점에서 가장 잘 검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에는 전국적인 중등 교육 수료 증서가 없다. 이는 50개 주 각각에 인증을 맡기는 것이 어떤 장점과 단점을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제기한다. 비교교육학은 일본프랑스와 같은 국가의 경험을 통해 중앙 집중식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보여주고, 교육 인증에 대한 더 중앙 집중적인 접근 방식의 가능한 장점과 단점을 설명할 수 있다.

비교교육학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에서는 그 접근 방식과 결론을 "정책 차용"이라고 폄하하며, 다른 맥락에서 효과가 있었던 것처럼 보이는 것보다는 지역적 요구에 따라 정책이 유기적으로 개발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비교교육학 학자들은 모든 곳의 교육이 많은 동일한 과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다른 맥락에서의 성공과 실패로부터 배울 점이 많다고 주장한다.[3]

4. 주요 이론

《비교 및 국제 교육 이론 핸드북》에 따르면,[8] 비교교육학에서 사용되는 이론은 기초 이론, 탈-기초 이론, 이론적 적응 및 수정, 정책 및 실천 이론, 그리고 학제간 및 새로운 접근법의 5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8]

각 이론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기초 이론: 구조 기능주의, 제국주의, 식민주의, 권력의 식민성, 마르크스주의, 인적 자본 이론, 종속 이론, 세계 체제 이론
  • 탈-기초 이론: 탈식민주의,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구조주의, 탈사회주의적 전환, 젠더 연구
  • 이론적 적응 및 수정: 신자유주의, 신제도주의, 신현실주의, 신그람시주의, 정권 및 지역주의, 문화정치경제(CPE)
  • 정책 및 실천 이론: 구성주의, 학습자 중심성, 분화 이론, 외재화, 정책 차용, 정책 대여, 평화 교육 이론 및 인권 교육
  • 학제간 및 새로운 접근법: 인종 및 인종 차별에 대한 이론화, 퀴어 이론, 전환학, 행위자-네트워크 이론, 소셜 네트워크 분석, 역량 접근법

4. 1. 기초 이론

구조 기능주의, 제국주의, 식민주의, 권력의 식민성, 마르크스주의, 인적 자본 이론, 종속 이론, 세계 체제 이론 등은 비교교육학의 기초 이론으로 활용된다.[8] 이러한 이론들은 교육을 사회, 정치 및 다른 시스템과의 상호 작용 속에서 분석하는 데 도움을 준다.

  • 구조 기능주의: 탤컷 파슨스와 관련 있는 이론으로, 사회 현상을 더 큰 시스템과의 관계에서 설명하고자 한다.[9] 비교교육학에서는 교육을 사회, 정치 등 상호 작용하는 다른 시스템의 맥락에서 분석한다.
  • 제국주의: 강대국이 다른 국가에 교육적 관행과 지식을 강요하는 방식을 탐구한다.[10]
  • 식민주의: 콜린스 영어 사전에 따르면, "강력한 국가가 덜 강력한 국가를 직접 통제하고 자원을 사용하여 자국의 권력과 부를 증진하는 관행"이다.[11] 비교교육학에서는 교육 시스템이 이러한 통제에 의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살펴본다.
  • 마르크스주의: 교육에서 사회 계층이 하는 역할을 탐구한다.[12]
  • 인적 자본 이론: 시어도어 슐츠는 교육을 자본의 한 형태로 간주하고, 교육을 인적 자본의 한 형태라는 개념을 도입했다.[13]

4. 2. 탈-기초 이론

탈식민주의,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구조주의, 탈사회주의적 전환, 젠더 연구 등은 식민지 및 탈식민지 교육 시스템이 문화 혼합에 미치는 영향, 교육 시스템을 형성하는 데 누가 포함되었는지, 젠더 간의 교육적 관행의 형평성 등을 이해하려 한다.[2]

4. 3. 이론적 적응 및 수정

신자유주의, 신제도주의, 신현실주의, 신그람시주의, 정권 및 지역주의, 문화정치경제(CPE) 등은 교육의 사유화, 교육의 제도적 변화, 국제 구조가 교육 시스템을 형성하는 방식, 교육 시스템을 형성하는 주체 등을 조사한다.[2]

많은 중요한 교육적 질문은 국제적이고 비교적인 관점에서 가장 잘 검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에는 전국적인 중등 교육 수료 증서가 없다. 이는 이러한 인증을 50개 주 각각에 맡기는 것이 어떤 장점과 단점을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한 가설적인 질문을 제기한다. 비교교육학은 일본프랑스와 같은 국가의 경험을 활용하여 중앙 집중식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보여주고, 교육 인증에 대한 더 중앙 집중적인 접근 방식의 가능한 장점과 단점을 설명할 수 있다. 비교교육학 학자들은 모든 곳의 교육이 많은 동일한 과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다른 맥락에서의 성공과 실패로부터 배울 점이 많다고 주장한다.[3]

라틴 아메리카에는 다음과 같은 비교교육학회가 있다.[35]

학회명
아르헨티나 비교교육학회 (SAECE)
쿠바 교육학자 협회 – 비교교육 분과 (APC-EC)
브라질 비교교육학회 (SBEC)
멕시코 비교교육학회 (SOMEC)
우루과이 비교 및 국제교육학회 (SUECI)
베네수엘라 비교교육학회 (SVEC)



2014년, 위에 언급된 6개의 라틴 아메리카 비교교육학회는 스페인포르투갈의 비교교육학회와 협력하여 이베로-아메리카 비교교육학회 (SIBEC)를 설립했다.[36]

4. 4. 정책 및 실천 이론

구성주의, 학습자 중심성, 분화 이론, 외재화, 정책 차용, 정책 대여, 평화 교육 이론 및 인권 교육 등 어떤 아이디어가 추진력을 얻고,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 교육에서 실천이 되는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습자 중심 접근 방식, 아이디어가 그룹 간에 어떻게 전파되는지 등을 조사한다.[3] 비교교육학의 비평가들은 다른 맥락에서 효과가 있었던 것처럼 보이는 것보다는 지역적 요구에 따라 정책이 유기적으로 개발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이야기하며, "정책 차용"이라고 폄하하기도 한다.[3] 그러나 비교교육학 학자들은 모든 곳의 교육이 많은 동일한 과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다른 맥락에서의 성공과 실패로부터 배울 점이 많다고 주장한다.[3]

4. 5. 학제간 및 새로운 접근법

비교교육학은 다양한 학문 분야와 새로운 접근법을 통해 교육 시스템과 사회 간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특히, 인종 및 인종 차별 이론, 퀴어 이론, 전환학, 행위자-네트워크 이론, 소셜 네트워크 분석, 역량 접근법 등을 활용하여 교육 시스템이 인종을 기반으로 한 사회적 차이를 어떻게 만들고 있는지, 그리고 학생들이 기존의 교육 방식을 더욱 포괄적이고 비판적이며 급진적인 시각으로 볼 수 있는 방법 등을 연구한다.

5. 연구 방법

비교교육학의 연구 방법은 크게 지역 연구와 비교 연구로 나뉜다. 지역 연구는 한 나라 또는 한 지역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비교 연구는 여러 나라나 지역을 동시에 비교·검토한다. 일반적으로 비교교육학의 첫 단계는 지역 연구로 시작된다.

비교 연구는 지역 연구를 통해 축적된 자료를 바탕으로 여러 국가 또는 지역을 비교하여 유사점과 차이점을 발견하고, 이를 바탕으로 결론을 도출한다.

에크스타인 & 노아와 파루크 주비쉬는 비교교육학이 교육 시스템 설명, 교육 기관 발달 지원, 교육과 사회 관계 강조, 교육 일반화 진술 확립, 과거를 참고하여 현재 교육 시스템 이해 등의 목적을 가진다고 보았다.

비교교육학은 종종 다른 국가를 비교하는 연구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오해되기도 한다. 그러나 비교교육학자들은 모든 곳의 교육이 비슷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다른 나라의 성공과 실패 사례를 통해 교훈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3]

비교교육학 연구자들은 국제 기구, 국제 협력, 교육 시스템 및 관행에 대한 초국가적 영향에 대해서도 연구해 왔다. 단일 국가 및 단일 사이트 연구 또한 이 분야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PISA 및 TIMSS 연구와 같은 일부 대규모 프로젝트는 방대한 데이터 세트에 대한 명시적인 비교 거시 분석을 통해 이 분야에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많은 중요한 교육적 질문은 국제적이고 비교적인 관점에서 가장 잘 검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에는 전국적인 중등 교육 수료 증서가 없다. 비교교육학은 일본프랑스와 같은 국가의 경험을 활용하여 중앙 집중식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보여주고, 교육 인증에 대한 더 중앙 집중적인 접근 방식의 가능한 장점과 단점을 설명할 수 있다. 비교교육학 비평가들은 때때로 그 접근 방식과 결론을 "정책 차용"이라고 폄하하며, 다른 맥락에서 효과가 있었던 것처럼 보이는 것보다는 지역적 요구에 따라 정책이 유기적으로 개발되는 것이 가장 좋다는 것을 시사한다.

《비교 및 국제 교육 이론 핸드북》에 따르면, 비교교육학에서 사용되는 이론은 기초 이론, 탈-기초 이론, 이론적 적응 및 수정, 정책 및 실천 이론, 그리고 학제간 및 새로운 접근법의 5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8]


  • 기초 이론: 구조 기능주의, 제국주의, 식민주의, 권력의 식민성, 마르크스주의, 인적 자본 이론, 종속 이론, 세계 체제 이론[8]
  • 탈-기초 이론: 탈식민주의,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구조주의, 탈사회주의적 전환, 젠더 연구[8]
  • 이론적 적응 및 수정: 신자유주의, 신제도주의, 신현실주의, 신그람시주의, 정권 및 지역주의, 문화정치경제(CPE)[8]
  • 정책 및 실천 이론: 구성주의, 학습자 중심성, 분화 이론, 외재화, 정책 차용, 정책 대여, 평화 교육 이론 및 인권 교육[8]
  • 학제간 및 새로운 접근법: 인종 및 인종 차별에 대한 이론화, 퀴어 이론, 전환학, 행위자-네트워크 이론, 소셜 네트워크 분석, 역량 접근법[8]


비교 및 국제교육학회(CIES)는 1956년에 설립되었으며, "교육 아이디어, 시스템 및 관행에 대한 국제적 연구를 통해 상호 문화적 이해, 학문, 학문적 성취 및 사회 발전을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도 비교교육학회(CESI)는 1979년에 설립되었으며 1980년에 세계 비교교육학회 협의회(WCCES)에 가입했다. CESI의 연례 학술대회[34]는 전국 각지의 교육 연구자들이 모여 학술대회의 주제와 관련된 다양한 논문을 발표하는 자리이다.

5. 1. 지역 연구

한 나라 또는 한 지역을 집중적으로 연구한다. 이상적인 지역 연구를 위한 세 가지 기본 요건은 다음과 같다.

# 연구 대상 국가 또는 지역의 언어에 익숙해야 한다.

# 연구 대상 국가 또는 지역에 거주하거나 여행한 경험이 있어야 한다.

# 관찰자로서 자신의 문화적, 개인적 편견에서 벗어나야 한다.

이 중 처음 두 가지 요건은 번역이나 통역을 통해 충족할 수 있으므로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세 번째 요건은 필수적이다. 이러한 요건을 바탕으로 지역 연구 절차는 기술(記述)과 해석을 통해 이루어진다.

5. 2. 비교 연구

비교교육학의 비교 연구는 지역 연구에서 이루어진 기술과 해석을 토대로, 비교 대상 국가 또는 지역을 병치(倂置)하여 유사점과 상이점을 발견한다. 발견된 유사점과 상이점을 기준에 따라 동시 비교하여 결론을 도출한다. 비교 연구 절차는 기술, 해석, 병치, 비교의 네 단계로 이루어진다.[2]

에크스타인 & 노아(1985)와 파루크 주비쉬(2009)는 비교교육학이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목적을 가진다고 보았다.[2]

  • 교육 시스템, 과정 또는 결과를 설명한다.
  • 교육 기관 및 실천의 발달을 돕는다.
  • 교육과 사회 간의 관계를 강조한다.
  • 둘 이상의 국가에서 유효한 교육에 대한 일반화된 진술을 확립한다.
  • 현재 세대가 과거를 참조하여 오늘날의 교육 시스템을 이해하도록 돕는다.


비교교육학은 종종 두 개 이상의 다른 국가를 비교하는 연구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잘못 가정되기도 한다. 그러나 비교교육학 학자들은 모든 곳의 교육이 많은 동일한 과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다른 맥락에서의 성공과 실패로부터 배울 점이 많다고 주장한다.[3]

6. 각국의 연구 동향

유럽 연합(EU)은 1993년 코펜하겐 기준을 통해 교육 시스템 변화에 대한 세 가지 우선 순위를 제시했다.[43] 이는 평생 학습 방법 습득 및 지식 결합, 개인의 창의성과 주도성 개발, 그리고 모든 젊은이에게 초기 교육 및 훈련 기회를 제공하여 평생 교육 권리를 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999년에는 29개 유럽 국가가 볼로냐 선언에 서명하며 볼로냐 프로세스를 시작했다.[44] 이는 유럽 고등 교육의 일관성을 높여 학생과 교직원의 국제 이동성을 증진하고, 포용적이고 접근 가능한 고등 교육을 만들며, 유럽 고등 교육을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학사, 석사, 박사 과정의 3주기 시스템 도입, 대학 간 자격 및 학습 기간 상호 인정, 품질 보증 시스템 구현을 추진한다.

에라스무스+ 프로그램은 볼로냐 선언 회원국 간 학생 교환 프로그램으로 시작하여 학습, 훈련, 직업 프로그램으로 확대되었다.[45] 이 프로그램은 사회적 포용, 디지털 전환, 친환경 이니셔티브, 젊은이들의 민주적 삶 참여를 장려하며, 유럽 사회권 기둥과 유럽 교육 지역(EEA) 등을 지원한다.

2017년 유럽 지도자들은 유럽 교육 지역(EEA) 아이디어를 지지하고, 교육 및 훈련의 질과 형평성 개선, 교사 및 학교 리더 지원, 디지털 및 친환경 교육 강화에 힘쓰고 있다.[47] 유럽 위원회는 매년 회원국의 교육에 대한 비교 보고서를 발표한다.[3]

19세기 말 이후 라틴 아메리카의 비교교육학 발전은 미약하고 불균등하게 이루어졌다.[36][37][38][39] 이는 교육 연구의 제한적 발전, 대학의 전문적 방향, 낮은 연구 개발 투자, 데이터베이스 생산 및 업데이트의 어려움 등 여러 요인에 기인한다.[36]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유네스코(UNESCO)와 같은 국제기구들은 교육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는 인적 자본 이론에 따라 국가 수준의 교육 계획을 위한 연구 및 데이터베이스 개발에 기여했다.[39]

1990년대에는 민주주의 회복 및 신자유주의 경제 조정 속에서 교육 개혁이 이루어졌고, 비교교육학 연구가 크게 성장했다.[36] 이는 교육 개혁 정책, 대학원 프로그램 확대, 정부의 연구 인센티브 등에 힘입은 결과였다.[40] 라틴 아메리카의 교육 개혁은 지역 동향 연구, 국가 간 비교, 글로벌 요구 사항 측면에서의 개별 사례 분석을 촉진했다.[36]

투리냔 로페스는 지역 문화를 고려하는 교육 접근 방식인 중간 가치관적 관점의 개념을 제시했다.[41]

6. 1. 한국

최근 국제교육 또는 국제이해교육이 비교교육학의 새로운 분야로 활발하게 발전하고 있다. 1968년 비교교육학회 창립 이후 연구 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는데, 유형진, 한기언, 이규환, 김병화, 유인종 등이 주축이 되어 학술 논문집이나 교육 잡지를 통해 많은 발표를 했다.[2] 비교교육학회는 창립 이래 매년 연차대회를 열어 학술 심포지엄을 개최하였는데, 초창기 주제는 다음과 같다.

개최일주제
1968년 3월 30일비교교육학의 성격과 최근 동향
1970년 5월 7일장기종합계획 시안에 대한 검토
1971년 3월 24일세계교육개혁의 동향
1972년 1월 24일동(東)과 서(西)의 이상적 인간상



이상의 심포지엄 이외에도 매월 월례 발표가 개최되어 주제에 의한 연구 논문이 발표되었다.

6. 2. 라틴 아메리카

19세기 말 이후 라틴 아메리카의 비교교육학 발전은 "미약하고 불균등하다"라고 특징지을 수 있다.[36][37][38][39] 이는 교육 연구의 제한적인 발전, 대학교의 전문적인 방향, 지속적인 낮은 수준의 연구 개발 투자, 국가 지표는 물론 지역 및 국가 간 데이터베이스를 생산하고 업데이트하는 어려움 등의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36]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유네스코(UNESCO)와 같은 국제기구들은 국가 수준의 교육 계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지역 연구 및 데이터베이스 개발에 크게 기여했다.[39] 이러한 인센티브는 인구의 생산성을 더 높이기 위해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맞춘 인적 자본 이론에 의해 주로 장려되었다.

1990년대에는 지역 및 국제기구의 참여와 민주주의 회복 및 신자유주의 경제 조정의 맥락에서 이 지역 전반에 걸쳐 상당한 교육 개혁이 이루어졌다.[36] 이 시기에 이어 학문적 생산과 국제기구의 연구 모두에서 비교교육학 연구의 괄목할 만한 성장이 나타났다. 1990년대 동안의 연구 및 출판물 증가는 교육 개혁 정책, 대학원 프로그램의 확대, 연구에 대한 정부 인센티브 등과 관련된 이 지역의 일반적인 교육 연구의 증가에 기여했다.[40] 라틴 아메리카 전역의 교육 개혁은 지역 동향에 대한 연구, 이 지역 국가 간의 비교, 글로벌 요구 사항 측면에서의 개별 사례 분석을 촉진했다.[36]

투리냔 로페스(2022)는 지역의 문화와 함께 발전하는 교육 접근 방식인 중간 가치관적 관점의 개념을 제시했다.[41] "중간 가치관적"이라는 용어는 결합될 때 이해-지역적 장소, 그리고 가치 부여를 의미하는 세 개의 개별적인 그리스 단어에서 파생되었다. 즉, 중간 가치관적 관점은 교육을 개발할 때 지역 문화를 고려하는 것을 의미한다.

6. 3. 유럽

1993년, 유럽 연합(EU)은 교육 시스템 변화에 대한 세 가지 우선 순위를 포함하는 코펜하겐 기준을 개발했다.[43] 이 우선 순위는 다음과 같다.

# 평생 학습을 지속하는 방법을 배우고, 지식과 노하우를 결합한다.

# 각 개인의 창의성과 주도성을 개발한다.

# 각 개인의 평생 교육 권리를 확립한다(모든 젊은이에게 초기 교육 및/또는 훈련을 받을 수 있는 바우처가 제공된다).

1999년, 29개 유럽 국가가 볼로냐 대학교에 모여 볼로냐 선언을 서명했다. 볼로냐 프로세스는 선언에 명시된 고등 교육의 표준 및 품질 구현에 부여된 이름이다. 현재 49개 참여 국가가 있으며, 가장 최근에 서명한 국가는 2015년에 합류했다.[44] 이 아이디어는 유럽 전역의 고등 교육에 더 많은 일관성을 가져와 학생, 교수진 및 직원이 국제적인 이동성을 갖도록 하고, 고등 교육을 더욱 포용적이고 접근 가능하게 하며, 전반적으로 유럽 고등 교육을 더욱 "매력적이고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게" 만드는 것이다. 이 프로세스에는 세 가지 측면이 있다.

# 학사, 석사 및 박사 과정으로 구성된 3주기 고등 교육 시스템을 도입한다.

# 다른 대학에서 완료된 자격 및 학습 기간의 상호 인정을 보장한다.

# 학습 및 교육의 품질과 관련성을 모두 강화하기 위해 품질 보증 시스템을 구현한다.

에라스무스+ 프로그램은 볼로냐 선언 회원국들이 볼로냐 프로세스의 두 번째 측면을 충족하기 위해 노력한 한 가지 방법이다. 이 프로그램은 1987년 고등 교육을 위한 학생 교환 프로그램으로 시작되었다. 2014년에는 학습, 훈련 또는 직업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확대되었다. 6년 주기로 운영되며, 현재 주기는 2027년까지이다. 현재 프로그램은 사회적 포용, 디지털 전환, 친환경 이니셔티브 및 젊은이들의 민주적 삶 참여를 장려하는 데 중점을 둔다. EU 청소년 전략 2019–2027을 구현하고, 유럽 사회권 기둥을 지원하며, 유럽 교육 지역(EEA), 디지털 교육 행동 계획 및 유럽 기술 의제에 명시된 우선 순위와 활동을 지원하는 동시에 스포츠 분야에서 유럽 차원을 개발한다. 고등 교육, 직업 교육 및 훈련, 학교 교육(유아기 포함), 성인 교육, 청소년 활동 및 스포츠 분야의 기관 간 이동성 및 협력 기회가 있다.[45]

2017년, 유럽 지도자들은 스웨덴에서 열린 사회 정상 회담에서 유럽 교육 지역(EEA)의 아이디어를 지지했다. 2018년과 2019년, EEA의 첫 번째 조치가 채택되었다. EEA 회원국들은 교육 및 훈련의 질과 형평성 개선, 교사, 트레이너 및 학교 리더, 디지털 교육, 친환경 교육, 그리고 세계 속의 EEA에 노력을 집중한다. 그들은 유아기부터 성인 학습에 이르기까지 각 교육 분야에서 서로 다른 목표와 요구 사항을 설정하고 직업 교육 및 훈련을 포함하여 이러한 노력을 수행한다.[47]

매년 유럽 위원회는 회원국의 교육에 대한 비교 보고서를 발표한다.[3]

7. 비판적 관점 및 과제

비교교육학 비평가들은 그 접근 방식과 결론을 "정책 차용"이라고 폄하하며, 다른 맥락에서 효과가 있었던 것처럼 보이는 것보다는 지역적 요구에 따라 정책이 유기적으로 개발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비교교육학 학자들은 모든 곳의 교육이 많은 동일한 과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다른 맥락에서의 성공과 실패로부터 배울 점이 많다고 주장한다.[3]

참조

[1] 논문 Levels of Comparison in Education Studies. 1995
[2] 논문 Dependency Theory in Comparative Education: The New Simplicitude. 1985
[3] 서적 Non-Western Educational Traditions: Alternative Approaches to Educational Thought and Practice L. Erlbaum Associates 1996
[4] 논문 Editorial Introduction: Global competence, decolonization, and Asian educational philosophies. https://doi.org/10.7[...] 2021
[5] 서적 International Comparisons in Mathematics Education Falmer Press 1999
[6] 서적 History Teacher Education: Global Interrelations Wochenschau 2015
[7] 서적 Advancing Music Education in Northern Europe Routledge 2019
[8] 서적 The Bloomsbury Handbook of Theory in Comparative and International Education Bloomsbury Publishing
[9] 논문 Synecdoche and Structural-Functionalism https://academic.oup[...] 2023-07-28
[10] 논문 From national exceptionalism to national imperialism: changing motives of comparative education https://www.tandfonl[...] 2023-07-28
[11] 간행물 Collins, n.¹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7-28
[12] 논문 Marxism Conflict Perspective In Comparative Education https://mc-caddogap.[...] 2023-08-14
[13] 논문 Development Studies and Comparative Education: Context, content, comparison and contributors http://www.tandfonli[...] 2023-07-28
[14] 논문 Postcolonialism And Comparative Education http://link.springer[...] 2023-07-28
[15] 논문 Imagining Comparative Education: Past, Present, Future https://www.tandfonl[...] 2000-10
[16] 논문 Structuralism, post-structuralism, neo-liberalism: assessing Foucault's legacy http://www.tandfonli[...] 2023-07-28
[17] 논문 Editorial: The reception of post-structuralism in educational research and policy http://www.tandfonli[...] 2023-07-28
[18] 간행물 Post-Socialism is not Dead: (Re)Reading the Global in Comparative Education Emerald Group Publishing Limited 2023-07-28
[19] 논문 Romancing the State: Gender and Power in Education https://www.journals[...] 2023-07-28
[20] 논문 Neoliberalism and Higher Education in Latin America http://journals.sage[...] 2023-07-28
[21] 논문 Rational-Choice Neo-Institutionalism in Europeanization in the UK and Germany: A Toolkit Offered by Their Memberships in the European Higher Education Area 2023-06-28
[22] 논문 China, Global Governance, and Hegemony https://somaesthetic[...] 2023-07-28
[23] 논문 A Comparative Study of the Impact of Regimes in Latin America's Education Systems: The Cases of Mercosur, Alba-Tcp, and Pa https://ecommons.luc[...] 2023-07-28
[24] 논문 Multiple paths towards education privatization in a globalizing world: a cultural political economy review https://www.tandfonl[...] 2023-07-28
[25] 논문 Why do Policy-makers Adopt Global Education Policies? Toward a Research Framework on the Varying Role of Ideas in Education Reform https://journals.lib[...] 2014-01-01
[26] 논문 A Case Study of EFL College Students' English Learning Style Preferences in South Korea http://dx.doi.org/10[...] 2023-07-28
[27] 논문 The economics of policy borrowing and lending: a study of late adopters http://www.tandfonli[...] 2023-07-28
[28] 서적 Encyclopedia of peace education Information Age Publishing 2008
[29] 논문 Human Rights Education: Ideology, Location, and Approaches https://www.jstor.or[...] 2023-07-28
[30] 논문 The erasures of racism in education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re-reading the 'global learning crisis' https://www.tandfonl[...] 2023-07-29
[31] 논문 Empowerment and transformation: Integrating teacher identity, activism, and criticality across three teacher education programs https://www.tandfonl[...] 2023-07-29
[32] 논문 Introduction: Reclaiming and Renewing Actor Network Theory for Educational Research https://www.tandfonl[...] 2011-01
[33] 간행물 Situating Education in the Human Capabilities Approach http://dx.doi.org/10[...] Palgrave Macmillan US 2023-07-29
[34] 웹사이트 CES India http://cesindia.net/[...]
[35] 웹사이트 WCCES: World Council of Comparative Education Societies https://wcces-online[...] 2023-07-29
[36] 간행물 Comparative Education in Spanish-Speaking Latin America: Recent Developments and Future Prospects https://doi.org/10.1[...] Emerald Publishing Limited 2019-01-01
[37] 학술지 Revisiting comparative education in Latin America: traditions, uses, and perspectives https://www.tandfonl[...] 2018-01-02
[38] 서적 Theory and research development in comparative education
[39] 학술지 Comparative education in Latin America: Situation and challenges for its academic consolidation null 2005
[40] 학술지 El desarrollo de la investigación educativa y sus vinculaciones con el gobierno de la educación en América Latina https://perfileseduc[...] 2014
[41] 학술지 Conocimiento de la educación y actividad común. Construyendo ámbitos de educación desde la pedagogía 2022
[42] 웹사이트 https://www.gov.uk/e[...] 2014-03-05
[43] 웹사이트 Press corner https://ec.europa.eu[...] 2023-07-29
[44] 웹사이트 The Bologna Process and the European Higher Education Area {{!}} European Education Area https://education.ec[...] 2023-07-29
[45] 웹사이트 What is Erasmus+? {{!}} Erasmus+ https://erasmus-plus[...] 2023-07-29
[46] 웹사이트 The Erasmus+ Programme Guide {{!}} Erasmus+ https://erasmus-plus[...] 2023-07-29
[47] 웹사이트 Higher education {{!}} European Education Area https://education.ec[...] 2023-05-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