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단뱀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단뱀속(Python)은 1803년 프랑수아 마리 다우딘이 명명한 뱀의 한 속으로, 피부 반점과 갈라진 혀가 특징이다. 현재는 13종의 비단뱀이 인정되며, 인도비단뱀, 아프리카바위비단뱀, 볼비단뱀, 버마비단뱀 등이 포함된다. 비단뱀속은 아프리카, 아시아 등지에 분포하며, 사바나, 열대 우림 등 다양한 환경에 서식한다. 이들은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 등을 먹으며, 먹이를 조여 죽인 후 통째로 삼킨다. 비단뱀 가죽은 의류 및 액세서리에 사용되며, 일부 종은 애완동물로도 인기가 높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단뱀과 - 그물무늬비단뱀
그물무늬비단뱀은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서식하며 복잡한 그물 모양 무늬가 특징인 대형 뱀으로, 아시아에서 가장 큰 뱀 중 하나이며 드물게 사람을 잡아먹는 사례가 보고되고 가죽 제품이나 애완동물로 거래된다. - 비단뱀과 - 먹대가리비단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에 서식하는 먹대가리비단뱀은 다양한 색상과 무늬를 가진 육식성 파충류로, 건조한 환경에 서식하며 문화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애완동물로 인기를 얻고 있으나 서식지 파괴로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 비단뱀속 - 버마비단뱀
버마비단뱀은 등쪽에 검은색 테두리가 있는 갈색 반점을 가진 비독성 뱀으로,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며, 플로리다에서는 침입종으로 생태계 문제를 일으키고, CITES 부속서 II에 등재되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진다. - 비단뱀속 - 인도비단뱀
인도비단뱀은 남아시아에 서식하며 서식지 감소와 남획으로 국제적인 보호를 받는 대형 뱀으로, 한국에서는 특정 외래생물로 지정되었고 소설 《정글 북》의 '카아'로도 알려져 있다.
| 비단뱀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속 정보 | |
| 학명 | Python Daudin, 1803 |
| 어원 | 그리스어 Πυθων (Python)에서 유래 |
| 명명자 | Daudin, 1803 |
| 타입 종 | Boa molura |
| 타입 종 명명자 | Linnaeus, 1758 |
| 하위 분류 | 종 |
| 이명 | |
| 종 | |
| 종 목록 | 앙골라비단뱀 버마비단뱀 보르네오붉은비단뱀 말레이시아붉은비단뱀 또는 히이로니시키헤비 수마트라붉은비단뱀 빌마탄비단뱀 인도비단뱀 나탈비단뱀 볼비단뱀 아프리카비단뱀 |
| 기타 | |
| 화석 범위 | 마이오세 - 현재 |
| 보호 상태 | CITES 부록 II |
2. 분류법
''비단뱀속''(Python)의 속명은 1803년 프랑수아 마리 도댕이 피부에 반점이 있고 혀가 길게 갈라진 독이 없는 뱀을 위해 제안하였다.[39][2]
1993년에는 7종의 비단뱀이 유효한 분류군으로 인정되었으나,[41][4] 계통 발생 분석에 따라 현재는 7종에서 13종의 비단뱀이 인정된다.[42][43][5][6]
| 종 | 이미지 | IUCN 적색 목록 및 지리적 분포 |
|---|---|---|
| 인도비단뱀 (P. molurus; 린네, 1758)[7] | ![]() | 준위협[8] |
| 아프리카바위비단뱀 (P. sebae; 그멜린, 1788)[9] | ![]() | 준위협[10] 분포는 녹색으로 표시 |
| 볼비단뱀 (P. regius; 쇼, 1802)[11] | ![]() | 준위협[12] |
| 버마비단뱀 (P. bivittatus; 쿨, 1820)[13] | ![]() | 취약종[14] |
| 남아프리카바위비단뱀 (P. natalensis; 스미스, 1833)[15] | 관심대상종[16] -- 분포는 주황색으로 표시 | |
| 수마트라짧은꼬리비단뱀 (P. curtus; 슐레겔, 1872)[17] | ![]() | 관심대상종[18]![]() 분포는 노란색으로 표시 |
| 보르네오비단뱀 (P. breitensteini; 슈타인다흐너, 1881)[19] | ||
| 관심대상종[20] 분포는 녹색으로 표시 | ||
| 안골라비단뱀 (P. anchietae; 보카지, 1887) | ![]() | 관심대상종[21]![]() |
| 블러드비단뱀 (P. brongersmai; 스툴, 1938) (이전에는 P. curtus brongersmai) | ![]() | 관심대상종[22] 분포는 빨간색으로 표시 |
| 미얀마짧은꼬리비단뱀 (P. kyaiktiyo; Zug, Gotte & Jacobs, 2011)[23] | ![]() | 취약종[24] 테나세림 언덕 서쪽, 미얀마[24] |
| 멸종 유럽비단뱀 (Python europaeus; Szyndlar & Rage, 2003)[25] | 멸종 |
3. 분포 및 서식지

비단뱀속은 주로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분포한다.
아프리카에서는 사하라 사막 이남의 열대 지방 전역에서 발견되지만,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극남서부 지역(서케이프)이나 마다가스카르 섬에는 서식하지 않는다.
아시아에서는 서쪽의 파키스탄, 네팔, 인도, 스리랑카, 방글라데시에서부터 동쪽으로 미얀마, 인도차이나 반도, 중국 남부(홍콩, 하이난성 포함), 말레이 군도(인도네시아, 필리핀, 말레이시아) 및 니코바르 제도에 이르기까지 넓은 지역에 걸쳐 분포한다.[38][1]
3. 1. 침입종
일부 전문가들은 버마비단뱀과 아프리카비단뱀이 플로리다주 남부에서 문제가 되는 침입종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44][26] 2016년 초, 에버글레이즈 국립공원에서는 106마리의 비단뱀을 제거하는 도태 작업이 이루어졌는데, 공원 관계자들은 이미 "수천 마리"의 비단뱀이 공원 내에 살고 있을 수 있으며, 이들이 수년 동안 번식해 왔다고 밝혔다.[44][26] 그러나 최근의 연구 자료에 따르면, 이 비단뱀들이 플로리다 북부의 겨울 기후를 견디지 못할 수도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이전에 비단뱀의 잠재적 서식 범위가 더 넓을 것이라고 보았던 연구 결과와는 상반되는 내용이다.[45][27]
4. 형태
소형종은 최대 200cm 정도이다. 일반적으로 비단뱀이라고 하면 연상되는, 갈색이나 짙은 녹색의 체색에 어두운 색의 반점이 들어간 색상의 종이 많다. 체형은 굵은 종이 많으며, 광의의 붉은비단뱀은 특히 현저하여, 전체 길이는 최대종인 말레이비단뱀도 300cm에 달하지 않지만 성인 남성의 허벅지 정도의 굵기가 된다. 붉은비단뱀은 속칭 츠치노코 체형으로, 이는 마찬가지로 다습한 환경에 서식하는 쇠살무늬살무사나 아더보아 등의 뱀도 동일한 체형을 하고 있어 수렴 진화의 한 예로 알려져 있다.
5. 생태
사바나나 열대 우림, 종에 따라서는 민가 근처나 도시 지역 등 다양한 환경에 서식한다. 사바나처럼 어느 정도 건조한 환경에 사는 종도 있지만, 사막과 같이 완전히 건조한 환경에 사는 종은 없다. 대체로 습한 환경을 선호하며, 건조한 지역에 살더라도 물에 들어가는 것을 좋아하는 종도 있다. 특히 습한 환경을 선호하는 넓은 의미의 비단뱀은 늪이나 습지에 서식한다. 땅 위에서 생활하는 종이 많지만, 나무 위 생활을 주로 하는 종도 있다.
식성은 동물성으로,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 등을 먹는다. 종에 따라서는 표범이나 멧돼지, 가축을 잡아먹은 기록도 있다. 먹이가 눈앞을 지나가면 재빨리 덮쳐 긴 몸으로 감싼 다음, 강한 힘으로 조여 죽인다. 과거에는 먹이를 감는 행동이 질식사를 유발하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2015년경 연구를 통해 질식이 아니라 먹이의 몸을 강하게 조여 심장을 멈추게 하는 방식으로 밝혀졌다. 이 방법은 먹이를 몇 초 만에 죽일 수 있어 질식보다 빠르다. 먹이를 죽인 후에는 통째로 삼킨다[34]。
한번 먹이를 삼키면 오랜 시간 동안 소화시키기 때문에, 1주일에서 길게는 1개월 정도 아무것도 먹지 않고 지내기도 한다. 사람이나 다른 동물에게 위협을 느끼면, 도망치기 위해 삼켰던 먹이를 토해내는 경우도 있다[35]。
번식 형태는 알을 낳는 난생이다. 알의 크기는 종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다. 몸집이 큰 종은 상대적으로 작은 알을 많이 낳고, 몸집이 작은 종은 상대적으로 큰 알을 적게 낳는 경향이 있다.
6. 인간과의 관계

비단뱀 가죽은 조끼, 벨트, 부츠, 신발과 같은 의류나 핸드백 같은 패션 액세서리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또한 얼후, 산시엔, 산신 같은 일부 현악기의 사운드 보드 재료로도 쓰인다.[28]
패션 업계의 높은 뱀 가죽 수요로 인해 아프리카와 남아시아 국가에서는 합법적 또는 불법적인 비단뱀 가죽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사냥꾼에게는 매우 낮은 임금이 지급되는 반면, 소비자에게는 매우 높은 가격에 판매되어 경제적 착취 문제가 지적된다.[29] 가죽을 얻기 위한 남획은 일부 종의 개체 수 감소로 이어졌으며, 이에 따라 CITES(워싱턴 조약)에 의해 국제적인 거래가 규제되고 있다. 2014년 국제 자연 보전 연맹과 비단뱀 보호 단체의 보고서에 따르면, 동남아시아에서 유럽의 암시장으로 매년 50만 장, 약 10억달러 상당의 가죽이 유입되는 것으로 추정된다.[37]
볼 파이톤(''P. regius'')],
참조
[1]
서적
Snake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Volume 1
Herpetologists' League
[2]
서적
Histoire naturelle, générale et particulière, des reptiles. Tome 8
De l'Imprimerie de F. Dufart
[3]
학술지
A review of the systematics and taxonomy of Pythonidae: an ancient serpent lineage
https://www.research[...]
[4]
학술지
Aspidites and the phylogeny of pythonine snakes
[5]
학술지
A molecular approach to discerning the phylogenetic placement of the enigmatic snake ''Xenophidion schaeferi'' among the Alethinophidia
[6]
학술지
Toward a tree-of-life for the boas and pythons: multilocus species-level phylogeny with unprecedented taxon sampling
[7]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Laurentii Salvii
[8]
IUCN
Python molurus
2021-12-02
[9]
서적
Caroli a Linné.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Georg Emanuel Beer
[10]
IUCN
Python sebae
2021-12-02
[11]
서적
General zoology, or Systematic natural history. Volume III, Part II
G. Kearsley
[12]
IUCN
Python regius
2021-12-02
[13]
서적
Beiträge zur Zoologie und vergleichenden Anatomie
Verlag der Hermannschen Buchhandlung
[14]
IUCN
Python bivittatus
2021-04-06
[15]
서적
Illustrations of the zoology of South Africa : consisting chiefly of figures and descriptions of the objects of natural history collected during an expedition into the interior of South Africa, in the years 1834, 1835, and 1836; fitted out by "the Cape of Good Hope Association for exploring Central Africa" : together with a summary of African zoology, and an inquiry into the geographical ranges of species in that quarter of the globe
Smith, Elder and Co
[16]
IUCN
Python natalensis
2022-04-19
[17]
서적
De Diergaarde van het Koninklijk Zoölogisch Genootschap Natura Artis Magistra te Amsterdam: De Kruipende Dieren
Van Es
[18]
IUCN
Python curtus
2021-12-02
[19]
학술지
Über eine neue Pythonart (Python breitensteini) aus Borneo
[20]
IUCN
Python breitensteini
2021-12-02
[21]
IUCN
Python anchietae
2021-12-02
[22]
IUCN
Python brongersmai
2018-03-13
[23]
학술지
Pythons in Burma: Short-tailed python (Reptilia: Squamata)
https://www.research[...]
[24]
IUCN
Python kyaiktiyo
2018-03-13
[25]
서적
Non-erycine Booidea from the Oligocene and Miocene of Europe
Institute of Systematics and Evolution of Animals
[26]
뉴스
Python Snakes, An Invasive Species In Florida, Could Spread To One Third Of US
https://www.scienced[...]
2017-08-01
[27]
학술지
Cold weather and the potential range of invasive Burmese pythons
https://digitalcommo[...]
[28]
웹사이트
About Sanshin: Introduction to the asian banjo - the Okinawan sanshin
http://www.asovivasa[...]
2015-04-08
[29]
학술지
Hunting and trading activities of reticulated python (Python reticulatus) in South Sulawesi, Indonesia: A report from the field
[30]
학술지
Harvest quotas, free markets and the sustainable trade in pythons
https://natureconser[...]
2022-11-05
[31]
웹사이트
Malayopython reticulatus
http://reptile-datab[...]
[32]
웹사이트
Playing with the Big Boys: Handling Large Constrictors
http://www.anapsid.o[...]
2017-08-01
[33]
서적
A Latin Dictionary
Clarendon Press
[34]
뉴스
【動画】ニシキヘビの中から人の遺体、詳細は
https://natgeo.nikke[...]
2017-03-30
[35]
뉴스
ニシキヘビ、ヤマアラシをのみこんで死ぬ 南ア
https://www.afpbb.co[...]
프랑스 통신사
2015-06-27
[36]
서적
大蛇全書
グラフィック社
2022-03-25
[37]
뉴스
欧州のヘビ皮闇市場、年1000億円規模 高級レザー製品に
https://www.afpbb.co[...]
프랑스통신사
2014-04-03
[38]
서적
Snake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Volume 1
Herpetologists' League
[39]
서적
Histoire naturelle, générale et particulière, des reptiles. Tome 8
De l'Imprimerie de F. Dufart
[40]
저널
A review of the systematics and taxonomy of Pythonidae: an ancient serpent lineage
https://www.research[...]
[41]
저널
Aspidites and the phylogeny of pythonine snakes
[42]
저널
A molecular approach to discerning the phylogenetic placement of the enigmatic snake ''Xenophidion schaeferi'' among the Alethinophidia
[43]
저널
Toward a tree-of-life for the boas and pythons: multilocus species-level phylogeny with unprecedented taxon sampling
[44]
뉴스
Python Snakes, An Invasive Species In Florida, Could Spread To One Third Of US
https://www.scienced[...]
2008-00-00
[45]
저널
Cold weather and the potential range of invasive Burmese pythons
https://digitalcomm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